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3912A -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하기 위한 기능키를구비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 및 그의 한영 자동 변환방법 - Google Patents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하기 위한 기능키를구비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 및 그의 한영 자동 변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3912A
KR20010103912A KR1020000025187A KR20000025187A KR20010103912A KR 20010103912 A KR20010103912 A KR 20010103912A KR 1020000025187 A KR1020000025187 A KR 1020000025187A KR 20000025187 A KR20000025187 A KR 20000025187A KR 20010103912 A KR20010103912 A KR 20010103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korean
input
characters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일석
정용우
Original Assignee
임일석
정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일석, 정용우 filed Critical 임일석
Priority to KR1020000025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3912A/ko
Publication of KR20010103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91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03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기입력된 문자들을 한/영으로 자동 변환하는 기능키를 구비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 및 그의 한영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키보드 장치는 신규한 한/영 자동 변환키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제 1 및 제 2 데이터 버퍼를 구비한다.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한/영 자동 변환키의 입력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키보드 장치는 호스트와 상호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한다. 따라서 키보드 장치는 잘못 기입력된 한글 또는 영문들을 컴퓨터 본체로 전송되면, 한/영 자동 변환키를 입력하여 기입력된 한글 또는 영문들을 영문 또는 한글들로 변환하여 컴퓨터 본체로 전송한다.

Description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하기 위한 기능키를 구비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 및 그의 한영 자동 변환 방법{COMPUYER KEYBOARD APPARATUS INCLUDING FUNCTION KEY FOR CONVERTING PRE-INPUTTED CHARACTERS INTO KOREAN-ENGLISH AND CONVER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키보드 장치로부터 컴퓨터 본체로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시키는 기능키를 구비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 및 그의 한영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글과 영문을 혼용하는 종래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한글과 영문의 입력을 위해서는 한/영 전환키를 사용하여 한글 입력 모드 또는 영문 입력 모드로 전환해야 한다. 응용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한영 전환키의 사용 빈도에는 차이가 있겠지만 사용자로서는 한/영 전환키를 한글, 영문을 입력할 때마다 사용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하는 횟수가 빈번한 요즘 예컨대, 웹브로우저 프로그램, 검색 프로그램 등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서 인터넷 도메인 주소 또는 검색어 입력을 위하여 한글과 영문을 번갈아가며 입력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키보드 장치의 한글 입력 모드 또는 영문 입력 모드를 판별하고, 이에 적합하도록 한/영 전환키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서로 상반된 입력 모드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경우, 이를 입력한 후에 잘못 입력되었음을 발견하므로서, 기입력된 내용을 수정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예를 들어, 웹브로우저 프로그램 상에서 인터넷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거나 검색어를 입력할 경우, 사용자는 현재 키보드 장치가 한글 입력 모드인지 영문 입력 모드인지를 판별하지 않고 인터넷 도메인 주소 또는 검색어를 입력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즉, 도메인 주소가 'www.name.co.kr'인 경우 키보드 장치가 한글 입력 모드이면, ''과 같이 입력되어 웹브로우저 화면에 나타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된 문자열들을 삭제하고, 한글 또는 영문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원하는 문자들을 재입력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입력된 문자들을 한글 또는 영문으로 자동 변환시키는 기능키를 구비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의 기입력된 문자들을 한글 또는 영문으로 자동 변환시키는 방법을 구현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영 자동 변환키를 구비하는 키보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키보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로부터 기입력된 문자들의 선택된 영역의 정보를 받아서 한/영 변환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입력된 문자들의 한/영 변환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입력된 문자들의 한/영 변환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6a 내지 도 6b는 웹부로우저 상에서 한/영 자동 변환키에 의한 기입력된 한글을 영문으로 자동 변환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키보드 장치 102 :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
104 : 제 1 데이터 버퍼 106 :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
108 : 제 2 데이터 버퍼 110 : 한/영 자동 변환키
120 : USB 커넥터 130 : 키매트릭스
132 : 한/영 변환키 200 : 컴퓨터 본체
202 : 응용 프로그램 204 : 임시 버퍼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컴퓨터 본체와 연결해서 사용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키들을 구비하는 키매트릭스와; 상기 키매트릭스로부터 상기 컴퓨터 본체로 기입력된 한글/영문들을 영문/한글들로 변환시키기 위한 기능키 및; 상기 기능키가 입력되면, 상기 기입력된 한글/영문들을 상기 영문/한글들로 변환하여 상기 컴퓨터 본체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매트릭스로부터 한글 또는 영문에 대응하는 키들에 따른 스캔 코드들을 발생하는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기능키와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상기 기능키의 입력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 상기 기능키가 입력되면, 상기 기입력된 한글 또는 영문들을 영문 또는 한글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상기 변환된 영문 또는 한글들의 상기 스캔 코드들을 상기 컴퓨터 본체로 전송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기입력된 한글 또는 영문들을 영문 또는 한글들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반도체 집적 회로로 구비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변환된 영문 또는 한글들의 상기 스캔 코드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욱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스캔 코드들을 저장하는 제 1 데이터 버퍼와;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상기 기능키가 입력되면, 상기 변환을 위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제 2 데이터 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 버퍼는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서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에 저장된 정보들에 대응하여 상기 스캔 코드들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본체로 출력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는 상기 키매트릭스의 백스페이스 키에 의해서 삭제된 문자 정보 또는 상기 키매트릭스에 의해서 입력된 정보들을 상기 제 1 데이터 버퍼로부터 제공받아서 저장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복수개의 키들을 갖는 키매트릭스와, 컴퓨터 본체와 연결해서 상기 컴퓨터 본체로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하기 위한 기능키와, 상기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키매트릿스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들의 아스키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키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장치의 상기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매트릭스로부터 입력되는 키들을 받아들이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키들에 대응하는 아스키 코드들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기능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결과, 상기 기능키가 입력되면,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 상기 기입력된 문자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기 기입력된 문자들의 정보를 아스키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아스키 코드들과 상기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변환된 아스키 코드들이 일치하는 부분이 있는지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는 부분들이 있으면, 상기 일치하는 부분들의 아스키 코드들이 한글/영문이면 영문/한글의 아스키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일치하는 부분들에 대한 상기 변환된 아스키 코드들을 상기 컴퓨터 본체로 전송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아들이는 단계는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 상기 기입력된 문자들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속적으로 선택된 문자들의 정보를 수신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복수개의 키들을 갖는 키매트릭스와, 컴퓨터 본체와 연결해서 상기 컴퓨터 본체로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하기 위한 기능키와, 상기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키매트릿스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들의 아스키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키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장치의 상기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매트릭스로부터 입력된 키들을 받아들이는 단계와; 상기 키매트릭스의 키들 중에 백스페이스(backspace) 키가 입력되면, 상기 기입력된 문자들 중에 상기 백스페이스 키에 의해서 삭제된 문자들의 정보를 받아들이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를 아스키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기능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결과, 상기 기능키가 입력되면, 상기 변환된 아스키 코드가 한글/영문이면, 상기 변환된 아스키 코드를 역순으로 추출하여 영문/한글로 변환하는 단계를포함하여 상기 변환된 영문 또는 한글을 상기 컴퓨터 본체로 전송한다.
(작용)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한/영 자동 변환키를 입력하여 잘못 기입력된 한글 또는 영문들을 자동으로 영문 또는 한글로 변환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키보드 장치(100)는 일측에 신규한 한/영 자동 변환키(11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 장치(100)는 복수 개의 키들을 구비하는 키매트릭스(130)와 컴퓨터 본체(호스트 : 미도시됨)와 상호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커넥터(120)를 포함한다.
상기 키매트릭스(130)는 한/영 변환키(13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한/영 변환키(132)는 상기 호스트로 한글 또는 영문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모드를 변환시킨다. 이는 한글 또는 영문을 입력하기 전에 사용하여 상기 키매트릭스(130)로부터 상기 호스트로 한글 또는 영문자를 입력한다.
상기 한/영 자동 변환키(110)는 상기 키매트릭스(130)에 의해서 상기 호스트로 기입력된 한글 또는 영문을 영문 또는 한글로 자동 변환하기 위한 기능키이다. 예컨대, 웹브로우저 프로그램 상에서 인터넷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거나 검색어를 입력할 경우, 사용자는 현재 키보드 장치가 한글 입력 모드 또는 영문 입력 모드인지를 판별하지 않고 도메인 주소 또는 검색어를 입력한다. 이 때, 입력 모드가 서로 상반되는 경우가 발생되면, 상기 한/영 자동 변환키(110)를 입력함으로서 기입력된 한글 또는 영문이 영문 또는 한글로 자동 변환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인터넷 도메인 주소가 'www.name.co.kr'인 경우 키보드 장치가 한글 입력 모드이면, ''과 같이 입력된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한/영 자동 변환키(110)를 입력하게 되면, 잘못 입력된 ''은 자동으로 영문 'www.name.co.kr'로 변환되어 웹브로우저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20)는 예를 들어, USB 인터페이스용 커넥터 또는 PS/2 타입의 커넥터로 구비되며, 상기 호스트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양방향 커넥터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키보드 장치(100)는 신규한 제 1,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2, 106)와 제 1, 제 2 데이터 버퍼(104, 106) 및 상기 한/영 자동 변환키(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20)와 상기 키매트릭스(130)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120)를 통하여 컴퓨터 본체(200)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메인 제어부로서, 상기 키매트릭스(130)로부터 한글 또는 영문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키들에 따른 스캔 코드들을 발생한다.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입력된 스캔 코드를 임시로 저장하고, 이를 상기 컴퓨터 본체(200)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버퍼(104)를 기입,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 본체(200)와 상호 데이터 전송을 하도록 상기 USB 커넥터(120)를 USB 표준 규격에 의거하여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와 상호 연결되어서 상기 한/영 자동 변환키(110)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의 제반 동작에 대응하여 처리한다.
상기 제 1 데이터 버퍼(104)는 상기 키매트릭스(130)로부터 입력된 키들에 의한 스캔 코드들을 임시로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의 제어를 받아서 상기 컴퓨터 본체(200)로 전송한다.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상기 한/영 자동 변환키(110)와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108) 및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에 연결되며, 보조 제어부로 동작한다. 즉, 상기 한/영 자동 변환키(110)의 입력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따른 정보들을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내부에 롬(ROM) 타입의 메모리에 한영 자동 변환 프로그램(107)을 구비한다. 상기 한영 자동 변환 프로그램(107)에 대해서는 다음의 도 3 내지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분리되어 구비하였지만, 하나의 반도체 칩(IC chip)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8)에 의해서 상기 제 1 데이터 버퍼(104)에 임시로 저장된 스캔 코드들을 상기 컴퓨터 본체(200)로 전송될 때, 동시에 상기 전송되는 스캔 코드들을 받아서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108)에 저장시킨다.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108)는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의 제어를받아서 상기 한영 자동 변환 프로그램(107)에 의해 변환된 문자들에 대응하는 스캔 코드들을 저장한다. 또는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108)는 백스페이스(backspace) 키(134)에 의해서 삭제된 문자들의 스캔 코드들을 저장한다.
상기 컴퓨터 본체(200)는 도 3의 실시예에 적합한 경우이며, 상기 한영 자동 변환키(110)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의 호출에 응답해서 특정 영역의 데이터를 상기 키보드 장치(100)로 전송하는 응용 프로그램(202)을 구비한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202)은 윈도우형 운영체계 프로그램에 적합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상기 컴퓨터 본체(20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202)에 의해서 상기 선택된 영역의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버퍼(204)를 구비한다. 상기 임시 버퍼(204)는 클립 보드, 스크립 버퍼 또는 상기 특정 영역을 마우스 등으로 선택하거나 하나의 라인이 전체 선택될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저장 영역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매트릭스(130)로부터 입력되는 키들에 대응하는 스캔 코드들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104, 108)에 저장된다. 이어서 상기 한/영 자동 변환키(110)가 입력되면,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이를 감지하고, 그 정보를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로 전달한다.
이어서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사용자가 상기 키매트릭스(130)에 구비된 백스페이스 키(134)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컴퓨터 본체(200)로부터 기입력된 문자들을 호출하여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 전달한다.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108)에 저장된 스캔 코드와 상기 백스페이스 키(134)에 의해서 삭제된 문자들 또는 상기 컴퓨터 본체(200)로부터 제공되는 기입력된 문자들의 스캔 코드가 한글 또는 영문인지를 판별, 비교하여 일치하는 스캔 코드들만을 자동으로 영문 또는 한글로 변환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상기 변환된 스캔 코드들을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로 전달하고, 전달된 스캔 코드들은 상기 제 1 데이터 버퍼(104)에 저장되었다가 상기 컴퓨터 본체(200)로 전송된다. 그 결과, 기입력된 한글 또는 영문들은 자동으로 영문 또는 한글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된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로 기입력된 한글/영문들을 영문/한글들로 자동 변환하기 위한 한/영 자동 변환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수순들을 도시한 흐름도들이다. 이 수순들은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에 저장된 상기 한/영 자동 변환 프로그램(107)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 1 또는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2, 106)에 의해서 처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단계 S140에서 상기 키매트릭스(130)로부터 입력되는 키들을 받아들인다. 단계 S142에서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상기 입력된 키들에 대응하는 스캔 코드(아스키 코드)를 상기 제 1 데이터 버퍼(104)에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컴퓨터 본체(200)로 출력될 때,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키들에 대응하는 아스키 코드를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108)에 저장하도록 한다. 이어서 단계 S144에서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상기 한/영 자동 변환키(110)가 입력되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한/영 자동 변환키(110)가 입력되면, 단계 S146으로 진행하여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로 하여금 상기 컴퓨터 본체(200)의 임시 퍼버(204)(예를 들어, 응용 프로그램의 키 입력에 따른 임시 파일, 또는 마우스 등에 의한 선택된 영역의 문자들을 복사 등)에 저장된 입력된 키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커넥터(120)를 통하여 수신하도록 한다. 단계 S148에서는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아스키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 전달한다. 이어서 단계 S150에서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108)에 저장된 아스키 코드들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변환된 아스키 코드들이 일치하는 부분이 있는지를 비교, 분석한다. 그리고 단계 S152에서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는 부분의 문자들이 있으면, 이 수순은 단계 S154로 진행하여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일치하는 코드들이 한글/영문이면 영문/한글의 아스키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영문 또는 한글에 대응하는 아스키 코드를 상기 제 1 데이터 버퍼(104)에 저장한다. 이어서 단계 S156에서는 상기 커넥터(120)를 통하여 상기 컴퓨터 본체(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잘못 입력된 한글 또는 영문 문자들에 대응하는 영문 또는 한글 문자들로 올바르게 입력된다.
예를 들어, 웹브로우저 상에서 ''를 입력했을 경우, 웹브로우저 프로그램이 'http://'를 자동으로 입력하여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키보드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것과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108)에 저장된 것이다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교한 결과 서로 다른 부분은 그대로 컴퓨터 본체(200)로 전송한다.
또한 그동안 상기 키보드 장치(100)에서 입력했던 문자들 중 제 2 데이터 버퍼(108)에 저장된 내용이 '우리나라원숭이'이고, 현재의 웹브로우저 화면에 실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들이 'http://www.name.co.kr'이라면, 웹브로우저 화면에는 'http://'로 나타나게 된다. 이 때, 상기 한/영 자동 변환키(110)가 입력되면,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 'http://'부분은 상기 키보드 장치(100)에 의해서 변환되지 않고 ''만 'www.name.co.kr'으로 변환되어 컴퓨터 본체(200)로 전송된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단계 S160에서 상기 키매트릭스(130)로부터 입력된 키들을 받아들인다. 이어서 단계 S162에서 백스페이스(backspace) 키(134)가 입력되면, 단계 S164에서 백스페이스 키(134)에 의해서 삭제된 문자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S166에서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아스키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 전달한다. 단계 S168에서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상기 변환된 아스키 코드들을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108)에 저장한다. 이어서 단계 S170에서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상기 한/영 자동 변환 키(110)가 입력되는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상기 한/영 자동 변환키(110)가 입력되면, 이 수순은 단계 S172로 진행하여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108)에 저장된 아스키 코드가 한글/영문 코드이면,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108)에 저장된 코드들을 역순으로 추출하여 영문/한글 코드로 변환하고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로 변환된 아스키 코드를 전달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버퍼(104)에 저장한다. 이어서 단계 S174에서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변환된 영문 또는 한글 코드를 상기 컴퓨터 본체(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잘못 입력된 한글 또는 영문 문자들에 대응하는 영문 또는 한글 문자들로 올바르게 입력된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180에서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108)를 초기화한다. 즉,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108)에 저장된 내용들을 모두 삭제한다. 이어서 단계 S182에서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상기 키매트릭스(130)로부터 입력된 키들을 받아들인다. 단계 S184에서 입력된 키들의 아스키 코드를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이를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108)에 저장한다. 이어서 단계 S186에서 상기 한/영 자동 변환키(110)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상기 한/영 자동 변환키(110)가 입력되면, 이 수순은 단계 S188으로 진행하여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108)에 저장된 코드가 한글/영문 코드이면, 영문/한클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로 전달한다. 이어서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변환된 코드를 상기 제 1 데이터 버퍼(104)에 저장한다. 단계 S190에서는 상기 변환된 영문 또는 한글 코드를 상기컴퓨터 본체(200)로 전송한다. 그 결과, 도 3 또는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잘못 기입력된 한글 또는 영문 문자들에 대응하는 영문 또는 한글 문자들로 올바르게 입력된다. 이 경우의 실시예는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108)의 용량 내에서 자동으로 한영 변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웹브로우저 화면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웹브로우저(210) 화면 상의 인터넷 도메인 입력창(212)은 키보드 장치(100)가 한글 입력 모드일 때, 영문 'www.name.co.kr'을 한글 ''로 입력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한/영 자동 변환키(110)를 입력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한글을 영문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새로운 작업을 위한 윈도우의 이동에 따른 키 입력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이 제외되었지만, 마우스 등의 동작에 대응하여 이를 판별하고, 윈도우 이동에 따른 데이터 버퍼를 초기화하거나 컴퓨터 본체로부터 선택된 영역의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한글 또는 영문으로 변환하는 것은 이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이면 그 구현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음은 당연하다 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글 및 영문을 번갈아 입력하는 경우, 한/영 자동 변환키를 이용하여 잘못 기입력된 문자들을 쉽게 한영 변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컴퓨터 사용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인터넷 사용에 적합한 키보드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인터넷 검색에 있어서 신속하고 편리한 환경을 제공한다.

Claims (10)

  1. 컴퓨터 본체와 연결해서 사용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키들을 구비하는 키매트릭스와;
    상기 키매트릭스로부터 상기 컴퓨터 본체로 기입력된 한글/영문들을 영문/한글들로 변환시키기 위한 기능키 및;
    상기 기능키가 입력되면, 상기 기입력된 한글/영문들을 상기 영문/한글들로 변환하여 상기 컴퓨터 본체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매트릭스로부터 한글 또는 영문에 대응하는 키들에 따른 스캔 코드들을 발생하는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기능키와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상기 기능키의 입력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 상기 기능키가 입력되면, 상기 기입력된 한글 또는 영문들을 영문 또는 한글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상기 변환된 영문 또는 한글들의 상기 스캔 코드들을 상기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기입력된 한글 또는 영문들을 영문 또는 한글들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반도체 집적 회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변환된 영문 또는 한글들의 상기 스캔 코드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스캔 코드들을 저장하는 제 1 데이터 버퍼와;
    상기 제 2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상기 기능키가 입력되면, 상기 변환을 위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제 2 데이터 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 버퍼는 상기 제 1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서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에 저장된 정보들에 대응하여 상기 스캔 코드들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본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버퍼는 상기 키매트릭스의 백스페이스 키에 의해서 삭제된 문자 정보 또는 상기 키매트릭스에 의해서 입력된 정보들을 상기 제 1 데이터 버퍼로부터 제공받아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장치.
  8. 복수개의 키들을 갖는 키매트릭스와, 컴퓨터 본체와 연결해서 상기 컴퓨터 본체로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하기 위한 기능키와, 상기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키매트릿스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들의 아스키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키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장치의 상기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매트릭스로부터 입력되는 키들을 받아들이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키들에 대응하는 아스키 코드들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기능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결과, 상기 기능키가 입력되면,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 상기 기입력된 문자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기 기입력된 문자들의 정보를 아스키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아스키 코드들과 상기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변환된 아스키 코드들이 일치하는 부분이 있는지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는 부분들이 있으면, 상기 일치하는 부분들의 아스키 코드들이 한글/영문이면 영문/한글의 아스키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일치하는 부분들에 대한 상기 변환된 아스키 코드들을 상기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장치의 한영 자동 변환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받아들이는 단계는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 상기 기입력된 문자들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속적으로 선택된 문자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장치의 한영 자동 변환 방법.
  10. 복수개의 키들을 갖는 키매트릭스와, 컴퓨터 본체와 연결해서 상기 컴퓨터 본체로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하기 위한 기능키와, 상기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키매트릿스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들의 아스키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키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장치의 상기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매트릭스로부터 입력된 키들을 받아들이는 단계와;
    상기 키매트릭스의 키들 중에 백스페이스(backspace) 키가 입력되면, 상기 기입력된 문자들 중에 상기 백스페이스 키에 의해서 삭제된 문자들의 정보를 받아들이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를 아스키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기능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결과, 상기 기능키가 입력되면, 상기 변환된 아스키 코드가 한글/영문이면, 상기 변환된 아스키 코드를 역순으로 추출하여 영문/한글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변환된 영문 또는 한글을 상기 컴퓨터 본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장치의 한영 자동 변환 방법.
KR1020000025187A 2000-05-12 2000-05-12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하기 위한 기능키를구비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 및 그의 한영 자동 변환방법 KR20010103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187A KR20010103912A (ko) 2000-05-12 2000-05-12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하기 위한 기능키를구비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 및 그의 한영 자동 변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187A KR20010103912A (ko) 2000-05-12 2000-05-12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하기 위한 기능키를구비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 및 그의 한영 자동 변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912A true KR20010103912A (ko) 2001-11-24

Family

ID=45811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187A KR20010103912A (ko) 2000-05-12 2000-05-12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하기 위한 기능키를구비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 및 그의 한영 자동 변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39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26A (ko) * 2000-09-07 2000-12-05 정재철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문자열 변환 방법
KR100760388B1 (ko) * 2006-02-13 2007-09-19 (주) 소리포스 키보드와 이를 이용한 컴퓨터 입력 시스템 및 방법
US7562007B2 (en) 2003-06-16 2009-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language input mod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language input modes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26A (ko) * 2000-09-07 2000-12-05 정재철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문자열 변환 방법
US7562007B2 (en) 2003-06-16 2009-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language input mod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language input modes using the same
KR100760388B1 (ko) * 2006-02-13 2007-09-19 (주) 소리포스 키보드와 이를 이용한 컴퓨터 입력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1166B1 (en) Image scanner an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using said image scanner
KR100936204B1 (ko) 카피 앤드 페이스트 처리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US8306826B2 (en) Bidirectional network language support
EP2779613B1 (en)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document processing method, and document processing computer program product
US7251667B2 (en) Unicode input method editor
KR20010103912A (ko) 기입력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한영 변환하기 위한 기능키를구비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 및 그의 한영 자동 변환방법
JPH10124505A (ja) 文字入力装置
KR100808879B1 (ko) 컴퓨터 및 그 컴퓨터의 문자입력 제어방법
KR100446552B1 (ko) 기본자를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JPH05257586A (ja) 入力装置
JPH05274262A (ja) 入力装置
JPH0644216A (ja) 入力装置
JPS62271089A (ja) 文字情報入力装置
KR20020012089A (ko) 한/영 오입력 자동 변환기능을 갖는 키입력 제어장치 및방법
JPH09114824A (ja) 文書処理装置
JPH05134796A (ja) 入力装置
JP2001290813A (ja) かな漢字変換方法及び装置及び記録媒体
JP2018152006A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
JPH01103775A (ja) 電子辞書
JPH04274509A (ja) 入力装置
JPH06290171A (ja) データ処理装置
JPH1139426A (ja) 文字入力装置
JP2001216298A (ja) 文字処理装置
JPH1097526A (ja) 文字列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0122806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