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779A -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습포제 - Google Patents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습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779A
KR20010106779A KR1020000027735A KR20000027735A KR20010106779A KR 20010106779 A KR20010106779 A KR 20010106779A KR 1020000027735 A KR1020000027735 A KR 1020000027735A KR 20000027735 A KR20000027735 A KR 20000027735A KR 20010106779 A KR20010106779 A KR 20010106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ltice
cosmetic
agar
present
agar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일
가순일
Original Assignee
이우일
(주)에이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일, (주)에이티진 filed Critical 이우일
Priority to KR102000002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6779A/ko
Publication of KR20010106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7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습포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뭇가사리로부터 추출한 한천 또는 아가로스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용 습포제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피부 미용재가 추가적으로 첨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미용 습포제는 점착성, 보습 효과, 피부 냉각 효과 및 피부 미용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습포제{A Cosmetic Formentum Including the Extract from Gelidiaceae as a Major Component}
본 발명은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습포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뭇가사리로부터 추출한 한천 또는 아가로스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용 습포제에 관한 것이다.
한천은 홍조류의 일종인 우뭇가사리의 추출물로서, 화학적인 활성이 전혀 없는 점질성 복합 다당류이고 인체에 무해하다. 일반적으로, 한천은 질량의 100 ∼ 200배 정도까지의 물을 보유하여 겔을 형성하는 특성을 갖는다.
우뭇가사리는 산지에 따른 차이가 있으나 약 40% 내외의 한천을 함유하고 있다. 한천은 70%의 아가로스와 30%의 아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는 혼합물이다. 상기 아가로스는 아가로바이오스가 사슬처럼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가로바이오스는 다음 화학식 1과 같이 β-D-갈락토오스와 3,6-무수-L-갈락토오스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아가로펙틴은 β-D-갈락토오스와 3,6-무수-L-갈락토오스의 혼합물에 황산기, 우론산, 피루브산 등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성분 요소들 중에서 한천이 겔을 형성하는 능력은 아가로스의 고유한 특성으로서, 도 1과 같은 겔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0.5 ∼ 3% 농도의 한천 수용액 혼합물은 95℃ 이상의 고온에서 융용되어 균일한 점질성 용액이 되고, 35℃ 이하의 온도에서 응고되어 겔을 형성한다.
한편, 국내에서 생산되는 한천은 그 품질이 매우 우수하고, 전세계 생산량의 12%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한천 산업이 식품용에만 치중되어 있어 다른 용도로의 개발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국내에 소개된 미용재중 마사지 팩을 주제로 한 제품들은 많은 종류가 출시되어 있다. 상기 팩들은 크게 떼어내는 타입(Peel-off type)과 씻어내는 타입(Wash-off type)의 두가지로 분류를 할 수 있다.
상기 떼어내는 타입은 팩을 바르고 건조된 후에 피막을 제거해 주는 팩으로, 청결 효과와 함께 긴장감 및 탄력 부여 효과가 우수하다. 그러나, 너무 자주 사용하면 필요한 각질까지 떨어져 피부가 거칠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씻어내는 타입은 팩을 도포한 후 15 ∼ 20 분쯤 경과하면 젖은 스폰지나 미온수로 닦아내 주는 팩으로 피부에 부드러움과 촉촉한 감촉을 주며 자극이 적다.
그러나, 상기한 두 종류의 팩은 모두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사용법이 간편하지 못하며, 사용 후에도 피부에 잔유물들이 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황토, 숯, 석고, 콜라겐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팩이 개발되어 있다.
최근에는 미용재가 함유된 용액에 부직포를 침윤시켜 간편하게 사용하는 제품이 있으나, 적용 부위에 대한 접착력이 기존의 팩에 비해 떨어지며, 쉽게 건조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이 간편하고 보다 개선된 미용 효과를 갖는 미용 습포에 대한 요구가 당업계에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당업계의 요구에 따라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한천 또는 아가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용 습포제를 개발하고 이의 보습효과, 미용 효과 등이 종래의 미용 습포제와 비교하여 크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뭇가사리로부터 추출한 한천 또는 아가로스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용 습포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가로스 겔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한천 제조 과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가로스 제조 과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미용 습포제의 구현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미용 습포제의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가 비닐백에 포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7a는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7b는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부직포 2: 한천 겔
본 발명은 우뭇가사리로부터 추출한 한천 또는 아가로스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용 습포제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한천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참조: 도 2):
먼저, 건조된 우뭇가사리에 부착되어 있는 불순물들을 제거한 다음, 증류수에 12 시간 이상 침윤시킨다. 이어, 우뭇가사리를 증류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그런 다음, 탄산이 0.05 ∼ 2% 함유된 증류수에 다시 침윤시킨 다음, 증류수로 수회 세척하고 건조한다.
그리고 나서, 증류수에 다시 침윤시킨 다음, 증류수로 세척하고, 건조한다. 상기 과정에서 건조된 우뭇가사리에 증류수를 첨가한 다음, 고압 (1.2 ∼ 2.0 ㎏f/㎠) 및 고열 (100 ∼ 150℃)의 조건하에서 추출하고, 막공크기 5 ∼ 15 ㎛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이렇게 하여 수득한 여과액을 고형화시킨 다음, 잘게 절단하고 동결, 해동 및 탈수 과정을 수회 반복 실시한다. 이어, 증류수로 세척하고 70 ∼ 99%의 알코올에 함침시켜 탈수시키고 건조시켜 수분 함량을 감소시킨다. 그런 다음, 분쇄하여 분말 상태의 한천을 제조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가로스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정제된다(참조: 도 3):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천 분말 10 ∼ 25 g을 증류수 500 ∼ 1000 ㎖에 첨가하고 가열하여 용해시킨다. 이어,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500 ∼ 1000 ㎖ 증류수에 첨가하고 가열하여 30 ∼ 40%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한천 용액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용액을 80℃ 이상의 온도에서 용기에 각각 첨가하여 한천 용액은 0.5 ∼ 2.5 중량%,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15 ∼ 20 중량%가 되도록 하고, 서로 충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한다. 그런 다음,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12 시간 이상 방치하여 침전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층을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증류수 500 ∼ 1000 ㎖로 침전을 세척한 다음, 70 ∼ 99%의 알코올을 부어 잘 혼합하고, 다시 침전이 형성될 때까지 방치시킨다. 형성된 침전물은 필터로 걸러내어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화한다. 이렇게 정제된 분말 아가로스는 겔화한 경우에, 1200 ∼ 2000 g/㎠의 강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천 및 아가로스를 이용한 미용 습포제는 강도가 높고, 유연성, 수분 보유력 및 피부에 대한 점착성이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용 습포제는 97% 이상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그 구성 성분들과 물분자와의 수소결합 등 화학적 결합으로 인하여 수분 보유력이 매우 강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특성에 주목하여 한천 겔 또는 정제된 아가로스 겔 그 자체만으로 이루어진 미용 습포제가 피부 보습 효과, 마사지 효과 등을 충분히 발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조적인 특성상 한천 겔 또는 정제된 아가로스 겔은 표면을 통한 수분의 증발이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이루어져 다른 재질에서 보여주는 일시적 냉각 효과를 충분히 극복한다.
본 발명 미용 습포제에 있어서, 한천 또는 아가로스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0.5 ∼ 2.5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 2.0 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중량%이다. 상기 함량이 2.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분의 증발이 더디게 일어나 냉각효과가 감소하고 점착성이 감소하며,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가 약하여 추가되는 미용 성분과의 혼합시 겔의 구조가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 습포제의 강도는 800 ∼ 2,000 g/㎠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0 ∼ 1,800 g/㎠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0 g/㎠이다. 상기 강도가 2,000 g/㎠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연성과 점착성이 감소하고, 800 g/㎠ 미만인 경우에는 쉽게 파손되어 다루기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는 한천 또는 아가로스 성분만으로도 보습 효과, 피부 냉각 효과 등을 나타내어 우수한 미용 습포제로서의 작용을 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는 다양한 피부 미용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미용 습포제에 추가적으로 첨가되는 피부 미용재는 황토, 숯, 비타민류, 보습제, 향유, 식물 추출물, 과일 추출물, 해조 추출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황토는 표면이 넓은 벌집구조로 수많은 공간이 복층 구조를 이루고 있고, 오랜 세월동안 태양 에너지를 흡수한 규소성 광물이다. 황토의 효소 성분에는 카탈라아제, 사카라아제, 디페놀옥시다아제, 프로테아제 등이 있어 원 적외선 방출에 의한 세포의 생리작용 촉진과 더불어 독소제거, 정화작용의 역할이 잘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황토 침대와 한증막이 각광을 받는 등 황토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앞으로 황토는 우리 생활에 적용 범위가 확대되어 큰 효력을 발휘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발명 미용 습포제에 추가적으로 첨가되는 상기 숯은 탄소질이 80%이고 나머지 미네랄이 20%를 차지하며, 음이온을 공급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식용, 물의 정수, 약용, 공기정화 등 실생활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피부병 치료와 노화 방지에 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타민류는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보습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피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습포제에 추가적으로 첨가되는 향유는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hy)에 주로 사용되는 향유가 바람직하고, 라벤더(lavender), 세다우드(cedarwood), 제라늄(geranium), 자스민(jasmin)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라벤더의 경우에는 피부진정(수렴), 피부 재생 치유, 흉터 치유, 피부 재생 활성화, 노화 예방과 같은 피부 관련 효과 외에도 불면증, 마음의 진정 등 정신적인 효과를 아울러 지니기 때문에 추가 첨가 성분으로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피부 미용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는 첨가할 다양한 피부 미용재가 전부 혼합된 용액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으나, 다음과 같이 단계적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먼저,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천 분말을 증류수에 1 ∼ 3.5%가 되도록 용해하여 한천 용액을 준비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첨가할 황토, 숯, 식물 추출물, 해조 추출물, 과일 추출물 등과 같은 피부 미용재를 1 ∼ 1.5 중량%가 되도록 증류수에 용해시켜 미용재 용액을 준비한다.
상기한 과정에 이어, 한천 용액:미용재 용액을 1:1 ∼ 2:1이 되도록 혼합한 다음, 겔화하고 원하는 형태로 절단한다.
그런 다음, 절단된 고형의 한천 습포제를 비타민류, 보습제, 향유 등이 혼합된 용액에 침윤시켜 한천 조직 내로 흡수시킨다. 이렇게 제조된 한천 습포제는 부직포로 감싸서 비닐백에 넣어 냉장 보관하며, 30일 이상의 냉장 보관에 의하여도 강도와 유연성이 변화되지 않고, 보습 효과 및 냉각 효과가 계속하여 유지된다.
한편,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는 상기 비타민류, 보습제, 향유 등이 혼합된 용액에 침윤된 부직포로 한천 습포제를 감싸서 상기 성분들을 한천 조직 내로 흡수시켜 제조할 수도 있는 바, 이는 한천 겔 조직의 특성상 조직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원활한 물질의 이동이 이루어짐을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는 셀룰로오스,빔 검, 타라 검, 구아 검, 타마린 검, 풀루란, 덱스트란, 녹말,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 아크릴산 등과 같은 중성 다당류 및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강도 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첨가되는 강도 강화제의 양은 0.5 ∼ 1.5 중량%가 바람직하고,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연성이 감소하고,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의 강화에 큰 역할을 담당하지 못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미용 습포제는 중앙에 한천 또는 아가로스 겔이 놓여 있고, 상기 겔의 상ㆍ하면에 부직포가 놓여 있다. 상기 부직포는 특히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가 비타민류, 보습제 또는 향유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의 보관시 추가 미용재 및 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를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를 미용 습포제로부터 탈리시켜 겔 표면과 피부가 직접 접착하도록 한다.
첨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양한 미용 습포제의 사진으로서,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는 사용 부위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다. 한편, 첨부 도 6은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가 비닐백에 포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본 발명의 습포제가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첨부 도 7a는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를 팔에 점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7b는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를 안면과 턱에 점착하여 사용하는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는 사용 부위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한천의 제조
건조된 국내산(제주도산) 우뭇가사리 1 ㎏에 부착되어 있는 불순물들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증류수 30 ℓ에 하룻밤 동안 침윤시켰다. 이어, 우뭇가사리를 증류수로 세척하여 제거되지 못한 불순물들을 제거한 다음 60℃의 열풍건조를 3 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탄산성분이 함유된 증류수(1 중량%) 30 ℓ에 다시 하룻밤 동안 침윤시킨 다음 증류수로 수회 세척하고, 60℃의 열풍건조를 3 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이어, 다시 증류수 25 ℓ에 10 시간 동안 침윤시킨 다음, 증류수로 세척하고, 60℃의 열풍건조를 8 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상기 과정에서 건조된 우뭇가사리 건조 중량 200 g에 증류수 5 ℓ를 첨가한 다음, 120oC 및 1.5 ㎏f/㎠의 압력에서 4 시간 동안 가압 및 가열하여 추출하고, 그추출물을 막공크기 10 ㎛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득한 여과액 3.5 ℓ를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고형화시킨 다음, 잘게 절단하고 동결, 해동 및 탈수 과정을 2회 반복 실시하였다. 이어, 증류수로 1회 세척하고 70% 에탄올 10 ℓ에 3 시간 이상 함침시켜 탈수시키고, 60℃의 열풍 건조로 건조시켜 수분 함량을 10%까지 감소시켰다. 그런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아가로스의 정제
상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한천 분말 20 g을 증류수 500 ㎖에 첨가하고,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이어, 폴리 에틸렌 글리콜을 500 ㎖ 증류수에 넣고 가열하여 40%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한천 용액과 폴리 에틸렌 글리콜 용액을 80℃ 이상의 온도가 되었을 때 2 ℓ 용기에 각각 첨가하여 한천 용액은 2 중량%,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20 중량%가 되도록 하고, 서로 충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12 시간 방치하여 침전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나서, 상층을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4℃의 증류수 500 ㎖로 침전을 세척한 다음, 90%의 에탄올을 부어 잘 혼합하고, 다시 침전이 형성될 때까지 방치시켰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침전물은 필터로 걸러내어 60℃ 열풍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분말 아가로스를 겔화한 경우, 1640 g/㎠의 강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한천 습포제의 제조
본 발명의 한천 습포제에 있어서, 적합한 한천의 양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한천 분말 0.5, 0.75, 1.0, 1.2, 1.5, 1.75, 2, 2.5, 3 g 각각을 증류수 100 ㎖에 용해한 다음 두께 2 ㎜가 되도록 평판에 부어 겔화시켰다. 이어, 지름 5 ㎝ 디스크 형태로 절단하고, 증류수로 적신 지름 5.1 cm의 부직포 2매 사이에 끼워 넣은 다음, 비닐백에 넣어 4℃에서 보관하였다.
실험예 1: 한천 습포제의 강도 및 유연성 측정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각각의 한천 습포제의 강도 및 유연성을 측정하였다.
습포제의 강도는 충분히 냉각한 습포제의 1 ㎠의 단면적 상에 추를 올려 20 초동안 형상이 파괴되지 않을 때의 추의 무게를 강도로 정하였다.
또한, 한천 습포제의 유연성은 지름 2 ㎜의 스테인레스 막대에 두께 2 ㎜ 및 크기 100 ㎜ × 40 ㎜의 한천 습포를 걸쳐 놓고 균열되지 않으면서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대적인 유연성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정하였다.
구 분 0.5* 0.75 1.0 1.2 1.5 1.75 2 2.5 3
강도(g/cm2) 650 1100 1320 1480 1750 2000이상 2000이상 2000이상 2000이상
유연성 ++ +++ ++++ ++++ +++ ++ + ?** ?
*한천의 양(g)을 나타낸다.**유연성은 한천의 양이 2 중량% 이상이 될 경우 휘어짐이 거의 없기 때문에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한천의 함량이 0.5 ∼ 2.5 중량%일 때 강도 및 유연성에서 양호한 값을 나타내었다. 강도는 1,500 g/cm2을 가장 바람직한 값으로 하였다.
실시예 4: 황토를 함유하는 한천 습포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한천 분말 1.5 g을 증류수 100 ㎖에 용해하였다. 한편, 황토는 충북 보은에서 채취한 것을 건조시킨 다음, 곱게 분쇄하고, 불순물을 제거한 후 입자크기 100 ㎛ 이하되는 것으로 걸렀다. 이어, 상기 황토 0.1 g을 증류수 25 ㎖에 현탁시키고 50℃까지 가열하였다.
그런 다음, 50oC 이상의 온도에서 상기 한천용액과 황토액을 잘 교반한 다음, 두께 2 mm 이하가 되도록 평판에 부어 겔화하였다. 그리고 나서, 지름 5 ㎝ 디스크 형태로 절단하고, 증류수로 적신 지름 5.1 cm의 부직포 2매 사이에 끼워 넣은 다음, 비닐백에 넣어 4℃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5: 숯을 함유하는 한천 습포제의 제조
상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한천 2 g을 증류수 100 ㎖에 용해하였다. 한편, 숯은 참나무 숯을 곱게 분쇄한 다음, 입자크기 100 ㎛ 이하가 되게 걸렀다. 이어, 상기 숯 분말 0.1 g을 증류수 25 ㎖에 현탁시키고 50℃까지 가열하였다.
그런 다음, 50oC 이상의 온도에서 상기 한천 용액과 숯 현탁액을 잘 교반한 다음, 두께 2 ㎜ 이하가 되도록 평판에 부어 겔링하였다. 그리고 나서, 지름 5㎝ 디스크 형태로 절단하고, 증류수로 적신 지름 5.1 cm의 부직포 2매 사이에 끼워 넣은 다음, 비닐백에 넣어 4℃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6: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한천 습포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한천 분말 2 g을 이용한 한천 습포제 그리고, 실시예 4 및 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한천 습포제 각각을 아로마테라피에 사용되는 라벤더(애플우드사, 영국) 0.5 중량%를 포함하는 용액에 침윤시킨 지름 5.1 cm의 부직포 2매 사이에 끼워 넣은 다음, 비닐백에 넣어 4℃에서 보관하였다.
또한, 상기 라벤더 대신에 세다우드(애플우드사, 영국) 0.5 중량%를 포함하는 용액에 침윤시킨 부직포를 이용하여 상기한 라벤더의 경우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한편, 상기 라벤더 대신에 게라늄(애플우드사, 영국) 0.5 중량%를 포함하는 용액에 침윤시킨 부직포를 이용하여 상기한 라벤더의 경우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 라벤더 대신에 자스민(애플우드사, 영국) 0.5 중량%를 포함하는 용액에 침윤시킨 부직포를 이용하여 상기한 라벤더의 경우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셀룰로오스를 첨가한 한천 습포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3, 4, 및 5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보다 큰 지름을 갖는 한천 습포를 제조하기 위하여 한천 용액에 셀룰로오스 1 중량%를 추가적으로 첨가하여 강도가 증가된 한천 습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아가로스 습포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3, 4 및 5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한천 대신에 실시예 2에서 정제된 아가로스 1.5 중량%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예 2:
한천 습포제의 강도 유지 측정
상기 실시예 3 내지 7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를 비닐팩에 넣은 후 4℃에서 냉장 보관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강도를 측정하였다. 강도 측정 방법은 실험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30일 이상 냉장 보관하였을 경우에도 강도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에서 한천 겔 및 아가로스 겔 구조 자체가 매우 안정된 형태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피부 냉각 효과
실온(25℃)에서 제조한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한 미용 습포제를 피부에 점착시킨 후 그 부위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시간 동안 20 ∼ 23℃로 점착 부위의 피부면의 냉각이 유지되었다.
한편, 냉장 보관한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한 미용 습포제를 이용할 경우에도 초기 15 분간은 피부 점착면이 낮은 온도로 유지되었으나, 이후에는 상기한 결과와 같이 20 ∼ 23℃로 점착 부위의 피부면의 냉각이 유지되었다.
피부 자극 실험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한 미용 습포제를 10인의 자원자를 대상으로 이마와 팔에 1 시간 동안 점착시켜 피부 부작용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점착 부위에 대한 피부 부작용은 거의 없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은 우뭇가사리로부터 추출한 한천 또는 아가로스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용 습포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미용 습포제는 고강도 및 고유연성을 갖는 습포제로서, 점착성, 보습 효과 , 피부 냉각 효과 및 피부 미용 효과가 우수하다.

Claims (9)

  1. 우뭇가사리로부터 추출한 한천 또는 아가로스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용 습포제.
  2. 제 1 항에 있어서, 한천 또는 아가로스의 양은 0.5 ∼ 2.5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습포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습포제의 강도는 800 ∼ 2,000 g/㎠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습포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포제는 황토, 숯, 비타민류, 보습제, 향유, 식물 추출물, 해조 추출물 및 과일 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피부 미용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습포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향유는 라벤더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습포제.
  6.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습포제는 셀룰로오스, 빔 검, 타라 검, 구아 검, 타마린 검, 풀루란, 덱스트란, 녹말,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 아크릴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강도 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습포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강화제의 양은 0.5 ∼ 1.5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습포제.
  8.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 습포제의 상ㆍ하면에는 부직포가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습포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습포제의 상ㆍ하면에는 부직포가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습포제.
KR1020000027735A 2000-05-23 2000-05-23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습포제 KR20010106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735A KR20010106779A (ko) 2000-05-23 2000-05-23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습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735A KR20010106779A (ko) 2000-05-23 2000-05-23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습포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779A true KR20010106779A (ko) 2001-12-07

Family

ID=1966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735A KR20010106779A (ko) 2000-05-23 2000-05-23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습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677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230B1 (ko) * 2007-07-20 2009-03-25 (주)지에프씨 해태유래 폴리머를 이용한 하이드로젤 점착 시트의 제조방법
KR101875115B1 (ko) * 2017-06-30 2018-07-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션푸드코리아 해조류 유래 아가로스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20074403A (ko) * 2020-11-27 2022-06-03 (주)헬스코치생명공학 Atage-2006을 이용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주름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조성물
KR20220152675A (ko) * 2021-05-10 2022-11-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 유래 신규 알킬-아가로바이오사이드, 이의 제조방법, 또는 이의 용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882A (ja) * 1994-07-29 1996-02-13 Ichimaru Pharcos Co Ltd 皮膚貼付用シート
JPH08268835A (ja) * 1995-03-31 1996-10-15 Daiwabo Co Ltd 高濃度塩含有基剤,その調製方法及びその基剤を用いた貼付剤
KR970069022A (ko) * 1996-04-30 1997-11-07 이능희 지속성 젤형 유화화장료 조성물
JPH11209262A (ja) * 1997-10-28 1999-08-03 Kao Corp 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882A (ja) * 1994-07-29 1996-02-13 Ichimaru Pharcos Co Ltd 皮膚貼付用シート
JPH08268835A (ja) * 1995-03-31 1996-10-15 Daiwabo Co Ltd 高濃度塩含有基剤,その調製方法及びその基剤を用いた貼付剤
KR970069022A (ko) * 1996-04-30 1997-11-07 이능희 지속성 젤형 유화화장료 조성물
JPH11209262A (ja) * 1997-10-28 1999-08-03 Kao Corp 皮膚外用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230B1 (ko) * 2007-07-20 2009-03-25 (주)지에프씨 해태유래 폴리머를 이용한 하이드로젤 점착 시트의 제조방법
KR101875115B1 (ko) * 2017-06-30 2018-07-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션푸드코리아 해조류 유래 아가로스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20074403A (ko) * 2020-11-27 2022-06-03 (주)헬스코치생명공학 Atage-2006을 이용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주름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조성물
KR20220152675A (ko) * 2021-05-10 2022-11-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 유래 신규 알킬-아가로바이오사이드, 이의 제조방법, 또는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263B1 (ko) 강도와 탄력성이 향상된 수분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110638A (ja) 液体で含浸するための媒体及び該媒体を含むキット
JP2007538125A (ja) アルギネートを含む多孔性成型品の製造方法
JP7315985B2 (ja) 山養参を用いた石鹸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石鹸
CN106580837A (zh) 一种美白补水面贴膜
JP3678449B2 (ja) 米からの水分保持能改善剤
CN106667889A (zh) 一种碧玺石护肤面膜
KR20190110449A (ko) 식물 추출액, 그 제조 방법, 그 용도, 그리고 그 식물 추출액을 포함하는 약용 화장품 및 제품
WO2007091801A1 (en) A sheet device comprising bio-cellulose for alleviating skin damage and relieving skin problem
CN106619469A (zh) 一种去红血丝面贴膜
CN106619327A (zh) 一种抗过敏面贴膜
KR20010106779A (ko)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습포제
KR20000048307A (ko) 숯 분말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1530374A (zh) 湿式揩布
KR102152300B1 (ko) 쌀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50862B1 (ko) 천궁, 작약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023110B (zh) 一类基于竹荪蛋提取物的活性抑菌敷料
CN107049851A (zh) 一种含有洋甘菊提取物的去红血丝面膜
CN104434644A (zh) 一种含黄瓜提取液的洗面乳
CN110327245B (zh) 一种多肽冻干粉修复面膜
CN101260359B (zh) 一种桃花酒的生产方法
JP2814230B2 (ja) 化粧品組成物
KR101075933B1 (ko) 피부 세정용 스폰지 제조 방법
KR20050062473A (ko) 황토를 첨가한 겔형 팩 및 그 제조방법.
CN114617810A (zh) 一种含有低危害药液的天然竹纤维湿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1025

Effective date: 2003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