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057A -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 - Google Patents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057A
KR20010109057A KR1020000030221A KR20000030221A KR20010109057A KR 20010109057 A KR20010109057 A KR 20010109057A KR 1020000030221 A KR1020000030221 A KR 1020000030221A KR 20000030221 A KR20000030221 A KR 20000030221A KR 20010109057 A KR20010109057 A KR 20010109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xi
vehicle
lamp device
detachable
toggl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호
Original Assignee
강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20000030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9057A/ko
Publication of KR20010109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05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the vehicle body, e.g. with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1Indicating device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states or condition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택시용 램프장치로서,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토글스위치와, 상기 토글스위치에 직렬연결되어, 온/오프상태를 무선송신하기 위한 RF 송신기와, 상기 RF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수신기와, 이 RF 수신기에 연결되는 전원공급용 배터리와, 이 배터리에 의해 점등제어되는 조명램프를 구비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DETACHABLE ILLUMINATING APPARATUS FOR TAXI}
본 발명은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택시의 운행 또는 비번을 용이하게 식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택시용 램프장치에 대해 도 1의 (a), (b)를 참조하면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a)는 종래의 택시용 램프장치를 부착한 차량의 형상을 도시하고, (b)는 차량이 비근무중인 상태를 알리는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은 차량의 바디를 나타내고, 30은 조명램프를 나타낸다. 도 1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택시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조명램프는 가동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차량의 내부로부터 상단부분을 관통하여 고정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택시 등의 차량은 제도에 따라 근무일과 비근무일로 구분되어 운행되도록 하고 있다. 만약 차량이 근무일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택시상단부에 설치된 조명램프(30)를 점등한 상태로 주행하면서, 승객의 탑승여부에 따라 주행미터기를 작동하게 되어 있다.
이때 택시 등의 차량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램프장치는, 차량 내부를 관통하여 연결된 전원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항상 점등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차량이 비근무일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미터기의 뒷면 패널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쉬는 차」등의 표시를 하여 차량이 영업용으로 운행될 수 없는 것임을 알리게 된다. 이것은 차량의 연속적인 운전으로 인한 운전자의 피로누적 등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택시용 램프장치는, 상부에 장착된 램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되며, 특히 전원이 차량의 내부에서 제공되기 때문에 긴 전원선로를 확보해야 되고 차량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미터기의 일면 패널을 이용하여 운행가능 여부 차량인지를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택시 이용자들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운행가능 여부를 알리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택시 이용에 따른 승객의 불편이 높아지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택시의 청정부를 관통하지 않은 상태로 램프장치를 설치할 수 있고, 운전자의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도 운전가능 차량의 여부를 확인 시킬 수 있는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의 (a)는 종래의 택시용 램프장치를 부착한 차량의 형상을 도시하고, (b)는 차량이 비근무중인 상태를 알리는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를 채용한 차량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부호의 설명*
10 : 토글스위치 20 : RF 송신기
30 : 조명부 31 : 조명램프
32: RF 수신기 34 : 배터리(battery)
36 : 자석 40 : 택시용 램프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는, 택시용 램프장치로서,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토글스위치와,
상기 토글스위치에 직렬연결되어, 온/오프상태를 무선송신하기 위한 RF 송신기와,
상기 RF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수신기와, 이 RF 수신기에 연결되는 전원공급용 배터리와, 이 배터리에 의해 점등제어되는 조명램프를 구비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조명부는, 차량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부착가능한 자석을 내장하여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의 상부를 관통하지 않게 되어 손상을 방지하고, 램프장치를 착탈식으로 간단히 구성하게 되며, 운전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차량의 운행가능여부를 명확히 승객에게 알릴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 실시예 )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고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를 채용한 차량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참조부호 10은 토글스위치로, 운전자가 간편히 작동시킬 수 있다. 또 20은 본 발명에 의해 새롭게 구비되는 RF 송신기로, 후술하는 RF 수신기측으로 점등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도 3에서 1은 차체 바디, 2는 주행패널을 나타내고 있다. 부호 30은 택시의 상단부에 자석식으로 부착되는 조명부, 31은 조명램프, 32는 상기 조명부에 내장되는 RF 수신기, 34는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battery), 36은 상부부착용 자석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40)는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현행의 택시용 차량의 운전체계는 운전자의 근무여건이나 피로도 등을 고려하여 근무일과 비근무일로 구분되고 있다.
만약 해당 차량이 근무용 차량이라면, 본 발명에 의한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40)를 간단히 차량의 상부에 올려 놓고, 조명부(30)에 내장된 자석(36)을 이용하여 차량의 바디에 부착시켜 둔다. 이때 조명부(30)에는 조명램프(31)를 점등하기 위한 전원인 배터리(34)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택시 차량의 운전자측에 설치된 RF 송신기(20)에 부착되어 있는 토글스위치(10)를 온(ON)시키고, 이 상태를 RF 송신기(20)를 통해 조명부(30)에 설치되어 있는 RF 수신기(32)측에 무선송신한다. RF 수신기(32)에서는 전원점등을 통지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함께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34)의 전원을 가동시켜 조명램프(31)를 점등하게 된다.
한편, 규정에 의해 택시의 영업용 운행이 제한되는 경우라면, 택시의 운전자는 간단히 토글스위치(10)를 차단(OFF)시키고, 차량의 상부에 설치된 조명부(30)를 분리시킴으로써 영업용 운행차량이 아님을 표시하게 된다.
실제로, 택시를 이용하는 승객의 입장에서는, 승객측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내부에 작은 글씨로 나타내고 있는 「쉬는 차」등의 운행 불능표식을 쉽게 구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당해 운행 불능 표식을 한 차량이 가까이 접근했을 때에는 매우 당황스럽게 된다. 아울러 이로 인해 승객과 운전자간에는 불필요한 오해가 발생할 소지도 많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를 이용하게되면, 간단한 구성의 장치만으로 정확히 차량의 운행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운전자와 승객모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스위치로 토글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전원을 온/오프 전환시킬 수 있는 종류의 것이라면 토글스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기계식 또는 전자식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차량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명부에 내장되는 자석의 크기나 용량에 대해서는, 조명부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정도면 되므로 크기나 용량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는 현재 가장많이 이용되는 택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영업용이 가능한 차량이라면 택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택시의 운행가능여부를 명확히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부를 착탈가능하기 때문에, 차량의 천정부를 훼손시키지 않고도 영업중이 택시 차량임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통해 각종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택시용 램프장치로서,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토글스위치와,
    상기 토글스위치에 직렬연결되어, 온/오프상태를 무선송신하기 위한 RF 송신기와,
    상기 RF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수신기와, 이 RF 수신기에 연결되는 전원공급용 배터리와, 이 배터리에 의해 점등제어되는 조명램프를 구비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차량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부착가능한 자석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
KR1020000030221A 2000-06-01 2000-06-01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 KR200101090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221A KR20010109057A (ko) 2000-06-01 2000-06-01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221A KR20010109057A (ko) 2000-06-01 2000-06-01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057A true KR20010109057A (ko) 2001-12-08

Family

ID=45856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221A KR20010109057A (ko) 2000-06-01 2000-06-01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905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1168A (zh) * 2013-05-14 2013-08-14 济南大学 一种多功能出租车空车灯
CN104077812A (zh) * 2013-03-28 2014-10-01 杨川 一种使出租车计价器自动工作的设备
KR20190020892A (ko) * 2017-08-22 2019-03-05 이창율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
CN110281840A (zh) * 2019-06-26 2019-09-27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用户终端、云服务器、寻车系统及方法
KR102433754B1 (ko) * 2022-04-29 2022-08-18 주식회사 에이스큐브 무선 방식 택시 방범등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7812A (zh) * 2013-03-28 2014-10-01 杨川 一种使出租车计价器自动工作的设备
CN103241168A (zh) * 2013-05-14 2013-08-14 济南大学 一种多功能出租车空车灯
KR20190020892A (ko) * 2017-08-22 2019-03-05 이창율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
CN110281840A (zh) * 2019-06-26 2019-09-27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用户终端、云服务器、寻车系统及方法
KR102433754B1 (ko) * 2022-04-29 2022-08-18 주식회사 에이스큐브 무선 방식 택시 방범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43853A3 (en) Wireless remote vehicle signal indicator for supplementing existing vehicle signal indicators
US10829038B1 (en) Illuminated message display indicator system
US9466211B1 (en) Early warning system of emergency vehicles for alerting roadway traffic
KR20010109057A (ko)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
KR101152985B1 (ko) 트렁크 리드에 탈부착 가능한 차량용 안전판 장치
KR101989848B1 (ko)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
CN202563696U (zh) 一种车载红绿灯识别显示装置
CN102416899B (zh) 电子三角警示器
US20150203025A1 (en) Reverse Light Assembly for Tractor-Trailers
CN201183467Y (zh) 安全行车指示装置
JP4199226B2 (ja) 保守用車自動停止装置
CN211506580U (zh) 车辆营运状态的指示装置及具有指示装置的汽车
KR200413184Y1 (ko) 싸인 보드의 제어장치
KR20120132845A (ko) 자전거의 주행방향 표시장치
KR200215243Y1 (ko) 자동차의 안전표지판 신호기
GB2362020A (en) Warning device to alert people to in-car use of a mobile phone
KR20050024910A (ko)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신호등 정보표시장치
CN211124384U (zh) 一种基于fm的车载交通信号灯播报显示系统
KR100913994B1 (ko) 철도차량 조명등 제어시스템
RU102572U1 (ru) Пульт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маневровым локомотивом
CN203805789U (zh) 车辆安全系统
KR0150536B1 (ko) 안테나를 이용한 비상등 장치
CN2654432Y (zh) 机动车超车报警装置
KR20050068708A (ko) 비상 교통 통제시스템
ITBO20010061A1 (it) Sistema di segnalazione veicol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