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3052A - 유리 클로스 및 프린트 배선판 - Google Patents

유리 클로스 및 프린트 배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3052A
KR20010103052A KR1020017012661A KR20017012661A KR20010103052A KR 20010103052 A KR20010103052 A KR 20010103052A KR 1020017012661 A KR1020017012661 A KR 1020017012661A KR 20017012661 A KR20017012661 A KR 20017012661A KR 20010103052 A KR20010103052 A KR 20010103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glass cloth
warp
weft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5217B1 (ko
Inventor
기무라야스유끼
곤도요시노리
후지무라요시노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슈웨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슈웨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슈웨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2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67Glas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82Fabrics for printed circuit boar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characterised by weave density or surface we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H05K1/0353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 H05K1/0366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reinforced, e.g. by fibres,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02Inorganic fibres based on oxides or oxide ceramics, e.g. silicates
    • D10B2101/06Gla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75Fibers and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9Woven fibrous reinforcement or texti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1Printed circ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6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6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3089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strand material is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6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3089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strand material is specified
    • Y10T442/3114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trand material is other than circ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와 위사로 구성되는 유리 클로스에 있어서,
(1) 경사와 위사 중 어느 한쪽이 실질적으로 극간이 없이 배열되고, 이 실질적으로 극간이 없이 배열된 실에 있어서, 수학식 1-a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클로스, 및
[수학식 1-a]
C ×A / (25 ×L ×N) ≥1.0 …(1-a)
(2) 경사와 위사로 구성되는 유리 클로스에 있어서, 경사와 위사의 양쪽이 실질적으로 극간이 없이 배열되고, 또한, 경사 및 위사에 있어서, 수학식 1-b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클로스.
[수학식 1-b]
C ×A / (25 ×L ×N) ≥0.75 …(1-b)
여기서, A 는 실의 사속단면적 (㎛), L 은 실의 단일섬유의 직경 (㎛), N 은 실을 구성하는 단일섬유의 개수 (개), C 는 실의 직물밀도 (개/25 ㎜) 이다.
본 발명의 유리 클로스는 프린트 배선판의 기재로서 유용하며, 본 발명의 유리 클로스를 기재로서 사용한 프린트 배선판은 레이저광 가공에 의한 소경 구멍가공을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 클로스 및 프린트 배선판{GLASS CLOTH AND PRINTED WIRING BOARD}
프린트 배선판, 특히 다층 프린트 배선판은 도체층을 형성한 절연기재를 복수장, 다층상으로 적층하고, 접합함으로써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각 절연기재에 형성한 도전층은 그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임의의 도전층과의 사이에 스루홀, 이너 비어홀, 블라인드 비어홀이라고 불리는 도통구멍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최근의 전자기기의 고성능화, 소형화에 수반하여 프린트 배선판에는 고밀도화의 요구에 대응하는 것이 필요해졌으며, 이 배선밀도의 향상을 위해 비어홀의 소경화가 불가결해졌다.
그러나, 종래부터 도통구멍의 가공방법으로 사용되어 온 드릴가공방법에 의한 소경화에서는 가공면 내벽의 거칠기, 가공구멍의 위치어긋남, 후공정인 도금공정에서의 가공구멍 벽멱으로부터 도금액이 스며드는 것에 인한 절연불량 등의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까지 절연기재를 구성하는 유리 클로스 및 매트릭스 수지에 다양한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예컨대 유리 클로스의 표면처리제에 의한 매트릭스 수지와의 접착성의 개선, 유리 클로스를 개섬가공하여 유리 단일섬유의 분포의 균일화, 매트릭스 수지의 Tg 를 올리는 것에 따른 내열성의 개선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더욱 고밀도화가 진행되어 0.2 ㎜ø이하의 구멍가공까지 필요해졌다. 그러나, 소경 드릴은 절손 등으로 인한 소모가 심하고, 드릴교환에 다대한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지 않는다는 결점이 발생한다. 또한, 프린트 배선판의 소형화로 인해 절연기재의 두께가 0.1 ㎜ 이하까지 얇아져, 드릴가공으로는 구멍의 깊이를 0.1 ㎜ 이하의 정밀도로 제어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이 같은 얇은 절연기재의 블라인드 비어홀 형성은 곤란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 0.1 ㎜ 이하의 절연층과 도체를 차례로 적층하여 다층화하는 빌드업 배선판이라고 불리는 고밀도 다층 프린트 배선판이 개발되어, 그 비어형성방법에 레이저빔에 의한 구멍가공이 제안되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빌드업 배선판은 일반적으로 절연층에 유리 클로스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치수안정성, 내열성 등이 대폭적으로 저하되고, 또한 빌드업층을 형성하기 위해 종래와는 다른 공정이 필요하여, 대폭적인 비용상승을 초래한다. 따라서, 절연층에 0.1 ㎜ 이하의 유리 클로스를 포함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비어형성에 레이저 구멍가공방법이 적용가능한 유리 클로스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자·전기분야에서 사용되는 프린트 배선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경(小徑) 구멍가공을 실시하는 고밀도 프린트 배선판 및 이 배선판에 사용되는 유리 클로스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유리 클로스를 구성하는 유리 실의 관계, 및 경사 또는 위사의 사속단면의 폭 및 두께를 설명하는 모식적인 도면이다. 도 1 에서 A 는 사속단면폭이고, B 는 실의 두께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트 배선판의 절연기재는 유기재료인 매트릭스 수지와 무기재료인 유리 클로스로 이루어지는 복합재료이고, 유기재료와 무기재료가 불균일하게존재하는 재료이다. 따라서, 레이저 구멍가공에서는 각각의 재료의 가공상태가 달라서 구멍 내벽의 거칠기를 유발하여, 도금에 의한 도체화의 신뢰성을 손상시키는 결점이 발생한다. 요컨대, 유기재료부와 무기재료부에서는 레이저광의 흡수율, 분해온도, 열확산율 등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가공조건을 적정화함으로써, 양호한 구멍가공상태를 얻는 검토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기재료인 매트릭스 수지와 무기재료인 유리 클로스의 면방향에서의 불균일한 분포의 절연기재에서는 각 구멍간에서의 가공구멍의 균일성 개량은 달성되지 않는다.
상기 면방향에서의 불균일성을 개량하기 위해 직물의 밀도를 높여 극간이 없는 유리 클로스를 제작하는 검토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각 가공구멍의 균일성은 개선되지만, 유리의 양의 증가에 수반하여 가공성이 저하되고, 또한 비용상승의 요인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미소구멍을 필요로 하는 고밀도 배선판의 새로운 용도로서 IC 패키지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BGA, CSP 등의 지역 배열 IC 패키지는 형상이 정방형에 가까워, 세로·가로 방향 모두 동일한 기계특성이 요구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접속신뢰성에 큰 영향을 주는 적층판의 열팽창계수는 특히 세로·가로 방향의 값이 동일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유리 클로스의 직물밀도는 세로·가로 방향이 같은 수에 가까운 구성이 요구되고 있고, 동시에 경사·위사의 실 형상도, 예컨대 편평화, 확폭화(擴幅化) 상태도 비슷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소경 구멍가공법인 드릴가공, 및 특히 레이저빔 가공에 의해 고밀도 실장 프린트 배선판의 스루홀, 이너 비어홀, 블라인드 비어홀 등을 균일하게 소경 구멍가공할 수 있게 하는 유리 클로스, 및 이 유리 클로스를 기재로 사용한 프린트 배선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관해 예의 검토한 결과, 유리 클로스의 직물구조에 주목하여 유리 클로스의 면방향의 분포의 균일화를 도모하고, 구체적으로는 유리 실의 사속단면의 폭과 직물밀도를 한정함으로써, 종래의 유리 클로스를 기재로 사용한 적층판에 비해, 소경 구멍가공성의 향상에 필수인 표면평활성이 뛰어난 적층판이 얻어지고, 특히 레이저가공에 대해서는 유리성분의 제거 및 가공조건의 적정화가 용이해짐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1. 경사와 위사로 구성되는 유리 클로스에 있어서, 경사와 위사 중 어느 한쪽이 실질적으로 극간이 없이 배열되고, 또한, 이 실질적으로 극간이 없이 배열된 실의 사속단면폭 A (㎛), 이 실의 단일섬유의 직경 L (㎛), 이 실을 구성하는 단일섬유의 개수 N (개), 및 이 실로 구성되는 직물의 직물밀도 C (개/25 ㎜) 가 수학식 1-a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클로스.
C ×A / (25 ×L ×N) ≥1.0 …(1-a)
2. 경사와 위사로 구성되는 유리 클로스에 있어서, 경사와 위사의 양쪽이 실질적으로 극간이 없이 배열되고, 또한, 경사와 위사에 있어서, 실의 사속단면폭 A(㎛), 실의 단일섬유의 직경 L (㎛), 실을 구성하는 단일섬유의 개수 N (개), 및 실의 직물밀도 C (개/25 ㎜) 가 수학식 1-b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클로스.
C ×A / (25 ×L ×N) ≥0.75 …(1-b)
3. 경사의 직물밀도 (Ct) (개/25 ㎜) 와 위사의 직물밀도 (Cy) (개/ 25 ㎜) 가 수학식 2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 기재의 유리 클로스.
0.9 ≤Ct / Cy ≤1.1 …(2)
4. 유리 클로스를 구성하는 유리 실의 단일섬유의 직경이 JIS R 3413 에 있어서, 공칭(nominal) 지름 D 의 굵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2 또는 3 기재의 유리 클로스.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리 클로스를 기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사속단면폭 A 은 도 1 에 나타내는 거리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ⅰ) 유리 클로스의 특징
유리 클로스는 경사와 위사가 교대로 부침(浮沈)되어 있는 평직구조가 일반적이며, 그 경우, 이 실이 겹쳐 있는 부분과, 어느 한쪽의 실이 존재하고 있는 부분, 바스킷 홀이라고 불리는 경사와 위사에 의해 둘러싸인 유리 실이 없는 부분의3 종의 상태가 혼재하고 있다. 소경 구멍가공이 뛰어난 프린트 배선판을 얻기 위해서는 절연기재 중의 유리섬유의 면방향에서의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유리 클로스를 구성하는 경사 및 위사의 적어도 한쪽의 실이 실질적으로 극간이 없이 배열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직물을 균일하게 할 목적으로, 경사와 위사의 형상을 비슷하게 할 경우, 경사와 위사는 교대로 부침되기 때문에, 한쪽의 실끼리의 간격은 이 실에 직교하는 실의 두께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경사 및 위사 모두 동시에 각각의 실끼리의 간격을 최소로 할 경우, 한쪽의 사속단면폭을 A (㎛), 이 실에 직교하는 실의 두께를 Bc (㎛), 이 실의 직물밀도를 C (개/25 ㎜) 로 하면, 실질적으로 극간이 없이 배열된 상태는 수학식 3 으로 정의된다.
(A + Bc) ×C / 1000 ≥25 …(3)
바람직하게는 28 ≥(A + Bc) ×C / 1000 ≥25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다. 즉, 유리 클로스의 직물밀도의 단위길이인 25 (㎜) 보다 작으면 인접하는 사속간에 이 실에 직교하는 실의 두께 이상으로 극간이 발생하여 수지층만의 부분이 현저히 발생하기 때문에, 가공상태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레이저가공의 경우에는 수지부분과 유리부분의 가공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가공구멍의 균일화가 어려워진다. 28 (㎜) 보다 크면 다른 한쪽의 실의 기복이 억제되어, 유리 클로스의 두께방향에서의 균일성에 악영향을 미쳐 평활성을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절연기재 중의 유리의 양을 증가시키지 않고, 상술한 식 (3) 의 관계를얻기 위해서는, 이 실의 두께가 충분히 편평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충분히 편평화되어 있는 것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먼저, 대상으로 하는 사속단면폭을 A (㎛), 이 실을 구성하는 단일섬유의 직경을 L (㎛), 이 실을 구성하는 단일섬유의 개수를 N (개), 이 실의 직물밀도를 C (개/25 ㎜) 로 하면 이 실이 최대로 균일하게 확장되는 폭 (이하, W1 이라고 함) (㎛) 은 수학식 4 로 구해진다. 여기서 말하는 단일섬유의 직경 L (㎛) 이란 JIS R 3413 에 표시되어 있는 단일섬유의 직경의 공칭 지름을 값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N ×L = W1 …(4)
따라서, 편평화율 (이하, F 라고 함) 은 F = A/W1 이 된다.
그러나, 이 실의 편평상태는 이 실의 직물밀도에도 영향을 받아, 요컨대 직물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이 실과 이 실과 인접하는 실과의 극간은 좁아지고, 이로 인해 필연적으로 이 실이 확장될 여지는 적어진다. 반대로 직물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이 실이 확장될 여지는 많아지고, 결과적으로 확장되기 쉬워지게 된다. 이 때, 직물밀도에 의해 필연적으로 구해지는 최대로 확폭된 실의 폭 (이하, W2 라고 함) (㎜) 을 수학식 5 로 구하고, 편평화 난이도의 가중치로 정의하였다.
25/C = W2 …(5)
이들로부터, 실질적인 편평화율 (이하 Ft 라고 함) 을 수학식 6 으로 표시하고, 경사 및 위사 모두 편평화되어 있는 경우, 수학식 7 을 경사, 위사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Ft = F/W2 = A / (W1 ×W2) …(6)
Ft ≥0.75 … (7)
즉, 경사 또는 위사 양쪽의 Ft 가 0.75 이상이면 편평화된 양방향의 실로 유리 클로스 전체가 덮여져, 유리 클로스 중의 유리섬유 분포는 균일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가공성은 양호해진다. 바람직하게는 Ft ≥0.8 의 경우, 충분히 편평화되어 균일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식 (6) 으로부터, Ft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Ft = C ×A / (25 ×L ×N)
또한, 경사 또는 위사 중 어느 하나가 특별히 편평해지고, 편평화되어 있는 이 실이 수학식 8 을 만족하는 경우, 유리섬유가 유리 클로스 전체를 덮어, 유리섬유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Ft ≥1.0 …(8)
요컨대, 경사 또는 위사 어느 한쪽의 Ft 가 1.0 이상이면, 편평화된 이 실로 유리 클로스 전체가 덮여져, 유리 클로스 중의 유리섬유 분포는 균일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가공성은 양호해진다. 바람직하게는 Ft = 1.2 의 경우, 충분히 편평화되어 균일해졌다고 할 수 있다.
이 같이, 직물밀도와 실의 확폭상태는 밀접한 관계에 있고, 적층판의 층구조에 대한 요구에 맞춰, 천의 중량, 천의 두께가 결정되어, 가장 적합한 유리 클로스가 선택된다.
또한 경사의 직물밀도 (이하, Ct (개/25 ㎜) 라고 한다) 와 위사의 직물밀도 (이하, Cy (개/25 ㎜) 라고 한다) 의 관계가 수학식 9 인 경우, 최근의 적층판의 세로방향, 가로방향의 균일화 요구를 만족하는 유리 클로스가 얻어진다. 나아가서는 가로방향으로의 직물수축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수학식 10 의 관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9 ≤Ct / Cy ≤1.1 …(9)
1.0 ≤Ct / Cy ≤1.1 …(10)
또한, 유리 클로스를 구성하는 유리 실의 단일섬유의 직경은 가는 편이 분산하기 쉽고, 또한 프린트 배선판의 드릴 구멍가공시의 저항도 작아, 레이저 가공시에도 유리의 제거가 용이하다. 즉 JIS R 3413 에 있어서의 공칭 지름 E 이하의 굵기, 바람직하게는 공칭 지름 D 이하의 단일섬유 직경이 구멍가공에는 적합하다.
(ⅱ) 유리 클로스의 제조 :
본 발명의 유리 클로스를 얻기 위해서는 통상 사용되는 유리 실의 꼬임 (0.7 내지 1.0 회/25 ㎜) 을 저연화함으로써, 요컨대 유리 실의 꼬임수를 0.5 회/25 ㎜이하,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 회/25 ㎜ 로 함으로써 보다 실의 폭은 확폭되기 쉬우며, 경사 및 위사 모두 인접하는 실끼리가 실질적으로 극간없이 배열된 구조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또한 저연사를 사용함으로써, 실이 편평화되어, 실 자의 단면형상이 타원 형상에서 평판 형상에 가까워져, 유리 클로스 중의 유리섬유의 분포가 보다 균일해진다.
또한, 유리 클로스의 편평화가공을 예컨대 수류에 의한 압력에 의한 개섬, 액체를 매체로 한 고주파의 진동에 의한 개섬, 면압을 갖는 유체의 분사에 의한 가압, 롤에 의한 가압에서의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보다 실의 폭은 확장되고, 경사 및 위사 모두 인접하는 실끼리가 실질적으로 극간이 없이 배열된 구조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또한 실이 편평화되어, 실 자체의 단면형상이 타원 형상에서 평판 형상에 가까워져, 유리 클로스 중의 유리섬유의 분포가 보다 균일해지는 실의 저연사화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유리 실에 활제의 특성을 나타내는 유기물이 부착된 상태의 유리 클로스, 또는 통상의 유리 클로스를 제직할 때에 사용되는 바인더, 풀제 등이 부착된 상태 (통상적으로 생기(生機)라고 함) 에서의 편평가공 및 이들 수법의 조합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된다. 또한 양 수법의 조합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된다.
(ⅲ) 유리 클로스의 조성 :
프린트 배선판 등에 사용되는 적층판의 유리 클로스에는 통상 E 유리 (무 알칼리 유리) 라고 불리는 유리가 사용되는데, D 유리, S 유리, 고유전율 유리 등을 사용해도 유리종류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는 경우는 없다.
(ⅳ) 적층판의 제조 :
본 발명의 프린트 배선판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방법에 따르면 되고, 예컨대 유리 클로스에 에폭시 수지와 같은 매트릭스 수지를 함침시키고, 수지 함침 프리프레그를 만들어, 이것을 복수장 적층하거나, 또는 내층 코어판의 위에 이것을 복수장 또는 1 장 적층하여, 가열가압성형함으로써, 또한 이것들을 반복함으로써 얻어진다.
프린트 배선판에 사용되는 수지로는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비스말레이미드트리아진 (BT) 수지, 시아네이트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나, 폴리페닐렌옥사이드 (PPO)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불소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이들 혼합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 중에 수산화 알루미늄 등의 무기 충전제를 혼재시킨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중의 유리 클로스의 물성, 유리 클로스의 사속단면폭 및 두께, 유리 클로스를 사용한 적층판의 제작방법, 및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
① 유리 클로스의 물성측정방법 :
JIS R 3420 에 따라 측정한다.
② 경사 및 위사의 사속단면폭 및 두께의 측정방법 :
유리 클로스를 상온경화의 에폭시로 포매(包埋)하고, 연마하여 유리사속단면을 깎아내, 경사 및 위사를 각각 전자현미경 (히타치세이사꾸쇼 제조 S-570) 을 이용하여 단면사진을 촬영하여, 도 1 에 나타내는 사속단면의 폭 및 두께를 측정한다.
③ 프린트 배선판용 적층판의 제작방법 :
내층 코어판으로서 35 μ동박 0.4 ㎜ 두께 양면판을 사용하고, 표층 동박을 전면흑화처리하여 코어판으로 한다. 이어서 유리 클로스에 에폭시 수지 와니스를 함침하고, 건조시켜 프리프레그를 얻는다. 이 프리프레그를 이 코어판의 양층에 1 장씩 적층하고, 또한 그 위에 18 μ의 동박을 겹쳐 175 ℃ 40 ㎏/㎠ 으로 가열가압하여 적층판을 얻는다.
④ 프린트 배선판의 가공성 평가 :
③ 에 나타내는 적층판의 제작방법에 의해 적층판을 제작하고, 동박을 에칭아웃후, 탄산가스 레이저 가공기 (스미토모쥬우키까이고오교 (주) LAVIA 1000 TW) 에 의해 표층만 소경 구멍가공을 실시한다. 가공조건은 0.145 ㎜ø, 주파수 500 ㎐, 펄스에너지 18 J/㎠, 쇼트수 6 이다.
구멍 가공후, 구멍의 표면형상 및 단면형상을 유리 클로스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찰하여, 특성을 평가한다. 특성으로서 내벽의 거칠기, 가공의 재현성을 평가한다. 여기서, 내벽의 거칠기는 구멍 내벽의 볼록부와 오목부의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가공의 재현성은 가공 구멍 저부의 평균직경의 편차 (표준편차) 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유리 클로스로서 경사 및 위사로 C1200 1/0 1.0Z 을 사용하고, 에어제트룸에서, 경사 69 개/25 ㎜, 위사 69 개/25 ㎜ 의 직물밀도로 유리 클로스를 제직하고, 얻어진 생기에 편평화가공으로서 프레스롤로 연속적으로 가압하는 (선압 300 N/㎝) 방법을 실시한 후, 고압 산수류에 의한 개섬가공 (가공압 200 N/㎠) 방법을 채용한다. 그 후, 400 ℃ 에서 24 시간 고온에서 풀을 제거한다.
이어서, 표면처리로서 실란 커플링제인 SZ6032 (토오레·다우코닝 (주) 제조) 를 사용하여 처리액으로 하고, 유리 클로스를 침지하고, 액을 짜낸후, 120 ℃ 에서 1 분 건조시키고, 중량 24 g/㎡, 두께 0.028 ㎜ 의 유리 클로스를 얻는다. 이 유리 클로스를 사용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적층판을 제작한다.
실시예 2
유리 클로스로서 경사 및 위사로 C900 1/0 1.0Z 을 사용하고, 에어제트룸에서, 경사 69 개/25 ㎜, 위사 69 개/25 ㎜ 의 직물밀도로 유리 클로스를 제직하고, 얻어진 생기에 고압 산수류에 의한 개섬가공 (가공압 200 N/㎠) 방법을 채용한다. 그 후, 400 ℃ 에서 24 시간 고온에서 풀을 제거한다.
이어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표면처리하고, 중량 30 g/㎡, 두께 0.030 ㎜ 의 유리 클로스를 얻는다. 이 유리 클로스를 사용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적층판을 제작한다.
실시예 3
유리 클로스로서 경사 및 위사로 D900 1/0 1.0Z 를 사용하고, 에어제트룸에서, 경사 69 개/25 ㎜, 위사 69 개/25 ㎜ 의 직물밀도로 유리 클로스를 제직하고, 얻어진 생기에 고압 수류에 의한 개섬가공 (가공압 150 N/㎠) 방법을 채용한다. 그 후, 400 ℃ 에서 24 시간 고온에서 풀을 제거한다.
이어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표면처리하고, 질량 30 g/㎡, 두께 0.032 ㎜ 의 유리 클로스를 얻는다. 이 유리 클로스를 사용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적층판을 제작한다.
실시예 4
유리 클로스로서 경사 및 위사로 D450 1/0 0.3Z 을 사용하고, 에어제트룸에서, 경사 54 개/25 ㎜, 위사 54 개/25 ㎜ 의 직물밀도로 유리 클로스를 제직하고, 얻어진 생기에 고압 수류에 의한 개섬가공 (가공압 300 N/㎠) 방법을 채용한다. 그 후, 400 ℃ 에서 24 시간 고온에서 풀을 제거한다.
이어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표면처리하여, 질량 48 g/㎡, 두께 0.042 ㎜ 의 유리 클로스를 얻는다. 이 유리 클로스를 사용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적층판을 제작한다.
비교예 1
유리 클로스로서 경사 및 위사로 D450 1/0 1.0Z 을 사용하고, 에어제트룸에서, 경사 60 개/25 ㎜, 위사 46 개/25 ㎜ 의 직물밀도로 유리 클로스를 제직하고, 그 후, 400 ℃ 에서 24 시간 고온에서 풀을 제거한다.
이어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표면처리하여, 질량 48 g/㎡, 두께 0.055 ㎜ 의 유리 클로스를 얻는다. 이 유리 클로스를 사용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적층판을 제작한다.
비교예 2
유리 클로스로서 경사 및 위사로 D900 1/0 1.0Z 을 사용하고, 에어제트룸에서, 경사 56 개/25 ㎜, 위사 56 개/25 ㎜ 의 직물밀도로 유리 클로스를 제직하고, 그 후, 400 ℃ 에서 24 시간 고온에서 풀을 제거한다.
이어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표면처리하여, 질량 25 g/㎡, 두께 0.038 ㎜ 의 유리 클로스를 얻는다. 이 유리 클로스를 사용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적층판을 제작한다.
이상의 실시예, 비교예 및 그 평가결과를 표 1,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2 3 4
유리 클로스 구성내용 단일섬유 직경 경사L(㎛) 위사 4.54.5 4.54.5 55 55
단일섬유 개수 경사N(개) 위사 100100 144144 100100 200200
직물밀도 Ct 경사C(개/25㎜) Cy 위사Ct/Cy 69691.0 69691.0 69691.0 54541.0
사속단면폭 경사A(㎛) 위사 161352 204354 214356 386464
사속단면두께 경사B(㎛) 위사 1811 1815 1916 2719
(A+Bc)×C/1000 경사위사 1226 1526 1626 2227
Ft 경사위사 0.992.16 0.861.51 1.181.97 0.831.00
가공성 내벽 거칠기(㎛) 1.8 2.1 4.5 7.4
구멍직경 편차(㎛) 3.5 4.0 4.4 5.4
비교예
1 2
유리 클로스 구성내용 단일섬유 직경 경사L(㎛) 위사 55 55
단일섬유 개수 경사N(개) 위사 200200 100100
직물밀도 Ct 경사C(개/25㎜) Cy 위사Ct/Cy 60461.3 56561.0
사속단면폭 경사A(㎛) 위사 264350 199285
사속단면두께 경사B(㎛) 위사 3734 2617
(A+Bc)×C/1000 경사위사 1818 1217
Ft 경사위사 0.630.64 0.881.27
가공성 내벽 거칠기(㎛) 16.5 9.3
구멍직경 편차(㎛) 16.0 13.8
본 발명의 프린트 배선판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레이저빔 가공에 의한 프린트 배선판의 소경 구멍가공 (내벽의 거칠기, 가공의 재현성, 진원성) 을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유리 클로스 중의 유리섬유의 분포가 균일하므로, 가공재현성이 매우 양호하며, 고밀도 실장화를 위해 최근 요망되고 있는 바이어홀을 균일하게 우수한 재현성으로 소경 구멍가공할 수 있게 하는 프린트 배선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경사와 위사로 구성되는 유리 클로스에 있어서, 경사와 위사 중 어느 한쪽이 실질적으로 극간이 없이 배열되고, 또한, 이 실질적으로 극간이 없이 배열된 실의 사속단면폭 A (㎛), 이 실의 단일섬유의 직경 L (㎛), 이 실을 구성하는 단일섬유의 개수 N (개), 및 이 실의 직물밀도 C (개/25 ㎜) 가 수학식 1-a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클로스.
    [수학식 1-a]
    C ×A / (25 ×L ×N) ≥1.0 …(1-a)
  2. 경사와 위사로 구성되는 유리 클로스에 있어서, 경사와 위사의 양쪽이 실질적으로 극간이 없이 배열되고, 또한, 경사와 위사에 있어서, 실의 사속단면폭 A (㎛), 실의 단일섬유의 직경 L (㎛), 실을 구성하는 단일섬유의 개수 N (개), 및 실의 직물밀도 C (개/25 ㎜) 가 수학식 1-b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클로스.
    [수학식 1-b]
    C ×A / (25 ×L ×N) ≥0.75 …(1-b)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경사의 직물밀도 (Ct) (개/25 ㎜) 와 위사의 직물밀도 (Cy) (개/ 25 ㎜) 가 수학식 2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클로스.
    [수학식 2]
    0.9 ≤Ct / Cy ≤1.1 …(2)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 클로스를 구성하는 유리 실의 단일섬유의 직경이 JIS R 3413 에 있어서, 공칭 지름 D 의 굵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클로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리 클로스를 기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
KR10-2001-7012661A 1999-04-05 2000-02-04 유리 클로스 및 프린트 배선판 KR1004752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97233 1999-04-05
JP9723399 1999-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052A true KR20010103052A (ko) 2001-11-17
KR100475217B1 KR100475217B1 (ko) 2005-03-10

Family

ID=1418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661A KR100475217B1 (ko) 1999-04-05 2000-02-04 유리 클로스 및 프린트 배선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049253B1 (ko)
EP (1) EP1176239B1 (ko)
KR (1) KR100475217B1 (ko)
CN (1) CN1329575C (ko)
AU (1) AU2326700A (ko)
HK (1) HK1050034A1 (ko)
TW (1) TW507477B (ko)
WO (1) WO20000601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634B1 (ko) * 2009-04-28 2011-07-26 제일모직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5533B2 (ja) * 2000-12-22 2013-08-28 日立化成株式会社 金属箔張り積層板及びプリプレグ
JP3974797B2 (ja) * 2002-02-28 2007-09-12 日東紡績株式会社 ガラスクロス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クロス
JP2006052473A (ja) * 2002-08-29 2006-02-23 Asahi Schwebel Co Ltd ガラスクロス及びプリント配線板
US20060035552A1 (en) 2002-09-20 2006-02-16 Yoshinobu Fujimura Glass cloth and film substrate using it
FR2875821B1 (fr) * 2004-09-24 2006-12-01 Didier Mouraret Tissu absorbant acoustique
WO2007114392A1 (ja) * 2006-03-30 2007-10-11 Kyocera Corporation 配線基板および実装構造体
JP4885591B2 (ja) * 2006-03-30 2012-02-29 京セラ株式会社 配線基板用織布およびプリプレグ
JP4908240B2 (ja) * 2007-01-16 2012-04-04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積層板補強用有機繊維織布
EP1976001A3 (en) * 2007-03-26 2012-08-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CN102733039A (zh) * 2011-04-07 2012-10-17 建滔(连州)玻璃纤维有限公司 一种高性能电子级玻璃纤维布及制造方法
CN102733033A (zh) * 2011-04-07 2012-10-17 建滔(连州)玻璃纤维有限公司 一种超低捻电子级玻璃纤维布的生产方法
US10801137B2 (en) * 2016-07-21 2020-10-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lass cloth including attached fibers
CN113874567B (zh) * 2019-08-27 2022-08-16 日东纺绩株式会社 玻璃布、预浸料以及玻璃纤维强化树脂成型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7796A (en) * 1985-02-19 1993-06-08 Nitto Boseki Co., Ltd. Woven material of inorganic fiber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3578466B2 (ja) 1992-04-14 2004-10-20 ユニチカ株式会社 補強用無機繊維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多層プリント配線板
IT1271681B (it) * 1994-07-19 1997-06-04 Gividi Italia Spa Tessuto di vetro prodotto con filato a zero torsioni
JP3324916B2 (ja) 1995-10-16 2002-09-17 日東紡績株式会社 ガラスクロス、プリプレグ、積層板及び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H09316749A (ja) * 1996-05-30 1997-12-09 Asahi Shiyueebell Kk ガラスクロス
JPH1037038A (ja) 1996-07-23 1998-02-10 Asahi Shiyueebell Kk ガラスクロス
JPH10272733A (ja) 1997-03-31 1998-10-13 Hitachi Chem Co Ltd 金属張積層板の製造方法
JPH1161596A (ja) 1997-08-08 1999-03-05 Asahi Schwebel Co Ltd ガラスクロス及びその積層板
JP3023427B2 (ja) 1998-02-27 2000-03-21 旭シュエーベル株式会社 ガラスクロス及びプリント配線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634B1 (ko) * 2009-04-28 2011-07-26 제일모직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49573A (zh) 2002-05-15
KR100475217B1 (ko) 2005-03-10
WO2000060153A1 (en) 2000-10-12
US7049253B1 (en) 2006-05-23
CN1329575C (zh) 2007-08-01
HK1050034A1 (en) 2003-06-06
EP1176239A4 (en) 2005-11-16
EP1176239B1 (en) 2015-07-01
EP1176239A1 (en) 2002-01-30
AU2326700A (en) 2000-10-23
TW507477B (en) 200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5217B1 (ko) 유리 클로스 및 프린트 배선판
KR900000707B1 (ko) 인쇄회로용 기판
US20120024586A1 (en) Printed wiring boar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70190879A1 (en) Double glass cloth, and prepreg and substrate for printed wiring board using the glass cloth
CN109792846B (zh) 多层印刷布线板、多层印刷布线板的制造方法
JP3756066B2 (ja) プリント配線板用ガラスクロス
KR19990076757A (ko) 일방향 유리섬유직물을 이용한 인쇄배선회로용 적층판
KR20010006226A (ko) 프린트 배선판용 글래스 직포 및 적층판
JP3023427B2 (ja) ガラスクロス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3879512B2 (ja) ガラス繊維織布、プリプレグ、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H1161596A (ja) ガラスクロス及びその積層板
JP2004124324A (ja) プリント配線基板用ガラスクロス
JP2006233369A (ja) 基板補強用繊維織物、並びに該補強用繊維織物を使用したプリプレグ、及びプリント配線板用基板
JP3323116B2 (ja) ガラスクロス
JP2523649B2 (ja) ガラス繊維織物補強印刷配線板
JPH036892A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2001329449A (ja) プリント配線板用ガラスクロス
JPH09316749A (ja) ガラスクロス
JP2002151617A (ja) ガラスクロス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2001329450A (ja) プリント配線板用ガラスクロス
JP2006052473A (ja) ガラスクロス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H11158752A (ja) ガラスクロス
JP3272437B2 (ja) ガラス繊維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189997A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2001348757A (ja) ガラスクロス及びプリント配線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