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128A - 백신-유도 b형 간염 바이러스 균주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백신-유도 b형 간염 바이러스 균주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128A
KR20010106128A KR1020007014443A KR20007014443A KR20010106128A KR 20010106128 A KR20010106128 A KR 20010106128A KR 1020007014443 A KR1020007014443 A KR 1020007014443A KR 20007014443 A KR20007014443 A KR 20007014443A KR 20010106128 A KR20010106128 A KR 20010106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virus
hepatitis
polypeptide
acid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8117B1 (ko
Inventor
총 진 오온
젝 쿄우 림
아이 린 레옹
이 쟈오
웨이 닝 첸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싱가폴 공화국 정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싱가폴 공화국 정부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106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1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6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hepatitis
    • G01N33/5761Hepatitis B
    • G01N33/5764Hepatitis B surface anti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29Hepatitis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1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growth factors; for growth reg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7/00Viruses; Bacteriophages; Compositions thereof;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7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rus or bacteriophage
    • C12Q1/701Specific hybridization probes
    • C12Q1/706Specific hybridization probes for hepatit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30Non-immunoglobulin-derived peptide or protein having an immunoglobulin constant or Fc region, or a fragment thereof, attached thereto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30/00Reverse transcribing DNA viruses
    • C12N2730/00011Details
    • C12N2730/10011Hepadnaviridae
    • C12N2730/10111Orthohepadnavirus, e.g. hepatitis B virus
    • C12N2730/10122New viral proteins or individual genes, new structural or functional aspects of known viral proteins or g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30/00Reverse transcribing DNA viruses
    • C12N2730/00011Details
    • C12N2730/10011Hepadnaviridae
    • C12N2730/10111Orthohepadnavirus, e.g. hepatitis B virus
    • C12N2730/101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Onc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구성 바이러스 게놈이 1997.12.15.자로 ECCC에 기탁번호 P97121504, P97121505 및 P121506로 기탁된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분리 균주,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돌연변이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번의 아미노산 잔기가 하나의 글리신이 아니라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와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잔기를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하나의 분리 핵산,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527 내지 59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핵산 분자에 의해 엔코드된 펩티드를 엔코드하는 하나의 분리 핵산, 상기 분리 핵산과 폴리펩티드를 이용하는 다양한 방법 및 바이러스 균주, 그리고 그 단백질의 다양한 용도 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백신-유도 B형 간염 바이러스 균주 및 그 용도{A VACCINE-INDUCED HEPATITIS B VIRAL STRAIN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주 표면 항원(the major surface antigen)내 아미노산 잔기 145(글리신 에서 아르기닌으로)에서 하나의 백신-유도 돌연변이를 갖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게놈, 그것의 염기서열, 4개의 주요 추론(deduced) 단백질 서열, 항원, 항체, 검출시스템, 효과적인 백신의 개발 및 항 바이러스제에 관한 것이다.
B형간염은 비경구적으로 전염되는 인체 바이러스로서 1963년에 최초로 발견되었다. 이들 바이러스들이 특별히 세포독성이 없어 다량의 세포사멸을 일으키지 않는다 하더라도, 전세계적으로 성인 및 어린이에게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주요 감염성 질환의 원인이 되어왔다. B형 간염 표면 항원의 존재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담체에 대한 주요 검출 표지로 사용되어 왔다. 역으로 말하면, 하나의 항-표면 항원 항체의 발생은 최종적인 회복에 이르게 하는 하나의 면역반응(immune response)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한 면역반응에 대한 자극은 최근 머크 샤프와돔(Merck Sharpe & Dohme)에 의해 개발된 후 허가를 받은 B형 간염 백신에 의해 크게 도움을 받았다. 이들 백신들은 자연적형태(플라즈마-유도체) 또는 재조합 형태(효모세포들로부터 정제)로 주 표면 항원을 포함하고 있고, B형 간염 바이러스를 무력화(neutralization)하는데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싱가포르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활성 백신 프로그램(the active vaccination program)으로 인해 급성 B형 간염과 원발성 간세포암(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결국, 이러한 감소는 전체 인구의 면역성을 증가시키는 것과 연관되어지는 것이다.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주요 항원 에피토프(epitope)는 23개의 아미노산 잔기에 걸친 하나의 고도의 보존 지역으로,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위치 124부터 147까지 위치한다. 군 특유 결정인자(group specific determinant) "a"로서 지정된 이러한 소지역은 B형 바이러스 게놈의 모든 아형(subtypes) 및 분리균(isolates)에서 발견된다. 그것의 항원 특성들은 백신-유도 무력화 항체 (vaccine-induced neutralizing antibody binds)에 결합하는 제안된 이중 루프 구조(double loop structure)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진다.
결손 역 전사효소(defective reverse transcriptase)의 교정(proof-reading)에 의한 바이러스의 복제 중에 B형 간염 바이러스 게놈내로 도입된 랜덤 돌연변이와는 대조적으로, 예방접종에 따라 유도된 돌연변이들은 주 표면 항원의 "a" 에피토프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들 돌연변이 바이러스들은, 그들이 중화 항체에 대하여 감소된 유연성(affinity)를 나타내어 독립적으로 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관심을 끈다. 이들 백신-회피 돌연변이주들(vaccine-escape mutants) 가운데, 주 표면 항원의 두번째 루프내 아미노산 잔기 145(글리신에서 아르기닌까지)에서의 돌연변이가 가장 중요한데, 그 이유는 그것이 안정되고, "a" 에피토프의 형태적(conformational) 변화를 가져오며, 북아메리카, 유럽, 일본 및 동남아시아에서는 널리 보고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에서는 그러한 돌연변이주들이 예방 접종 후 가장 빈번히 일어나는 변형체 (variant)들이다. 41개의 브레이크스루(breakthroughs) 가운데 12개의 감염성 변형체들이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에서 하나의 아르기닌 돌연변이를 가지는 것으로 동정되었다(identified). 12개의 변형체들 중 하나로부터의 수직전파(vertical transmission) 증거가 있고, 또한 이러한 변형체는 활성 간질환과 연관되어 있다. 이들 변형체들 중 일부가 랜덤 무증후성(random asymptomatic)의 성인 인구에서 현재 발견되고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복제가능한 백신-유도 돌연변이주의 발생과 그것의 표준시약을 사용하는 검출을 피하는 능력을 가졌다는 것은, 그것이 급성 B형 감염을 가져왔기 때문에, 이탈리아 및 싱가포르에서 중요한 관심사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은 효과적인 예방 백신 및 항바이러스제는 물론 특정 검출 시스템의 개발을 시급히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백신-유도 돌연변이 바이러스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결정이 이러한 목적들에 다가가기 위한 첫걸음으로서, 앞서 언급한 다양한 개발(developments)에 분명히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출원에서 다양한 참고문헌이 괄호안에 인용되는데, 그들 모두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를 더 완벽하게 설명하기 위한 문헌으로서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1은 하나의 별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번째에서 하나의 글리신-아르기닌 돌연변이를 갖는 11살짜리 싱가폴 남자 어린아이로부터 분리한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게놈에 대한 4개의 개방 판독 프레임(open reading frames)의 구조로서, 주 바이러스 단백질인; DNA 중합효소, 큰/중간/주 표면 항원, 프리코어(precore), 코어(core) 및 트랜스액티베이팅(transactivating) X가 각각 P, PreS 1/PreS2/S, PreC, C 및 X로 표시된다.
도 2는 동일한 B형 간염 바이러스 게놈의 클로닝과 서열 결정방법을 나타내고.
도 3은 야생형 바이러스를 갖는 싱가포르인 모체에서 태어난 11살 짜리 어린아이로부터 분리한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전체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그 어린아이는 표준 B형 간염 면역 글로블린(HBIG)과 HB 백신을 투여받았고, 1년후에 돌연변이 균주에 의해 감염되었다. 이 균주는 주 표면항원(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잔기 145(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에 하나의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고, 그 돌연변이는 587-589번의 핵산에서 발현된다.
도 4는 도 3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부터의 DNA 중합효소의 추론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2)이고,
도 5는 도 3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부터의 큰 표면 항원의 추론 아미노산 서열로(서열번호 3), 돌연변이된 아미노산 잔기(G 내지 R)의 번호는 319이고,
도 6은 도 3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부터의 코어 단백질의 추론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4)이고,
도 7은 도3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부터의 트랜스-액티베이팅 X 단백질의 추론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5)이고,
도 8은 바이러스 게놈의 2307 위치에 있고, DNA 중합효소의 코딩지역의 개시 사이트(initiation site)에 상응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서열번호 6)로서, 코딩 스트랜드 (지각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맷치되고(match),
도 9는 바이러스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250번째 위치에 상응하는 올리코뉴클레오티드 서열(서열번호 7)로서, 상보 스트랜드 (항-지각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맷치되고,
도 10은 바이러스 뉴클레오 티드 서열의 250번째 위치에 상응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서열번호 8)로서, 코딩 스트랜드 (지각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맷치되고,
도 11은 바이러스 게놈의 1623번째 위치에 있고 DNA 중합효소 코딩지역의 정지코돈에 상응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서열번호 9)로서 상보 스트랜드 (항-지각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맷치되고,
도 12는 바이러스 게놈의 1420번째 위치에 상응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서열번호 10)로서, 코딩 스트랜드 (지각 올리고뉴클레드)와 맷치되고,
도 13은 바이러스 게놈의 2340번째 위치에 상응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서열번호 11)로서, 상보 스트랜드(항-지각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와 맷치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출원서에서 특정 뉴클레오티드에 대한 인용은 핵산의 코딩 스트랜드에 나타나는 뉴클레오티드에 대한 것이다. 하기 표준 약어들은 특정 뉴클레오티드를 나타내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전반적으로 사용된다.
C=사이토신 A=아데노신
T=티미딘 G=구아노신
본 발명은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에 하나의 백신-유도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고, 도 4 내지 7에서 도시한 4개의 중복(overlapping) 바이러스 단백질들을 코딩하는 3215개의 뉴클레오티드(도 3)로 구성된 하나의 B형 간염 바이러스 게놈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4개의 주요 바이러스 단백질들의 아미노산 서열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들은 DNA 중합효소, 큰/중간/주 표면 항원, 코어 및 트랜스-액티베이팅 X e단백질을 포함한다. 이들 단백질들은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생산될 수 있고, 다중클론 또는 단일클론항체(polyclonal or monoclonal antibodies)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뉴클레오티드 또는 단백질 서열 또는 항체들을 이용하여,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의 백신-유도 돌연변이에 특히 적합한 하나의 B형 간염 바이러스 진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구성 바이러스 게놈의 기탁번호 P97121504, P97121505 및 P97121506로 기탁되고,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분리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펩티드의 145번 위치에서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B형 감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인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 하는 하나의 분리 핵산을 제공한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폴리펩티드가 서열번호 1이 지정된 핵산 서열의 뉴클레오티드 155 내지 835에 의해 엔코드되는데, 특히, "GGA"의 대신에 587-589 위치의 뉴클레오티드 "AG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핵산은 DNA 또는 RNA일 수 있고, 특별히 cDNA 또는 게놈 DNA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폴리펩티드는 서열지정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 의 아미노산 잔기 174 내지 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추가로, 본 발명은 하나의 펩티드를 엔코드하는 하나의 분리핵산을 제공하며, 그 펩티드는 서열 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527 내지 59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핵산 분자에 의해 엔코드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펩티드를 엔코드하는 하나의 분리핵산을 제공하며, 그 펩티드는 서열지정 서열 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298 내지 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폴리펩티드의 위치번호 145에 있는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이기 때문에,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하나의 분리 핵산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나의 RNA 전사의 프로모터(promoter)에 효과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는 하나의 벡터(vector)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펩티드를 엔코드하는 하나의 분리핵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벡터를 제공하며, 그 펩티드는 서열 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527 내지 59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핵산 분자에 의해 엔코드된다.
앞서 설명한 벡터들은 모두 바이러스 DN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적합한 숙주내에 상술한 벡터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생산하는 하나의 숙주 벡터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펩티드의 생산을 허용하는 적당한 조건하에서 상기숙주 벡터 시스템을 증식시키는(growing) 단계와 그렇게 생성된 폴리펩티드를 회수(recover)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리펩티드 또는 펩티드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a)하나의 적합한 숙주 세포내로 상기 벡터들을 주입하는 단계;(b) 수득된 숙주 세포를 폴리펩티드를 생산하기 위해 배양하는 단계;(c) (b)단계에서 생성된 폴리펩티드를 회수하는 단계; 그리고 (d)그와 같이 회수된 폴리펩티드를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제된(purified) 폴리펩티드 또는 펩티드를 수득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이고, 위치번호 145에 있는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정제 폴리펩티드를 제공한다. 폴리펩티드를 얻는 하나의 수단은 앞서 설명한 방법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정제된 펩티드를 제공하며, 그 펩티드는 서열 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298 내지 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이러한 펩티드를 수득하는 하나의 수단은 앞서 설명한 방법에 의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주 표면 항원을 엔코드하는 하나의 핵산내에 있는 뉴클레오티드들의 여하한 서열에 대하여 하이브리드하지 않고,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인 폴리펩티드를 엔코드하는 하나의 핵산내에 있는 뉴클레오티드들의 하나의 유일한(unique)서열과 특별히(specially) 하이브리드할 수 있는 적어도 15개의 뉴클레오티드들을 가지는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하는데, 그 폴리펩티드는 위치번호 145번에 있는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니라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특히,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서열 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527 내지 5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주 표면 항원이 아닌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니고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에 대한 항체들을 얻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방법은 (a)하나의 정제된 형태의 폴리펩티드를 얻는 단계; (b)정제된 폴리펩티드에 대한 항체들을 생성할 수 있는 하나의 유기체(organism)를 면역화(immunizing)하는 단계;(c)생성 항체들을 수집하는 단계; (d)하나의 복합체(complex)를 형성하기 위한 조건하에서 생성항 정제된 폴리펩티드를 조합(combine)하는 단계; 그리고 (e)폴리펩티드에 대한 항체들을 얻기 위해 어느 생성된 항체들이 정제 펩티드와 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폴리펩티드는 서열 번호 1의 핵산 서열의 뉴클레오티드 155 내지 835에 의해 엔코드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174 내지 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누구나 토끼나 쥐를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잘 알려진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298 내지 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하나의 펩티드에 대한 항체들을 얻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방법은, (a)하나의 정제된 형태로 펩티드를 얻는 단계; (b)정제 펩티드에 대한 항체들을 생성할 수 있는 하나의 유기체를 면역화하는 단계; (c)생성된 항체들을 수집하는 단계;(d) 생성된 항체들과 정제 펩티드를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조건하에서 조합하는 단계;그리고 (e) 펩티드에 대한 항체들을 수득하기 위해, 어느 생성된 항체들이 정제된 폴리펩티드와 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누구나 토끼나 쥐에서 앞서 설명한 잘 알려진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방법들로부터 얻은 항체, 특히 단일 클론항체들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298 내지 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하나의 펩티드를 검출할 수 있는 항체들과 함께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니라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검출할 수 있고,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주 표면 항원을 검출할 수 없는 항체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하나의 피검자가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로 감염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위치번호 145번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니라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하나의 분리 핵산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러한 판단방법은, (a)피검자로부터 하나의 적합한 핵산 샘플을 얻는 단계와; 그리고 (b)(a)단계로부터의 핵산 샘플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번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니라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하나의 핵산인지 아니면 그로부터의 유도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나의 판단수단은, (a)단계의 핵산 샘플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DNA의 전사(transcript)에 상응하는 mRN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b) 결정단계가 (ⅰ)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해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대한 mRNA의 결합을 허용하는 조건하에서 mRNA를 앞서 설명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접촉시키는 단계와; (ⅱ)그와 같이 형성된 복합체를 분리하는 단계와; 그리고 (ⅲ) mRNA가 폴리펩티드를 엔코드하는 하나의 핵산인지 아니면 그 유도체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분리 복합체에서 mRNA를 동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예는 (a)단계의 핵산 샘플이 B형 간염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표면 항원으로서, 폴리펩티드의 145번째 위치에서 아미노산이 하나의글리신이 아니라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DNA의 전사에 상응하는 mRN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b)단계의 결정단계가 (ⅰ)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얻기 위한 바람직한 조건하에서 mRNA 를 해독(translating)하는 단계와; 그리고 (ⅱ) 핵산 샘플이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드하는 하나의 핵산인지 아니면 그 유도체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174 내지 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드하는 하나의 분리 핵산의 아미노산 서열과 (i)단계의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다른 예는 (b) 결정단계가, (ⅰ)(a)단계의 샘플에 존재하는 핵산을 증폭하는 단계와; 그리고 (ⅱ)수득된 증폭 핵산내의 폴리펩티드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피검자가 간세포암 소질(a predisposi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을 갖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피검자가 간세포암에 대한 하나의 소질을 갖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적절한 조건에서 청구항 35항의 항체들에 결합하도록 샘플을 접촉시킴으로서 B형 바이러스 간염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인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인식하는(recognize) 하나의 항체의 용도를 제공하는데, 그러한 판단방법은 (a) 피검자로부터 하나의 적합한 핵산 샘플을 얻는 단계와;그리고 (b) (a)단계로부터의 핵산 샘플이 B형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니라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하나의 핵산인지 아니면 그 유도체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피검자가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B형 간염 바이러스 지정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인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검출할 수 있는 항체들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러한 판단방법은, (a) 피검자로부터 하나의 적합한 샘플을 얻는하는 단계와;(b)(a) 단계로부터 수득된 샘플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체로서, 145번째 위치에서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니고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하나의 핵산인지 아니면 그 유도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그 항체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298-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하나의 펩티드를 검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용도에 있어서, 분리 핵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항체는 하나의 검출가능한 표지(marker)를 붙일(labelled) 수 있다. 검출가능한 표지들의예로는 방사성동위원소(radioactive isotopes), 형광단(fluorophors) 및 효소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샘플들은 혈액, 조직 및 혈청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에 의한 감염을 치료할 수 있는 하나의 치료약제(medicament)를 제조하기 위한 하나의 화학적 화합물을 동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방법은 (a)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화학적 화합물과 폴리펩티드와 화학적 화합물 사이에서의 결합을 허용하는 조건하에서 접촉시키는 단계와;(b)폴리펩티드에 대한 화학적 화합물의 특정 결합을 검출하는 단계와; 그리고 (c)바이러스 균주에 의한 감염을 치료할 수 있는 하나의 화학적 화합물을 동정하기 위해 그 화학적 화합물이 폴리펩티드를 억제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에 의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하나의 치료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하나의 화학적 화합물을 동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방법은, (a)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폴리펩티드와 화학적 화합물의 결합을 허용하는 조건하에서 화학적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와;(b)폴리펩티드에 대한 화학적 화합물의 특정 결합을 검출하는 단계와; 그리고 (c)바이러스 균주에 의한 감염을 치료할 수 있는 하나의 화학적 화합물을 동정하기 위해 그 화학적 화합물이 폴리펩티드를 억제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 또는 그 유도체, 하나의 피검자에서 항체 생성을 자극 또는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폴리펩티드의 유효량 및 하나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제공한다.
실제의 유효량은 폴리펩티드의 크기, 폴리펩티드의 생물분해성(biodegradibility), 폴리펩티드의 생물활성(bioactivity) 및 폴리펩티드의 생체이용율(bioavailability)에 기초할 것이다. 만일 폴리펩티드가 빠르게 분해되지(degrade) 않으며, 생체이용될 수 있고 고활성이면 작은 양으로도 효과적일 것이다. 유효량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에 의해 잘 알려 있을 것이고, 또한 폴리펩티드의 형태, 폴리펩티드의 크기 및 폴리펩티드의 생물 활성에영향을 받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보조제를 사용함으로써 폴리펩티드의 필요량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생물학적 분석으로 생물 활성를 결정하는 경험적 활성 시험들을 루틴하게 수행함으로서 유효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알려져 있고, 0.01 내지 0.1M, 바람직하게는 0.05M 인산 완충액 또는 0.8% 식염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들은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용액, 현탁액 및 유화액일 수 있다. 비수용성 용액의 예들은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유 및 에틸 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유기 에스테르이다. 수용성 담체들은 식염수 및 완충 배지를 포함하는 물, 알콜/수용성 용액, 유화액, 현탁액이다. 비경구 부형제(vehicles)들은 염화나트륨 용액, 링거스 덱스트로오스, 덱스트로오스및 염화나트륨, 젖산 링거스(lactated Ringer's) 또는 불휘발성오일이다. 정맥부형제들은 링거스 덱스트로오스에 기초하는 것들과 같은 체액, 영양 보충액, 전해질 등을 포함한다. 방부제와 다른 첨가제들로는 예를 들어, 항균제, 산화방지제, 킬레이트제, 불활성 가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미노산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298 내지 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하나의 펩티드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조성물, 피검자내 항체 생성을 자극 또는 증진하는 펩티드의 유효량 및 하나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나아가,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에 의한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량으로 앞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동정된 화학적 화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성물 및 하나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간세포암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치료약제로서의 앞서 설명한 조성물들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로 감염된 하나의 피검자를 치료하기 위한 앞서 설명한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검자에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앞서 동정된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에 대한 하나의 피검자로부터의 조직들과 체액을 스크리닝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방법은, (a) 피검자로부터 적합한 채액 샘플을 얻는 단계와;(b) 균주용 샘플을 스크린하기 위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의 존재를 (a)단계의 샘플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방법의 실시예에서, 체액은 혈액, 혈청, 또는 혈액 이나 혈청의 하나의 핵산 샘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피검자가 간세포암 소질을 갖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러한 방법은, (a)피검자로부터 하나의 적합한 핵산 샘플을 얻는 단계와; 그리고 (b) (a)단계의 샘플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하나의 핵산인지 아니면 그 유도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방법에서, (a)단계의 핵산 샘플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mRN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b)단계의 결정단계는 (ⅰ)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해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mRNA의 결합을 허용하는 조건하에서 mRNA를 앞서 설명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접촉시키는 단계와; (ⅱ)그와 같이 형성된 복합체를 분리하는단계와; 그리고 (ⅲ) mRNA가 폴리펩티드를 엔코드하는 하나의 핵산인지 아니면 그 유도체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분리 복합체내의 mRNA를 동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방법에서,(a)단계의 핵산 샘플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숙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위치에서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니라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mRN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b)단계의 결정단계가 (ⅰ)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얻기 위한 바람직한 조건하에서 mRNA 를 해독하는 단계와; 그리고 (ⅱ) 핵산 샘플이 폴리펩티드를 엔코드하는 하나의 핵산인지 아니면 그 유도체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분리 핵산에 의해 엔코드된 아미노산 서열과 (ⅰ)단계의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방법에서, (b)단계의 결정단계는, (ⅰ)(a)단계의 샘플에 존재하는 핵산을 증폭하는 단계; 그리고 (ⅱ)수득된 증폭 핵산내의 폴리펩티드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피검자가 간세포암에 대한 하나의 소질을 갖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앞에서 설명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방법은, (a) 피검자로부터 하나의 적합한 샘플을 얻는 단계와; 그리고 (b) 하나의 피검자가 간세포함 소질을 갖는지는 판단하기 위해 적절한 조건하에서 앞서 설명한 항체들에 결합하도록 샘플들을 접촉시킴으로써 (a)단계로부터의 샘플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니라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하나의 핵산인지 아니면 그 유도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방법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방법들에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항체는 하나의 검출가능한 표지로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방법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방법들에서 검출가능한 표지는 방사성동위원소, 하나의 형광단 또는 하나의 효소이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방법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방법들에서 샘플은 혈액, 조직 또는 혈청이다.
본 발명은 나아가, 간세포암을 치료할 수 있는 하나의 치료약제(medicament)를 제조하기 위한 하나의 화학적 화합물을 동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방법은 (a)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폴리펩티드와 화학적 화합물 사이의 결합을 허용하는 조건하에서, 화학적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와;(b)폴리펩티드에 대한 화학적 화합물의 특정 결합을 검출하는 단계와; 그리고 (c)간세포암을 치료할 수 있는 하나의 화학적 화합물을 동정하기 위해 그 화학적 화합물이 폴리펩티드에 결합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간세포암을 예방할 수 있는 하나의 치료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하나의 화학적 화합물을 동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방법은 (a)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폴리펩티드와 화학적 화합물 사이에서의 결합을 허용하는 조건하에서, 화학적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와;(b)폴리펩티드에 대한 화학적 화합물의 특정 결합을 검출하는 단계와; 그리고 (c)간세포암을 예방할 수 있는 하나의 화학적 화합물을 동정하기 위해, 그 화학적 화합물이 폴리펩티드에 결합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간세포암을 치료하는데 유효량으로 앞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동정된 화학적 화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조성물 및 하나의 약학적으로 효과적인 담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세포암을 예방하는데 유효량으로 앞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동정된 화학적 화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성물 및 하나의 약학적으로 효과적인 담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나아가 앞서 설명한 조성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간세포암이 있는 하나의 피검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조성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나의 피검자에서의 간세포암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펩티드가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니라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B형 간염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표면 항원의 하나의 돌연변이 형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간염 백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백신 및 하나의 보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아래의 실험 세부사항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부분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기재된 것일 뿐, 이후에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기재된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되거나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험 세부사항
이하에서 설명될 방법에서,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의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B형 간염 바이러스가 분리되었고, 그것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판단되었다.
야생형 표면 항원을 가지고 있는 모체에서 태어난 11살짜리 어린아이로부터 혈청 샘플(20/815c)을 얻었다. 태어났을 때 어린아이는 표면 항원 음성으로 테스트되었고, B형 간염 면역 글로블린(HBIG)과 혈장-유도 백신의 조합 처리(combined treatment)를 하였다. 1년 후에 그는 표면 항원 양성으로 나타났고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에 하나의 아르기닌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에서 그 서열의 판단을 하기 전에 바이러스 DNA를 추출하였다.
아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에서 하나의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B형 간염 돌연변이 바이러스의 게놈은 동일한 아형(subtype)(adw)인 야생형 바이러스의 것들과 동일한 3215개의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된다. 야생형 바이러스와 비교할 때, 주 바이러스 단백질들에 대해 코딩하는 개방 판독 프레임들(ORFs)이 상응하는 위치들에서 발견된다. 뉴클레오티드 서열에서의 변화로 인해 본 발명의 B형 간염 바이러스내에 없는 제한 사이트에 상응하여, 돌연변이 B형 바이러스 게놈의 위치 1은 야생형 바이러스의 그것에 의해 정의된다.
보고된 돌연변이 바이러스 게놈의 상이한 ORFs의 구조가 도 1에 요약되어 있는데, 그들의 위치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DNA 중합효소 유전자가 2307위치에서 시작해서 1623 위치에서 끝나기 때문에, 2532개의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되고, 843개의 아미노산 잔기에 대해 코딩한다;
-큰 표면 항원 유전자는 2848위치에서 시작해서 835위치에서 끝나기 때문에, 1203개의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되고, 400개의 아미노산 잔기에 대해 코딩한다. 이러한 큰 표면 항원은 3205위치에서 시작하는 중간 표면 항원과 155 위치에서 시작하는 주 표면 항원을 겹치게 한다. 중간 표면 항원(281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 및 주 표면 항원(226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들이 큰 표면 항원과 동일한 위치에서 끝난다;
-코어 유전자는 1814 위치에서 시작해서 2452 위치에서 끝나기 때문에, 639개의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되고, 212개의 아미노산 잔기에 대해 코딩한다; 그리고
-트랜스-액티베이팅 X 유전자는 1374 위치에서 시작해서 1838 위치에서 끝나기 때문에, 465개의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되고 154개의 아미노산 잔기에 대해 코딩한다.
더욱이, 서열 분석은, 주 표면 항원의 122와 160의 위치에 있는 하나의 라이신 잔기(a lysine residue)에 의해 표시된 것과 같이, B형 간염 바이러스가 adw 아형에 속하는 것을 입증했다. 직접적인 시퀀싱에 의한 "a" 에피토프의 앞서의 분석과 일치하게, 백신-유도 돌연변이(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으로)가 주 표면 항원의아미노산 잔기 145에서 발견된다.
유전자은행 데이터 베이스에 기탁되어 있는 (기탁번호 D00329)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와 비교하면, B형 간염 바이러스 균주의 동일성(identity)은 뉴클레오티드 시퀀스에 대해 89.4%이다. 본 돌연변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상이한 바이러스 단백질들의 동일성은, 그것의 야생형 타입 상대(counterpart)들과 비교할 때, DNA 중합효소(PIR-Protein Identification Resources accession number): 단백질 동정원 기탁번호-P93460), 코어(PIR 기탁번호 C93460) 및 트랜스-액티베이팅 X(PIR 기탁번호 A31289)단백질들 각각에 대하여 88.3%, 87.7%, 93.4% 및 87%이다.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에서 하나의 백신-유도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본 발명의 B형 간염 바이러스 게놈은, 돌연변이 바이러스 게놈에 대해 특유한(specific to the mutant virus genome)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만드는(design) 물질(material)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은,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에 하나의 백신-유도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높은 효과의(highly specific) 진단약제를 위한 물질로사용될 수 있다.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에서 하나의 백신-유도 돌연변이를 가지는, 본 발명의 B형 간염 바이러스 게놈은 연관 코딩 지역을 가지고 있는 하나의 백터를 발현함으로써 본 발명의 단백질을 생성하는 재료로 사용될 수 있고, 표준 DNA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같은 하나의 숙주 세포에서 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백질들은,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에 하나의 백신-유도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B형 간염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는 고특효 진단시약용 재료로 유용하다.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동일한 단백질들이 다중 및 단일 클로날 항체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중클로날 및 단일클로날 항체들이,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에 하나의 백신-유도 돌연변이를 갖는, B형 간염 바이러스의 고 특효 항원을 검출하는 진단시약을 위한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단백질 또는 아미노산들이 부분적으로 대체된 단백질들을 이용하는 하나의 검출 시스템과 그러한 단백질들에 단일클로날 항체 또는 다중클로날 항체를 사용하는 하나의 검출 시스템은,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에 백신-유도 돌연변이를 갖는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고 특정 진단시약으로 유용하고, 수혈액 또는 혈액 유도체들로부터 그러한 바이러스를 검출 및 스크린하는데 효과적이다. 단백질들 또는 그러한 단백질들에 대한 항체들이 그러한 바이러스에대한 예방약 (prophylactic)및 치료 백신을 개발하기 위한 하나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DNA 서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뉴클레오티드들이 동일한 단백질을 생성하기 위해 다른 뉴클레오티드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보고된 단백질에 대해 코딩하는 그러한 뉴클레오티드 변화들과도 관련이 있다. 하나의 단백질 서열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은, 아미노산 서열의 하나의 유사체를 생성하기 위해 그들의 소수성 특성 또는 전하로 정의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단백질 서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들이 다른 유사체(analogous) 아미노산들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는 것도 마찬가지로 잘 알려져 있다. 아미노산 대체물, 결실(deletions) 또는 등배체(isosteres)(단백질 아미노산과 밀접한 구조적, 공간적으로 유사성을 가지는 수정-modified- 아미노산들),아미노산 부가 또는 등배체 부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단백질의 어떠한 유사체도 이용될 수 있고, 그것은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돌연변이 145(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에 하나의 백신-유도 돌연변이를 가지는 B형 간염 바이러스를 인식하는 항체들을 수득(resulting) 항체들이 유도해 내는(elicit) 것을 가정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그 구성 바이러스 게놈이 1997년 12월 15일자로 ECCC(European Collection of Cell Culture)에 기탁번호 P97121504호, P97121505호 및 P97121506호로 기탁되고,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strain)(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분리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번호 145번의 아미노산이 글리신이 아닌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a wild type)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하나의 B형 간염 바이러스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인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하나의 분리 핵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정제된 형태의 폴리펩티드를 생성하는 방법, 그리고 그 방법에 의해서 수득되며, 위치번호 145번의 아미노산이 글리신이 아닌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하나의 B형 간염 바이러스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인, 정제 폴리펩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히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돌연변이 바이러스 균주의 서열과만 하이브리드(hybridizing)할 수 있는 적어도 15개의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된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인 하나의 폴리펩티드에 대한 항체들을 수득하는 하나의 방법과 생성된 항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검자가 앞서 설명한 바이러스 균주로 감염되었는가를 판단하기 위한 앞서 설명한 폴리펩티드, 항체 또는 핵산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펩티드에 대한 항체의 생성을 자극 또는 증진할 수 있는 하나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돌연변이 바이러스 균주에 의한 감염을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는 화학적 화합물을 동정하는 하나의 방법 및 그러한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에 의한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량으로 상기 설명한 방법들에 의해 동정된 화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조성물 및 약학적으로 효과적인 담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바이러스 균주로 감염된 피검자를 치료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바이러스 균주에 의한 하나의 피검자의 감염을 예방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바이러스 균주에 대한 체액(bodily fluids)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에서 하나의 백신-유도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추론 아미노산 서열과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하기의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1. 바이러스 DNA의 분리
바이러스 DNA는,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의 모체로부터 태어난 11살짜리의 중국 아이의 혈청에서 얻은 혈청 샘플(20/815c)로부터 분리하였다. 태어났을 때 테스트 결과가 음성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아이에게 HBIG와 플라즈마-유도 백신의 결합처리를 한 결과, 1년 후에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체에 대해 양성을 나타냈다. "a" 에피토프의 서열분석은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에 하나의 백신-유도 돌연변이의 존재를 나타내었다.
사용된 분리 방법은 아래와 같다:
200㎕의 혈청 샘플에 400㎕의 세포용해(lysis) 완충액(트리스 클로라이드 10mM, pH7.4, EDTA 1mM및 소듐도데실 설페이트 2%) 및 25㎕의 단백질 분해효소 K(20㎎/㎖)를 첨가한 후 65℃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나서, 바이러스 DNA를 페놀/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에탄올로 침전시켰다.
2.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에 의한 바이러스 DNA의 증폭
adw 아형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따라 설계된 3세트의 중첩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이용하여 중합효소 연쇄 반응에 의해 바이러스 게놈을 증폭하였다. 다양한 제한효소 사이트가 PCR 생성물의 클로닝을 촉진하는데 포함되었다.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위치를 도2에 나타내었고,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
-플랙1(Flag 1)(ATAAGCTTATGCCCCTATCTTATCAACACTTCCGGA)(서열번호 6)은 DNA중합효소의 코딩지역 개시 사이트, 바이러스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2307번째 위치에서 시작하여 코딩 스트랜드에 매치한다(지각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하나의 추가적하인드III(Hind III) 제한효소 사이트는 밑줄친 부분이다:
-Xba3(GAGTCTAGACTCTGCGGTATTGTGA)(서열번호 7)은 내부 제한 효소 사이트 XbaI, 바이러스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250번째 위치에서 시작하여 상보 스트랜드에 매치한다(항-지각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하나의 추가적 XbaI 제한 효소 사이트는 밑줄친 부분이다:
-Xba5(GAGTCTAGACTCGTGGTGGACTTCT)(서열번호 8)은 내부 XbaI 사이트, Xba3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동일한 위치에서 시작하지만 코딩 스트랜드에서 매치한다(지각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하나의 추가적 XbaI 제한효소 사이트는 밑줄친 부분이:
-커먼3(common 3)(TGAGAATTCTCACGGTGGTCTCCATGCGACT)(서열번호 9)는 DNA 중합효소의 정지코돈, 바이러스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1623번째 위치에서 시작해서 보상 스트랜드에 매치한다(비-지각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하나의 추가적 EcoRI 제한 효소 사이트는 밑줄친 부분이다:
-Vll(TTTGTTTACGTCCGT)(서열번호 10)은 X 유전자의 개시 사이트 근처, 바이러스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1420번째 위치에서 시작해서 코딩 스트랜드에서 매치한다.(지각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하인드IIIADW3(CTAAGCTTAGTTTCCGGAAGTGTTGAT)(서열번호 11)은 DNA 중합효소의 개시 사이트에 가까운 곳인 2340 위치에서 시작해서 보상 스트랜드에서 매치한다(비-지각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하나의 추가적 하인드 III 제한효소 사이트는 밑줄친 부분이다.
하나의 주형(template)으로써 바이러스 DNA를 사용하여,Pfu중합효소(스트라타젠, 미합중국, Stratagene, U.S.A.)를 사용하여 35사이클 동안 하나의 DNA 열 사이클러(Perkin-Elmer.Cenfus 퍼킨-엘머, 세투스)에서 PCR을 행하는데, 각 사이클은 94°C의 변성온도에서 1.5분, 53°C의 냉각온도에서 2분 및 72°C의 연장온도에서 4분으로 구성된다. 하기 조합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사용되었다: 플랙1/Xba3, Xba5/커먼3과 Vll/하인드IIIADW3 및 각 1.2 Kb, 1.4Kb 와 1.1Kb의 증폭 생성물 생성
3. 증폭된 바이러스 DNA 단편들의 클로닝.
플랙1/Xba3(1.2kb)로부터 증폭된 바이러스 DNA 단편이 동일한 제한 효소들로 미리 처리된 하나의 블루스크립트(Bluescript) 플라스미드에서 클로닝 하기 전에 하이드III 및 XbaI로 제한 효소 분해에 처리하였다. XbaI와 EcoRI에 의해 미처리된 하나의 블루 스크립트 플라스미드에서의 클로닝 전에 XbaI와 EoRI를 갖는 유사한 분해를 Xba5/커먼3(1.4kb)으로부터의 PCR 생성물에 적용하였다. 한편, Vll과 하인드IIIADW3(1.1kb)로 증폭된 DNA 단편이 제로 평평말단 플라스미드(ZeroBlunt Plasmid)내로 직접 클론되고 평평말단-말단 DNA 단편들을 클로닝 하기 위해 인비트로젠(InvitroGen U.S.A.)에 의해 발육시켰다.
4.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판단.
본 발명의 백신-유도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시쿼나아제 DNA 시퀀싱 키트(the Sequenase DNA Sequencing Kit)(미합중국 바이오케미칼 코포레이션)를 이용하여 연쇄-정지 억제제에 의해 플라스미드 DNA 주형에서 결정하였다. 시퀀싱 과정을 촉진하기 위해,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따른 다양한 내부뉴클레오티드들이 설계되었고(V1에서 V13까지), 그들의 위치들을 도 2에서 나타내었다.
앞서 설명한 분석으로부터,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에 하나의 백신-유도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전체-길이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판단되었다.
주 바이러스 단백질들을 위한 추론 아미노산 서열들을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내었다: B형 간염 바이러스 DNA 중합효소(도 4), 큰 표면 항원(도 5), 코어 단백질 (도 6) 및 트랜스-액티베이팅 X 단백질(도 7).
유전자 은행 데이터 베이스에서 입수할 수 있는 다른 B형 간염 바이러스 서열을 갖는 본 발명의 바이러스 서열의 정렬(alignment)은 특정 서열차(specific sequence differences)를 가리키게 되며, 그것은 DNA 탐침(probes)를 설계하는데 차례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을 이용하는 하나의 검출시스템이 개발될 수 있다. 그러한 PCR 반응들은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 (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에 하나의 백신-유도 돌연변이를 갖는 B형 간염 바이러스에 특효가 있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들의 조합들을 포함함으로써, 이들 돌연변이 바이러스 DNA들의 표과 높은 특정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간단하게, 본 발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이러스 DNA가 추출될 수 있다. PCR 반응들은 앞서 설명한 유사한 사이클링 조건을 이용하여 특정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1%의 아가로스 겔에 PCR 생성물들을 용해한 후 결과가 분석될 수 있다.
알려진 면역학적 절차들에 의하면, 도 4 내지 7에 도시한 것들과 같이 단백질 서열들로부터 에피토프들을 판단할 수 있다.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에서 백신-유도 돌연변이를 갖는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해 특유한 이들 에피토프들의 판단이 유전공학적 방법들을 이용하는 펩티드의 합성, 단백질합성, 항체 생성, 특정 진단 시약의 개발, 예방 및 치료 백신의 개발, 및 항바이러스제를 가능하게 한다.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에 하나의 백신-유도 돌연변이를 갖는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검출시스템이 폴리비닐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microtiter plate)와 샌드위치 법을 이용하여 개발될 수 있다. 간략하게, 5㎍/㎖ 농도의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유도 돌연변이)펩티드 50㎕가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의 각 웰(well)에 분배된 후 강화(consolidation)를 위해 실온에서 밤새 배양될 수 있다. 유사한 절차가 대장균과 같은 숙주 세포들로 부터 정제된 "s"단백질에 적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 평판 웰들을 0.05% 트윈 20(Tween 20)을 포함하는 생리 식염수 용액으로 5회 수세할 수 있다. 오버코팅(Overcoating)을 위해 송아지 혈청 30%(v/v)와 트윈 20(CS 완충액)0.05%를 포함하는 염화나트륨 완충액 100㎕를 각 웰에 분배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배양한 후 폐기할 수 있다.
혈청내 백신-유도 돌연변이 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에 대해 특유한 항체를 특정을 판단하기 위해 1차 반응을 수행하여 각 마이크로 평판 웰에 50㎕ CS 완충액과 10㎕의 혈청 샘플을 분산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하나의 마이크로 평판 진동기에서 배양할 수 있다. 1차 반응을 마친후, 마이크로 평판 웰을 앞서 설명한 것과같이 5회 수세한다.
2차 반응에서, 50㎕의 송아지 혈청에 용해된 1ng의 서양고추냉이 퍼옥시다아제 표시 항-인체 IgG 마우스 단일클로날 항체를 각 마이크로 평판 웰에 분산한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하나의 마이크로 평판 진동기에서 배양할 수 있다. 배양이 완료되자마자, 배지들을 동일한 방법으로 5회 수세할 수 있다. 각 웰에 5㎕의 오르소-페닐렌디아민 용액(O-phenylendiamine solution)(발색제) 및 과산화수소(기질)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간 배양한 후 추가적 발색을 중지시키고 490㎚에서 흡광도(absorbance)를 판독하기 위해 각 웰에 4M의 황산용액 50㎕를 분산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백신-유도 돌연변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검출, 특히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에 하나의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바이러스들을 검출할 수 있게 한다. 지금까지, 그러한 돌연변이 B형 간염 바이러스들은 통상적인 항체-이용법(antibody-based methods)을 사용한 검출을 벗어났으며, 본 발명은 감염의 초기 단계에서 효과높고, 민감하게 검출할 수 있는 검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이들 특징들은 질병의 초기단계에 있는 환자들을 정확하게 진단하게 하고, 헌혈자 혈액의 하나의 스크리닝 테스트를 통해, 백신-유도 돌연변이 B형 간염 바이러스로 오염된 혈액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단백질들과 그들의 항체들은 면역학적 약제 뿐만 아니라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백신들의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돌연변이 바이러스들의 구조적 유전자에 대한 서열정보는 관련 단백질 항원과 항체의 검출 시스템을 개발하는데도움을 줄 것이다.
항원-항체 복합체들은 공지 방법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특정 모노클로날 및 다중클로날 항체들은 돌연변이 백신-유도 B형 간염 바이러스들에 대해 특유한 펩티드 또는 단백질로 마우스 및 토끼와 같은 동물들을 예방접종(immunige)함으로써 만들(raise) 수 있다. 억제 항 바이러스 약제들이, 세포배양으로 또는 생체내(in vivo)에서 이들 단백질들과 분자들을 목표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잔기 145(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에 하나의 백신-유도 돌연변이를 갖는 하나의 분리 바이러스 게놈의 연구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이들 백신-유도 돌연변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효과 높은 검출을 가능하게 하고, 그러한 검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단백질 다중클로날 및 단일클로날 항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하나의 포유류 발현 시스템에서 발현되는 때, 본 발명에서 보고된 돌연변이 HBV의 주 표면 항원(HBsAg)은 하나의 쿠마시-블루(Coomassie-blue) 착색 SDS-PAGE 겔에서 22kDa 단백질로서 검출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를 가지고 있는데, 이에 반해 야생형 HBsAg는 25kDa 단백질로 검출된다. HBsAg의 글리코실화 반응(glycosylation) 사이트만이 돌연변이에 가까운 위치(위치 146의 아스파라긴)에 위치하기 때문에 위치 145의 글리신에서 아르기닌에 이르는 현저한 변화가 돌연변이 HBsAg내 글리코실화 반응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같다. 그 다음에는, 이러한 불완전한 글리코실화 과정은 발명자들의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것처럼, 보다 적은 단백질을 수득하게 한다. 하나의 단백질의 항원성(antigenicity)이그 글리코실화 반응의 범위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보고된 돌연변이 HBsAg가 야생형 HBsAg보가 더 항원성을 갖는다고 예상한다. 이러한 예상은 호프와 우즈(Hopp and Woods)에 의해 개발된 방법을 이용하는 구조적 분석에 의해 더 잘 뒷받침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혈청학적(serological) 연구는 본 발명에서 보고된 돌연변이 HBV를 가지는 담체들과 야생형 HBV 담체들 사이의 주요한 차이점을 보여주는데, 그러한 차이점들 중 하나는 하나의125I 하이브리드화 분석(아보트 연구소, 미합중국:Abbott Laboratories, U.S.A.)에 의해 측정된 것과 같이 혈청 바이러스 DNA 하중이 ㎖당 5pg로 매우 낮다는 것이다. 아주 대조적으로, 야생형 HBV DNA 하중은 ㎖당 100pg를 초과하여 매우 높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보고된 돌연변이 HBA에서 항-B형 간염 표면 항원(항-HBs)레벨이 ㎖당 10Iu로 검출될 수 있는 반면에 야생형 HBA 담체내에서 그러한 항체들은 검출될 수 없을 정도로 남아있었다.
서열 결정 과정에서, 본 발명자들은 야생형 HBV 서열에 따라 설계된 몇 개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각각 17개 염기보다 길다)들이 본 발명에서 보고된 돌연변이 바이러스 DNA과 하이브리드 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2개의 그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이 게놈내 2711 내지 2729 및 2902 내지 2920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야생형과 돌연변이 HBV 게놈들 사이의 구조적 차이로 인한 그 결과임을 알아내었다.
참고문헌
1. 오온,씨-제이., "싱가포르에서의 B형 간염 바이러스: 역학, B형 간염의 예방 및 제어-모니터링 및 담체들의 운영" 제이.로얄 칼리지 피직스. 런던(1997)(Oon,C-J.,"Viral hepatitis B in Singapore: epidemiology, prevention and control-monitoring the hepatitis B programme and management of carries"J.Royal College Physics. London(1997), in press)
2. 오온, 씨-제이., "HBV 돌연변이 변주 관련 이슈" 제이. 로얄 칼리지 피스. 런던(1997)("Issues associated with HBV mutant strains"J.Royal College Physic. London(1997), in press)
3. 오온, 씨-제이 등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HBsAg)돌연변이들-그들의 의의" 애널스 아카드.메드. 싱가포르(1997)(Oon,C-J., et al. "Hepatitis B surface antigen(HBsAg) mutants- their significance"Annals Acad. Med. Singapore(1997), in press)
4.오온, 씨-제이., "B형 간염 'a'변형체들의 분자 역학 및 돌연변이주들:면역 인구에서의 의의" 자마(1996) 12: 페이지 5-6 (Oon,C-J., "Molecular epidemiology of hepatitis B 'a' variants and mutants: significance in immune population"JAMA(1996) 12: 5-6.)
5. 고, 케이-티, "싱가포르에서의 B형 간염 면역화" 란셋(1996) 348:1385-1386(Goh,K-T, "Hepatitis B immunization in Singapore"Lancet(1996) 348:1385-1386)
6. 오온, 씨-제이., 등 "어린이에 있어 B형 간염 표면 항원 돌연변이들의 자연사" 란셋(1995) 348: 1524-1525. (Oon,C-J., et al., "Natural history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 mutants in children"Lancet(1996) 348: 1524-1525)
7. 해리슨, 티. 제이., "B형 간염 바이러스에서의 유전자 변이" 외르. 제이. 가스트로엔테르 & 헤파톨.(1996) 8:페이지.306-311(Harrison, T.J., "Genetic variation in hepatitis B virus"Eur. J.Gastroenter.& Hepatol.(1996) 8:pp. 306-311)
8.오온, 씨-제이., 등., "싱가포르에서의 B 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 변형체들의 분자 역학" 백신(1995) 13:699-702 (Oon,C-J., et al., "Molecular epidemiology of hepatitis B virus vaccine variants in Singapore"Vaccine(1995) 13: 699-702)
9.카르맨, 더블유., 등., "바이러스 유전자 변이:치료예로서의 B형 간염 바이러스" 란셋 (1993) 341 : 349-353. (Carman, W., et al., "Viral genetic variation: hepatitis B virus as a clinical example"Lancet(1993) 341: 349-353)
10.해리슨, 티. 제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변형체 "복스 상 (1992) 63: 161-167 (Harrison, T.J., "Variants of hepatitis B virus "Vox Sang(1992) 63: 161-167)
11.해리슨, 티. 제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백신-유도 회피 돌연변이의 독립 발현", J.Hepatol.(1991) 13:S105-107.(Harrison, T.J., "Independentemergence of a vaccine-induced escape mutant of hepatitis B virus".J. Hepatol.(1001) 13: S105-107.
12.카르맨, 더블유., 등.,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백신 유도 회피 돌연변이" 란셋 (1990) 336 :325-329 (Carman, W., et al., "Vaccine-induced escape mutant of hepatitis B virus"Lancet(1990) 336:325-329.

Claims (74)

  1. 그 구성 바이러스 게놈이 1997.12.15.자로 ECCC(European Collection of Cell Culture)에 기탁번호 P97121504, P97121505 및 P121506로 기탁된,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분리균주.
  2.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분리 핵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디가 서열번호 1로 지정된 핵산 서열의 뉴클레오티드 155 내지 835에 의해 엔코드되는, 분리 핵산.
  4. 제3항에 있어서, 위치 587-589에 있는 뉴클레오티드 "AG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리 핵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이 DNA인, 분리 핵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이 RNA인, 분리핵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이 cDNA인, 분리핵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이 게놈 DNA인, 분리핵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가 서열번호 3으로 지정된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174 내지 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분리핵산.
  10.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527 내지 59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핵산분자에 의해 엔코드된 하나의 펩티드를 엔코드하는, 분리 핵산.
  11. 아미노산 서열 지정 서열번호 3으로 지정된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298 내지 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하나의 펩티드를 엔코드하는, 분리 핵산.
  12.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드하는 하나의 분리 핵산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효과적으로(operatively) RNA 전사(RNA transcription)의 하나의 프로모터에 연결된, 벡터.
  13.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527 내지 59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핵산 분자에 의해 엔코드되는 하나의 펩티드를 엔코딩하는 하나의 분리핵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벡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가 바이러스 DN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벡터.
  15. 하나의 적합한 숙주에 제12항의 벡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생성하기 위한, 숙주 벡터 시스템.
  16. 하나의 적합한 숙주내에 제13항의 벡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펩티드를 생성하기 위한, 숙주 벡터 시스템.
  17. 폴리펩티드의 생성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조건하에서 제15항의 숙주 벡터 시스템을 증식시키는 단계와 그렇게 생성된 폴리펩티드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생성하는 방법.
  18. 폴리펩티드의 생성을 허용하기 적합한 조건하에서 제16항의 숙주 벡터 시스템을 증식시키는 단계와 그렇게 생성된 폴리펩티드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펩티드를 생성하는 방법.
  19. (a) 하나의 적합한 숙주 세포내로 제12항의 벡터를 도입하는 단계;
    (b)폴리펩티드를 생성하기 위해 수득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c)(b)단계에서 생성된 폴리펩티드를 회수하는 단계; 그리고
    (d)그와 같이 회수된 폴리펩티드를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제된 형태의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얻는 방법.
  20. (a) 하나의 적합한 숙주 세포내로 제13항의 벡터를 도입하는 단계;
    (b)폴리펩티드를 생성하기 위해 수득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c)(b)단계에서 생성된 폴리펩티드를 회수하는 단계; 그리고
    (d)그와 같이 회수된 폴리펩티드를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제된 형태의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얻는 방법.
  21.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정제 폴리펩티드.
  22. 제19항의 방법으로부터 수득된 정제 폴리펩티드.
  23. 서열번호 3으로 지정된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298 내지 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정제 폴리펩티드.
  24. 제20항의 방법으로수터 수득된, 정제 펩티드.
  25.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주 표면 항원을 엔코드하는 하나의 핵산내의 뉴클레오티드들의 여하한 서열에 대하여 하이브리드화하지 않고;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니라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드하는 하나의 핵산내의 뉴클레오티드들의 하나의 단일 서열과 특유하게 하이브리드화(hybridizing)할 수 있는, 적어도 15개의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6.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527 내지 59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5항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7.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에 대한 항체들을 얻는 방법으로서,
    (a)하나의 정제 폴리펩티드를 얻는 단계;
    (b)정제 폴리펩티드에 대응하는 항체들을 생성할 수 있는 하나의 유기체를 면역화하는 단계;
    (c)생성된 항체들을 수집하는 단계;
    (d)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조건하에서 정제 폴리펩티드와 생성된 항체들을 결합하는 단계; 그리고
    (e) 폴리펩티드에 대한 항체들을 얻기 위해 어느 생성 항체들이 정제 폴리펩티드와 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가 서열번호 1로 지정된 핵산 서열의 뉴클레오티드 155 내지 835에 의해 엔코드되는,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가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3으로 지정된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174 내지 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체가 하나의 토끼 또는 하나의 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
  31. (a)하나의 정제 펩티드를 얻는 단계;
    (b) 정제 펩티드에 대한 항체들을 생성할 수 있는 하나의 유기체를 면역화하는 단계;
    (c)생성된 항체들을 수집하는 단계;
    (d)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조건하에서 상기 정제 폴리펩티드와 생성된 항체들을 결하는 단계; 그리고
    (e) 폴리펩티드에 대한 항체들을 얻기 위해 어느 생성 항체들이 정제 폴리펩티드와 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열번호 3으로 지정된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298 내지 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하나의 펩티드에 대한 항체들을 얻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체가 하나의 토끼 또는 하나의 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
  33. 제27항 또는 제31항에서 수득된, 항체들.
  34. 제33항의 항체들의 모노클로날 항체들.
  35.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검출할 수 있고,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주 표면 항원을 검출할 수 없는, 항체들.
  36. 서열번호 3으로 지정된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298 내지 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하나의 펩티드를 검출할 수 있는 항체들.
  37.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로 피검자가 감염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로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하나의 핵산의 용도로서, 상기 판단방법이,
    (a)피검자로부터 하나의 적합 핵산 샘플을 얻는 단계; 그리고
    (b)(a)단계로부터의 핵산 샘플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니라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하나의 핵산인지 아니면 그 유도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도.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핵산 샘플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번째 위치에서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주 표면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드하는 DNA의 전사에 상응하는 mRN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b)단계의 판단단계가,
    (ⅰ)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대한 mRNA의 결합을 허용하는 조건하에서 mRNA를 제 25항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접촉시키는 단계;
    (ⅱ)그와 같이 형성된 복합체를 분리하는 단계; 그리고
    (ⅲ) 상기 mRNA가 폴리펩티드를 엔코드하는 하나의 핵산인지 아니면 그 유도체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분리 복합체내의 mRNA를 동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도.
  39. 제37항에 있어서, (a)단계의 핵산 샘플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니라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드하는 DNA의 전사에 상응하는 mRN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b)단계의 판단단계가
    (ⅰ)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얻기 위한 바람직한 조건하에서 상기 mRNA 를 해독하는 단계; 그리고
    (ⅱ)핵산 샘플이 폴리펩티드를 엔코드하는 하나의 핵산인지 아니면 그 유도체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i)단계의 아미노산 서열을 제 9항의 분리핵산에 의해 엔코드된 아미노산 잔기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도.
  40. 제37항에 있어서, (b)단계의 판단단계가;
    (ⅰ)(a)단계의 샘플에 존재하는 핵산을 증폭하는 단계; 그리고
    (ⅱ)수득된 증폭 핵산에서 폴리펩티드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도.
  41. 피검자가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균주에 감염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인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검출할 수 있는 항체들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판단방법이;
    (a) 피검자로부터 하나의 적합한 샘플을 얻는 단계와;
    (b) 피검자가 감염되었는가를 결정하기에 적합한 조건하에서 제 35항 또는 제36항의 항체들에 샘플을 접촉시킴으로써 (a) 단계에서 얻은 샘플이, B형 간염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체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니고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드하는 하나의 핵산인지 아니면 그 유도체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도.
  42. 제 37항, 제 38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핵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항체가 하나의 검출가능한 표지(marker)로 표시되는, 용도.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가능한 표지가 하나의 방사성동위원소, 하나의 형광단 또는 하나의 효소인, 용도.
  44.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이 혈액, 조직 또는 혈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도.
  45.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에 의한 감염을 치료할 수 있는 하나의 치료약제(medicament)를 제조하기 위한 하나의 화학적 화합물을 동정하는 방법으로서,
    (a)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폴리펩티드와 화학적 화합물 사이에서의 결합을 허용하는 조건하에서 화학적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b)상기 화학적 화합물의 폴리펩티드에 대한 특정 결합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c)바이러스 균주에 의한 감염을 치료할 수 있는 하나의 화학적 화합물을 동정하기 위해, 상기 화학적 화합물이 상기 폴리펩티드에 결합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
  46.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에 의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하나의 치료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하나의 화학적 화합물을 동정하는 방법으로서,
    (a)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번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폴리펩티드와 화학적 화합물 사이에서의 결합을 허용하는 조건하에서 화학적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b)상기 폴리펩티드에 대한 상기 화학적 화합물의 특정 결합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c)바이러스 균주에 의한 감염을 치료할 수 있는 하나의 화학적 화합물을 동정하기 위해 상기 화학적 화합물이 상기 폴리펩티드와 결합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
  47.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 또는 그 유도체의, 피검자에서 항체 생성을 자극 또는 증진시키는 유효량 및 하나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성물.
  48. 서열번호 3으로 지정된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298 내지 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하나의 펩티드 또는 그 유도체의, 피검자에서 항체 생성을 자극 또는 증진시키는 유효량 및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성물.
  49.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에 의한 감염을 치료하는데 유효량으로 청구항 제45항의 방법에 의해 동정된 화학적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효과적인 담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성물.
  50.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는데 유효량으로 청구항 제46항의 방법에 의해 동정된 화학적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효과적인 담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성물.
  51.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에 감염된 피검자를 치료하기 위한 청구항 제47항 또는 제48항의 조성물의 용도.
  52.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에 의해 감염된 피검자를 치료하기 위한 청구항 제45항의 조성물의 용도.
  53.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에 의한 피검자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청구항 제47항 또는 제48항의 조성물의 용도.
  54.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에 의한 피검자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청구항 제46항의 조성물의 용도.
  55. (a) 피검자로부터 적합한 체액 샘플을 얻는 단계와;
    (b) 균주용 샘플을 스크린하기 위해 (a)단계의 샘플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으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의 존재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S'-145 싱가포르 균주(글리신에서 아르기닌으로)로 명명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에 대한 하나의 피검자의 체액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이 혈액, 혈청 또는 혈액 또는 혈청의 하나의 핵산 샘플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
  57. (a)피검자로부터 하나의 적합한 핵산 샘플을 얻는 단계; 그리고
    (b)피검자가 간세포암 소질을 갖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35항의 항체들에 결합하기에 적합한 조건하에서 상기 샘플들을 접촉시킴으로써, (a)단계의 핵산 샘플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표면 항원으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드하는 하나의 핵산인지 아니면 그 유도체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에 의해, 하나의 피검자가 간세포암 소질을 갖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인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인식하는 하나의 항원의 용도.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핵산 샘플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바이러스의 주 표면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mRN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b)단계의 판단단계가
    (ⅰ)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해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mRNA의 결합을 허용하는 조건하에서 제25항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mRNA를 접촉시키는 단계;
    (ⅱ)그와 같이 형성된 복합체를 분리하는 단계; 그리고
    (ⅲ) 상기 mRNA가 폴리펩티드를 엔코드하는 하나의 핵산인지 아니면 그 유도체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분리 복합체내 mRNA를 동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핵산 샘플이 B형 간염바이러스의 하나의 숙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번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니라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mRN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b)단계의 판단단계가
    (ⅰ)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얻기 위해 적합한 조건하에서 mRNA를 해독하는 단계; 그리고
    (ⅱ)상기 핵산 샘플이 상기 폴리펩티드를 엔코드하는 하나의 핵산인지 아니면 그 유도체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제9항의 분리 핵산에 의해 엔코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
  60.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가
    (ⅰ)(a)단계의 샘플에 존재하는 핵산을 증폭하는 단계; 그리고
    (ⅱ)수득된 증폭 핵산에서 폴리펩티드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
  61. (a) 피검자로부터 하나의 적합한 핵산 샘플을 채집하는 단계;그리고
    (b)피검자가 간세포암에 대한 하나의 소질을 갖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36항의 항체들에 결합하기에 적절한 조건하에서 샘플을 접촉시킴으로써, (a)단계에서의 핵산 샘플이 B형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항원으로서고,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니라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하나의 핵산인지 아니면 그 유도체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에 의해, 피검자가 간세포암 소질을 갖는지를 판단하는 B형 바이러스 간염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인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인식하는 항체의 용도
  62. 제58항,제59항 또는 제61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항체가 하나의 검출가능한 표지로 표시되는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가능한 표지가 하나의 방사성동위원소, 형광단 또는 하나의 효소인 방법.
  64.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이 혈액, 조직 또는 혈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
  65. (a)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폴리펩티드와 화학적 화합물 사이에서의 결합을 허용하는 조건하에서 화학적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b)상기 폴리펩티드에 대한 상기 화학적 화합물의 특정 결합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c)간세포암을 치료할 수 있는 하나의 화학적 화합물을 동정하기 위해 상기 화학적 화합물이 상기 폴리펩티드에 결합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간세포암을 치료할 수 있는 하나의 치료약제(medicament)를 제조하기 위한 하나의 화학적 화합물을 동정하는 방법.
  66. (a)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균주의 하나의 돌연변이 주 표면 항원으로서,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하나의 야생형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하나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그러한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화학적 화합물 사이에서의 결합을 허용하는 조건하에서 화학적 화합물과 폴리펩티드와 접촉시키는 단계;
    (b)폴리펩티드에 대한 화학적 화합물의 특정 결합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c)간세포암을 예방할 수 있는 하나의 화학적 화합물을 동정하기 위해 화학적 화합물이 폴리펩티드에 결합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간세포암을 예방할 수 있는 하나의 치료약제(medicament)를 제조하기 위한 하나의 화학적 화합물을 동정하는 방법.
  67. 간세포암을 치료하는데 유효량으로 제65항의 방법에 의해 동정된 화학적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약학적으로 효과적인 담체.
  68. 간세포암 예방 유효량의, 제66항의 방법에 의해 동정된, 화학적 화합물 및 하나의 약학적으로 효과적인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69. 간세포암을 치료하는 하나의 약제로서의 제 47항 또는 제 48항의 조성물의 용도.
  70. 간세포암을 치료하는 하나의 약제로서의 제 67항의 조성물의 용도.
  71. 간세포암을 예방하는 하나의 약제로서의 제 47항 또는 제 48항의 조성물의 용도.
  72. 간세포암을 예방하는 하나의 약제로서의 제 67항의 조성물의 용도.
  73. 위치번호 145의 아미노산이 하나의 글리신이 아닌 하나의 아르기닌인 점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주 표면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폴리펩티드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표면 항원의 하나의 돌연변이 형태를 포함하는, 간염 백신.
  74. 제73항에 있어서, 하나의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백신.
KR10-2000-7014443A 1998-06-19 1998-06-19 백신-유도 b형 간염 바이러스 균주 및 그 용도 KR100498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SG1998/000045 WO1999066047A1 (en) 1998-06-19 1998-06-19 A vaccine-induced hepatitis b viral strain and use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128A true KR20010106128A (ko) 2001-11-29
KR100498117B1 KR100498117B1 (ko) 2005-07-01

Family

ID=2042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443A KR100498117B1 (ko) 1998-06-19 1998-06-19 백신-유도 b형 간염 바이러스 균주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7038035B1 (ko)
EP (1) EP1086232A1 (ko)
JP (1) JP2002518013A (ko)
KR (1) KR100498117B1 (ko)
CN (1) CN1255540C (ko)
AR (1) AR020092A1 (ko)
AU (1) AU756858B2 (ko)
BG (1) BG105065A (ko)
BR (1) BR9815912A (ko)
CA (1) CA2332173A1 (ko)
HU (1) HUP0103258A3 (ko)
IL (1) IL140363A0 (ko)
IS (1) IS5777A (ko)
MX (1) MXPA00012724A (ko)
MY (1) MY135991A (ko)
NO (1) NO20006457L (ko)
NZ (1) NZ508892A (ko)
PL (1) PL191312B1 (ko)
TR (1) TR200003778T2 (ko)
UA (1) UA73475C2 (ko)
WO (1) WO1999066047A1 (ko)
YU (1) YU805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P967999A0 (en) 1999-04-09 1999-05-06 North Western Health Care Network Viral variants
AUPQ810900A0 (en) 2000-06-09 2000-07-06 Austin and Repatriation Medical Centre, The Viral variants and methods of using same
CN100355777C (zh) * 2003-02-10 2007-12-19 文洪模 乙型肝炎病毒pre-S突变蛋白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20060057670A1 (en) * 2004-09-10 2006-03-16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Genomic markers of hepatitis B virus associated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s
WO2006033368A1 (ja) * 2004-09-22 2006-03-30 Advanced Life Science Institute, Inc. B型肝炎ウイルスs抗原の検出法
WO2006132598A1 (en) * 2005-06-07 2006-12-14 Temasek Life Sciences Laboratory Limited Porcine circovirus type 2 vaccines
CN101948933B (zh) * 2010-07-22 2013-04-03 中国人民解放军第三〇二医院 检测石蜡包埋肝组织乙型肝炎病毒cccDNA的试剂盒
CN101948932B (zh) * 2010-07-22 2013-04-03 中国人民解放军第三〇二医院 滚环扩增加跨缺口荧光定量PCR检测乙型肝炎病毒cccDNA试剂盒
RU2603729C2 (ru) * 2015-04-24 2016-11-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компания "Комбиотех" Рекомбинантная вакцина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вирусного гепатита в (варианты)
RU2586513C1 (ru) * 2015-04-24 2016-06-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компания "Комбиотех" РЕКОМБИНАНТНЫЙ ШТАММ ДРОЖЖЕЙ Hansenula polymorpha - ПРОДУЦЕНТ МУТАНТНОГО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АНТИГЕНА ВИРУСА ГЕПАТИТА В (ВАРИАНТЫ)
CN117843811A (zh) 2019-09-30 2024-04-09 吉利德科学公司 Hbv疫苗和治疗hbv的方法
CN113201051B (zh) * 2021-04-27 2022-08-02 复旦大学 一种乙肝病毒表面蛋白突变体及其在抗乙肝病毒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07024D0 (en) * 1990-03-29 1990-05-30 Imperial College Novel vaccine
US5955089A (en) * 1993-04-20 1999-09-21 Uab Research Foundation Strain selection of pneumococcal surface proteins
GB9401987D0 (en) * 1994-02-02 1994-03-30 Imperial College Modified nucleic acid
US5830759A (en) * 1994-08-18 1998-11-03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Unique associated Kaposi's sarcoma virus sequences and uses thereof
WO1998011916A1 (en) 1996-09-18 1998-03-26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Viral defective interfering particles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20092A1 (es) 2002-04-10
CN1304453A (zh) 2001-07-18
HUP0103258A2 (hu) 2001-12-28
IL140363A0 (en) 2002-02-10
JP2002518013A (ja) 2002-06-25
NZ508892A (en) 2004-02-27
PL191312B1 (pl) 2006-04-28
WO1999066047A1 (en) 1999-12-23
MY135991A (en) 2008-07-31
CA2332173A1 (en) 1999-12-23
YU80500A (sh) 2004-05-12
NO20006457L (no) 2001-02-16
MXPA00012724A (es) 2003-02-10
KR100498117B1 (ko) 2005-07-01
AU756858B2 (en) 2003-01-23
BG105065A (en) 2001-09-28
UA73475C2 (en) 2005-08-15
PL345203A1 (en) 2001-12-03
HUP0103258A3 (en) 2003-10-28
US20070026422A1 (en) 2007-02-01
TR200003778T2 (tr) 2001-06-21
NO20006457D0 (no) 2000-12-18
BR9815912A (pt) 2002-02-05
US7038035B1 (en) 2006-05-02
EP1086232A1 (en) 2001-03-28
AU7795098A (en) 2000-01-05
CN1255540C (zh) 2006-05-10
IS5777A (is) 2000-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26422A1 (en) Vaccine-induced hepatitis B viral strain and uses thereof
JP2823551B2 (ja) 肝炎δのワクチン
JP3049018B2 (ja) B型肝炎ワクチン
KR100370341B1 (ko) B형간염백신
KR0178399B1 (ko) 장을 통해 전염되는 비a비b형 간염 바이러스 병원체 및 그것의 특유한 에피토프
JP4641695B2 (ja) 新規なhev抗原性ペプチド及び方法
US7105165B2 (en) Mutant human hepatitis B viral strain and uses thereof
CA2529997A1 (en) Novel surface protein (hbsag) variant of hepatitis b virus
KR100498118B1 (ko) 하나의 돌연변이 인체 b형 간염 바이러스 균주 및 그용도
Yang et al. Expression and immunoactivity of chimeric particulate antigens of receptor binding site-core antigen of hepatitis B virus
CA2529986A1 (en) Novel surface protein (hbsag) variant of hepatitis b virus
NZ528350A (en) A vaccine-induced hepatitis B viral strain and uses thereof
RU2270863C2 (ru) Мутантный штамм вируса гепатита в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NZ528739A (en) A mutant human hepatitis B viral strain and uses thereof
EP0554624A1 (en) Oligonucleotides, oligopeptides and determination system of HCV antibody sub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