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404Y1 - 외장형 주행표시등을 갖는 택시표시등 - Google Patents

외장형 주행표시등을 갖는 택시표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404Y1
KR200305404Y1 KR20-2002-0029249U KR20020029249U KR200305404Y1 KR 200305404 Y1 KR200305404 Y1 KR 200305404Y1 KR 20020029249 U KR20020029249 U KR 20020029249U KR 200305404 Y1 KR200305404 Y1 KR 200305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dicator
taxi
transparent window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2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길홍
Original Assignee
최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길홍 filed Critical 최길홍
Priority to KR20-2002-00292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4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4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1Indicating device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의 빈차표시등과 병렬 접속되어 동시에 작동하게 되는 외장형 주행표시등이 부설되므로써, 외부승객이 차량의 빈차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택시표시등에 관한 것이다.
"택시" 등의 문자가 새겨진 불투명 재질의 커버체(10) 내부로 램프를 구비한체 차량의 루프 패널(2)로 설치되는 택시표시등(1)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커버체의 일면에 투명창(12)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창의 내측에 차량 내부의 제 1 빈차표시등(3)과 병렬 접속되는 외장형 제 2 빈차표시등(4)이 부설되어, 상기 제 1 빈차표시등의 점등시 상기 제 2 주행표시등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장형의 제2주행표시등(4)은, 상기 투명창(12)의 내주연에 설치되며, 2 이상의 문자가 조합되어 표시되도록 복수개의 문자표시용 발광소자(18)가 부착되고, 차량 실내에 위치한 상기 제 1 빈차표시등의 전원과 병렬 접속되는 인쇄회로기판(16)과; 상기 발광소자의 점등에 따른 특정문자만이 상기 투명창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발광소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을 가리우도록 제공되는 차광필름(20);으로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장형 주행표시등을 갖는 택시표시등{Taxi Indication Lamp having External Traveling Indication Lamp}
본 고안은 택시 표시등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의 빈차표시등과 병렬 접속되어 동시에 작동하게 되는 외장형 주행표시등이 부설되므로써, 외부승객이 차량의 빈차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택시표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시의 루프 패널에는 택시 표시등(100)이 설치되는 것으로써, 이같은 택시 표시등(100)은 외부승객이 자가용과 구분하여 영업용 택시임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적인 기능 및, 영업이 허가된 차량임을 외부로 표시하는 것을 그 주된 용도로 한다. 또한, 상기 택시 표시등(100)은 소등된 경우에는 승객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반대로 점등된 경우에는 승객이 탑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빈차 표시등의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또한, 차량의 실내에는 상기 택시표시등(100)과 구분되는 별도의 빈차표시등(200)을 설치하고 있음이 보편적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택시 표시등은 램프의 점등여부에 관계없이 "택시"라는 표시문자가 항상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택시 표시등의 점등여부를 인지하기 어려운 밝은 주간에는 외부 승객이 택시 표시등을 통하여 승객의 탑승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그리고, 상기 빈차표시등 역시 점등시에 빛을 발하는 "빈차"라는 문구가 투명한 창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주변이 밝은 주간에는 상기 빈차표시등의 점등여부를 외부에서 식별하기가 매우 곤란한 것이었다. 또한, 상기 빈차표시등은 그 설치높이가 차량의 크래쉬패드 정도에 그치는 것이므로, 인접되는 전방차량에 의해 가리워져 외부승객이 그 점등여부를 확인할 수 없게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었으며, 이는 다수 차량이 일렬로 늘어서는 교통 정체시에 더욱 심한 것이었다.
상기한 문제들로 인해서, 외부승객은 택시의 빈차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계속해서 여러 택시의 근접한 위치까지 이동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했으며, 그 과정에서 지나치게 차도로 침범하는 경우 사고의 위험마저도 있는 것이었다. 또한 빈차임을 뒤늦게 발견하고 차량을 정차시키는 경우가 많아 급속정차로 인한 사고위험 내지는 교통체증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빈차표시등을 크래쉬패드가 아닌 룸미러의 배면부에 설치하는 형태가 제공되기도 하였다. 이렇게 빈차표시등을 룸미러에 설치하게 되면, 차량의 크래쉬패드에 설치시와 비교하여 그 설치높이가 비교적 높아 외부승객이 보다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것이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차량 정체시 또는 해당차량이 전방차량과 근접한 경우에는 그 점등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는 마찬가지였다. 즉, 상기한 빈차표시등을 크래쉬패드와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크게 개선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차량의 택시표시등에 차량 실내의 빈차표시등과 병렬 접속되면서 그 점등여부가 외부로 명확하게 디스플레이되는 차량 외장형 빈차표시등을 구성하여, 외부승객이 차량의 빈차 여부를 원거리에서도 매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택시의 빈차표시용 외부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에 차량 내부로 설치되어 있는 빈차표시등의 전원 및 기타 여러 부속을 그대로 사용함에 따라 설치가 용이한 동시에 설치에 따른 비용이 최소화되는 택시의 빈차표시용 외부등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택시표시등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외장형 주행표시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요부구조를 확대도시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택시표시등 2: 루프패널 3: 제1빈차표시등 4 제2주행표시등 10: 커버체 12: 투명창 14: 고정틀 16: 인쇄회로기판 18: 발광소자 20: 차광필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택시" 등의 문자가 새겨진불투명 재질의 커버체 내부로 램프를 구비한체 차량의 루프 패널로 설치되는 택시표시등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커버체의 일면에 투명창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창의 내측에 차량 내부의 제 1 빈차표시등과 병렬 접속되는 외장형 제 2 빈차표시등이 부설되어, 상기 제 1 빈차표시등의 점등시 상기 제 2 주행표시등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창의 내주연에 설치되며, 2 이상의 문자가 조합되어 표시되도록 복수개의 문자표시용 발광소자가 부착되고, 차량 실내에 위치한 상기 제 1 빈차표시등의 전원과 병렬 접속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발광소자의 점등에 따른 특정문자만이 상기 투명창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발광소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을 가리우도록 제공되는 차광필름으로 상기 제 2 주행표시등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감싸여 보호되도록 고정틀을 제공하여, 상기 고정틀이 상기 투명창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겠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외장형 주행표시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구조를 확대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택시표시등(1)은 차량의 루프 패널(2)로 고정되는 커버체(10)와, 이같은 커버체(10)의 내부로 설치되는 램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체(10)의 일면에 소정 크기의 투명창(12)이 형성되는 것으로써,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체(10)의 전면에 투명창(12)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커버체(10)의 투명창(12) 내측에 외장형의 제2주행표시등(4)이 설치되는 것으로써, 이같은 제2주행표시등(4)은 차량 내부에 설치된 제1빈차표시등(3)과 병렬 접속되어 두 표시등(3,4)이 함께 작동하도록 한다.
상기 제2주행표시등(4)은, 인쇄회로기판(16), 발광소자(18), 차광필름(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6)은 상기 투명창(12)의 내측에 설치되며, 이같은 인쇄회로기판(16)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1빈차표시등(3)의 전원과 병렬 접속된다.
상기 발광소자(18)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6)에 복수개로 부착되며, 이같은 발광소자(18)는 2이상의 문자가 조합되어 상기 투명창(12)을 통해 외부로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발광소자(18)로는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피가 매우 작아 상기 인쇄회로기판 두께의 최소화가 가능하면서도 희망하는 밝기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핀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차광필름(2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6)의 전면에 상기 발광소자(18)를 가리우도록 부착되는 것으로써, 이같은 차광필름(20)은 불투명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소자의 소등시에는 상기 제2주행표시등 표면이 단순색상을 유지토록 하고, 상기 발광소자의 점등시에는 표시되는 문자가 필름 표면을 투과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6)이 상기 투명창(12) 내측에 보다 안정감있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6)을 감싸 보호하는 고정틀(14)을 추가로 제공하여, 상기 고정틀(14)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6)을 결합한체 상기 투명창(12)의 내주연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겠다.
그리고, 상기 제2주행표시등(4)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문구는, "빈차" "예약" "교대" "환자" 등과 같이 차량의 주행상황을 외부승객이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문구가 있겠으며, 이때 상기 "빈차"라는 문구는 차량 내부의 제1빈차표시등(3)과 병렬 접속되어 함께 점등되고, 그밖에 문구들은 각각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도록 하므로써, 평상시에는 상기 외장형 제2주행표시등(4)이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빈차표시등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고, 운전자가 특별한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만 상기 별도의 스위치들을 조작하에 상황에 맞는 문구가 점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겠다.
또한, 상기 제2주행표시등(4)이, 건물의 출입구나 지하철의 방향표시판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슬림형 사인판의 구조를 갖도록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외부로 외장형의 제2주행표시등(4)을 설치하게 되면, 차량에 승객이 탑승하면서 운전자가 요금미터기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차량 내부에 설치된 제1빈차표시등(3)이 점등되고, 상기 제1빈차표시등(3)의 전원과 병렵 접속되는 상기 제2주행표시등(4)이 함께 점등된다. 이때, 상기 제2주행표시등(4)은 불투명 소재로 제공되는 차광필름(20)에 의해서, 점등시에 표시되는 문구만이 상기 차광필름(20)을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므로 외부에서의 식별력이 매우 우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에는 크래쉬패드에 설치되는 실내형 제1빈차표시등(3)과 루프 패널(2)에 설치되는 외장형 제2주행표시등(4)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빈차표시수단이 제공되는 것이므로, 외부승객은 원거리에 위치한 차량의 경우에도 상기 빈차표시용 등화장치(3,4)를 통해 승객의 탑승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 택시표시등(1)에 설치된 제2주행표시등(4)은 차량의 루프 패널(2)에 위치하는 것이므로 도로정체시 또는 전방차량이 근접하게 정차해있는 경우에도 용이한 식별이 가능함에 따라 차량 내의 제1빈차표시등(3)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아 빈 차량을 놓치게 되는 폐단이 억제된다.
상기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외장형 주행표시등을 갖는 택시표시등에 의하여, 외부승객이 근거리에서는 물론이고 원거리에서도 차량의 빈차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항상 적시에 빈 차량을 정차시킬 수 있음에 따라 승객과 운전자 모두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것이며, 그에 따라 차량을 뒤늦게 정차시키면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나 교통체증의 과중현상은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있게된다.
또한, 택시표시등이 외장형의 빈차표시등 기능외에도, 차량의 주행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주행상황 표시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운전자는 자신의 주행상황을 외부로 용이하게 알릴 수 있는 것이며, 승객은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확인하면서 정차하지도 않는 차량을 정차시키려는 불필요한 행동을 하지 않게되어 매우 효율적인 주행상황이 진행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택시" 등의 문자가 새겨진 불투명 재질의 커버체 내부로 램프를 구비한체 차량의 루프 패널로 설치되는 택시표시등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커버체의 일면에 투명창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창의 내측에 차량 내부의 제 1 빈차표시등과 병렬 접속되는 외장형 제 2 빈차표시등이 부설되어, 상기 제 1 빈차표시등의 점등시 상기 제 2 주행표시등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주행표시등을 갖는 택시표시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행표시등은,
    상기 투명창의 내주연에 설치되며, 2 이상의 문자가 조합되어 표시되도록 복수개의 문자표시용 발광소자가 부착되고, 차량 실내에 위치한 상기 제 1 빈차표시등의 전원과 병렬 접속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발광소자의 점등에 따른 특정문자만이 상기 투명창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발광소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을 가리우도록 제공되는 차광필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주행표시등을 갖는 택시표시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감싸여 보호되도록 고정틀을 제공하여, 상기 고정틀이 상기 투명창의 내측에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주행표시등을 갖는 택시표시등.
KR20-2002-0029249U 2002-09-30 2002-09-30 외장형 주행표시등을 갖는 택시표시등 KR2003054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249U KR200305404Y1 (ko) 2002-09-30 2002-09-30 외장형 주행표시등을 갖는 택시표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249U KR200305404Y1 (ko) 2002-09-30 2002-09-30 외장형 주행표시등을 갖는 택시표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404Y1 true KR200305404Y1 (ko) 2003-03-03

Family

ID=49331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249U KR200305404Y1 (ko) 2002-09-30 2002-09-30 외장형 주행표시등을 갖는 택시표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4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892A (ko) * 2017-08-22 2019-03-05 이창율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892A (ko) * 2017-08-22 2019-03-05 이창율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
KR101989848B1 (ko) * 2017-08-22 2019-06-17 이창율 택시 방범등과 빈차등 제어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5318B1 (en) Enhanced vehicle advisory system to advise drivers of other vehicles and passengers in the vehicle of actions taken by the driver
US6663271B1 (en) Brake light for motor vehicles
KR200305404Y1 (ko) 외장형 주행표시등을 갖는 택시표시등
JP2011081244A (ja) 車両用のledを用いた表示板
KR100537660B1 (ko) 자동차의 유턴표시장치
KR200408853Y1 (ko) 어린이 보행자용 차량정지 신호판
KR20210000661U (ko) 택시 방범등 장치
KR200238772Y1 (ko) 자동차의 다기능 룸미러
KR890006406Y1 (ko) 백미러 겸용 택시 표시장치
KR102619901B1 (ko) 우회전 차량에 의한 보행자 사고를 방지하는 보행자용신호등
KR200286516Y1 (ko) 택시 빈차 표시장치
KR200252940Y1 (ko) 안내판을 구비하는 차량
KR20200001654U (ko) Led 안전표시장치
JP3069052U (ja) 車両誘導用矢印板
CN2190581Y (zh) 字符式汽车安全标示灯
JP2003119732A (ja) 車両進入防止システム
RU2638998C2 (ru) Индивидуальная система оповещения о наличии пешехода на дороге
KR200151170Y1 (ko) 버스의 행선지표시판
KR200281516Y1 (ko) 택시의 승하차 판별 표시등
KR970004759Y1 (ko) 도로표지판
JP2001184007A (ja) タクシー用屋上表示灯
KR200173673Y1 (ko) 다기능을 갖는 택시 표시등
KR200254273Y1 (ko) 택시의 운행상태 알림등
KR0176351B1 (ko) 보호 차량 알림 장치
WO2009099353A1 (ru) Cπocoб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