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243Y1 - 자동차의 안전표지판 신호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안전표지판 신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243Y1
KR200215243Y1 KR2020000026819U KR20000026819U KR200215243Y1 KR 200215243 Y1 KR200215243 Y1 KR 200215243Y1 KR 2020000026819 U KR2020000026819 U KR 2020000026819U KR 20000026819 U KR20000026819 U KR 20000026819U KR 200215243 Y1 KR200215243 Y1 KR 200215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case
rod
driven ro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이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호 filed Critical 이근호
Priority to KR2020000026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2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243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의 안전용 표지판을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아니하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는 동시에 주행시 운전자 간에 보다 명확한 의사표현이 가능하게 되며, 표지판 작동과 동시에 점등되는 보조램프를 구비하여 주야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자동차의 안전표지판 신호기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천공되는 다수개의 절개홈부(13)를 구성하고 있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측에 설치되어 개별적인 전원에 의해 동작하게 되는 구동몸체(21) 및 그 선단에 내설되는 구동로드(22)와; 상기 케이스(10) 내측에 힌지 고정된 채 상기 구동로드(22)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구동로드(22)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 힌지점(Q)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되는 종동로드(30) 및 상기 종동로드(30)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표지판(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안전표지판 신호기{Safety Signal Equipment for CAR}
본 고안은 차량용 안전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안전용 표지판을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아니하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는 동시에 주행시 운전자 간에 보다 명확한 의사표현이 가능하게 되며, 표지판 작동과 동시에 점등되는 보조램프를 구비하여 주야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자동차의 안전표지판 신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보자가 운전하는 차량이라든지 그밖에 아동 또는 장애자가 탑승하고 있어 특별한 주의를 필요로 하는 차량의 경우, 후방이나 옆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에게 그러한 사항을 인식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문구나 그림 등이 표현된 표지판을 부착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같은 표지판은 차량의 리어 글래스 또는 스피커 등이 설치되는 리어 선반에 부착시키는 것이 보편적인 형태였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의 표지판은 그 하부에 흡착판이 구비되어 운전자나 차량 탑승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하는 수동식 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차량 출발전에 탑승하는 승객이나 적재된 물품 등 주행에 영향을 미치는 여건을 고려하여 그에 해당하는 표지판을 부착하거나 탈거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것이었다. 이로 인해, 운전자가 이러한 작업을 게을리하거나 부주의로 표지판 떼어내는 작업을 잊게되어 차량의 주행상태와 일치되지 않는 표지판을 부착한 상태로 주행하게 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었다.
일예로, 차량에 어린이가 탑승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해당되는 문구가 적힌 표지판을 부착한 상태로 주행하는 등의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 것이었다. 이로 인해, 인접한 차량은 해당 차량과 근접되어 주행시에 과속으로 인한 위협감을 주지 않토록 불필요하게 서행 운전하거나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 각별한 주의를 하게되는 것이므로 오히려 해당 차량에 의해 인접 차량은 정상적인 주행을 방해받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인접 차량의 운전자가 해당 차량의 실내를 관찰하여 어린이가 탑승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하게 되면 불신감이 조성되는 동시에 상호간의 신뢰감이 깨져 주행 예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었다.
그밖에도, 차량 주행시 차선을 변경하거나 기타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미안함이나 고마움 등 운전자 간의 의사 표시를 위해 브레이크등을 켜거나 기타 다양한 수신호를 주고받게 되는데, 교통이 매우 복잡한 도로에서는 이같은 수신호를 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운전에 소홀하게 되어 안전사고의 유발이 우려되는 것이며, 경험이 미숙한 초보 운전자의 경우 더욱 그러한 것이었다. 이같은 이유로, 운전자 간에 용이하게 의사 전달을 할 수 있는 신호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안전용 표지판을 내장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간단한 조작을 통해 원하는 표지판을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전표지판 신호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이러한 신호기의 외부에 신호기 작동과 동시에 점등되는 보조램프를 구비시켜 주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호기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호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호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신호기의 로드 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신호기에 적용된 스위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핸들 1a: 걸림테 2: 리어 선반 10: 케이스 11: 베이스판 12: 케이스 본체 13: 절개홈부 21: 솔레노이드 몸체 22: 구동로드 30: 종동로드 31: 표지판 40: 스위치부 41: 기판 41a: 전원연결단자 42: 레버 42a: 부하연결단자 43: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천공되는 다수개의 절개홈부를 구성하고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제공되며, 동일축 상에 힌지 결합된 채 케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겹침 배열되는 복수개의 구동몸체; 및 그 선단에 내설되어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각각의 구동로드와; 상기 케이스에 힌지 고정된 상태로 그 단부를 상기 구동로드 단부와 힌지 결합하고 있는 종동로드; 그리고 상기 종동로드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로드의 이동에 의한 종동로드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절개홈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외측으로 인출 또는 수납되는 표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구동몸체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각 구동몸체의 독립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운전자가 주행에 지장을 받지않고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제공되는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구동로드와 종동로드가 결합되는 이동 힌지점은, 상기 종동로드의 고정 힌지점과 상기 구동몸체의 힌지 고정점을 연결시킨 연장선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핸들에 고정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핸들에 돌설시킨 걸림테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탄설되는 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판과 레버에는, 상기 구동수단을 이루는 몸체와 각각 접속되는 다수개의 부하연결단자 및 상기 부하연결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하나의 전원연결단자가 각기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호기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호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호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몸체, 구동로드(22) 및 종동로드(30)와, 상기 종동로드(30)에 결합되는 표지판(31), 그리고 상기 구동몸체를 작동하기 위한 스위치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같은 본 고안의 신호기가 차량 후방의 리어 선반(2)에 설치되는 형태를 설명하지만 그밖에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케이스(10)는 리어 선반(2) 표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11)과,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그 내측에는 수납공간을 갖는 케이스 본체(12)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본체(12)의 상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개의 절개홈부(13)가 천공되는 것이다.
이같은 케이스(10)의 내측에 다수개의 구동몸체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몸체는 상기 케이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구동로드를 각기 구비한 채 케이스(10)의 폭 방향을 따라 겹침 배열되는 것이다. 또한, 이같은 구동몸체는 동일축 상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며, 각각의 구동몸체는 독립적인 전원에 의해 개별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이같은 구동몸체 및 그에 제공되는 구동로드의 구성으로서 다수개의 솔레노이드 구조를 사용하였다.
이같은 본 실시예의 솔레노이드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각 솔레노이드의 몸체(21)는 상호 간에 힌지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케이스(10)의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이고, 이같은 솔레노이드 몸체(21) 중에서 상기 케이스(10)의 내면과 인접하는 최외곽측 솔레노이드 몸체(21)는 상기 케이스(10) 벽면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몸체(21)는 상기 케이스(10) 내측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 몸체(21)에는 상기 케이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구동로드(22)가 각기 구비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동로드(22)의 단부에 후술되는 종동로드(30)가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종동로드(30)는 상기 케이스 상에 힌지 고정된 상태에서 그 단부를 상기 구동로드(22)와 힌지 결합하고 있는 것이며, 이같은 구동로드(22)와 종동로드(30)의 힌지 결합부는 상기 구동로드(22)의 이동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되는 이동 힌지점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로드(22)와 종동로드(30) 간의 이동 힌지점(P)은, 상기 종동로드(30)의 고정 힌지점(Q)과 상기 솔레노이드 몸체(21)의 힌지 고정점(R)을 연결하는 연장선(L)을 기준으로 그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즉 도면에 표현된 것과 같이 상기 이동 힌지점(P)과 상기 연장선(L) 사이에는 'α' 만큼의 간격차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로드(22)가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종동로드(30)는 케이스(10) 상에 힌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로드(22)와 종동로드(30) 간의 이동 힌지점(P)이 아래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종동로드(30)는 상기 고정 힌지점(Q)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며, 동시에 상기 구동로드(22)가 설치된 솔레노이드 몸체(21) 역시 그 측면의 힌지점(R)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로드(22)와 종동로드(30)가 결합된 이동 힌지점(P)은 상기 양 고정 힌지점(Q,R)을 연결하는 연장선(L)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므로, 상기 구동로드(22)의 이동시 두 로드(22,30)가 수평을 이루어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그 이동 힌지점(P)이 상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구동로드(22)와 종동로드(30)가 상측으로 회동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종동로드(30)의 단부에는 표지판(31)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종동로드(30)가 구동로드(22)와의 연동에 의해 상측으로 회동하게 되면, 그 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표지판(31)이 상기 케이스(10)의 절개홈부(13)를 통해 케이스(10) 외측으로 인출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운전자는 차량의 주행환경을 타 차량에게 전달한다든지, 또는 주행 중에 발생되는 여러가지 상황에 타 차량 운전자에게 의사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같은 본 고안의 솔레노이드 몸체 및 그에 내설된 구동로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부로는 누름버튼 스위치나 로타리식 스위치 등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핸들 상에 부착되는 회전레버식 스위치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는 차량의 어느 위치에 설치하여도 무방하겠으며, 사용자가 주행 중에 운전에 지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스위치부(40) 구조를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량 핸들(1)의 소정 부위에 핸들(1)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기판(41)이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기판(41)에는 상술한 각각의 솔레노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개의 부하연결단자(41a)가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같은 기판(41)을 감싼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42)가 제공되며, 이러한 레버(42)의 내면에는 하나의 전원연결단자(42a)가 제공되어 상기 레버(42)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부하연결단자(41a) 중에서 하나의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의 보다 바람직한 형태로는, 도 5의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42)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핸들(1) 상에 걸림테(1a)를 돌설하고, 이같은 걸림테(1a)와 상기 레버(42) 사이에 스프링(43)을 탄설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42)는 상기 걸림테(1a)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43)의 탄발력에 의해 항상 일정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운전자가 상술한 케이스(1) 내에 수납된 표지판(31) 가운에 디스플레이 하려는 표지판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레버(42)를 가압하여 상기 걸림테(1a)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레버(42)는 그 전원연결단자(42a)가 상기 기판(41)의 부하연결단자(41a) 중 어느 하나의 단자와 접속된 상태에서 그 접속이 해제되면서 상기 걸림테(1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자는 상기 레버(42)를 회전시켜 자신이 디스플레이 시키고자 하는 표지판(31)을 작동시킬 수 있는 부하연결단자(42a)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레버(42)를 가압하는 힘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레버(42)는 상기 스프링(43)의 탄발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구되면서 상기 부하연결단자(42a)와 접속되는 것이다.
이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레버(42)를 회전시킴에 따른 상기 표지판(31) 전체가 불필요하게 순착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방지된 채 운전자가 희망하는 표지판만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케이스 표면에 그 외측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표지판을 조명하기 위한 보조램프를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며, 이같은 보조램프는 상술한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 상에 솔레노이드와 병렬 접속되도록 하므로서,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따른 표지판의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점등되어 표지판을 조명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램프를 야간이나 기상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on/off 스위치를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한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자동차의 안전표지판 신호기에 의하여, 운전자가 안전용 표지판을 일일이 탈거하거나 부착할 필요없이 차량 내부에 설치된 신호기를 간단한 조작을 통해 작동시키면 되는 것이므로 편의성 및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며, 주행시 운전자 간에 보다 다양한 종류의 의사표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된 표지판을 보조램프가 조명하는 것이므로 야간이나 기상 상태가 좋치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상에 전혀 지장이 없게되는 것이다.

Claims (3)

  1.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천공되는 다수개의 절개홈부를 구성하고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제공되며, 동일축 상에 힌지 결합된 채 케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겹침 배열되는 복수개의 구동몸체; 및 그 선단에 내설되어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각각의 구동로드와; 상기 케이스에 힌지 고정된 상태로 그 단부를 상기 구동로드 단부와 힌지 결합하고 있는 종동로드; 그리고 상기 종동로드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로드의 이동에 의한 종동로드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절개홈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외측으로 인출 또는 수납되는 표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구동몸체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각 구동몸체의 독립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운전자가 주행에 지장을 받지않고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제공되는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표지판 신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드와 종동로드가 결합되는 이동 힌지점은, 상기 종동로드의 고정 힌지점과 상기 구동몸체의 힌지 고정점을 연결시킨 연장선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표지판 신호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핸들에 고정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핸들에 돌설시킨 걸림테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탄설되는 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판과 레버에는, 상기 구동수단을 이루는 몸체와 각각 접속되는 다수개의 부하연결단자 및 상기 부하연결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하나의 전원연결단자가 각기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표지판 신호기.
KR2020000026819U 2000-09-25 2000-09-25 자동차의 안전표지판 신호기 KR200215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819U KR200215243Y1 (ko) 2000-09-25 2000-09-25 자동차의 안전표지판 신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819U KR200215243Y1 (ko) 2000-09-25 2000-09-25 자동차의 안전표지판 신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243Y1 true KR200215243Y1 (ko) 2001-03-02

Family

ID=7308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819U KR200215243Y1 (ko) 2000-09-25 2000-09-25 자동차의 안전표지판 신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2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395A (ko) * 2021-02-26 2022-09-02 정예린 차량용 후방 메시지 출력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395A (ko) * 2021-02-26 2022-09-02 정예린 차량용 후방 메시지 출력 장치
KR102453845B1 (ko) * 2021-02-26 2022-10-12 정예린 차량용 후방 메시지 출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5434A (en)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U3250100A (en) Warning device for in-car use of mobile phones
KR101935527B1 (ko)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KR101636507B1 (ko) 비콘이 내장된 안전 삼각대
JP2004011183A (ja) 交通指示ロボット
KR200215243Y1 (ko) 자동차의 안전표지판 신호기
US20060048420A1 (en) An Improved Portable Auxiliary Vehicle/ Automobile Warning Device
KR200458467Y1 (ko) 싸인보드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견인식 싸인보드 트레일러
US6426696B1 (en) Brake light system for vehicles
KR20010109057A (ko) 착탈가능한 택시용 램프장치
KR20050097002A (ko) 자동차용 지능형 안전 표지판
KR200353642Y1 (ko) 자동차용 지능형 안전 표지판
KR20050068708A (ko) 비상 교통 통제시스템
KR200390419Y1 (ko) 차량의 브레이크.비상등. 방향 지시등에 연동되는 투명 전광판.
KR200231248Y1 (ko) 차량의 측면 후진등
KR200330365Y1 (ko) 차량용 문자 정보 제공 장치
KR960008454Y1 (ko) 자동차의 동화장치
KR20040076666A (ko) 운전자 연락처 표시 장치
KR200277883Y1 (ko) 차량용 룸미러
KR200247493Y1 (ko) 차량용 보조범퍼의 점멸식 신호표시판
JPH08198013A (ja) 自動車のルームミラー
JPH03128734A (ja) 車載用機器
KR200191649Y1 (ko) 긴급 구조차량의 2중색 경광등
KR0117156Y1 (ko) 전자식 메모판
KR970074260A (ko) 비상 주차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