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2066A - 통신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2066A
KR20010102066A KR1020017010175A KR20017010175A KR20010102066A KR 20010102066 A KR20010102066 A KR 20010102066A KR 1020017010175 A KR1020017010175 A KR 1020017010175A KR 20017010175 A KR20017010175 A KR 20017010175A KR 20010102066 A KR20010102066 A KR 20010102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monitoring
cell detection
cell monitor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1701B1 (ko
Inventor
고이치 아이하라
가즈오 모리무라
히데토시 스즈키
마사토시 와타나베
사토시 이마이즈미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0/008604 external-priority patent/WO2001043474A1/ja
Publication of KR2001010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7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8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altitu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상관 회로(103)에 있어서는, 수신 신호에 대하여 역확산 처리가 이루어져 상관값이 얻어진다. 이 상관값은 셀 검출 회로(104), 셀 감시 회로(105)에 전달된다. 이들의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결과는 셀 관리 테이블(106)에 전달되고, 셀은 분류되어 관리된다. 관리 회로(107)는, 여러 가지의 이벤트에 의해 셀 감시·셀 검출의 주기를 변경한 후에, 그 변경한 주기로 셀 검출 회로(104)나 셀 감시 회로(105)에 대하여 셀 검출이나 셀 감시를 실행하는 내용의 지시를 행한다.

Description

통신 단말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차세대 이동 통신 방식에 이용하는 다원 접속 방식으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가 개발되어 있다. 이 CDMA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는, 통신 단말은 이동에 따른 셀 전환(핸드오버) 등에 셀 검출이나 셀 감시를 행한다.
이 CDMA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셀 검출법에 대해서는, 하구치, 사와바시, 야스타치 등의 "DS-CDMA 기지국간 비동기 셀에 있어서의 롱 코드 마스크를 이용하는 고속 셀 탐색법" 신학기보 RCS96-122, 1997-0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향 제어 채널의 스크램블링 코드를 마스킹하고, 이 마스킹된 부분에 대하여 각 셀 공통의 확산 코드로 상관 검출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스크램블링 코드의 타이밍 및 그 종류를 검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식에서는, 송신측(기지국)은 각 셀 공통의 확산 코드로 확산된 심볼 및각 셀의 스크램블링 코드에 따른 스크램블링 코드 그룹 식별 쇼트 코드로 확산된 심볼을 탐색(search) 코드로서 스크램블링 코드 마스크부에 코드 다중화하여 송신하고, 수신측(통신 단말)은 각 셀 공통의 확산 코드에 의한 슬롯 타이밍을 검출한 후에, 스크램블링 코드 그룹 식별 쇼트 코드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 코드 동정부에서 탐색해야 할 스크램블링 코드 후보를 한정하고, 프레임 타이밍을 검출하며, 또한 이 스크램블링 코드 후보로부터 셀 고유의 스크램블링 코드를 특정한다. 이것에 의해, 고속으로 새로운 셀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셀 감시는, 상술한 셀 검출을 다시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스크램블링 코드와, 그 대충의 프레임 타이밍을 판명하고 있는 기지국에 관해서, 현재의 레벨(Ec/I0(역확산 후의 신호 전력/송수신 전력), SIR(Signal to Interference Ratio))을 조사하는 처리를 말한다.
종래, 통신 단말은 셀 검출이나 셀 감시를 일정 주기로 상시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통신 단말이 셀 검출이나 셀 감시를 상시 실행하면, 단말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이 증가하여, 통화 시간이나 수신 대기 시간이 짧게 되어 버린다. 한편,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빈도를 극단적으로 적게 하면, 실시간으로 정확한 셀 관리를 행할 수 없어, 핸드오버를 실패하여 통화가 끊어질 가능성이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한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고, 더구나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있어서의 셀 관리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실행할 수 있는 통신 단말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여러 가지 요인(이벤트)에 의해 동적으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빈도를 제어하여 적게 하고, 가능한 한 소비 전력을 절약하며, 더구나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있어서의 셀 관리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실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단말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셀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셀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셀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셀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여기서는, 통상의 상태에 있어서, 셀 검출·셀 감시의 주기는 길게 설정해 두고, 필요에 따라서, 셀 감시의 주기를 짧게 하는 셀 감시 모드, 셀 검출의 주기를 짧게 하는 셀 검출 모드, 및 셀 감시 및 셀 검출의 주기를 짧게 하는 셀 감시·검출 모드로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주기를 길게하는 것이란, 예컨대 5s 정도로 하는 것을 말하지만, 이 주기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통상 상태로 셀 감시나 셀 검출을 긴 주기로 실행하는 것에 의해 장치의 소비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는,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안테나(101)를 거쳐서 무선 수신 회로(102)에서 수신된다. 무선 수신 회로(102)에서는 수신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무선 수신 처리(예컨대, 다운컨버트, A/D 변환 등)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무선 수신 처리된 수신 신호는 상관 회로(103)에 출력된다. 상관 회로(103)에서는, 수신 신호에 대하여 송신측에서의 확산 변조로 사용된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 처리가 행해져, 상관값이 얻어진다. 이 상관값은 셀 검출 회로(104)에 전달된다.
셀 검출 회로(104)에서는 상관 회로(103)에 의해 얻어진 상관값을 이용하여 셀의 검출을 행한다. 또한, 상관 회로(103)에서 구해진 상관값은 셀 감시 회로(105)에도 전달된다. 또한, 상관 회로(103)로부터의 출력은 복조 회로(109)에 전달되어, 상관 처리후의 신호에 대해서 복조 처리가 행해져 수신 데이터가 얻어진다.
셀 검출 회로(104), 셀 감시 회로(105)에 있어서의 셀 검출의 결과나 셀 감시의 결과는 셀 관리 테이블(106)에 전달되고, 셀 관리 테이블(106)이 필요에 따라 갱신된다. 셀 관리 테이블(106)에서는, 기지국을 현재 통신중(Active),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 또는 인접하는 레벨이 낮은 것(Neighbor) 등으로 분류하여관리된다.
이 셀 관리 테이블(106)의 정보는 접속 처리 제어 회로(108)에 전달되고, 또한 관리 회로(107)에 전달된다. 접속 처리 제어 회로(108)에서는 셀 관리 테이블의 정보(분류 결과)에 근거하여 핸드오버시의 접속 처리 등을 제어한다.
또한, 관리 회로(107)에서는 셀 관리 테이블의 정보에 근거하여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지시를 행한다. 즉, 셀 검출이 필요하면, 셀 검출을 행하는 취지의 제어 신호를 셀 검출 회로(104)에 전달하고, 셀 감시가 필요하면, 셀 감시를 행하는 내용의 제어 신호를 셀 감시 회로(105)에 전달한다.
한편, 송신 데이터는 디지털 변조 회로(110)에 전달되고, 디지털 변조되어 확산 변조 회로(111)에 전달된다. 확산 변조 회로(111)에서는, 소정의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디지털 변조 후의 신호에 대하여 확산 변조 처리가 행해지고, 그 확산 변조된 송신 데이터가 무선 송신 회로(112)에 전달된다. 무선 송신 회로(112)에서는, 확산 변조 후의 송신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무선 송신 처리(D/A 변환, 업컨버트 등)가 행해진다. 무선 송신 처리된 송신 신호는 안테나(101)를 거쳐서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의 셀 검출·셀 감시의 주기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관 회로(103)에 있어서는, 수신 신호에 대하여 역확산 처리가 이루어져 상관값이 얻어진다. 이 상관값은 셀 검출 회로(104), 셀 감시 회로(105)에 전달된다. 셀 검출 회로(104)에서는, 각 셀 공통의 스프레드 코드에 의한 슬롯 타이밍을검출한 후에, 스크램블링 코드 그룹 식별 쇼트 코드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 코드 동정부에 의해 탐색해야 할 스크램블링 코드 후보를 한정하고, 프레임 타이밍을 검출하며, 또한 이 스크램블링 코드 후보로부터 셀 고유의 스크램블링 코드를 특정하는 셀 검출 처리를 행한다.
셀 감시 회로(105)에서는, 스크램블링 코드와, 그 대충의 프레임의 타이밍이 판명되고 있는 기지국에 관해서, 현재의 레벨(Ec/I0, SIR)을 조사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들의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결과는 셀 관리 테이블(106)에 전달되고, 셀은 분류되어 관리된다. 예컨대, 셀 관리 테이블(106)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재 통신중인 기지국 「현재 통신중(Active)」, 핸드오버 대상의 후보인 기지국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 또는 핸드오버 대상의 후보가 아닌 레벨이 낮은 기지국 「인접하는 레벨이 낮은 것(Neighbor)」 등으로 분류하여 관리된다.
즉,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기지국 #2는 현재 통신중이고, 기지국 #1, #6은 핸드오버 대상의 후보이며, 기지국 #3, #4, #5는 핸드오버 대상의 후보가 아닌 레벨이 낮은 것이다.
관리 회로(107)는, 셀 관리 테이블(106)의 정보나 셀 검출 회로(104) 및 셀 감시 회로(105)의 결과에 근거하여,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주기(빈도)를 변경한다. 이 임계값 판정은, 예컨대 이하와 같이 분류된 기지국의 레벨이나 수에 의해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우선, 제 1 방법으로서는, 「현재 통신중(Active)」의 레벨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또는 핸드오버시와 같이 복수의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고 있을 때 등에 있어서는 「현재 통신중(Active)」의 각 레벨이 합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 또는 「인접하는 레벨이 낮은 것(Neighbor)」의 셀 감시의 주기를 짧게 한다(빈도를 높게 한다).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현재 통신중(Active}」인 기지국 #2의 레벨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인 기지국 #1, #6에 대한 셀 감시 주기를 짧게 한다.
이와 같이 「현재 통신중(Active)」의 레벨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주파(主波)가 빌딩 등의 그림자에 숨어 있거나, 셀 에지에 있기 때문에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주파 레벨이 낮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에,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의 셀 감시의 주기를 짧게 하여 빨리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로부터 핸드오버 대상을 찾아내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신속하게 핸드오버에 대응할 수 있어,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제 2 방법으로서는, 「현재 통신중(Active)」인 수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 또는 「인접하는 레벨이 낮은 것(Neighbor)」의 셀 감시의 주기를 짧게 한다(빈도를 높게 한다). 또한, 「현재 통신중(Active)」의 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 또는 「인접하는 레벨이 낮은 것(Neighbor)」의 셀 감시의 주기를 길게 한다(빈도를 낮게 한다).
또한, 「현재 통신중(Active)」인 수가 적은 상태에 있어서,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의 수가 소정의 수보다도 적어진 경우나, 「인접하는 레벨이 낮은 것(Neighbor)」의 수가 소정의 수보다도 적어진 경우에는, 핸드오버 대상이 적기 때문에, 소프트 핸드오버에 실패할 염려가 발생하므로, 셀 감시나 셀 검출의 주기를 짧게 한다.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가 기지국 #1밖에 없는 경우에, 「인접하는 레벨이 낮은 것(Neighbor)」에 대하여 셀 감시의 주기를 짧게 해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기지국 #3, #6)를 빨리 찾아낸다. 이것에 의해, 소프트 핸드오버를 양호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제 3 방법으로서는, 「현재 통신중(Active)」의 레벨 및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의 레벨이 모두 임의의 임계값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 셀 검출의 주기를 짧게 한다.
이와 같이 「현재 통신중(Active)」의 레벨 및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의 레벨이 모두 임의의 임계값 범위내에 있는 경우는, 「현재 통신중(Active)」이나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주파가 모두 빌딩 등의 그림자에 숨어 있거나, 셀 에지에 있기 때문에 「현재 통신중(Active)」이나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주파의 레벨이 모두 낮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에, 셀 검출의 주기를 짧게 하여 빨리 「현재 통신중(Active)」이나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를 찾아내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신속히 핸드오버에 대응할 수 있어,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제 4 방법으로서는, 레벨이 크게 되어 있는 기지국의 셀 감시의 주기를 짧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레벨이 크게 되어 있는 기지국에 가까이 가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 #7이 「인접하는 레벨이 낮은 것(Neighbor)」으로 되고, 또한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로 된 경우에는, 기지국 #7에 가까이 가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기지국 #7의 셀 감시 주기를 짧게 한다. 이것에 의해, 가장 가능성이 높은 기지국을 핸드오버 대상으로서 신속히 판정할 수 있다.
제 5 방법으로서는, 소정 시간내에서 임의의 기지국이 「현재 통신중(Active)」과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 사이의 교체가 빈번히 일어나는 경우에는, 셀 에지에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 기지국에 대한 셀 감시의 주기를 짧게 한다. 이것에 의해, 핸드오버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관리 회로(107)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이벤트에 의해 셀 감시·셀 검출의 주기를 변경한 후에, 그 변경한 주기로 셀 검출 회로(104)나 셀 감시 회로(105)에 대하여 셀 검출이나 셀 감시를 실행하는 내용의 지시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셀 검출의 주기를 짧게 하는 경우에는, 관리 회로(107)에 의해 모드가 통상 모드(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주기가 긴 모드)로부터 셀 검출 모드로 전환되고, 셀 검출 모드에 있어서의 짧은 주기로 셀 검출을 행하는 내용의 제어 신호가 셀 검출 회로(104)에 전달된다. 또한, 셀 감시의 주기를 짧게 하는 경우에는, 관리 회로(107)에 의해 모드가 통상 모드로부터 셀 감시 모드로 전환되고, 셀 감시 모드에 있어서의 짧은 주기로 셀 감시를 실행하는 내용의 제어 신호가 셀 감시 회로(105)에 전달된다. 또한, 셀 검출 및 셀 감시의 주기를 짧게 하는 경우에는, 관리 회로(107)에 의해 모드가 통상 모드로부터 셀 검출·셀 감시 모드로 전환되고, 셀 검출·셀 감시 모드에 있어서의 짧은 주기로 셀 검출을 실행하는 내용의 제어 신호가 셀 검출 회로(104)에 전달되고, 셀 감시를 실행하는 내용의 제어 신호가 셀 감시 회로(105)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는, 「현재 통신중(Active)」이나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의 레벨이나 수에 의해 동적으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빈도를 제어하여 적게 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소비 전력을 절약하여 통화 시간이나 수신 대기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있어서의 셀 관리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오버를 확실히 행하여, 핸드오버시의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지국의 분류를 「현재 통신중(Active)」,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 「인접하는 레벨이 낮은 것(Neighbor)」으로 3종류로 실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임계값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의 분류를 2개로 설정하더라도 무방하고, 4개 이상으로 설정하더라도 무방하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핑거마다의 Ec/I0의 평균값 및/또는 분산값을 감시하고, 그 값이 임계값 미만으로 되었을 때를 이벤트로 해서, 셀 감시나 셀 검출의 주기를 짧게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하는 통신 단말 장치는, 상관 회로(103)의 출력으로부터 핑거마다의 패스를 감시하는 패스 감시 회로(60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패스 감시 회로(601)는, 패스의 감시 결과에 근거하여 셀 검출·셀 감시의 주기를 변경하는 내용의 지시를 관리 회로(107)에 전달한다. 관리 회로(107)는, 변경한 주기로, 셀 검출 회로(104) 및/또는 셀 감시 회로(105)에 셀 검출·셀 감시를 실행하는 내용의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이것에 의해, 변경한 주기로 셀 검출·셀 감시가 행해진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의 셀 검출·셀 감시의 주기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관 회로(103)에 있어서는, 수신 신호에 대하여 역확산 처리가 이루어져 상관값이 얻어진다. 이 상관값은 셀 검출 회로(104)나 셀 감시 회로(105)에 전달되고, 또한 패스 감시 회로(601)에 전달된다.
셀 검출 회로(104)나 셀 감시 회로(105)에서는, 상관값에 근거하여, 셀 검출이나 셀 감시를 행하고, 그 결과를 셀 관리 테이블(106)에 전달한다. 셀 관리 테이블(106)에서는, 예컨대 현재 통신중인 기지국 「현재 통신중(Active)」, 핸드오버 대상의 후보인 기지국 「핸드오버 대상 후보(Candidate)」, 또는 핸드오버 대상의 후보가 아닌 레벨이 낮은 기지국 「인접하는 레벨이 낮은 것(Neighbor)」 등으로 분류하여 관리한다. 또,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행한다.
패스 감시 회로(601)에서는, 상관값에 근거하여 핑거마다 패스를 감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패스 감시 회로(601)는 핑거마다의 Ec/I0을 구하여 그 평균값이나 분산값을 감시한다. 그리고, 그 평균값이나 분산값이 소정의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주파가 없는 상태라고 하여, 관리 회로(107)에 대해서 셀 감시나 셀 검출의 주기를 짧게 하는 내용의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관리 회로(107)에서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주기를 변경하고, 그 주기로 셀 검출이나 셀 감시를 행하는 내용의 지시를 셀 검출 회로(104)나 셀 감시 회로(105)에 대하여 실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는, 핑거마다의 Ec/I0에 따라 동적으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빈도를 제어하여, 가능한 한 소비 전력을 절약해서 통화 시간이나 수신 대기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있어서의 셀 관리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오버를 확실히 행하여, 핸드오버시의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Ec/I0의 평균값이나 분산값에 의해, 셀 검출이나 셀감시의 주기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핑거마다의 Ec/I0 이외의 수신 품질을 감시해 두고, 그 감시 결과에 근거하여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주기를 제어하도록 하더라도 무방하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수신 레벨이 급격히 변화하는지 여부를 감시해 두고, 수신 레벨이 급격히 변화한 것을 이벤트로 하여, 셀 감시나 셀 검출의 주기를 짧게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하는 통신 단말 장치는, 무선 수신 회로(102)의 출력을 이용하여 이득 제어를 행해서 이득 제어한 신호를 무선 수신 회로(102)에 출력하는 AGC 회로(701)를 구비하고 있다. 이 AGC 회로(701)는, 무선 수신 회로(102)의 출력을 감시하고, 그 감시 결과에 근거하여 셀 검출·셀 감시의 주기를 변경하는 내용의 지시를 관리 회로(107)에 전달한다. 관리 회로(107)는, 변경한 주기로, 셀 검출 회로(104) 및/또는 셀 감시 회로(105)에 셀 검출·셀 감시를 행하는 내용의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이것에 의해, 변경한 주기로 셀 검출·셀 감시가 행해진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의 셀 검출·셀 감시의 주기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안테나(101)를 거쳐서 무선 수신 회로(102)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는, 무선 수신 회로(102)에서 소정의 무선 수신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 무선 수신 처리된 신호는, 무선 수신 회로(102)로부터 AGC 회로(701)에 출력되어, AGC 회로(701)에서 이득 제어된다. 이 때, AGC 회로(701)는 수신 레벨의 급격한 변화에 대해서도 감시한다. 그리고, AGC 회로(701)는, 수신 레벨이 급격히 변화된 경우에, 예컨대 빌딩의 그림자로부터 돌연히 기지국이 나타났을 때나, 고속 사용자 데이터 채널의 호가 절단되었을 때인 것으로 하여, 관리 회로(107)에 대해서 셀 감시나 셀 검출의 주기를 짧게 하는 내용의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관리 회로(107)에서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주기를 변경하고, 그 주기로 셀 검출이나 셀 감시를 행하는 내용의 지시를 셀 검출 회로(104)나 셀 감시 회로(105)에 대하여 실행한다. 또, 수신 레벨의 급격한 변화는, 예컨대 이전의 측정값으로부터의 변화량에 대하여 임계값 판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AGC 회로(701)에 의해 이득 제어된 신호는, 무선 수신 회로(102)에 전달되어 소정의 무선 수신 처리가 이루어지고, 상관 회로(103)에 전달된다. 상관 회로(103)에 있어서는, 수신 신호에 대하여 역확산 처리가 이루어져 상관값이 얻어진다. 이 상관값은 셀 검출 회로(104)이나 셀 감시 회로(105)에 전달된다. 셀 검출 회로(104)나 셀 감시 회로(105)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는, 수신 레벨의 급격한 변화에따라 동적으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빈도를 제어하여, 가능한 한 소비 전력을 절약해서 통화 시간이나 수신 대기 시간을 길게 한다. 또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있어서의 셀 관리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오버를 확실히 행하여, 핸드오버시의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속도나 고도를 감시해 두고, 이동 속도나 고도를 이벤트로 하여, 셀 감시나 셀 검출의 주기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하는 통신 단말 장치는, 상관 회로(103)의 출력으로부터 이동 속도나 고도를 측정하는 이동 속도·고도 측정 회로(80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이동 속도·고도 측정 회로(801)는, 도플러 주파수로부터 이동 속도를 구하거나, 포지셔닝 시스템에 의해 이동 속도나 고도를 구한다. 그리고, 이 이동 속도나 고도에 근거하여 셀 검출·셀 감시의 주기를 변경하는 내용의 지시를 관리 회로(107)에 전달한다. 관리 회로(107)는, 변경한 주기로, 셀 검출 회로(104) 및/또는 셀 감시 회로(105)에 셀 검출·셀 감시를 행하는 내용의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이것에 의해, 변경한 주기로 셀 검출·셀 감시가 행해진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의 셀 검출·셀 감시의 주기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관 회로(103)에 있어서는, 수신 신호에 대하여 역확산 처리가 이루어져 상관값이 얻어진다. 이 상관값은 셀 검출 회로(104)나 셀 감시 회로(105)에 전달되고, 또한 이동 속도·고도 측정 회로(801)에 전달된다.
이동 속도·고도 측정 회로(801)에서는 이동 속도나 고도를 측정하여, 예컨대 그 측정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주기를 변경하는 내용의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관리 회로(107)에서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주기를 변경하여, 그 주기로 셀 검출이나 셀 감시를 행하는 내용의 지시를 셀 검출 회로(104)나 셀 감시 회로(105)에 대하여 실행한다. 예컨대, 이동 속도가 빠른 경우(도플러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는, 핸드오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셀 검출이나 셀 감시를 행하는 주기를 짧게 한다. 또한, 고도가 높은 경우에는, 신호의 반사가 적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셀 검출이나 셀 감시를 행하는 주기를 길게 한다.
셀 검출 회로(104)나 셀 감시 회로(105)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는, 이동 속도나 고도에 따라 동적으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빈도를 제어하여, 가능한 한 소비 전력을 절약해서 통화 시간이나 수신 대기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있어서의 셀 관리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오버를 확실히행하여, 핸드오버시의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전원 정보를 이벤트로 하여, 셀 감시나 셀 검출의 동기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하는 통신 단말 장치는, 관리 회로(107)에 외부 전원 정보가 입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관리 회로(107)는, 외부 전원 정보에 따라서, 셀 검출 회로(104) 및/또는 셀 감시 회로(105)에 셀 검출·셀 감시를 행하는 내용의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이것에 의해, 변경한 주기로 셀 검출·셀 감시가 행해진다.
외부 전원 정보로서는, 예컨대 차량 탑재 키트에 접속한 정보, AC 충전기에 접속한 정보,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한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즉, 관리 회로(107)가 차량 탑재 키트 등의 차량에 내장하는 장치를 식별하는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것이 생각되어 핸드오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주기를 짧게 한다. 또한, 관리 회로(107)가 충전기를 식별하는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는, 에너지 절약이나 충전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주기를 길게 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 등의 설치형 장치의 외부 전원을 식별하는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는, 소비 전력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셀검출이나 셀 감시의 주기를 길게 한다. 단,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해도 자신의 장치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주기를 짧게 한다.
셀 검출 회로(104)나 셀 감시 회로(105)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는, 외부 전원 정보에 따라 동적으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빈도를 제어하여, 가능한 한 소비 전력을 절약해서 통화 시간이나 수신 대기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있어서의 셀 관리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오버를 확실히 행하여, 핸드오버시의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정보나 확산율(SF) 정보를 이벤트로 하여, 셀 감시나 셀 검출의 주기를 짧게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통신 단말 장치는, 관리 회로(107)에 서비스 정보나 확산율 정보가 입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관리 회로(107)는, 확산율 정보에 따라서, 셀 검출 회로(104) 및/또는 셀 감시 회로(105)에 셀 검출·셀 감시를 행하는내용의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이것에 의해, 변경한 주기로 셀 검출·셀 감시가 행해진다.
서비스 정보로서는, 예컨대 신호가 음성과 같은 회선 교환형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즉, 관리 회로(107)가 회선 교환형의 신호인 정보를 상위 레이어로부터 수신하면, 순간적으로 끊어짐이 없으므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주기를 짧게 한다.
또한, 관리 회로(107)는, 확산율(SF)의 정보를 수신하면, 확산율이 높은지 낮은지를 임계값 판정 등에 의해 판정한다. 그리고, 확산율이 낮은 경우에는, 통신이 끊어지기 쉽기 때문에,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주기를 짧게 한다.
셀 검출 회로(104)나 셀 감시 회로(105)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는, 서비스 정보나 확산율 정보에 따라 동적으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빈도를 제어하여, 가능한 한 소비 전력을 절약해서 통화 시간이나 수신 대기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있어서의 셀 관리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오버를 확실히 행하여, 핸드오버시의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7)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통신중인 신호의 BER(Bit Error Rate), CRC(CyclicRedundancy Check), BLER(Block Error Rate)를 감시하여, 그 값이 임계값 미만이 되었을 때를 이벤트로 해서, 셀 감시나 셀 검출의 주기를 짧게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통신 단말 장치는, 복조 회로(109)의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 회로(1101)를 갖는다. 또, 이 복호 회로(1101)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에 대해서도 존재하지만,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기재는 생략하고 있다.
복호 회로(1101)에서는, 수신 신호에 대해서 BER, CRC, BLER를 측정하여, 그 측정 결과에 근거해서 셀 검출·셀 감시의 주기를 변경하는 내용의 지시를 관리 회로(107)에 전달한다. 관리 회로(107)는, 변경한 주기로, 셀 검출 회로(104) 및/또는 셀 감시 회로(105)에 셀 검출·셀 감시를 행하는 내용의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이것에 의해, 변경한 주기로 셀 검출·셀 감시가 행해진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의 셀 검출·셀 감시의 주기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관 회로(103)에 있어서는, 수신 신호에 대하여 역확산 처리가 이루어져 상관값이 얻어진다. 이 상관값은 셀 검출 회로(104)나 셀 감시 회로(105)에 전달되고, 또한 복조 회로(109)에 전달된다.
복조 회로(109)에서는, 역확산 후의 신호에 대하여 복조 처리가 실시되고, 그 신호는 복호 회로(1101)로 전달된다. 복호 회로(1101)에서는, 복조 처리후의 신호를 복호하고, 또한 BER, CRC, BLER를 측정하여, BER, CRC, BLER의 측정값에 대해서, 예컨대 임계값 판정을 행한다. 그 결과로, 예컨대 소정의 임계값을 이상인 경우에, 수신 신호의 품질이 열화한 것으로 하여, 관리 회로(107)에 대해서 셀 감시나 셀 검출의 주기를 짧게 하는 내용의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관리 회로(107)에서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주기를 변경하여, 그 주기로 셀 검출이나 셀 감시를 행하는 내용의 지시를 셀 검출 회로(104)나 셀 감시 회로(105)에 대해서 실행한다.
셀 검출 회로(104)나 셀 감시 회로(105)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는, 복호 후의 BER, CRC, BLER에 따라 동적으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빈도를 제어하여, 가능한 한 소비 전력을 절약해서 통화 시간이나 수신 대기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있어서의 셀 관리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오버를 확실히 행하여, 핸드오버시의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8)
본 실시예에서는, 선택 모드 정보를 이벤트로 해서, 셀 감시나 셀 검출의 주기를 짧게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통신 단말 장치는, 관리 회로(107)에 선택 모드 정보가 입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관리 회로(107)는, 선택 모드 정보에 따라서, 셀 검출 회로(104) 및/또는 셀 감시 회로(105)에 셀 검출·셀 감시를 행하는 내용의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이것에 의해, 변경한 주기로 셀 검출·셀 감시가 행해진다.
선택 모드 정보란, 예컨대 저소비 전력이나 고품질을 위한 선택 스위치에 의한 모드 정보이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주기를 이벤트에 따른 제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관리 회로(107)는, 저소비 전력으로 하기 위해서, 선택 스위치에서 본 발명의 제어를 ON하는 내용의 제어 신호를 수신했을 때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이벤트에 따라 셀 검출이나 셀 감시를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고품질을 요구하기 위해서, 선택 스위치에서 본 발명의 제어를 OFF하는 내용의 제어 신호를 수신했을 때는, 통상의 주기로 셀 검출이나 셀 감시를 행한다.
셀 검출 회로(104)나 셀 감시 회로(105)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는, 선택 모드 정보에 따라 동적으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빈도를 제어하여, 가능한 한 소비 전력을 절약해서 통화 시간이나 수신 대기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있어서의 셀 관리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오버를 확실히 행하여, 핸드오버시의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듀얼 기기에 있어서, 다른 시스템(CSM, PDC, PHS 등)의 셀 후보를 파악하고 있는 경우에, 그 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즉, 다른 시스템의 셀 후보를 이용하여, 본 시스템의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빈도를 낮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압축 모드에 있어서 송신 정지 기간중에 다른 시스템을 감시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다른 서비스 오퍼레이터에 접속하고 있고, 다른 서비스 오퍼레이터와 자신의 서비스 오퍼레이터의 경계에 있는 경우, 예컨대 로밍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오퍼레이터와 자신의 서비스 오퍼레이터의 경계에 있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빨리 자신의 서비스 오퍼레이터로 회귀할 수 있도록,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빈도를 높게 한다. 이것에 의해, 통화 요금을 싸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예 1∼8은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1∼8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는, 송신측에서 사용한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 대해서 행한 상관 연산 처리의 결과에 근거하여 셀 검출을 행하는 셀 검출부와, 상기 상관 연산 처리의 결과를 이용하여 셀 감시를 행하는 셀 감시부와, 상기 셀 검출의 결과 및 상기 셀 감시의 결과에 근거하여 기지국마다 분류해서 관리하는 셀 관리 테이블과, 이벤트에 따라 셀 검출 및/또는 셀 감시의 주기를 제어하는 관리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여러 가지의 이벤트에 따라 동적으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빈도를 제어하여, 가능한 한 소비 전력을 절약해서 통화 시간이나 수신 대기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있어서의 셀 관리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오버를 확실히 행하여, 핸드오버시의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관리부가 상기 셀 관리 테이블에 있어서 관리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레벨 또는 기지국의 수에 의해 셀 검출 및/또는 셀 감시의 주기를 제어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관 연산 결과를 이용하여 핑거마다의 수신 품질을 감시하는 감시부를 구비하고, 관리부는 상기 수신 품질에 의해 셀 검출 및/또는 셀 감시의 주기를 제어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 제어부를 구비하고, 관리부는 수신 신호의 이득 정보에 의해 셀 검출 및/또는 셀 감시의 주기를 제어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수신 신호로부터 이동 속도 또는 고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구비하고, 관리부는 상기 이동 속도 또는 고도의 측정 결과에 의해 셀 검출 및/또는 셀 감시의 주기를 제어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관리부가 외부 전원 정보, 서비스 정보, 확산율 정보 및 오류율 정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의해 셀 검출 및/또는 셀 감시의 주기를 제어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들의 구성에 의하면, 여러 가지의 이벤트에 의해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빈도를 제어하여, 가능한 한 소비 전력을 절약해서 통화 시간이나 수신 대기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지국 장치는 상기 통신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도중에서 끊기는 일없이, 또한 소정의 통신 품질을 유지하여 핸드오버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방법은, 송신측에서 사용한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 대해서 행한 상관 연산 처리의 결과에 근거하여 셀 검출을 행하는 셀 검출 공정과, 상기 상관 연산 처리의 결과를 이용하여 셀 감시를 행하는 셀 감시 공정과, 상기 셀 검출의 결과 및 상기 셀 감시의 결과에 근거하여 기지국마다 분류하여 관리하는 관리 공정과, 이벤트에 따라 셀 검출 및/또는 셀 감시의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 공정을 구비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여러 가지의 이벤트에 따라 동적으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빈도를 제어하여, 가능한 한 소비 전력을 절약하여 통화 시간이나 수신 대기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있어서의 셀 관리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오버를 확실히 행하여, 핸드오버시의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는, 여러 가지의 요인(이벤트)에 의해 동적으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의 빈도를 제어하여 적게 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소비 전력을 절약해서 통화 시간이나 수신 대기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셀 검출이나 셀 감시에 있어서의 셀 관리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오버를 확실히 행하여, 핸드오버시의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1999년 12월 1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평성 제 11-353672 호에 근거한다. 이 내용은 전부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
본 발명은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단말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송신측에서 사용한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 대해서 행한 상관 연산 처리의 결과에 근거하여 셀 검출을 실행하는 셀 검출 수단과,
    상기 상관 연산 처리의 결과를 이용하여 셀 감시를 행하는 셀 감시 수단과,
    상기 셀 검출의 결과 및 상기 셀 감시의 결과에 근거하여 기지국마다 분류해서 관리하는 셀 관리 테이블과,
    이벤트에 따라 셀 검출 및/또는 셀 감시의 주기를 제어하는 관리 수단
    을 구비하는 통신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관리 수단은 상기 셀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레벨 또는 기지국의 수에 의해 셀 검출 및/또는 셀 감시의 주기를 제어하는 통신 단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관 연산 결과를 이용하여 핑거마다의 수신 품질을 감시하는 감시 수단을 구비하고, 관리 수단은 상기 수신 품질에 의해 셀 검출 및/또는 셀 감시의 주기를제어하는 통신 단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관리 수단은 수신 신호의 이득 정보에 의해 셀 검출 및/또는 셀 감시의 주기를 제어하는 통신 단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 신호로부터 이동 속도 또는 고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관리 수단은 상기 이동 속도 또는 고도의 측정 결과에 의해 셀 검출 및/또는 셀 감시의 주기를 제어하는 통신 단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관리 수단은 외부 전원 정보, 서비스 정보, 확산율 정보 및 오류율 정보로 이루어지는 군(群)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의해 셀 검출 및/또는 셀 감시의 주기를 제어하는 통신 단말 장치.
  7. 통신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장치로서,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송신측에서 사용한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 대해서 행한 상관 연산 처리의 결과에 근거하여 셀 검출을 행하는 셀 검출 수단과,
    상기 상관 연산 처리의 결과를 이용하여 셀 감시를 행하는 셀 감시 수단과,
    상기 셀 검출의 결과 및 상기 셀 감시의 결과에 근거하여 기지국마다 분류해서 관리하는 셀 관리 테이블과,
    이벤트에 따라 셀 검출 및/또는 셀 감시의 주기를 제어하는 관리 수단
    을 구비하는 기지국 장치.
  8. 송신측에서 사용한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 대해서 행한 상관 연산 처리의 결과에 근거하여 셀 검출을 실행하는 셀 검출 공정과,
    상기 상관 연산 처리의 결과를 이용하여 셀 감시를 행하는 셀 감시 공정과,
    상기 셀 검출의 결과 및 상기 셀 감시의 결과에 근거하여 기지국마다 분류해서 관리하는 관리 공정과,
    이벤트에 따라 셀 검출 및/또는 셀 감시의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 공정
    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01-7010175A 1999-12-13 2000-12-05 통신 단말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0441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367299A JP3440044B2 (ja) 1999-12-13 1999-12-13 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JP-P-1999-00353672 1999-12-13
PCT/JP2000/008604 WO2001043474A1 (fr) 1999-12-13 2000-12-05 Terminal de communication et procede de communication sans f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066A true KR20010102066A (ko) 2001-11-15
KR100441701B1 KR100441701B1 (ko) 2004-07-27

Family

ID=1843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175A KR100441701B1 (ko) 1999-12-13 2000-12-05 통신 단말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440044B2 (ko)
KR (1) KR100441701B1 (ko)
CN (1) CN114718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1233B2 (ja) * 2001-08-22 2011-02-16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ルラ電話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セルサーチ方法
JP2004289226A (ja) * 2003-03-19 2004-10-14 Nec Corp 携帯情報端末及びハンドオーバー解決方法
KR100606129B1 (ko) 2003-04-30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측정 및보고 방법
JP3764152B2 (ja) 2003-06-17 2006-04-05 株式会社東芝 移動通信端末のハンドオフ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
JP4470557B2 (ja) 2004-03-31 2010-06-0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4770146B2 (ja) * 2004-09-14 2011-09-14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6246121A (ja) * 2005-03-04 2006-09-14 Nec Corp 携帯端末、受信回路制御装置及び受信回路制御方法
JP4485573B2 (ja) * 2005-06-09 2010-06-23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
JP2009506605A (ja) * 2005-08-24 2009-02-12 ブリティッシュ・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パブリック・リミテッド・カンパニー 異なるスキャン・レートを用いるマルチ・モード携帯端末
US8249636B2 (en) * 2005-10-12 2012-08-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dverse channel conditions and conserving power
JP4742929B2 (ja) * 2005-10-18 2011-08-10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移動体通信方法
TW201036387A (en) 2005-11-04 2010-10-01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3GPP service primitives to media independent handover event services
JP4830611B2 (ja) * 2006-04-26 2011-12-0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そのセル選択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5176961B2 (ja) 2006-09-25 2013-04-03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およびその移動速度検出方法
US8289920B2 (en) * 2007-03-16 2012-10-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ff between access systems
US20090047958A1 (en) * 2007-08-16 2009-02-19 Anna Pucar Rimhagen Neighbor List Management for User Terminal
US8155699B2 (en) 2007-08-27 2012-04-10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RU2461127C2 (ru) 2007-10-08 2012-09-10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пособ и схема для уровня активности событийно запускаемого адаптивн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сот при прерывистом приеме
CN101919289B (zh) * 2007-11-27 2013-07-10 夏普株式会社 移动台装置、无线通信系统、移动台装置控制方法
US9313720B2 (en) 2008-03-27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Power efficient small base station scanning and acquisition
JP5366937B2 (ja) * 2008-05-02 2013-12-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無線基地局
JP5202102B2 (ja) * 2008-05-22 2013-06-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品質測定方法
US9386431B2 (en) * 2008-08-05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Battery efficient method to search for preferred femtocell
CN103167568B (zh) * 2011-12-15 2016-06-1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切换控制方法与装置、网络设备
US9479955B2 (en) * 2012-03-30 2016-10-25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measurement rates to speed up cell resele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40044B2 (ja) 2003-08-25
CN1345519A (zh) 2002-04-17
CN1147189C (zh) 2004-04-21
JP2001169339A (ja) 2001-06-22
KR100441701B1 (ko) 200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701B1 (ko) 통신 단말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US7139571B1 (en) Cell search control method, mobil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100259907B1 (ko) 이동국
KR100388924B1 (ko) 인접 셀 검색 제어 방법, 이동국, 및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709933B1 (ko) 무선통신장치에서의 커버리지 에지의 검출용 시스템 및 방법
CN101822097B (zh) 非连续接收中事件触发的自适应小区检测活动性等级的方法和配置
JPH10191428A (ja) ハンド・オフ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H1133191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周波数間ハンドオフ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030060244A1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JPH10191426A (ja) ハンド・オフ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KR20090008259A (ko) 이동국 및 기지국
KR20000003009A (ko) 셀룰러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탐색 범위설정 방법
EP1744581B1 (en) Method for performing roaming capable of minimizing pingpong phenomenon and dual mode mobile terminal using same
JP2001128215A (ja) Tdma−tdd方式送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方法
US6973310B2 (en) Fast reacquisition after long sleep
JP2007027877A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ハンドオーバ方法
JP4469136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20020137513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EP2116073B1 (en) A mobile station with a semi-active mode
EP1152624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07003637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셋트 관리 방법과 이를이용한 파일럿 채널 탐색기
US6678530B1 (en) Dynamic power control of a channel signal
JPH11234284A (ja) 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送信電力制御方法
US20030228870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control signal receiving quality during handover
WO2004045236A1 (en) Fast reacquisition after long sleep in slotted mode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