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198A -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198A
KR20010106198A KR1020010023302A KR20010023302A KR20010106198A KR 20010106198 A KR20010106198 A KR 20010106198A KR 1020010023302 A KR1020010023302 A KR 1020010023302A KR 20010023302 A KR20010023302 A KR 20010023302A KR 20010106198 A KR20010106198 A KR 20010106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ember
contact
housing
rotating body
hard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0190B1 (ko
Inventor
카와세타츠아키
쿠로다요시마사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10106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3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the operating member being rotatable around wobbling axis for additional switching f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025/048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separate central push, slide or tumbler button which is not integral with the operating part that surrounds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복합 조작형 스위치 구조로, 스위치장치 자체 구조가 복잡해지지 않아 조립성이 양호하고 염가 대응이 가능함과 동시에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수납부 (1a) 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 (1a) 내의 바닥면에 형성된 슬라이딩용 접점 (2a) 과, 이 슬라이딩용 접점 (2a) 에 슬라이딩 접촉되는 슬라이딩소자 (7) 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 (1) 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된 회전체 (6) 와, 상기 하우징 (1) 에 부착되며 푸시방향 및 경도(傾倒)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슬라이드부재 (3,8) 와, 이 슬라이드부재 (3,8) 의 푸시 조작 및 경도 조작으로 접촉 분리되는 복수의 가압용 접점부 (11) 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용 접점부 (11) 는, 상기 하우징 (1) 과는 별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1) 이 탑재된 회로기판 (10) 상에 형성되도록 되었다.

Description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MULTI-OPERATION SWITCH DEVICE}
본 발명은 각종 전자기기의 입력장치 등에 사용되는 하나의 조작부에서 푸시방향, 경도방향, 회전방향 등 다방향 조작이 가능한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구조로는 스위치본체, 즉 동일한 하우징 내에 회전방향 검출용 접점부와, 푸시 및 경도(傾倒) 방향 검출용 접점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나, 회전방향 검출용 로터리인코더 내지는 로터리볼륨과 푸시 및 경도방향 검출용 푸시버튼 스위치를 복수개 준비하고 동일한 하우징 내에 수납하여 구성한 것 등이 알려져 있다.
전자 구성의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구조에서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부에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에 도전성 금속재로 이루어진 접점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접점부는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형성된 푸시방향 검출용 접점부와, 이 푸시방향 검출용 접점부 주변에 복수개 형성된 경도방향 검출용 접점부와, 이 경도방향 검출용 접점부 외측에서 고리형으로 형성된 회전방향 검출용 접점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각각의 접점부의 상면측에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접점부를 조작하는 푸시 조작용 슬라이드부재와, 이 슬라이드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경도 조작용 슬라이드부재가 수납되며 이 슬라이드부재의 외측에는 연결부재를 통해 회전 조작용 회전체가 연이어 설치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는, 상기 푸시 조작용 슬라이드부재가 가압되면, 상기 하우징 중앙에 형성된 푸시방향 검출용 접점부가 가압되어 온 상태로 되고, 또한 상기 경도 조작용 슬라이드부재가 경도되면, 상기 하우징 중앙주변에 형성된 복수개의 경도방향 검출용 접점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경도되는 경도방향으로 경도방향에 대응하여 가압되어 온 상태로 되어, 각각 푸시, 경도방향에 대응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회전되면 이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여 고리형으로 형성된 상기 회전방향 검출용 접점부가 슬라이딩 접촉됨으로써, 원하는 전기적인 신호로 이루어진 코드가 출력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후자 구성의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구조에서는, 조작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방향이나 회전량 등을 검출하는 회전형 전기부품인 로터리인코더나 로터리볼륨 등과, 조작부를 푸시 및 경도 조작함으로써 푸시 및 경도방향 등을 검출하는 메카 조작형 전기부품인 푸시버튼 스위치나 마이크로스위치 등을 복수개 준비하고 이들 복수개의 전기부품을 적절하게 동일한 하우징 내에 수납함으로써 스위치접점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각각의 스위치 접점부의 상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스위치접점부를 조작하는 푸시 조작용 및 경도 조작용 조작부재와, 회전 조작용 회전부재가 각각의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이나 메카 조작형 전기부품의 조작부와 연이어 설치되어 부착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구조에 있어서는, 전자와 같이 일체형 스위치장치의 구성에서는, 스위치장치 자체 구조가 복잡해져 부품 구성도 많고 조립성이 나빠서 염가 대응이 어려운 등 문제가 있었다. 또, 후자와 같이 각각의 전기부품을 복수개 준비하여 일체적으로 부착하는 구성에서는, 푸시버튼 스위치나 마이크로스위치 등을 다수 사용해야 하고, 하우징 크기가 대형화되어 단가도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구조에서 스위치장치 자체 구조가 복잡해지지 않아 조립성이 양호하고 염가 대응이 가능함과 동시에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도 2 의 3-3 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도 2 의 4-4 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도 3 의 5-5 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수납부
1b : 결합 돌출부 1c : 원형 통부
1d : 관통구멍 1e : 클릭용 캠부
1f : 지지돌출부 1g : 조작구멍
1h : 가이드홈부 2a : 코드패턴 (슬라이딩용 접점)
2b : 접속단자 3 : 제 1 슬라이드부재
3a : 조작부 3b : 조작축
3c : 스프링 수납부 3d : 결합 걸기부
4 : 복귀용 스프링 5 : 클릭용 판스프링
6 : 회전체 6a : 삽입통과구멍
6b : 결합홈부 6c : 접촉면부
6d : 가압면부 7 : 슬라이딩소자
7a : 접촉편 8 : 제 2 슬라이드부재
8a : 기부 8b : 아암부
8c : 지지면부 8d : 조작 돌출부
9 : 커버부재 9a : 상부판
9b : 창구멍부 9c : 결합구멍
9d : 결합 아암부 10 : 회로기판
11 : 가압용 접점부 11a : 중앙접점부
11b : 주변접점부 11c : 고정접점
11d : 가동접점 12 : 점착시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수단으로서,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 내의 바닥면에 형성된 슬라이딩용 접점과, 이 슬라이딩용 접점에 슬라이딩 접촉되는 슬라이딩소자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된 회전체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며 푸시방향 및 경도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슬라이드부재와, 이 슬라이드부재의 푸시 조작 및 경도 조작으로 접촉 분리되는 복수의 가압용 접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용 접점부는, 상기 하우징과는 별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이 탑재된 회로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2 수단으로서 상기 가압용 접점부는 상기 회로기판 상에 형성된 고정접점과 이 고정접점에 대향하여 형성된 돔형상의 가동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조작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돌출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가동접점을 가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 수단으로서 복수의 상기 가동접점은, 점착시트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착됨과 동시에, 이 점착시트를 상기 회로기판 상에 부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4 수단으로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푸시 조작 가능한 제 1 슬라이드부재와 경도 조작 가능한 제 2 슬라이드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용 접점부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로 가압되는 중앙접점부와, 이 중앙접점부 주변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로 가압되는 주변접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변접점부의 형성위치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슬라이딩용 접점의 형성위치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 5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회전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회전체가 회전 조작될 때에는 추종하지 않고,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회전체가 경도 조작될 때에는 추종하여 상기 주변접점부를 가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낸다. 도 1 은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의 평면도, 도 3 은 도 2 의 3-3 선을 자른 단면도, 도 4 는 도 2 의 4-4 선을 자른 단면도, 도 5 는 도 3 의 5-5 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하우징 (1) 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상면이 개구된 다각형의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 내에 원형상의 수납부 (1a) 가 형성되어 있다.이 수납부 (1a) 내의 바닥면에는, 도전성 금속재로 이루어진 회전 조작 검출용 슬라이딩용 접점인 복수의 코드패턴 (2a) 이 인서트 성형 등의 방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 (1) 외측면에는, 상기 코드패턴 (2a) 에 도출되어 상기 하우징 (1) 외측으로 연이어 설치된 접속단자 (2b)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접속단자 (2b) 가 연이어 설치된 상측에는 후술하는 커버부재 (9) 의 결합구멍 (9c) 이 걸어맞춰져 걸리는 결합 돌출부 (1b) 가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는, 중앙에 원형 통부 (1c) 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원형 통부 (1c) 의 중앙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바닥면까지 관통하는 관통구멍 (1d) 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 (1d) 에 후술하는 센터 푸시용 제 1 슬라이드부재 (3) 의 조작축 (3b) 이 삽입 통과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원형 통부 (1c) 의 상단측에는, 후술하는 클릭용 판스프링 (5) 과 맞닿아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클릭용 캠부 (1e)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수납부 (1a) 내의 바닥면 외주위치의 4 군데에는, 후술하는 회전체 (6) 의 하면측에 형성된 접촉면부 (6c) 나, 후술하는 경도용의 제 2 슬라이드부재 (8) 의 아암부 (8b) 의 하면측에 맞닿아 위치결정이나 지지를 하는 지지돌출부 (1f) 가 내부 바닥면에서 동일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지지돌출부 (1f) 와 지지돌출부 (1f) 사이에서 상기 코드패턴 (2b) 이 형성된 외측에는 후술하는 제 2 슬라이드부재 (8) 의 기부 (8a) 에 형성된 조작돌출부 (8d) 가 삽입 통과되는 조작구멍 (1g)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수납부 (1a) 내의 둘레면에는, 제 2 슬라이드부재 (8) 의 기부 (8a) 와 걸어맞춰 회전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홈부(1h) 가 형성되어 있다.
센터 푸시용 제 1 슬라이드부재 (3)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각형상의 조작부 (3a) 와 이 조작부 (3a) 의 하면측 중앙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원형 통부 (1c) 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멍 (1d) 에 삽입 통과되는 봉형상의 조작축 (3b)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축 (3b) 의 둘레면에는 원형 홈부로 이루어진 스프링 수납부 (3c) 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 수납부 (3c) 에, 코일형상의 금속선재로 이루어진 복귀용 스프링 (4) 과 이 복귀용 스프링 (4) 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원형 통부 (1c) 의 클릭용 캠부 (1e) 에 맞닿게 되는 박판형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클릭용 판스프링 (5) 이 수납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의 외측면에는, 후술하는 회전체 (6) 의 결합홈부 (6b) 에 맞닿게 되며 펀칭 고정되는 결합 걸기부 (3d) 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 (6)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전체 (6) 의 중앙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가 삽입 통과되어 지지되는 삽입통과구멍 (6a) 및 결합홈부 (6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체 (6) 의 하면측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지지돌출부 (1f) 에 맞닿게 되어 가압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접촉면부 (6c)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접촉면부 (6c) 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경도용의 제 2 슬라이드부재 (8) 의 기부 (8a) 에 맞닿아 이 기부 (8a) 를 가압하는 가압면부 (6d)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체 (6) 의 하면측에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거의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부에 복수의 외팔보형의 접촉편 (7a) 을 갖는 슬라이딩소자 (7) 가 고착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딩소자 (7) 가 상기 회전체 (6) 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접촉편 (7a) 이 상기 하우징 (1) 내의 바닥면에 설치된 상기 코드패턴 (2a) 과 슬라이딩 접하여 원하는 코드 (전기적 신호) 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경도용의 제 2 슬라이드부재 (8)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기부 (8a) 와 이 기부 (8a)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의 고리형 금속재로 이루어진 아암부 (8b) 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부 (8a) 에는, 상기 회전체 (6) 의 가압면부 (6d) 에 맞닿게 되는 대략 L 자형의 지지면부 (8c) 와 이 지지면부 (8c) 의 하면측으로 돌출된 조작돌출부 (8d)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조작돌출부 (8d) 가 상기 하우징 (1) 의 조작구멍 (1g) 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상기 지지면부 (8c) 가 상기 회전체 (6) 의 가압면부 (6d) 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조작돌출부 (8d) 가 상기 하우징 (1) 의 조작구멍 (1g) 에서 돌출되어 후술하는 가압용 접점부 (11) 를 가압하여 접점을 전환하게 된다.
커버부재 (9) 는 판형 금속재로 펀칭 절곡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판 (9a) 의 중앙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의 조작부 (3a) 와 상기 회전체 (6) 의 상면부가 돌출되는 창구멍부 (9b)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상부판 (9a) 의 4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결합 돌출부 (1b) 를 결합시킴으로써 결합구멍 (9c) 을 갖는 결합 아암부 (9d) 가 절곡형성되어 있다.
회로기판 (10) 은 페놀수지 등의 적층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회로기판 (10) 에는 복수의 가압용 접점부 (1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용 접점부 (11) 는, 상기 회로기판 (10) 의 중앙에 형성된 센터 푸시용 중앙접점부 (11a) 와 이 중앙접점부 (11a) 의 주변에 대향하여 설치된 4 개의 경도용 주변접점부 (11b) 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용 접점부 (11) 는, 상기 회로기판 (10) 의 상면측에 구리호일 등을 에칭 가공하여 형성된 복수의 고정접점 (11c) 과 이 고정접점 (11c) 에 대향하여 박판의 금속판에서 돔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점 (11d) 으로 이루어지고, 이 가동접점 (11d) 이 점착시트 (12) 등에 의해 시트형상으로 일체적으로 고착됨과 동시에, 이 점착시트 (12) 가 상기 회로기판 (10) 상에 부착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용 접점부 (11) 의 구성이 간단해져 조립성 향상이나 스위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가압용 접점부 (11) 는,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8) 의 경도 조작시에 가압되는 상기 주변접점부 (11b) 의 형성위치를,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내의 바닥면에 형성된 회전 조작 검출용의 슬라이딩용 접점부인 상기 코드패턴 (2a) 의 배치위치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경도용의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8) 의 중심에서 상기 조작부재 (8d) 까지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어, 경도 조작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8) 의 기부 (8a) 를 상기 가이드홈부 (1h) 에 걸어맞추면서 삽입하고 상기 아암부 (8b) 의 하면측을 상기 지지돌출부 (1f) 에 맞닿아 위치 결정시킨다. 이 때 상기 기부 (8a) 의 하면측의 상기 조작돌출부 (8d) 는 상기 수납부 (1a) 의 상기 조작구멍 (1g) 에 삽입된 상태가된다.
이어서, 상기 회전체 (6) 의 삽입통과구멍 (6a) 에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의 조작부 (3a) 를 삽입 통과시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의 스프링수납부 (3c) 에 상기 복귀용 스프링 (4) 과 클릭용 판스프링 (5) 을 수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 (6) 및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를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내에 삽입한다. 이 때, 상기 회전체 (6) 의 하면측의 상기 접촉면부 (6c) 및 누름면부 (6d) 가, 상기 하우징 (1) 의 지지돌출부 (1f) 및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8) 의 지지면부 (8c) 에 맞닿게 되어 위치 결정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 (1) 의 원형 통부 (1c) 의 관통구멍 (1d) 에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의 조작축 (3b) 이 삽입통과되며, 상기 클릭용 캠부 (1e) 와 상기 클릭용 스프링 (5) 이 상기 복귀용 스프링 (4) 의 가압력에 의해 맞닿은 상태가 된다.
또, 상기 회전체 (6) 의 하면측에 부착된 상기 슬라이딩소자 (7) 의 접촉편 (7a) 은, 상기 수납부 (1a) 내의 바닥면에 설치된 코드패턴 (2a) 과 대향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상면측을 상기 커버부재 (9) 로 덮도록 씌우고, 상기 결합 돌출부 (1b) 와 상기 결합구멍 (9c) 을 결합시켜 상기 하우징 (1) 과 회전검출용 접점 및 각각의 조작기홈부를 일체화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조작기홈부를 상기 회로기판 (10) 의 가압용 접점부 (11) 와 대향시켜 상기 회로기판 (10) 상에 부착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이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복수조작형 스위치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푸시 조작시에는 센터 푸시용의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의 조작부 (3a) 를 손가락 등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는 상기 복귀용 스프링 (4) 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가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조작부 (3a) 의 하면측 중앙에 설치된 상기 조작축 (3b) 이 상기 회로기판 (10) 상에 형성된 중앙의 상기 중앙접점부 (11a) 를 가압함으로써, 돔형상의 상기 가동접점 (10d) 이 반전되어 상기 고정접점 (10c) 과 접속되어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된다.
이 때, 상기 회전체 (6) 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와는 연동되지 않고,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만 이동하게 된다. 또, 상기 회전체 (6) 는 하면측의 상기 접촉면부 (6c) 가 상기 수납부 (1a) 내의 상기 지지돌출부 (1f) 와 맞닿게 되며 가압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8) 는 구동되지 않아 중앙 이외의 상기 주변접점부 (11b) 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복귀용 스프링 (4) 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는 초기 위치까지 복귀하게 된다.
이어서, 회전 조작시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를 손가락 등으로 회전 조작시키면, 상기 회전체 (6) 가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회전체 (6) 의 하면측에 부착된 상기 슬라이딩소자 (7) 가 상기 수납부 (1a) 내의 바닥면에 설치된 상기 코드패턴 (2a) 과 슬라이딩 접촉되어 원하는 코드 (전기적 신호) 가 출력된다. 이 회전 조작시에 상기 하우징 (1) 중앙의 상기원형 통부 (1c) 의 상면측에 설치된 상기 클릭용 캠부 (1e) 와,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에 수납된 상기 클릭용 판스프링 (5) 이 상기 복귀용 스프링 (4) 의 가압력으로 지지됨으로써, 회전할 때 클릭감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8) 는, 상기 기부 (8a) 가 상기 하우징 (1) 의 가이드홈부 (1h) 와의 결합에 의해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고 있어, 상기 회전체 (6) 의 회전에 추종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체 (6) 는 하면측의 상기 접촉면부 (6c) 가 상기 수납부 (1a) 내의 상기 지지돌출부 (1f) 와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할 때 기울기나 백래시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경도 조작시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를 손가락 등으로 일방의 가로방향으로 경도시키면,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의 경도에 추종하여, 상기 상기 회전체 (6) 는 경도된 측에 형성된 상기 수납부 (1a) 내의 상기 지지돌출부 (1f) 의 대응하는 2 점을 지점으로 경도된다. 이 때, 상기 회전체 (6) 의 외측에 설치된 상기 가압면부 (6d) 가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8) 의 상기 기부 (8a) 의 지지면부 (8c) 를 가압하게 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8) 는 상기 수납부 (1a) 내의 상기 지지돌출부 (1f) 의 대응하는 2 점을 지점으로 상기 아암부 (8b) 가 휘게 되고, 상기 회로기판 (10) 상에 형성된 주변의 4 방향에 위치한 상기 주변접점부 (11b) 가 가압됨으로써, 돔형상의 상기 가동접점 (11d) 이 반전되어 상기 고정접점 (11c) 과 접속되어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된다.
이 때,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8) 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와는 상기 회전체 (6) 를 사이에 두고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8) 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및 상기 회전체 (6) 가 회전 조작될 때에는 추종하지 않고,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및 상기 회전체 (6) 가 경도 조작되었을 때에는 추종하여 주변의 4 방향에 위치한 상기 주변접점부 (11b) 를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경도방향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8) 의 상기 아암부 (8b) 의 탄성에 의해 상기 회전체 (6) 및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는 초기 위치까지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8) 나 상기 회전체 (6) 의 복귀용 스프링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구성이 간단해진다.
또,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내의 바닥면에는, 상기 아암부 (8b) 의 하면측에 맞닿으며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8) 를 상기 수납부 (1a) 내에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상기 지지돌출부 (1f) 를 형성하고, 이 지지돌출부 (1f) 를 지점으로 상기 아암부 (8b) 가 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아암부 (8b) 의 탄성이 보강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8) 및 상기 회전체 (6) 의 복귀가 확실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상기 회전체 (6) 와, 푸시방향 및 경도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상기 슬라이드부재 (3,8) 를 상기 하우징 (1) 에 일체적으로 수납하고, 이 슬라이드부재 (3,8) 의 푸시 조작 및 경도 조작으로 접촉 분리되는 복수의 가압용 접점부 (11) 를, 상기 하우징 (1) 과는 별체로 이루어진 상기 하우징 (1) 이 탑재된 상기 회로기판 (10) 상에 형성하도록 하기 때문에, 스위치장치 자체 구조가 복잡해지지 않고 부품 구성도 적게 할 수 있어 조립성이 양호하므로, 염가 대응이 가능함과 동시에 푸시버튼 스위치나 마이크로스위치 등을 다수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크기를 크게 하지 않고 스위치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구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와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8) 는 상기 회전체 (6) 를 사이에 두고 연동조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푸시 조작시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만 이동하여 상기 중앙접점부 (11a) 가 가압되고, 회전 조작시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에 연동되어 상기 회전체 (6) 가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소자 (7) 가 슬라이딩용 접점인 상기 코드패턴 (2a) 에 슬라이딩 접촉되고, 경도 조작시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3) 에 연동하여 상기 회전체 (6) 및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 (8) 가 경도되어 경도방향에 대응한 상기 주변접점부 (11b) 가 가압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스위치장치 자체 구조가 복잡해지지 않고 부품 구성도 적게 할 수 있어 조립성이 양호하므로, 염가 대응이 가능함과 동시에 스위치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구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는,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수납부 내의 바닥면에 형성된 슬라이딩용 접점과, 이 슬라이딩용 접점에 슬라이딩 접촉되는 슬라이딩소자를 가지며, 하우징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된회전체와, 하우징에 부착되며 푸시방향 및 경도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슬라이드부재와, 이 슬라이드부재의 푸시 조작 및 경도 조작으로 접촉 분리되는 복수의 가압용 접점부를 구비하고, 가압용 접점부는, 하우징과는 별도로 형성되고, 하우징이 탑재된 회로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장치 자체 구조가 복잡해지지 않고 부품 구성도 적게 할 수 있어 조립성이 양호하므로 염가 대응이 가능함과 동시에 푸시버튼 스위치나 마이크로스위치 등을 다수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우징 크기를 크게 하지 않고 스위치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 가압용 접점부는, 회로기판 상에 배치된 고정접점과 이 고정접점에 대향하여 형성된 돔형상의 가동점점으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드부재에는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조작돌출부를 설치하고, 조작돌출부에 의해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된 가동접점을 가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푸시 및 경도용 스위치부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동접점은, 점착시트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착됨과 동시에, 이 점착시트를 회로기판 상에 부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가압용 접점부의 구성이 간단해져 조립성 향상이나 스위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부재는 푸시 조작 가능한 제 1 슬라이드부재와 경도 조작 가능한 제 2 슬라이드부재로 이루어지고, 가압용 접점부는 제 1 슬라이드부재로 가압되는 중앙접점부와 이 중앙접점부 주변에 복수개 형성되고 제 2 슬라이드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주변접점부로 이루어지며, 주변접점부의 형성위치를 하우징의 슬라이딩용접점의 형성위치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경도용의 제 2 슬라이드부재 중심으로부터 조작 돌출부까지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어, 경도 조작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슬라이드부재와 제 2 슬라이드부재는 회전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슬라이드부재는 제 1 슬라이드부재 및 회전체가 회전 조작될 때에는 추종하지 않고, 제 1 슬라이드부재 및 회전체가 경도 조작될 때에는 추종하여 주변접점부를 가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복합 조작이 가능해진다.

Claims (5)

  1.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 내의 바닥면에 형성된 슬라이딩용 접점과, 이 슬라이딩용 접점에 슬라이딩 접촉되는 슬라이딩소자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된 회전체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며 푸시방향 및 경도(傾倒)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슬라이드부재와, 이 슬라이드부재의 푸시 조작 및 경도 조작으로 접촉 분리되는 복수의 가압용 접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용 접점부는, 상기 하우징과는 별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이 탑재된 회로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용 접점부는 상기 회로기판 상에 형성된 고정접점과 이 고정접점에 대향하여 형성된 돔형상의 가동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조작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돌출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가동접점을 가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가동접점은, 점착시트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착됨과 동시에, 이 점착시트를 상기 회로기판 상에 부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푸시 조작 가능한 제 1 슬라이드부재와 경도 조작 가능한 제 2 슬라이드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용 접점부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로 가압되는 중앙접점부와, 이 중앙접점부 주변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로 가압되는 주변접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변접점부의 형성위치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슬라이딩용 접점의 형성위치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회전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회전체가 회전 조작될 때에는 추종하지 않고,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회전체가 경도 조작될 때에는 추종하여 상기 주변접점부를 가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KR10-2001-0023302A 2000-05-16 2001-04-30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KR100420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48635A JP2001325859A (ja) 2000-05-16 2000-05-16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2000-148635 2000-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198A true KR20010106198A (ko) 2001-11-29
KR100420190B1 KR100420190B1 (ko) 2004-03-04

Family

ID=1865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302A KR100420190B1 (ko) 2000-05-16 2001-04-30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1325859A (ko)
KR (1) KR100420190B1 (ko)
CN (1) CN1183568C (ko)
TW (1) TW52241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428B1 (ko) * 2001-06-04 2006-05-26 미츠쿠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슬라이드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95725C (zh) * 2003-09-15 2007-01-17 三山电器株式会社 按钮开关
JP4487821B2 (ja) * 2005-03-25 2010-06-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複合操作型電子部品
KR100747223B1 (ko) 2005-12-09 2007-08-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다기능 복합 스위치
JP4730171B2 (ja) * 2006-03-30 2011-07-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プッシュ・スライドスイッチ
JP4353964B2 (ja) 2006-06-26 2009-10-28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4832317B2 (ja) * 2007-01-11 2011-12-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4830862B2 (ja) * 2007-01-12 2011-12-07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695620B2 (ja) 2007-04-18 2011-06-08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KR100857171B1 (ko) 2007-05-11 2008-09-05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식 입력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0857168B1 (ko) 2007-05-30 2008-09-05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식 입력장치
KR100857173B1 (ko) 2007-05-30 2008-09-05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식 입력장치
JP4990811B2 (ja) * 2008-02-08 2012-08-01 ホシデン株式会社 回転スイッチ
JP2014175194A (ja) * 2013-03-11 2014-09-22 Hosiden Corp 入力装置
CN104319149B (zh) * 2014-09-12 2017-01-25 东莞市林积为实业投资有限公司 一种开关编码器
CN107393759B (zh) * 2017-08-17 2021-08-20 惠州市开蒙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旋钮开关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0050A (en) * 1991-10-15 1993-01-19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Pushbutton rotary switch
JP3219353B2 (ja) * 1994-08-26 2001-10-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操作型スイッチおよび多方向入力装置
JP3763169B2 (ja) * 1996-08-23 2006-04-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回転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27745B2 (ja) * 1997-01-10 2005-12-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スイ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428B1 (ko) * 2001-06-04 2006-05-26 미츠쿠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슬라이드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325859A (ja) 2001-11-22
KR100420190B1 (ko) 2004-03-04
CN1324085A (zh) 2001-11-28
TW522418B (en) 2003-03-01
CN1183568C (zh) 200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190B1 (ko)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US5613600A (en) Rotatively-operated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US6388212B1 (en) Push and rotary operating type electronic component
EP1028446B1 (en) Combined push-to-activate and rotary switch
US6211474B1 (en) Multi-input switch
US6248966B1 (en) Lever switch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0340481B1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WO2001020629A1 (fr) Dispositif d'entree multidirectionnel
JP4217531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0056048A (ja) 電子機器用複合スイッチ
KR20020025685A (ko) 스위치장치
KR20020061492A (ko) 스위치장치
JP2001325860A (ja)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CN1476030A (zh) 多方向输入装置
JP3763676B2 (ja) スイッチ装置、並びにスイッチ装置を使用した電子機器
US6353196B2 (en) Water-resistant switching device
JP4619196B2 (ja) 押圧スイッチ付き摺動式電子部品
JP2012134041A (ja) 多方向スイッチ装置
JP2005209565A (ja) 押釦スイッチ
KR100413264B1 (ko) 입력장치
JP2004265687A (ja) 回転型電気部品
JPH0310584Y2 (ko)
JP2003151404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1357751A (ja) 複合スイッチ
JP3959900B2 (ja) 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