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3563A - 실험실용 분말 조제의 정량 토출 방법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실험실용 분말 조제의 정량 토출 방법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3563A
KR20010113563A KR1020010042629A KR20010042629A KR20010113563A KR 20010113563 A KR20010113563 A KR 20010113563A KR 1020010042629 A KR1020010042629 A KR 1020010042629A KR 20010042629 A KR20010042629 A KR 20010042629A KR 20010113563 A KR20010113563 A KR 20010113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screw
opening
main body
powder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국
Original Assignee
정연국
대림스타릿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국, 대림스타릿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연국
Priority to KR1020010042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3563A/ko
Publication of KR20010113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56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의 염색을 실험하는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분말 조제 정량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본체의 내측 상부 양측에 각각 호퍼를 설치하되 호퍼의 하단부에는 분쇄기를 설치하고, 각각의 그 하단에는 스탭모우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스크류를 설치하여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분말조제가 토출되도록 하되 스탭모우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토출되는 조제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펄스(PULSE)를 이용한 스탭모우터의 회전수를 이용함으로서 분말로 된 조제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토출시킬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정확한 량의 조제를 이용하여 색상을 테스트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으며, 작업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실험실용 분말 조제의 정량 토출 방법및 그 장치{The method and device of throwing up standard capacity for manufacturing experimentation pode}
본 발명은 직물의 염색을 실험하는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분말조제 정량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토출기에서 다른 2가지의 조제를 각각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스탭모우터에 스크류를 설치하고 펄스에 의하여 조절되는 모우터의 회전에 의하여 토출됨과 동시에 호퍼에 있던 조제가 습기나 압착되어 있던 힘에 의하여 덩어리가 질 경우 이 덩어리를 분쇄하여 토출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여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정확한 량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의 염색을 실험할 때 조제의 량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바, 이로 인하여 기존에는 조제를 실험용 컵에 덜어 그 량을 저울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측정한 다음 실험용 직물이 들어 있는 용기에 넣어 염색을 실험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방법은 사람이 일일이 조제가 들어 있는 용기에서 별도의 스푼을 이용하여 조제를 던 다음 그 량을 저울을 이용하여 측정을 하여 그 량을 조절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부주의 할 경우 조제를 흘리거나 솟게되어 조제를 버리게 됨으로서 낭비가 심한 단점이 있으며, 심할 경우 실험실에 종사하는 자가 조제에 의하여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모든 조제를 사람이 측정을 한 다음 그 량을 일일이 별도의 장부에 기재를 하거나 컴퓨터에 기록을 하여야 함으로서 작업이 불편하고 힘들며, 또한 조제를 측정할 때 그 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조제를 계속 덜거나 보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복잡하고 정확한 량을 조절하기가 어려워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체의 내측 상부 양측에 각각 호퍼를 설치하되 호퍼의 하단부에는 분쇄기를 설치하고, 각각의 그 하단에는 스탭모우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스크류를 설치하여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분말조제가 토출되도록 하되 스탭모우터의 회전수를 펄스에 의하여 조절되도록 함으로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토출되는 조제의 량을 정확하게 조절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발 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보인 블럭도
도 2 은 본 발명의 전체 개략 사시도
도 3 는 본 발명의 정 단면도
도 4 은 본 발명의 측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 구동부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 는 본 발명 구동부의 요부 확대 평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 분쇄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 분쇄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동부를 보인 개략 정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 실시예의 분쇄부 작동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정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2. 호퍼 3. 뚜껑
4. 감지센서 5. 분쇄기 6. 실린더
7. 스크류 8. 토출장치 9. 스탭모우터
10. 원동기어 11. 컨트롤박스 12. 전면커버
13. 개폐구 14. 인출구 15. 분쇄용 로울러
16. 22. 분쇄용 칼 17. 지지대 18. 21. 베어링하우징
19. 23. 회전축 20. 수평기어 24. 구동풀리
25. 원동풀리 26. 모우터 27. 벨트
28. 지지대
본체의 상부 양측에 설치된 호퍼의 뚜껑을 개폐하고 조제를 주입하는 단계:
컨트롤박스를 이용하여 펄스를 조절하여 모우터의 회전 량을 조정하는 단계(계량값설정):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개폐구를 열고 토출구의 입구에 용기를 놓는 단계:
기기를 작동시켜 스탭모우터에 의하여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단계:
분쇄기에 의하여 덩어리진 조제가 분쇄된 다음 그 하단의 스크류 내부로 유입되는 단계: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조제가 토출되어 토출구의 하단에 있는 용기로 투입되는 단계:
개폐구를 열고 분말조제가 들어 있는 용기를 인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체(1)의 내측 상부 양측에 각각 호퍼(2)를 설치하되 각 호퍼(2)의 입구가 본체(1)의 상측 외부로 돌출 되게 함으로서 뚜껑(3)을 체결하여 열고 닫을 수 있게 하며, 각 호퍼(2)의 내측 하단 중간부에는 분말조제의 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를 설치하고, 각 호퍼(2)의 하단부에는 분쇄기(5)를 설치하여 덩어리진 조제를 분쇄할 수 있게 하며, 그 하단에는 각각 실린더(6)를 설치하되 실린더(6)의 상부에 투입구를 형성하여 분쇄기(5)의 하단부가 위치하게 하고, 실린더(6)의 내부에는 스크류(7)가 설치된 토출장치(8)를 설치하되 그 일측에 스탭모우터(9)와 원동기어(10)를 설치하여 스크류(7)가 회전되게 하고, 본체(1)의 전면에는 컨트롤박스(11)가 설치된 전면커버(12)를 설치하되 전면커버(12)의 중앙부 하단에는 개폐구(13)가 설치된 인출구(14)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분쇄기(5)는 호퍼(2)의 하단에 분쇄용 로울러(15)를 설치하되 로울러(15)의 중앙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분쇄용 칼(16)을 설치하고, 로울러(15)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17)에 베어링하우징(18)을 고정하되 베어링하우징(18)에 회전축(19)을 설치하여 분쇄용 로울러(15)와 체결하여 회전되게 하며, 회전축(19)의 일측에는 수평기어(20)를 설치하여 스크류(7)에 설치된 원동기어(10)와 연동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토출장치(8)는 지지대(17)에 베어링하우징(21)을 체결한 다음 그 중앙부에 스크류(7)를 체결하여 그 일측의 스탭모우터(9)에 의하여 회전되는 커플링과 체결되어 회전되게 하고 스크류(7)의 일측에는 원동기어(10)를 설치하여 분쇄기(5)의 수평기어(20)와 연동되게 하며, 베어링하우징(21)의 타측에는 실린더(6)를 체결하되 실린더(6)의 상측에 투입구를 형성하여 호퍼(2)의 하단부와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분쇄기에 대한 실시예로
본체(1)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각 호퍼(2)의 내부 하단에 분쇄용 칼(22)이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23)을 베어링을 체결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되 호퍼(2)의 외측에 돌출된 각 회전축(23)에 구동풀리(24)를 설치하고, 그 상측에는 원동풀리(25)가 설치된 모우터(26)를 설치하여 벨트(27)로 구동풀리와 연동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의 회전축(23)에 설치된 분쇄용 칼(22)은 강판을 1피치의 나선형으로 형성하되 분쇄용 칼(22)과 회전축(23)사이에 수개의 지지대(28)를 용접하여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각 호퍼(2)의 뚜껑(3)을 개폐한 다음 분말조제를 투입한 다음 기기를 작동시켜 분말조제가 실린더(6)와 스크류(7)를 통하여 외부로 흘러나오도록 한다.
즉 분말조제가 호퍼(2)의 내부로 유입되어 분쇄기(5)를 통과하여 실린더(6)의 내부로 유입되어도 처음에는 실린더(6)와 스크류(7)의 끝부분까지 분말이 흘러가지 않기 때문에 공간부가 형성하게 됨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기를 작동시켜 스크류(7)에 의하여 분말이 스크류(7)의 끝부분까지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컨트롤박스(11)를 조작하여 계량할 량을 설정한 다음 전면커버(12)의 중앙부 하단에 설치된 개폐구(13)를 개폐한 다음 분말조제를 담을 용기를 투입한다. 이때 조제의 량은 스탭모우터(9)의 회전수를 펄스로 계산하여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기기를 작동시키면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탭모우터(9)가 작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스탭모우터(9)는 그 일측에 체결된 커플링을 통하여 스크류(7)를 회전시키게 되며, 스크류(7)는 회전되면서 분말조제를 인출시키게 되고 인출된 분말조제는 인출구(14)의 하단부에 있는 용기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스크류(7)가 스탭모우터(9)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면 스크류(7)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원동기어(10)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원동기어(10)와 체결되어 있는 수평기어(20)가 회전하게 되므로 분쇄기(5)가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수평기어(2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축(19)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19)에 체결되어 있는 분쇄용 로울러(15)가 같이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분쇄용 로울러(15)에 설치되어 있는 절단칼(16)이 회전하게 됨으로서, 습기로 인하여 덩어리진 분말조제가 하단으로 이동하여 절단칼(16)에 접하게 됨으로서 분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각 호퍼(2)의 내부에 분말조제가 없거나 일정량 이하로 내려갈 경우 호퍼(2)의 내측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센서(4)가 이를 감지하게 되며, 컨트롤박스(11)는 이 신호를 불빛이나 음향신호로 알릴 수가 있다.
한편 도 8과 도9 및 도10과 도 11은 본 발명 분쇄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0에서와 같이 모우터(26)가 작동되면 호퍼(2)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23)이 원동풀리(25)와 구동풀리(24)에 연결된 벨트(27)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회전축(23)에 설치되어 있는 분쇄용 칼(22)이 회전하게 됨으로서 덩어리진 조제를 분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회전축(23)은 양측의 호퍼(2)에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모우터(26)의 원동풀리(25)에 연결된 벨트(27)가 도 9에어와 같이 삼각형 모양으로 체결하여 회전시키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본체의 내측 상부 양측에 각각 호퍼를 설치하되 호퍼의 하단부에는 분쇄기를 설치하고, 각각의 그 하단에는 스탭모우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스크류를 설치하여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분말조제가 토출되도록 하되 스탭모우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토출되는 조제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펄스를 이용한 스탭모우터의 회전수를 이용함으로서 분말로 된 조제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토출시킬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정확한 량의 조제를 이용하여 색상을 테스트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으며, 작업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있다.

Claims (7)

  1. 본체의 상부 양측에 설치된 호퍼의 투껑을 개폐하고 조제를 주입하는 단계:
    컨트롤박스를 이용하여 펄스를 조절하여 모우터의 회전 량을 조정하는 단계: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개폐구를 열고 토출구의 입구에 용기를 놓는 단계
    기기를 작동시켜 스탭모우터에 의하여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단계:
    분쇄기에 의하여 덩어리진 조제가 분쇄된 다음 그 하단의 스크류 내부로 유입되는 단계: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조제가 토출되어 토출구의 하단에 있는 용기로 투입되는 단계:
    개폐구를 열고 분말조제가 들어 있는 용기를 인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분말 조제의 정량 토출 방법.
  2. 본체(1)의 내측 상부 양측에 각각 호퍼(2)를 설치하되 각 호퍼(2)의 입구가 본체(1)의 상측 외부로 돌출 되게 함으로서, 뚜껑(3)을 체결하여 열고 닫을 수 있게 하며, 각 호퍼(2)의 내측 하단 중간부에는 분말조제의 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를 설치하고, 각 호퍼(2)의 하단부에는 분쇄기(5)를 설치하여 덩어리진 조제를 분쇄할 수 있게 하며, 그 하단에는 각각 실린더(6)를 설치하되 실린더(6)의 상부에 투입구를 형성하여 분쇄기(5)의 하단부가 위치하게 하고, 실린더(6)의 내부에는 스크류(7)가 설치된 토출장치(8)를 설치하되 그 일측에 스탭모우터(9)와 원동기어(10)를 설치하여 스크류(7)가 회전되게 하고, 본체(1)의 전면에는 컨트롤박스(11)가 설치된 전면커버(12)를 설치하되 전면커버(12)의 중앙부 하단에는 개폐구(13)가 설치된 인출구(14)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분말 조제의 정량 토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분쇄기(5)는 호퍼(2)의 하단에 분쇄용 로울러(15)를 설치하되 로울러(15)의 중앙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분쇄용 칼(16)을 설치하고, 로울러(15)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17)에 베어링하우징(18)을 고정하되 베어링하우징(18)에 회전축(19)을 설치하여 분쇄용 로울러(15)와 체결하여 회전되게 하며, 회전축(19)의 일측에는 수평기어(20)를 설치하여 스크류(7)에 설치된 원동기어(10)와 연동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분말 조제의 정량 토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토출장치(8)는 지지대(17)에 베어링하우징(21)을 체결한 다음 그 중앙부에 스크류(7)를 체결하여 그 일측의 스탭모우터(9)에 의하여 회전되는 커플링과 체결되어 회전되게 하고 스크류(7)의 일측에는 원동기어(10)를 설치하여 분쇄기(5)의 수평기어(20)와 연동되게 하며, 베어링하우징(21)의 타측에는 실린더(6)를 체결하되 실린더(6)의 상측에 투입구를 형성하여 호퍼(2)의 하단부와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분말 조제의 정량 토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의 본체(1)에 2대의 분말조제 인출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분말 조제의 정량 토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본체(1)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각 호퍼(2)의 내부 하단에 분쇄용 칼(22)이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23)을 베어링을 체결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되 호퍼(2)의 외측에 돌출된 각 회전축(23)에 구동풀리(24)를 설치하고, 그 상측에는 원동풀리(25)가 설치된 모우터(26)를 설치하여 벨트(27)로 구동풀리와 연동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분말 조제의 정량 토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회전축(23)에 설치된 분쇄용 칼(22)은 강판을 1피치의 나선형으로 형성하되 분쇄용 칼(22)과 회전축(23)사이에 수개의 지지대(28)를 용접하여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분말 조제의 정량 토출장치.
KR1020010042629A 2001-07-14 2001-07-14 실험실용 분말 조제의 정량 토출 방법및 그 장치 KR20010113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629A KR20010113563A (ko) 2001-07-14 2001-07-14 실험실용 분말 조제의 정량 토출 방법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629A KR20010113563A (ko) 2001-07-14 2001-07-14 실험실용 분말 조제의 정량 토출 방법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563A true KR20010113563A (ko) 2001-12-28

Family

ID=1971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629A KR20010113563A (ko) 2001-07-14 2001-07-14 실험실용 분말 조제의 정량 토출 방법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356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20B1 (ko) * 2007-01-12 2008-05-02 이원근 천연염색봉지를 이용한 천연염색 교육방법
KR100893459B1 (ko) * 2002-09-12 2009-04-17 주식회사 포스코 조연제 투입장치
KR100898973B1 (ko) * 2008-11-14 2009-05-25 양형학 염색기 및 염색기용 조제 저장공급 이송장치
CN108405132A (zh) * 2018-05-29 2018-08-17 东莞市欣瑞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多轴粉碎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459B1 (ko) * 2002-09-12 2009-04-17 주식회사 포스코 조연제 투입장치
KR100827020B1 (ko) * 2007-01-12 2008-05-02 이원근 천연염색봉지를 이용한 천연염색 교육방법
KR100898973B1 (ko) * 2008-11-14 2009-05-25 양형학 염색기 및 염색기용 조제 저장공급 이송장치
CN108405132A (zh) * 2018-05-29 2018-08-17 东莞市欣瑞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多轴粉碎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651B1 (ko) 분말약 정량 분배장치
CA2377848A1 (en) Kneading machine with dosing device
KR20010113563A (ko) 실험실용 분말 조제의 정량 토출 방법및 그 장치
KR101283910B1 (ko) 분쇄 겸용 교반장치
CN214439815U (zh) 一种西药成分辅助分析仪
US6405952B1 (en) Superfine milling apparatus with pivotal milling chamber
CN106516197B (zh) 一种混合花茶加工包装机
JP2004255348A (ja) 粉体の混合方法および混合装置
CN215694570U (zh) 一种六君子丸生产用中药材粉碎装置
KR101389563B1 (ko) 분말입자의 미세계량장치
KR200159558Y1 (ko) 미곡의 중량계량과 수분측정용 호퍼 스케일
CN209988232U (zh) 一种芡实粉专用包装装置
CN205919999U (zh) 一种药品检测用全自动粉碎搅拌一体机
JPH0562040B2 (ko)
CN209222115U (zh) 一种用于研磨染料块的反应釜
CN213493930U (zh) 一种药品原料粉碎装置
KR100773493B1 (ko) 원심분쇄밀
CN221085766U (zh) 一种烟花生产用原料预处理装置
JP2004057915A (ja) ホッパ一体型碾臼
CN217527635U (zh) 一种中医妇科临床用配药研磨装置
CN219842229U (zh) 一种快速前处理设备
CN209043682U (zh) 一种糖尿病食品含糖量检测前处理设备
CN219150291U (zh) 一种匀浆装置
KR200431434Y1 (ko) 정량공급기가 구비된 고추분쇄기
CN216879107U (zh) 一种环保检测用土壤与药剂混合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