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235A - 광 픽업 - Google Patents

광 픽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235A
KR20010112235A KR1020017008637A KR20017008637A KR20010112235A KR 20010112235 A KR20010112235 A KR 20010112235A KR 1020017008637 A KR1020017008637 A KR 1020017008637A KR 20017008637 A KR20017008637 A KR 20017008637A KR 20010112235 A KR20010112235 A KR 20010112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ical aberration
wavelength
grating
granular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루야마고이치
Original Assignee
마츠모토 도루
아사히 고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모토 도루, 아사히 고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모토 도루
Publication of KR20010112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23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02B27/003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with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G02B27/4233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having a diffractive element [DOE] contributing to a non-imaging application
    • G02B27/4238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having a diffractive element [DOE] contributing to a non-imaging application in optical recording or readout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G02B27/4283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having a diffractive element with major temperature dependent propert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3Integrated head arrangements, e.g. with source and detectors mounted on the same substra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11B7/1275Two or more lasers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6Collimator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8Separate aberration correction lenses; Cylindrical lenses to generate astigmatism; Beam expan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2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 G11B7/13922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pa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G02B27/4294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in multispectral systems, e.g. UV and visi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2007/13727Compound lenses, i.e. two or more lenses co-operating to perform a function, e.g. compound objective lens including a solid immersion lens, positive and negative lenses either bonded together or with adjustable spa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and avoidance or compensation of imperfections on the carrier, e.g. dust, scratches, dropou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al Head (AREA)
  • Lenses (AREA)

Abstract

상이한 파장을 갖는 광 빔을 방사하기 위한 복수의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 디스크의 기록 레이어상으로 상기 광 빔을 수렴하는 굴절 렌즈 요소; 동심 입상 격자 구조가 형성된 구면 수차 보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광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서로 스위칭되고, 상기 입상 격자 구조는 상기 커버 레이어의 두께의 변화에 기인한 구면 수차의 변화를 보정하기 위해 상이한 두께를 갖는 커버 레이어가 설치된 적어도 두 종류의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광 픽업이 제공된다. 구면 수차 보정 요소는 구면 수차가 입사광의 파장이 증가함에 따라서 미보정된 방향으로 바뀌는 파장 의존성을 가진다.

Description

광 픽업{OPTICAL PICK UP}
광 디스크는 디지털 정보가 기록되는 정보레이어 및 정보레이어를 덮는 투명한 커버 레이어를 포함한다. 광 픽업으로부터의 레이저 빔은 커버 레이어를 통해서 정보레이어에 빔 스폿을 형성한다. 광 픽업과 정보 레이어 사이의 거리는 커버 레이어의 두께에 따라 변한다.
즉, 커버 레이어가 두꺼울수록 광 픽업으로부터 빔 스폿까지의 거리는 늘어난다. DVD가 CD 또는 CD-R로 대치되었을 때, 예를들어 콤팩트디스크(CD)의 커버 레이어 또는 CD-R의 커버 레이어의 두께가 1.2mm이고,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의 커버 레이어의 두께가 0.6mm이면, 광 픽업은 빔 스폿을 커버 레이어에서 0.6mm만큼(대기중에서 0.4mm만큼) 광 픽업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근축(paraxial) 빔의 스폿이 대물렌즈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하더라도, 커버레이어의 두께의 변화는 구면 수차를 변화시킨다. 만약 디스크가 대치되었을 때 광 픽업만이 대물렌즈를 이동시키면, 파면수차가 나빠진다. 따라서, 빔 스폿의 지름이 증가되어서, 광 디스크 장치가 CD로부터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들어, 기록된 정보가 DVD로부터 재생될 때, 구면 수차를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대물렌즈가 CD로부터의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구면 수차는 정보를 재생하기에는 너무 커서 빔 스폿이 정보 레이어와 일치하도록 대물렌즈가 이동되기도 한다.
따라서, 대물렌즈에 입사하는 레이저 빔의 상태를 커버 레이어의 두께에 따라 조정하는 광 픽업은 종래의 기술로 공지되어 있다.
예를들어, 일본국 가 특허 공개 제 7-98431호에는 이런 광 픽업이 게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설명되는 광 시스템은 대물렌즈의 레이저 소스측에 홀로그래픽 렌즈를 사용해서 레이저 소스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제로차 평행 회절 빔과 1차 발산 회절 빔으로 나눈다. 제로차 회절 빔은 두께가 더 얇은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광 디스크(즉, DVD)용으로 사용되고, 1차 회절 빔은 두께가 더 두꺼운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광 디스크(즉, CD 및 CD-R)용으로 사용된다. 공보상의 광 픽업은 홀로그래픽 렌즈가 커버 레이어의 두께에 따라 가장 적절한 레이저 빔을 얻도록 설계될 때, 각각의 광 디스크의 회절한정 빔 스폿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공보의 광 픽업은 광원으로부터의 레이저 소스를 항상 제로와 1차 회절 빔으로 나누고, 이들 빔중의 하나만이 기록/재생을 동시에 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광자의 사용시에 최대 효율은 40%을 넘지않는다.
또한, 회절 빔중의 하나가 정보의 기록/재생에 사용될 때, 다른 회절 빔은 불필요한 빔으로, 노이즈를 증가시킨다.
또한, DVD의 기록 밀도는 CD의 기록 밀도보다도 높고, 이는 CD전용으로 설계된 광 픽업(CD 전용 픽업)보다도 더 작은 빔 스폿을 형성하기 위해 DVD용 광 픽업을 필요로 한다. 빔 스폿의 지름이 레이저 빔의 파장과 정비례하기 때문에, DVD용 광 픽업은 발진파장이 CD전용 픽업의 발진파장(즉, 780 내지 830nm)보다도 더 짧은 635 내지 660nm인 레이저 소스를 필요로 한다. 반면에, CD-R의 반사 특성은 발진 파장이 약 780nm인 레이저 소스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공보에 게시된 단일 레이저 소스를 갖는 광 픽업이 더 짧은 발진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소스를 채용하는 경우, CD-R로부터의 정보를 재생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이한 두께를 가지고 있는 커버 레이어로 덮인 복수의 종류의 광 디스크의 데이터를 재생 및 판독할 수 있는 광 디스크 장치의 광 픽업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굴절 렌즈요소와 회절 렌즈요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광 픽업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픽업의 광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도 1의 광 시스템에 사용된 구면 수차 보정 요소의 전면도,
도 2b는 도 2a의 구면 수차 보정 요소의 횡단면도,
도 3a는 다른 구면 수차 보정 요소의 전면도,
도 3b는 도 3a의 구면 수차 보정 요소의 횡단면도,
도 4는 다양하게 블레이즈된 파장의 입상 격자의 회절 계수를 도시한 도면,
도 5a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 픽업의 광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5b는 도 5a의 광 픽업에 사용되는 레이저 모듈의 정면도,
도 6은 DVD와 같은 얇은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의 커버 레이어를 가진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대물렌즈의 렌즈 다이어그램,
도 7a 및 도 7b는 얇은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가 사용되었을 때,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대물렌즈의 다양한 수차를 도시한 그래프,
도 8은 CD 또는 CD-R과 같은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의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대물렌즈의 렌즈 다이어그램,
도 9a 및 도 9b는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가 사용되었을 때,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대물렌즈의 다양한 수차를 도시한 그래프,
도 10은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를 구비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대물렌즈의 렌즈 다이어그램,
도 11a 및 도 11b는 얇은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가 사용되었을 때,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대물렌즈의 다양한 수차를 도시한 그래프,
도 12는 두꺼운 커버 타입의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대물렌즈의 렌즈 다이어그램,
도 13a 및 도 13b는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가 사용되었을 때,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대물렌즈의 다양한 수차를 도시한 그래프,
도 14는 얇은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의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복합 대물렌즈의 렌즈 다이어그램,
도 15a 및 도 15b는 얇은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가 사용되었을 때, 제 3 실시예에 따른 복합 대물렌즈의 다양한 수차를 도시한 그래프,
도 16은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의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복합 대물렌즈의 렌즈 다이어그램,
도 17a 및 도 17b는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디스크가 사용되었을 때, 제 3 실시예에 따른 복합 대물렌즈의 다양한 수차를 도시한 그래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 레이어의 두께가 상이한 복수의 종류의 광 디스크(예를들어, CD, CD-R, DVD)의 정보를 기록/재생할 수 있는 광 픽업용 대물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공보에 게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광 픽업보다도 광자 사용효율이 더 높은 대물렌즈를 복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라서:
상이한 파장을 갖는 광 빔을 방사하기 위한 복수의 광원;
광원으로부터의 광빔을 광 디스크의 기록 레이어상으로 수렴시키는 회절 렌즈 요소; 및
동심 입상격자 구조가 형성된 구면 수차 보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사용되는 광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스위칭되고, 상기 입상 격자 구조는 커버 레이어의 두께 변화에 의한 구면 수차의 변화를 보정하기 위해서 파장의 변화에 반응해서 구면 수차를 변화시킨다.
이런 구조에서, 구면 수차 보정 요소는 레이저 빔의 파장의 변화에 따라 구면 수차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레이저 소스의 스위치는 커버 레이어의 두께의 변화에 기인한 구면 수차의 변화를 보상한다.
구면 수차 보정 요소는 근축 배율을 가지지 않고, 동일한 회절차수 예를들어 제 1 회절차수인 광 빔을 회절시킨다.
또한, 더 짧은 방사 파장을 갖는 광원은 더 높은 기록 밀도를 갖고 더 얇은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광 디스크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더 긴 방사 파장을 갖는 광원은 더 높은 기록 밀도를 갖고, 더 두꺼운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광 디스크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구면 수차 보정 요소의 주변 영역은 더 짧은 파장을 갖는 더 얇은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광 디스크에 최적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변 영역은 더 두꺼운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광 디스크에 필요한 개구수에 대응하는 유효지름의 외측이다. 즉, 주변 영역은 구면 수차 보정 요소의 유효지름의 85%라인의 외측이다. 주변 영역은 연속 표면 또는 격자 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주변 영역의 블레이즈된 파장은 중앙 영역의 파장보다 짧아야 한다.
구면 수차 보정 요소는 광원과 굴절렌즈 요소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굴절렌즈 요소와 구면 수차 보정 요소는 복합 대물렌즈를 구성한다. 복합 대물렌즈는 평행한 광빔이 렌즈에 입사되는 편향 시스템 또는 발산광 빔이 렌즈에 입사되는 편향시스템용으로 설계될 수 있다. 편향 시스템에는 광원과 복합 대물렌즈 사이에 콜리메이터 렌즈가 필요하다.
또한, 구면 수차 보정 요소는 입사광의 파장이 증가함에 따라서, 미보정된(undercorrected) 방향으로 구면 수차가 변하는 파장의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구면 수차 보정 요소는 커버 레이어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서, 과도 보정된(overcorrected)방향으로 변한다. 따라서, 더 긴 파장의 레이저 소스가 더 두꺼운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광 디스크용으로 사용되고, 더 짧은 파장의 레이저 소스가 더 얇은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광 디스크용으로 사용될 때, 커버 레이어의 두께의 변화에 의한 구면 수차의 변화는 상기 설명된 구면 수차 보정 요소의 파장의존성에 의해 보정된다.
입상격자 구조만큼 더해진 추가 광 경로의 길이는 하기의 광 경로 차등 함수Φ(h)에 의해 표현된다:
Φ(h)=(P2h2+P4h4+P6h6+…)×λ
여기서 P2, P4및 P6는 2차, 4차, 및 6차 회절 계수이고, h는 광축으로부터의 높이이고, λ는 입사광의 파장의 길이이다.
구면 수차 보정 요소의 입상격자 구조는 하기의 조건 식(1)을 만족할 수 있다:
(1) -15<Φ(h45)/λ-P2×(h45)2<-7
여기서 h45는 NA가 0.45인 광선이 입상 격자 구조를 투과하는 지점에서의 광축으로부터의 높이이다.
바람직하게는, 구면 수차 보정 요소의 일 표면이 연속 표면이고, 그 다른 면은 격자 표면이다. 격자 표면의 베이스 커브는 평면 또는 회전 대칭 구면이 될 수 있다. 베이스 커브는 입상 격자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 면의 형상으로 정의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픽업의 광 시스템을 도시한다. 광 픽업은 다양한 두께의 커버 레이어를 가지고 제공되는 복수의 종류의 광 디스크(예를들어, CD, CD-R, DVD)를 기록/재생할 수 있는 광 디스크 장치에 적용된다.
광 픽업의 광 시스템은 DVD모듈(11), CD모듈(12), 빔 콤바이너(13), 콜리메이터 렌즈(14) 및 복합 대물렌즈(20)를 포함한다. 모듈(11, 12) 각각에는 반도체 레이저 및 공통 기판에 장착된 센서가 제공된다. 모듈(11, 12)내의 반도체 레이저는 서로 다른 파장의 길이를 갖는 레이저 빔을 방사하고, 이들은 광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스위치된다.
제 1 실시예의 광 시스템은 무한 시스템이다. 각각의 모듈로부터의 레이저 빔은 콜리메이터 렌즈(14)를 통해서 평행한 레이저 빔으로 변환되어서, 복합 대물렌즈에 입사된다. 무한 시스템은 콜리메이터 렌즈(14)와 복합 대물렌즈(20)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는 광 디스크의 방사 방향에 따라 복합 대물렌즈만이 광 디스크의 방사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개별적인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광원부는 고정되며, 상기 광원부는 모듈(11, 12), 빔 콤바이너(13) 및 콜리메이터 렌즈(14)를 포함한다.
복합 대물렌즈(20)는 구절렌즈 요소(21) 및 구면 수차 보정 요소(22)로 구성된다. 복합 대물렌즈(20)는 초점 조정 메카니즘에 장착되어서 광 디스크의 정보 레이어의 위치에 따라 렌즈 위치를 조정한다.
굴절 렌즈 요소(21)는 비구면(211, 212)을 갖는 양쪽이 볼록한 플라스틱 렌즈이다. 굴절 렌즈 요소(21)는 포지티브 굴절력을 가지므로, 광 디스크의 기록 레이어상에 모듈(11, 12)로부터의 광빔을 수렴시킨다.
구면 수차 보정 요소(22)가 제 2 표면(222)상의 동심 입상 격자 구조에 제공된다. 제 1 표면(221)은 연속 표면이다. 입상 격자 구조는 파장의 변화에 따라 구면 수차를 변경시켜서, 커버 레이어의 두께의 변화에 기인한 구면 수차의 변화를 보정한다. 입상 격자의 모양은 후술한다.
DVD는 높은 기록 밀도를 가지는 얇은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이고, 그 커버 레이어의 두께는 0.6mm이다. 양호한 커버 스폿을 DVD상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635nm 내지 660nm범위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이 요구된다. 반면에, CD-R 및 CD는 낮은 기록밀도를 가지는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이다. CD-R 또는 CD의 커버 레이어의 두께는 1.2mm이다. CD-R은 그 스펙트럼 반사도에 기인해서 약 780nm의 파장의 레이저 빔이 요구된다.
따라서, DVD 모듈(11)의 반도체 레이저는 657nm파장의 레이저 빔을 방사하고, CD모듈(12)의 반도체 레이저는 780nm 또는 785nm 파장의 레이저 빔을 방사한다.
반도체 레이어로 부터 방사된 레이저 빔은 커버 레이어(D1: 실선으로 도시됨 또는 D2:점선으로 도시됨)를 통해서 정보 레이어상에 수렴된다.
얇은 커버 레이어(D1)를 갖는 얇은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가 사용되었을 때,DVD 모듈(11)이 동작되어서 레이저 빔(L1:실선으로 도시됨)이 방사된다. 복합 대물렌즈(20)는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위치된다. 레이저 빔(L1)은 얇은 커버 레이어(D1)를 통해서 얇은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의 정보 레이어에 수렴된다.
두꺼운 커버 레이어(D2)를 구비한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가 사용될 때, CD 모듈(12)은 레이저 빔(L2: 점선으로 도시됨)을 방사하도록 동작된다. 복합 대물렌즈(20)는 기록 레이어의 위치 이동에 따라서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레이저 빔(L2)은 두꺼운 커버 레이어(D2)를 따라서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의 정보 레이어 상에 수렴된다.
도 2a는 굴절 렌즈 요소(21)로부터 바라본 구면 수차 보정 회로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그 단면도이다. 구면 수차 보정 요소(22)의 제 1 표면(221)은 연속 표면, 즉 평면 또는 도로 작은 곡율을 가진 곡면이다. 제 2 표면(222)은 입상 격자 구조가 형성된 격자 평면이다. 프레넬 렌즈와 유사한 입상 격자 구조는 각각이 웨지형 단면 모양을 가진 다수의 동심원으로 형성된다. 인접한 원 사이의 경계 각각은 광 축 방향의 소정의 광 경로 편차를 주는 계단형으로 형성된다.
도 3a는 다른 구면 수차 보정 요소(23)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그 횡단면도이다. 구면 수차 보정 요소(23)의 제 1 표면(231)은 연속 표면, 즉 평면 또는 곡률이 극도로 작은 곡면이다. 격자 면의 제 2 면(232)은 입상 격자 구조가 형성된 격자 표면이다. 제 2 면(232)의 베이스 커브는 회전적으로 대칭형인 비구면 표면인 오목면이다. 입상 격자 구조는 각각이 광축에 수직인 면을 구비한 다수의 동심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접한 원 사이의 각각의 경계는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광 경로편차를 주는 계단으로 형성된다.
도 2a, 2b, 3a 및 3b는 입상 격자 구조의 원의 크기를 강조한다. 실제로, 계단의 높이는 λB/(n-1), 즉 약 1μm와 같아서 원의 수는 몇십개가 된다. λB는 블레이즈된 파장이고, n은 굴절률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표면의 베이스 커브가 평면일 때, 리소그래피 방법이 입상 격자 구조를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즉, 격자 면의 베이스 커브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면이고, 입상 격자 구조는 선반을 이용해서 기계적인 방법으로 형성된다.
어떤 경우든 입상 격자 구조는 파장 의존성을 가지고 있어서 입사광의 파장이 증가함에 따라서 구면 수차가 미보정된 방향으로 변화한다.
커버 레이어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서 구면 수차는 과도 보정된 방향으로 변화한다. 또한, 입상 격자 구조는 입사 레이저 빔의 증가에 따라 구면 수차를 미보정된 방향으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더 긴 파장 레이저 빔이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에 사용될수록, 더 짧은 파장의 레이저 빔이 얇은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에 사용되고, 커버 레이어의 두께의 변화에 기인한 구면 수차의 변화는 위상 격자 구조의 파장 의존성에 기인한 구면 수차의 변화에 의해 보정된다.
입상 격자 구조에 의해 추가된 추가적인 광 경로 길이는 하기의 광 경로 함수(Φ(h))에 의해 표현된다:
Φ(h)=(P2h2+P4h4+P6h6+…)×λ
여기서, P2h2, P4h4및 P6h6는 2 차, 4차 및 6차 계수이고, h는 광축으로부터의 높이이고, λ는 설계 파장이다. 함수Φ(h)는, 광축으로부터의 높이가 h인 입상 격자 구조의 한 지점에서, 격자에 의해 회절되지 않는다고 가정되었을 때의 가상광선과 격자에 의해 회절되는 광선 사이의 광 경로 편차를 나타낸다. 상기 식에서, 2 차 계수(P2)의 네거티브 값은 입상 격자 구조의 포지티브 근축 배율을 나타낸다. 또한, 네거티브 배율은 4차 계수(P4)가 제로보다 클 때, 광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한다.
입상 격자 구조의 실제 극히 작은 모양은 다수의 동심원을 갖는 프레넬 렌즈와 유사하게 나타난다. 실제 모양(Φ'(h))은 하기의 식과 같이 Φ(h)로부터 λ×m(m:정수)를 뺌으로써 정의된다.
Φ'(h)=(MOD(P2h2+P4h4+…+C, 1)-C)×λB
λB는 회절 격자의 계단이 일 파장만큼 광 경로 편차를 준 블레이즈된 파장이고, 회절률은 블레이즈된 파장(λB)에서 최대값이 된다. 기호 C는 인접한 원(0 C<1)사이의 경계에서의 위상을 나타낸다. 함수(MOD(x, y))는 x를 y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나타낸다. MOD(P2h2+P4h4+…+C, 1)는 경계에서 제로와 같다. 입상 격자 구조는 굴절 렌즈의 렌즈 표면인 베이스 커브상에 형성된다. 원의 기울기 및 계단은 광경로 편차가 Φ'(h)로 나타나도록 설계된다.
구면 수차 보정 요소(22)에 형성된 입상 격자 구조는 하기의 조건식(1)을 만족시킨다;
(1) -15<Φ(h45)/λ-P2×(h45)2<-7
여기서 h45는 NA가 0.45인 광선이 입상 격자 구조를 투과하는 위치에서의 광축으로부터의 높이이다.
조건식(1)이 만족될 때, 레이어의 두께의 변화에 기인한 구면 수차의 변화는 파장의 변화에 기인한 입상 격자 구조의 구면 수차의 변화에 의해 효과적으로 평형을 이룬다. 만약 조건식(1)의 중간식이 -15이하이면, 파장의 변화에 기인한 구면 수차의 변화는 더 커진다. 반면에, 조건식(1)의 중간식이 -7이상이면, 파장의 변화에 기인한 구면 수차의 변화는 더 작아지고, 커버 레이어의 두께의 변화에 기인한 구면 수차의 변화와 평형을 이룰 수 없다.
온도의 변화에 기인한 레이저 파장의 변화는 복합 대물렌즈(20)의 후면초점(backfocus)을 변화시켜서 에러를 야기시킨다. 온도의 변화에 기인한 후면초점의 변화가 매우 작기 때문에, 초점 에러는 광 픽업의 초점 조정 메카니즘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반면에, 레이저의 파장은 기록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높은 레벨과 낮은 레벨 사이의 레이저 출력의 스위칭에 의해 빠르게 변화한다. 빠른 파장의 변화는 초점 변화를 야기시켜서 포커스 조정 메카니즘에 의해 완벽하게 보정될 수 없게 한다. 따라서, 초점의 이동이 감소하도록 복합 대물 렌즈(2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점의 이동은 세로 색수차를 전체적으로 보정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대물렌즈(20)는 구면 수차에 있어서의 파장 의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로 색수차의 완벽한 보정은 오히려 최량의 초점 위치에서의 이동을 증가시킨다. 색수차의 보정은 파장의 변화에 기인한 구면 수차의 변화와 균형이 맞춰진다.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의 레이저 빔의 파장(λ1)의 길이는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의 레이저 빔의 파장(λ2)의 길이의 약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장의 차이가 극히 작을 때, 두 파장 사이의 구면 수차를 충분히 변화시키기 위해 다수의 계단은 입상 격자 구조이여야 한다. 다수의 단계가 광량의 손실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파장은 소정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입상 격자는 파장의 변화에 극히 민감해져서 반도체 레이저의 파장의 허용범위를 좁게 한다.
반면에, 파장의 차이가 너무 크면, 평균 회절률은 너무 커진다. 입상 격자 구조의 회절률은 블레이즈된 파장(λB)에서 100%이고, 블레이즈된 파장으로부터의 차이가 커질수록 회절률은 작아진다. 본 실시예의 광 픽업이 두개의 파장을 사용하고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파장은 블레이즈된 파장으로부터 남겨져야 한다. 이와 같이, 사용파장 사이의 큰 차이는 평균회절률을 떨어뜨린다.
도 4는 블레이즈된 파장(λB)이 650nm, 700nm, 또는 780nm으로 설정되었을 때의 회절률을 도시하고 있다. 어떤 경우든, 회절률은 665nm 내지 785nm의 범위에서 90%이상이다. 따라서, 파장(λ1, λ2)은 각각 665nm 및 785n일 때(λ12=0.84), 심지어 블레이즈된 파장(λB)이 665nm 내지 785nm의 범위의 임의 값을 가질 때, 회절률은 90%이상이다.
CD 나 CD-R은 0.50의 NA이면 충분하지만 DVD는 0.60의 NA를 요구한다. 0.50의 NA이외의 레이저 빔은 반대로 CD 나 CD-R을 재생하는데 나쁜 영향을 미친다. NA에 있어서 나쁜 영향을 미치는 레이저 빔은 CD나 CD-R에 대해 너무 작은 빔 스폿을 형성한다. 따라서, 주변 영역은 DVD에만 독점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목적에서, 구면 수차 보정 요소(22)의 주변 영역은 얇은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인 DVD에 대해서 최적화되어야 한다. 주변 영역은 NA 0.45 또는 NA 0.50에 따른 유효 지름의 외측이다. 바꿔 말하면, 주변 영역은 구면 수차 보정 요소(22)의 유효 지름의 85%의 외측이다. 격자 표면의 중심 영역은 DVD, CD 및 CD-R에 대해서 공통 영역이고, 격자 표면의 주변 영역은 DVD의 독점영역이다.
중앙 영역은 격자 표면으로 형성된다. 주변 영역은 연속 표면 또는 격자 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주변 영역의 수차는 DVD에 대해서 보정되어야 한다. 후자의 경우, 주변 영역의 블레이즈된 파장은 중앙 영역의 블레이즈된 파장보다 짧아야 한다. 주변 영역의 블레이즈된 파장이 중앙 영역보다도 더 짧을 때, CD 나 CD-R에서의 회절률은 감소하고 DVD에서의 회절률은 증가한다.
또한, 포지티브 굴절 렌즈의 구면 수차는 굴절률의 증가로 인해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과도 보정된 방향으로 변화하고, 반도체 레이저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방사된 레이저의 파장이 증가하도록 온도 의존성을 갖는다. 온도가 증가할 때, 굴절 렌즈는 과도 보정된 방향으로 구면 수차를 변화시키고,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방사된 광이 증가하기 때문에 입상 격자 구조는 미보정된 방향으로 구면 수차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회절 렌즈 및 입상 격자 구조에 의해 야기된 구면 수차의 변화는 서로 균형을 맞출 수 있다.
따라서, 굴절 렌즈 요소(21)는 온도의 증가에 따라 굴절률이 증가하는 수지로 만들어졌을 때, 입상 격자 구조는 중앙 지역에서는 물론이고, 주변 지역에서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주변 영역에서의 입상 격자 구조는 DVD에 대한 레이저 빔의 굴절률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중앙영역보다 더 짧은 블레이즈된 파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예
도 5a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 픽업의 광 시스템을 도시한다. 광 시스템은 레이저 모듈(30) 및 복합 대물렌즈(20)를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의 광 시스템은 수렴 레이저 빔이 복합 대물렌즈(20)에 입사되는 무한 시스템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모듈(30)에는 단일 칩 반도체 레이저(32), 프리즘(33) 및 실리콘 기판(31)상의 한쌍의 센서(34a, 34b)가 제공된다. 반도체 레이저(32)는 공통 칩상의 상이한 한쌍의 활성레이어로 구성되어서, 발산 파장이 서로 다른 광 방사 포인트(32a, 32b)를 형성한다. 광 방사 포인트사이의 거리는 약 100μm이다. 광 방사 포인트(32a, 32b)로부터 수렴된 레이저 빔은 45도 기울기의 프리즘에 의해 반사되어서, 발산 광 빔으로서 복합 대물렌즈상에 입사된다.
복합 대물렌즈(20)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굴절 렌즈 요소(21) 및 구면 수차 보정 요소(22)로 구성되어 있다.
얇은 커버 레이어(D1)를 구비한 얇은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가 사용될 때, 광 방사 포인트(32a)는 더 짧은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L1:실선으로 도시됨)을 방사하도록 조작된다. 복합 대물렌즈(20)는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위치된다. 레이저 빔(L1)은 얇은 커버 레이어(D1)를 통해서 얇은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의 정보 레이어상에 수렴된다.
두꺼운 커버 레이어(D2)를 구비한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가 사용될 때, 광 방사 포인트(32b)는 더 긴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L2:점선으로 도시됨)을 방사하도록 조작된다. 복합 대물렌즈(20)는 기록 레이어의 움직임을 따라서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위치된다. 레이저 빔(L2)은 두꺼운 커버 레이어(D2)를 통해서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의 정보 레이어상에 수렴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대물렌즈의 세가지 구체예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복합 대물렌즈(20)는 DVD와 같은 0.6mm두께의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얇은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와 CD 또는 CD-R과 같은 1.2mm두께의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 모두에 사용가능한 광 픽업용으로 설계된다. 입상 격자 구조는 구면 수차 보정 요소(22)의 제 2 표면(222)상에 형성된다.
제 1 예
도 6은 제 1 예의 복합 대물렌즈(20) 및 얇은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의 커버레이어(D1)를 도시한다. 도 8은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의 커버 레이어(D2)를 가진 복합 대물렌즈(20)를 도시한다. 그 수치구성이 테이블(1)에 나타나 있다. 표면(#1, #2)은 구면 수차 보정 요소(22)를 나타내고, 표면(#3, #4)은 굴절렌즈 요소(21)를 나타내고, 표면(#5, #6)은 광 디스크의 커버 레이어를 나타낸다.
테이블 1에서, NA는 개구수를, f(단위:mm)는 전체 초점의 길이를, ω(단위:도)는 시선의 절반각을, λ1(단위:nm)는 얇은 타입의 광디스크의 파장을, λ2(단위:nm)는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의 파장을, λB(단위:nm)는 중심 영역의 블레이즈된 파장을, h45(단위:mm)는 NA가 0.45인 광선이 입상 격자 구조를 투과하는 포인트의 광축으로부터의 높이를, r(단위:mm)는 표면 곡선의 반지름(비구면에서는 정점에서의 값)을, d1(단위:mm)는 얇은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의 광 축에 따른 표면 사이의 거리를, d2(단위:mm)는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의 거리를, nλ는 파장(λnm)에서의 굴절률을, νd는 아비 수(Abbe number)를 나타낸다.
구면 수차 보정 요소(22)의 표면(222:표면 #2)의 베이스 커브는 평면이다. 회절 렌즈 요소(21)의 평면(211, 212)은 모두 회전적으로 대칭인 비구면요소이다. 회전적으로 대칭인 비구면 요소는 하기의 방정식으로 표현된다.
X(h)는 SAG 즉, 광축으로부터의 높이가 h인 표면상의 안 포인트에서의 접면으로부터의 곡선의 거리이다. 기호 c는 표면의 정점의 곡률(1/r)이고, K는원뿔(conic) 상수이고, A4, A6, A8, A10및 A12는 각각 2차, 4차, 6차, 8차, 10차 및 12차 비구면 표면 계수이다. 상수 K 및 계수 A4내지 A12는 하기의 테이블2에 나타나있다.
또한, 테이블 2는 구면 수차 보정 요소(22)의 제 2 표면(222)상에 형성된 입상 격자 구조를 정의하는 광 경로 차등 함수 Φ(h)의 2차, 4차, 6차, 7차, 8차 및 10차(P2, P4, P6, P8, P10)계수를 각각 나타낸다.
{테이블 1}
λ1=657nm NA 0.60 f=3.50mm ω=1.0° h45=1.60mm
λ2=785nm NA 0.45 f=3.52mm ω=1.0°
λB=700nm
표면 번호 r d1 d2 n657 n785 νd
#1 ∞ 1.000 1.000 1.54056 1.53665 55.6
#2 ∞ 0.200 0.200
#3 2.084 2.400 2.400 1.54056 1.53665 55.6
#4 -12.230 1.706 1.344
#5 ∞ 0.600 1.200
#6 ∞
{테이블 2}
표면#2 표면#3 표면#4
K - -0.4400 0.0000
A4- -1.2400×10-31.9840×10-2
A6- -2.2800×10-4-5.8000×10-2
A8- -8.6000×10-54.7300×10-4
A10- 2.3300×10-51.0200×10-5
A12- -6.3900×10-60.0000
P20.0000
P4-1.3200
P6-2.1400×10-1
P82.5100×10-2
P100.0000
도 7a 및 도 7b는 얇은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가 657m의 파장에서 사용될 때, 대물렌즈에 따른 3차 수차를 도시한다: 도 7a는 파장 649nm, 657nm 및 665nm에서의 구면 수차(SA)를 도시한다: 도 7b는 난시(S: 새지털, M:메리디오널)를 도시한다.
도 7a의 세로축은 개구수(NA)를 나타내고, 도 4b의 세로축은 이미지의 높이(Y)를 나타낸다. 도 7a 및 7b 각각의 가로축의 단위는 "mm"이다. 도 9a 및 9b는 785nm의 파장에서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가 사용될 때로, 도 7a 및 7b와 유사하다.
구면 수차는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657nm 및 785nm 모두에서 확실하게 보정된다. 제 1 예에서, 입상 격자 구조는 유효 각도 내의 전체 영역내에서 구면 수차 보정 요소의 제 2 표면(222)상에 형성된다. 제 1 예에서, 표면(222)의 베이스 커브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이고, 표면(222)의 실제 모양(Δx(h))은 하기의 경로 차등 함수에 의해 표현된다.
Δx(h)=MOD(P2h2+P4h4+…, 1)×λB/(n-1).
{테이블 3}
원 번호 h(mm) 원 번호 h(mm) 원 번호 h(mm)
1 0.907 13 1.658 25 1.939
2 1.069 14 1.688 26 1.957
3 1.176 15 1.715 27 1.975
4 1.258 16 1.742 28 1.990
5 1.326 17 1.767 29 2.011
6 1.384 18 1.791 30 2.027
7 1.434 19 1.815 31 2.044
8 1.480 20 1.837 32 2.060
9 1.521 21 1.859 33 2.076
10 1.559 22 1.880 34 2.092
11 1.594 23 1.900
12 1.627 24 1.920
h45(=1.600mm)의 내부인 중심 영역은 번호 1 내지 11을 커버하고, h45인 주변영역은 번호가 12 내지 34인 원을 커버한다. 중심 영역의 블레이즈된 파장은 700nm와 동일하고, 주변 영역의 블레이즈 파장은 657nm와 동일하다. 즉, 주변 영역은 DVD에서 최적화된다.
제 2 예
도 10은 제 2 예의 복합 대물렌즈와 얇은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의 커버 레이어(D1)를 도시한다. 도 12는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20)의 커버 레이어(D2)를 구비한 복합 대물렌즈(20)를 도시한다. 그 수치구조는 테이블 4에 나타나있다. 테이블 5는 원뿔 상수, 비구면 계수 및 광 경로 차등 함수의 계수를 나타낸다.
{테이블 4}
λ1=657nm NA 0.60 f=3.80mm ω=0.9° h45=1.72mm
λ2=780nm NA 0.45 f=3.82mm ω=0.9°
λB=700nm
표면 번호 r d1 d2 n657 n785 νd
#1 ∞ 1.500 1.500 1.54056 1.53677 55.6
#2 ∞ 0.250 0.250
#3 2.434 2.840 2.840 1.54056 1.53675 55.6
#4 -7.862 1.862 1.500
#5 ∞ 0.600 1.200
#6 ∞
{테이블 5}
1 표면#2 표면#3 표면#4
K 0.0000 -0.4400 0.0000
A41.500×10-3-4.2045×10-41.9840×10-2
A60.0000 -9.6210×10-5-3.1400×10-3
A81.500×10-54.2851×10-53.0500×10-4
A100.0000 -4.6156×10-6-8.0000×10-5
A120.0000 -4.0000×10-70.0000
P20.0000
P4-1.1551
P60.0000
P8-1.1551×10-2
P100.0000
도 11a 및 도 11b는 두꺼운 커버타입의 광디스크가 파장 657nm에서 사용될 때의 구면 수차 및 난시를 도시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가 파장 780nm에서 사용될 때의 구면 수차 및 난시를 도시한다.
제 2 예에서, 입상 격자 구조는 비구면 베이스 커브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입상 격자 구조의 구면 수차는 구면 수차 보정 요소(22)의 파장 의존성을 유지하면서 비구면 베이스 커브의 구면 수차와 균형이 맞춰진다. 이는 구면 수차 보정 요소(22)에서의 광선의 벤딩을 최소화해서, 굴절 렌즈 요소(21)와 구면 수차 보정 요소(22)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기인한 다양한 수차의 변화를 감소시킨다.
격자 표면의 실제 모양은 베이스 커브상에 상기 설명된 광 경로 차등 함수로 표현된 입상 격자 구조를 오버랩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그 결과, 각각의 원의 표면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에 수직인 평면이다.
계단(T)은 λB/(n-1)=0.007/(1.53906-1)=0.0013(mm)와 같다. 즉 계단은 1.3μm이다.
제 3 예
도 14는 제 3 예의 복합 대물 렌즈(20) 및 얇은 커버타입의 광 디스크의 커버 레이어(D1)를 도시한다. 도 16은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의 커버 레이어(D2)를 구비한 복합 대물렌즈(20)를 도시한다. 그 수치구조는 테이블 6에 나타나있다. 테이블 7는 원뿔 상수, 비구면 계수 및 광 경로 차등 함수의 계수를 나타낸다.
{테이블 6}
λ1=657nm NA 0.60 f=3.06mm ω=1.1° h45=1.38mm
λ2=780nm NA 0.50 f=3.08mm ω=1.1°
λB=700nm
표면 번호 r d1 d2 n657 n780 νd
#1 ∞ 1.500 1.500 1.54056 1.53677 55.6
#2 ∞ 0.200 0.200
#3 1.954 1.954 2.287 1.54056 1.53675 55.6
#4 -6.293 1.421 1.500
#5 ∞ 0.600 1.200
#6 ∞
{테이블 7}
표면#2 표면#3 표면#4
K 0.0000 -0.4430 0.0000
A43.200×10-3-8.8000×10-32.6900×10-2
A62.3000×10-4-1.5100×10-4-9.3440×10-3
A83.800×10-5-8.5000×10-51.4050×10-3
A100.0000 3.0000×10-7-5.7000×10-5
A120.0000 -8.0200×10-60.0000
P20.0000
P4-2.6326
P6-1.8917×10-1
P8-3.1279×10-2
P100.0000
도 15a 및 도 15b는 얇은 커버타입의 광디스크가 파장 657nm에서 사용될 때의 구면 수차 및 난시를 도시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두꺼운 커버 타입의 광 디스크가 파장 780nm에서 사용될 때의 구면 수차 및 난시를 도시한다.
제 3 예에서, 입상 격자 구조는 제 2 예와 마찬가지로 비구면 베이스 커브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입상 격자 구조의 구면 수차는 구면 수차 보정 요소(22)의 파장 의존성을 유지하면서 비구면 베이스 커브의 구면 수차와 균형이 맞춰진다.
격자 표면의 실제 모양은 베이스 커브상에 상기 설명된 광 경로 차등함수로 표현된 입상 격자 구조를 오버랩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그 결과, 각각의 원의 표면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에 수직인 평면이다. 계단(T)은 λB/(n-1)=0.000657/(1.54056-1)=0.00122(mm)와 같다. 즉 계단은 1.22μm이다.
이 경우에, 구면 수차 보정 요소(22)는 657nm에서 구면 수차를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NA 0.60에서 수차를 가지지 않는 굴절 렌즈 요소(21)는 구면 수차 보정 요소(22)를 가지고 사용된다. 구면 수차 보정 요소(21)의 격자 표면의 주변 영역은 연속 표면으로 형성된다. 주변 영역은 입상 격자 구조에 기인한 광 손실없이 657nm에서 광빔을 가지고 빔 스폿을 형성한다. 반면에, 주변부는 780nm에서 광빔으로 빔 스폿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지 않아서, CD 또는 CD-R용으로 너무 작은 빔 스폿을 형성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하기의 테이블 8은 조건식(1)에 대한 제 1 내지 제 3의 값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 모두는 조건식(1)을 만족해서, 커버 레이어의 두께의 변화에 기인한 파면수차의 열화를 감소시킨다.
{테이블 8}
제 1 예 제 2 예 제 3 예
조건식(1) -11.2 -10.9 -11.2
Φ(h45)/λ-P2×(h45)

Claims (27)

  1. 상이한 두께를 갖는 커버 레이어가 각각 제공된 적어도 두 종류의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광 픽업에 있어서, 상기 광 픽업은:
    상이한 파장을 갖는 광 빔을 방사하기 위한 복수의 광원;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 빔을 상기 광 디스크의 기록 레이어상으로 수렴시키는 굴절 렌즈 요소;
    동심 입상 격자 구조가 형성된 구면 수차 보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광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서로 스위칭되고, 상기 입상 격자 구조는 상기 커버 레이어의 두께의 변화에 기인한 구면 수차의 변화를 보정하기 위해 파장의 변화에 따라 구면 수차를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수차 보정 요소는 근축 배율을 가지지 않고 동일한 회절 차수인 상기 광빔을 회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3. 제 1 항에 있어서, 더 짧은 방사 파장을 가지는 상기 복수의 광원중의 하나는 더 높은 기록 밀도를 갖는 더 얇은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상기 광 디스크 중의 한 종류에 사용되고, 더 긴 방사 파장을 갖는 상기 광원중의 다른 하나는 더 낮은 기록 밀도를 갖는 더 두꺼운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상기 광 디스크의 다른 종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수차 보정 요소의 격자 표면의 주변 영역은 더 짧은 파장을 갖는 더 얇은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광 디스크의 한 종류에 최적화된 연속 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변 영역은 더 두꺼운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다른 종류의 광 디스크에 필요한 개구수에 대응하는 유효 지름의 외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수차 보정 요소의 격자 표면의 주변 영역은 상기 중심 영역의 입상 격자 구조와 상이한 입상 격자 구조를 가지고,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입상 격자 구조는 더 짧은 파장을 갖는 더 얇은 커버 레이어를 구비한 광 디스크중의 한 종류에 최적화되고, 상기 주변 영역은 더 두꺼운 레이어를 구비한 다른 종류의 광 디스크에 필요한 개구수에 대응하는 유효지름의 외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수차 보정 요소는 상기 광원과 상기 굴절 렌즈 요소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 격자 구조는, 구면 수차가 입사광의 파장이 증가함에 따라 미보정된 방향으로 변하는 파장 의존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8. 제 7 항에 있어서, 조건식 (1):
    (1) -15<Φ(h45)/λ-P2×(h45)2<-7
    이 만족되고, 여기서 h45는 NA가 0.45인 광선이 상기 입상 격자 구조를 투과하는 위치에서의 광축으로부터의 높이이고, λ는 설계 파장이고, P2는 상기 입상 격자 구조에 의해 추가된 추가 광 경로 길이가 하기의 차등 함수 Φ(h):
    Φ(h)=(P2h2+P4h4+P6h6+…)×λ
    에 의해 표현될 때, 2차 계수이고,
    상기 P4및 P6은 4차 및 6차의 계수이고, h는 광축으로부터의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9. 제 6 항에 있어서, 발산되는 광 빔을 평행 광 빔으로 변환하도록 상기 복수의 광원과 상기 구면 수차 보정 요소사이에 위치되는 콜리메이터 렌즈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발산 광빔은 상기 구면 수차 보정 요소에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11. 상이한 두께를 갖는 커버 레이어가 제공된 적어도 두 종류의 광 디스크에 사용되는 광 픽업의 복합 대물 렌즈에 있어서, 상기 복합 대물렌즈는:
    포지티브 배율을 갖는 굴절렌즈 요소; 및
    동심 입상 격자 구조가 형성된 구면 수차 보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격자 구조는 상기 커버 레이어의 두께의 차이에 기인한 구면 수차의 변화를 보정하기 위해 파장의 변화에 따라서 구면 수차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의 복합 대물렌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수차 보정 요소는 근축 배율을 가지지 않고, 동일한 회절 차수이고 상이한 파장을 갖는 광빔을 회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대물렌즈.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 렌즈 요소는 이중-비구면이고 단일-피스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대물렌즈.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수차 보정 요소의 일 표면은 연속 표면이고, 다른 표면은 격자 표면이고, 상기 격자 표면의 베이스 커브는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대물렌즈.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수차 보정 요소의 일 표면은 연속 표면이고,다른 표면은 격자 표면이고, 상기 격자 표면의 베이스 커브는 회전적으로 대칭인 비구면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대물렌즈.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 격자 구조는 상기 구면 수차 보정 요소의 격자 표면의 중심 영역내에 형성되고, 상기 격자 표면의 주변 영역은 연속 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변 영역과 중심영역은 상기 구면 수차 보정 요소의 유효 지름의 85%라인에 의해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대물렌즈.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 격자 구조는 상기 입상 격자 보정 요소의 격자 표면의 전체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격자 표면의 주변 영역 내의 상기 입상 격자 구조의 블레이즈된 파장은 상기 격자 구조의 중심 영역의 블레이즈된 파장보다 더 짧고, 상기 주변 영역 및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구면 수차 보정 요소의 유효 지름의 85%라인에 의해 나누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대물렌즈.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 격자 구조는 구면 수차가 입사 광의 파장이 증가함에 따라 미보정된 방향으로 변하는 파장 의존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대물렌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조건식 (1):
    (1) -15<Φ(h45)/λ-P2×(h45)2<-7
    이 만족되고, 여기서 h45는 NA가 0.45인 광선이 상기 입상 격자 구조를 투과하는 위치에서의 광축으로부터의 높이이고, λ는 설계 파장이고, P2는 상기 입상 격자 구조에 의해 추가된 추가 광 경로 길이가 하기의 차등 함수 Φ(h):
    Φ(h)=(P2h2+P4h4+P6h6+…)×λ
    에 의해 표현될 때, 2차 계수이고,
    상기 P4및 P6은 4차 및 6차의 계수이고, h는 광축으로부터의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대물렌즈.
  20. 상이한 두께를 갖는 커버 레이어가 각각 제공되는 적어도 두 종류의 광 디스크에 사용되는 광 픽업의 복합 대물 렌즈와의 조합으로서 사용되는 구면수차 보정 요소에 있어서, 상기 보정 요소는:
    상기 커버 레이어의 두께의 변화에 기인한 구면 수차의 변화를 보정하기 위해 파장의 변화에 따라 구면 수차를 변경하기 위한 동심 입상 격자 구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 수차 보정 요소.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근축 배율이 제공되지 않고, 상이한 파장을 갖는 광빔은 동일한 회절 차수로 회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 수차 보정 요소.
  22. 제 20 항에 있어서, 일표면이 연속 표면이고, 다른 면이 격자 표면이고, 상기 격자 표면의 베이스 커브는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 수차 보정 요소.
  23. 제 20 항에 있어서, 일표면이 연속 표면이고, 다른 면이 격자 표면이고, 상기 격자 구조의 베이스 커브는 회전적으로 대칭인 비구면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 수차 보정 요소.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 격자 구조는 격자 표면의 중심 영역내에 형성되고, 상기 격자 표면의 주변 영역은 연속 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변 영역 및 상기 중심 영역은 유효 지름의 85%라인에 의해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 수차 보정 요소.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 격자 구조는 격자 표면의 전체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격자 표면의 주변 영역 내의 상기 입상 격자 구조의 블레이즈된 파장은 상기 격자 구조의 중심 영역의 블레이즈된 파장보다 더 짧고, 상기 주변 영역 및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구면 수차 보정 요소의 유효 지름의 85%라인에 의해 나누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 수차 보정 요소.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 격자 구조는 구면 수차가 입사 광의 파장이증가함에 따라 미보정된 방향으로 변하는 파장 의존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 수차 보정 요소.
  27. 제 26 항에 있어서, 조건식 (1):
    (1) -15<Φ(h45)/λ-P2×(h45)2<-7
    이 만족되고, 여기서 h45는 NA가 0.45인 광선이 상기 입상 격자 구조를 투과하는 위치에서의 광축으로부터의 높이이고, λ는 설계 파장이고, P2는 상기 입상 격자 구조에 의해 추가된 추가 광 경로 길이가 하기의 차등 함수 Φ(h):
    Φ(h)=(P2h2+P4h4+P6h6+…)×λ
    에 의해 표현될 때, 2차 계수이고,
    상기 P4및 P6은 4차 및 6차의 계수이고, h는 광축으로부터의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 수차 보정 요소.
KR1020017008637A 1999-01-08 2000-01-04 광 픽업 KR200101122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02563 1999-01-08
JP256399 1999-01-08
PCT/JP2000/000008 WO2000041173A1 (en) 1999-01-08 2000-01-04 Optical pick-u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235A true KR20010112235A (ko) 2001-12-20

Family

ID=1153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637A KR20010112235A (ko) 1999-01-08 2000-01-04 광 픽업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60295B1 (ko)
KR (1) KR20010112235A (ko)
CN (1) CN1209763C (ko)
DE (1) DE10083680T1 (ko)
WO (1) WO20000411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959B1 (ko) * 2000-10-03 2007-10-2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기록매체 주사용 광학 헤드 및 광학 주사장치
KR100805266B1 (ko) * 2000-11-09 2008-02-2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기록매체를 주사하는 광학 헤드
JP2003067972A (ja) * 2001-05-29 2003-03-07 Nec Corp 光ヘッド装置および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3864749B2 (ja) * 2001-10-11 2007-01-1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の光学系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の対物レンズ
US7245407B2 (en) * 2002-06-10 2007-07-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plex objective lens compatible with information media of different thicknesses
JP2004062971A (ja) * 2002-07-26 2004-02-2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対物レンズユニット、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US7248409B2 (en) * 2002-11-25 2007-07-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element, optical lens, optical head apparatus, optical information apparatus, computer, optical information medium player, car navigation system, optical information medium recorder, and optical information medium server
US7443778B2 (en) 2003-02-27 2008-10-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head device and optical information device using the same, computer, optical disk player, car navigation system, optical disk recorder, and optical disk server
JP2004288336A (ja) * 2003-03-25 2004-10-14 Hitachi Ltd 光ヘッド
WO2004093063A2 (en) * 2003-04-17 2004-10-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system
JP4321217B2 (ja) * 2003-10-31 2009-08-26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光学素子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4451268B2 (ja) * 2004-03-04 2010-04-14 株式会社リコー 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と、これを用いた光学製品、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情報処理装置
CN1910671A (zh) * 2004-03-19 2007-02-07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光拾取装置用对物光学系统、光拾取装置以及光信息记录再生装置
WO2005101392A1 (ja) * 2004-04-15 2005-10-27 Pioneer Corporation 多層ディスク用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7004875A (ja) * 2005-06-22 2007-01-11 Sony Corp 光ピックアップ
US7593305B1 (en) 2005-09-09 2009-09-22 Seagate Technology Llc Removing spherical aberrations for two photon recording
US20090245074A1 (en) * 2008-04-01 2009-10-01 Tunable Optix Corporation Pick-up head assembly for optical disc employing electrically tunable liquid crystal lens
JP5319978B2 (ja) * 2008-07-28 2013-10-16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アエレクトロニクス 光ピックアップ装置、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回折格子
CN105665934A (zh) * 2012-02-10 2016-06-15 Limo专利管理有限及两合公司 工件表面加工或涂层后处理设备与方法以及工件涂层方法
CN104880753B (zh) * 2015-05-05 2018-07-20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用于制作菲涅尔光栅的优化设计方法
US9915819B2 (en) * 2015-06-02 2018-03-13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Fiber-optic methods and devices enabling multiphoton imaging with improved signal to-noise rati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3766A (ja) 1992-04-27 1993-1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用光学素子とそれを用いた光ヘッド
JP3200171B2 (ja) 1992-06-10 2001-08-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ディスクプレーヤ
DE4323971C2 (de) * 1992-07-16 2002-11-07 Asahi Optical Co Ltd Schreib-/Lesegerät für eine optische Speicherplatte
JP2532818B2 (ja) 1993-02-01 1996-09-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対物レンズおよび光ヘッド装置
EP0747893B1 (en) 1995-06-05 2003-05-02 Nec Corporation Optical head apparatus for different types of disks
JPH09161307A (ja) 1995-12-08 1997-06-20 Hitachi Ltd 光学ヘッドおよび光学式情報再生装置
JP3454017B2 (ja) 1996-04-19 2003-10-06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3575017B2 (ja) * 1996-05-16 2004-10-0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H09306108A (ja) 1996-06-18 1997-11-28 Mitsumi Electric Co Ltd 大容量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およびそのフォーマット方法
JPH1027373A (ja) 1996-07-11 1998-01-27 Hitachi Ltd 光ヘッド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263154B1 (ko) 1996-08-29 2000-09-01 윤종용 광학적 위상판을 사용한 광픽업
JPH10188322A (ja) 1996-12-26 1998-07-21 Nec Corp 光ヘッド
EP1884944B1 (en) 1997-03-13 2014-08-27 Hitachi Maxell, Ltd. Compatible objective lens
JP3653923B2 (ja) * 1997-03-19 2005-06-0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H10334504A (ja) 1997-05-29 1998-12-18 Nec Corp 光ヘッド装置
JPH1116194A (ja) 1997-06-24 1999-01-22 Nec Corp 光ヘッド装置
US6088322A (en) 1998-05-07 2000-07-11 Broome; Barry G. Single objective lens for use with CD or DVD optical disks
MY117429A (en) 1998-06-26 2004-06-30 Hoya Corp Objective lens for optical pick-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41173A1 (en) 2000-07-13
US6760295B1 (en) 2004-07-06
CN1209763C (zh) 2005-07-06
CN1354875A (zh) 2002-06-19
DE10083680T1 (de) 200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8594A (en) Objective lens for optical pick-up
US6807019B2 (en) Objective lens having diffractive structure for optical pick-up
KR100361587B1 (ko) 광헤드용 대물렌즈
US6760295B1 (en) Optical pick-up
JP3689266B2 (ja) 光ヘッド用対物レンズ
US6791932B1 (en) Optical system of optical pick-up
JP2011014236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用の対物光学系、光ピックアップ装置、光情報記録媒体のドライブ装置、集光レンズ、及び光路合成素子
JP2004005943A (ja) 記録再生用光学系、対物レンズ、収差補正用光学素子、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H11271611A (ja) 二種類の光学ディスクの駆動能力を有する光学ディスクドライブのピックアップヘッド用プリズム型対物レンズ
US6480344B1 (en) Objective lens for optical pick-up
US7133332B2 (en) Light converging apparatus with aberration correcting element with paraxial power which has temperature dependency
US6473387B1 (en) Optical disc apparatus
JP4162996B2 (ja) 光走査デバイス
US7280444B2 (en) Objective optical element,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2000260056A (ja) 複合対物レンズ,球面収差補正素子及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US6741402B2 (en) Objective lens for optical head
JP2001194581A (ja) 対物レンズ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3911104B2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の光学系
US6775064B2 (en) Objective lens for optical pick-up
JP2003156681A (ja) 光ヘッドの光学系および光ヘッド用対物レンズ
JP2002236252A (ja) 対物レンズ、カップリングレンズ、集光光学系、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2004326868A (ja) 対物光学素子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9117030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用の対物レンズ、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4375108B2 (ja) 光ヘッド装置
KR20100111150A (ko) 호환형 대물렌즈 및 그를 이용한 광픽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