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4183A -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4183A
KR20010114183A KR1020010045156A KR20010045156A KR20010114183A KR 20010114183 A KR20010114183 A KR 20010114183A KR 1020010045156 A KR1020010045156 A KR 1020010045156A KR 20010045156 A KR20010045156 A KR 20010045156A KR 20010114183 A KR20010114183 A KR 20010114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swing
user
recording
button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호장
Original Assignee
남현정
주식회사 마인드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현정, 주식회사 마인드윙 filed Critical 남현정
Priority to KR1020010045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4183A/ko
Publication of KR2001011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418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녹화 및 재생을 통해 조작이 간편하며, 다양한 녹화 및 재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카메라 일체형으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즉석에서 보면서 교정을 할 수 있으며, 신발에 내장된 체중이동 판독기를 구비하여 체중이동 분포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접을 수 있게 구성되어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골프스윙 모션을 녹화하고 재생하기 위한 전자 시스템이 배면쪽에 내장되어 있고 정면쪽에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일체형으로 구비한 본체(100)와, 이런 본체(100)의 배면상에서 미끄럼 동작하는 슬라이딩 지지대(110)를 통해 접혀지는 받침대(108)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의 신발 밑창에 설치되는 체중이동 판독기인 동작하중 분포 측정 시스템(200)을 통해 사용자의 골프스윙 모션에 대한 하중 데이터를 전송 받아 사용자가 자신의 스윙 모션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가 골프 클럽을 이용하여 간단히 녹화 및 되감기 명령과 재생 명령을 입력하도록 하는 터치패드(170)와 적외선 센서(131, 13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PORTABLE APPARATUS FOR CORRECTING GOLF SWING POSTURE}
본 발명은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과 휴대가 간편하며, 녹화장소와 연습장소를 구분하지 않고 골프 연습자의 스윙 모습을 촬영, 재생, 저장, 관리, 2화면 분할, 체중 이동 판독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촬영 후 즉시 골프 연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는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로마시대 시이저(BC100~44) 때 파가니카(Pila Paganica) 스코틀랜드성을 정복한 병사들이 야영지에서 쉬던 중 한쪽 끝이 구부러진 막대기로 새털로 된 공을 치며 즐겼던 놀이가 오늘날 스코틀랜드에 남아 골프가 되었다는 설과 같이 달리 뚜렷한 기원을 찾아 볼 수 없지만, 서양의 골프 역사는 유구한 전통을 갖고 있고, 현대 스포츠에서 없어서는 안될 신사적인 스포츠로 각광 받고 있음이 분명하다.
"한국 최초의 골프코스는 영국인에 의하여 1900년 원산 세관구내에서 시작되었다."고 1940년 11월 일본에서 발행된 「조선 골프 소사」에서 찾아 볼 수 있듯이, 대한민국의 골프 역사는 서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골프 역사를 갖고 있지만 골프에 대한 사랑과 열기는 서양 못지 않다. 2001년 현재 대한민국의 골프인구는 300만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골프장수가 약 150개, 골프연습장이 약 1500개를 넘는 등, 그 인기와 증가율은 계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골프 환경은 폭발적으로 증가한 골프인구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연습 공간의 부재로 인하여, 충분한 라운딩 기회를 갖지 못하는 골퍼들이필드를 쉽고 편하게 이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며, 따라서 자연히 실외 또는 실내 골프연습장에라도 가서 연습을 하는 실정이다. 이런 환경에서 국내 골퍼들은 실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골프 연습 시설과 장비, 즉 일반 및 경사면 조절용 골프연습기, 골프연습네트, 골프시뮬레이션, 골프스윙가이드, 골프스윙자세 교정기, 티샷연습기, 체중이동 판독기, 골프공 공급기, 퍼팅연습용 매트 등을 이용하여 골프 연습을 하고 있다.
여기에서, 골프스윙자세 교정기는 정확한 자세 요구가 필요한 골프에 처음 입문하는 골프 연습자, 또는 이미 골프를 어느 정도 시작한 골퍼의 잘못된 스윙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골프에서 골퍼의 자세교정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자세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골프공의 방향성에 크게 영향을 미침은 물론이고, 골프공의 도달거리가 골프 클럽의 교구거리에 못 미치게 된다. 이와 함께, 잘못된 스윙 자세가 무리한 스윙을 유발시켜서 인체의 중요부위인 허리와 목, 다리 부분에 손상을 입게 한다. 따라서, 골프를 처음으로 입문하는 골프 연습자는 정확한 스윙자세를 숙지하기 위해서 자세교정을 필요로 하며, 이와 함께 이미 스윙 자세에 익숙한 전문 골퍼들에게도 더욱 뛰어난 실력 배양을 위해 자세교정이 필요하다.
이렇듯, 골프에서 스윙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고안된 일반 적인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몇 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그 예를 들면, 기본자세와 스윙자세를 촬영하여 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촬영한 영상데이터와 각종 센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교정자세를 제시하고, 잘못된 스윙 또는 정확한 스윙을 감지하여 이를 메시지로 알려주는 확인장치와, 더 나아가 체중 이동과 스윙 패스, 임팩트 포인트 등과 같이 골프 스윙시의 복합적인 여러 분석 요소들을 전체적으로 분석하여 골프 연습자의 자세교정에 필요한 특징 프레임을 추출하는 모션영상분석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1997년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 37442호에 개시된 영상비교에 의한 자세 교정장치에서와 같이, 단순히 골퍼의 움직임에 따른 광학신호를 전기적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수단과, 전기적 연상신호를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출력하고 저장하는 디지털 변환수단 및 저장수단과, 영상데이터를 기준 영상데이터와 비교하여 양 영상데이터의 차분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검출 비교수단과, 선택중첩수단을 포함하여, 영상 비교를 통해 잘못된 부분에 대한 교정된 스윙 자세를 안내 메시지로 제공하거나, 촬영 데이터를 기록 저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골프 연습자의 스윙자세를 교정 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발명은 기본적으로 연습공간과 촬영공간이 서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분리형 장치로서, 신장 180 ㎝인 건장한 신체의 성인 골퍼를 한 화면에 모두 보여줄 수 있게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 설치 위치와 골퍼의 연습위치 사이의 거리가 약 5m 이상이 요구됨으로써, 필드와 같은 실제 골프장에서 사용이 불편하다. 물론, 실내 골프 연습장에서의 설치도 거의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골프 연습자의 정면 모습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촬상수단을 골프 연습자의 앞쪽에 설치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연습용 매트들이 배치된 실내 골프 연습장에 종래의 골프스윙 교정 장치가 설치될 경우, 타 연습 공간을 침범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비교적 넓은 내부 공간을 갖는 실내 골프 연습장에서조차도 설치 공간의 부족으로 그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고, 분석에 따른 화상 표시의 시간 딜레이와, 촬상 직후 화면을 신속하게 볼 수 없는 매우 늦은 반응성으로 인해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이렇듯, 종래의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다양한 교정 기능과 분석 성능을 성취하기 위한 목적을 기본으로 고안되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필드 또는 좁은 실내 골프 연습장에서, 골퍼 스스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여 잘못된 골프스윙 자세를 신속하교 용이하게 비교 확인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복잡한 시스템 구성으로 인하여 휴대성을 고려하지 않아, 개인용으로 편하고 쉽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이런 점은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 126443호에 개시된 골프 티샷 스윙 모션분석 시스템에서도 볼 수 있다. 이 등록특허는 골프 클럽 및 타구된 골프공의 속도와 방향 등을 상세하게 분석하는 타구 분석기와, 티샷 스윙시의 체중분포의 이동을 분석하는 체중 이동분석기와, 티샷 스윙 모션의 영상을 분석할 수 있는 영상분석기로 이루어져 뛰어난 분석성능을 갖는 골프스윙 교정 시스템이나, 설치공간의 제약, 즉 복잡한 다수의 컴퓨팅 시스템과 지면에 설치된 타구분석용 센서(전자 저울)들, 그리고 다수의 광센서 등으로 이루어진 비대한 시스템을 개인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기 어렵고, 골프 연습자 외에 별도의 시스템 관리자가 필요하는 등 관리상의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한 화면에 한 개의 촬상 영상을 보여주거나 분할 기능을 통해 다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2개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할 때, 별도의 보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화면 해상도가 1/4크기로 각각 작아지고, 또한 빈 공간이 보이는 영상의 크기만큼 생성되므로, 식별력이 떨어지고 1:1 비교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영상보정을 통한 2화면 비교 분석 디스플레이와, 신속한 응답성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재생 기능과, 휴대성을 강조한 본체와 운동 모션의 동작 하중 분포 측정 수단에 대한 계속된 연구와 노력을 기울여왔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용도 집적회로(ASIC)의 채용으로 반응도가 빠르고, 원터치 녹화 및 재생을 통해 조작이 간편하며, 다양한 녹화 및 재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카메라 일체형으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즉석에서 보면서 교정을 할 수 있으며, 신발에 내장된 체중이동 판독기를 구비하여 체중이동 분포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접을 수 있게 구성되어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외선 센서들과 터치패드를 이용 스윙모션 촬영 후 재생 단계를 직접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고, 보정된 2화면 분할기능으로 정면 및 측면 동시 녹화와 따라하기 녹화와 따라하기 재생과 슬로우 모션 재생과 프레임별 재생과 체중 분석과 인터넷 연결 등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를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높이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를 휴대하기 위해 접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골프스윙 고정 장치의 접힌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사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
도 3b 내지 도 3e는 도 3a에 도시된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주요 기능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에 장착된 전자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5a는 교체형 동작하중 분포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한 주요 작동별 흐름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대기상태를 설명한 흐름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일반 녹화를 설명한 흐름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정면/측면 동시 녹화를 설명한 흐름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따라하기 녹화를 설명한 흐름도,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일반 재생을 설명한 흐름도,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따라하기 재생을 설명한 흐름도,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정면/측면 동시 재생을 설명한 흐름도,
도 14는 도 6에 도시된 슬로우 모션 재생을 설명한 흐름도,
도 15는 도 6에 도시된 프레임별 재생을 설명한 흐름도,
도 16은 도 6에 도시된 체중 분석을 설명한 흐름도,
도 17은 도 6에 도시된 파일 관리를 설명한 흐름도,
도 18은 도 6에 도시된 USB 드라이버 설치를 설명한 흐름도,
도 19a는 도 6에 도시된 인터넷 연결을 설명한 흐름도,
도 19b는 도 6에 도시된 인터넷 연결의 다른 예를 설명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1 : 수납공간
102 : 손잡이 103 : 공간
104 : 안착홈 105 : 힌지부
108 : 받침대 110 : 지지대
111 : 하단부 112 : 프레임
113 : 슬라이더 120 : 디스플레이 패널
121 : 덮개 122 : 슬라이딩 홈
131, 132 : 적외선 센서 133 : 스피커
134 : 전원표시등 141 : 전원스위치
142 : 모드변경스위치 143 : 재생버튼
144 : 녹화버튼 145 : 메뉴버튼
146 : 확인버튼 147 : 채널 업/다운버튼
148 : 볼륨 업/다운버튼 156 : 제 1 RF모듈
160, 161 : 카메라 170 : 터치패드
190 : 작동제어부 200 : 동작하중 분포 측정 시스템
203 : 체중 감지 밑창 204 : 신발
210 : 제 2 RF모듈 220 : 데이터 송신장치
230 : 휴대 전원 240, 241 : 압력감지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처리장치, 이 중앙처리장치에 접속된 주기억장치, 그리고 중앙처리장치에 접속되고 제어 알고리즘이 저장된 ASIC 칩, 이런 ASIC 칩에 접속된 기억장치 및 ASIC 칩에 접속된 코덱, 그리고 코덱에 접속된 A/D 컨버터, A/D 컨버터에 접속된 카메라, 중앙처리장치에 접속된 버퍼메모리, 버퍼메모리에 접속된 디스플레이 콘트롤러, 버퍼메모리에 접속된 I/O 콘트롤러, 및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에 있어서, 한쪽 측면에 부착된 접이식 손잡이와 측면에 형성되어 카메라를 수용하는 안착홈과 손잡이가 접혀져 수용되는 주면상의 오목한 공간과 주면상에 형성된 수납공간 및 일 측변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힌지부를 구비한 받침대와, 힌지부와 힌지결합된 하단부를 갖는 평판 형상의 프레임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를 구비한 지지대, 및 슬라이더가 배면의 슬라이딩 홈에서 상하로 미끄럼동작하도록 지지대와 결합된 본체를 포함하되, 본체는 정면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체형으로 배치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에 접이식으로 카메라를 설치하며, 다수의 선택버튼들을 구비한 작동제어부을 제공하여, 지지대에 의해서 받침대와 함께 면접하게 접혀서 가방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동제어부에 의해 달성되며, 이때의 작동제어부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면 하단부위에 배치되고, I/O 콘트롤러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녹화 및 되감기 명령과 재생 명령을 각각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적외선 센서와, 작동 상태 확인에 필요한 스피커 및 전원표시등과, 작동의 시작 및 종료에 필요한 전원스위치와, 기능 선택에 필요한 모드변경스위치, 재생버튼, 녹화버튼, 메뉴버튼, 확인버튼, 채널 업/다운버튼 및 볼륨 업/다운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한쪽 측면부에 USB 포트, 비디오 인/아웃 포트, TV용 보조안테나 포트, 패드접속용 포트 및 그것들을 덮는 커버가 설치되며, 패드접속용 포트와 연결 와이어를 통해 I/O 콘트롤러에 접속되는 터치패드를 더 포함하되, 터치패드는 고무 또는 탄성 부재로 형성된 녹화버튼과 재생버튼을 구비하고 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정 장치는 중앙처리장치와 접속된 제 1 RF모듈과, 사용자의 하중 데이터를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 휴대전원, RF모듈들 간의 무선 송수신을 제어하는 RF콘트롤러 및 제 1 RF모듈과 접속되는 제 2 RF모듈을 구비한 동작하중 분포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동작하중 분포 측정 시스템은 제 2 RF모듈 및 제 1 RF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골프스윙 모션에 대한 하중 데이터를 교정 장치에 전송하고, 사용자의 신발의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정 장치는 A/D 컨버터에 접속되는 별도의 외부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카메라와 외부 카메라를 통해 정면 및 측면 동시녹화 또는 동시재생의 화면 2분할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높이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또한,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를 휴대하기 위해 접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골프스윙 고정 장치의 접힌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사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3b 내지 도 3e는 도 3a에 도시된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주요 기능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에 장착된 전자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고, 도 5a는 교체형 동작하중 분포 측정 시스템(예를 들면, 체중 감지 신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상단 중앙에 CMOS 촬상 소자인 내장형 카메라(160)가 배치되어 있고, 박판 LCD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정면에 일체형으로 구비한 본체(100)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배치되도록, 본체(100)를 지지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딩식 지지대(110)와, 고무받침(109)를 갖는 받침대(108)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작동제어용터치패드(170)를 더 제공한다. 또한, 이 장치는 운동 모션의 동작하중 분포 측정을 위해서, 골프화와 같은 신발의 바닥면에 탈착가능한 체중이동 판독기인 체중 감지 밑창(도 5a와 도 5b 참조)을 제공한다.
터치패드(170)는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케 하는 기능패드로서 'R'버튼(171)과 'P'버튼(172)을 구비하되, 이 터치패드(170)는 연결 와이어로 본체(100)의 패드접속용 포트를 통해 I/O 콘트롤러에 접속된다. 여기에서, 연결 와이어는 받침대(108) 내부를 통해 직접적으로 I/O 콘트롤러에 연결될 수 있고, 또는 받침대(108)의 외부에서 직접 패드접속용 포트에 접속되어 I/O 콘트롤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170)는 고무 또는 탄성 재질로서 상대적으로 넓은 누름 면적을 제공하여, 골퍼가 발 또는 골프 클럽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R'버튼(171)은 녹화(Recording)명령과, 프레임별 재생시에 프레임단위로 영상 화면을 리와인딩(Rewinding) 하면서 검색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P'버튼(172)은 재생(Play)명령과, 프레임별 연속 재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받침대(108)는 본체(100)와 슬라이딩식 지지대(110)를 지면에서 받쳐주는 역할을 하며, 상면에 터치패드(170)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101)을 형성하고 있고, 그 내부에 배터리(도시 안됨)와 같은 전원장치를 구비하여, 무게 중심을 유지한다. 또한, 받침대(108)는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가 사용될 때, 접이식 손잡이(102)를 수납하기 위한 손잡이용 오목한 공간(103)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오목한 공간(103)의 측면에는 내장형 카메라(160)가 90°각도로 접혀져서 수납될 수 있게 카메라 안착홈(10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받침대(108)는 카메라 안착홈(104)의 반대쪽인 측면에 힌지부(105)로 슬라이딩식 지지대(110)와 힌지결합 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갖는 본체(100)를 받침대의 상면 쪽으로 접을 수 있게 되어있다.
슬라이딩식 지지대(110)는 받침대(108)의 힌지부(105)와 힌지결합된 하단부(111)와 본체(100)의 배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에서 상하로 미끄럼 작동하여 높이 조절을 가능케 한 슬라이더(도 2a의 도면부호 113 참조)와, 이 슬라이더에 힌지결합하는 상단부를 갖는 평판 형상의 프레임(112)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00)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하드웨어들로 이루어진 전자 시스템을 배면쪽에 수납하고 있으며, 정면쪽에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일체형으로 장착하고 있고, 슬라이딩식 지지대(110)와 받침대(108)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함으로써, 습기가 많은 골프장 등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상단 중앙에 내장형 카메라(160)를 접이식으로 장착하고 있고, 좌측 또는 우측면에 USB 포트, 비디오 인 앤 아웃 포트(Video In and Out port), TV용 보조 안테나 포트, 패드접속용 포트 등을 구비하고, 투명 또는 불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121)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정면 하단부위에는 작동제어부(19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제어부(190)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정면 하단부위에 배치되고, 하기의 I/O 콘트롤러에 접속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하여 앞서 설명한 터치패드(170)와 동일한 스위칭 역할, 즉 사용자의 녹화 및 되감기 명령과 재생 명령을 각각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적외선 센서(131, 132)와, 작동 상태 확인에 필요한 스피커(133) 및 전원표시등(134)과, 작동의 시작/종료와 기능 선택에 필요한, 전원스위치(141), TV/골프 모드변경스위치(142), 재생버튼(143), 녹화버튼(144), 메뉴버튼(145), 확인버튼(146), 채널 업/다운버튼(147) 및 볼륨 업/다운버튼(148)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는 앞서 언급한 슬라이딩식 지지대(110)에 의해서 받침대(108)로부터 소정 높이의 위치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단에 장착된 내장형 카메라(160)로 하여금 골프 연습자의 전신을 최적의 위치에서 촬영할 수 있게 돕는다.
여기에서, 슬라이딩식 지지대(110)는 본체(100)의 배면 중앙에 다수의 고정턱(124)들을 갖는 슬라이딩 홈(122)과, 그 양쪽 내측면에 레일(123)을 형성하고 있다. 슬라이더(113)는 슬라이딩 홈(122)의 레일(123)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사용자가 본 발명의 교정 장치를 소정 장소에 설치시, 슬라이더(113)의 걸쇠(도시 안됨)를 슬라이딩 홈(122)의 고정턱(124)에 결착시킴으로써, 그 결과 본체(100)가 하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고정턱(124)들의 높이 별로 슬라이더(113)의 걸쇠를 결착시키기 때문에, 결국 지상으로부터 본체(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본 발명의 교정 장치를 접어 보관하려 하는 경우, 두개의힌지축(118, 119)을 중심으로 유한한 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각각의 멈춤턱들에 의해서 지지되었던 슬라이딩식 지지대(110)를 일자로 쭉 펴고, 슬라이더(113)를 고정턱(124)으로부터 릴리스시킨 후, 본체(100)를 하방향으로 이동(a)시킨다.
이런 경우, 슬라이더(113)가 슬라이딩 홈(122)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a')하고, 지지대(110)의 프레임(112) 및 슬라이더(113)가 슬라이딩 홈(122)에 수납된다.
그 결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받침대(108)와 수직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터치패드를 수납공간의 내부에 안치시키고, 내장형 카메라(160)를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수직하게 꺾고(b), 접이식 손잡이(102)를 바깥쪽으로 펼친 후(c), 본체(100)를 받침대(108)쪽으로 접는다(d).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 받침대(108)는 서로 면접하게 접혀져서 가방형상을 갖게 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접이식 손잡이(102)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휴대하거나 운반할 수 있다. 특히, 본체부(100)와 받침대(108)의 외표면 모서리 부위에는 표면의 손상을 막고, 충격 흡수의 역할을 하는 고무 받침(109)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00)와 받침대(108)의 외표면에는 골프공 형상의 엠보싱(embossing) 돌출부들이 다수로 형성되거나, 골프공의 딤플(dimple)과 같은 홈 형상들이 다수로 형성되어 외관상 미려한 디자인을 갖거나, 심플(simple)하게 평면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80)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동작하중분포 측정 시스템(200)을 장착한 신발(204)을 신고,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를 가방과 같이 운반 및 휴대하다가, 자세 교정과 함께 골프 연습을 하기 위해서, 골프공(181) 전방 약 15∼30㎝ 거리의 위치에 골프스윙 교정 장치를 내려놓고, 앞서 설명한 접는 방법의 역순으로 골프스윙 교정 장치를 설치한다. 설치된 장치의 본체(100)는 받침대(108)와 슬라이딩식 지지대(11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내장형 카메라(160)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약 70㎝)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통상 골프 클럽(182)과 사용자(180)의 사이 거리가 50㎝ ∼ 1m 정도 일 때, 내장형 카메라(160)의 촬영각도 내에는 신장 180∼190㎝ 정도 성인의 전신과 함께 골프공이 놓여진 지면 일부가 모두 한 화면에 잡히게 된다.
이런 환경에서 내장형 카메라(160)를 통해 촬영된 화면은 도 3b에 도시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화면에는 몸의 이동을 관찰하는 기준선(129)이 출력된다. 또한, 사용자(180)가 터치패드의 'R'버튼을 클릭하거나, 골프 클럽으로 좌측 제 1적외선 센서(131) 전방을 한번 스쳐 지나가거나, 또는 손으로 녹화버튼(144)을 누를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20)에는 스윙 시간을 알리는 타이밍 점멸 등이 출력 되고, 예를 들어 점멸 후 자동 촬영 2.5초에 3초 후 정지된다. 그리고, 사용자(180)가 터치패드의 'P'버튼을 클릭하거나, 골프 클럽으로 우측 제 2 적외선 센서(132) 전방을 한번 스쳐 지나가거나, 또는 손으로 재생버튼(143)을 누를 경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2개의 영상 데이터를 한 화면에서 꽉 차게 볼 수 있다(도 3c의 (a) 참조). 즉, 이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면(도 3c의 (b) 참조)과 비교해 볼 때, 양 측면의 불필요한 부분이 없고, 그래픽 처리 수단('TW88 이미지 스케일러')의 화면 보정에 의해서, 사용자(180)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화면 전체에 걸쳐 나타나게 됨으로써, 1:1 비교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신발의 바닥면에 탈착가능한 체중 감지 밑창(도 5a와 도 5b 참조)을 통해 전달된 하중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화면에 발형상의 그래프(290)의 형태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180)는 자신이 스윙을 한 후, 발형상의 그래프(290)에 보여지는 하중 데이터로 신체 중심의 이동을 파악할 수 있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단순 배율(1/2의 속도 또는 1/3의 속도)에 의해 디스플레이 시간을 조절하는 것과는 달리, 프로 선수(183)의 풀 스윙 영상 데이터를 시간 간격으로 늘려서, 예를 들면, 1.5초 내지 1.7초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2초의 디스플레이 시간으로 늘리는 시간 조절 시스템을 구비하여, 사용자(180)가 프로 선수(183)의 스윙을 연습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서, 본체(100) 내부에 장착된 전자 시스템을 갖는다.
전자 시스템의 하드웨어는 배터리(172)와 충전기(171) 겸용의 전원공급부(170)에 의해서 작동하는 메인보드(107)와, 팜 OS 가 기록 저장된 기억장치인 시스템 ROM(153)과, 주기억장치(RAM)인 메모리(151)와, 메인 컨트롤용 CPU(150)(제품명 : T33520 8bit micom)와,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 작동 알고리즘을 기록 저장한 특정용도 집적회로(ASIC ; 152) 및,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서 그래픽 처리 수단(도시안됨)('TW88 이미지 스케일러') 등이 제공된다. 또한, 메인보드(107)에는 박판 액정화면(LCD)인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아날로그 합성 비디오 신호 모듈(125 ; NTSC Module)와,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26)를 구비하며, 내장형 카메라(160) 또는 옵션으로 장착 가능한 외부 카메라(161)를 통해 전달된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55)와 일반적인 비디오(jpeg) 코덱(154)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메인보드(107)에는 USB 포트(139), USB 콘트롤러(138), 버퍼메모리(137)가 장착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교정 장치가 TV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TV튜너(129)가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2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제 2 적외선 센서(131, 132)들과 터치패드(170)와 각종 조작버튼(141∼148)들은 입/출력(I/O) 콘트롤러(19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콘트롤러(193)에는 음성 합성칩(194)(제품명 : MCL1043 Voice synthesis LSI)과 앰프칩(195)(제품명 : LM386M-1 audio amp)과 스피커(133)가 접속되어 있어서, 재생되는 스윙 동영상을 따라할 수 있는 타이밍을 음성 신호로 알려줄 수 있다.
이런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동작하중 분포 측정 시스템(200)과의 송수신을 위해 제 1 RF모듈(156)을 구비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하중 분포 측정 시스템(200)의 체중 감지 밑창(203)의 내부에는 앞서 언급한 제 1 RF모듈(156)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 2 RF모듈(210)과 인체 체중이동 감지용 피에조 압력 소자로서 체중 감지 센서의 역할을 하는 압력감지센서(240, 24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장착공간(202)의 내부에는 하중 데이터 송신장치(220)가 휴대 전원(230)에 의해 작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휴대 전원(230)은 배터리로서 개폐 가능한 커버(201)로 교체가능 한 것이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하중 분포 측정 시스템(200)은 골프화와 같은 신발(204)의 바닥면(206)에 다수로 형성된 볼트구멍(207)과 다수의 볼트(205)들을 이용하여, 체중 감지 밑창(203)을 신발(204)의 바닥면(206)에 교체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어서, 여기에 내장된 압력감지센서(240, 241)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손상되었을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그러한 압력감지센서(240, 241)는 하나의 밑창(203) 발바닥 부위와 발뒤꿈치 부위에 각각 4개씩 총 8개가 배치되어서, 사용자의 연속적인 모션 변화에 따라 양 발의 전후부에 인가되는 하중의 분포와 연속적인 동작 하중의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측정한 하중 데이터를 하중 데이터 송신장치(220)와 제 2 RF모듈(210)을 통해 서 상기 본체(100)의 제 1 RF모듈(156)로 송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하중의 정확한 분포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하중 변화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아래에서,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각종 작동방법을 도면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한 주요 작동별 흐름도이고, 이후, 도 7내지 도 19b는 도 6에 도시한 각각의 작동들에 대한 작동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들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작동방법은 앞서 설명한 본체 내부의 롬에 저장된 팜 OS 시스템에 의해서 기본적인 데이터의 입출력과 시스템 작동이 수행되며, 특히, 특정용도 집적회로(ASIC)에 아래와 같이 골프스윙 교정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 알고리즘들이 저장된다. 즉, 여기에 저장된 제어 알고리즘들은 대기 상태 제어(S10)와, 일반 녹화 제어(S20)와, 정면/측면 동시 녹화 제어(S30)와, 따라하기 녹화 제어(S40)와, 일반 재생 제어(S50)와, 따라하기 재생 제어(S60)와, 정면/측면 동시 재생 제어(S70)와, 슬로우 모션 재생 제어(S80)와, 프레임별 재생 제어(S90)와, 체중 분석 제어(S100)와, 파일 관리 제어(S200)와, USB 드라이버 설치 제어(S300)와, 인터넷 연결 제어(S400)이며, 기타, TV 채널 선택과, 인터넷 검색 등의 부가적인 제어 알고리즘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토록 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측부위, 예를 들면, 우측 상단 또는 중앙 하단에 오버레이(overlay)되게 표시되는 메뉴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메뉴는 크게 ① 녹화, ② 재생, 그리고 ③ 관리로 이루어져 있다. 녹화의 경우에는 일반 녹화와 정면/측면 동시 녹화와 따라하기 녹화를 상하방향으로 스크롤(scroll)하여 엔터버튼을 클릭할 경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동일 방식으로 상하방향의 스크롤링과 엔터버튼의 사용을 통해서, 재생의 경우에서도 일반 재생과 따라하기 재생과 정면/측면 동시 재생과 슬로우 재생과 프레임별 재생의 선택이 가능하다. 그리고, 관리는 녹화한 영상 데이터, 인터넷과 다른 컴퓨터를 통해 다운로드 받은 영상 및 정보 데이터 등을 파일 형태로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서, 파일의 삭제, 저장, 이동, USB 포트 연결 등의 기능을 앞서와 같이 스크롤링하고 엔터버튼을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상태를 설명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전원을 온(ON)하면(S11), 골프/ TV기능 중 어떤 상태인가를 판단하여 TV 화면을 표시한다(S12, S13). 이후, CPU는 옵션 또는 외부 카메라가 연결될 경우, 카메라 2분할 기능이 작동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정면/측면중 촬영을 원하는 화면 선택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면(S14, S15, S16), 입력 신호로 카메라 캡쳐를 시작한다(S17). 만일, 옵션 카메라가 연결되어 있지 않고, 내장형 카메라만 연결되어 있는 경우, 내장형 카메라는 사용자의 모습을 받아들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캡쳐된 화면이 보여지게 된다(S18). 이러한 대기상태는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가장 기본적인 대기 화면이며, 사용자가 각종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기본 상태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녹화를 설명한 흐름도이다.
이때, 사용자는 골프 스윙 화면을 녹화하기 위해서 일반 녹화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명령 입력 수단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녹화버튼이나, 터치패드의 'R'버튼, 또는 제 1 적외선 센서를 작동시킬 경우, 녹화 명령이 입/출력 콘트롤러로 입력된다(S21). 이후, 입/출력 콘트롤러는 명령 입력 수단의 종류를 판단하고(S22, S22a, S22b), 옵션 카메라의 연결 상태와 2화면 분할기능의 작동유무를 파악한다(S23, S24a). 그리고, 정면/측면 동시 녹화기능 실행여부에 따라(S24b), 단독화면 녹화 단계(S25) 또는 정면/측면 동시녹화의 단계(S34b)를 진행한다. 즉, 단독화면 녹화 단계(S25)에서는 사용자가 정면 또는 측면 중 원하는 촬영 화면에 대한 명령을 메뉴에서 선택하도록한다. 이때, 사용자의 어드레스 준비를 위한 녹화 대기 상태가 2초 유지된다(S26). 그리고, 2초 후에 녹화를 위한 타이밍 신호 음성이 스피커를 통해 발성되고, 타이밍 알람 그래프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에 표시된다(S27). 만일 타이밍 신호 음성과 알람 그래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시기에 스윙을 할 경우, 이 스윙 모션은 2.5초간의 스윙녹화 시간 동안 영상 데이터로 녹화되며(S27a, S27b), 녹화된 영상 데이터는 자동적으로 저장되고(S28),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대기화면이 보여진다. 이렇게 저장된 영상데이터인 스윙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재생버튼이나, 터치패드의 'P'버튼, 또는 제 2 적외선 센서를 작동시킬 경우, 재생 명령이 입/출력 콘트롤러로 입력되며, 이런 재생 명령에 관해서는 뒤에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측면 동시녹화를 설명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된 내장형 카메라 이외에 추가로 휴대용 외부 카메라가 본체에 연결되어 있다면,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특수 녹화 기능인 2화면 분할 정면/측면 녹화기능의 사용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본체의 버튼 중 메뉴 버튼을 클릭하고(S31), 정면/측면 동시녹화 명령을 실행하면(S32), 앞서 언급한 방식과 유사하게 외부 카메라의 연결 상태와 2화면 분할기능의 작동 유무를 파악한다(S33a, S33b). 그리고, 2화면 분할 기능이 활성화되었을 때(S34a), 입/출력 콘트롤러로 녹화 명령이 입력되고(S35), 입/출력 콘트롤러는 명령 입력 수단의 종류를 판단하며(S36, S36a, S36b), 정면/측면 동시녹화 단계(S37∼S39)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정면/측면 동시녹화 단계(S37∼S39)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일반 녹화기능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외부 카메라가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다면, 메뉴에서 정면/측면 동시녹화 명령은 선택되지 않는다. 또한, 2화면 분할 정면/측면 동시녹화 작동시,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2화면 분할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을 세로로 2분할한다. 화면의 전체 해상도는 640*480의 사이즈이지만, 2화면 분할시 그래픽 처리 수단('TW88 이미지 스케일러')에 의해서 좌, 우의 화면의 해상도는 320*480의 사이즈로 보정된다.
이때, 분할된 화면의 좌측에는 내장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용자의 정면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표시되고, 분할된 화면의 우측에는 옵션으로 추가되는 휴대용 외부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측면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나타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따라하기 녹화를 설명한 흐름도이다.
따라하기 녹화 제어단계(S40)는 이미 녹화되어 저장된 파일이나, USB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터 시스템 또는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받은 사람의 스윙 동영상 파일이나, 국내외의 유명 프로들의 스윙 동영상을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로 다운로드 받아서 해당 동영상을 보며 따라 하는 기능이다.
즉, 자신의 스윙을 녹화시 따라 하기 녹화 명령을 실행하려면, 메뉴버튼을 클릭하고(S41), 이에 따라 펼쳐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메뉴 화면상에서 따라 하기 녹화 명령을 선택(엔터버튼을 클릭)한다(S42). 이후,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2화면 분할기능을 활성화시키고(S43, S43a),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혹은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은 파일 중, 사용자가 따라하기를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기 위하여 파일 선택 화면을 화면에 표시한다(S43b). 이때, 사용자가 교정 장치의 지시에 따라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게 되면(S44a), 선택된 스윙 동영상 파일은 2화면 분할 표시 기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왼쪽에 사용자가 따라 하기 위하여 선택된 스윙 동영상 파일이 표시되며, 파일의 로드 여부를 판단한다(S44b).
이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출력 콘트롤러로 녹화 명령이 입력되면(S45), 입/출력 콘트롤러는 명령 입력 수단(적외선 센서 또는 터치패드)의 종류를 판단하고(S45a, S45b, S45c), 따라하기 녹화 단계(S46∼S48)를 수행하며, 이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왼쪽에 로딩된 따라하기용 스윙 동영상을 보면서 녹화를 하게 된다. 여기에서, 따라하기 녹화 단계(S46∼S48)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일반 녹화기능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렇게 따라하기 녹화 단계가 수행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오른쪽에 내장형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모습이 보이게 된다.
사용자는 위에서 기술한 3가지 녹화방법이나 차후에 설명할 USB 포트를 통하여 다운로드 받은 동영상 파일을 다음에 설명할 재생기능을 통하여 재생하여 자신의 스윙의 모습과 비교해 가며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재생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일반 재생 명령 단계(S50)를 통하여 저장되어 있거나 PC나 인터넷을 통하여 다운받은 스윙 동영상을 재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즉 대기 상태(S51)에서, 사용자가 일반 재생 명령을 입력하고(S52), 입/출력 콘트롤러는 명령 입력 수단의 종류를 판단하고(S52a, S52b, S52c), 이후, 2화면 분할 기능이 작동중인가와 2화면 분할 기능을 사용할 것인가를 확인한 다음(S53a, S53b), 일반 재생에 사용할 파일을 로드하기 위한 파일선택 화면이 화면에 표시된다(S54, S54a, S54b). 사용자는 교정 장치의 지시에 따라 화면에 로드된 파일을 센서 입력부나 터치패드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재생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교정 장치에 일반 재생 명령을 입력하면 교정 장치는 2초간의 대기시간과 사용자가 교정 장치에서 재생되는 스윙 동영상을 따라할 수 있는 타이밍을 알려주기 위한 신호를 음성과 영상 그래프로 출력을 해준다(S55∼S57). 로드된 동영상의 재생이 완료되면 교정 장치는 대기상태로 돌아간다(S58).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따라하기 재생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따라하기 재생(S60)을 통하여 저장되어 있거나 PC나 인터넷을 통하여 다운 받은 스윙 동영상을 재생하여 시청하며, 스윙을 따라할 수가 있다. 따라하기 재생 명령은 대기상태(S61)에서, 메뉴버튼을 사용자가 클릭(S62a)하고, 이후 따라하기 재생 명령을 선택한다(S62b). 다음, 2화면 분할 기능의 유무와 일반재생기능 사용 유무의 판단(S63, S63a, S63b, S63c)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파일선택 화면을 표시하고(S64), 사용자가 파일을 선택을 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왼쪽에는 따라할 스윙 동영상 파일이 화면에 표시된다(S64a, S64b). 이후, 사용자가 따라하기 재생 명령을 입력할 경우, 본 교정 장치는 2초간의 대기시간과 사용자가 교정 장치에서 재생되는 스윙 동영상을 따라할 수 있는 타이밍을 알려주기 위한 신호를 음성과 영상 그래프로 출력을 해준다(S65∼S68). 로드된 동영상의 재생이 완료되면 교정기는 대기상태로 돌아간다(S69)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측면 동시재생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정면/측면 동시재생 단계(S70)에서는 내장형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가 분할된 2 부분의 화면 중 왼쪽에 표시되며, 옵션으로 연결된 외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는 화면의 오른쪽 부분에 표시된다.
즉, 사용자는 정면/측면 재생기능 중 녹화기능의 정면/측면 동시녹화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된 정면과 측면 파일을 동시에 재생시킬 수 있다. 본 기능을 정면/측면 동시 녹화 기능을 통하여 녹화/저장될 때 정면과 측면의 동영상 파일은 서로 링크 되어 저장이 된다. 예를 들면 정면 동영상 파일이름은 'F0001.sqg'파일로 저장되고, 측면 동영상 파일이름은 'S0001.swg'파일이 되며, 이때 F와 S와 약자는 정면(Front)과 측면(Side)의 약자이다.
사용자는 대기상태에서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메뉴 버튼을 클릭하여 나타나는 메뉴중 정면/측면 동시재생 기능을 선택한다(S71a, S71b, S72). 이때 화면에는 2화면 분할 기능의 작동 유무확인을 거쳐서, 하면 정면과 측면에서 재생될 파일을 선택하는 파일선택 메뉴가 나타나게 되고, 저장되어 있는 여러 파일중에원하는 스윙 동영상 파일을 선택하게 된다(S73, S73a, S73b, S73c, S74). 선택이 완료되면 화면의 왼쪽과 오른쪽에는 정면과 측면의 스윙 동영상이 표시된다(S74a, S74b, S75, S75b, S75c). 사용자가 센서 입력부와 터치패드의 버튼을 누를 경우,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사용자가 스윙의 재생시 스윙을 따라 할 수 있게 준비하기 위하여 2초간의 대기시간 후 타이밍 신호인 음성과 영상 그래프의 출력에 맞추어 스윙을 하게 된다(S75a, S76 ∼ S78a). 재생이 완료되면 교정기는 대기상태로 돌아간다(S78b).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로우 모션 재생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슬로우 모션 단계(S80)에서는 사용자가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메뉴 버튼을 선택하여 나타나는 메뉴중 슬로우 재생 명령을 선택할 수 있다(S81 ∼ S81e). 파일의 로딩부분은 일반 재생의 파일선택 과정과 동일하나(S82 ∼ S84c), 사용자가 로드된 파일을 센서 입력부나 터치패드의 버튼을 누름으로써(S85), 재생시 1/4의 속도로 재생이 되기 때문에 스윙의 전체적인 화면을 좀 더 느리게 볼 수 있어 골프스윙 교정에 유리하다(S86 ∼ S89).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별 재생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프레임별 재생 단계(S90)에서는 사용자가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메뉴 버튼을 선택하여 나타나는 메뉴 중 프레임별 재생 명령을 선택할 수 있다(S91, S92a, S92b). 파일의 로딩 부분은 일반 재생의 파일선택 과정과 동일하나(S93 ∼ S95b), 사용자가 로드된 파일을 'P'버튼이나 'R'버튼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전진 및 후진 시킬 수 있다(S96 ∼ S96c). 즉, 파일이 로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을누르면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화면에 로드된 스윙 동영상을 한 프레임씩 끊어서 화면에 표시한다(S97). 이때 슬로우 재생기능과 다른 점은 슬로우 재생 명령은 파일이 로드된 후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일반 재생의 1/4의 재생 속도로 동영상의 전 프레임이 재생된 후 대기상태로 돌아가지만 프레임별 재생기능은 'P'버튼을 한번 누르면 한 프레임씩 넘어가고 'P'버튼을 계속 클릭하고 있으면 프레임은 일반 재생의 1/4의 속도로 한 프레임씩 넘어간다. 'R'버튼을 누르게 되면 한 프레임씩 뒤로 넘어가며 'R'버튼을 계속 클릭하고 있으면 일반 재생의 1/4의 속도로 뒤로 재생된다. 재생이 완료되면 교정기는 대기상태로 전환된다(S98).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체중 분석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본 기능은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RF 송/수신 장치를 이용한 운동 모션의 동작하중 분포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스윙시의 체중 이동 분석 기능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중 분석 단계(S100)에서는 사용자가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메뉴 버튼을 클릭하여 체중 이동 명령을 선택하면(S101 ∼ S103),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교체형 체중 감지 밑창에서 송신되는 무선 데이터를 검사한다(S104). 만약 교체형 체중 감지 밑창이 동작을 하지 않고 있는 경우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체중 감지 밑창이 동작하기 위한 시작신호를 발신한다(S105, S106). 시작 신호는 교체형 체중 감지 밑창에 내장되어 있는 제 2 RF모듈에 의해 검출되고 이에 따라 체중 감지 센서가 구동이 된다(S107, S108). 센서가 구동이 되면, 교체형 체중 감지 밑창은 사용자의 체중을 검출하여 무선으로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로 사용자의 체중의 변화 상태를 송출하며,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화면에 표시한다(S109 ∼ S114).
파일 관리는 파일의 삭제, 저장, 보관 기능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도 17은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를 이용하여 저장한 파일 및 USB 연결 기능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받은 스윙 동영상 파일을 삭제하기 위한 과정(S200 ∼ S210)을 파일 관리의 예시적인 한 형태로 설명하고 있다.
사용자가 메뉴 버튼을 클릭하여 파일 관리를 선택하면 파일 관리 화면이 나타나며, 메뉴 옆 부분에 위치한 채널 조절 버튼을 사용하여 파일을 선택한다. 선택된 파일은 엔터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명령이 시행되고 선택된 파일은 삭제가 된다.
사용자는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를 사용하면서 사용자가 사용자의 모습을 녹화한 스윙 동영상 파일을 정면과 측면을 각각 20개(총 40개)까지 저장할 수 있다. 물론 20개가 초과된다면 스윙 동영상 파일은 먼저 저장되었던 순서대로 자동으로 삭제가 된다. 이러한 선입/선출(First In/First Out) 기능, 즉 FIFO기능을 통하여 다운로드 받은 스윙 동영상은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에 정면과 측면 각각 20개(총 40개)까지 저장이 가능하며 다운로드 받은 파일과 사용자가 녹화한 스윙 파일의 크기는 초당 30 프레임씩 녹화시간 2.5초, 즉 75 프레임의 동영상이다. 따라서 전체 동영상 파일의 저장용량은 프레임 수 총 45000프레임(60*75)이며, 녹화 시간은 2분 30초 분량이다.
보관 기능 또한 마찬가지로 메뉴 버튼을 클릭하여 파일관리를 선택하면 파일 관리 화면이 나타나며 사용자는 메뉴의 옆 부분에 위치한 채널 조절 버튼을 눌러선택된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이 저장 기능은 FIFO기능에 의해 자동적으로 삭제되는 것을 막고 저장 기능을 통해서 저장된 파일은 사용자가 삭제 명령으로 삭제하기 전까진 자동적으로 삭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를 이용하여 저장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교정기에 저장한 파일들이 저장되는 메모리 공간에 이동 명령을 통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명령은 교정기 자체의 FIFO기능을 통하여 각각 20개로 기본 설정된 파일 저장 공간이 저장된 동영상 파일에 의하여 모두 채워지게 되면 자동적으로 삭제가 되지만 파일관리의 이동명령을 사용하면 선택된 파일은 다운로드한 동영상을 저장해두는 메모리 공간으로 이동이 되면서 사용자가 해당 파일을 삭제 명령을 통하여 삭제하기 전까지 저장이 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USB 드라이버 설치를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USB 드라이버를 설치하여 본 장치를 다시 구동시키지 않고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골프스윙 교정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USB 포트를 이용하여 컴퓨터와 바로 연결할 수 있다(S301 ∼ S306). 사용자는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한 자신의 스윙 파일을 전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컴퓨터로 백업할 수 있으며, 추후 개설될 출원인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자신의 스윙 동영상파일을 게시하거나 다른 사람이 홈페이지에 게시해 놓은 스윙 동영상 파일을 다운 받아 비교하거나 따라 하며 상대방의 장점을 익힐 수 있다.
도 19a와 도 19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연결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와 컴퓨터를 USB 케이블로 연결하고 메뉴 명령에서 USB 포트 연결 명령을 실행시킨다. 또한, 컴퓨터에서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 상호간에 동영상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S401). 위와 같은 일련의 작업을 실행시키면 사용자는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와 컴퓨터 및 인터넷을 상호 연결할 수 있는 물리적인 설정이 완료된다. 사용자는 프로그램의 교정기로 다운로드 명령을 사용하여 인터넷에서 다른 사람의 스윙 동영상이나, 유명 프로들의 스윙 동영상을 사용자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에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다(S403).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된 스윙 동영상은 사용자가 해당 동영상 파일을 삭제하기 전까지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에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를 통하여 녹화한 자신의 스윙 동영상을 교정기에서 업 로드 기능을 통하여 컴퓨터와 인터넷 홈페이지로 백업해 놓을 수 있다(S404, S405, S420 ∼ S460).
또한,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컴퓨터 연결용 프로그램은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넷 자동 접속 단계(S411 ∼ S416)를 통해서, 사용자가 직접 인터넷 전용선이나 모뎀을 설정하지 않아도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전용선이나 모뎀을 설정하여, 인터넷으로 접속하게 편의성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작업이 없이도 홈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TV 시청 기능도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TV모듈을 통하여 TV 시청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기능을 사용하고 있는 도중 TV를 시청하기 위해서는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버튼 중 골프/TV버튼을 누르게 되면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상의 화면은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의 대기화면으로 전환이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부 중앙에 설치된 카메라가 위쪽으로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카메라의 착탈식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와 받침대가 슬라이딩 지지대로 힌지결합되어 있고, 이 슬라이딩 지지대가 본체의 슬라이딩 홈에서 미끄럼 동작되도록 결합되어서 가방 형상으로 접어서 휴대하도록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받침대와 본체 사이에 'Z'자 모양의 링크형식을 취하는 지지대를 결합시켜서, 접었을 때 본체와 받침대가 서로 면접하여 가방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용도 집적회로(ASIC)의 채용으로 반응도가 빠르고, 원터치 녹화 및 재생을 통해 조작이 간편하며, 다양한 녹화 및 재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카메라 일체형으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즉석에서 보면서 교정을 할 수 있으며, 신발에 내장된 체중이동 판독기를 구비하여 체중이동 분포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접을 수 있게 구성되어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외선 센서들과 터치패드를 이용 스윙모션 촬영 후 재생 단계를 직접적으로 액세스 할 수 있고, 보정된 2화면 분할기능으로 정면 및 측면 동시 녹화와 따라하기 녹화와 따라하기 재생과 슬로우 모션 재생과 프레임별 재생과 체중 분석과 인터넷 연결 등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5)

  1. 중앙처리장치(CPU; 150),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접속된 주기억장치(RAM; 151),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접속되고 제어 알고리즘이 저장된 ASIC 칩(152), 상기 ASIC 칩에 접속된 기억장치(ROM; 153), 상기 ASIC 칩에 접속된 코덱(CODEC; 154), 상기 코덱에 접속된 A/D 컨버터(155), 상기 A/D 컨버터에 접속된 카메라(160),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접속된 버퍼메모리(137), 상기 버퍼메모리에 접속된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26), 상기 버퍼메모리에 접속된 I/O 콘트롤러(193), 및 전원공급부(170)를 포함하는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에 있어서,
    한쪽 측면에 부착된 접이식 손잡이(102)와 상기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160)를 수용하는 안착홈(104)과 상기 손잡이(102)가 접혀져 수용되는 주면상의 오목한 공간(103)과 상기 주면상에 형성된 수납공간(101) 및 일 측변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힌지부(105)를 구비한 받침대(108)와,
    상기 힌지부(105)와 힌지결합된 하단부(111)를 갖는 평판 형상의 프레임(112)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113)를 구비한 지지대(110), 및
    상기 슬라이더(113)가 배면의 슬라이딩 홈(122)에서 상하로 미끄럼동작하도록 상기 지지대(110)와 결합된 본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는 정면에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일체형으로 배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상단에 접이식으로 상기 카메라(160)를 설치하며, 다수의 선택버튼들을 구비한 작동제어부(190)을 제공하여, 상기 지지대(110)에 의해서 받침대(108)와 함께 면접하게 접혀서 가방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제어부(190)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정면 하단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I/O 콘트롤러(193)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녹화 및 되감기 명령과 재생 명령을 각각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적외선 센서(131, 132)와, 작동 상태 확인에 필요한 스피커(133) 및 전원표시등(134)과, 작동의 시작 및 종료에 필요한 전원스위치(141)와, 기능 선택에 필요한 모드변경스위치(142), 재생버튼(143), 녹화버튼(144), 메뉴버튼(145), 확인버튼(146), 채널 업/다운버튼(147) 및 볼륨 업/다운버튼(1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장치는 연결 와이어를 통해 상기 I/O 콘트롤러(193)에 접속되는 터치패드(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패드(170)는 고무 또는 탄성 부재로 형성된 녹화버튼(171)과 재생버튼(172)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100)의 상기 수납공간(101)에 수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장치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접속된 제 1 RF모듈(156)과, 사용자의 하중 데이터를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240, 241), 휴대전원(230), RF모듈들 간의 무선 송수신을 제어하는 RF콘트롤러(220) 및 상기 제 1 RF모듈(156)과 접속되는 제 2 RF모듈(210)을 구비한 동작하중 분포 측정 장치(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하중 분포 측정 시스템(200)은 상기 제 2 RF모듈(210) 및 상기 제 1 RF모듈(156)을 통해 사용자의 골프스윙 모션에 대한 하중 데이터를 상기 교정 장치에 전송하고, 사용자의 신발의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장치는 상기 A/D 컨버터(155)에 접속되는 별도의 외부 카메라(16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160)와 상기 외부 카메라(161)를 통해 정면 및 측면 동시녹화 또는 동시재생의 화면 2분할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골프스윙교정 장치.
KR1020010045156A 2001-07-26 2001-07-26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 KR20010114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156A KR20010114183A (ko) 2001-07-26 2001-07-26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156A KR20010114183A (ko) 2001-07-26 2001-07-26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4183A true KR20010114183A (ko) 2001-12-29

Family

ID=1971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156A KR20010114183A (ko) 2001-07-26 2001-07-26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4183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140A (ko) * 2001-12-12 2003-06-25 손호장 이동식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
KR100457795B1 (ko) * 2002-04-17 2004-12-03 주식회사 마인드스윙 재생속도 조절이 간편한 모니터링장치
KR100481203B1 (ko) * 2002-07-12 2005-04-07 주식회사 조이앤텍 동영상 골프 연습기
KR100520059B1 (ko) * 2002-05-20 2005-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100856770B1 (ko) * 2006-07-31 2008-09-0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KR101147307B1 (ko) * 2009-06-24 2012-05-18 주식회사 오성미디컴 스크린 골프 자동화용 보조 입력장치
KR200469207Y1 (ko) * 2011-09-20 2013-09-27 황 퍼엉둔 백으로 사용 가능한 태블릿 컴퓨터용 지지판
KR20150141099A (ko) * 2014-06-09 2015-12-17 임진강 휴대가 가능한 경계 감시용 cctv 장치
KR102122074B1 (ko) * 2019-02-15 2020-06-11 (주)알디텍 선박용 스크린 골프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7079A (en) * 1982-08-16 1984-10-16 White Arthur A Golf swing training and practice device
US4630829A (en) * 1985-03-29 1986-12-23 White Arthur A Compact golf swing training and practice device
US5297796A (en) * 1992-04-03 1994-03-29 Peterson Jon R Golf swing monitoring system
KR0126443B1 (ko) * 1994-03-04 1997-12-24 양승택 골프 티샷 스윙 모션분석 시스템
JPH10210416A (ja) * 1996-11-21 1998-08-07 Taimu World:Kk スポーツ動作撮影・再生装置
JPH10286337A (ja) * 1997-04-11 1998-10-27 Akikimi Sasaki ゴルフ場携帯機
KR20000004852A (ko) * 1998-06-16 2000-01-25 김철규 골프스윙 보조장치
KR20000017765A (ko) * 1999-11-24 2000-04-06 손호장 운동 모션의 동작하중 분포 측정시스템 및 그의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7079A (en) * 1982-08-16 1984-10-16 White Arthur A Golf swing training and practice device
US4630829A (en) * 1985-03-29 1986-12-23 White Arthur A Compact golf swing training and practice device
US5297796A (en) * 1992-04-03 1994-03-29 Peterson Jon R Golf swing monitoring system
KR0126443B1 (ko) * 1994-03-04 1997-12-24 양승택 골프 티샷 스윙 모션분석 시스템
JPH10210416A (ja) * 1996-11-21 1998-08-07 Taimu World:Kk スポーツ動作撮影・再生装置
JPH10286337A (ja) * 1997-04-11 1998-10-27 Akikimi Sasaki ゴルフ場携帯機
KR20000004852A (ko) * 1998-06-16 2000-01-25 김철규 골프스윙 보조장치
KR20000017765A (ko) * 1999-11-24 2000-04-06 손호장 운동 모션의 동작하중 분포 측정시스템 및 그의 표시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140A (ko) * 2001-12-12 2003-06-25 손호장 이동식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
KR100457795B1 (ko) * 2002-04-17 2004-12-03 주식회사 마인드스윙 재생속도 조절이 간편한 모니터링장치
KR100520059B1 (ko) * 2002-05-20 2005-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100481203B1 (ko) * 2002-07-12 2005-04-07 주식회사 조이앤텍 동영상 골프 연습기
KR100856770B1 (ko) * 2006-07-31 2008-09-0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KR101147307B1 (ko) * 2009-06-24 2012-05-18 주식회사 오성미디컴 스크린 골프 자동화용 보조 입력장치
KR200469207Y1 (ko) * 2011-09-20 2013-09-27 황 퍼엉둔 백으로 사용 가능한 태블릿 컴퓨터용 지지판
KR20150141099A (ko) * 2014-06-09 2015-12-17 임진강 휴대가 가능한 경계 감시용 cctv 장치
KR102122074B1 (ko) * 2019-02-15 2020-06-11 (주)알디텍 선박용 스크린 골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3719A (ko) 이동식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
CN1672163B (zh) 使用因特网纠正高尔夫挥杆的系统和方法
US8020098B2 (en) Video analysis system of swing motion
KR100620873B1 (ko) 골프 스윙 동작 분석 시스템 및 방법
US8317659B2 (en) Aquatic training system and method
JP2010538764A (ja) ゴルフ用gps装置及びシステム
US20080015061A1 (en) Performance monitoring in a shooting sport using sensor synchronization
US8070629B2 (en) GPS device
KR20010114183A (ko) 휴대용 골프스윙 교정 장치
KR20020023720A (ko) 골프스윙 연습교정기의 체중이동 표시시스템
WO2003028364A1 (fr) Camera numerique
JP2009034360A (ja) 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および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用装置
KR102268954B1 (ko) 골프 공 타격을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스윙 모션 분석 장치
JP2010187379A (ja) 携帯型表示装置
CN112791365B (zh) 评价结果输出装置、评价结果输出方法以及记录介质
KR101982679B1 (ko) 골프클럽의 기울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관절 각도 추정 방법
JP2002346015A (ja) スイング診断装置
TW201900108A (zh) 運動記錄裝置及運動記錄系統
KR102385648B1 (ko) 스마트미러를 이용한 골프 레슨 시스템
JPH03295574A (ja) 動作診断装置
KR20050079893A (ko) 스포츠 자세 교습용 영상 시스템
KR100472631B1 (ko) 휴대형 골프경기 보조 단말장치
JP2021102075A (ja) 出力装置、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69662B2 (ja) 電子機器、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84576A (ko) 골프스윙의 자세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세분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