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3046A - 홍색광합성세균 및 건강식품 - Google Patents

홍색광합성세균 및 건강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3046A
KR20010113046A KR1020017013118A KR20017013118A KR20010113046A KR 20010113046 A KR20010113046 A KR 20010113046A KR 1020017013118 A KR1020017013118 A KR 1020017013118A KR 20017013118 A KR20017013118 A KR 20017013118A KR 20010113046 A KR20010113046 A KR 20010113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food
weight
content
photosynthetic bacteria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4022B1 (ko
Inventor
노부히로토다
사치오요시모토
유키조쿠도
Original Assignee
바이오켐 인더스트리얼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켐 인더스트리얼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바이오켐 인더스트리얼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10113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0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23L33/155Vitamins A or 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39/00Processes involving microorganisms of different genera in the same proces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로드슈드모나스속 캡슈라타스종 FERMBP-7434균주등의 홍색광합성세균과, 락토바실루스속 등의 유산균을 함유하는 복합균체를 배양하여, 얻어진 대사산물을 함유한다. 상기 건강식품은, 부담이 적은 소량의 섭취에 의해, 복용한 사람의 건강 상태를 유지하거나 수복하거나 할수있다.

Description

홍색광합성세균 및 건강식품{RED PHOTOSYNTHETIC BACTERIUM AND HEALTHY FOOD}
종래, 일본 특허공개 소화47-25379호 공보에는, 홍색광합성세균은, 오수의 정화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홍색광합성세균이란, 홍색무유황세균(아시올로다셰, Athiorhodaceae)나 홍색유황세균(시올로다셰, Thiorhodaceae)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에는, 상기 홍색광합성세균을 섭취하면, 건강유지나 건강수복에 대하여 유효한 것에 관하여 아무런 개시도 시사도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건강유지나 건강수복에 유효한 홍색광합성세균의 균주 및 광합성세균을 사용한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강유지나 건강수복(修復)등에 유용한 홍색(紅色)광합성세균 및 그것을 사용한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강식품(TFK-RC)의 검체(檢體)1.에 있어서, 카로티노이드류의 정량(定量;양을 정하는일)에 사용하는 에테르용액의 흡수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TFK-RC)은, 광합성세균과, 바람직하게는 유산균을 함유하는 균체용액을, 상기 광합성세균으로부터 점성물질을 다량으로 생성하 도록 배양하여, 그 배양액으로부터 얻어진 광합성세균의 대사산물을 가지는 것이다. 결국, 상기 건강식품은, 상기한 배양액을, 예를들면 원심 분리에 의해서 여과하여, 여과액을 제외한, 광합성세균의 대사산물을 가지는 각 균체를 함유하는 잔류물 인 농축균체를 건조, 예컨데 동결건조하여 얻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건강식품(TFK-RC)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독성이 없고, 상시, 복용하더라도 아무런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 위에, 건강식품(TFK-RC)은, 1일당 30mg∼360mg, 보다 바람직하게는 60mg∼240mg을 1회 내지 4회, 보다 바람직 하게는 4회에 나눠 (아침, 점심, 저녁, 취침전), 비건강자가 상시, 예컨데 1주간부터 6개월간복용함에 의해, 상기 비건강자의 건강 상태의 개선이 관찰되었다. 상기 비건강자로서는, 말기암 환자, 림프종 환자, 중증의 당뇨병환자, 중증의 우울증환자, 중증의 심장병환자, 중증의 피부병환자(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한다), 임포텐츠, 간질, 고혈압증(저혈압을 포함), 만성변비, 만성설사, 불면증, 생리통, 급성폐렴, 자율신경실조증, 뇌경색, 및 대장폴립등을 들수있다. 상기 복용은 비건강자와 담당의사의 승낙을 얻은 뒤에 행해졌다.
이로부터, 건강식품(TFK-RC)은, 그 작용메카니즘에 관해서는 불명이지만, 환자의 자기면역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상정(想定)되어, 복용한 환자에 있어서, 건강 상태의 수복에 유효성을 가지는 것인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또한, 건강식품(TFK-RC)은, 건강인이 섭취하더라도, 건강유지에 유효 한 것이 시사되었다.
광합성세균으로서는, 홍색광합성세균 인 홍색무유황세균-아시올로다셰(Athiorhodaceae)과(科)의 로드슈드모나스속(Rhodopseudomonus), 보다 바람직하게는 로드슈드모나스속 캡슈라타스종(Rbodopseudomonas capsulatas), 특히 바람직하게는, 미생물의 국제기탁당국에 대하여 기탁한, 로드슈드모나스속 캡슈라타스종 FERMBP-7434균주를 들수있다.
상기 국제기탁당국은, 경제산업성산업기술종합연구소생명공학공업기술연구소이고, 그 수신자가 일본국 이바라키현 쯔쿠바시 동1정목 1번지3호(우편번호305-8566)이다. 상기한 FERMBP-7434균주는, 1999년11월18일(원기탁일)에 상기 국제기탁당국에 국내기탁한 미공연세기제(微工硏菌寄第)P-17654호로부터, 2001년1월18일에 상기 원기탁에서 부다페스트조약에 근거하는 기탁으로의 이관청구에 의해서 국제기탁된 것이다. 기탁자의 성명은 바이오켐공업주식회사(대표이사사장 戶田 順博 )이다. 기탁자의 수신자는, 일본국 효고현 고베시 효고구 와타야마통 1정목2-25-D407이다.
유산균으로서는, 락토바실루스속과 스트렙토코카스속을 들 수 있다. 락토바실루스속으로서는, Lactobacillus bulgalicus,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들수있다. 스트렙토코카스속으로서는Streptococcus lactis, Streptococcus thermophilus를 들수있다.
이하에, 상기 균체용액의 배양조건을 나타낸다. 우선, 배양조건으로서, 주로 저급지방산(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의 적어도 한쪽)등의 유기물을 함유하는 배양액(pH6.0∼pH8.5) 및 균체를 투입한 투명배양조에, 빛(光)을 3000룩스∼10000룩스를 조사하면서, 온도를 23℃∼39℃에서, 혐기(嫌氣)적으로 배양하면, 늦어도 약72시간에서 배양은 정상기에 달하며, 그 배양액으로부터 농축균체를 채취할 수 있다. 상기 배양액에는, 비오틴(Biotin), 티아민(Thiamin), 니코틴산(niacin)이 성장인자로서 함유되어 있다.
이 배양조건에 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영양원혼합조에 있어서, (NH4)2SO4, KH2PO4, MgSO4·7H2O, NaCl, NaHCO3, 효모 엑기스(상기 성장인자를 함유)등의 배양기(培養基)의 혼합액으로 이루어지는 기초배지(培地)를 조제하며, 홍색무유황세균을 배양하는 경우에는, 이 기초배지에 더욱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젖산등의 저급지방산을 Na염으로서 가하고, 배양액(예컨데 pH7.0)으로 한다. 또한, 홍색유황세균을 배양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기초배지에, 더욱 Na2S·9H2O를가하여, KOH용액으로 조절하여 배양액(pH8.2∼pH8.5)으로 하면된다.
다음에, 이 배양액을 영양원혼합조로부터 밀폐조명식배양조에 옮겨서, 광합성세균으로서, 예컨데 홍색무유황세균-아시올로다셰(Athiorhod aceae)인 로드슈드모나스속 캡슈라타스종 FERMBP-7434균주를 밀폐조명식배양조에 이식한다.
이 경우에, 배양액 대신에 유기산을 발생시킨, 시뇨(屎尿), 또는 소주폐액을 직접밀폐조명식배양조에 넣어도 된다. 또, 이 종류의 광합성세균은, 상기 배양액을 형성하는 유기산등의 이외에, 여러가지의 종속영양세균과 공존하면, 전분, 포도당, 자당(蔗糖:cane sugar), 알코올, 기타 고분자의 탄수화물도 대사하여 잘 생육한다. 이로부터, 상기한 배양액에, 이들 고분자의 탄수화물을 첨가함과 동시에, 밀폐조명식배양조에 광합성세균과 동시에 여러가지의 종속영양세균, 예컨데, 전술한 유산균을 이식하면, 더한층 효과적이다. 또한, 밀폐조명식배양조에 있어서, 광합성세균을 배양할 때에 발생하는 수소가스는, 탱크에 저장하여 연료로서 사용하면된다.
계속해서, 밀폐조명식배양조에 있어서 최고도로 배양된 균체용액은, 연속식원심분리기에 의해 균체를 모아 농축균체로 하며, 그후, 상기 농축균체를 동결건조에 의해 균체건조물을 얻는다. 상술한 조작에 있어서, 배양후의 균체용액을 연속식원심분리기에 옮길 때, 전(全)용액의, 예컨데 20%를 배양조중에 항상 남겨서, 이것에 영양원혼합조에서 조정된 배양액을 추가해 가면 동일한 광합성세균을 연속적으로 채취할 수 있다.
또, 이 방법에 있어서, 밀폐조명식배양조를 사용하는 것은, 광합성세균이 혐기적분위기, 조명조건하(3000룩스∼10000룩스)에 있어서 가장 잘 증식 하기때문 이다. 또한, 밀폐조명식배양조내에 대하여, 배양액을 교반하는 교반장치를 설치해도 된다. 교반장치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균체의 생육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광합성세균의 배양의 실시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우선, 영양원혼합조에 있어서, 물1×103cm3(1 리터)에 대하여,
(NH4)2SO40.3g
KH2PO40.5g
MgSO4·7H2O 0.2g
NaCl 0.5g
NaHCO30.2g
효모 엑기스 0.01g
이 되도록, 이상의 각 영양원을 혼합하여 기초배지를 조제하며, 더욱, Na염으로서 아세트산0.4중량%, 자당5중량%를 가하여, 예컨데 pH7.0으로 조정하여 배양액으로 하며, 그것을 밀폐조명식배양조에 옮겼다.
이 배양조는, 유리등의 투명한 재질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형광등에 의해 내부가 균등하게 조명되게 되어있음과 동시에, 배양조내에 배양조의 반경의 크기를 가지는 날개를 구비한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양조는, 혐기적분위기하에서 광합성세균을 대량, 또한 용이하게 배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로드슈드모나스속 캡슈라타스종 FERMBP-7434균주의 용액(균농도106cell/cm3)를, 전(全)배양조의 용액당20%(v/v)이식하며, 소량의 유산균(균종 Lactobacillus bulgalicus, 균농도106cell/cm3)를 접종하여, 배양온도30℃, 10000룩스의 조명하에서 매분13회의 회전 속도로 교반한 바, 8시간후에는 광합성세균의 생육이 최고(정상기)로 되었다. 이 때, 배양조에서는, 광합성세균의 생육과 동시에, 대량의 점성물질이 생성하고 있었다.
이 배양액을 연속식원심분리기(샤프레스·타입)에 넣어 균체를 모아 농축하며, 이 농축균체를 동결건조하여, 균체를 얻었다. 얻어진 균체는, 배양액1×103cm3(1리터)당 약5g의 비율로 배양·채취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단히 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다음에, 동결건조 공정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얻어진 농축균체(약1011cell/cm3)는, 냉동고에서 일단 냉동 보존하고 있다.
동결건조할때는, 예컨데, 상기 농축균체4×103cm3(4 리터) 를 자연해동(약12시간) 한후, 1.2×103cm3(1.2 리터)용의 흡인병9개에 대하여, 각각, 서로 거의 균등하게 되도록 분주하는 (1병당 약440cm3).
계속해서, 미리, 메타놀등의 부동액을 채운 예비동결조(-45℃)에서, 프리 후리저(pre freezer)를 사용하여, 상기 흡인병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흡인병의저부를 부동액에 접촉시켜, 상기 흡인병내의 농축균체를, 흡인병의 내벽을 따라 박막을 형성하 도록 다시한번 동결시킨다(흡인병내에서의 동결균체의 두께 약8 mm로 설정, 동결시간약20분). 동결한 농축균체는 9개전부 동결이 완료할 때까지 냉동고에서 저장하여 둔다.
그 후, 동결건조기의 트랩(trap)내를 냉각하며(-45℃), 그 1시간 후(즉 트랩내의 냉각완료후)에 진공펌프를 작동시킨다. 진공펌프의 진공계가 26 Pa이하, 바람직하게는 4∼6 Pa로 저하하는 것을 확인후, 상기 각 흡인병을 트랩에 연결한다. 계속해서, 각 흡인병과 진공펌프를 트랩을 통해 연통하여, 각 흡인병내의 동결균체의 건조를 실온(20℃∼30℃)하에서 개시한다. 건조시간은, 실온에도 의하지만, 약40시간 정도이다. 또, 상기에서는, 농축균체의 건조법으로서, 동결건조법을 사용한 예를 들었지만, 다른 건조법으로서, 스프레이드라이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얻어진 건조균체는, 예컨데, 프로펠러식분쇄기(샘플 밀)등을 사용하여, 프로펠러의 회전수15000 rpm 정도에서 분쇄하여 분말화한다. 다른 분말화방법으로서는, 예컨데 제트밀법, 또는 볼밀법을 들수있다.
이러한 분말화된 건조균체를, 그대로 건강식품(TFK-RC)으로서 사용하더라도 좋으며, 복용이 편리하도록, 정제화하더라도 좋다. 정제화방법으로서는, 예컨데, 고속회전식정제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정제화시에는, 젖당등의 부형제(賦形劑)나, 점착제나, 스테아르산(stearic acid)마그네슘(magnesium)등의 이형제를 사용하지않고도 정제화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복용량의 조절을 위해 부형제를사용하더라도 좋다.
상기에서는, 로드슈드모나스속 캡슈라타스종 FERMBP-7434균주를 사용한 예를 들었지만, 다른 광합성세균, 예컨데, 홍색유황세균(시올로다셰, Thiorhodaceae)과의 크로마츔(Chromatium)속 비노삼(vinosum)종이나, 홍색무유황세균(아시올로다셰, Athiorhodaceae)과의 로드스피리람(Rhodospirillum)속 루부람(Rubrum)종을 사용할 수도 있다.
건강식품(TFK-RC)에 있어서의 박테리오클롤로필(bacteriochlorophyll) 및 카로티노이드(carotenoid)류의 각 정량방법 에 관해서는, 카토사카에등의「광합성연구법」(協立出版)(1981)에 근거하여 행하였다.
박테리오클롤로필의 정량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우선, 건조한 건강식품(TFK-RC)인 검체를 약10mg 채취하여 칭량(秤量)하며, 생리식염수100 mm3(μl)에 현탁하며, 더욱, 아세톤(acetone): 메탄올(methanol)〔7:2(V/V)〕 4.9cm3가하여, 박테리오클롤로필을 추출한 후, 그 추출액을 적의 희석하며, 그 희석액의 770nm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박테리오클롤로필의 농도는 다음식(1)에 의해서 산출하였다.
박테리오클롤로필(μg/cm3)=12.15A770...(1)
이하에, 본 건강식품(TFK-RC)을 상술한 방법으로 제작한, 5로트의 각 검체1. 내지 5.에 관한 박테리오클롤로필의 정량을 각각 행하여, 그것들의 결과를 이하의표1에 나타내었다.
검체번호 시료중량(mg) A770 함유량(mg/g)
1. 11.3 2.52 13.5
2. 10.4 2.05 12.0
3. 9.9 2.10 12.9
4. 10.6 2.58 14.8
5. 10.3 1.48 8.7
또, 표1의 A770에서 나타낸 흡광도(770nm)는, 추출원액(5cm3)에의 환산치이다. 이 결과로부터, 건강식품(TFK-RC)에 있어서의 박테리오클롤로필의 함유량(중량%)은, 0.2∼3.0, 바람직하게는 0.6∼1.9인 것을 알수 있다.
또, 박테리오클롤로필의 정량에 있어서는, 흡광도의 측정을 770nm(적색영역)에서 행하고 있으므로, 상기 희석액에 카로티노이드류가 함유되어 있더라도, 박테리오클롤로필의 측정결과에는 아무런 영향을 하지않는 것을 알수 있다.
다음에, 카로티노이드류의 정량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우선, 건조한 건강식품(TFK-RC)인 검체를 약10mg 채취하여 칭량하며, 메탄올중에 현탁하며, 1분간, 끓여서 추출한후, 얼음으로 냉각하여 원심 분리에 의해 상청(上淸)을 회수하였다. 침전은 다시 메탄올중에 현탁하며, 추출액이 무색이 될 때까지 추출을, 예컨데 3회 반복하였다.
메탄올추출액에, 그 추출액과 같은량의 에테르(ether)와, 2배량의 물을 가하여 에테르추출을 행한 후, 분취한 에테르용액을 탈수하였다. 얻어진 에테르용액을6cm3에 메스업후, 그 에테르용액의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그 흡수스펙트럼의 400∼550nm의 범위내에서의 최대흡수극대파장을 구하여, 그 최대흡수극대파장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하며, 그 흡광도로부터 다음식(2)에 의해, 카로티노이드류의 함유량을 산출하였다.
c=D·v/1.4×105…(2)
c:카로티노이드류의 함유량(mol), D:최대흡수극대에 있어서의 흡광도, v:에테르용액의 용량(103cm3즉 1 리터), 1.4×105:카로티노이드의 평균분자흡광 계수.
카로티노이드류의 흡수극대는 400∼550nm의 범위내에 존재하므로, 상기 에테르추출액의 흡수스펙트럼(도 1 참조)으로부터, 상기 범위내에서의 최대흡수극대파장을 측정하며, 그 최대흡수극대파장에서의 흡광도에 근거하여 카로티노이드류를 정량하였다.
전술한 각 검체1.∼5.에 관한 카로티노이드류의 각 정량결과를 이하의 표2에 나타내었다. 또한, 검체1.의 흡수스펙트럼을 도 1에 나타냈으나, 다른 검체2.∼5.의 흡수스펙트럼도 같은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이 표2의 결과로부터, 건강식품(TFK-RC)의 카로티노이드류의 함유량(μmol/g)은, 0.5∼7.5, 바람직하게는 2.4∼4.0인 것을 알수 있다.
검체번호 시료중량(mg) 최대흡수극대파장(nm) 흡광도 함유량(μmol/g)
1. 9.4 476.5 0.756 3.45
2. 10.8 476.0 0.868 3.44
3. 11.4 476.0 0.782 2.94
4. 9.6 476.0 0.666 2.97
5. 10.4 476.0 0.733 3.02
또한, 도 1의 결과로부터, 가시영역의 600nm 이상에 있어서는, 흡광도가 측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부터, 상기 에테르추출액에는, 박테리오클롤로필은, 많아야 검출 한계미만밖에 함유되지 않은 것을 알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카로티노이드류의 정량방법에 있어서는, 박테리오클롤로필이 건강식품(TFK-RC)에 포함되어 있더라도, 상기한 카로티노이드류의 정량에 대하여 아무런 영향을 하지않는 것을 알수 있다.
다음에, 건강식품(TFK-RC)의 각 검체1.∼5. 및 그것들의 각 수세(水洗)후 시료에 관하여, 각각 산가수분해(酸加水分解)한 후,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라프(chromatograph)법에 의해 이하의 각 중성단당(中性單糖)의 정량을 행하였다.
그 정량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우선, 수세후 시료의 조제는, 각 검체 약0.5g을 칭량하여 원심관에 투입하며, 물25cm3을 가하여 교반하며, 초음파추출을 3분간행한 후, 원심 분리(12,000 rpm, 5분간)하여, 웃물 액을 제거하였다. 원심관중의 잔류물에 물25cm3가하여, 마찬가지로 수세처리를 2회 더 반복하였다.
잔류물에 대하여, 수분제거를 위해 아세톤25cm3를 가하여, 교반후, 원심 분리(12,000 rpm, 5분간)하여, 웃물 액을 제거하였다. 원심관내에 잔류한 아세톤을 질소기류하에서 증산(蒸散) 시킨 후, 하루밤 건조한 것을 수세후 시료로 하였다.
다음에, 시험용액의 조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각 검체0.3g∼0.6g 또는 각 수세후 시료0.3g∼0.6g를 칭량한 후, 그것들에 72%황산 4cm3을 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수세시료 에 관해서는 2시간)교반하였다.
계속해서, 물112cm3에서 희석하며(황산농도: 4%), 오토크레이브중(121℃)에서 1시간 가수분해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하며, 30 w/v% 수산화 나트륨(sodium)수용액에서 중화한 후, 물에서 200cm3에 정용(定容)하며, 여과(No.5B, 아드반텍동양주식회사제)하며, 더구나 구멍지름0.45μm의 멤브랜필터(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시험용액중의 각 단당(글루코오스, 리보스, 람노스, 프코스)의 함량을, 액체 크로마토그라프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3에 나타내었다. 측정결과는, 건강식품(TFK-RC)100g 중의 함유량(g) 을 나타낸다.
1 2 3 4 5
글루코오스 미수세수세후 5.12.1 4.62.2 4.82.2 5.02.2 5.11.7
리보스 미수세수세후 0.70.5 0.70.6 0.70.5 0.70.6 0.70.6
람노스 미수세수세후 2.00.9 2.00.8 2.00.8 2.00.9 2.21.0
프코스 미수세수세후 1.20.2 1.2ND 1.2ND 1.2ND 1.70.3
상기 표3중의, ND의 표기는, 함유량이 검출 한계(0.2g/100g)미만 인 것을 나타낸다.
표3의 결과로부터, 건강식품(TFK-RC)에 있어서의, 미수세 검체의 산가수분해물(酸加水分解物)에서는, 글루코오스(glucose)의 함유량(중량%)이 2.4∼7.5, 보다 바람직하게는 3.5∼6.5의 범위내, 리보스(ribose)의 함유량(중량%)이 0.3∼1.1, 보다 바람직하게는 0.4∼1.0의 범위내, 람노스(rhamnose)의 함유량(중량%)이 1.0∼3.3, 보다 바람직하게는 1.2∼3.0의 범위내, 프코스(fucose)의 함유량(중량%)이 0.6∼2.6, 보다 바람직하게는 0.8∼2.4의 범위내 인 것을 알수 있다.
또한, 상기한 표3의 결과로부터, 건강식품(TFK-RC)에 있어서의, 수세후의 검체의 산가수분해물에서는, 글루코오스의 함유량(중량%)이 0.8∼3.3,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의 범위내, 리보스의 함유량(중량%)이 0.2∼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9의 범위내, 람노스의 함유량(중량%)이 0.4∼2.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6의 범위내, 프코스의 함유량(중량%)이 0.6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이하 인 것을 알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TFK-RC)에 관하여 급성경구독성시험(한도시험)을 행하였다. 결국, 상기 건강식품(TFK-RC)을 검체로서,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화학물질시험지침(1987)에 준거하며, 마우스(mouse)를 사용하여, 상기 검체에 대한 급성경구독성시험(한도시험)을 행하였다.
시험군에는 2,000 mg/kg의 용량의 검체를, 대조군에는 용매대조로서 정제수를 암수마우스에게 한번 경구투여하였다. 그 결과, 시험동물에게 이상 및 사망예는 인지되지 않았다. 따라서, 검체의 마우스에 있어서의 한번 경구투여에의한 LD50치는, 암수모두2,000 mg/kg 이상 인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그 시험에 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건강식품(TFK-RC)인 검체를 정제수에 현탁하며 100 mg/cm3의 시험액을 조제하였다.
시험동물은 아래와 같다. 우선, 4주령(週齡)의 ICR계 암수마우스를 일본에스엘시주식회사로부터 구입하며, 약1주간의 예비사육을 행하여 일반상태에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시험에 사용하였다. 시험동물은 폴리카보네이트제 케이지에 각 5마리수용하며, 실온23± 2℃, 조명시간12시간/1일 로 설정한 사육실에서 사육하였다. 사료〔마우스, 랫트(rat) 용 고형사료: 라보MR스탁(stock), 일본농산공업주식회사제〕및 음료수(수도물)는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시험방법은 아래와 같다. 우선, 시험군 및 대조군 모두 암수각각10마리를 사용하였다. 투여전에 약4시간 시험동물을 절식시켰다. 체중을 측정한 후, 시험군에는 암수 모두 검체투여량으로서 2,000 mg/kg의 용량이 되는 시험액을 위(胃)존데(sonde)를 사용하여 강제로 한번 경구투여하였다. 대조군에 있어서는 수컷에게 0.6cm3, 암컷에게 0.5cm3의 정제수를 마찬가지로 투여하였다.
관찰기간은 14일간으로 하며, 투여일은 여러번, 다음날부터 1일 1회의 관찰을 행하였다. 투여후, 7일 후 및14일 후에 체중을 측정하며, t-검정에 의해 유의수준5%에서 군간(群間)의 비교를 행하였다. 관찰기간종료시에 시험동물전부를 부검하였다. 시험결과는, 이하의 표4와 같았다. 표4에 있어서의 괄호내는 개체수를 나타낸다.
투여군 투여전 투여후(일)
7 14
수컷 시험군 28.2± 0.8(10) 33.9± 1.3(10) 37.7± 2.0(10)
대조군 28.1± 0.8(10) 33.8± 0.8(10) 36.8± 1.8(10)
암컷 시험군 24.3± 0.6(10) 27.0± 1.2(10) 28.9± 1.4(10)
대조군 24.0± 0.5(10) 27.4± 1.6(10) 29.3± 1.9(10)
상기 시험에 있어서 관찰기간중에 사망예는 암수모두 인지되지 않았다. 암수모두 관찰기간중에 이상은 보이지 않았다. 투여후, 7일후, 및 14일 후의 체중측정에서는, 암수모두 각 군간에 체중증가 차는, 표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이지 않았다. 관찰기간종료시의 부검에서는, 암수모두 모든 시험동물의 주요장기(臟器)에 이상은 보이지 않았다.
OECD 화학물질시험지침(l987)에 의하면, 2000 mg/kg의 용량에서 사망예가 인지된 경우는, LD50치를 구하는 상세한 시험이 필요하다고 지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시험결과에서는, 이 용량에서 사망예는 보이지 않고, 부검시에도 이상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검체의 마우스에 있어서의 한번 경구투여에의한 LD50치는, 암수 모두 2000 mg/kg 이상 인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건강식품(TFK-RC)은, 상용하더라도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도 분명해졌다.
이하에, 로드슈드모나스속 캡슈라타스종의 형태적특징, 생육조건, 및 생리적성질에 관하여 서술한다.
a.형태적특징
한개의 편모(鞭毛)를 가지고 매우 운동성이 풍부하고, 보통은 단간상균(短杆狀菌)(폭0.5μ×길이1.0μ)이지만, 배양액의 종류, 배양기간에 의해서는 장간상균(長杆狀菌)(폭0.5μ∼0.7μ×길이6.0μ)의 것이 생겨난다. 즉 다형현상(多形現狀)을 나타내는 것이다.
b.생육조건
각종배지에 있어서의 생육상태(혐기적조명조건하)를 이하에 나타낸다.
육즙 + 젖산 ++
펩톤(peptone)수 +++ 호박산(succinic acid)+
감자배지 - 사과산(malic acid) +
시오살페이트 - 낙산(butyric acid) ++
(Thiosulfate) 크로톤산(crotoic acid)+
알라닌(Alanine) + 피루빈산(pyruvic acid)++
류신(Leucine) - 에탄올(ethanol) +
아스파라긴 + 만니톨 -
(Asparagine) (Mannitol)
아스파라긴산 - 솔비톨 -
글루타민산(glutamiic acid)+ (Sorbitol)
주석산(tartaric acid)- 만노스 -
구연산 (citric acid) - (Mannose)
굴탈산(glutaric acid)+ 과당 -
초산(acetic acid) + 글리세롤 -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Glycerol) -
(어느쪽도 기질(基質)에 있어서는 0.2중량% 농도를 사용)
주:+++ → 생육양호하다
+ → 생육가능
- → 생육불가능하다
c.생리적성질
1)최적생육조건
pH7.2, 온도27℃, 혐기적조명10000룩스
2)생육할 수 있는 조건
pH6.0∼pH8.5, 온도 23℃∼39℃, 好氣∼혐기암흑조건∼조명조건
3)그램 염색성
음성
4)항산성
5)인돌(indole)의 생성
6)황화수소의 생성
7)질소가스를 고정하는 능력
8)초산염배지에서는 초산을 환원하여 N2↑ 가스화한다고 하는 질소고정과는 전혀 반대의 탈질(脫窒)작용도 행한다
9)카탈라아제(catalase)의 생성
10)젤라틴(gelatin)의 액화
11)전분 의 가수분해
12)환원형 메치렌 불루(Methylene Blue), 환원형메틸(methyl)(또는 벤질(benzil)) 바이오로지엔색소의 산화능력
13)비오틴(Biotin), 티아민(Thiamin), 니코틴산을 성장인자로서 요구한다.
더욱, 발명을 실시하기위한 최선의 형태의 항에 있어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실시태양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밝히는 것으로, 그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협의(狹義)로 해석되야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자등은, 상기 목적을 달성해야할, 여러가지 방법에서 배양한 상기 홍색광합성세균에 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어떤 특정한 조건하에서 배양한 홍색광합성세균이 건강유지나 건강수복에 유효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홍색광합성세균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해서, 로드슈드모나스(Rhodopseudomonas)속 캡슈라타스(capsulatas) FERMBP-7434 균주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FERMBP-7434균주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건강유지나 건강수복이라고하는 뛰어 난 기능을 가지는 건강식품을 안정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해서, 광합성세균을, 광합성세균으로부터 점성물질을 생성하 도록 배양하여, 얻어진 대사산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광합성세균으로부터 점성물질을 생성하 도록 상기 광합성세균을 배양하여 얻어진 대사산물을 함유하는 것을 섭취하면, 섭취한 사람의 건강 상태를 수복하거나, 유지하거나 할 수 있다.
상기 광합성세균은, 홍색광합성세균 인 로드슈드모나스속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합성세균으로서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로드슈드모나스·캡슈라타스(Rhodopseudo monas capsulatas), 더욱 바람직하게는 로드슈드모나스·캡슈라타스(Rhodop seudomonas capsulata s) FERMBP-7434균주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건강 상태를 수복하거나 유지하거나 하는 것을, 더한층 확실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뛰어 난 점은, 이하에 나타내는 기재에의해서 충분히 알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익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다음 설명으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홍색광합성세균은, 이상과같이, 로드슈드모나스속 캡슈라타스종 FERMBP-7434균주이다.
그러므로, 상기 구성은, FERMBP-7434균주 인것에의해, 뛰어 난 건강유지기능이나 건강수복기능을 가지는 건강식품을 안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광합성세균을, 광합성세균으로부터 점성물질을 생성하 도록 배양하여, 얻어진 대사산물을 가지는 구성이다.
그러므로, 상기 구성에 의하면, 광합성세균을, 광합성세균으로부터 점성물질을 생성하 도록 배양하여 얻어진 대사산물을 가지는 것으로부터, 복용함에 의해 건강 상태를 유지하거나, 수복하거나 할수있는 건강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로드슈드모나스(Rhodopseudcmonas)속 캡슈라타스(capsulatas)종 FERMBP -7434균주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색광합성세균.
  2. 광합성세균을, 광합성세균에서 점성물질을 생성하 도록 배양하여, 얻어진 대사산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3. 광합성세균이, 로드슈드모나스속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2기재의 건강식품.
  4. 로드슈드모나스속은, 캡슈라타스종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3기재의 건강식품.
  5. 광합성세균이, 로드슈드모나스속 캡슈라타스종 FERMBP-7434균주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2기재의 건강식품.
  6. 유산균을, 광합성세균과 동시에 배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2기재의 건강식품.
  7. 박테리오클롤로필을, 0.2∼3.0(중량%)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2기재의 건강식품.
  8. 카로티노이드류를, 0.5∼7.5(μmol/g)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2기재의 건강식품.
  9. 산가수분해물에 있어서의, 글루코오스의 함유량(중량%)이 2.4∼7.5, 리보스의 함유량(중량%)이 0.3∼1.1, 람노스의 함유량(중량%)이 1.0∼3.3, 프코스의 함유량(중량%)이 0.6∼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기재의 건강식품.
  10. 수세후의 산가수분해물에 있어서의, 글루코오스의 함유량(중량%)이 0.8∼3.3, 리보스의 함유량(중량%)이 0.2∼1.0, 람노스의 함유량(중량%)이 0.4∼2.0, 프코스의 함유량(중량%)이 0.6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2기재의 건강식품.
KR10-2001-7013118A 2000-02-17 2001-02-15 홍색 광합성 세균 및 건강식품 KR100454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40218 2000-02-17
JP2000040218 2000-02-17
PCT/JP2001/001100 WO2001060977A1 (fr) 2000-02-17 2001-02-15 Bacterie photosynthetique violette et aliments dietetiq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046A true KR20010113046A (ko) 2001-12-24
KR100454022B1 KR100454022B1 (ko) 2004-10-26

Family

ID=1856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118A KR100454022B1 (ko) 2000-02-17 2001-02-15 홍색 광합성 세균 및 건강식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797279B2 (ko)
EP (1) EP1172434B1 (ko)
JP (1) JP4207108B2 (ko)
KR (1) KR100454022B1 (ko)
CN (1) CN1232633C (ko)
AU (1) AU760878B2 (ko)
BR (1) BR0104543A (ko)
CA (1) CA2369667C (ko)
DE (1) DE60125868T2 (ko)
DK (1) DK1172434T3 (ko)
ES (1) ES2274864T3 (ko)
RU (1) RU2233321C2 (ko)
WO (1) WO20010609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575B1 (ko) * 2007-06-12 2008-07-08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모나스커스와 젖산균 및 이스트의 동조배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4732B2 (en) * 2000-02-17 2008-01-01 Tfk Inc. Dru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JP2004065230A (ja) * 2002-08-07 2004-03-04 Chuo Kakoki Kk 細胞壁の破壊方法
KR100973176B1 (ko) * 2007-05-15 2010-07-30 최경용 악취가 제거된 광합성세균 및 배양액을 식품 조성물에첨가하는 방법 및 그 조성물
CN101703528B (zh) * 2009-11-25 2012-07-04 王立平 一种治疗糖尿病的复合微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917715B (zh) 2010-02-16 2015-07-01 Tfk株式会社 疾病的预防改善剂、持久力提高剂、抗疲劳剂、以及使用它们的药品和饮食品
CN114107126A (zh) * 2021-12-14 2022-03-01 上海荣吉明微生物工程有限公司 用于降解农药残留的复合菌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8678B2 (ja) * 1976-08-07 1984-11-28 達治 小林 共生微生物利用による食品工場廃水処理法
US4467035A (en) * 1982-07-16 1984-08-21 Nippon Carbide Kogyo Kabushiki Kaisha Cultivation of phototrophic bacteria in the absence of ultraviolet light
JPS6036446A (ja) * 1983-08-09 1985-02-25 Mitsubishi Gas Chem Co Inc L−α−アミノ酸の製造方法
US5158939A (en) * 1989-07-21 1992-10-2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 of stimulating the immune systems of animals and compositions useful therefor
JP3044577B2 (ja) * 1991-02-04 2000-05-22 株式会社バイオブレーン 高度不飽和脂肪酸含有光合成細菌の製造法
JPH0782556A (ja) * 1993-09-14 1995-03-28 Sogo Biyou Ikagaku Kenkyusho:Kk 抗酸化活性をもつカロチノイド含有エキス、その製造法及び抗酸化剤並びに着色料
US5531989A (en) * 1994-10-28 1996-07-02 Metagenics, Inc. Immunoglobulin and fiber-containing composition for human gastrointestinal health
US5935808A (en) * 1997-07-29 1999-08-10 Yissum Research And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Carotenoid-producing bacterial species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carotenoids us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575B1 (ko) * 2007-06-12 2008-07-08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모나스커스와 젖산균 및 이스트의 동조배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25868T2 (de) 2007-12-20
EP1172434A4 (en) 2005-07-13
AU3231401A (en) 2001-08-27
BR0104543A (pt) 2002-01-08
US6797279B2 (en) 2004-09-28
DE60125868D1 (de) 2007-02-22
EP1172434A1 (en) 2002-01-16
ES2274864T3 (es) 2007-06-01
EP1172434B1 (en) 2007-01-10
JP4207108B2 (ja) 2009-01-14
CA2369667C (en) 2008-01-15
US20030039637A1 (en) 2003-02-27
WO2001060977A1 (fr) 2001-08-23
CN1232633C (zh) 2005-12-21
DK1172434T3 (da) 2007-02-12
RU2233321C2 (ru) 2004-07-27
KR100454022B1 (ko) 2004-10-26
CN1365385A (zh) 2002-08-21
AU760878B2 (en) 2003-05-22
CA2369667A1 (en) 200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gley et al. Oxidation of p-cresol and related compounds by a Pseudomonas
EP0101209B1 (en) Hypocholesterolemically and/or hypotriglyceridemically active products
EP1280541A1 (fr) Utilisation de souches acetogenes hydrogenotrophes pour la prevention ou le traitement de troubles digestifs
WO2022011902A1 (zh) 副干酪乳杆菌及其在制备治疗溃疡性结肠炎药物中的应用
CN116445346B (zh) 一种改善多囊卵巢综合征的罗伊氏乳杆菌及其应用
KR100454022B1 (ko) 홍색 광합성 세균 및 건강식품
CN111040973B (zh) 一株可高产2种形态有机硒的鼠李糖乳杆菌及其应用
CN116814510B (zh) 一株能够预防或改善阿尔茨海默症的鼠李糖乳杆菌opb41和应用
Van der Hoeven Carbohydrate metabolism of Streptococcus mutans in dental plaque in gnotobiotic rats
CN116218703A (zh) 一株植物乳杆菌、具肠道粘附力的组合物及其制法和作为高脂饮食肠道屏障保护剂的应用
CN115786182A (zh) 一株动物双歧杆菌及应用
JP6661121B1 (ja) 短鎖脂肪酸を含有する発酵液の製造方法
JP6710429B1 (ja) 菌群
CN115992074A (zh) 一株植物乳杆菌及其在产生尿石素a中的应用
US7314732B2 (en) Dru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JP2003055240A (ja) 医薬品
JP6742658B1 (ja) 元菌液を産生する方法
CN115011516B (zh) 一种具有缓解便秘功效的合生元酸奶及其制备方法
Cruickshank et al. A study of B. acidophilus in human faeces
CN114652753B (zh) 两歧双歧杆菌b11在制备抑制幽门螺旋杆菌及修复胃黏膜屏障产品中的应用
CN118028168A (zh) 一种发酵乳杆菌ty-m17及其应用
US3959467A (en) Lipid metabolism improving and anti-atheromatic agent
JPS60181020A (ja) 高粘性多糖体を有効成分とする抗腫瘍剤
CN114703092A (zh) 一株能够抑制具核梭菌并改善口气的植物乳杆菌
CN117568201A (zh) 一株具有高耐受性的鼠李糖乳杆菌yfa-012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