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7963A - 접착 테이프용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 Google Patents

접착 테이프용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7963A
KR20010107963A KR1020017006022A KR20017006022A KR20010107963A KR 20010107963 A KR20010107963 A KR 20010107963A KR 1020017006022 A KR1020017006022 A KR 1020017006022A KR 20017006022 A KR20017006022 A KR 20017006022A KR 20010107963 A KR20010107963 A KR 20010107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flow rate
biaxially oriented
melt flow
b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8043B1 (ko
Inventor
스코트 디. 퍼얼슨
패트릭 제이. 해거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20010107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0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2423/10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배킹(11) 및 이 배킹상의 접착제층(18)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10)이 제공된다. 배킹은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축 배향된 기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테이프 및 배킹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절단 톱날을 갖는 상업적 테이프 분배기를 사용하여 쉽게 절단되어 테이프상에 명확히 톱니모양 절단된 모서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이축 배향된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용융 유속이 8 g/10분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g/10분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g/10분 초과인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로부터 제조된다. 그러한 수지를 얻는 한 바람직한 방법은 A) 350,000 g/mol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약 0.5 내지 8 g/10분,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5 g/10분의 용융 유속을 갖는 적어도 1종의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A"와 B) 100,000 g/mol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8 g/10분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20 g/10분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g/10분 초과의 용융 유속을 갖는 적어도 1종의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B"를 배합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접착 테이프용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Oriented Polypropylene Films for Adhesive Tape}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는 통상 테이프 분배기상의 롤 형태로 제공된다(참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451,533호 및 제4,908,278호). 테이프 분배기는 통상 톱니모양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절단 날을 갖는다. 접착 테이프의 "절단성(severability)"은 목적하는 양의 에너지 또는 일을 사용하여 테이프 분배기의 톱니모양 절단 모서리의 톱날상으로 테이프를 잡아 당김으로써 일정 길이의 테이프를 절단하거나 끊는 능력으로서 정의된다. 절단성은 또한 "분배성"으로서도 언급된다.
절단되는 테이프는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잘라지거나 찢어지거나 금이 가거나 또는 쪼개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참조: 미국 특허 제4,451,533호 및 제4,908,278호). 그러한 절단성은 절단 테이프 조각상에 명확히 절단된 절단 모서리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성은 주로 접착 테이프의 배킹(backing)의 기계적 특성에 의해 지배된다. 명확히 절단된 모서리는 선물 포장, 수선 등과 같은 심미적 용도에 바람직하다. 접착 테이프가 절단될 수 있는 용이성은 기재로서 또한 언급되는 테이프 배킹 필름의 변형 및 파단 내성(인성)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 기재는 접착제 표면, 또는 무광 또는 기록가능한 표면을 제공하는 표면층으로 코팅되거나 적층된다. 필름을 절단하는데 에너지가 크게 필요할 수록, 필름에 생성되는 손상은 더욱 심해지고 생성된 절단된 모서리는 심미적으로 덜 흥미를 끌게 된다. 대부분의 경우, 테이프 절단 에너지는 주로 기재에 의해 지배되고 접착제층 또는 다른 층 또는 코팅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는 필름의 고유 강도 한계를 넘는 경우 갑자기 이변적으로 생성되는 변형시 생기는 탄성 변형 에너지에 부분적으로 기인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후속되는 파손은 절단 모서리가 분배기의 톱날 윤곽에 긴밀하게 따르지 않는 인열 또는 찢김 방식으로 제어할 수 없게 증가된다. 또한, 이러한 증가는 분배기 톱날의 윤곽에 긴밀하게 따르기보다는 하부 피브릴 배향 분포에 따라 발생한다.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이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대부분은 평평한 필름 또는 텐터(tenter) 신장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통상적인 텐터 공정은 필름을 주로 동시에 또는 주로 순차적으로 이축 신장하는데 사용된다. 순차적 텐터 신장은 현재 가장 폭넓게 사용되는 이축 필름 처리 방법이다. 통상, 두꺼운 쉬이트는 압출 및 신속히 켄칭되어 단사정계 단위 셀이 있는 α-형상을 갖는 소구체를 형성한다. 그 후, 이러한 두꺼운 쉬이트는 적합한 신장 온도로 재가열되고 제1 길이방향 또는 종방향 신장 단계에서 신장된 후, 제2 횡방향 신장 단계에서 신장되고, 그 후 필름이 어닐링되어 균일한 두께의 평평한 필름을 생성한다. 동시적 텐터 신장된 필름은 필름 배킹 시장에서 작은 부분을 차지하며, 이는 그러한 공정이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서 필름을 연속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지만 고비용, 저속 및 허용되는 연신비가 비유연적이라는 것이 역사적으로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이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그의 인성, 습윤 안정성, 양호한 색상, 찢김에 대한 내성 및 투명성으로 공지되어 있고, 오랫동안 접착 테이프 배킹으로서 사용되어 왔다(참조: 미국 특허 제3,241,662호 및 제3,324,218호). 그러한 필름은 통상 고분자량 및 ASTM D 1238-95에 따라 측정시 약 2 내지 8 g/10분의 낮은 용융 유속을 갖는 소위 "필름 등급"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고분자량 폴리올레핀 수지는 경질띠, 주름 또는 다른 결점이 없이 균일한 신장 및 두께를 갖는 이축 배향된 필름을 제조하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고분자량은 주조 쉬이트에 응집 강도를 부여함으로써 상업적 이축 필름 신장 장치의 통상적인 변형 속도, 특히 순차적 이축 배향 필름 라인에서 발생할 수 있는 높은 변형 속도에서 균일한 신장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특히 순차적 이축 배향의 경우에, 고분자량은 고인성의 필름을 생성하고, 그러한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접착 테이프는 하중하에 파단되기 전에 상당히 연신되는 경향이 있고, 이로 인해 그러한 테이프를 특히 플라스틱 날의 분배기상에서 절단하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그러한 테이프에 대한 파단시 연신률은 사용자 쪽에서 바람직하지 못하게 큰 양의 일을 초래한다.
접착 테이프 배킹 필름의 제조를 위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다른 성분을 첨가하여 가공성을 개선시키거나 절단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왁스 또는 윤활제와 같은 저분자량 첨가제의 소량(약 10 중량% 미만)을 사용하여 중합체 사슬이 서로 미끄러져 가면서 이들 사이의 내부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주조 웹이 필름으로 더욱 용이하게 신장되게 할 수 있다. WO 97/46369호는 이축 신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고속 및 고 신뢰도로 제조하는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폴리프로필렌 왁스 첨가제의 용도를 기재하고 있다.
탄화수소 증점제, 고 Tg 중합체 등과 같은 성분이 첨가되어 필름 취성을 증진시키고, 따라서 필름을 절단하는데 필요한 일을 감소시킨다. 그러한 물질은 처리하기에 어렵거나 바람직하지 못한 강성, 불투명성, 바람직하지 못한 색상을 부여하거나 최종 필름에 대해 고비용인 것으로 입증될 수 있다.
JP 53-34834호는 20% 내지 80%의 폴리프로필렌 및 80% 내지 20%의 저분자량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중합체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절단 특성을 갖는 이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을 기재로 하는 접착 테이프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저분자량 폴리올레핀의 분자량이 20,000 g/mol보다 커지는 경우 절단 특성이 상당히 열화되는 물질이 된다고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3,887,745호는 이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필름 층 및 횡방향으로 일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필름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층을 포함하며, 일축 배향된 필름의 융점은 이축 배향된 필름의 융점보다 0.5 내지 10℃ 높으며, 일축 배향된 필름의 총 두께는 이축 배향된 필름의 총 두께보다 1.2 내지 5.0배 큰 필름 기재의 손가락으로 찢을 수 있는 접착 테이프를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393,115호는 이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층 및 단지 폭방향으로만 일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층을 포함하며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의 신장된 얇은 표면층으로 적층된 손으로 절단가능한 특성을 갖는 적층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일축 배향된 층의 두께는 이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층 두께의 약 1.2 내지 5.0배이다.
미국 특허 제4,414,261호는 석유 수지 25 내지 35 중량%를 함유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중간층 및 이러한 중간층의 양면에 적층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외부층을 포함하는 기재 쉬이트를 가지며 중간층의 두께는 기재 쉬이트의 60 내지 90% 범위내에 있는 절단성 폴리프로필렌 접착 테이프를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447,485호는 메틸펜텐 중합체 5 내지 50 중량%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기재 쉬이트 및 메틸펜텐 중합체의 융점 이상의 융점을 갖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주요층의 한쪽 또는 양쪽에 형성된 부가층, 및 카르복실산 개질 폴리프로필렌의 결합층을 포함하는 절단성을 갖는 손가락으로 찢을 수 있는 접착 테이프를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474,820호는 폴리프로필렌의 기재층 및 HDPE와 1종 이상의 올레핀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1개 이상의 외부층을 포함하며, 실크 무광 피니쉬를 갖는 다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기재층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는 140℃ 이상의 융점을 가지며 융융 유동 지수는 0.5 내지 15 g/10분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배향된 기재를 제공한다. 이러한 이축 배향된 기재는 접착 테이프 배킹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테이프 및 배킹은 테이프상에 명확히 톱니모양의 절단 모서리를 생성하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절단 톱날을 갖는 상업적 테이프 분배기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다. 즉, 본원 명세서에 기재되는 바람직한 접착 테이프 및 배킹은 본원 명세서에 기재되는 금속 날 분배 시험(Dispense Test-Metal Blade) 또는 플라스틱 날 분배 시험(Dispense Test-Plastic Blade)에 의해 시험될 때 톱니모양의 절단 톱날의 윤곽을 긴밀하게 따르는 톱니모양 모서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면은 배킹 및 이 배킹상의 접착제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배킹은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축 배향된 기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축 배향된 기재는 배킹이 하기 특성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바람직한 조합으로 갖는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 40% 내지 170%의 파단시 연신률,
B) 금속 날 분배 시험에 따라 절단시 350 N-cm/cm2이하의 절단 에너지,
C) 플라스틱 날 분배 시험에 따라 절단시 700 N-cm/cm2이하의 절단 에너지,및
D) 금속 날 분배 시험 또는 플라스틱 날 분배 시험에 따라 절단시 4% 이하의 연신률.
상기 특성들은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의 배킹에 대해 정의된 것이다. 접착제는 상기 특성들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바람직한 일 실시 양태에서, 이축 배향된 기재는 하기 특성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바람직한 조합으로 갖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 100,000 g/mol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
B) 8 g/1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12 g/10분 이상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g/10분 이상의 용융 유속,
C) 약 15 중량% 미만의 n-헵탄 가용성 분획에 의해 측정될 때 약 90%보다 크거나 또는13C-NMR 분석에 의해 측정될 때 60% 이상의 이소택틱 5조를 갖는 높은 이소택티서티 함량, 및
D) 바람직하게는 약 0.86 내지 0.92 g/cm3,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88 내지 0.91 g/cm3의 밀도.
이축 배향된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용융 유속이 8 g/10분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g/10분 초과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g/10분 초과인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로부터 제조된다.
또한,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A) 약 15 중량% 미만의 n-헵탄 가용성 분획 함량에 의해 측정될 때 약 90%보다 크거나 또는 C-13 핵자기 공명(NMR) 분석에 의해 측정될 때 60% 이상의 이소택틱 5조를 갖는 높은 이소택티서티 함량,
B) 100,000 g/mol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C) 바람직하게는 0.86 내지 0.92 g/cm3, 보다 바람직하게는 0.88 내지 0.91 g/cm3의 밀도, 및
D) 약 160 내지 166℃의 융점 온도를 갖는다.
그러한 수지를 얻는 바람직한 방식중 하나는
A)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될 때 350,000 g/mol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약 0.5 내지 8 g/10분,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5 g/10분의 용융 유속을 갖는 1종 이상의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A"와
B)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될 때 100,000 g/mol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8 g/10분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20 g/10분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g/10분 초과의 용융 유속을 갖는 1종 이상의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B"를 배합하는 것이다. 수지 B의 용융 유속의 실제 상한은 약 350 내지 400 g/10분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상한은 약 150 g/10분이다. 수지 B는 분자 사슬 얽힘 거동을 나타내기에, 즉 주변 온도에서 고체로서 거동하며 탄성 및 용융 강도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고분자량을 가져야 한다.
또한, 수지 A 및 B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A) 약 15 중량% 미만의 n-헵탄 가용성 분획 함량에 의해 측정될 때 약 90%보다 크거나 또는 C-13 핵자기 공명(NMR) 분석에 의해 측정될 때 60% 이상의 이소택틱 5조를 갖는 고 이소택티서티 함량, 및
B) 0.86 내지 0.92 g/cm3, 바람직하게는 0.88 내지 0.91 g/cm3의 밀도, 및
C) 약 160 내지 166℃의 융점 온도를 갖는다.
수지 A 및 B는 함께 용융 혼합되어 쉬이트로 형성되고 이축 배향되어 접착 테이프 배킹을 생성할 수 있거나, 다층 필름내에 또는 이들 수지 A 및 B의 몇몇 조합에서 구별층으로서 배열된 후 이축 배향되어 접착 테이프 배킹을 생성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수지로부터 형성된 이축 배향된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기재는 약 8 g/10분 초과 및 바람직하게는 약 100 g/10분 미만의 용융 유속을 가지며,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접착 테이프 분배기상에서 개선된 절단성을 갖는다.
수지 A와 B의 용융 유속 및 각각의 상대량은 배킹 및 이축 배향된 기재가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바람직한 특성 및 특징을 갖도록 선택된다.
이외에, 수지는 상기 A 및 B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3종 이상의 수지 블렌드일 수 있다.
블렌드를 사용하는 경우, 수지 A 및 B는 임의의 바람직한 중량으로 함께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지 A는 약 5 내지 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70 중량%로 존재하고 수지 B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80 중량%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 양태에서, 이축 배향된 기재는 단층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이축 배향된 기재는 다층 구조이다. 바람직한 다층 이축 배향된 기재는 수지 A 또는 B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수지로부터 각각 제조된 구별층을 포함한다. 또한, 수지 A 또는 B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않는 층들은 최외곽 층으로서 또는 다층 구조물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복합 이축 배향된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두께 50% 이상을 갖는다. 이축 배향된 기재를 함께 구성하는 층들에 대해 달리 말하자면, 90% 이상의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층들이 이축 배향된 기재의 총 두께의 50% 이상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층 이축 배향된 기재는 약 8 g/10분 초과, 바람직하게는 12 g/10분 초과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g/10분 이상의 복합 용융 유속을 갖는다. 다층 이축 배향된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약 100 g/10분 미만의 복합 용융 유속을 갖는다.
또한, 다층 이축 배향된 기재를 포함하는 배킹은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목적하는 절단 에너지 및 연신률을 갖는다.
본 발명은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바람직한 접착 테이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바람직한 배킹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바람직한 이축 배향된 기재를 포함하며, 이 경우 배킹에 대해기재한 특성들이 이축 배향된 기재에 적용된다. 그러한 바람직한 이축 배향된 기재는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고, 단층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바람직한 이축 배향된 기재 및(또는) 배킹을 제공하도록 배향될 수 있는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바람직한 수지 및 블렌드를 포함한다.
대부분이 공지되어 있지만 약간의 설명이 필요할 수 있는 특정 용어가 본원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에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에 사용되는 "면적 신장비"는 신장된 필름의 소정 부분의 면적 대 신장전 동일 부분의 면적의 비율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36:1의 면적 신장비를 갖는 이축 신장된 필름의 경우, 비신장된 필름의 주어진 1 cm2부분은 신장후 36 cm2의 면적을 가질 것이다.
본원 명세서에서 필름을 기재하는데 사용되는 "이축 배향"은 필름이 필름 평면에서 2개의 상이한 방향으로 신장된 것을 나타낸다. 통상, 항상은 아니지만 2개의 방향은 수직이다. 이축 배향된 필름은 순차적으로 신장되거나 동시에 신장되거나 또는 동시 및 순차적 신장의 몇몇 조합으로 신장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필름을 기재하는데 사용된 "동시에 이축 배향"은 2개의 방향 각각에서 신장의 상당부가 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다.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중합체 공정 및 기계적 특성에 영향을 준다. 중합체 분자량은 통상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 표현된다. 통상,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분자량은, 분자량 및 따라서 용융 점도의 감소에 따라 증가하는용융 유속("MFR")을 측정함으로써 예측된다. 이축 배향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상업적 필름 등급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MFR은 통상 약 1 내지 6 g/10분이다. 매우 높은 MFR 값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이축 배향은 신장 조작시 유용한 상업적 장치 속도에서 용융 강도의 부족때문에 더욱더 어려워진다.
달리 언급이 없는 한, 본 발명의 수지 및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필름의 용융 유속의 모든 값은 시험 방법(ASTM D 1238-95, Flow Rates of Thermoplastics by Extrusion Plastometer, Procedure B, Condition 230/2.16)에 따라 측정시 g/10분의 단위로 제공된다.
분자량 분포는 통상 수평균 분자량에 대한 중량 평균 분자량의 비율인 다분산도 지수를 종종 특징으로 한다. 다분산도 지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가공성 및 또한 생성된 이축 배향된 필름의 기계적 특성에 영향을 준다. 다분산도 지수는 폴리프로필렌 용융물의 동적 전단 특성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참조: 문헌(Proceedings of the 2d World Congress of Chemical Engineering, Montreal, vol.6, pp.333-337(1981)).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필름은 약 2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7의 다분산도 지수를 갖는다.
최소 분자량 또는 사슬 길이가 비가교된 중합체내의 강도를 발달시키는데 필요하다. 최소 사슬 길이는 임계 사슬 얽힘 분자량(Mc)이라 불리며, 사슬 얽힘의 시작에 필요한 사슬 길이로 정의된다. 사슬 얽힘은 사슬 운동에 형태적 제약 조건을 제공하며, 중합체가 가교된 그물망처럼 거동하며 응력을 견딜 수 있게 하며, 이러한 능력은 때때로 그린(green) 강도 또는 웹 강도로서 공지되어 있다. Mc 미만에서, 비가교된 중합체 시스템은 그러한 제약 조건이 없고 따라서 탄성이 부족하며사슬 미끄러짐 및 대규모 응력 완화가 발생된다.
많은 중합체에 대해, Mc는 분자량 증가에 대한 점도의 플롯에서 중합체에 대해 관찰되는 굴곡점으로서 얻어진다(문헌(Viscoelastic Properties of Polymers", 3rd ed., J.D.Ferry, p.242, John Wiley & Sons, NY(1980)). Mc 미만의 분자량에 대해, 중합체 점도는 분자량의 1승으로 증가하고, 즉, 점도 및 분자량은 단조롭게 증가한다. Mc 미만에서 사슬 길이가 감소함에 따라, 중합체는 처음에 왁스와 같이 거동하다가 최종적으로 점성 액체로서 거동한다. 그러나, Mc 초과에서 중합체는 점탄성 고체로서 거동하며, 점도는 분자량의 3.4 승으로 증가하고, 이는 분자량에 대한 점도의 매우 큰 의존성이 사슬 운동을 제한하고 점도를 증가시키는데 있어 얽힘의 효과로서 설명된다. 따라서, Mc는 왁스 거동과 중합체 거동사이의 전이로서 해석될 수 있다.
종종, 투명한 접착 테이프, 패키징 및 다른 용도에 사용하기 위한 매우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기재된 접착 테이프 배킹은 양호한 투명성 및 낮은 헤이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본 발명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않는 필름과 비교하여 투과에서 감소된 헤이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배향된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인테리어 조명 조건하에 육안으로 볼 때 광학적으로 투명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필름은 ASTM D 1003-95로 측정시 5% 미만의 헤이즈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된 이축 배향된 필름 및 그러한 필름을 포함하는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며, 여러 도면을통해 동일한 구조물은 동일한 숫자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정 길이의 테이프의 등측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 롤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상의 테이프 롤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절단 특성을 시험하는데 사용된 시험 장치의 등측도이다.
도 5는 도 3의 테이프 분배기 및 도 4의 시험 장치에 유용한 금속 분배기 날의 등측도이다.
도 6은 도 5의 금속 분배기 날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7-7 방향으로 본 플라스틱 분배기 날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8-8 라인을 따라 본 도 7의 분배기 날의 단면도이다.
도 9는 9-9 방향으로 본 도 7의 분배기 날의 상부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장치 일부 및 도 5의 금속 분배기 날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4의 장치 일부 및 도 8의 플라스틱 분배기 날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테이프 배킹에 대한 통상적인 절단성 또는 분배 시험 곡선을 나타낸다.
도 1을 대하여,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따른 일정 길이의 테이프(10)이 나타나 있다. 테이프(10)은 필름 배킹(11) 및 접착제층(18)을 포함한다. 배킹(11)은 이축 배향된 기재(12)를 포함한다. 이축 배향된 기재는 단층 또는 다층 필름일 수 있다. 이축 배향된 기재(12)는 제1 주요 면(14)와 제2 주요 면(16)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배킹(11)의 두께는 약 0.002 내지 약 0.005 cm이다. 이축 배향된 기재(12)는 접착제층(18)을 갖는 제1 주요면(14)상에 코팅되어 있다. 접착제(18)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접착제일 수 있다. 배킹(11)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이축 배향된 기재(12)의 제2 주요면(16)상에 코팅된 임의적인 이형 또는 저접착성 백사이즈 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이축 배향된 기재(12)는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이축 배향된 단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배킹(12)는 적어도 하나의 층이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이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포함하는 다층 배킹을 포함할 수 있다.
이축 배향된 기재(12)는 이축 배향된 배킹(11) 일부를 포함한다. 이축 배향된 기재(12)는 단층 필름 또는 다층 또는 적층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축 배향된 기재(12)는 단층 필름을 포함한다. 배킹(11)은 이축 배향된 기재(12)에 도포된 임의적인 코팅(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코팅은, 예를 들어, 저접착성 백사이즈 코팅, 기록 또는 인쇄되는 코팅, 무광 피니쉬를 제공하는 코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10)은 배킹(11) 및 접착제(18)을 포함한다. 배킹(11)은 이축 배향된 기재(12) 및 존재하는 경우 임의로는 코팅(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축 배향된 기재(12)는 배킹(11)이 하기 특성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바람직한 조합으로 갖는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 40% 내지 170%의 파단시 연신률,
B) 금속 날 분배 시험에 따라 절단시 350 N-cm/cm2이하의 절단 에너지,
C) 플라스틱 날 분배 시험에 따라 절단시 700 N-cm/cm2이하의 절단 에너지, 및
D) 금속 날 분배 시험 또는 플라스틱 날 분배 시험에 따라 절단시 4% 이하의 연신률.
상기 특성들은 접착제(18)의 존재없이 배킹(11)에 대해 정의된 것이다. 접착제(18)은 상기 특성들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바람직한 일 실시 양태에서, 이축 배향된 기재(12)는 이축 배향된 기재가 하기 특성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바람직한 조합으로 갖도록 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한다:
A) 100,000 g/mol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
B) 8 g/1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12 g/10분 이상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g/10분 이상의 용융 유속,
C) 약 15 중량% 미만의 n-헵탄 가용성 분획에 의해 측정될 때 약 90%보다 크거나 또는13C-NMR 분석에 의해 측정될 때 60% 이상의 이소택틱 5조를 갖는 높은 이소택티서티 함량, 및
D) 약 0.86 내지 0.92 g/cm3, 바람직하게는 약 0.88 내지 0.91 g/cm3의 밀도.
이축 배향된 기재(12)는 바람직하게는 용융 유속이 8 g/10분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g/10분 초과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g/10분 초과인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로부터 제조된다.
또한,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A) 약 15 중량% 미만의 n-헵탄 가용성 분획 함량에 의해 측정될 때 약 90%보다 크거나 또는 C-13 핵자기 공명(NMR) 분석에 의해 측정될 때 60% 이상의 이소택틱 5조를 갖는 높은 이소택티서티 함량,
B) 100,000 g/mol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C) 0.86 내지 0.92 g/cm3, 바람직하게는 0.88 내지 0.91 g/cm3의 밀도, 및
D) 약 160 내지 166℃의 융점 온도를 갖는다.
그러한 수지를 얻는 바람직한 방식중 하나는
A)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될 때 350,000 g/mol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약 0.5 내지 8 g/10분,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5 g/10분의 용융 유속을 갖는 적어도 1종의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A"와
B)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될 때 100,000 g/mol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8 g/10분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20 g/10분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g/10분 초과의 용융 유속을 갖는 적어도 1종의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B"를 배합하는 것이다. 수지 B의 용융 유속의 실제적 상한은 약 350 내지 400 g/10분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상한은 약 150 g/10분이다. 수지 B는 분자 사슬 얽힘 거동을 나타내기에, 즉, 주변 온도에서 고체로서 거동하며 탄성 및 용융 강도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고분자량을 가져야 한다.
또한, 수지 A 및 B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A) 약 15 중량% 미만의 n-헵탄 가용성 분획 함량에 의해 측정될 때 약 90%보다 크거나 또는 C-13 핵자기 공명(NMR) 분석에 의해 측정될 때 60% 이상의 이소택틱 5조를 갖는 높은 이소택티서티 함량,
B) 0.86 내지 0.92 g/cm3, 바람직하게는 0.88 내지 0.91 g/cm3의 밀도, 및
C) 약 160 내지 166℃의 융점 온도를 갖는다.
수지 A 및 B는 함께 용융 혼합되어 쉬이트로 형성되고 이축 배향되어 접착 테이프 배킹을 생성할 수 있거나, 다층 필름내에 또는 이들 수지 A 및 B의 몇몇 조합에서 구별층으로서 배열된 후 이축 배향되어 접착 테이프 배킹을 생성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수지로부터 형성된 이축 배향된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기재(12)는 약 8 g/10분 초과 및 바람직하게는 약 100 g/10분 미만의 용융 유속을 가지며,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접착 테이프 분배기상에서 개선된 절단성을 갖는다.
수지 A와 B의 용융 유속 및 각각의 상대량은 배킹 및 이축 배향된 기재가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바람직한 특성 및 특징을 갖도록 선택된다.
이외에, 수지는 상기 A 및 B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3종 이상의 수지 블렌드일 수 있다.
블렌드를 사용하는 경우, 수지 A 및 B는 임의의 바람직한 중량으로 압출 혼합과 같은 임의의 공지된 가소화 전단 혼합 장치에 의해 함께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지 A는 약 5 내지 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70 중량%로 존재하고 수지 B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80 중량%로 존재한다. 약 80%를 초과하는 수지 B의 중량 조성에서, 물질을 처리하기가 어렵게 될 수 있으나, 조성의 실제 한계는 사용되는 특정 공정 및 장치에 의해 결정되고, 따라서, 신장시 변형 속도, 온도 프로파일, 신장폭 등에 따라 달라진다.
블렌드를 사용하는 경우, 수지 블렌드는 임의의 공지된 혼합 조작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필름 신장전에 건조 성분들의 압출 혼합에 의해 또는 별도로 제조되어 나중 사용을 위해 펠렛을 제조한다.
가공성은 단일층을 이축 배향시켜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단순화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수의 층들을 이축 배향된 기재(12)내에 혼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A와 B를 블렌딩하여 단층 필름으로 압출하기 보다는, 수지 A 또는 B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수지로부터 각각 제조된 구별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으로 적층하거나 공압출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 A 또는 B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않는 층들은 최외곽 층으로서또는 다층 구조물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복합 이축 배향된 기재(12)는 90% 이상의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두께 50% 이상을 갖는다. 이축 배향된 기재(12)를 함께 구성하는 층들에 대해 달리 말하자면, 90% 이상의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층들은 이축 배향된 기재(12)의 총 두께의 50% 이상에 해당한다. 또한, 다층 이축 배향된 기재(12)는 약 8 g/10분 초과, 바람직하게는 12 g/10분 초과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g/10분 이상의 복합 용융 유속을 갖는다. 다층 이축 배향된 기재(12)는 바람직하게는 약 100 g/10분 미만의 복합 용융 유속을 갖는다. 또한, 배킹(11)은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목적하는 절단 에너지 및 연신률을 갖는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이 약 8 g/1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g/10분 이하의 MFR 값으로 후속적으로 분해되거나 산화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가 초기에 8 g/10분 미만의 용융 유속을 갖는 수지 또는 2종 이상 수지의 블렌드가 사용될 수 있다.
필름 가공에서, 모서리 트림(trim)이 종종 재펠렛화하여 또는 하지 않고서 압출 공정에 재순환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에 대해, 모서리 트림이 8 MFR 미만인 경우, 상기 기재된 추가 수지 A로서 고려될 수 있으며, 모서리 트림이 8 MFR 초과인 경우, 상기 기재된 추가 수지 B로서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서리 트림은 8 MFR 초과 및 150 MFR 미만이고, 추가 수지 B로서 고려될 것이다.
다분산도 지수는 ASTM D 4065-95에 따라 측정시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7.5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낮은 다분산도 지수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상업적 이축 배향 조작으로 처리하기가 어렵지만, 그러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이축 배향 기재의 절단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높은 다분산도 지수 또는 넓은 분자량 분포의 수지는 처리하게 용이할 수 있으나, 높은 절단 에너지를 촉진하리라 예상된다. 따라서, 분자량 또는 MFR 및 분자량 분포의 균형이 본 발명의 적용에 바람직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특성을 만족시키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단독중합체이다. 청구의 범위를 포함하여 본원 명세서에서 수지가 단독중합체로서 언급되는 경우, 수지 및 필름의 목적하는 특징 및 특성을 여전히 만족시키기에 충분히 소량으로 공중합체를 갖는 수지를 또한 포함한다.
필름 가공에서, 중합체 수지는 고온에서 고 전단 응력을 받는다. 통상의 산업적 압출 시스템에서, 폴리프로필렌 분자량은 사슬 절단으로 인해 다소 분해된다. 가공중에, 가장 긴 중합체 분자는 보다 짧은 분자보다 더 큰 정도로 분해된다. 따라서, 주어진 수지에 대해, 필름 분자량은 수지 분자량보다 낮을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쉬이트 형태로 주조되어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바람직한 이축 배향된 기재(12)를 얻기 위한 신장에 적합한 쉬이트로 제조될 수 있다. 쉬이트를 주조하는데 적합한 한가지 방법은 수지를 안정한 균일 용융물을 생성하도록 조정된 압출기 배럴 온도를 갖는 4.45 cm 단일 스크류 압출기(H.P.M사 제조, Mt.Gilead, OH 소재)의 공급 호퍼중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용융물은 17.8 cm 단일 매니폴드 쉬이트 다이를 통해 50 내지 60℃의 물이 순환하는 회전 수냉식 강철 주조 휠(wheel)상으로 압출될 수 있다. 주조 쉬이트는 약 30℃에서 유지되는 수조를 통과하여 두께가 약 0.12 내지 0.16 cm인 주조 쉬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그 후, 쉬이트는 이축 배향되어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목적하는 특징 및 특성을 갖는 이축 배향된 기재(12)를 제공한다.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바람직한 특성은 이축 배향된 기재(12)를 이축 배향시키는데 적합한 임의의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모든 신장 방법중에, 테이프 배킹용 필름의 상업적 제조를 위한 가장 바람직한 방법에는 미국 특허 제4,330,499호 및 제4,595,738호에 기재된 방법 및 장치와 같은 기계적 텐터에 의한 이축 신장, 더욱 바람직하게는 미국 특허 제4,675,582호, 제4,825,111호, 제4,853,602호, 제5,036,262호, 제5,051,225호 및 제5,072,493호에 기재된 동시 이축 신장을 위한 방법 및 텐터 장치에 의한 이축 신장이 포함된다. 이축 신장된 필름이 관형 취입 필름 또는 평평한 필름 텐터 신장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지만, 테이프 배킹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의 본 발명의 필름은 통상 관형 취입 필름 공정과 관련된 두께 변화 및 가공상 어려움을 방지하기 위해 평평한 필름 텐터 신장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평평한 필름 텐터 신장은 순차 또는 동시 신장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시적 공정은 놀랍게도 보다 높은 수준의 수지 B를 혼입시킬 수 있고, 따라서 개선된 절단성 및 투명성을 포함하여 보다 바람직한 특성을 부여한다. 그러한 공정의 추가 이점은 필름 표면이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순차적 필름 신장 라인의 경우에서와 같이 신장 롤러와 접촉하지 않으며, 이는 롤러 접촉에 의해 초래되는 결점으로부터 필름 표면을 보호한다는 것이다. 또한, 두께 변화와 같은 다른 결점, 다이립(lip) 불안정성, 경질띠 등이 관형 또는 취입 필름 신장 공정과 비교하여 최소화된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36:1 이상의 면적 신장비로 이축 신장되도록 선택된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30 m/분 이상의 선속도에서 신장될 수 있다.
테이프(10)을 위한 배킹(11)로서 사용되는 경우의 본 발명에 유용한 이축 배향된 기재(12)의 최종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0.002 내지 0.005 cm이다. 필름 두께의 변화는 바람직하게는 약 5% 미만이다. 필름이 과도한 취약성 및 취급 어려움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두꺼우면서도 바람직하지 못하게 경질 또는 강성, 및 취급 및 사용하기에 어렵지 않도록 두꺼워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하면서, 보다 두꺼운 필름 및 보다 얇은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배킹(11)은 임의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첨가제 및 다른 성분을, 바람직하게는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의해 달성되는 인장 및 분배 특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선택되는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필름은 충전제, 가소제, 착색제, 윤활제, 가공 보조제, 핵생성제, 자외선 안정화제 및 기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통상, 그러한 물질은 배향 필름으로 제조되기 전에 중합체(예를 들어, 필름으로 압출되기 전에 중합체 용융물)에 첨가된다. 유기 충전제는 유기 염료 및 수지뿐만 아니라 나일론 및 폴리이미드 섬유와 같은 유기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충전제는 안료, 퓸드(fumed)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 규조토, 이산화티타늄, 탄소 섬유, 카본블랙, 유리 비드, 유리 버블, 미네랄섬유, 점토 입자, 금속 입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난연제,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상용화제, 항균제(예를 들어, 산화아연), 전기 전도체 및 열 전도체(예를 들어, 산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및 니켈 입자)와 같은 다른 첨가제가 필름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중합체중에 배합될 수 있다.
접착제(18)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접착제일 수 있다. 바람직한 접착제는 압력, 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접착제이다. 적합한 접착제는 아크릴레이트, 고무 수지, 에폭시, 우레탄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기재로 하는 접착제를 포함한다. 접착제(18)은 용액, 물 기재 또는 고온 용융물 코팅 방법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는 임의의 목적하는 양으로 도포될 수 있고, 통상 약 0.0015 내지 0.005 g/cm2의 통상적인 건조 코팅 중량을 제공하도록 도포된다.
배킹(11)은 임의로는 불꽃 또는 코로나 방전, 또는 후속되는 코팅층의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화학적 전처리를 포함하는 다른 표면 처리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접착 코팅된 테이프 시장 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제2 표면(16)은 마주보는 표면 접착제층(18)과 배킹(11)사이의 접착성을 제한하는 임의적인 저접착성 백사이즈 물질(20)으로 코팅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용이하게 풀 수 있는 접착 테이프의 롤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러한 테이프(10)은 특히 가벼운 일의 가정용 및 사무실 용도 또는 다이-절단 테이프 또는 다른 다이 절단 기재와 같은 다른 용도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 양태에서, 테이프(1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로는 코어(2)상에 R 방향으로 권취되는 나선형 권취 롤(22) 형태로 제공된다. 그러한 롤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탁상용 또는 핸드 헬드 분배기(26)상에 제공될 수 있다. 분배기는 금속 절단 날 또는 플라스틱 절단 날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분배기는 금속 절단 날이 장착된 스카치(SCOTCH) 브랜드 Cat.15 또는 Cat.40 탁상용 테이프 분배기, 금속 날이 장착된 스카치 브랜드 Cat.25 또는 Cat.H-125/126 플라스틱 투피스(2-piece) 분배기 및 플라스틱 절단 날이 있는 스카치 브랜드 Cat.104 또는 Cat.105 사출 성형된 폴리스티렌 분배기(이러한 모든 분배기는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St.Paul, Minnesota 소재)에시 시판됨)로서 시판되는 것을 포함한다.
필름 배킹을 테이프로 전환하는 상세한 사항은 당업계의 숙련자에 달려 있으며, 본원 명세서에서 더이상 상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451,533호("Dispensable Polyproylene Adhesive-Coated Tape, Wong et al)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작이 하기 상세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다양한 특정 및 바람직한 실시 양태 및 기술을 더욱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많은 변화 및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시험 방법>
인장 특성: ASTM D-882-95A, 얇은 플라스틱 쉬이트의 인장 특성(TensileProperties of Thin Plastic Sheeting), 방법 A
배킹의 파단시 인장 연신률을 시험 방법(ASTM D-882-95A, "Tensile Properties of Thin Plastic Sheeting", Method A)에 기재된 과정에 따라 측정하였다. 배킹을 25℃ 및 50% 상대 습도에서 24시간 동안 상태 조절하였다. 모델 400/S(MTS Systems Corporation사 제조, Eden Prairie, MN)로서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 시험을 위한 시료는 폭 1.91 cm 및 길이 15 cm이었다. 10.2 cm의 초기 조오(jaw) 분리 및 30 cm/분의 크로스헤드(crosshead) 속도를 사용하였다. 필름의 기준 방향으로 각각의 시료를 시험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파단시 연신률 값을 시료의 초기 게이지 길이를 기준으로 기준 방향에 대해 기록하였다. 청구의 범위를 포함하여 본원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파단시 인장 연신률"은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기재하는데 사용한다.
용융 유속: ASTM D 1238-95, 압출 가소성측정기에 의한 열가소성 수지의 유속(Flow Rates of Thermoplastics by Extrusion Plastometer)
수지 및 배킹 시료의 용융 유속을 시험 방법(ASTM D 1238-95, Flow Rates of Thermoplastics by Extrusion Plastometer, Procedure B, Condition 230/2.16)에 기재된 과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타이머가 장착된 티니우스-올센(Tinius-Olsen) 압출 가소성측정기 모델 U-E-4-78(Willow Grove, PA)을 사용하였다. 1인치의 피스톤 아암 주행 길이를 모든 시험에 대해 사용하였다. 시료를 가열된 가소성측정기에 충전하고, 측정전 체류 시간을 7.0±0.5분으로 유지하였다. 필름을 시험할 때, 필름 시료를 롤링하고 장치에 도입하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Mw): ASTM D 5296-92,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C)에 의한 분자량 평균(Molecular Weight Averages by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SEC))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시험 방법(ASTM D 5296-92, Molecular Weight Averages by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SEC))에 따라 측정하였다. 2개의 칼럼 세트(500Å 기공 크기를 갖는 조르디 어소시에이트(Jordi Associates) 혼합 층)가 장착된 워터스(Waters) 150C 크로마토그래프 (Waters Corporation, Milford, Massachusetts)를 사용하였다. 시료는 펠렛, 주조 쉬이트 또는 신장된 필름 형태이었다.
0.1% 이오놀(Ionol)(산화방지제) 및 포스파이트(Phosphite) 168(고온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1,2,4-트리클로로벤젠(TCB) 10.0 ml를 약 25 mg의 시료에 첨가하고, 160℃에서 12.0시간 동안 가열시켜 용해시켰다. 그 후, 용액을 워터스 150C 기기의 내부 여과 시스템(0.5 ㎛)을 사용하여 여과시키고, 150 ㎕의 용액 각각을 140℃의 온도 및 1.0 ml/분의 용출제(TCB) 속도에서 작동하는 크로마토그래프에 주입하였다. 내부 굴절률 검출기를 사용하여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Mw)를 Mw 범위가 6.30×106내지 800 g/mol인 좁은 분산성 폴리스티렌 표준물질로 구성된 보정을 기초로 하여 폴리머 랩스 PL 캘리버(Polymer Labs PL Caliber)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델(Dell) 컴퓨터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ASTM D 4065-95, 플라스틱의 동력학적 특성의 측정에 의한 다분산도지수(Polydispersity Index by Measurement of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of Plastics)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및 필름 양쪽의 다분산도 지수를 레오메트릭스 다이나믹 미케니칼 스펙트로미터(Rheometrics Dynamic Mechanical Spectrometer) (Rheometrics Scientific Incorporated, Piscataway, New Jersey) 진동 디스크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ASTM D 4065-95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료 필름 또는 수지를 200℃의 오븐에서 약 1 내지 3 mm의 간격으로 2개의 25 mm 직경의 평행판사이에 두고, 0.1 내지 400 라디안/초의 주파수로 진동하는 변형 스위프에 두었다. 동적 응력 반응을 측정하고 저장 탄성률 G' 및 손실 탄성률 G"의 값을 계산하였다. 이러한 탄성률들이 동일 값을 갖는 점이 교차점이고, 이러한 점에서의 동적 탄성률의 값이 Gc(dyne/cm2)이다. 다분산도 지수는 PI=106/Gc로서 계산된다.
ASTM D 1003-95, 투과도 헤이즈
본 발명의 필름의 투과도 헤이즈를 ASTM D 1003-95에 기재된 과정에 따라 헤이즈-가드 플러스(Haze-guard Plus) 투과도 및 헤이즈 미터(BYK-Gardiner, Silver Springs, M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절단 특성: 필름의 분배 시험
폭 1.91 cm 및 길이 15 cm의 시험 시료를 새로운 날이 장착된 면도칼날 절단기를 사용하여 비코팅된 시료 필름으로부터 절단하였다. 시험 시료를 시험전에 25℃ 및 50% 상대 습도에서 24시간 동안 상태 조절하였다.
절단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된 시험 장치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시험 장치는 15.2 cm×15.2 cm×1.1 cm 알루미늄 후면 탑재판(102)에 탑재된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테이프 분배기 100M(금속 절단 날이 장착된 스카치(상표명) Cat.H-127 투피스 폴리스티렌 성형된 분배기,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St.Paul, MN 소재)에서 본 발명의 출원일로서 시판됨) 또는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테이프 분배기 100P(플라스틱 절단 날이 장착된 스카치(상표명) Cat.122 투피스 성형된 폴리스티렌 분배기,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St.Paul, MN 소재)에서 본 발명의 출원일로서 시판됨)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배기를 후면 탑재판(102)와 시험 분배기 100P 또는 100M의 윤곽으로 밀링된 두께 0.3 cm 알루미늄 전면 탑재판(104)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절단 시험시 구부려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시험 분배기를 손잡이 나사(106)을 끼워 넣음으로써 전면(104)와 후면(102) 탑재판사이에 견고하게 고정시켰다. 후면 탑재판(102)를 기계 나사(110)에 의해 2.4 cm 직경 원통형 기저 탑재 기둥(108)에 고정시켰다. 기저 탑재 기둥(108)을 90°각의 절단부를 포함하도록 밀링하여 후면 탑재판(102)를 인장 시험기의 수직 중심선에 고정시키고, 즉, 후면 탑재판(102)의 축과 시험 분배기 100P 또는 100M사이의 각도는 기계 중심선에 대해 0°이었다. 기저 기둥내 드릴부(109)에 삽입된 핀을 잠금으로써 기저 기둥(108)을 시험기 덱(deck)에 고정시켰다.
나사로 고정되는 알루미늄 허브(hub) 탑재 샤프트(112)상의 분배기 허브를 후면 탑재판(102)중으로 삽입함으로써 시험 분배기 100M 또는 100P를 후면 탑재판(102)상에 탑재하였다. 분배기의 바닥을 시험시 분배기의 회전을 방지하는자리(115)에 놓았다. 시험 분배기를 분배기 절단 날의 일련의 톱날이 기계 중심과 수직이도록 탑재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험 필름에 절단시 폭을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하중이 가해진다.
분배기 100M은 도 5 및 6에 나타낸 강철 톱니모양 절단 날(120)을 포함했다. 강철 절단 날(120)은 두께 약 0.05 cm의 니켈 도금된 강철로부터 형성된 것이고, 적어도 필름(12)의 폭 이상이며 날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필름(12)의 기준 방향 R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약 0.3 cm의 길이인 직사각형 랜드(land)부(122)를 포함했다. 랜드부(122)는 시험 시료가 순간적으로 절단되는 일반적으로 평면인 표면으로 정의된다. 날(120)은 또한 랜드부(122)의 후면 모서리에 날 지지부(126)을 포함했고, 랜드부는 지지부(126)과 80°의 β각을 형성했다. 날 지지부(126)은 약 1.32 cm 길이였다. 또한, 날(120)은 말단 모서리를 따라 일련의 톱날(130)을 갖는 지지부에 대하는 랜드부의 모서리에 일반적으로 U-형태의 부분(128)을 포함했다. 각각의 톱날(130)은 일반적으로 삼각형이고, 랜드(122)의 평면에 또는 약간 하부에 인접 톱날(130)의 첨단부로부터 약 0.12 cm로 이격되어 있는 첨단부를 가지며, 약 0.06 cm의 높이로 정의되고, 예리도는 약 0.003 cm의 곡률 반경으로 정의되고, 상기 톱날(130)의 정점(132)는 60°의 끼인각을 형성한다. 톱날(130)은 약 50°의 α각도로 날 지지부(126)의 평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U 형태의 부분(128)의 측면은 서로간에 72°의 γ각도에 있다.
분배기 100P는 도 7 내지 9에 나타낸 사출 성형된 폴리스티렌 날(140)을 포함한다. 분배기 100P상의 폴리스티렌 날(140)은 테이프 분배기 100P의 2개의 반쪽중 하나와 통합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날(140)은 통상적인 사출 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강철 금형의 공동을 충전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8 및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140)은 폭이 약 0.35 cm인 랜드 표면(144)를 포함한다. 랜드 표면(144)는 약간 볼록이고, 2.54 cm의 곡률 반경을 가졌다. 랜드(144)의 전방은 125°의 δ내각으로 만나는 표면(148)과 (149)에 의해 형성된 V-형태의 부분이다. V 홈의 표면(148)은 랜드(144)의 선형 근사로 70°의 ν각도를 만든다. 일련의 마루(154)가 분배기의 전방으로부터 연장된다. 마루(154)는 각각 마루(154c)에서 만나는 측면(154a)와 (154b)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톱날 피크(150)은 표면(149)와 마루(154)의 교차에 의해 형성된다. 도 7 및 9에서 가장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톱날은 3개의 평면, 즉, 마루(154)의 측면(154a)와 (154b) 및 V-형태의 홈의 표면(149)의 교차에 의해 형성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154a)와 (154b)는 74°의 끼인각에서 만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149)는 마루(154)의 모서리(154c)와 50°의 φ각을 형성한다. 각각의 톱날(150)은 랜드 표면(122)의 평면에 또는 약간 하부에 첨단부를 가지며, 인접 톱날(150)의 첨단부로부터 약 0.127 cm로 이격되어 있다. 각각의 톱날은 톱날 피크로부터 톱날사이의 인접 골까지의 높이 H로서 측정될 때 약 0.020 cm의 높이를 갖는다. 각각의 톱날은 약 0.010 cm의 곡률 반경을 갖는 모서리 예리도를 갖는다.
어느 하나의 시험 분배기에서, 이중 코팅된 접착 테이프(스카치(상표명) Cat.665)의 한 조각을 랜드 영역(122) 또는 (144)에 적용하고, 시험 시료를 손가락 압력으로 이중 코팅된 테이프의 접착제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시켜 절단 시험시 전방 운동을 방지하였다.
시험 시료를 기계 중심선에 0°의 각도로 배열하여 분배기의 힘이 시료의 폭을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였다. 절단 날(120) 또는 (140)의 첨단부가 직접적으로 조오(162)의 아래에 있도록 분배기 100M 또는 100P를 배향하였다. 금속 분배기(120)을 갖는 분배기 100M을 사용하는 시험에 대해, 랜드(122)가 시험기의 주행 A의 수직 방향에 대해 110°의 σ1각도로 있도록 분배기를 배향하였다(조오(162)에 대해 단지 절단 날(120)만을 나타내고 분배기 및 시험 장치의 나머지는 단지 설명 목적만을 위해 제거한 도 10을 참조). 플라스틱 날(140)을 갖는 분배기 100P를 사용하는 시험에 대해, 마루(154)의 모서리(154c)가 시험기의 주행 A의 수직 방향에 대해 32°의 σ2각도로 있도록 하는 각도에서 분배기를 배향하였다(조오(162)에 대해 단지 절단 날(140)만을 나타내고 분배기 및 시험 장치의 나머지는 단지 설명 목적만을 위해 제거한 도 11을 참조).
그 후, 시험 시료의 자유 말단을 상부 조오(162)와 절단 날(120) 또는 (140)사이의 거리가 10.2 cm이도록 인장 시험기의 상부 조오에 물리게 하였다. 절단 날이 시험 출발전에 시료와 접촉하지 않도록 시료를 인장력없이 적재하였다. 상부 조오를 지지 레일(14)상에 주행하는 기계 크로스헤드에 부착시켰다. 그 후, 시험 시료를 절단 날(120) 또는 (140)과 접촉시키도록 하기 위해 인장력하에 0.9 N의 값으로 예비 적재하였다. 그 후, 배킹(11)을 30 cm/분의 속도로 조오(162)에 의해 A 방향으로 인취하였다. 시료의 하중량 및 연신률을 측정하여 기록하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 에너지를 하중량/연신률하의 면적으로부터 계산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도 12에서, 하중량은 수직축을 따라 표시되고 연신률은 수평축을 따라 표시된다. 하중량 및 연신률은 연신률이 (204)로 표시되는 피크 하중량(202)에 도달할 때까지 곡선부(200)을 따라 증가한다. 그 후, 하중량은 연신률이 곡선부(206)을 따라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에너지는 연신률 0으로부터 최대 하중량(202)에서의 연신율(204)까지의 곡선부에 대해 계산된다. 분배기의 톱날은 최대 하중량(202) 점 근처에서 필름에 구멍을 내고, 그 때에 필름을 통한 구멍이 커지면서 하중량이 감소하여 절단을 완료한다고 믿어진다.
청구의 범위를 포함하여 본원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금속 날 분배 시험"은 분배기 100M을 사용한 상기 시험을 가리키며, 용어 "플라스틱 날 분배 시험"은 분배기 100P를 사용한 상기 시험을 가리킨다.
실시예의 제조
수지 마스터 배치의 제조
하기와 같이 이축 배향된 기재 실시예를 제조하기 위해 낮은 용융 유속의 수지 A 및 높은 용융 유속의 수지 B의 중량 조성이 50:50인 시료 수지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였다. 먼저, 50 중량%의 피나(FINA) 3374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수지를 피나 3860 폴리프로필렌(마스터 배치 X를 생성함), 피나 3892 폴리프로필렌(마스터 배치 Y를 생성함) 또는 피나 98035 폴리프로필렌(마스터 배치 Z를 생성함)의 3종류의 수지(FINA Oil & Chemical Co.(Dallas, TX 소재)에서 모두 시판됨) 각각 50 중량%와 배합하였다. 별도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K-트론(Tron) T-35 부피 공급기를 사용하여 50 mm 트윈 스크류 압출기중으로 공급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를 혼합하였다. 압출기는 50 mm 10:1의 L/D 공회전하는 베이커-퍼킨스(Baker-Perkins) 트윈 압출기이었다. 5-구멍 스트랜딩 다이를 압출기상에 탑재하고, 압출물 스트랜드를 펠렛화전에 수조에 공급하였다. 압출기를 275 rpm의 속도 및 232℃의 다이 온도에서 약 22 kg/hr(48.5 lb/hr)의 속도로 작동시켰다. 순수한 단독중합체 수지를 마스터 배치 수지에 첨가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목적하는 중량 백분율을 얻음으로써 최종 중량 조성 및 용융 유속을 달성하였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중량비
실시예 1 순수한 이소택틱 PP 수지 마스터 배치 수지
3374 3860 3982 98035 X Y Z
1 100 - - - - - -
2 80 - - - 20 - -
3 60 - - - 40 - -
4 40 - - - 60 - -
5 100 - - - - - -
6 40 - - - 60 - -
7 20 - - - 80 - -
8 100 - - - - - -
9 40 - - - 60 - -
10 100 - - - - - -
11 50 - - - 50 - -
12 - 50 - - 50 - -
13 - 100 - - - - -
14 50 - - - - 50 -
15 - - 50 - - 50 -
16 - - - 50 - - 50
실시예 1 내지 4
적절한 수지 혼합물을 약 250 내지 260℃의 안정한 균일 용융물을 생성하도록 조정된 압출기 배럴 온도를 갖는 4.45 cm 단일 스크류 압출기(H.P.M사 제조,Mt.Gilead, OH)의 공급 호퍼중에 공급하였다. 폴리프로필렌 용융물을 17.8 cm 단일 매니폴드 쉬이트 다이를 통해 물이 순환하는 약 50 내지 60℃의 회전 수냉식 강철 주조 휠상으로 압출하였다. 그 후, 주조 쉬이트를 약 30℃에서 유지되는 켄칭 수조에 통과시켜 약 0.16 cm의 두께를 갖는 주조 쉬이트를 제조하였다.
순차 텐터 공정으로서 당업계에 공지된 공정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이축 배향 기재를 제조하였다. 주조 쉬이트를 약 127 내지 136℃에서 내부적으로 유지되는 일련의 제1 가열 롤상에 통과시킨 후, 상이한 속도에서 회전하는 2개의 닙핑된 연신롤사이에서 신장시켜 압출 또는 주조 방향에서 5.0:1의 제1 연신비를 얻었다. 그 후, 일축 신장된 쉬이트를 온도가 158 내지 175℃인 다수의 가열 대역을 갖는 텐터 오븐에 공급하고, 약 9:1의 연신비에서 제1 신장에 수직인 방향으로 2개의 텐터 레일사이에서 신장시키거나 배향하였다. 생성된 필름은 약 0.003 내지 0.0035 cm의 두께를 가졌고 이러한 필름을 공기중에서 냉각시키고 120℃의 내부 온도를 갖는 어닐링 드럼상에서 어닐링하였다. 후속적으로, 모서리를 면도칼로 절단하고, 필름을 마스터 롤상에 권취하였다. 새로운 날이 장착된 면도칼 날 절단기를 사용하여 필름을 유용한 시료 폭으로 절단하였다.
실시예 5 내지 7
동시 텐터 공정으로서 공지된 공정에 의해 동시에 이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실시예 5 내지 7을 제조하였다. 먼저, 적절한 수지 혼합물을 압출시켜 약 257℃의 용융 온도를 갖는 안정한 균일 용융물을 제조하였다. 폴리프로필렌 용융물을 약 11℃의 물이 순환하며 약 10 m/분으로 회전하는 수냉각 강철 주조 휠상에 주조하였다. 그 후, 주조 쉬이트를 약 20℃에서 유지되는 켄칭 수조에 통과시켜 약 0.15 내지 0.2 cm의 두께를 갖는 주조 쉬이트를 제조하였다.
7:1의 신장 스핀들이 장착된 발산 스핀들 동시 이축 배향 텐터를 사용하여 주조 필름을 80 내지 85 m/분의 선속도 및 약 175 내지 180℃의 신장 온도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 약 50:1의 최종 균형된 면적 신장비로 동시 신장시켰다.
실시예 8 내지 16
실시예 8 내지 16을 실시예 1 내지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주조하였다.
실시예 8 내지 9를 하기와 같이 프레임 또는 배치 신장기로서 공지된 실험실용 2-방식 필름 신장기를 사용하여 2개의 수직 방항에서 동시 신장시켰다. 0.16 cm 두께의 주조 필름 쉬이트를 한 측면에서 6.83 cm의 정사각형 정제로 절단하고, 일련의 클립을 사용하여 모서리를 맞물게 하고 한 측면에 5.08 cm의 신장가능한 시료로 두어 배치 신장기의 신장 오븐에서 고정시켰다. 정제를 155℃에서 90초 동안 예비 가열하고 기준 방향으로 약 300%/초의 속도로 신장시키고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약 250%/초로 신장시켜 약 40:1의 최종 면적 신장비로 하였다. 시료를 신장기로부터 즉시 제거하여 냉각시켰다. 필름은 약 0.030 cm의 공칭 두께를 가졌다. 필름을 새로운 날이 장착된 면도칼 날 절단기를 사용하여 유용한 시료 폭으로 절단하였다.
상기 기재된 주조 쉬이트를 하기와 같이 프레임 또는 배치 신장기와 같은 공지된 실험실용 2-방식 필름 신장기를 사용하여 2개의 수직 방향으로 동시 신장시켜 실시예 10 내지 16을 제조하였다. 두께 0.16 cm의 주조 필름 쉬이트를 한 측면에서 6.83 cm의 정사각형 정제로 절단하고, 일련의 클립을 사용하여 모서리를 맞물게 하고 한 측면에 5.08 cm의 신장가능한 시료로 두어 배치 신장기의 신장 오븐에서 고정시켰다. 정제를 155℃에서 90초 동안 예비 가열한 후 기준 방향으로 약 300%/초의 속도로 및 기준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약 300%/초로 동시 신장시켜 약 50:1의 최종 면적 신장비로 하였다. 필름을 새로운 날이 장착된 면도칼 날 절단기를 사용하여 유용한 시료 폭으로 절단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0, 12 내지 13 및 15 내지 16에 따라 제조된 시료를 금속 날 분배 시험에 의해 절단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실시예 5, 7 및 10 내지 15에 따라 제조된 시료를 플라스틱 날 분배 시험에 의해 절단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로부터 얻어진 시료를 상기 기재된 방법에 의해 용융 유속 및 중량 평균 분자량 Mw에 대해 시험하였다. 또한, 각각의 시료로부터 얻어진 시료를 상기 기재된 방법에 의해 파단시 인장 연신률에 대해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
실시예 MFR1 MW2 PI3 시험4 피크5 에너지6 인장 연신률7 분배 연신률8 헤이즈9
1 4.4 420 M 19.5 600 190 3.18 1.06
2 5.4 490 M 19.1 561 188 2.97 0.91
3 8.0 420 M 14.1 241 167 1.80 0.07
4 11.2 350 M 13.2 235 167 1.86 0.47
5 5.8 M 22.4 740 98 3.70 4.56
6 M 16.9 270 109 1.88 3.30
7 12.5 M 16.1 244 121 1.82
8 7.5 M 14.6 310 70 1.77 1.23
9 19.6 M 12.8 249 55 1.56 0.79
10 3.2 418 3.4 M 23.8 634 87 2.89
12 54.0 231 4.9 M 14.3 277 97 1.86
13 100.0 183 6.5 M 14.5 269 103 1.71
15 49.0 6.7 M 17.0 285 90 1.86
16 45.0 224 4.9 M 15.5 248 86 1.72
5 5.8 197 P 29.8 937 98 3.20 4.56
7 12.5 132 P 26.7 591 121 2.49 3.30
10 3.2 418 3.4 P 43.1 3370 87 7.31
11 6.7 320 4.1 P 38.3 2920 93 6.82
12 54.0 231 4.9 P 20.8 532 97 1.86
13 100.0 183 6.5 P 17.2 286 103 1.71
14 6.9 249 4.9 P 34.2 1895 85 5.05
15 49.0 6.7 P 23.1 645 90 2.61
1: 시험 방법(ASTM D 1238-95, Flow Rates of Thermoplastics by Extrusion Plastometer, Procedure B, Condition 230/2.16)에 따라 측정된 용융 유속(g/10분)2: 시험 방법(ASTM D 5296-92, Molecular Weight Averages by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SEC))에 따라 측정된 중량 평균 분자량(Mw)(1000 g/mol)3: PI: 다분산도 지수=106/Gc(여기서, Gc=레오미터 교차 탄성률 값(dyne/cm2))4: M=금속 날 분배 시험, P=플라스틱 날 분배 시험5: 분배 시험시 측정된 피크 하중량(N/19.1 mm)6: 금속 날 분배 시험 및(또는) 플라스틱 날 분배 시험에 의해 측정된 분배 에너지(N-cm/cm2)7: 시험 방법(ASTM D 882-95A, Tensile Properties of Thin Plastic Sheeting, Method A)에 기재된 과정에 따라 측정된 파단시 인장 연신률(%)8: 금속 날 분배 시험 및(또는) 플라스틱 날 분배 시험시 측정된 연신률(%)9: ASTM D1003-95에 의해 측정됨(%)
상기 기재된 시험 및 시험 결과는 예측적이기 보다는 단순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시험 과정에서 변화는 상이한 결과를 달성하리라 기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몇몇 실시 양태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다. 상기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단지 이해를 명확하기 위해 주어졌다. 그로부터 불필요한 제한이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특허 및 특허 출원은 참고로 포함된다. 당업계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많은 변화가 실시 양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정확한 사항 및 구조에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청구의 범위의 언어 및 이러한 구조의 동등한 것에 의해 기재된 구조에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91)

  1. 배킹(backing) 및 이 배킹상의 접착제층을 포함하며, 상기 배킹은 플라스틱 날 분배 시험에 따라 절단시 700 N-cm/cm2이하의 절단 에너지를 가지고 이축 배향된 기재를 포함하며, 이 이축 배향된 기재는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하고 용융 유속이 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가 단층 기재로 이루어지는 접착 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가 다층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의 총 두께의 50% 이상이 90% 이상의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4. 제3항에 있어서, 제1 다수의 상기 층들이 각각 90% 이상의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며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의 총 두께의 50% 이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g/mol 이상인 접착 테이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킹이 플라스틱 날 분배 시험에 따라 절단시 4% 이하의 연신률을 갖는 접착 테이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킹이 금속 날 분배 시험에 따라 절단시 350 N-cm/cm2이하의 절단 에너지를 갖는 접착 테이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킹이 금속 날 분배 시험에 따라 절단시 4% 이하의 연신률을 갖는 접착 테이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킹의 파단시 인장 연신률이 40% 내지 170%인 접착 테이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의 용융 유속이 12 이상인 접착 테이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의 용융 유속이 20 이상인 접착 테이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의 용융 유속이 8 내지 100인 접착 테이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 g/mol 이상인 접착 테이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이소택티서티가 약 90%보다 큰 접착 테이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용융 유속이 8 이상인 접착 테이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용융 유속이 12 이상인 접착 테이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용융 유속이 20 이상인 접착 테이프.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용융 유속이 8 내지 100인 접착 테이프.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 제1 용융 유속을 갖는 제1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과 상기 제1 용융 유속보다 큰 제2 용융 유속을 갖는 제2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의 블렌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융 유속이 약 0.5 내지 8.0이고 상기 제2 용융 유속이 8.0 이상인 접착 테이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융 유속이 50 이상인 접착 테이프.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융 유속이 약 150 이하인 접착 테이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융 유속이 약 0.5 내지 5인 접착 테이프.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프로필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50,000 이상이고, 제2 폴리프로필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상인 접착 테이프.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가 36:1 이상의 최종 면적 신장비로 배향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가 동시에 이축 배향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가 순차적으로 이축 배향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감압성 접착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가 테이프의 롤을 제공하도록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롤이 금속 절단 날을 포함하는 분배기상에 탑재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롤이 플라스틱 절단 날을 포함하는 분배기상에 탑재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32. a) i) 플라스틱 날 분배 시험에 따라 절단시 700 N-cm/cm2이하의 절단 에너지를 가지며,
    ii) 플라스틱 날 분배 시험에 따라 절단시 4% 이하의 연신률을 가지며,
    iii) 파단시 연신률이 40% 내지 170%이고,
    iv) 이소택티서티가 90% 이상인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하며 용융 유속이 20 이상인 이축 배향된 기재를 포함하는 배킹, 및 이 배킹상의 감압성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롤; 및
    b) 상기 테이프의 롤이 회전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는 롤 장착대 및 상기 접착 테이프 절단용의 톱니모양의 플라스틱 절단 날을 포함하는 분배기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의 롤이 분배기상에 탑재되어 있는 조립품.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가 단층 기재로 이루어지는 조립품.
  34. 배킹 및 이 배킹상의 접착제층을 포함하며, 상기 배킹은 금속 날 분배 시험에 따라 절단시 350 N-cm/cm2이하의 절단 에너지를 가지고 이축 배향된 기재를 포함하며, 이 이축 배향된 기재는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하고 용융 유속이 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가 단층 기재로 이루어지는 접착 테이프.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가 다층 필름을 포함하고, 이러한 이축 배향된 기재의 총 두께의 50% 이상이 90% 이상의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37. 제36항에 있어서, 제1 다수의 상기 층들이 각각 90% 이상의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며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의 총 두께의 50% 이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 g/mol 이상인 접착 테이프.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배킹이 금속 날 분배 시험에 따라 절단시 4% 이하의 연신률을 갖는 접착 테이프.
  4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배킹의 파단시 인장 연신률이 40% 내지 170%인 접착 테이프.
  41.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의 용융 유속이 12 이상인 접착 테이프.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의 용융 유속이 20 이상인 접착 테이프.
  43.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의 용융 유속이 8 내지 100인 접착 테이프.
  44.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이소택티서티가 약 90%보다 큰 접착 테이프.
  4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용융 유속이 8 이상인 접착 테이프.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용융 유속이 12 이상인 접착 테이프.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용융 유속이 20 이상인 접착 테이프.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용융 유속이 8 내지 100인 접착 테이프.
  4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 제1 용융 유속을 갖는 제1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과 상기 제1 용융 유속보다 큰 제2 용융 유속을 갖는 제2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의 블렌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융 유속이 약 0.5 내지 8.0이고 상기 제2 용융 유속이 8.0 이상인 접착 테이프.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융 유속이 50 이상인 접착 테이프.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융 유속이 약 150 이하인 접착 테이프.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융 유속이 약 0.5 내지 5인 접착 테이프.
  54.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프로필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50,000 이상이고, 상기 제2 폴리프로필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상인 접착 테이프.
  5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가 36:1 이상의 최종 면적 신장비로 배향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가 동시에 이축 배향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가 순차적으로 이축 배향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5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감압성 접착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가 테이프의 롤을 제공하도록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롤이 금속 절단 날을 포함하는 분배기상에 탑재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롤이 플라스틱 절단 날을 포함하는 분배기상에 탑재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62.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하며 용융 유속이 8 이상인 이축 배향된 기재를 포함하고, 플라스틱 날 분배 시험에 따라 절단시 700 N-cm/cm2이하의 절단 에너지를 갖는 접착 테이프 배킹.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가 단층 기재로 이루어지는 접착 테이프 배킹.
  64.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가 다층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의 총 두께의 50% 이상이 90% 이상의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배킹.
  65. 제64항에 있어서, 제1 다수의 상기 층들이 각각 90% 이상의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며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의 총 두께의 50% 이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배킹.
  66.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 g/mol 이상인 접착 테이프 배킹.
  67.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배킹이 플라스틱 날 분배 시험에 따라 절단시 4% 이하의 연신률을 갖는 접착 테이프 배킹.
  68.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배킹의 파단시 인장 연신률이 40% 내지 170%인 접착 테이프 배킹.
  69.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의 용융 유속이 12 이상인 접착 테이프 배킹.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의 용융 유속이 20 이상인 접착 테이프 배킹.
  71.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의 용융 유속이 8 내지 100인 접착 테이프 배킹.
  72.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 g/mol 이상인 접착 테이프 배킹.
  7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이소택티서티가 약 90%보다큰 접착 테이프 배킹.
  74.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용융 유속이 8 이상인 접착 테이프 배킹.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용융 유속이 12 이상인 접착 테이프 배킹.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용융 유속이 20 이상인 접착 테이프 배킹.
  77.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용융 유속이 8 내지 100인 접착 테이프 배킹.
  78.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 제1 용융 유속을 갖는 제1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과 상기 제1 용융 유속보다 큰 제2 용융 유속을 갖는 제2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의 블렌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배킹.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융 유속이 약 0.5 내지 8.0이고 상기 제2 용융 유속이 8.0 이상인 접착 테이프 배킹.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융 유속이 50 이상인 접착 테이프 배킹.
  81.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융 유속이 약 150 이하인 접착 테이프 배킹.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융 유속이 약 0.5 내지 5인 접착 테이프 배킹.
  83.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프로필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50,000 이상이고, 상기 제2 폴리프로필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상인 접착 테이프 배킹.
  84.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가 36:1 이상의 최종 면적 신장비로 배향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배킹.
  8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가 동시에 이축 배향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배킹.
  86.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배향된 기재가 순차적으로 이축 배향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배킹.
  87.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배킹상에 접착제층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배킹.
  88.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감압성 접착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배킹.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가 테이프의 롤을 제공하도록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배킹.
  90.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롤이 금속 절단 날을 포함하는 분배기상에 탑재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배킹.
  91.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롤이 플라스틱 절단 날을 포함하는 분배기상에 탑재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배킹.
KR1020017006022A 1998-11-12 1998-11-12 접착 테이프용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KR100568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8/024105 WO2000029499A1 (en) 1998-11-12 1998-11-12 Oriented polypropylene films for adhesive ta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963A true KR20010107963A (ko) 2001-12-07
KR100568043B1 KR100568043B1 (ko) 2006-04-07

Family

ID=2226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022A KR100568043B1 (ko) 1998-11-12 1998-11-12 접착 테이프용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135446B1 (ko)
JP (1) JP4680388B2 (ko)
KR (1) KR100568043B1 (ko)
AU (1) AU1901499A (ko)
CA (1) CA2348012A1 (ko)
DE (1) DE69826152T2 (ko)
WO (1) WO20000294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990A (ja) * 2002-12-13 2004-07-08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マーキングフィルム
WO2005054347A1 (en) * 2003-11-24 2005-06-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based adhesive tape film backings
JP2006192609A (ja) * 2005-01-11 2006-07-27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装飾フィルム
EP1923407A1 (en) * 2006-11-14 2008-05-21 Borealis Technology Oy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having improved processabilty
DE102008005561A1 (de) * 2008-01-22 2009-07-23 Tesa Ag Polyolefinfolie und Verwendung derselben
JP6434790B2 (ja) * 2013-11-28 2018-12-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6242351B2 (ja) * 2015-01-05 2017-12-06 グンゼ株式会社 ダイシング用基体フイルム、ダイシングフイルム、及びダイシング用基体フイ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95126B (de) * 1963-09-28 1971-12-27 Kall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rumpffähigen Folien aus Polypropylen
DE2339892C3 (de) * 1972-09-08 1981-03-12 Toray Industries, Inc., Tokyo Mit den Fingern zerreißbarer Klebstreifen
JPS5414445A (en) * 1977-07-05 1979-02-02 Toray Ind Inc Polypropylene adhesive tape
US4451533A (en) * 1983-02-09 1984-05-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ensable polypropylene adhesive-coated tape
JPH0668031B2 (ja) * 1986-01-14 1994-08-31 東レ株式会社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イルム
EP0459059B1 (en) * 1990-05-03 1994-07-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earable, continuous film medical PSA tape
JPH05154905A (ja) * 1991-12-10 1993-06-22 Toray Ind Inc 高温時カールの少ない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2000034450A (ja) * 1998-07-15 2000-02-02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48012A1 (en) 2000-05-25
EP1135446A1 (en) 2001-09-26
JP4680388B2 (ja) 2011-05-11
AU1901499A (en) 2000-06-05
DE69826152D1 (de) 2004-10-14
KR100568043B1 (ko) 2006-04-07
JP2002530465A (ja) 2002-09-17
WO2000029499A1 (en) 2000-05-25
EP1135446B1 (en) 2004-09-08
DE69826152T2 (de)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4718B2 (ja) シクロオレフィンポリマー含有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とその製法およびその用途
US6797375B1 (en) Oriented polypropylene films for adhesive tape
EP1263587B1 (en) Oriented multilayer polyolefin films
EP1192231B1 (en) Adhesive tape backing
CN112442223B (zh) 一种聚乙烯组合物及聚乙烯薄膜
KR100568043B1 (ko) 접착 테이프용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US6506500B2 (en) Polyolefin film, its us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JP2017125184A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離型用フィルム
JP2018204001A (ja) 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および離型用フィルム
EP1036121B1 (en) Oriented polypropylene-based backing films for adhesive tape
AU2003231720B2 (en) Oriented polypropylene films for adhesive tape
EP0165075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high clarity film containing elastomers
DE602004010418T2 (de)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haftleistung von filmprodukten
MXPA00005647A (en) Oriented polypropylene-based backing films for adhesive tape
US20050112368A1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based adhesive tape film back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