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736A -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736A
KR20010112736A KR1020000032165A KR20000032165A KR20010112736A KR 20010112736 A KR20010112736 A KR 20010112736A KR 1020000032165 A KR1020000032165 A KR 1020000032165A KR 20000032165 A KR20000032165 A KR 20000032165A KR 20010112736 A KR20010112736 A KR 20010112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web page
user
address information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성
Original Assignee
최지웅
(주)지오엔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웅, (주)지오엔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최지웅
Priority to KR1020000032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2736A/ko
Publication of KR2001011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73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홈페이지 접속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지능적 가상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지능적 가상 객체를 통한 사용자의 간접적인 가상 현실 체험을 지원하는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를 지원하거나, 상기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에 생성되어 있는 가상 객체와 관련된 웹페이지 주소 정보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 지원하는 가상 현실 서버와; 상기 가상 현실 서버와 일반 웹 서버에 동시에 접속하여 상기 웹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상기 가상 현실 서버에 전송하거나,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상기 가상 현실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자동으로 상기 웹서버의 웹페이지를 브라우징 할 수 있는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을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의 동일한 웹페이지 브라우징 지원 및 상기 가상 현실 공간에서의 기설정된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웹페이지의 브라우징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간의 효과적인 상호 작용 및 광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WEB BROWSING SYSTEM AND METHOD THROUGH VIRTUAL REALITY AND PROGRAM SOURCE THEREOF}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간접적인 가상 현실 체험을 지원하는 가상 현실 서버와, 일반적인 웹서버, 그리고 상기 두 서버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상기 웹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웹 페이지를 하나 이상의 다른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에 전송시켜 동시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동일한 웹 페이지를 브라우징하거나, 상기 가상 현실 공간에서의 발생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를 브라우징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종래의 가상 현실 (Virtual Reality ; VR)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현실에 구애받지 않고 가상의 세계를 현실과 같이 만들어 내어, 인체의 모든 감각 기관이 인공적으로 창조된 세계에 몰입됨으로써 자신이 바로 그곳에 있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되는 사이버 공간의 세계가 바로 가상 현실이다.
가상 현실 속에서 사용자는 현실에서와 마찬가지로 그 속에 들어가 시각, 청각, 촉각 등과 같은 감각들을 이용하여 실제로는 없는 물체이지만 이를 감지할 수 있고 이들의 정보를 접할 수 있으며, 이를 변형시킬 수도 있는 등 모든 상황을 자신의 의도대로 이끌어갈 수 있다.
가상 현실의 효시는 1962년 사진 작가이면서 영화 작가였던 모튼 하일리그(Morton Heilig)가 '센소라마'라는 기계를 고안했던 것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가 개발한 센소라마는 컴퓨터를 이용한 기술이 아니라 몰입기술을 이용한 제품으로 영사 화면에 따라 진동하는 의자를 이용하여 가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비였다.
이후 1965년에는 '에반스 앤서덜랜드사'에서, 1833년 '찰스 휘스턴(Charles Wheatstone)'이 고안한 입체거울을 근간으로 하는 현재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의 원조격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발하면서 가상 현실 기술은 본격화되었다.
장비를 사용하지 않는 가상 현실 기술은 영화 분야를 중심으로 발전해 왔는데, 1937년 미국 헐리우드의 한 영화사는 적, 녹색 필터를 이용하는 '3차원 살인'을 제작해 3차원 영화의 전성 시대를 열었다.
게임 업체인 '세가'나 '스테레오 그래픽스'는 적외선 송수신기를 이용해 모니터의 영상을 입체로 구현해 주는 입체 안경을 개발, 무거운 HMD(Head Mounted Display)의 한계를 극복해나가는 등 이들 회사는 거의 완벽에 가까운 입체영상을 보장해 주는 제품을 개발해 시각분야의 가상 현실 기술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오늘날의 가상 현실은 컴퓨터의 등장에 힘입어 단순히 눈에 보이는 공간에 실제 들어가 느끼게 해주는 차원을 뛰어넘어 실제 현실과 똑같은 또 하나의 세계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인공 지능, 시뮬레이션 그리고 컴퓨터 그래픽스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VR 시스템은 몰입형 가상 현실(Full Imersion VR)과 탁상형 가상 현실(Desktop/Vehicle) VR과 제 3자(Third Person) VR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것은 VR의 구현 방식과 시스템 요소로 구분한 것인데, 완전히 별개의 것으로 구분지어 지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요소가 아주 많다. 그 중에 VR 시스템의 대중화에 공헌을 하고 있는 것은 탁상형 VR이다.
몰입형 가상 현실은 컴퓨터가 만들어내는 3차원 공간에서 사용자가 기본적으로 필요한 장비를 착용하여 완전히 직접 몰입되어 그 속에서 정의된 세계를 경험하고 상호 작용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가상 현실 시스템이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 그러한 제약 중 경제적이 면이 가장 크게 작용하며, 이 시스템은 아주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주로 사용하고 있는 곳은 대학의 연구실이나 관련 기업의 연구실이다.
탁상형 VR은 전통적인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이나 스테레오 프로젝터로 투시되는 화면에 나타난 영상을 통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몰입형보다는 현실감이 떨어지고 부족한 면이 많지만 사용자층이 두텁다는 특징이 있다. 우리들의 주변에 흔히 있는 컴퓨터에 특정한 장치를 마련하면 쉽게 사용이 가능한 방식이다.
제 3자 VR은 비디오 화면이나 비디오 카메라가 설치된 방에 사용자가 들어가 비디오 카메라를 통하여 자신의 모습과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컴퓨터에 전달하여 비디오 화면을 보면서 컴퓨터가 만들어낸 가상 세계의 물체와 상호 작용하여 이미계획된 합성의 방법으로 화면에 다시 보여주는 기술이다.
인터넷 상에서는 상기의 탁상형 VR 기술을 이용하여 가상 현실 공간을 구축한다.
그러나, 종래 가상 현실 기술을 이용한 사이트는 단지 사이트 내에 생성된 가상 객체나 서비스만을 제공받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일반적인 웹사이트 내에 포함된 물건이나 서비스를 가상으로 체험해보고 싶은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가 없었다.
대다수의 인터넷 사용자가 이용하는 HTML 등으로 구현된 웹 환경은 연속적인 데이터 변화를 나타내거나, 웹을 검색하고 있는 사용자들간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지원하는데 상당한 제약을 가져온다.
대부분의 웹 공간에서의 활동은 단독적으로 이루어져서, 동일 웹페이지를 검색하고 있는 제 3자의 존재 여부나 제 3자와의 상호 작용을 할 수가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따로 채팅 창이나 인스턴트 메시지와 같은 새로운 매체나 전화와 같은 통신 기기를 사용하여 상대와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지만, 이경우도 구성원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유도가 떨어지며, 웹과 매체들간에 연동작용이 없으므로 대화와 같은 제한된 상호 작용만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지능적 가상 객체 생성 및 상기 지능적 가상 객체를 통한 사용자의 간접적인 가상 현실 체험을 지원하는 가상 현실 서버와 일반적인 웹서버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여, 상기 시스템 상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동일한 웹페이지 브라우징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사용자들간의 좀 더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지원하거나, 상기 시스템 상에서 가상 체험에 따른 기설정된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구매 욕구가 왕성한 시기에 광고를 지원해주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홈페이지 접속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지능적 가상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지능적 가상 객체를 통한 사용자의 간접적인 가상 현실 체험을 지원하는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를 지원하거나, 상기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에 생성되어 있는 가상 객체와 관련된 웹페이지 주소 정보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 지원하는 가상 현실 서버와; 상기 가상 현실 서버와 일반 웹 서버에 동시에 접속하여 상기 웹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상기 가상 현실 서버에 전송하거나,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상기 가상 현실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자동으로 상기 웹서버의 웹페이지를 브라우징 할 수 있는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홈페이지 접속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지능적 가상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지능적 가상 객체를 통한 가상 현실 체험을 지원하는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하는 가상 현실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웹브라우징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에 생성되어 있는 가상 객체와 관련된 웹페이지 주소 정보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웹 페이지 주소 정보 또는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에 관련된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전송받거나 검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전송받거나 검출된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사용자의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가 상기 웹페이지를 자동으로 브라우징하도록 지원하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상에서의 웹브라우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홈페이지 접속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지능적 가상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지능적 가상 객체를 통한 가상 현실 체험을 지원하는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하는 가상 현실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 가능한,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에 생성되어 있는 가상 객체와 관련된 웹페이지 주소 정보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웹 페이지 주소 정보 또는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에 관련된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전송받거나 검출하는 웹페이지 주소 정보 수신 및 검출 프로세스와; 상기 전송받거나 검출된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사용자의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가 상기 웹페이지를 자동으로브라우징하도록 지원하는 웹브라우징 지원 프로세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상에서의 웹브라우징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자의 웹페이지 추천 요청에 따른 가상 현실 서버의 동작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가상 현실 공간에서의 이벤트 발생 신호에 따른 가상 현실 서버의 동작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통신 네트워크 20 :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
22 : 웹 클라이언트 24 : V/R(Virtual/Reality)중개 모듈
26 : 가상 현실 클라이언트 30 : 웹서버
40 : 가상 현실 서버 42 : 웹 공동 브라우징 지원 모듈
44 : 가상 현실 체험 지원 모듈 46 : 이벤트 지원 모듈
50 : 가상 현실 사용자 정보 DB 60 : 이벤트 정보 DB
70 : 가상 현실 공간 운영 법칙 DB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의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상 현실 서버와 일반적인 웹서버, 상기 두 서버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의 시스템 구성을 도입하여 설명한다. 이는 상기 가상 현실 서버가 특정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시켜 웹페이지를 브라우징하도록 하는 방법 및 그를 지원하도록 구현되는 시스템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본 발명 방법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같은 실시 예를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 세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램)에 상주하며, 이들 명령어 세트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필요로 할 때까지 예를 들어 디스크 드라이브 내의 다른 컴퓨터 메모리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써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탁상형 VR 기술을 도입하여 인터넷 상에 가상 현실 공간을 구축한다.
상기 가상 현실 공간에서 인간과 유사한 지능적 가상 객체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상기 지능적 가상 객체를 통한 간접적인 가상 현실 체험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지능적 가상 객체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어 가상 현실 공간상에서 먹고, 자고, 느끼는 등 인간과 같은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가상이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 쓰는 말이다.
따라서, 인터넷상에 구축된 기존의 사이버 공간 또한 가상 공간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VR 기술로 구축된 가상 현실 공간은 상기 인터넷 상에서 구현되므로 기존의 사이버 공간에 포함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기존의 사이버 공간을 '웹공간'이라고 하고, 상기 VR 기술로 구축된 사이버 공간을 '가상 현실 공간'이라고 구별하여 명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후에 언급되는 웹 공간은 기존의 웹서버를 의해 지원되어 사용자에게 웹페이지를 전송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하고, 가상 현실 공간은 상기 탁상형 VR 기술로 구축되어 가상 현실 서버에 의해 지원되는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10)에 연결되어 상기 가상 현실 공간을 구축하는 가상 현실 서버(40)와 일반적인 웹서버(30), 그리고 상기 두 서버에 접속 가능한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되는 사용자 프로그램이다.
상기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는 상기 일반적인 웹서버와 접속하는 웹클라이언트(22)와, 상기 가상 현실 서버(40)와 접속하는 가상 현실 클라이언트(26)와, 상기 웹클라이언트(22)와 가상 현실 클라이언트(26)에 연결되어 두 클라이언트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중개하는 V/R 중개 모듈(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를 통해 사용자는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와 웹페이지를 동시에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웹클라이언트(22)는 하나 이상의 웹서버(30)들과 접속하여 상기 웹서버로부터 전송된 웹페이지를 해독하여 출력해주거나, 상기 가상 현실 서버(40)에 전송할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추출하여 준다.
상기 가상 현실 클라이언트(26)는 상기 가상 현실 서버(40)에 접속하여 상기 가상 현실 서버로부터 전송된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를 해독하여 출력해주고, 상기 지능적 가상 객체의 생성 명령 및 제어하여 상기 지능적 가상 객체의 감각 기관을 통해서 간접적인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 V/R(VIRTUAL/REALITY ; 가상 체험 공간/ 웹 공간) 중개 모듈(24)은 상기 웹페이지에서 추출한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웹클라이언트(22-1)로부터 가상 현실 클라이언트(26)로 전송해 주거나, 상기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가상 현실 클라이언트(26)로부터 웹클라이언트(22-2)로 전송해준다.
상기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는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의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2)에 전송 요청하는 웹페이지 전송 명령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웹페이지 추천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는 상기 가상 현실 공간에서 웹페이지를 전송할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를 선택받을 수 있는 추천 대상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웹클라이언트(22)는 상기 V/R 중개 모듈(24)로부터 웹 페이지의 주소 정보, 즉 URL을 전송받아 자동으로 상기 URL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를 브라우징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현실 서버(40)는 상기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에 가상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현실 체험 지원 모듈(44)과 상기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로부터 지정받은 웹페이지를 하나 이상의 다른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로 전송 지원하는 공동 웹 브라우징 지원 모듈(44)과 상기 가상 현실 공간상에서 발생하는 기설정된 이벤트를 지원해주는 이벤트 지원 모듈(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은 가상 현실 사용자 정보 DB(50)와 이벤트 정보 DB(60)와 가상 현실 공간 운영 법칙 정보 DB(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상 현실 사용자 정보 DB(50)는 상기 가상 현실 서버에 접속하여 가상 현실 공간에 등록한 사용자의 정보 및/또는 상기 등록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지능적 가상 객체 정보로 구축되어 상기 가상 현실 서버(4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상기 가상 현실 이벤트 정보 DB(50)는 상기 지능적 가상 객체를 통해 가상 현실 공간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설정된 이벤트 정보로 이루어진 이벤트 목록 정보와 그와 연관된 해당 웹사이트 정보로 구축되어 상기 가상 현실 서버(4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상기 가상 현실 공간 운영 법칙 정보 DB(70)는 가상 현실 공간 운영을 위해 기설정된 법칙 정보로 구축되어 상기 가상 현실 서버(4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통한 웹브라우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의 웹페이지 추천 요청에 따른 가상 현실 서버의 동작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통한 웹브라우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가상 현실 공간상에서의 이벤트 발생 신호에 따른 가상 현실 서버의 동작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가상 객체와 관련된 웹페이지 주소 정보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웹 페이지 주소 정보 또는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에관련된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전송(100~120)받거나 검출(200~230)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전송받거나 검출된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사용자의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가 상기 웹페이지를 자동으로 브라우징하도록 지원(130~170)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로부터 상기 웹페이지가 전송될 하나 이상의 추천 대상자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110~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전송받은 상기 추천 대상자의 가상 현실 공간 등록 여부를 확인(130)하여, 등록된 사용자에게 상기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전송(160)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추천 대상자의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의 상기 가상 현실 서버(40) 접속 여부를 판단(140)하여, 접속된 사용자에게 상기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전송(160)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추천 대상자의 상기 웹페이지 주소 정보 전송 허락 여부를 판단(150)하여, 전송을 허락한 사용자에게 상기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가상 현실 체험에 참여한 지능적 가상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관련된 주소 정보를 검출(200~230)해내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지능적 가상 객체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웹페이지의 전송 여부 선택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240)하여, 상기 웹페이지 전송 여부 선택 권한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의 전송 여부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 결과에 따라 상기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전송(250)하거나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 전송을 종료(270)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웹 공동 브라우징 방법의 실시예는 상기 가상 현실 서버에 포함된 웹 공동 브라우징 지원 모듈(42)에 의해 운영된다.
그리고, 하기의 웹 공동 브라우징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가상 체험 클라이언트(20)의 동작 또한 포함하여 설명한다.
사용자의 웹클라이언트(22)로 일반 웹서버(30)에 접속하여 임의의 웹 페이지를 브라우징(100)한다.
상기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는 웹페이지 추천 모듈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웹페이지 추천 명령 정보를 입력(110)받으면, 웹페이지를 전송한 추천 대상 정보 입력란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추천되어 질 수 있는 웹페이지는 상기 가상 현실 공간이 제공하는 가상 객체 관련 웹페이지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란을 통해 입력(120)받은 추천 대상 정보와 상기 웹클라이언트(22)에 의해 추출된 상기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가상 현실 서버(40)에 전송한다.
상기 가상 현실 서버(40)는 상기 추천 대상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가상 현실사용자 정보 DB(50)에서 검출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추천 대상자의 등록 확인 여부를 판단(130)한다.
상기 가상 현실 서버(40)는 가상 현실 공간에 등록 확인된 사용자의 가상 현실 클라이언트(26)가 가상 현실 서버(40)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단(140)한다.
상기 가상 현실 서버(40)에 접속 확인된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에 상기 웹페이지 전송 허락 여부를 선택받을 수 있는 입력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가상 현실 서버(40)에 접속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웹페이지 전송 거부 정보를 입력한 추천 대상자의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로의 웹페이지의 전송 지원은 종료된다.
상기 추천 대상자의 가상 현실 클라이언트(26)가 가상 현실 서버(40)로부터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전송(160)받으면, 상기 V/R 중개 모듈(24)은 주소 정보를 상기 가상 현실 클라이언트(26)로부터 웹클라이언트(22)로 전송하고, 상기 주소 정보를 전송받은 웹클라이언트(22)는 웹서버(30)에 접속하여 자동으로 상기 웹페이지를 브라우징(170) 한다.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이벤트 광고 방법의 실시예는 상기 가상 현실 서버에 포함된 이벤트 지원 모듈(46)에 의해 운영된다.
그리고, 하기의 이벤트 광고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의 동작 또한 포함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20)는 상기 가상 현실 서버(40)와 웹서버(30)에 동시 접속한다.
상기 가상 현실 서버(40)는 접속(200)한 가상 현실 클라이언트(26)에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210)한다.
상기 가상 현실 공간에서는 뛰어난 자유도를 바탕으로 현실과 유사한 이벤트가 발생한다. 즉 피곤하거나, 배가 고프거나, 아프거나 심지어는 가상 생명체를 죽이거나 죽임을 당할 수도 있다.
상기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에 생성된 지능적 가상 객체의 움직임에 따를 상기의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220)한다.
가상 현실 서버(40)는 상기 이벤트 발생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 관련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검출(230)해낸다.
그리고, 가상 현실 서버(40)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지능적 가상 객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가상 현실 사용자 정보 DB(50)에서 검색한다.
상기 검색 결과, 사용자가 이벤트 관련 웹페이지 주소의 전송 여부를 선택할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240)한다.
상기 이벤트 광고를 전송받는 사용자는 상기 광고를 보는 댓가로 통신료를 면제받거나 할인받을 수 있다.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유료 사용자와 같이 통신료를 납부하는 사용자에게는 이벤트 광고의 전송 여부 선택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권한을 가지지 못한 사용자의 경우,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전송(250)시켜 준다.
그러나, 상기 웹사이트의 전송 여부를 선택할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송 여부를 확인(270)받는다.
상기 확인된 결과에 따라 상기 이벤트 관련 웹페이지 주소 정보 전송(250)을 지원하거나 전송을 종료(270)한다.
상기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전송 받는 가상 현실 클라이언트(26)는 상기 주소 정보를 V/R 중개 모듈(24)로 전송한다.
상기 V/R 중개 모듈(24)로부터 상기 주소 정보를 전송받은 웹클라이언트(22)는 상기 웹서버(30)에 접속하여 상기 주소 정보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를 자동으로 브라우징(260)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상거래 방법이나, 그 외의 다양한 광고 방법등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웹공간과 뛰어난 자유도를 갖춘 가상 현실 공간을 연동시킬 수 있는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를 제공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동일한 웹페이지를 브라우징할 수 있는 환경을 통해 사용자들의 효과적인 상호작용 가능하게 해준다.
그리고, 상기의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이벤트 광고는, 사용자에게 특정 상품에 대한 가상 체험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구매 욕구가 증대된 시기에 행해짐으로 기존의 배너 광고와 같은 인터넷상에서 이루어지는 광고보다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이벤트 광고를 활용하면, 광고의 전송을 선택한 사용자는 가상 현실 공간의 접속료를 광고비로 충당하거나, 다양한 서비스를 저렴하게 이용할 수도 있다.

Claims (26)

  1.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홈페이지 접속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지능적 가상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지능적 가상 객체를 통한 사용자의 간접적인 가상 현실 체험을 지원하는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를 지원하거나, 상기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에 생성되어 있는 가상 객체와 관련된 웹페이지 주소 정보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 지원하는 가상 현실 서버와;
    상기 가상 현실 서버와 일반 웹 서버에 동시에 접속하여 상기 웹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상기 가상 현실 서버에 전송하거나,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상기 가상 현실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자동으로 상기 웹서버의 웹페이지를 브라우징 할 수 있는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공간에 등록한 사용자의 정보 및/또는 상기 등록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지능적 가상 객체 정보로 구축되어 상기 가상 현실 서버가 액세스할 수 있는 가상 현실 사용자 정보 D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는
    다수의 웹서버들과 접속하여 웹서버로부터 전송된 웹페이지를 해독하여 출력 해주거나, 상기 가상 현실 서버에 전송할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추출하는 웹클라이언트와;
    상기 가상 현실 서버에 접속하여 가상 현실 서버로부터 전송된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를 해독하여 출력해주고, 상기 지능적 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는 가상 현실 클라이언트와;
    상기 웹클라이언트와 가상 현실 클라이언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웹클라이언트로부터 가상 현실 클라이언트에 전송해주거나,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가상 현실 클라이언트로부터 웹클라이언트에 전송해주는 V/R(VIRTUAL/REALITY; 가상 체험 공간/웹 공간)중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는
    상기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의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에 전송 요청하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란을 제공하는 웹페이지 추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서버는
    상기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나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추천 대상자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가상 현실 사용자 정보 DB를 검색하여 등록 확인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가상 현실 클라이언트에 상기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웹페이지의 자동 브라우징을 지원하는 웹 공동 브라우징 지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웹 공동 브라우징 지원 모듈은
    상기에서 선택받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가상 현실 서버 접속 여부를 확인하고,상기 접속 확인된 사용자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의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전송 허락 여부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란을 제공하여, 상기 입력받은 결과에 따라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에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전송하거나 웹페이지 주소 정보 전송 지원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공간 운영을 위해 기설정된 법칙 정보로 구축된, 상기 가상 현실 서버가 액세스할 수 있는 가상 현실 운영 법칙 D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적 가상 객체를 통해 가상 현실 공간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설정된 이벤트 정보로 이루어진 이벤트 목록 정보와 그와 연관된 해당 웹페이지 정보를 기록한, 상기 가상 현실 서버가 액세스할 수 있는 가상 현실 이벤트 정보 DB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서버는
    상기 가상 현실 체험에 참여한 지능적 가상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기설정된 이벤트 발생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해당되는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가상 체험 공간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이벤트 지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지원 모듈은
    상기 가상 현실 사용자 정보 DB를 검색하여, 이벤트가 발생된 지능적 가상 객체에 해당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벤트에 해당되는 웹페이지 정보 전송 허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
  11.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홈페이지 접속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지능적 가상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지능적 가상 객체를 통한 가상 현실 체험을 지원하는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하는 가상 현실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웹브라우징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에 생성되어 있는 가상 객체와 관련된 웹페이지 주소 정보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웹 페이지 주소 정보 또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관련된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전송받거나 검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전송받거나 검출된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사용자의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가 상기 웹페이지를 자동으로 브라우징하도록 지원하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가상 현실 클라이언트를 통해 가상 현실 서버와 일반 웹서버를 동시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웹서버로부터 전송된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 또는 상기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에 생성된 가상 객체 관련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에게로의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은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상기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웹페이지를 전송 요청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웹페이지가 전송되기를 원하는 하나 이상의 추천 대상자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전송받은 상기 추천 대상자의 가상 현실 공간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등록된 사용자에게 상기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브라우징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추천 대상자의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의 상기 가상 현실 서버 접속 여부를 판단하여, 접속된 사용자에게 상기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추천 대상자의 상기 웹페이지 주소 정보 전송 허락 여부를 판단하여, 전송을 허락한 사용자에게 상기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브라우징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가상 현실 체험에 참여한 지능적 가상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관련된 주소 정보를 검출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지능적 가상 객체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웹페이지의 전송 여부 선택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웹페이지 전송 여부 선택 권한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의 전송 여부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 결과에 따라 상기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전송하거나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방법.
  19.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홈페이지 접속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지능적 가상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지능적 가상 객체를 통한 가상 현실 체험을 지원하는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하는 가상 현실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 가능한,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에 생성되어 있는 가상 객체와 관련된 웹페이지 주소 정보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웹 페이지 주소 정보 또는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에 관련된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전송받거나 검출하는 웹페이지 주소 정보 수신 및 검출 프로세스와;
    상기 전송받거나 검출된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사용자의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가 상기 웹페이지를 자동으로 브라우징하도록 지원하는 웹브라우징 지원 프로세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 주소 정보 수신 및 검출 프로세스는
    가상 현실 클라이언트를 통해 가상 현실 서버와 일반 웹서버를 동시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웹서버로부터 전송된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 또는 상기 가상 현실 체험 서비스 페이지에 생성된 가상 객체 관련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에게로의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은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상기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 주소 정보 수신 및 검출 프로세스는
    상기 웹페이지를 전송 요청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웹페이지가 전송되기를 원하는 하나 이상의 추천 대상자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 주소 정보 수신 및 검출 프로세스는
    상기 전송받은 상기 추천 대상자의 가상 현실 공간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등록된 사용자에게 상기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브라우징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웹브라우징 지원 프로세스는
    상기 추천 대상자의 가상 현실 체험 클라이언트의 상기 가상 현실 서버 접속 여부를 판단하여, 접속된 사용자에게 상기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웹브라우징 지원 프로세스는
    상기 추천 대상자의 상기 웹페이지 주소 정보 전송 허락 여부를 판단하여, 전송을 허락한 사용자에게 상기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25.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 주소 정보 수신 및 검출 프로세스는
    상기 가상 현실 체험에 참여한 지능적 가상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관련된 주소 정보를 검출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웹브라우징 지원 프로세스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지능적 가상 객체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웹페이지의 전송 여부 선택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웹페이지 전송 여부 선택 권한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의 전송 여부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 결과에 따라 상기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전송하거나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 전송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000032165A 2000-06-12 2000-06-12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20010112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165A KR20010112736A (ko) 2000-06-12 2000-06-12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165A KR20010112736A (ko) 2000-06-12 2000-06-12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736A true KR20010112736A (ko) 2001-12-21

Family

ID=19671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165A KR20010112736A (ko) 2000-06-12 2000-06-12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273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4033A (ko) * 2000-06-20 2001-12-29 최지웅 웹 공간과 가상 현실 공간 연동 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20020015549A (ko) * 2000-08-22 2002-02-28 황재엽 무선통신서비스 가상체험 시스템
KR100813400B1 (ko) * 2001-12-31 2008-03-12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다중 웹 페이지 운영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3339A (ja) * 1997-04-09 1998-10-23 Mitsubishi Electric Corp 分散型3次元仮想世界システム
JPH1139472A (ja) * 1997-07-15 1999-02-12 Samsung Electron Co Ltd 多利用者形仮想空間におけるユーザ管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9990078775A (ko) * 1999-08-06 1999-11-05 신유진 3차원 가상 현실 공간에서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24660A (ko) * 2000-02-26 2000-05-06 한헌주 네트워크와 웹기술을 이용한 매장내의 양방향 전자 주문시스템
KR20000030430A (ko) * 2000-02-29 2000-06-05 김양신 3차원 그래픽 가상공간을 이용한 인터넷 광고시스템
KR20010064663A (ko) * 2000-03-29 2001-07-11 김양신 다중채널 채팅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3339A (ja) * 1997-04-09 1998-10-23 Mitsubishi Electric Corp 分散型3次元仮想世界システム
JPH1139472A (ja) * 1997-07-15 1999-02-12 Samsung Electron Co Ltd 多利用者形仮想空間におけるユーザ管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9990078775A (ko) * 1999-08-06 1999-11-05 신유진 3차원 가상 현실 공간에서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24660A (ko) * 2000-02-26 2000-05-06 한헌주 네트워크와 웹기술을 이용한 매장내의 양방향 전자 주문시스템
KR20000030430A (ko) * 2000-02-29 2000-06-05 김양신 3차원 그래픽 가상공간을 이용한 인터넷 광고시스템
KR20010064663A (ko) * 2000-03-29 2001-07-11 김양신 다중채널 채팅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4033A (ko) * 2000-06-20 2001-12-29 최지웅 웹 공간과 가상 현실 공간 연동 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20020015549A (ko) * 2000-08-22 2002-02-28 황재엽 무선통신서비스 가상체험 시스템
KR100813400B1 (ko) * 2001-12-31 2008-03-12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다중 웹 페이지 운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6937B2 (en)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US10628635B1 (en) Artificially intelligent hologram
CA2180891C (en) Notification of updates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space sharing system
US5884029A (en) User interaction with intelligent virtual objects, avatars, which interact with other avatars controlled by different users
US83118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and synchronous display session
US20020113820A1 (en) System and method to configure and provide a network-enabled three-dimensional computing environment
CA2707208C (en) Enhanced data exchange and functionality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030174178A1 (en) System for presenting differentiated content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US20020026388A1 (en) Method of distributing a product, providing incentives to a consumer, and collecting data on the activities of a consumer
US20060184886A1 (en) Spatial chat in a multiple browser environment
JP2007500883A (ja) 情報表示
CN105046526A (zh) 实时在线的广告自营系统
JPH0887489A (ja) サービス提供方法
US7577588B2 (en) Methods for interactively displaying product information and for collaborative product design
US20030128205A1 (en) User interface for a three-dimensional browser with simultaneous two-dimensional display
EP1924052B1 (en) System for communica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US200601196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3D image production service
WO2005015880A1 (en) Computer network architecture for persistent,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s
KR20010112736A (ko) 가상 현실 공간을 통한 웹브라우징 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US20030172108A1 (en)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file
JPH10154243A (ja) 3次元仮想現実空間共有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提供媒体
JPH0863416A (ja) サイバースペースシステム
JP4761634B2 (ja) チャットシステム、サーバ、コンテンツ記憶媒体、および管理プログラム
KR20010104493A (ko)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입체영상제공방법 및 그 처리장치
JP2011181083A (ja) チャッ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