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7870A -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7870A
KR20010107870A KR1020010069355A KR20010069355A KR20010107870A KR 20010107870 A KR20010107870 A KR 20010107870A KR 1020010069355 A KR1020010069355 A KR 1020010069355A KR 20010069355 A KR20010069355 A KR 20010069355A KR 20010107870 A KR20010107870 A KR 20010107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oilet
wheelchair
toilet seat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길
팽현성
홍재호
박봉호
박현철
문경근
Original Assignee
정용길
팽현성
박봉호
홍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길, 팽현성, 박봉호, 홍재호 filed Critical 정용길
Priority to KR1020010069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7870A/ko
Publication of KR20010107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87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backrest relative to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5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tilting the whole seat backw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하반신 장애인이 야외 또는 실내에서도 휠체어를 타고 있는 상태에서 간병인의 도움없이 장애인 스스로 용변을 해결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반신 장애인 스스로 바지를 입고 벗을 수 있도록 휠체어의 등받이를 세우거나 눕힐 수 있는 등받이 유동구조와 등받이가 눕혀졌을 때 하중을 지지해주는 하중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등받이 유동 연결 장치부(10)와, 인체 지지 연결봉을 이용하여 하반신 엉덩이를 시트로부터 들어올린 후 장애인 스스로 시트에서 좌변기로의 전환, 좌변기에서 시트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해주는 시트 좌변기 전환 장치부(30), 그리고 장애인의 심리 상태를 고려하여 좌변기틀(34)과 용변봉투를 은폐하는 그물 바구니(40)와, 용변을 담을 수 있는 편리한 형태의 일회용 용변봉투(50)를 포함하는 좌변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반신 장애인이 외출시 야외나 실내에서도 휠체어를 타고 있는 상태에서 간편하게 간병인의 도움없이 장애인 스스로 용변을 해결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the medical wheelchair system attached the chamber pot}
본 발명은 하반신 장애인이 야외나 실내에서 휠체어를 타고 있는 상태에서 간편하게 간병인의 도움없이 장애인 스스로 쉽게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제작된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등받이(1)는 시트 파이프(4)와 95도의 각으로 고정되어 있고, 암파이프(3) 위의 팔받이(2)를 이용해서 장애인이 두 팔로 하반신 몸체를 들어 올리면 간병인이 장애인의 옷을 벗고 입게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5)는 평상시에는 좌변기틀(6)위에 안착되어 있으며, 용변시에는 간병인의 도움으로 팔받이(2)를 이용해서 좌변기틀(6) 위의 시트(5)를 빼냄으로써 시트에서 좌변기로의 전환이 이루어져 원형공(8)이 나타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변받이(7)는 장애인이 변을 본 후 간병인이 변받이(7)를 탈락시켜 세척 후 재사용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첫째, 하반신 장애인 스스로 옷을 입고 벗는 문제를 제공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반드시 간병인의 도움으로 이를 해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시트(5)에서 좌변기틀(6)로의 전환도 간병인의 도움으로 해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해, 장애인의 하반신을 받쳐주는 좌변기틀(6) 위의 시트(5)를 장애인 스스로 하반신이 들려져 시트(5)를 빼낼 수 있는 구성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셋째, 실내 또는 야외에서 변받이(7)에 용변을 본 후 간병인이 변받이(7)를 화장실로 가지고 가서 이를 세척 후 재사용을 하는 것 등이 간병인의 도움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 이유이며, 하반신 장애인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넷째, 실내 또는 야외로 외출 할 경우 휠체어 시스템에서 좌변기 변받이가 외관상으로 드러나 장애인의 심리 상태에 불안과 수취심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좌변기 변받이를 은폐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장애인이 차량으로 이동 할 경우 차량 등에 휠체어를 적재하기 위해 휠체어를 접을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는 간병인의 도움 없이는 하반신 장애인 스스로 용변을 해결 할 수 없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은 하반신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있는 상태에서 용변을 해결하고자 할 때 장애인 스스로 간병인의 도움없이 옷을 입고 벗을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둘째 목적은 시트에서 좌변기로의 전환, 좌변기에서 시트로의 전환을 장애인 스스로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셋째 목적은 한번에 여러장의 일회용 용변 봉투를 설치하여 하반신 장애인 스스로 용변이 담겨진 용변봉투를 쉽게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넷째 목적은 실내 또는 야외로 외출 할 경우 휠체어 시스템에서 좌변기 용변봉투를 은폐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째 목적은 장애인이 차량으로 이동 할 경우 차량 등에 휠체어를 쉽게 적재할 수 있도록 휠체어를 접을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 측면도의 구성을 보인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등받이 유동연결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등받이 유동연결장치 구성의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에서 간이 좌변기로의 전환을 보인 개략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의한 그물 바구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용변 봉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용변 봉투 설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용변 봉투의 다량설치와 조임기의 구성을 보인 개략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용변 통투의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등받이 유동 연결장치 11: 암파이프
11a: 암파이프 12: 빅파이프
13: 고정핀 14: 고정핀
15: 고정백파이프 15a: 가동백파이프
15b: 등받이 링크파이프 16: 힌지핀
16a: 힌지핀 17: 힌지핀
21: 브레이크레버 22: 힌지핀
23: 구동륜 24: 지지봉
25: 등받이 지지대 26: 롤러
27: 크로스바 30: 시트좌변기전환 장치
31: 시트 31a: 찍찍이
32: 리벳 34: 좌변기틀
35: 고정핀 36: 핀구멍
37: 인체 지지 연결봉 38: 원형공
40: 그물 바구니 44: 고정판
45: 고정나사 50: 용변 봉투
51: 부착대 51a: 절취선
52: 조임끈 52a: 조임기
53: 비닐 봉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암파이프(11)의 조작에 따라 하반신 장애인 스스로 휠체어의 등받이를 세우거나 눕히게 할 수 있는 등받이 유동 연결 장치와, 시트 한쪽 끝단에 찍찍이가 부착되어 손쉽게 시트에서 좌변기로의 전환 또는 좌변기에서 시트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해주는 시트 좌변기 전환 장치와, 그물 바구니로 은페되고 일회용 용변 봉투가 내장된 좌변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 유동 연결 장치는 빅파이프(12)에 형성된 절결 슬롯을 따라 빅파이프(12) 속으로 관통한 암파이프(11a)의 한쪽 끝단이 등받이 링크파이프(15b)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인 가동백파이프(15a)에 연결됨으로써 "V"자 형으로 굴곡된 암파이프(11,11a)의 조작에 따라 휠체어의 등받이를 세우거나 눕히게 할 수 있는 구조이며, 등받이가 눕혀졌을 때 하중을 지지해 주는 하중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 유동 연결장치에 의해 등받이가 눕혀질 때 등받이가 꺾어지는 지점이 시트보다 위에 있어 시트와 등받이의 높이차가 발생한다. 이 높이차에 의해 하반신 장애인이 휠체어 등받이 위에 누웠을 때 허리와 엉덩이 부분이 자연스럽게 들리게 되어 장애인 스스로 옷을 입고 벗을 수 있게 하는 구조이다.
상기 하중 지지부는 장애인이 휠체어 등받이 위에 누웠을 때 휠체어가 전복되지 않도록 상체의 하중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며, 하중 지지부인 등받이 지지대(25) 하부에는 롤러(26)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26)는 등받이가 눕혀졌을 때 지면과 닿아 하중을 지지해 주고, 등받이가 세워지면 상기 롤러(26)는 지면과는 떨어지는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 시트 좌변기 전환 장치는 좌변기 위에 시트(31)가 놓여 있는 상태에서 좌변기틀(34)의 한쪽 면에 시트(31)를 리벳으로 고정하고 마주보는 다른 면에는 좌변기틀(34)과 시트(31) 각각에 찍찍이(31a)를 부착시킨 구조이며, 찍찍이를 손으로 벗김으로서 시트에서 좌변기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좌변기는 좌변기틀(34)과 용변을 담을 수 있는 유연한 형태의 일회용 용변 봉투(50)와, 용변봉투(50)를 은폐하기 위한 그물 바구니(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변기틀(34)은 일체형의 직육면체 구조이며, 중앙부분에 원형공(38)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좌변기틀(34)을 휠체어 몸체에 원터치로 탈, 부착시키기 위해 좌변기틀(34) 하부 각 모서리에 고정핀(35)을 부착하고, 휠체어 본체의 대응되는위치에 핀구멍(36)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용변 봉투(50)의 부착대(51)는 고정판(44)과 고정나사(45)에 의해 좌변기틀(34)에 고정되고, 부착대(51)는 종이로 되어 있으며, 이 종이부 하부에 절취선(51a)이 있고, 그 하부는 비닐 봉투(53)로 구성되며, 비닐 봉투 입구에는 조임끈(52)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조임끈(52)을 당김으로써 상기 부착대(51) 종이부의 절취선(51a)이 절취되어 비닐 봉투가 분리되면서 비닐봉투의 입구가 조임끈(52)에 의해 조여지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그물 바구니(40)는 고정나사에 의해 좌변기틀에 고정되고, 옆면과 밑면은 그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은 하반신 장애인이 외출 시 야외나 실내 어느곳에서 든지 휠체어를 타고 있는 상태에서 간편하게 간병인의 도움없이 하반신 장애인 스스로 용변을 해결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휠체어 등받이 프레임은 고정 백파이프(15), 가동백파이프(15a)와 등받이 링크파이프(15b)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백파이프(15)는 휠체어 몸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가동백파이프(15a)의 하부 끝단은 힌지핀(17)에 의해 상기 고정백파이프(15)와 연결되며, 상기 가동백파이프(15a)의 상부 끝단은 힌지핀(16)에 의해 상기 등받이링크파이프(15b)와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 링크파이프(15b)는 힌지핀(16a)에 의해 암파이프(11a)의 끝단과 연결된다.
상기 암파이프(11a)와 겹쳐지는 빅파이프(12)의 윗쪽 면에는 절결 슬롯이 가공되어 있어, 이 절결 슬롯을 통하여 암파이프(11a)가 빅파이프(12) 속을 관통한다. 상기 암파이프(11,11a)는 "V"자 형으로 굴곡되고, 굴곡된 윗부분인 상부 암파이프(11)는 휠체어의 팔받이로 사용되고, 굴곡된 아래부분인 하부 암파이프(11a)는 상기 빅파이프(12)의 절결 슬롯 속으로 끼워져 텔리스코픽 파이프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암파이프(11a)의 끝단은 등받이 지지대(25)와 일체형으로 접합되어 있다.
상기 암파이프(11a)와 상기 등받이 지지대(25)가 접합된 부분과 등받이 링크 파이프(15b)는 힌지핀(16a)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등받이 지지대(25)는 하중에 대한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크로스바(27)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등받이 지지대(25) 하부에는 롤러(26)가 달려 있다.
상기 휠체어의 팔받이를 형성하는 암파이프(11)의 끝단은 고정핀(14)에 의해 상기 가동백파이프(15a)에 고정되며, 굴곡된 하부 암파이프(11a)는 고정핀(13)에 의해 빅파이프(12)에 고정된다. 이와같이 고정핀(13, 14)에 의해 빅파이프(12)와 암파이프(11) 및 가동백파이프(15a)가 서로 연결된 상태는 휠체어 등받이가 세원진 상태이다.
상기 하부 암파이프(11a)가 끼워진 빅파이프(12) 부분에는 암파이프(11,11a)에 걸리는 하중이 작용함으로, 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빅파이프(12)의 끝단에 지지봉(24)이 일체형으로 접합되고, 상기 지지봉(24)의 하부 끝단은 고정 백파이프(15)와 견고하게 연결된다.
휠체어를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레버(21)가 힌지핀(2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구동륜(23)에 밀착되어 제동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상기 시트 좌변기 전환 장치(30)는 등받이 양쪽 프레임인 고정백파이프(15)에 연결된 인체지지연결봉(37)과 유연성이 있는 시트(31)와 좌변기틀(34)로 구성된다. 상기 인체지지연결봉(37)은 등받이 양쪽 프레임인 고정백파이프(15)에 고정되어 있지만, 인체 지지연결봉(37)의 중앙부분은 서로 떨어져 있으며, 슬리브(37a)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시트(31)는 좌변기틀(34)의 한쪽 면에 리벳(32)으로 고정되고 마주보는 다른 면의 시트(31)와 좌변기틀(34)의 대응되는 각각의 부분에 찍찍이(31a)를 부착한다. 따라서 시트(31)는 찍찍이(31a)에 의해 좌변기틀(34)에 견고히 고정되며, 찍찍이(31a)를 떼내면 시트(31)가 벗겨져 원형공(38)이 나타나 좌변기가 된다.
도 4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좌변기는 상기 시트(31), 좌변기틀(34), 그물바구니(40) 및 용변봉투(50)로 구성된다. 상기 좌변기틀(34)은 일체형의 플라스틱 발포재와 같은 재료로 구성되고, 중앙부분에 원형공(38)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좌변기틀(34)을 휠체어 몸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핀(35)이 좌변기틀(34) 하부 각 모서리에 부착되어 있고, 휠체어 본체의 대응되는 위치에 핀구멍(3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좌변기틀(34)에 부착된 고정핀(35)을 휠체어 본체에형성된 핀구멍(36)에 끼워 넣으면 상기 좌변기틀(34)이 휠체어 본체에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 그물바구니(4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옆면과 밑면이 그물로 짜여져 좌변기틀(34)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용변봉투(50)를 담아두면서 은폐한다.
상기 용변봉투(5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좌변기틀(34) 하부와 고정판(44) 사이에 끼워져 고정나사(45)에 의해 부착되는 종이 재질의 부착대(51)와 부착대(51) 하부에 절취선(5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취선(51a) 하부에 비닐봉투(53)가 연결되어 있고, 비닐봉투(53) 입구부분에 조임끈(52)과 조임기(52a)가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용변을 해결한 후 조임끈(52)을 당기면 절취선(51a)이 절취되면서 조임끈(52)과 조임기(52a)에 의해 비닐봉투(53)의 입구가 조여지게 되어 용변이 밀폐된다. 상기 조임기(52a)는 좌변기틀(34) 안쪽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좌변기틀(34)의 구멍사이로 조임끈(52)만 나와 있다. 상기 용변봉투(50)는 여러장 포개어져 설치될 수 있어 한번의 설치로 여러 번의 용변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하반신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용변을 해결하고자 할 때 먼저 바지를 벗어야 한다. 하반신 장애인이 간병인의 도움없이 스스로 바지를 벗을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휠체어 등받이를 눕히고 장애인이 누웠을 때 등받이와 시트 사이에 높이차를 발생시켜 엉덩이가 시트로부터 들리게 함으로써 장애인 스스로 바지와 속옷을 벗을수 있도록 하였다.
먼저 장애인 스스로 휠체어 등받이를 눕히게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인이 앉은 상태에서 고정핀(13, 14)을 뽑고, 팔을 사용하여 상기 암파이프(11, 11a)를 뒤쪽으로 당기면 상기 암파이프(11a)는 상기 빅파이프(12)의 절결 슬롯을 따라 미끄러 지면서 뒤로 빠져나온다. 이 때 상기 암파이프(11a)의 한쪽 끝단이 힌지핀(16a)에 의해 등받이 링크파이프(15b)와 연결되어 있고, 등받이 링크파이프(15b)는 힌지핀(16)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인 가동백파이프(15a)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암파이프(11a)가 뒤쪽으로 빠져 나오면 등받이 프레임인 가동백파이프(15a)는 힌지핀(17)을 기점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눕혀지게 된다. 상기 힌지핀(17)은 상기 시트(31)보다 일정 높이 위쪽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등받이가 눕혀지면 등받이와 시트(31) 사이에는 계단형상의 단이 형성되고 단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인체지지연결봉(37)이 설치된다. 이 단 때문에 눕혀진 등받이에 장애인이 누우면 허리부분은 단에 걸쳐지고 엉덩이는 시트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되어 장애인 스스로 바지를 벗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등받이가 눕혀지고 장애인이 누우면 하중이 뒤쪽으로 쏠려 휠체어가 전복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암파이프(11a)의 한쪽 끝단, 즉 힌지핀(16a)이 연결되는 지점에 등받이 지지대(25)가 부착되어 등받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해주고, 또한 암파이프(11a)에 걸리는 하중은 암파이프(11a)를 감싸고 있는 빅파이프(12)에서 지지해 준다. 등받이 지지대(25) 하부 끝단에는 롤러(26)가 부착되어 등받이 지지대(25)에 압축하중만 작용하도록 해준다. 용변을 해결한 후 등받이를 세울 경우는 장애인이 손으로 암파이프(11)를 잡고 앞으로 밀면 암파이프(11a)에 연결된 링크파이프(15b)와 가동백파이프(15a)가 접혀지면서 등받이 프레임인 가동백파이프(15a)가 세워진다. 가동백파이프(15a)가 세워지면 고정핀(13)으로 암파이프(11,11a)와 빅파이프(12)를 연결하고, 다른 고정핀(14)으로 암파이프(11)와 가동백파이프(15a)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이 때 등받이 지지대(25)는 암파이프(11a)를 따라 빅파이프(12) 끝단 부근까지 접혀지며, 암파이프(11a)와 빅파이프(12)가 겹치는 부분의 경사도에 의해 롤러(26)는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된다.
다음은 상기 시트 좌변기 전환의 작용설명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를 눕힌 후 상기한 바와 같이 바지를 벗고, 장애인 스스로 빅파이프(12)를 두 팔로 잡고 등받이 양쪽 프레임에 부착된 인체지지연결봉(37)에 하반신의 엉덩이를 올린다. 그리고 찍찍이(31a)가 부착된 시트(31)를 손으로 당김으로써 찍찍이(31a)가 떨어져 시트(31)는 벗겨지게 되고, 벗겨진 시트(31)를 빅파이프(12) 위쪽으로 넘겨 좌변기의 원형공(38)이 나타나면 다시 빅파이프(12)를 두 팔로 잡고 하반신의 엉덩이를 움직여 좌변기의 원형공(38) 위에 앉는다. 용변을 해결한 후는 위에 열거한 과정을 역순으로 실행하면 다시 좌변기에서 시트(31)로 전환된다. 상기 인체 지지연결봉(37)은 등받이 양쪽 프레임인 고정백파이프(15)에 고정되어 있으며, 인체 지지연결봉(37)의 중앙부분은 서로 떨어져 있으며, 슬리브(37a)에 의해 연결된다. 즉, 떨어져 있는 인체 지지연결봉(37) 사이에 슬리브(37a)를 끼우면 연결되고, 슬리브(37a)를 벗기면 서로 떨어진다. 이는 휠체어를 운반할 때 쉽게 휠체어를 접을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다음은 상기 좌변기의 작용설명이다. 도 4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변기틀(34)은 휠체어 몸체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 좌변기틀(34)에 형성된 고정핀(35)을 휠체어 본체에 형성된 핀구멍(36)에 끼워 넣으면 상기 좌변기틀(34)이 휠체어 본체에 견고히 고정된다. 반대로 상기 좌변기틀(34)을 휠체어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은 상기 좌변기틀(34)을 들어 올려 상기 고정핀(35)이 휠체어 본체의 상기 핀구멍(36)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하면 된다. 이는 휠체어를 차량 등으로 운반할 때 쉽게 휠체어를 접을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변봉투(50)는 여러장 겹쳐진 세트로 좌변기틀(34)에 형성된 원형공(38) 하부에 부착된다. 장애인의 용변은 용변봉투(50)에 담겨진다. 장애인이 용변을 해결한 후 조임끈(52)을 당기면 부착대(51) 하부의 절취선(51a)이 절취되면서 용변이 담긴 비닐봉투(53)의 입구부분이 조임끈(52)과 조임기(52a)에 의해 조여지게 된다. 입구가 조임끈(52)에 의해 조여진 비닐봉투(53)를 꺼내어 적당한 장소에 버리면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은 휠체어의 등받이를 장애인 스스로 세우거나 눕히게 함으로써 장애인 스스로 바지를 벗고 입게할 수 있으며, 하반신의 엉덩이를 인체 지지 연결봉에 의지하여 시트에서 좌변기로 또는 좌변기에서 시트로 쉽게 전환할 수 있고, 간편한일회용 용변봉투를 설치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하반신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있는 상태에서 간병인의 도움없이 장애인 스스로 쉽고, 편안하게 용변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휠체어 팔받이인 암파이프의 조작에 따라 휠체어의 등받이를 세우거나 눕히게 할 수 있는 등받이 유동 연결 장치와,
    시트 한쪽 끝단에 찍찍이가 부착되어 원터치로 시트에서 좌변기로의 전환 또는 좌변기에서 시트로의 전환이 가능한 시트 좌변기 전환장치와,
    그물 바구니로 은페되고 일회용 용변 봉투가 내장된 좌변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유동 연결 장치는 빅파이프에 형성된 절결 슬롯을 따라 빅파이프 속으로 관통한 암파이프의 한쪽 끝단이 링크파이프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인 가동백파이프에 연결됨으로써 팔받이인 암파이프의 조작에 따라 휠체어의 등받이를 세우거나 눕히게 할 수 있는 구조와, 등받이가 눕혀졌을 때 하중을 지지해 주는 롤러가 부착된 등받이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암파이프는 "V"자 형으로 굴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좌변기 전환 장치는 좌변기 위에 시트가 덮여있는 상태에서 좌변기틀의 한쪽 면에 시트를 리벳으로 고정하고 마주보는 다른 면에는 좌변기틀과 시트 각각에 찍찍이를 부착시켜 찍찍이를 손으로 벗김으로써 시트에서 좌변기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 봉투는 고정판과 고정나사에 의해 종이 재질의 부착대가 좌변기틀 하부에 고정되고, 부착대 하부에 절취선이 있고, 절취선 하부는 비닐 봉투로 구성되며, 비닐 봉투 입구에는 조임끈과 조임기가 부착되어 있어 상기 조임끈을 당김으로써 절취선이 절취되어 비닐 봉투가 분리되면서 비닐봉투의 입구가 조임끈에 의해 조여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틀을 휠체어 몸체에 원터치로 탈, 부착시키기 위해 좌변기틀 하부 각 모서리에 부착된 고정핀과, 휠체어 본체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핀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
KR1020010069355A 2001-11-08 2001-11-08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 KR20010107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355A KR20010107870A (ko) 2001-11-08 2001-11-08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355A KR20010107870A (ko) 2001-11-08 2001-11-08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870A true KR20010107870A (ko) 2001-12-07

Family

ID=4581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355A KR20010107870A (ko) 2001-11-08 2001-11-08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78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8938A (zh) * 2019-04-04 2019-06-28 西安工业大学 一种轮椅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9408A (en) * 1989-09-29 1990-08-21 Trkla Theodore A All purpose wheelchair
KR940006677Y1 (ko) * 1992-06-03 1994-09-28 정철영 휠체어
US5586343A (en) * 1995-08-21 1996-12-24 Mayle; Dawn M. Wheel chair with a removable toilet bowl and seat
US5608925A (en) * 1995-06-19 1997-03-11 Porter; Virginia M. Wheelchair with bed pan
KR0121580Y1 (ko) * 1995-04-07 1999-03-20 홍길영 환자용 간이좌변기가 설치된 휠체어
KR200243984Y1 (ko) * 2001-03-23 2001-10-10 천봉우 중환자용 변기 부착 휠체어 안장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9408A (en) * 1989-09-29 1990-08-21 Trkla Theodore A All purpose wheelchair
KR940006677Y1 (ko) * 1992-06-03 1994-09-28 정철영 휠체어
KR0121580Y1 (ko) * 1995-04-07 1999-03-20 홍길영 환자용 간이좌변기가 설치된 휠체어
US5608925A (en) * 1995-06-19 1997-03-11 Porter; Virginia M. Wheelchair with bed pan
US5586343A (en) * 1995-08-21 1996-12-24 Mayle; Dawn M. Wheel chair with a removable toilet bowl and seat
KR200243984Y1 (ko) * 2001-03-23 2001-10-10 천봉우 중환자용 변기 부착 휠체어 안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8938A (zh) * 2019-04-04 2019-06-28 西安工业大学 一种轮椅
CN109938938B (zh) * 2019-04-04 2024-04-12 西安工业大学 一种轮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8933A (en) Foldable wheelchair
US5577753A (en) Wheelchair and commode seat therefor
JP2002503996A (ja) 折畳式肢体不自由者用歩行器の剛体座席
US5809588A (en) Collapsible baby tub
JPH11113988A (ja) 歩行補助具
US4230364A (en) Multipurpose chair
JP2012533397A (ja) 育児補助器具
KR20180007831A (ko) 배설 장치를 구비하는 절첩식 휠체어
KR20010107870A (ko) 간이 좌변기가 부착된 휠체어 시스템
JPH03188853A (ja) 車椅子
JP3762457B2 (ja) 歩行補助器
JPH05253260A (ja) 電動車椅子
JP2000271040A (ja) 椅子型簡易便器
JP3192388B2 (ja) シャワー用車椅子
JP2000126250A (ja) 介護リフト用吊り具
KR102539703B1 (ko) 다기능 아기목욕 의자
JP2672480B2 (ja) 介護装置
JP4074755B2 (ja) 介護用スリング
US11877970B2 (en) Configurable patient sling
JPH11262504A (ja) 起立着席補助具
CN215424361U (zh) 一种轮式折叠马桶椅
JPH08150094A (ja) 入浴補助装置
JPH11290388A (ja) 車椅子
JP2002282315A (ja) 歩行器
JP4586207B2 (ja) 身体機能障害者の移動用椅子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