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826A - 차량의 시트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와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와 조절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101826A KR20010101826A KR1020017010000A KR20017010000A KR20010101826A KR 20010101826 A KR20010101826 A KR 20010101826A KR 1020017010000 A KR1020017010000 A KR 1020017010000A KR 20017010000 A KR20017010000 A KR 20017010000A KR 20010101826 A KR20010101826 A KR 200101018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ing
- vehicle
- seat
- parts
- adjust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ith independent front and/or rear adjus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92—Multiple configuration seats, e.g. for spacious vehicles or mini-bu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853—Linear actuator, e.g. screw mechanis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ith weight compensa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specially constructed for use on tractors or like off-road vehicles
- B60N2/39—Seats tiltable to compensate for roll inclination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트의 프레임 구조물(4, 5, 6)들은 전방에 기어 유닛(39)을 구비한 구동 모터(40)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으며, 차량의 시트는 두 개의 평행 시트 레일(1, 2)에 설치된다. 상기 차량 시트의 프레임 구조물(4, 5, 6)들은 리프팅 부품(8, 9, 10)에 의해 구 모양을 이루면서 두 개의 다른 평면으로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오늘날의 일반적인 차량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승객은 주행을 시작하기 전에 차량에서 가장 유리하면서 편안하다고 느끼는 시트 위치를 선택한다. 주행 동안, 횡가속도가 발생하는 경우, 예를 들어 곡선 주로를 통과하는 경우에 차량의 승객은 보통 관성력을 느끼게 된다. 또한,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제동 및 지연 상태로부터 관성력이 발생하기도 한다. 주행 동안, 승객에게 작용하는 힘으로서 주행 상태에 따른 동적인 힘으로 인하여 차량 시트의 쿠션과 차량 승객 사이에서 승객이 매우 불쾌하게 느낄 수 있는 전단 응력이 발생한다. 특히, 전단 응력의 양이 차량의 승객 개개인에게 허용 가능한 한계값들을 넘어서는 경우에 차량의 승객은 심하게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차량의 승객은 자신의 시트 위치를 이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행 동안에는 시트 위치를 조절하지 않으며 이 시트 위치는 주행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리프팅 부품에 배치된 프레임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3점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스페이스 로드를 구비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플랜지형 셀프 로킹 기어와 구동 모터를 구비한 리프팅 부품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여러 가지 구동 위치에서의 리프팅 부품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리프팅 부품과 포크형 스페이스 로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복수의 리프팅 부품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시트 레일 3, 20: 프로파일
4, 5: 측단부판 6: 대각선 트러스부
7, 11: 스페이스 로드 8: 전방 리프팅 부품
9, 10: 후방 리프팅 부품 12: 외부 안내관
13: 내부 안내관 14: 스트랩
15, 37: 볼트 16: 스핀들 머더
17: 내부 스프링 18: 외부 스프링
19: 러그 21: 탄성 지지 부품
22: 모터 홀더 23: 나사형 스핀들
24: 중공 챔버 25: 블록 위치
26: 진행 위치 27: 최대 위치
28: 조절 블록 29: 전기 접점
30: 앵글 로드 31: 베어링 포크
32: 구멍 33: 고정 앵글
34, 35: 시트 홀더 36: 하부 고정 밴드 고정부
38: 링 39: 기어 유닛
40: 구동 모터 41: 가속도 센서
42: 가속도(ax) 43: 횡가속도(ay)
44: 제어 장치 45: 작동 부품
46: 반도체 스텝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해결책을 통하여,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센서에 의해서 검출된 힘의 지연 정도에 기초하여 차량 시트를 차량의 전방과 반대로 조절할 수 있다. 관성력에 의해서 곡선 주행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횡가속도력은 발생된 관성력에 대항하도록 차량의 시트를 3점 지지를 통하여 곡선의 중심점쪽으로 종축을 중심으로 기울릴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직각 주행시에, 리프팅 부품(lifting element)은 종축을 중심으로 차량의 시트를 기울리기 위하여 오른쪽 리프팅 부품에 비례하여 위쪽으로 진행한다.
상기 프레임 구조물 아래쪽에 배치된 리프팅 부품은 3점 지지 부품을 구성하며, 이 3점에서 프레임 구조물의 전방측에는 중간에 배치된 리프팅 부품이 제공되며, 프레임 구조물의 위치 조정은 차량의 차축과 평행하게 설정된 차량의 종축을 중심으로 프레임 구조물의 후방 영역에 배치된 두 개의 독립 제어 리프팅 부품에 의해서 가능하다.
갑자기 발생된 충돌력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리프팅 부품은 스페이스 로드(space rod)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스 로드를 배치함으로써, 차량의 시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물의 아래쪽에서 차량의 시트는 직선 경로를 따라서 상하로 운동하는데, 이외에도 스페이스 로드를 배치함으로써 상하축에 대하여 차량 시트의 회전에 대하여 안정성을 부여한다. 또한, 스페이스 로드는 차량의 차대에서 충돌시 발생하는 힘을 진단한다. 상기 리프팅 부품에는 한편으로 구동 모터와 구동 스핀들 사이에서 자기 밀봉(self sealing)이 제공되며, 또한 스핀들 머더의 아래쪽에서 스프링 부품이 제공된다. 상기 스프링 부품은 나사형 스프링과 병렬로 접속될 수 있으며, 또는 스프링 패킹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스프링패킹은 상향 행정 운동 동안 프레임 구조물을 지지하는 리프팅 부품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은 행정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리프팅 부품은 서로 안쪽에 삽입되는 망원경 형태 내부 및 외부관을 포함한다. 상기 관을 배치함으로써 구동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나사형 스핀들에 의해서 이 스핀들의 스핀들 머더를 하부 위치에서 둘러싸며 스프링 부품을 폐쇄하고, 최대 진행 위치는 리프팅 부품의 외부에 제공된 낙하산 멜빵 모양의 벨트에 의해서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추가로 제공된 차량 시트의 프레임 구조물 조절 방법에 의해서 상기 리프팅 부품은 차량 시트의 프레임 구조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주행시 차량 시트가 주행 위치에 따라서 발생된 힘에 대항하여 조절되는 형태로 센서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것은 한편으로 차량을 제동할 때 센서에 의해 초기화되는 차량 시트의 흔들림 운동을 초기화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차량이 곡선 주로를 통과할 때 곡선의 중심을 향하여 종축을 중심으로 차량의 종축과 나란하게 기울릴 수 있다. 상기 차량 시트의 아래쪽에서 프레임 구조물의 리프팅 부품을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것 외에도, 차량 시트는 차량의 서보 로드와 같은 유압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리프팅 부품에 지지된 프레임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프레임 구조물(4, 5, 6)들은 대각선 트러스부(6; diagonal truss)에 의해서 상호 결합되는 측단부판(4, 5; side-panel end plate)으로 형성된다. 측단부판(6)의 중앙에는 프로파일(3)에 지지되는 리프팅 부품(8)이 존재한다. 도면의 수평면과 수직하게 연장된 시트 레일(1, 2)들은 상기 프로파일(3)에 의해서 상호 결합된다. 제 1 리프팅 부품(8)과 양 후방측 리프팅 부품(9, 10)들 사이에는 스페이스 로드(7)가 연장되며, 한편 후방에 도시한 양 리프팅 부품(9, 10)들은 이 부품들 사이에 연장된 로드 형태의 다른 스페이스 로드(11)와 결합된다. 전기 구동 모터가 각각 제공된 상기 리프팅 부품(8, 9, 10)들은 망원경 형태의 안내관(12, 13)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관(12, 13)에는 스트랩(14; strap)이 제공되며 이 스트랩의러그(19; lug)는 볼트(15)에 걸려있기 때문에, 외부 안내관(12)으로부터 내부 안내관(13)이 뻗어나올 수 있는 최대 가능 돌출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리프팅 부품(8, 9, 10)의 스트랩(14)은 각각 볼트(37)에 의해서 하부 스트랩 고정부(36)에 죄여진다.
상기 대각선 트러스부(6)의 중앙에서 프레임 구조물(4, 5, 6,)의 전방 부품에 링크된 전방측 리프팅 부품(8)은 프로파일(3)에 지지되며, 한편 양 후방측 리프팅 부품(9, 10)들은 시트 레일(1, 2)에 설치된다. 후방측 리프팅 부품(9, 10)들 사이에는 대각선으로 연장된 스페이스 로드(11)가 배치되는데, 이 스페이스 로드는 리프팅 부품(10)의 상단부를 리프팅 부품(9)의 하단부와 결합시킨다. 상기 리프팅 부품(8, 9, 10)의 각각은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탄성적으로 형성된 베어링 부품(21)에 의해서 프레임 구조물(4, 5, 6)과 결합된다.
전방측 리프팅 부품(8)의 내부 안내관(13)이 뻗어 나오면서 프레임 구조물(4, 5, 6)들이 도면의 지면과 수직하게 후방측 리프팅 부품(9, 10)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기울리게 되면 상기 프레임 구조물(4, 5, 6)들에서 흔들림 운동이 발생한다.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곡선 주로를 통과할 때 프레임 구조물(4, 5, 6)이 이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된 시트와 함께 곡선 주로의 중심쪽으로 기울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리프팅 부품(9, 10)의 내부는 내려앉게 되고 리프팅 부품(9, 10)의 각 외부는 뻗어나올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구조물(4, 5, 6)이 종축을 중심으로 기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페이스 로드(11)에서 두 개의 막대기형 부품들을 서로 교대로 밀치는 형태로 길이 보상(length compensation)이 실시된다. 전방측리프팅 부품(8)의 볼트(15)에 고정된 스페이스 로드(7)에서도 상응하는 길이 보상이 실시되며, 상기 스페이스 로드의 양 후방측 포크형 단부들은 프레임 구조물(4, 5, 6)이 양 후방측 리프팅 부품(9, 10)에 의해서 형성된 힌지점을 중심으로 흔들릴 수 있는 형태로 시트 레일(1, 2)에 조여진다.
상기 리프팅 부품(8, 9, 10)의 각각은 약 50mm의 상승 영역을 갖는데, 3개의 리프팅 컬럼(8, 9, 10)의 배치를 고려할 때 상기 프레임 구조물(4, 5, 6)들은 좌우로 약 10o정도 기울린다. 상기 프레임 구조물(4, 5, 6)의 흔들림 각도는 리프팅 부품(9, 10)에서 후방측 힌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로 약 10o정도에 해당한다. 리프팅 부품(8, 9, 10)의 하단부에 각각 제공되고 기어(39)를 프레임 구조물(4, 5, 6)의 중간 위치로부터 약 25mm의 높이만큼 상승시키며 6.5mm/s의 조절 속도를 갖는 구동 모터(40)를 이용함으로써 3.85sec의 조절 시간이 가능하다.
도 2에 따른 도면은 프레임 구조물의 3점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뒤쪽에 배치된 부품을 가리지 않기 위하여 측단부판(4, 5) 중 한쪽을 생략한다. 양 후방측 부품(9, 10)들에는 각각 시트 홀더(34, 35)가 구부러진 박판 프로파일의 형태로 고정되며, 이 시트 홀더에는 연속된 프레임 구조물(4, 5, 6)들 중 측단부판(4, 5)이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 구조물(4, 5, 6)의 전방 영역에 배치된 대각선 트러스부(6)는 양 후방측 리프팅 부품(9, 10)을 중심으로 프레임 구조물(4, 5, 6)의 흔들림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전방측 리프팅 부품(8)에 의해서 중간에 지지된다. 부분적으로 절개한 후방 리프팅 부품(9, 10)에서는 이 부품의 나사형 리프팅 스핀들(23)이 서로 엇갈린 상태로 안내되어 병렬 접속된 두 개의 스프링 부품(17, 18)들에 의해 둘러싸인 것을 알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스프링 부품들은 리프팅 스핀들(23)을 따라서 움직이는 나사형 머더(28)의 상향 운동을 보조하며, 상기 스프링 부품(17, 18)들은 아래쪽을 향하는 위치에서 블록에 압착되는 형태로 예비 인장된다.
여기서 매우 단순하게 도시한 스페이스 로드(11)는 한편으로 리프팅 부품(10)의 상부 볼트(15)에 고정되며, 다른 한편으로 리프팅 부품(9)의 모터 홀더(22)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모든 리프팅 부품(8, 9, 10)들에는 스냅형 링(38)을 갖는 스트랩(14)이 제공되는데, 이 스트랩(14)은 러그(19)에 의해서 볼트(15, 37) 상에 고정되어 외부 안내관(12)으로부터 내부 안내관(13)의 진행을 제한한다. 상기 리프팅 부품(8, 9, 10)들을 상호 결합하는 스페이스 로드(7, 11)는 프레임 구조물(4, 5, 6)이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의 직선 조절 운동과 변환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스페이스 로드(7, 11)를 이용함으로써, 사고시 발생하는 큰 힘은 차량의 차대에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스 로드(7, 11)는 프레임 구조물(4, 5, 6)이 상하축을 중심으로 비틀리게 되는 것을 차단하며 발생된 관성력을 수용한다. 프레임 구조물(4, 5, 6)의 기초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시트 레일(1, 2)에는 고정 앵글(33)을 통하여 모터 홀더(22)가 고정된다.
도 3은 리프팅 부품(8, 9, 10)에 의해 3지점에서 지지된 프레임 구조물(4, 5, 6)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평면도로부터 각 리프팅 부품(8, 9, 10)들 사이에서 스페이스 로드(7,11)가 진행함을 알 수 있다. 시트 레일(1, 2)의 상부에는 프로파일(3)에 의해서 기울림 및 회전 가능한 프레임 구조물(4, 5, 6)이 결합된다. 후방 리프팅 부품(9, 10)의 상단부에는 각각 시트 홀더(34, 35)가 제공되며, 이 시트 홀더에는 측단부판(4, 5)이 차량의 시트를 수용하기 위하여 결합된다. 리프팅 부품(8, 9, 10)의 각각에는 적절한 구동 장치(40)가 배치되는데, 여기서 프레임 구조물(4, 5, 6)의 아래쪽에 제공된 시트 레일(1, 2)은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하여 고정 앵글(33)을 거쳐서 상호 조여진다. 후방 영역에서 시트 레일(1, 2)에는 스페이트 로드(7)가 회전 가능하게 조여지며, 그 결과 프레임 구조물(4, 5, 6)은 후방 리프팅 부품(9, 10)에 배치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후방 힌지점을 중심으로 흔들림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여러 가지 리프팅 부품(8, 9, 10)의 측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리프팅 부품(8, 9, 10)들은 콤팩트한 구조의 단일체로 형성되며, 이 부품은 50 내지 60mm 사이의 조절 영역을 가질 수 있는 망원경 형태의 관(12, 13)을 포함하는데, 스트랩(14)은 최대 진행 영역에서 러그(19)에 의해서 상하 볼트(15, 37)에 걸린다. 내부 안내관(13)의 상단부에는 탄성 베어링 부품(21)이 존재하며, 이 베어링 부품에 의해서 각 리프팅 부품(8, 9, 10)은 프레임 구조물(4, 5, 6)에 고정될 수 있다. 리프팅 부품(8, 9, 10)의 하부 영역에는 구동 모터(40)가 모터 홀더(22)를 거쳐 자기 밀봉식 기어 유닛(39)과 결합되며, 이 기어 유닛에 의해서 리프팅 부품(8, 9, 10)의 내부에 배치된 나사형 스핀들(23)은 회전 상태로 조절될 수 있다. 구동 모터(40)의 상부에는 이 모터의 전기 접점(29)이 배치되며, 이 접점에 의해서 구동 모터(40)는 12V의 네트워크 전압원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여러 가지 구동 위치에 있는 리프팅 부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리프팅 부품(8, 9, 10)의 내부 안내관(13)은 탄성적으로 형성된 내부 베어링 부품(21)을 포함하며, 이 베어링 부품에 의해서 내부 안내관은 프레임 구조물(4, 5, 6)의 각 구성 부품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파일(20)은 프레임 구조물(4, 5, 6)의 구성 부품들 모두에 배치된다. 내부 안내관(13)은 나사형 머더로서 형성된 조절 블록(28)의 상단부에 지지된다. 상기 기어 유닛(39)과 구동 모터(40)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나사형 스핀들(23)은 중공 챔버(24)에서 내부 안내관(13)으로 돌출하여 스프링 부품(17, 18)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작용한다.
도면부호 25로 표기한 위치에서, 병렬 접속된 상태로 나사형 스프링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 스프링 부품(17, 18)들 중 하나가 블록에 압착되며, 따라서 리프팅 부품(8, 9, 10)의 하부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조절 블록(28)은 회전 고정된 상태로 외부 안내관(12)으로 둘러싸이며 나사형 스핀들(23)의 회전에 의해서, 예를 들어 위치(26)로 표기한 중간 구동 위치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리프팅 부품(8, 9, 10)은 위치(26)에서 ±25mm의 조절 영역에 거쳐서 양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병렬 접속된 양 나사형 스프링(17, 18)들은 나사형 스핀들(23)을 따라서 상향 운동할 때 조절 블록(28)을 지지한다. 도면부호 27로 표기한 최대 위치에서, 조절 블록(28)은 최대 위치에서 나사형 스핀들(23)을 따라서 운동하며, 상기 스프링 부품(17, 18)은 이완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병렬 접속된 스프링 시스템은 상향 운동시 스핀들의 배치를 해제한다. 전방 리프팅 부품(8)의 경우에, 최대 위치(27)는양 후방 리프팅 부품(9, 10)에서 프레임 구조물(4, 5, 6)의 후방 지지점에 대하여 차량 시트면의 기울림 각도, 약 8o에 해당한다. 이 위치는, 예를 들어 주행시 센서에 의해서 제동하거나 지연 상태 동안 차량의 승객에 작용하는 지연력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 구조물(4, 5, 6)의 후방 리프팅 부품(9, 10)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차량이 곡선 주로를 통과할 때, 예를 들면 리프팅 부품(9, 10)의 곡선 안쪽은 도 5에 따른 위치(25)에 해당하는 프레임 구조물(4, 5, 6)의 후방 영역에서 운동하며, 한편 외부 리프팅 부품(9, 10)은 도 5에 따른 중간 위치(26)를 수용하며, 이로 인하여 주행시, 차량 시트를 수용하는 프레임 구조물(4, 5, 6)은 종축을 중심으로 기울리게 된다.
3점 지지부로서 구성된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에 의해서, 주행시 차량 시트의 구형 조절이 가능하며, 이것은 시트 표면과 차량 승객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용도로 주행 위치에 따라서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도 6은 리프팅 부품과 부분 스페이스 로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리프팅 부품(8, 9, 10)은 내부 안내관(13)의 표면에서 두 개의 고정 앵글 사이에 수용된 탄성 베어링 부품(21)을 갖는다. 리프팅 부품(8, 9, 10)에는 볼트(15, 37)가 고정되며, 이 볼트에서 스트랩(14)이 단부쪽에 배치된 러그에 의해서 걸릴 뿐만 아니라 스핀들 운동을 발생시키는 탄성 구동 장치(40)를 갖는다. 상기 전기 구동 장치(40) 대신에, 리프팅 부품(8, 9, 10)은 서보 로드와 같은 차량의 유압 시스템 내에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예에 의해서, 예를 들어 차량 시트의 곡선 주로상의 기울림을 조향 운동과 연관시킬 수 있다.
도 6에서는 스페이스 로드(7)의 구성을 도시하며, 이 스페이스 로드는 베어링 포크(31)에 의해서 전방 리프팅 부품(8)에 고정되어 단부에 제공된 앵글 로드(30)에 의해서 시트 레일(1, 2)에 조여진다. 상기 스페이스 로드(7)와 시트 레일(1, 2)의 결합은 스페이스 로드(7)가 후방 힌지점을 중심으로 프레임 구조물(4, 5, 6)의 흔들림 운동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이 프레임 구조물은 각 시트 레일(1, 2)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7은 매우 단순한 형태의 전기 구동 모터(40)의 제어 방식을 도시한다.
3개의 모터(40)에 대한 변형예에서는 3개의 지지점에서 프레임 구조물(4, 5, 6)의 지지 형태가 제공된다. 상기 리프팅 부품(8, 9, 10)의 각각에 배치된 구동 장치는 주행 위치에 따라 측정된 가속도(ax, ay)에 따라서 제어된다. 이를 위하여, 2축 가속 센서(41)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가속 센서 중 제 1 가속축(42)은 차량이 가속되거나 지연될 때 발생하는 x방향 가속도(ax)를 나타낸다. 다른 축(43)에서는 곡선 가속도(ay)가 계산된다.
상기 가속도(ax, ay)는 제어 장치(44)에서 계산되며, 이 제어 장치에 의해서 부품(8, 9, 10)의 구동 모터(40)가 가속도 측정에 의해서 계산된 주행 위치에 상응하게 제어된다. 상기 제어 장치에는 간단한 방식으로 반도체 스텝(46)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 반도체 스텝에 의해서 회전 조절 가능한 방식으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44)는 작동 부품(45)과 결합한다.
Claims (17)
- 차량의 시트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시트의 프레임 구조물(4, 5, 6)들은 전방에 기어 유닛(39)을 구비한 구동 모터(40)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으며, 차량의 시트는 두 개의 평행 시트 레일(1, 2)에 설치되는 조절 장치에 있어서,상기 차량 시트의 프레임 구조물(4, 5, 6)들은 리프팅 부품(8, 9, 10)에 의해 구 모양을 이루면서 두 개의 다른 평면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리프팅 부품(8, 9, 10)들은 프레임 구조물(4, 5, 6)의 아래쪽에서 3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리프팅 부품(8, 9, 10)들은 스페이스 로드(7, 11)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부품(8, 9, 10)들은 개별로 배치된 구동 장치(39, 40)에 의해서 프레임 구조물(4, 5, 6)에 고정된 시트가 주행 위치에 따라서 발생된 힘에 대항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부품(8, 9, 10)들을 운동시키기 위하여 리프팅 부품들에는 스프링 부품(17, 18)이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품(17, 18)들은 병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품(17, 18)들은 스프링 패킹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부품(8, 9, 10)들은 망원경 형태로 움직일 수 있는 관(12, 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나사형 스핀들(23)에서 리프팅 부품(8, 9, 10)에 제공된 조절 블록(28)은 스프링 부품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망원경 형태의 관(12, 13)에 고정된 스트랩(14)에 의해서 프레임 구조물(4, 5, 6)들을 리프팅 부품(8, 9, 10)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부품(8, 9, 10)의 최대 진행 위치(27)는 망원경 형태의 관(12, 13)에 고정된 스트랩(14)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4, 5, 6)들은 리프팅 부품(9, 10)에 의해서 종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4, 5, 6)의 흔들림 각도는 전방 대각선 트러스부(6)에 수용된 상태로 중간에 배치된 리프팅 부품(8, 9)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 차량 시트의 프레임 구조물(4, 5, 6)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4, 5, 6)은 구동 모터(40)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는 조절 방법에 있어서,상기 차량의 프레임 구조물을 수용하는 리프팅 부품(8, 9, 10)들은 차량 시트가 주행 위치에 따라서 발생된 힘에 대항하여 조절될 수 있도록 센서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곡선 주로를 주행할 때, 차량 시트를 수용하는 프레임 구조물(4, 5, 6)들은 종축을 중심으로 곡선의 중심을 향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지연 상태에서 상기 중간 리프팅 부품(8)은 프레임 구조물(4, 5, 6)을 후방 리프팅 부품(9, 10)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부품(8, 9, 10)들은 차량의 서보 로드와 같은 유압 시스템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9959411.2 | 1999-12-09 | ||
DE19959411A DE19959411A1 (de) | 1999-12-09 | 1999-12-09 |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stellung von Sitzen in Fahrzeugen |
PCT/DE2000/004210 WO2001042040A1 (de) | 1999-12-09 | 2000-11-25 |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stellung von sitzen in fahrzeuge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101826A true KR20010101826A (ko) | 2001-11-14 |
Family
ID=793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7010000A KR20010101826A (ko) | 1999-12-09 | 2000-11-25 | 차량의 시트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와 조절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543792B1 (ko) |
EP (1) | EP1152916B1 (ko) |
JP (1) | JP2003516267A (ko) |
KR (1) | KR20010101826A (ko) |
DE (2) | DE19959411A1 (ko) |
WO (1) | WO200104204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3563B4 (de) * | 2002-01-29 | 2007-09-13 | Bühler Motor GmbH | Stellantrieb zum Einstellen eines beweglichen Sitzelements |
JP2007295379A (ja) * | 2006-04-26 | 2007-11-08 | Funai Electric Co Ltd | 薄型テレビ |
DE102008032162B3 (de) | 2008-07-08 | 2009-12-03 | Keiper Gmbh & Co. Kg | Sitzverstelleinrichtung |
CN102858590B (zh) * | 2009-11-20 | 2015-09-30 | 哥伦比亚国防部空军 | 直升飞机飞行员座椅中的减振装置 |
DE102010046205A1 (de) * | 2010-09-21 | 2012-03-22 | Audi Ag |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zur Verkippung eines Sitzes eines Kraftfahrzeugs ausgebildeten Aktorik und Kraftfahrzeug |
JP5598557B2 (ja) | 2013-01-10 | 2014-10-0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シート装置 |
US10046677B2 (en) | 2013-04-23 | 2018-08-14 | Clearmotion Acquisition I Llc | Seat system for a vehicle |
DE102015204516A1 (de) * | 2015-03-12 | 2016-09-15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 Sitzstruktur für einen Fahrzeugsitz |
US10543758B2 (en) * | 2016-07-14 | 2020-01-2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Reduction of unwanted motion in vehicles |
US10245987B2 (en) * | 2016-12-22 | 2019-04-02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Active vehicle seat architecture for inertial compensation in motor vehicles |
US10801593B2 (en) | 2017-04-26 | 2020-10-13 | Paratech, Incorporated | Strut extender mechanism |
DE102018009665B3 (de) * | 2018-12-10 | 2020-02-20 | Daimler Ag | Fahrzeugsitz mit einer Einstellvorrichtung und Fahrzeug mit einem solchen Fahrzeugsitz |
US11230207B2 (en) | 2020-04-13 | 2022-01-25 | Hyundai Motor Company | Multidirectional control apparatus for vehicular seat |
CN111759594A (zh) * | 2020-08-04 | 2020-10-13 | 杭州美美橙健康科技有限公司 | 一种医疗诊断平台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21107A (en) * | 1958-12-18 | 1962-02-13 | Kenneth C Salo | Self leveling tractor and implement seat |
DE2233674C3 (de) * | 1972-07-08 | 1981-01-08 | Bremshey Ag, 5650 Solingen | Abgefederter Sitz, insbesondere Fahrzeugsitz |
DE3129101A1 (de) * | 1981-07-23 | 1983-03-03 |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 Co Kg, 5630 Remscheid | Laengenveraenderbare vorrichtung zum verstellen der position eines fahrzeugsitzes |
US4793583A (en) * | 1986-11-10 | 1988-12-27 | Bergacker John W | Method and apparatus for hydraulically actuating a vehicle seat |
FR2647726B1 (fr) * | 1989-06-02 | 1991-09-20 | Peugeot | Dispositif d'orientation d'un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
DE3935909A1 (de) * | 1989-11-01 | 1991-05-02 | Vnii Ochrany Truda I Techniki | Aufhaengung des sitzes von fahrzeugen |
US5294085A (en) * | 1992-11-10 | 1994-03-15 | Comfort Ridge Usa, Inc. | Shock and vibration isolation apparatus for motor vehicle seats |
FR2706826B1 (ko) * | 1993-06-24 | 1995-08-25 | Bfa | |
KR950000937U (ko) * | 1993-06-30 | 1995-01-03 | 운전식 균형장치 | |
AUPM985394A0 (en) * | 1994-12-02 | 1995-01-05 | Henderson's Industries Pty Ltd | Seat height adjustment |
US5586740A (en) * | 1994-12-19 | 1996-12-24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Chuckless power seat adjuster slide |
US5765803A (en) * | 1995-12-15 | 1998-06-16 | Graham; David S. | Vehicle seat suspension system |
DE19624587A1 (de) | 1996-06-20 | 1998-01-22 | Lear Corp | Sitz |
DE19750223C2 (de) * | 1997-11-13 | 2002-01-10 | Daimler Chrysler Ag | Verfahren zur fahrsituations- und fahrweisen bedingten Adaption der Seitenabstützung eines Sitzenden in einem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hierzu |
DE29815521U1 (de) | 1998-08-31 | 1998-12-03 | Thau, Barbara, 58285 Gevelsberg | Sitz für ein Fahrzeug |
-
1999
- 1999-12-09 DE DE19959411A patent/DE19959411A1/de not_active Ceased
-
2000
- 2000-11-25 JP JP2001543355A patent/JP2003516267A/ja active Pending
- 2000-11-25 DE DE50008667T patent/DE50008667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11-25 US US09/913,034 patent/US754379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11-25 WO PCT/DE2000/004210 patent/WO2001042040A1/de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0-11-25 KR KR1020017010000A patent/KR2001010182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0-11-25 EP EP00993311A patent/EP1152916B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50008667D1 (de) | 2004-12-23 |
EP1152916B1 (de) | 2004-11-17 |
US7543792B1 (en) | 2009-06-09 |
JP2003516267A (ja) | 2003-05-13 |
WO2001042040A1 (de) | 2001-06-14 |
EP1152916A1 (de) | 2001-11-14 |
DE19959411A1 (de) | 2001-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0101826A (ko) | 차량의 시트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와 조절 방법 | |
EP3526075B1 (en) | Active vibration isolation system | |
US4047759A (en) | Compact seat suspension for lift truck | |
US5882060A (en) | Motor vehicle seat | |
US8607910B2 (en) | Vehicle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seats or vehicle cabs | |
CN1839778B (zh) | 具有可调节斜度的车座的车 | |
US6257663B1 (en) | Vehicle seat for absorbing impact | |
US8678508B2 (en) | Horizontal springing means with inclination compensation | |
RU1788934C (ru) | Устройство компенсации крена кузова вагона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а при прохождении кривых | |
CN215436098U (zh) | 防晕车的座椅、防晕车的座椅姿态调整系统和车辆 | |
US6247413B1 (en) | Truck frame for railway rolling stock | |
JPH023554A (ja) | サスペンション装置 | |
US4057213A (en) | Seat for work machine or vehicle | |
FI112460B (fi) | Ajokoneisto kiskoajoneuvoja varten | |
US6110049A (en) | Device for simulating longitudinal and transverse accelerations on a vehicle compartment | |
CN1678484B (zh) | 有轨车辆的行走装置 | |
US20230182627A1 (en) | Passenger restraint system for roller coasters | |
JPH04172902A (ja) | 鉄道車両用パンタグラフ支持装置 | |
JP3115503B2 (ja) | 鉄道車両用車体傾斜装置付台車 | |
CN108583702A (zh) | 一种具有减震功能的陆地侦探车 | |
CN117360340A (zh) | 一种防晕车平衡装置、座椅及汽车 | |
JP3083833B2 (ja) | 鉄道車両用車体傾斜装置付台車 | |
JP3040802B2 (ja) | 鉄道車両用車体傾斜装置付台車 | |
GB2057260A (en) | Vehicle seat suspension | |
KR102485357B1 (ko) | 차량용 시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