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848B1 -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848B1
KR101989848B1 KR1020170105775A KR20170105775A KR101989848B1 KR 101989848 B1 KR101989848 B1 KR 101989848B1 KR 1020170105775 A KR1020170105775 A KR 1020170105775A KR 20170105775 A KR20170105775 A KR 20170105775A KR 101989848 B1 KR101989848 B1 KR 101989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turned
meter
external circuit
tax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892A (ko
Inventor
이창율
정현준
Original Assignee
이창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율 filed Critical 이창율
Priority to KR1020170105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8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택시 방범등(표시등) 내부에 설치되는 외부회로기판과 외부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차량 배터리와 연결하기 위해 차량 내부를 거쳐서 설치될 배선 등이 불필요해짐으로 차량 루프 패널의 손상이 없고, 자석 탈부착식으로 택시 방범등을 부착하기에 택시 영업일이 아니거나 택시 영업구역이 아닌경우에는 탈착할 수 있어, 차량의 사용도를 높이고, 외관을 보호하며, 모드별 구성으로 택시 방범등(표시등), 빈차등을 특정 상황에 부합하도록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모드별 간편한 조작으로 운전자의 수고스러움을 덜어주고,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택시 미터기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릴레이를 포함하고, 미터기의 온, 오프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는 빈차등; 택시 외부의 방범등 내부에 설치되어, 상황에 따라 기본색상, 꺼짐(OFF), 및 기본색상과 다른 색상이 발광하는 외부회로기판; 외부회로기판을 조절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내부회로기판; 내부회로기판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전원 잔량, 방범등의 발광색상, 빈차등의 발광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방범등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회로기판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Taxi security lights and an empty car lights control devices and systems}
본 발명은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택시 방범등(표시등) 내부에 설치되는 외부회로기판과 외부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차량 배터리와 연결하기 위해 차량 내부를 거쳐서 설치될 배선 등이 불필요해짐으로 차량 루프 패널의 손상이 없고, 자석 탈부착식으로 택시 방범등을 부착하기에 택시 영업일이 아니거나 택시 영업구역이 아닌경우에는 탈착할 수 있어, 차량의 사용도를 높이고, 외관을 보호하며, 모드별 구성으로 택시 방범등(표시등), 빈차등을 특정 상황에 부합하도록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모드별 간편한 조작으로 운전자의 수고스러움을 덜어주고,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시의 방범등(표시등)은 영업용 차량임을 나타내거나 비상시 붉은색을 점등하여 위험을 알리며, 차량의 루프패널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등화장치로서, '택시' 등의 문자가 새겨진 반투명 재질의 커버 내부에 램프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택시 방범등(표시등)은 택시의 야간 주행시 탑승객이 없는 경우 운전자가 상기 램프를 점등시켜 커버에 표시된 문자가 표출되게 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표출되는 문자에 의하여 그 택시가 빈차 상태임을 외부의 손님이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택시 내부에 빈차를 알리는 빈차등도 승객의 승하차에 따라 달리 운용되어야 하며, 이를 운전자가 택시 방범등(표시등), 빈차등을 주간, 야간, 손님의 승하차의 조건에 맞춰 일일이 수동 제어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택시 방범등(표시등)은 램프를 점등시키기 위하여 택시 내부의 전력을 배선을 통하여 공급받게 된다.
이를 위하여 택시의 루프패널에 다수의 구멍을 뚫어 배선이 택시 내부와 택시표시등 사이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택시 방범등(표시등)은 루프패널의 구멍에 고정볼트를 통하여 결합, 고정된다.
이와 같이 택시 방범등(표시등)을 택시에 고정하거나, 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배선을 루프패널에 통과시키기 위하여 택시 루프패널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게 됨에 따라 루프패널에 영구적인 손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택시 방범등(표시등)을 택시에 결합하고 있어 택시 방범등(표시등)의 고장 시 고정볼트를 풀어 수리 및 교체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 KR 등록특허공보 제1684806호(2016.12.20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간, 야간에 승객의 승하차에 부합하도록 택시 방범등(표시등)과 택시 빈차등을 보다 유용하게 조절할 수 있고, 택시 내부의 전력을 택시 방범등(표시등), 택시 빈차등에 공급하기 위하여 천공되는 루프패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택시 내부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도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여 루프패널의 손상 없이 택시 방범등(표시등)을 설치할 수 있고,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자석 설치로 탈착도 가능한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은 택시 미터기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릴레이를 포함하고, 미터기의 온, 오프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는 빈차등; 택시 외부의 방범등 내부에 설치되어, 상황에 따라 기본색상, 꺼짐(OFF), 및 기본색상과 다른 색상이 발광하는 외부회로기판; 외부회로기판을 조절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내부회로기판; 내부회로기판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전원 잔량, 방범등의 발광색상, 빈차등의 발광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방범등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회로기판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전원공급장치로 외부회로기판에 보조 전원을 공급받고, 방범등과 방범등 내부의 외부회로기판, 보조전원공급장치는 자석을 포함하는 차량 외면과의 탈부착 소재로 방범등의 탈부착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미터기 조작으로 빈차등과 외부회로기판을 수용하는 방범등의 발광을 조작 가능한 제1 야간 모드; 방범등은 미터기 신호와 독립 운전되어 내부회로기판의 스위치로 조작되고, 미터기로는 빈차등만 조작할 수 있는 제2 야간 모드; 및 방범등은 미터기 신호와 독립 운전되어 내부회로기판의 스위치로 조작되고, 미터기로는 빈차등만 조작하는 주간 모드를 더 포함하고, 제1 야간 모드 선택 시 릴레이가 자동으로 켜지고, 승객의 탑승으로 미터기가 켜짐에 따라 빈차등이 소등되고, 릴레이를 통해 미터기 신호를 내부회로기판으로 전달하고, 내부회로기판의 스위치가 미터기 신호를 받는 ON 상태로 위치하면, 내부회로기판이 소등하여 방범등이 소등되고, 승객의 하차로 미터기가 꺼질 경우에는 릴레이가 켜진 상태이기에 내부회로기판의 스위치가 미터기 신호를 받는 ON 상태로 위치하고, 외부회로기판이 점등되며 방범등이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2 야간 모드 선택 시 릴레이가 자동으로 꺼지고, 승객의 탑승으로 미터기가 켜짐에 따라 빈차등이 소등되고, 내부회로기판의 스위치가 미터기 신호를 받지 않는 OFF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면, 외부회로기판이 소등하여 방범등이 소등하고, 승객의 하차로 미터기가 꺼지면, 빈차등이 점등되고, 내부회로기판의 스위치가 ON 상태로 위치하여 외부회로기판이 발광하여 방범등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주간 모드 선택 시, 승객의 탑승으로 미터기가 켜짐에 따라 빈차등이 소등되고, 내부회로기판의 스위치를 OFF 상태로 조작하여 외부회로기판은 소등한 상태를 유지하고, 승객이 하차하여 미터기가 꺼짐에 따라 빈차등이 점등되고, 내부회로기판의 스위치는 OFF 상태로 유지하여 외부회로기판을 소등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택시 방범등(표시등) 내부에 설치되는 외부회로기판과 외부회로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차량 배터리와 연결하기 위해 차량 내부를 거쳐서 설치될 배선 등이 불필요해짐으로 차량 루프 패널의 손상이 없고, 자석 탈 부착식으로 택시 방범등을 부착하기에 택시 영업일이 아니거나 택시 영업구역이 아닌 경우에는 탈착할 수 있어, 차량의 사용도를 높이고, 외관을 보호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드별 구성으로 택시 방범등(표시등), 빈차등을 특정 상황에 부합하도록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모드별 간편한 조작으로 운전자의 수고스러움을 덜어주고,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택시 방범등(35)(표시등) 내부에 설치되는 외부회로기판(30)과 외부회로기판(30)에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전원공급장치(60)를 구비함으로써, 차량 배터리와 연결하기 위해 차량 내부를 거쳐서 설치될 배선 등이 불필요해짐으로 차량 루프 패널의 손상이 없고, 자석 탈부착식으로 택시 방범등(35)을 부착하기에 택시 영업일이 아니거나 택시 영업구역이 아닌경우에는 탈착할 수 있어, 차량의 사용도를 높이고, 외관을 보호하며, 모드별 구성으로 택시 방범등(35)(표시등), 빈차등(20)을 특정 상황에 부합하도록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모드별 간편한 조작으로 운전자의 수고스러움을 덜어주고,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100)은 도 1을 참조하면, 미터기(10), 빈차등(20), 외부회로기판(30), 내부회로기판(40), 디스플레이(50), 및 보조전원공급장치(60)를 포함하고, 제1 야간모드<미도시>, 제2 야간모드<미도시>, 및 주간모드<미도시>로 변경 실시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미터기(10)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미터기(10)는 택시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행에 대한 요금을 자동으로 표시하고, 일반적으로 승객이 탑승했을 때 미터기(10)를 켜고, 승객이 하차할 때 미터기(10)를 끈다.
빈차등(20)은 택시 미터기(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릴레이(21)를 포함하고, 미터기(10)의 온, 오프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빈차등(20)은 택시 내부에서 외부로 승객이 있을 경우와 없을 경우를 알리는 것으로 승객이 없을 경우에 빈차등(20)이 점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릴레이(21)가 켜질 경우에는 미터기(10) 신호를 내부회로기판(40)으로 전달하고, 릴레이(21)가 꺼질 경우에는 미터기(10) 신호를 내부회로기판(40)으로 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회로기판(30)은 택시 외부의 방범등(35)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회로기판(40)의 스위치의 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수신하여 특정 상황에 따라 기본색상, 꺼짐(OFF), 및 특정 색상이 발광하며, 대게 특정 색상이 발광하는 것은 위급 상황 시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방범등(35)이 붉은색으로 점등하는 것이고, 외부회로기판(30)의 기본색상 상태에서는 흰색으로 점등되어 야간에 택시가 눈에 띄도록 하며, 꺼짐(OFF) 상태는 주로 주간에 사용한다.
또한, 외부회로기판(30)은 방범등(35) 내부에 설치되어 방범등(35)이 햇빛에 의해 온도가 올라갈 경우를 대비하여 방열판과 방열팬(65)을 부착하여 일정 온도 이상일 경우 방열팬(65)이 사용되어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한다.
내부회로기판(40)은 차량 내부에 위치하고, 외부회로기판(30)을 조절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특히, 차량 외부에 설치된 외부회로기판(30)과 차량 내부에 설치된 내부회로기판(40)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현재 연결상태, 내부온도, 배터리용량, 방열팬(65) 작동 유무, 내부회로기판(40)과 빈차등(20)의 점등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값이 송수신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50)는 내부회로기판(4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연결상태, 내부온도, 배터리용량, 방열팬(65) 작동 유무, 내부회로기판(40)과 빈차등(20)의 점등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보조전원공급장치(60)는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와 별개로 방범등(35)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회로기판(30)에 보조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차량의 기존 배터리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장치를 차량 루프에 설치하여 보조전원공급장치(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아도,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운용될 수 있어 보조전원공급장치(60)의 미사용으로 무게 절감, 방열판 및 방열팬의 불필요로 원가 절감과 열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보조전원공급장치(60)로 외부회로기판(30)에 보조 전원을 공급받고, 차량 외부와 차량 외부의 무선 통신으로 택시 내부의 미터기(10), 외부회로기판(30)과 통신하며 외부회로기판(30)이 작동함으로,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방범등(35)이 위치한 차량 외부 면을 절개할 필요가 없고, 방범등(35)과 방범등(35) 내부의 외부회로기판(30), 보조전원공급장치(60)는 자석을 포함하는 차량 외면과의 탈부착 소재로 방범등(35)의 탈부착을 가능하도록 하여 택시 운행을 하지 않는 경우, 방범등(35)을 탈착하여 운용 가능하다.
특히, 택시 방범등(35)(표시등) 내부에 설치되는 외부회로기판(30)과 외부회로기판(30)에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전원공급장치(60)를 구비함으로써, 차량 배터리와 연결하기 위해 차량 내부를 거쳐서 설치될 배선 등이 불필요해짐으로 차량 루프 패널의 손상이 없고, 자석 탈 부착식으로 택시 방범등(35)을 부착하기에 택시 영업일이 아니거나 택시 영업구역이 아닌 경우에는 탈착할 수 있어, 차량의 사용도를 높이고, 외관을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구성으로 제1 야간모드<미도시>, 제2 야간모드<미도시>, 및 주간모드<미도시>로 변경 실시 가능하며,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야간 모드는 미터기(10) 조작으로 빈차등(20)과 외부회로기판(30)을 수용하는 방범등(35)의 발광을 조작 가능한 모드이다.
제1 야간 모드 선택 시 릴레이(21)가 자동으로 켜지고, 승객의 탑승으로 미터기(10)가 켜짐에 따라 빈차등(20)이 소등되고, 릴레이(21)를 통해 미터기(10) 신호를 내부회로기판(40)으로 전달하고, 내부회로기판(40)의 스위치가 미터기(10) 신호를 받는 ON 상태로 위치하면, 내부회로기판(40)이 소등하여 방범등(35)이 소등되고, 승객의 하차로 미터기(10)가 꺼질 경우에는 릴레이(21)가 켜진 상태이기에 내부회로기판(40)의 스위치가 미터기(10) 신호를 받는 ON 상태로 위치하고, 외부회로기판(30)이 점등되며 방범등(35)이 켜진다.
제2 야간 모드는 방범등(35) 내부의 외부회로기판(30)은 미터기(10) 신호와 독립 운전되어 내부회로기판(40)의 스위치로 조작되고, 미터기(10)로는 빈차등(20)만 조작할 수 있는 모드이다.
제2 야간 모드 선택 시 내부회로기판(4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빈차등(20)의 램프를 조절하는 것으로, 릴레이(21)가 자동으로 꺼짐에 따라 미터기(10) 신호를 내부회로기판(40)으로 전달하지 않기에, 승객의 탑승으로 미터기(10)가 켜져 빈차등(20)이 소등되고, 내부회로기판(40)의 스위치가 미터기(10) 신호를 받지 않는 OFF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면, 외부회로기판(30)이 소등하여 방범등(35)이 소등하고, 승객의 하차로 미터기(10)가 꺼지면, 빈차등(20)이 점등되고, 내부회로기판(40)의 스위치가 ON 상태로 위치하여 외부회로기판(30)이 발광하여 방범등(35)이 점등된다.
주간 모드는 방범등(35)은 미터기(10) 신호와 독립 운전되어 내부회로기판(40)의 스위치로 조작되고, 미터기(10)로는 빈차등(20)만 조작하는 모드이다.
주간 모드 선택 시, 내부회로기판(4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빈차등(20)의 램프를 조절하는 것으로 승객의 탑승으로 미터기(10)가 켜짐에 따라 빈차등(20)이 소등되고, 내부회로기판(40)의 스위치를 OFF 상태로 조작하여 외부회로기판(30)은 소등한 상태를 유지하고, 승객이 하차하여 미터기(10)가 꺼짐에 따라 빈차등(20)이 점등되고, 내부회로기판(40)의 스위치는 OFF 상태로 유지하여 외부회로기판(30)을 소등한 상태로 유지한다.
제1 야간모드, 제2 야간모드, 및 주간모드 사용 중, 비상 상황 발생 시에는 내부회로기판(40)의 스위치를 비상상태로 위치시켜 외부회로기판(30)에서 비상시에 설정된 색상(기본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점등되어 외부에 도움을 요청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미터기
21 - 릴레이
20 - 빈차등
30 - 외부회로기판
35 - 방범등
40 - 내부회로기판
50 - 디스플레이
60 - 보조전원공급장치
65 - 방열팬
100 -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

Claims (3)

  1. 택시 미터기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릴레이를 포함하고, 미터기의 온, 오프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는 빈차등;
    택시 외부의 방범등 내부에 설치되어, 상황에 따라 기본색상, 꺼짐(OFF), 및 기본색상과 다른 색상이 발광하고, 방열팬이 부착되어 일정 온도 이상일 경우 방열팬이 동작되어 방범등 내부 온도를 제어하도록 하는 외부회로기판;
    외부회로기판을 조절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내부회로기판;
    내부회로기판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전원 잔량, 방범등의 발광색상, 내부온도, 방열팬 작동 유무, 빈차등의 발광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방범등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회로기판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공급장치;
    미터기 조작으로 빈차등과 외부회로기판을 수용하는 방범등의 발광을 조작 가능한 제1 야간 모드;
    방범등은 미터기 신호와 독립 운전되어 내부회로기판의 스위치로 조작되고, 미터기로는 빈차등만 조작할 수 있는 제2 야간 모드; 및
    방범등은 미터기 신호와 독립 운전되어 내부회로기판의 스위치로 조작되고, 미터기로는 빈차등만 조작하는 주간 모드
    를 포함하고,
    제1 야간 모드 선택 시 릴레이가 자동으로 켜지고, 승객의 탑승으로 미터기가 켜짐에 따라 빈차등이 소등되고, 릴레이를 통해 미터기 신호를 내부회로기판으로 전달하고, 내부회로기판의 스위치가 미터기 신호를 받는 ON 상태로 위치하면, 내부회로기판이 소등하여 방범등이 소등되고, 승객의 하차로 미터기가 꺼질 경우에는 릴레이가 켜진 상태이기에 내부회로기판의 스위치가 미터기 신호를 받는 ON 상태로 위치하고, 외부회로기판이 점등되며 방범등이 켜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며,
    제2 야간 모드 선택 시 릴레이가 자동으로 꺼지고, 승객의 탑승으로 미터기가 켜짐에 따라 빈차등이 소등되고, 내부회로기판의 스위치가 미터기 신호를 받지 않는 OFF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면, 외부회로기판이 소등하여 방범등이 소등하고, 승객의 하차로 미터기가 꺼지면, 빈차등이 점등되고, 내부회로기판의 스위치가 ON 상태로 위치하여 외부회로기판이 발광하여 방범등이 점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고,
    주간 모드 선택 시, 승객의 탑승으로 미터기가 켜짐에 따라 빈차등이 소등되고, 내부회로기판의 스위치를 OFF 상태로 조작하여 외부회로기판은 소등한 상태를 유지하고, 승객이 하차하여 미터기가 꺼짐에 따라 빈차등이 점등되고, 내부회로기판의 스위치는 OFF 상태로 유지하여 외부회로기판을 소등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며,
    보조전원공급장치로 외부회로기판에 보조 전원을 공급받고, 방범등과 방범등 내부의 외부회로기판, 보조전원공급장치는 자석을 포함하는 차량 외면과의 탈부착 소재로 방범등의 탈부착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70105775A 2017-08-22 2017-08-22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 KR101989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775A KR101989848B1 (ko) 2017-08-22 2017-08-22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775A KR101989848B1 (ko) 2017-08-22 2017-08-22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892A KR20190020892A (ko) 2019-03-05
KR101989848B1 true KR101989848B1 (ko) 2019-06-17

Family

ID=6576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775A KR101989848B1 (ko) 2017-08-22 2017-08-22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977B1 (ko) 2020-05-25 2021-02-18 나경주 택시 호출서비스를 활용한 택시 등 자동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412B1 (ko) * 2022-07-26 2023-01-03 주식회사 월드씨앤에스 인공지능을 이용한 택시 배차시스템
KR102484407B1 (ko) * 2022-07-26 2023-01-03 주식회사 월드씨앤에스 인공지능을 이용한 택시 승차확인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404Y1 (ko) * 2002-09-30 2003-03-03 최길홍 외장형 주행표시등을 갖는 택시표시등
KR200425937Y1 (ko) * 2006-06-09 2006-09-13 퓨전파워 주식회사 택시의 엘이디 방범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159B1 (en) * 1999-05-24 2002-07-12 Kwang Suk An Multifunctional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KR20010109057A (ko) * 2000-06-01 2001-12-08 강병호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404Y1 (ko) * 2002-09-30 2003-03-03 최길홍 외장형 주행표시등을 갖는 택시표시등
KR200425937Y1 (ko) * 2006-06-09 2006-09-13 퓨전파워 주식회사 택시의 엘이디 방범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977B1 (ko) 2020-05-25 2021-02-18 나경주 택시 호출서비스를 활용한 택시 등 자동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892A (ko)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848B1 (ko)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
US5905434A (en)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US9466988B2 (en) Induction power transfer for auxiliary vehicle lights
US20110252675A1 (en) Active license plate
US8294373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apparatus
KR101315058B1 (ko) Led 교통 안전 표시판
US20190002000A1 (en) Wireless seat reservation display apparatus
US6407675B1 (en) Traffic sign warning light and method therefor
US20070109145A1 (en) Lighted display device with user selectable message
KR101152985B1 (ko) 트렁크 리드에 탈부착 가능한 차량용 안전판 장치
US9466211B1 (en) Early warning system of emergency vehicles for alerting roadway traffic
KR101143533B1 (ko) 전동차의 객실 조도조절시스템과 조도조절방법 및 조도조절시스템
KR200425937Y1 (ko) 택시의 엘이디 방범등
US10744932B2 (en) Control and monitoring circuit for controlling lighting system
US20150203025A1 (en) Reverse Light Assembly for Tractor-Trailers
KR101526794B1 (ko) 차량의 램프 자동 소등 장치 및 방법
KR101315178B1 (ko)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209904642U (zh) 一种车辆开门安全警示装置
KR20210000661U (ko) 택시 방범등 장치
KR20050068708A (ko) 비상 교통 통제시스템
KR102178511B1 (ko) 차량 탑재형 비상표지 장치
KR102433754B1 (ko) 무선 방식 택시 방범등 시스템
KR102288603B1 (ko) 차량에 탈부착이 용이한 비상경고판
KR20010109057A (ko)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
CN210951156U (zh) 一种无线拖车警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