KR200141540Y1 - 단위인쇄지의 자동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단위인쇄지의 자동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540Y1
KR200141540Y1 KR2019960002884U KR19960002884U KR200141540Y1 KR 200141540 Y1 KR200141540 Y1 KR 200141540Y1 KR 2019960002884 U KR2019960002884 U KR 2019960002884U KR 19960002884 U KR19960002884 U KR 19960002884U KR 200141540 Y1 KR200141540 Y1 KR 200141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xed
paper
plate
print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2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1768U (ko
Inventor
판영구
Original Assignee
판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판영구 filed Critical 판영구
Priority to KR2019960002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540Y1/ko
Publication of KR9700517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17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5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8Bundling paper sheets, envelopes, bags, newspapers, or other thin fla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0Stacking one article, or group of articles, upon another before packaging
    • B65B35/52Stacking one article, or group of articles, upon another before packaging building-up the stack from the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쇄기에서 작업 완료된 인쇄지가 배출되면 상기 인쇄지를 정렬 하여 묶음으로서 상기 인쇄지를 다음공정인 제본기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한 정렬장치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인쇄된 인쇄지를 묽은 장치가 알려지고 있으나 이들은 정렬수단의 결여와 그 크기가 길고 제작상의 문제점 및 효과적이지 못한바있다.
본 고안은 이를 개량한것으로서 기체에 이송장치부를 구성 카운터와 정지장치부를 구성하고 정렬장치부와 회전이송장치부, 적재 및 승강장치부에 의해 이송된 인쇄다발에 이면지를 전, 후로 하여 밴딩기에서 묽을 수 있도록함으로 기체가 간단하면서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단위인쇄지의 자동 정렬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를 보인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정렬수단에 관한 요부 발췌 작동 설명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이면지 적층 상태를 보인 작동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2 : 이송콘베이어 밸트
3 : 연동롤 4 : 카운터
5 : 밴딩기 6 : 가압실린더
7 : 압판 8 : 압착밴드
9 : 로드레스실린더 10 : 압착롤
11 : 고정봉 12 : 떨림판
13 : 이송롤 14 : 적재포크
15 : 밀판 16 : 수납함
17 : 압착함 20 : 실린더
110 : 이송장치부 120 : 카운터장치부
130 : 정지장치부 160 : 정렬장치부
150 : 랙장치부 160 : 회전이송장치부
170 : 적재장치부 180 : 승강장치부
A : 단위인쇄지 B : 일정단위지
C : 이면지 D : 묶음뭉치
본 고안은 옵셋윤전 인쇄기에서 인쇄된 인쇄지가 일정수량의 단위로되고, 1차 절첩된 상태에서 배출 되면, 이상에서 배출된 상기 인쇄지를 정렬시켜 이송하고 묶음함으로서, 제본기로의 이송을 용히하도록한 단위인쇄지가 자동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송되는 인쇄 묶음이 바로 정렬이송됨을 특징으로 한것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인쇄기에서 인쇄딘 인쇄지가 일장단위로 절곡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묶음은 재본전문공장등 많은 이동거리상에 위치된 제본기로 이송하여야 하기때문이며 이때에 상기 이동을 위해 상기 단윌된 묶음지를 정렬하여 교호로적층하고 크게 묶음으로서 이동이 용이하고 인쇄물의 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정렬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정렬묶음장치은 본인의 선출원고안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1993년제 17108호에서 볼수 있다.
상기 선고안은 종래의 대각선상의 이송밸트로 이송된 인쇄지가 이송밸트 끝단에서 낙하 되어 적재됨으로서 기체가 매우크고 또한 정렬불량과 묶음지의 절곡부와 그 타측의 높낮이 조절 장치가 없어 묶을수 없거나 수공에 위해 전, 후를 교체 하는 정리작업을 별도로 하는등의 문제를 시정코저한 것이다.
즉, 이송밸트로 이송된 단위묶음지를 이송콘베이어에 의해 평, 저면이 바꾸도록 뒤집으면서, 적재되고 인쇄지 저면으로 연속 삽입하여 일정단위가되면 이를 교효로 180°회전하고 회전된 상기 단위묶음을 이송하여 교효로 적층시켜 공지의 밴딩기로 묶어 왔다.
이러한 선고안은 종래에 비해 많은 진보성이 있으나 콘베이어 밸트로 이송되는 묵음을 평, 저가 바뀌도록 하고 상기 적제부 저면으로 계속 삽입 적층 시킴으로서 단위인쇄지가 많을 때에는 인쇄지가 구겨지는 폐단과 적층된 묶음저면으로 또 다른 인입지를 삽입 시킴으로서 정렬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본인의 선고안을 개량하여 인쇄묶음의 평, 저 바꿈없이 이송정렬과 교효 회전 이송하고 상기 묶음에는 상, 저측에 인쇄지 보호표지를 삽입 묶음 하도록 함으로서 정렬불량이 없고 인쇄지의 보호효과를 증대 시킬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해 그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 작동 설명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체(10)에 이송콘베이어밸트(2)가 연동롤(3)에 의해 연동 구비되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상기 이송콘베이어밸트(2)에 카운터(4)가 구성되어서 이송되는 단위인쇄지(A)의 이송숫자를 채크 콘트롤박스로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이송과 이송된 단위 인쇄지(A)는 정렬되어, 교효로 회전하고 이송시켜서 밴딩기(5)에 의해 묶음함으로 작업이 완료 된다.
이러한 묶음장치에 있어서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이송장치부(110)와 카운트장치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카운터(4) 후단의 이송콘베이어(2) 상부 기체(1)에 가압실린더(6)로 하강되는 압판(7)을 구성하되 상기 압판(7)에는 압착밴드(8)와 로드레스실린더(9)를 고정하여 로드레스실린더(9)에서 연동되는 압착롤(10)이 고정봉(11)에 고정된 상기 압착밴드(8)를 가압이동함으로서 이송콘베이어밸트(2)에서 이송되는 단위 인쇄지(A)를 순차적으로 적층상태로 가압시켜 정지하도록 구성하는 정지장치부(130)와, 상기 정지장치부(130) 끝단에는 떨림판(12)으로 구성되는 정렬장치부(140)를 이송롤(13)양측에 구성함과 상기 이송롤(13)하단에는 실린더(20)로 전, 후 이동되는 적재포크(14)를 구성하고 상기 적재포크(14)하부에는 상, 하 이동되고 랙장치부(15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이송장치부(16)와 밀판(15)을 연동 회전된 일정단뒤(B)를 이송하고 상향이송함으로서 적재장치부(170)에 적재하는 승강장치부(180)를 순차적으로 구성함과, 상기 적재장치부(170) 상단에는 실린더(20)에 이면지(C)를 수납하는 수납함(16)을 구성시켜 상기 수납함(16)이 전진 되면 밴딩기(5)의 압착판(17)이 하강하여 이면지(C)를 흡착시켜 이송함으로 묶음장치(D)의 상, 하면에 적층되어진 상태에서 공지의 밴딩기(5)로 묶음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설명부호, 21은 회전판, 22는 랙, 23은 적재판을 표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과 같이 옵셋 인쇄기등에서 인쇄딘 인쇄지가 다수의 장으로 하면서 이등분 절첩되어 나온다.
이러한 단위인쇄지(A)는 본 고안의 이송콘베이어밸트(2)로 이송하게되는 것이다.
제2도의 도시에서와 같이 이송장치부(100)의 이송콘베이어밸트(2)로 이송되는 단위인쇄지(A)는 카운터(4)에 의해 지정된 숫자를 채크 콘트롤박스로 신호를 보내게 되면 설정된 숫자에 의해 콘트롤박스에서는 정지장치부(130)의 가압실린더(6)를 작동시켜 압판(7)을 하강 시킨다. 상기에 의해 하강된 압판(7)은 하부의 이송콘베이어밸트(2)에 의해 이송되는 단위 인쇄지(A)를 가압함으로서 상기 단위 인쇄지(A)는 현위치에서 선단이 정지되고 후단은 계속 이동되면서 상부로 적층 되는 것이다.
이때에 로드레스실린더(9)가 작동되면서 압착롤(10)이 이동하고 상기 압착롤(10)은 압판(7)저면에 고정된 압착밴드(8)를 상기 단위 인쇄지(A) 상면으로 가압 시키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제3도 도시와 같이 일부분이 적층되면서 단위인쇄지(A)는 그 폭을 좁히면서 일정시간 정지 하게되면 다음으로 설명되는 회전이송장치부(160) 및 적재포크(14)가 작동 한다.
상기 연속회전하는 이송콘베이어밸트(2)는 압판(7)이 가압력으로 이송되는 단위인쇄지(A)를 가압하에도 이송콘베이어밸트(2)가 회전되고 이송하는 것은 상기 밸트와 밸트 사이에 슬라이드판재가 구비됨으로 밸트는 그 신축에 의해 단위인쇄지(A)와 마찰하면서 회전될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초간 정지시킨후 다음의 회전이 송장치부(160)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신호에 의해 가압실린더(6)가 상승되어지고 상기에서 정지되었던 단위인쇄지(A)는 새로이 이동 되어서 캠장치에 의한 떨림판(12)의 떨림에 의한 정렬수단과 이송롤에서 1차정렬되어 적재포크(14)로 낙하되면 선정된 수량이 적재된다. 즉, 카운터 된 숫자에 의한 량이다.
상기 적재포크(14)주변에는 캠장치에 의한 떨림판(12)이 요동되어 적재된 상기 단위인쇄지(A)를 요동으로 2차 정렬 시킨다.
이상에 의해 일정량(카운터로 설정된 매수)이 적재포크(14)에 적재되고 전기에서 설명된 압판(7)에 의해 또 다시 이송이 정지되면 회전이송장치부(160)이 실린더(20)가 상향 이동 되어 적재포크(14)에 적재된 일정단위치(B)하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적재포크(14)는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일정단위지(B)는 회전판(21)에 적재되어 하강된다.
상기 일정단위지(B)를 적재한 회전판(21)이 하강과 같이 적재포크(14)와 압판(7)이 원대복귀되고 이로인한여 인쇄된 단위인쇄지(A)로 전술한바와 같이 적재포크(14)에 또 다시 적층되고 번복 작업이 수행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일정단위지(B)를 적재한 회전판(21)은 랙장치부(150)이 실린더(20)가 랙(22)을 연동함으로서 상기 실린더(20)를 180°회전시키면 또 다른 실린더(20)의 밀판(15)이 회전판(21)에서 회전된 일정 단위지(B)를 밀어내어 승강장치부(160)이 적재판(23)에 의해 적재하고 이승강장치부(160)는 상부로 이동 되면서 적재장치부(170)에 상기 일정단위지(B)를 연속 적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1차로 회전 다음은 회전없이 연속 이송된 상기 일정단위지(B)가 적재장치부(170)에 적재되어 적량이 적재되면 상기 적재장치부(170)의 상부에 구비된 실린더(20)가 작동되어 선단의 수납함(16)이 밴딩기(5)의 압착판(17)하부로 이동 한다. 이때 상기 압착판(17)이 하강 하면서 흡착공으로 흡착하여 수납함(16)에 수납된 이면지(C)를 흡착시켜 밴딩기(5)작업판에 미리 놓고 다음으로 또 다시 한장을 흡착상태로 있다가 적재장치부(170)가 이동 되어 상기 작업파닝 이면지(C)상에 묶음할 뭉치를 놓고 이동하면 상기 이면지(C)를 흡착한 압착판(170)이 뭉치상단에서 가압함과 같이 묶음끈으로 밴딩 하게되는 것이다.
이상에 의해 묶음 묶음장치(D)는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 제본기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동일위치로 이송되면서 정렬적층되도록 정지 함과 이송된 일정단위인쇄지를 정렬시켜 이송 함과 묶음에서도 이면지를 구성시켜 이동중에 인쇄지의 파손을 방지 할수 있도록 한것이며 특히 본 고안은 본인의 선고안을 개량함으로서 그 제작이 용이한 특징의 고안이다.

Claims (1)

  1. 기체(1)에 이송콘베이어 밸트(2)를 구성 일정단위인쇄지(A)를 이송 하면서 일정단위지(B)로 정렬 하고 교효로 적층한후 밴딩기(5)로 묶음하도록된 단위인쇄지 정렬묶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콘베이어 밸트로 구성된 이송장치부(110)에 카운터장치부(120)와 정지장치부(130), 정렬장치부(140)를 구성하고 랙 장치부(15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이송장치부(160)와 적재장치부(170) 승강장치부(180) 밴딩기(5)를 순차적으로 구성 하되 상기 정지장치부(130)은 기체(1)에 고정된 가압실린더(6)에 압판(7)을 구성하며 입판(7)에는 고정된 압착밴드(8)를 선단의 고정봉(11)에 고정 하고 상기 압판(7)에 고정된 로드레스실린더(9)의 압착롤(10)에 의해 가압 이동 하도록 함과, 상기 정렬장치부(140)는 이송롤(13)전후에 각기 구성하되 캠작용에 의한 떨림판(12)으로 형성 함과, 상기 떨림판(12)과 수평상으로 적재포크(14)를 구성 실린더(20)로 연동 되고 상기 적재포크(14) 하부에는 회전판(21)을 구비한 회전승장치부(160)를 구성 하여 상기 적재장치부(170)상단에는 이면지를 수납한 수납함(16)을 구성한 작동실린더(20)를 형성 하여 압착판(17)으로 이면지를 흡착 하도록함을 하는 단위인쇄지의 자동정렬장치.
KR2019960002884U 1996-02-24 1996-02-24 단위인쇄지의 자동 정렬 장치 KR200141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884U KR200141540Y1 (ko) 1996-02-24 1996-02-24 단위인쇄지의 자동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884U KR200141540Y1 (ko) 1996-02-24 1996-02-24 단위인쇄지의 자동 정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768U KR970051768U (ko) 1997-09-08
KR200141540Y1 true KR200141540Y1 (ko) 1999-04-15

Family

ID=19450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2884U KR200141540Y1 (ko) 1996-02-24 1996-02-24 단위인쇄지의 자동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5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207B1 (ko) 2007-02-22 2008-05-22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휠체어 장애인용 작업 전동 테이블
KR100833823B1 (ko) * 2001-11-13 2008-06-02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스태커 번들러 및 쇄본 집속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823B1 (ko) * 2001-11-13 2008-06-02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스태커 번들러 및 쇄본 집속체
KR100831207B1 (ko) 2007-02-22 2008-05-22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휠체어 장애인용 작업 전동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768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50758B1 (en) Device for arranging printed paper sheets
JPS5813407B2 (ja) 紙葉類整列帯封装置
JP5248786B2 (ja) 立ち状態で前後に整列された印刷紙から積重ね体を形成する方法ならびに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KR200141540Y1 (ko) 단위인쇄지의 자동 정렬 장치
US3980183A (en) Delivery and collecting arrangement for rotary machines for printing books or magazines
EP0562686B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stapling stacks of sheets
KR890001319B1 (ko) 지폐계수 및 다발묶음장치
KR200159364Y1 (ko) 단위인쇄지의 자동 정렬 장치
JPH07291449A (ja) パレット上の物品の移載装置、刷本束の搬送装置および刷本束の移送方法
KR101845749B1 (ko) 제본된 단위별 책자 포장을 위한 적재이송장치
JP2583693B2 (ja) 刷本の処理装置
JP3660235B2 (ja) 後処理装置
JP2790508B2 (ja) 刷本の製本機への供給方法及び供給装置
JP3807840B2 (ja) 折帳束集積装置
JP2895201B2 (ja) 刷本集積装置
US2007014082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intermediate storage of stacks
JP4401190B2 (ja) 硬貨包装紙および硬貨包装方法
JPH0136726Y2 (ko)
KR0156229B1 (ko) 미제본(未製本)의 처리장치
JPS6141720Y2 (ko)
JP3479638B2 (ja) スタッカーバンドラーの当紙供給装置
JP3671145B2 (ja) 後処理装置
JP2781234B2 (ja) カセットからのシート状物の取出し装置及び取出し方法
JP2882873B2 (ja) 刷本集積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刷本集積装置
JPH0266031A (ja) 紙束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