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270A - 차등 강도의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를 갖는 흡수성 제품 - Google Patents

차등 강도의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를 갖는 흡수성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270A
KR20010101270A KR1020017007605A KR20017007605A KR20010101270A KR 20010101270 A KR20010101270 A KR 20010101270A KR 1020017007605 A KR1020017007605 A KR 1020017007605A KR 20017007605 A KR20017007605 A KR 20017007605A KR 20010101270 A KR20010101270 A KR 20010101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fastening element
absorbent article
absorben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3552B1 (ko
Inventor
크리스토퍼 피터 올손
Original Assignee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로날드 디. 맥크레이
Publication of KR20010101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61F13/496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characterized by the s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1회용 흡수성 제품은 제1 허리부에 배치된 1 이상의 제1 고정 요소 및 반대쪽 제2 허리부에 배치되는 1 이상의 제2 고정 요소를 갖는다. 상기 고정 요소는 떼어낼 수 있게 서로 맞물리도록 적합화되고, 1 이상의 고정 요소는 맞물림 특성이 서로 다른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요소는 함께 기본적인 고정 정도를 제공하는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 및 증가된 고정 정도를 제공하는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을 갖는 재고정가능하고 가변적인 위치를 갖는 이음매를 정의한다.

Description

차등 강도의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를 갖는 흡수성 제품{Absorbent Articles having Differential Strength Refastenable Seam}
현재 사용되는, 변기 연습 단계(potty training stage)를 마친 유아를 위한 1회용 흡수성 용변 연습용 팬츠는 특히 바람직하고 유용한 제품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와 같은 용변 연습용 팬츠는 액체 불투과성 외측 커버,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 및 흡수구조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샤시(chassis)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용변 연습용 팬츠는 흡수성 샤시의 대향면 모서리에 영구적으로 결합된 탄성 측면 패널을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샤시 및 측면 패널은 1개의 허리 개구부 및 2개의 다리 개구부를 형성한다. 나아가, 팬츠의 착용감(fit)은 허리 및 다리 개구부를 따라 있는 주름 수단에 의해 더 개선시킬 수 있다.
통상적인 용변 연습용 팬츠의 구성요소들은 서로 영구적으로 접합되어 내구성이 높은 팬츠 제품을 제공한다. 20 내지 48 개월된 아이들이 용변 연습용 팬츠를 착용하는 것이 전형적이기 때문에, 용변 연습용 팬츠에서 내구성은 특히 중요한 특성이다. 상기 연령대의 아이들은 기저귀를 차는 더 어린 갓난아이들보다 훨씬 더 활동적이고 운동성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활동성 및 운동성은 용변 연습용 팬츠가 사용중 상당한 정도의 변형에 견뎌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재 통용되는 용변 연습용 팬츠의 한가지 결점은 이를 착용하는 방법이 바지처럼 착용하는 방법에 한정된다는 것이다. 바지처럼 착용하는 방법은 많은 경우에 유리하고, 특히 활동적이고 걸어다니는 유아들에게 적합하다. 그러나, 같은 유아라도, 제품을 기저귀처럼 착용하는 것이 유용할 때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유아의 신발을 벗기는 것을 원하지 않을 때에는, 제품을 기저귀처럼 착용하는 것이 더 편리할 수도 있다. 의류(garment)를 착용하는 특정 방식이 언제 필요할 것인가를 예측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기저귀처럼 또는 바지처럼 사용될 수 있도록 적합화될 수 있는 의류가 유리하다. 이는 상기 두가지 착용 형태의 의류 모두를 준비하는 것보다 바람직하다. 기저귀처럼 또는 바지처럼 착용할 수 있는 제품에서는, 제품을 아래로 끌어 내릴 필요 없이 제품의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통용되는 용변 연습용 팬츠과 같은 내구성을 갖지만, 기저귀처럼 또는 바지처럼 착용될 수 있는 1회용 흡수성 제품이 바람직할 것이다.
발명의 요약
선행 기술에서 이루지 못한 상기 요구에 응하여,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1회용 흡수성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을 발견하였다. 상기 흡수성 제품은 반복적으로 붙이고 떼어내고 다시 붙일 수 있는 고정 시스템(fastening system)을 포함한다. 고정 시스템은 차등 강도 특성을 가지며 재고정가능하고 위치가 가변적인 이음매를 형성하는 고정재(fastner)를 사용하여, 고정재가 쉽게 떼어지고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선택된 부분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 비교적 높은 분리력을 견디도록 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종축, 횡축, 종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하는 제1허리부 및 제2 허리부, 및 상기 허리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허리부를 서로 연결하는 가랑이부를 갖는 흡수성 제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흡수성 제품은 흡수성 샤시 및 착용자 주위에 흡수성 제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을 포함한다. 고정 시스템은 흡수성 샤시에 부착되고 제1 허리부에 배치되는 1 이상의 제1 고정 요소 및 흡수성 샤시에 부착되고 제2 허리부에 배치되는 1 이상의 제2 고정 요소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고정 요소는 함께 기본적인 고정 정도를 제공하는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 및 증가된 고정 정도를 제공하는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을 갖는 재고정가능하고 위치가 가변적인 이음매를 정의한다. 선택된 부분에 증가된 고정 정도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증가된 고정 정도가 기본적인 고정 정도 보다 더 커야 한다.
제1 고정 요소 및 제2 고정 요소는 제1 허리부 및 제2 허리부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재고정가능하고 위치가 가변적인 이음매를 형성한다.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로 인해, 제품을 바지처럼 또는 기저귀처럼 착용할 수 있다. 만약, 사용중에 용변 연습용 팬츠가 더러워진다면, 제2 고정 요소로부터 제1 고정 요소를 떼어냄으로써 착용자의 의복 또는 다리를 원치 않게 더럽힐 위험을 적게하면서 착용자의 허리로부터 용변 연습용 팬츠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고정 요소를 서로 쉽게 분리하여 용변 연습용 팬츠가 더러워졌는지 여부를 확인해 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용변 연습용 팬츠는 통상적인 용변 연습용 팬츠처럼 착용자의 둔부 부분에서 착용되고 벗겨지도록 형태화되고, 통상적인 기저귀와 유사한 고정재를 떼어냄으로써 쉽게 착용되고 제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변적인 위치"란 용어는 유한한 수의 부착점에서 서로 맞물려 협동작용하는 고정점 고정재와는 대조적으로, 무한한 수의 부착점에서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재고정가능한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된 이음매를 기술하는데 사용된다. 재고정가능하고 위치가 가변적인 이음매를 형성하는 고정 요소로 적합한 것에는 후크/루프(hook-and-loop)형 재료, 접착제(점착제 포함) 등이 있다. 이에 비해, 고정점 고정재의 예로는 버클, 스냅, 후크/아이(hook-and-eye) 요소, 지퍼, 단추, 클래스프(clasp) 등이 있다. 이들은 위치가 가변적인 고정재이기 때문에, 착용자의 다리 및 둔부상에 용변 연습용 팬츠를 착용시킨 후 필요하다면 제1 및 제2 고정 요소를 쉽게 재배치할 수 있다.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는 사용 중에 상당한 응력에 견디도록 설계된다. 특히, 사용 중에 고정재를 분리시키는 경향이 있는 힘은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상에서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오히려, 상기 분리력은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를 따라 동일시할 수 있는 점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개시된 고정 요소는 차등적인 고정 정도를 제공하도록 특수하게 구조화된다. 더 큰 고정 정도를 제공하는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부분 또는 영역은 더 고도로 집중된 분리력을 받는 경향이 있는,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를 따라 있는 점에 위치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예를 들자면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는 허리 개구부를 향해 배치된 허리 개구 말단부 및 다리 개구부중 하나를 향해 배치된 맞은편 다리 개구 말단부를 가지며,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은 다리 개구 말단부를 향해 배치된다.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와 다리 개구부의 교차점에서 분리력이 더욱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대퇴 사두근이 둔부에 삽입되는 부분에서 신체의 둘레가 최대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은 특히 용변 연습 중인 연령대의 유아들에게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구역에서, 흡수성 제품은 다음 두 가지 이유로 최대 응력 및 변형력을 받는다. 첫째, 둘레가 최대가 되면 횡방향 탄성 요소(예, 탄성 사이드 패널)가 상기 부분에서 최대 인장력을 받는다. 둘째, 다리관절이 상기 부분에 또한 존재하여 상기 부분에서 굽힘 및 압착력이 발생한다. 상기 고인장력 및 부분적인 이동으로 인해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하단부가 순간적으로 열리는 경향이 있다.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다리 개구 말단부 근처에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부가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함으로써, 더 큰 고정 정도가 더 큰 분리력과 일치하도록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는 그의 허리 개구 말단부를 향해 배치된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정 배향은,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와 허리 개구부의 교차점에서 분리력이 더 집중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구역에서의 분리력은 둔부위로 팬츠를 당기고, 손으로 허리밴드를 여는 것 등에 기인할 수 있다. 또한,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는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반대편 허리 개구 말단부 및 다리 개구 말단부를 향해 배치된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 한 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은 상기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사이에 위치한다.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는 제1 고정 요소 및 제2 고정 요소가 서로 맞물릴 때 형성된다.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허리 개구 말단부 및 다리 개구 말단부는 각각 바지의 허리 개구부 또는 다리 개구부를 향해 이음매의 가장 멀리 떨어진 부분으로 여겨지며, 여기에서 제1 고정요소 및 제2 고정요소들은 서로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린다.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는 의복의 외관 및 촉감을 제공하도록 비교적 얇고, 좁으며 가요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특정 실시태양에서,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길이 대 너비의 비는 약 2 이상(예, 약 2 내지 약 25), 특히 약 5 이상(예, 약 5 내지 약 8)이다.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는 길이 및 길이에 수직인 너비를 정의한다. 예를 들면, 체중이 약 9 내지 약 15 kg(20-34 lbs)인 유아의 경우, 길이는 약 5 내지 약 13 cm(예, 약 10 cm)인 것이 바람직하고, 너비는 약 0.5 내지 약 3 cm(예, 약 2 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길이는 흡수성 제품의 종방향 축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너비는 흡수성 제품의 횡방향 축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으로 평행하게"란 용어는 기준 축과의 각도가 약 35° 이하, 특히 약 20°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는 1 이상의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 및 1 이상의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은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지만, 분리력이 집중될 수 있는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어떤 한 부착 영역은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다리 개구 말단부를 향해 위치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는 그의 다리 개구 말단부의 약 3 cm 이내, 특히 약 2 cm 이내, 특히 더욱 약 0.5 cm 이내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다른 부착 영역은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허리 개구 말단부를 향해 위치한다. 따라서,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는 그의 허리개구 말단부로부터 약 5 cm 이내, 특히 약 2.5 cm 이내, 특히 더욱 약 0.5 cm 이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은 허리 개구 말단부와 다리 개구 말단부의 중간에 위치하는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들)은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길이의 약 95% 이하(예, 약 20 내지 약 95%의 길이), 특히 약 80 내지 90%를 누적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응하여,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들)은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길이의 약 80% 이하(예, 약 5 내지 약 80%), 특히 약 10 내지 약 20%를 누적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요소의 예측치 못한 분리를 막기 위해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을 사용할 수 있지만, 고정 요소는 비교적 쉽게 서로 떼어지도록 설계된다. 특히,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은 제1 고정 요소 및 제2 고정 요소가 과도한 힘을 받지 않아도 서로 쉽게 분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적인 고정 정도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만약,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길이를 따라 위치하는 임의의 점에서 받기 쉬운 최대 분리력에 저항하기 위한 동일한 정도의 고정 정도를 재고정가능한 이음매 전체에 제공한다면,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는 떼어내기 더욱 어려울 것이며, 실제 불필요하게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특정 실시태양에서, 기본 고정 정도는 약 30 내지 약 1,000 g, 특히 약 40 내지 약 750 g일 수 있다. 증가된 고정 정도는 기본 고정 정도 보다 더 크며, 예를 들 어 기본 고정 정도의 약 125% 이상, 특히 약 약 200% 이상, 특히 더욱 약 300% 이상일 수 있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증가된 고정 정도는 약 65내지 약 4,000 g, 특히 약 150 내지 약 1,500 g일 수 있다.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임의의 특정 구역의 고정 정도는 흡수성 제품의 정면 허리부를 배면 허리부에 고정시키는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피크 및 평균 동적 박리력을 그램 단위로 정량화하도록 고안된 하기 박리 시험법(Peel Test Method)을 사용하여 정량화할 수 있다. 상기 시험에서 힘의 방향은 제품의 종방향 중심선에 일반적으로 수직이다.
시료 준비
단일의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을 갖는 재고정가능한 이음매 재료의 시료의 적합한 크기는 7.6 cm x 1.9 cm(3 x 0.75 inch)일 수 있으며,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은 어떤 한 말단 모서리에서 0.6 cm(0.25 cm) 안쪽에 위치한다. 시료의 크기는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다른 형태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장치
1. 적함한 로드셀(load cell)이 장착된 정속 인장식 인장 시험기. 인장 시험 시스템으로 적합한 것은 노뜨 캐롤라이나주 리서치 트라이엥글 파크에 소재하는 MTS사가 신테크 모델 1/G 텐설 테스터라는 상표명으로 시판하고 있는 신테크 인장 시험기이다.
2. MTS사가 윈도우 버젼 3.10용으로 시판하고 있는 등록상표 MTS 테스트워크스(TESTWORKS).
3. 매사추세츠 캔톤에 소재하는 인스트론 코퍼레이션이 인스트론 모델 2712-004라는 상표명으로 시판하고 있는 공기압동작 그립(pneumatic-action grip).
4. 매사추세트 캔톤에 소재하는 인스토론 코퍼레이션이 시판하는 2.5 cm x 10.1 cm(1 x 4 inch)의 고무 코팅된 그립 페이스.
5. 온도가 23 ±1℃이고 상대 습도가 50 ±2%인 시험 설비.
시험 절차
1. 시험에 앞서, 시험하고자 하는 시료를 시험 설비에서 4 시간 이상 동안컨디셔닝한다.
2. 전체 직경이 95 mm이고 외직경이 6.7 mm인 고무를 갖는 롤러(2041.2 g: 4.5 lb)를 시료의 한 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굴린(rolling out) 다음, 다시 뒤로 굴린다(1 사이클).
3. 로드셀의 직경을 재고 소프트웨어를 로딩한다.
4. 그립을 인장 시험기에 장착한다[물림턱(jaw)은 닫힌 상태임].
5. 인장 시험기의 시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크로스헤드: 500 mm/m
최대 하중: 11.34 kg(25 lbs)
게이지의 길이: 25.4 mm(1 inch)
6. 클램프의 중량을 뺀다(tared out).
7. 고정 요소 및 그의 짝 고정 요소가 서로 떨어져 각각 25.4 mm 길이의 자유단(free end)을 형성하도록,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의 반대 끝에서 시료를 서로 분리시킨다.
8. 제품의 배면 허리부상의 고정 요소의 자유단을 상부 물림턱에 삽입한다.
9. 배면 허리부의 고정된 내면과 정면 허리부의 고정된 내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서로 평행이 되도록 제품의 정면 허리부상의 짝 고정 요소의 자유단을 하부 물림턱에 삽입한다. 하부 물림턱은 닫혀있다.
10. 크로스헤드를 작동시키고 고정 요소 및 짝 고정 요소가 더 이상 연결되지 않을 때까지 시험을 수행한다.
11.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을 피하는 분리 거리에서[예를 들면 상기 "시료 준비"란에서 특정된 시료의 경우는 1 cm x 6.4 cm(0.4 내지 2.5 inch)]의 하중치를 평균하고, 이에 의해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에 대하여 고정재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평균 하중을 기록한다.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들)에 대하여, 고정 요소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피크 하중을 기록한다.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에 대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2회 이상의 시험이 필요할 수 있다.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들)이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끝 안쪽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고정 요소가 더 쉽게 떼어지게 할 수 있다.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 즉 기본 고정 정도를 갖는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영역은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과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측면 모서리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와 더불어,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으로부터 횡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의 부분은 이음매가 더 쉽게 열리도록 하는 핑거 탭(finger tab)으로서 작용할 것이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들)은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측면 모서리부 및 특히 흡수성 제품의 상응하는 측면 모서리부에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는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측면 모서리부 및 및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와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들)사이에 위치하는 1 이상의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 및 및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측면 모서리부와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1 이상의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의 안 쪽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 요소는 흡수성 제품에서 가변적 위치를 갖는 이음매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재고정가능한 고정재, 예를 들면 기계식 고정 요소 또는 접착식 고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고정 요소로서 적합한 것에는 서로 맞물려 작용하는 기하 형태를 갖는 재료, 예를 들면 후크, 루프, 벌브, 버섯형 요소(mushroom), 화살촉 형태(arrowhead), 볼 온 스템(ball on stem), 숫 짝 요소 및 암 짝 요소 등이 있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제1 및 제2 요소는 후크/루프 고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재고정가능한 강화 주부착 영역은 차등적인 고정 정도를 제공하는 각종 기술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에 대해 단일식 고정 요소를 사용할 수 있고, 서로 협력하여 작용하는 2 이상의 고정 요소를 조합하여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에 대해 사용할 수 있다. 별법으로, 고정 요소의 어떤 한 종류를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에 대해 사용하고,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에 대해서는 다른 더 적극적인 종류의 고정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일실시태양에서, 제1 또는 제2 고정 요소 중 하나는 떼어낼 수 있는 맞물림 특성이 서로 다른 1 이상의 제1 부분 및 1 이상의 제2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한 "서로 다른 떼어낼 수 있는 맞물림 특성"이란 문구는 상기 박리 시험 절차에 따라 측정된 고정 정도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부분은 기계식 고정 요소(예, 후크 재료)를 포함하고, 제2 부분은 기계식 고정 요소상에 위치하여 기계식 고정 요소와 서로 협력하여 작용하는 접착제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는 국소 부분에 있는 후크 재료에 공급되어 그 곳에서 맞물려 작용하는 기하 형태를 갖는 재료의 맞물림을 강화시킨다. 이와 같은 실시태양에서 사용되는접착제는 복수의 탈착 순환후에도 그 부분에서 이음매를 지속적으로 강화시키도록 점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구조 접착제라 하며, 미국 뉴저지주 브리지워터에 소재하는 내셔널 스타치와 같은 다양한 접착제 공급체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어떤 특정 실시태양에서, 접착제는 모듈러스가 약 109내지 1010이고 전단률이 10 radians/sec인 SBS 블럭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그 예로는 내셔널 스타치 제345,610호 또는 제5610호가 있다. 접착제는 약 1 g/cm2이하, 특히 약 0.5 g/cm2(예, 약 0.01 내지 약 0.25 g/cm2)의 첨가량(add-on level)으로 사용될 수 있다. 원하는 강화 및 재부착 특성은 접착제의 모듈러스, 점성 및 첨가량의 균형을 맞추어 달성한다. 이 실시태양에서, 제1 부분은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을 구성하고, 제2 부분은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을 구성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흡수성 샤시 및 고정 시스템을 포함하는 흡수성 제품에 관한 것이다. 고정 시스템은 흡수성 샤시에 부착되고 제1 허리부에 위치하는 1 이상의 제1 고정 요소 및 흡수성 샤시에 부착되고 제2 허리부에 위치하는 1 이상의 제2 고정 요소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고정 요소는 상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맞물림 요소를 갖는 기계식 고정 요소를 포함하고, 아울러 상방향으로 연장된 맞물림 요소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접착제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고정 요소는 함께 기본 고정 정도를 제공하는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 및 기본 고정 정도 보다 더 큰 증가된 고정 정도를 제공하는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을 갖는 재고정가능하고 가변 위치의 이음매를 정의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태양에서, 고정 요소의 제1 부분(들)은 특정한 기계식 또는 접착식 고정 요소를 갖도록 고안되고, 고정 요소의 제2 부분은 더 적극적인 기계식 또는 접착식 고정 요소를 갖도록 고안된다. 일례로서, 제1 고정 요소는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며 그 결과 다른 정도의 고정 강도를 제공하는 2 이상의 고정 요소를 갖도록 설계된다. 제2 고정 요소는 균일한 기계식 고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마찬가지로 2 이상의 기계식 고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후크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당업자는 후크 재료의 형태, 밀도 및 중합체 조성을 선택하여 제1 및 제2 고정 요소간의 고정 정도를 원하는 정도로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더 적극적인 후크 재료는은 후크의 평균 높이가 더 크고,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후크를 더 높은 퍼센테지로 포함하거나 더 적극적인 후크 형태를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고정 요소가 후크/루프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및 제2 부분은 다른 종류의 후크 재료 또는 다른 종류의 루프 재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접착제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및 제2 고정 요소가 접착제 고정재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및 제2 부분은 다른 종류의 접착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 요소 중 하나 또는 이 둘은 떼어낼 수 있는 맞물림 특성이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별개의 고정재 물질을 사용하여 다른 떼어낼 수 있는 부착 영역을 형성하는경우, 고정재 물질간의 공간은 2 cm 이하, 특히 1 cm 이하, 특히 더욱 0.5 cm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씨피 올손(C.P. Olson)이 1998년 12월 18일 출원한 공동출원중인 미국특허출원 제60/112,775호(발명의 명칭: Absorbent Articles Having Hinged Fasteners)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재 물질사이의 좁은 공간은 고정 요소의 착용감 및 고정 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원하는 힌지(hinge)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흡수성 제품은 착용자의 신체 부근에 착용되어 착용자로부처 배출되는 각종 배출물을 흡수하고 함유하도록 적합화된다. 흡수성 제품은 바람직하게는 사전 고정되어 착용자를 위한 바지형 제품을 제공한다. 이어서, 제품은 통상적인 용변 연습용 팬츠처럼 착용되어, 이어서 기저귀형 제품과 같이 쉽게 점검되거나 벗겨질 수 있다. 또한, 제품은 바지 보다는 차라리 기저귀처럼 사용될 수 있다. 보충적인 떼어낼 수 있는 고정 수단, 예를 들면 약한 점결합체(frangible point bonds)를 사용하여 착용자가 고정재를 의도적으로 떼어낼 때까지 흡수성 제품을 바지 형태로 유지할 수 있다.
고정 시스템은 바지형 제품의 내부를 쉽게 조사할 수 있게 한다. 필요하다면, 고정 시스템은 바지가 쉽고 신속하게 벗겨질 수 있게 한다. 이는 바지가 대량의 배설물을 함유하고 있을 때 특히 유용하다. 원한다면, 보호자는 유아의 신발 및 의복을 벗길 필요 없이 바지형 제품을 완전히 벗기고 새로운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시스템은 용변 연습용 팬츠, 기저귀, 실금용 의류 또는 기계식 또는 접착식 고정재를 사용하는 다른 의류를 포함하여 각종 흡수성 제품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성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실시태양에서, 흡수성 제품의 제조 방법은 흡수성 샤시를 제공하는 단계, 1 이상의 제1 고정 요소를 제1 허리부에서 흡수성 샤시에 부착하는 단계 및 1 이상의 제2 고정 요소를 제2 허리부에서 흡수성 샤시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및 제2 고정 요소는 함께 떼어낼 수 있고 가변 위치를 갖는 이음매를 정의하고 제1 고정 요소는 떼어낼 수 있는 맞물림 특성이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태양에서, 흡수성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흡수성 샤시를 제공하는 단계, 지지 구조체, 맞물림 표면 및 맞물림 표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맞물림 요소를 가지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정의하는 제1 기계식 고정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제2 부분내의 맞물림 요소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접착제가 없는 제1 부분내에서 맞물림 요소를 유지시키는 단계, 제1 허리부에서 흡수성 샤시에 제1 기계식 고정 요소를 부착하는 단계 및 제2 허리부에서 흡수성 샤시에 1 이상의 제2 기계식 고정 요소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기계식 고정 요소는 서로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릴 수 있도록 적합화되고, 제1 및 제2 부분의 떼어낼 수 있는 맞물림 특성은 서로 다르다.
접착제는 각종 기술, 예를 들면 분무법, 프린팅법, 침지법 등을 사용하여 고정 요소에 도포할 수 있다. 접착제와 고정 요소간의 부착 강도 또는 점착제(cohesive)간의 점착 강도는 비교적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접착제 및(또는) 점착제는 재고정가능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점착성이다. 더 강력한 접착제 및(또는) 점착제을 비균일 및(또는) 덜 집중된 패턴으로 고정 요소에 도포할 수 있다.
용변 연습용 바지의 어떤 한 형태의 구조 및 디자인에 대한 더 상세한 기술은 반 곰펠(Van Gompel) 등에게 부여된 미국특허 제4,940,464호(1990년 7월 1일 등록)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상기 문헌을 본 명세서의 참고 문헌으로 채택한다. 반 곰펠 등의 특허는 용변 연습용 바지을 구성하는 각종 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정의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하기 용어 또는 문구는 아래와 같은 의미(들)을 갖는다.
"결합된(bonded)"이란 2가지 요소의 접합, 부착, 연결, 붙임(joining, adhering, connecting, attaching) 등을 의미한다. 2 요소는 서로 직접 결합되어었을 때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었을 때, 예를 들면 각 요소가 중간 요소에 직접 결합되었을 때 서로 결합된 것으로 본다.
"점착제(cohehive)"란 그 자체에만 부착한다는 점에서 자체 점착성(self-sticking)인 물질 또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포함하는(comprising)"이란 포괄적이거나 개방적이며 추가 및 기술되지 않은 요소 또는 방법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연결된"이란 용어는 2가지 물질의 접합, 부착, 연결, 붙임(joining,adhering, connecting, attaching) 등을 의미한다. 2 가지 요소는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예를 들면 각 요소가 중간 요소에 직접 연결되었을 때 서로 연결되었다고 본다.
"1회용"이란 재사용을 위해 세탁하거나 저장되기 보다는 제한적인 사용후에 폐기되도록 디자인된 제품을 말한다.
"배치된 또는 그 위에 배치된" 및 그의 유사어는 한 요소가 다른 요소와 일체적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결합되거나 그와 함께 배치되거나 그 근처에 배치되는 별개 구조체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축성, "탄성화된" 및 "탄성"은 변형을 야기한 힘을 제거한 후 원래의 크기 및 형태로 회복되는 경향이 있는 물질 또는 복합물의 특성을 의미한다.
"엘라스토머성'이란 이완된 길이의 25% 이상까지 신장될 수 있고 가해진 힘을 제거시 그 신장값의 10% 이상을 회복하는 물질 또는 복합물을 의미한다. 엘라스토머성성 물질 또는 복합물은 그 이완 길이의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까지 신장될 수 있고, 가해진 힘을 제거시 그의 신장치의 50% 이상을 회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패브릭(fabric)"이란 용어는 직물, 편물 및 부직 섬유상 웹을 총칭한다.
"가요성"이란 순응적(compliant)이고 착용자의 일반 형태 및 윤곽에 쉽게 순응하는 물질을 말한다.
"힘"은 자유롭게 이동하는 물체의 가속 및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은 물체의 변형을 형성하는, 한 물체가 다른 물체에 가하는 물리적 영향을 의미한다. 힘은단위 면적당 그램 단위로 표현된다.
"그래프"란 흡수성 제품상에 보이는 어떤 디자인, 패턴 등을 말한다.
"친수성"이란 섬유와 접촉하는 수성 액체에 의해 젖셔진 섬유 또는 그 표면을 말한다. 물질의 젖음도는 관련 액체 및 물질의 접촉각 및 표면 장력의 관점에서 기술된다. 특정 섬유 물질 또는 그의 블렌드의 젖음성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장치 및 기술은 칸 SFA-222 표면장력 분석 시스템 또는 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으로 측정시, 접촉각이 90°이하인 섬유는 젖음성 또는 친수성이라 하고, 반면에 접촉각이 90°보다 큰 섬유는 비젖음성 또는 소수성이라 칭한다.
"일체성"이란 서로 연결되거나 함께 배치되거나 그 근처에 배치된 별개 구조체 보다는 단일한 통합 요소의 여러 부분을 말한다.
"안쪽" 및 "바깥쪽"이란 흡수성 제품의 중심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말하며, 특히 흡수성 제품의 종방향 및 횡방향 중심과 특히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근접하거나 멀리 떨어진 점을 말한다.
단수로 사용시 "층"이란 단일 요소 또는 복수 요소의 이중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이란 단층 또는 다층 적층물을 기술하는데 사용시, 통상적인 사용 조건하에서는 액체(예, 소변)가 액체 접촉점에서 층 또는 적층물의 면과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층 또는 적층물을 통과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액체 또는 소변은 액체 불투과성 층 또는 적층물의 면과 평행으로 퍼지거나 이동할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액체 불투과성"의 의미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종방향" 및 "횡방향"은 도 2 및 3에 도시된 종축 및 횡축과 같은 통상적인 의미를 갖는다. 종축은 제품의 평면에 위치하고, 제품을 착용한 선 자세의 착용자를 좌측 신체 및 우측 신체로 양분하는 수직면과 일반적으로 평행이다. 횡축은 종축과 일반적으로 수직인 제품의 면에 위치한다. 상기 제품은 횡방향 보다는 종방향이 더 길다.
단수로 사용시 "부재"란 단일 요소 또는 복수 요소의 이중적인 의미를 갖는다.
"부직 웹"이란 섬유 제직 또는 제편 공정의 도움 없이 형성되는 물질의 웹을 말한다.
"작동가능하게 결합된"이란 탄성 부재를 다른 요소에 결합하는 것을 예로 들면, 다른 요소에 부착되거나 연결되거나 열처리 또는 화학 처리된(예, 신장 등에 의해) 탄성 부재가 다른 요소에 탄성 특성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하고, 비탄성 부재를 다른 요소에 결합한다고 하면, 그 부재 및 요소가 결합체의 의도되거나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합, 부착 또는 연결 등은 어떤 한 부재를 한 요소에 직접 결합하는 것과 같이 직접 결합하거나 또는 제1 부재 및 제1 요소사이에 배치된 다른 부재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측 커버 그래프"란 의류의 외측 표면을 검사할 경우 직접 볼 수 있는 그래프를 말하며, 재고정가능한 의류의 경우는 실제 사용하는 것과 같이 고정 시스템을 맞물리게 했을 때 의류의 외부 표면을 검사시 참고가 된다.
"영구 결합된"이란 요소들이 흡수성 의류의 통상적인 사용 조건에 있는 동안 결합되거나 그 상태로 존재하는 경향 있는, 흡수성 의류의 2 요소의 결합, 부착, 연결 등을 의미한다.
"재고정가능한"이란 2 요소가 실질적인 영구 변형 또는 파단 없이 떼어낼 수 있는 부착, 분리 및 이어서 떼어낼 수 있는 재부착이 가능한 두 요소의 특성을 말한다.
"떼어낼 수 있게 부착된" 또는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린" 및 그 유사어는 요소가 요소중 하나 또는 그 둘 모두에 가해지는 분리력 없이 연결된 상태로 존재하는 경향이 있도록, 2 요소가 연결되거나 연결가능하고, 두 요소가 실질적인 영구 변형 또는 파단 없이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필요한 분리력은 흡수성 의류를 착용하는 동안 받는 힘 보다 낮은 것이 전형적이다.
"파단"이란 물질이 절단되거나 인열되는 것을 말한다. 인장 시험에서, 이 용어는 물질이 한 번에 또는 단계적으로 2 부분으로 완전히 분리되거나 또는 일부 물질에 구멍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신장 결합된(stretch bonded)"이란 탄성 부재가 그 이완 길이의 약 25% 이상까지 신장되면서 다른 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말한다. 이 용어는 탄성 부재가 다른 부재에 결합되었을 때, 그의 이완 길이의 바람직하게는 약 1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 이상까지 신장되는 경우를 말한다.
"신장 결합된 적층물(stretch bonded laminate)"은 어떤 한 층이 주름질수있는 층이고 다른 층이 탄성 층인, 2 이상의 층을 갖는 복합 물질을 말한다. 층을 이완시켰을 때, 주름질 수 있는 층이 주름을 형성하도록 탄성층이 신장 조건에 놓일 때 층들은 서로 결합된다.
"표면"이란 기체, 공기 및(또는) 액체에 투과성인가에 관계 없이 층, 필름, 직물, 부직포, 적층물, 복합물 등을 말한다.
"인장력'이란 물체의 신장을 야기하는 경향이 있는 단축 힘 또는 신장에 저항하는 물체내의 균형력(balancing force)을 말한다.
"열가소성"이란 용어는 열에 노출될 경우 연성이고 실온으로 감온할 경우 실질적으로 비연성 상태로 돌아가는 물질을 말한다.
상기 용어는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추가적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 및 이를 달성하는 수단은 더욱 분명해질 것이고, 본 발명 그 자체는 하기 기술 및 수반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며, 다른 도면에서 유사한 특징부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포함하는 1회용 흡수성 제품의 한 종류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2는 고정되지 않고, 펼쳐지고 편평하게 놓인 상태의 도 1에 도시된 1회용 흡수성 제품의 평면도이고, 착용자와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는 제품의 표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와 유사한 평면도를 나타내지만, 착용시 착용자쪽을 향한 제품의 표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기본적인 특징을 보여주기 위해 일부 부분은 절단되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흡수성 제품의 측면 패널의 확대 평면도이며, 제품 착용시 착용자쪽을 향하는 제품의 표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고정재 요소가 서로 고정되어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를 형성하는 경우의 흡수성 제품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라인 6-6 평면상에서 취해진 확대 단면도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7은 도 4와 유사한 확대 평면도을 나타내지만, 대안적인 고정 요소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도 4와 유사한 확대 평면도을 나타내지만, 다른 대안적인 고정 요소를 보여준다.
도 9는 도 4와 유사한 다른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지만, 또 다른 대안적인 고정 요소를 보여준다.
도면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원리는 임의의 적합한 1회용 흡수성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구체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합한 제품의 예로는 기저귀, 용변 연습용 팬츠, 여성용 위생 제품, 실금용 제품, 다른 개인 위생 또는 건강 관리 의류 등을 들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유아용 용변 연습용 팬츠의 관점에서 기술될 것이다.
도 1을 보면, 1회용 흡수성 제품(예, 용변 연습용 팬츠(20))은 착용시 형태를 갖는 고정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용변 연습용 바지(20)는 흡수성 샤시(32) 및 고정 시스템(80)을 포함한다. 흡수성 샤시(20)는 정면 허리부(22), 배면 허리부(24), 상기 정면 허리부와 배면 허리부를 연결하는 가랑이부(24), 착용자와 접촉하도록 형태화된 내부 표면(28) 및 착용자의 의복과 접촉하도록 형태화되고 내부 표면과 반대방향인 외부 표면(30)을 정의한다. 도 2 및 3을 더 보면, 흡수성 샤시(30)는 또한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측면 모서리부(36) 한 쌍 및 종방향으로 마주보는 허리 모서리부(38) 한 쌍을 더 정의한다. 정면 허리부(22)는 정면 허리 모서리부(38)에 인접해 있고 배면 허리부(24)는 배면 허리 모서리부(39)에 인접해 있다.
상기 흡수성 샤시(32)는 일반적으로 네모 형태를 갖는 복합 구조체(33) 및 횡방향을 마주보는 측면 패널(34) 한 쌍을 포함한다. 복합 구조체(33) 및 측면 패널(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2 이상의 별개 요소를 일체적으로 구성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구조체(33)는 외측 커버(40), 포개진 형태로 외측 커버에 연결된 신체측 라이너(42), 상기 외측 커버와 신체측 라이너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성 어셈블리(44) 및 한 쌍의 봉쇄 플랩(46)을 포함한다(도 1 및 3 참조). 네모형 복합 구조체(33)는 정면 및 배면 허리 모서리부(38)의 부분을 이루는 반대편 선형 말단 모서리부(45) 및 흡수성 샤시(32)의 측면 모서리부(36)의 부분을 이루는 반대편 선형 측면 모서리부(47)를 갖는다(도 2 및 3 참조). 참고로, 용변 연습용팬츠(20)의 종축 및 횡축의 방향을 묘사하는 화살(48 및 49)이 도 2 및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된 위치에서의 용변 연습용 팬츠(20)의 경우, 정면 및 배면 허리부(22 및 24)는 서로 결합되어 허리 개구부(50) 및 한 쌍의 다리 개구부(52)를 갖는 3차원의 바지 형태를 정의한다. 정면 허리부(22)는 착용시 착용자의 등에 위치하는 용변 연습용 바지의 부분을 포함하고, 배면 허리부(24)는 착용시 착용자의 등에 위치하는 용변 연습용 바지의 부분을 포함한다. 용변 연습용 바지(20)의 가랑이부(26)는 착용시 착용자의 다리사이에 위치하는 용변 연습용 바지의 부분을 포함하고, 착용자의 하부 몸통을 덮는다. 측면 패널(34)은 착용시 착용자의 측면 둔부상에 위치하는 용변 연습용 바지(20)의 부분을 포함한다. 용변 연습용 바지(20)의 흡수성 샤시(32)의 허리 모서리부(38)및 측면 패널(34)은 착용시 착용자의 허리를 둘러싸고 허리 주변 길이를 정의하는 허리 개구부(50)를 제공하도록 형태화된다. 흡수성 샤시(32)의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측면 모서리부(36) 및 용변 연습용 바지(20)의 측면 패널(34)은 일반적으로 다리 개구부(52)를 정의한다.
흡수성 샤시(32)는 착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임의의 신체 배출물을 수용하고(하거나) 흡수하도록 형태화된다. 예를 들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지지만, 흡수성 샤시(32)는 신체의 배출물의 횡방향 유동에 장벽을 제공하도록 형태화되는 한 쌍의 봉쇄 플랩(4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랩 탄성 부재(53)(도 3)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방식에 의해 각각의 봉쇄 플랩(46)과 작동가능하게결합된다. 탄성화 봉쇄 플랩(46)은 용변 연습용 바지(20)의 적어도 가랑이부(26)에서 곧게, 일반적으로 수직 형태를 취하여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밀봉을 제공하는 비부착 모서리를 정의한다. 봉쇄 플랩(46)은 흡수성 샤시(32)의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측면 모서리를 따라 위치할 수 있고, 흡수성 샤시의 전체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거나 흡수성 샤시의 길이를 따라 오직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봉쇄 플랩(46)에 적합한 구조 및 배열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엔올(Enloe)에게 부여된 미국특허 제4,704,116(1987년 11월 3일)에 기술되어 있고, 상기 문헌을 본 명세서에서 참고 문헌으로 채택한다.
신체의 배출물의 봉쇄 및(또는) 흡수를 더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용변 연습용 바지(20)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정면 허리 탄성 부재(540, 배면 허리 탄성 부재(56) 및 다리 탄성 부재(5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허리 탄성 부재(54 및 56)는 반대편 허리 모서리부(38)를 따라 외측 커버(40) 및(또는)신체측 라이너(42)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허리 모서리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다리 탄성 부재(58)는 반대편 측면 모서리부(36)를 따라 외측 커버(40)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42)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용변 연습용바지(20)의 가랑이부(26)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랩 탄성 부재(53), 허리 탄성체(54 및 56) 및 다리 탄성체(58)는 임의의 적합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탄성 재료로서 적합한 것으로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의 시트, 스트랜드 또는 리본을 들 수 있다. 탄성 재료는 신장되고 기재(substrate)에 부착되고, 주름잡힌 기재에 부착되거나, 또는 기재에 부착된 다음, 예를 들어 열 처리에 의해 탄성화되거나 수축되어, 탄성압축력이 기재에 부여되게 할 수 있다. 일실시태양에서, 예를 들면 다리 탄성 부재(58)는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에 소재하는 이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퍼니로부터 입수가능하고 등록상표명 라이크라로 시판중인 복수의 건식방적 융합된 멀티필라멘트 스판덱스 탄성 스레드를 포함한다.
외측 커버(40)는 액체 불투과성인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 신장성 또는 비신장성일 수 있다. 외측 커버(40)는 액체 불투과성 물질의 단층일 수 있지만, 1 이상의 층이 액체 불투과성인 다층 적층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측 커버(40)는 액체 투과성 외층 및 적층용 접착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서로 적합하게 결합된 액체 불투과성 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비드, 분무, 평형 스월(parallel swirl) 등으로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도포될 수 있는 적합한 적층용 접착제는 미국 위스콘신주 와우와토사에 소재하는 핀들레이 어드히이시브즈 인크 또는 미국 뉴저지주 브리지워터에 소재하는 내셔널 스타치 앤드 케머컬 캄퍼니사로부터 얻을 수 있다. 액체 투과성 외층은 임의의 적합한 물질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천과 같은 촉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물질의 한 예로는 20 gsm(평방 미터당 그램)의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 웹이 있다. 또한, 외층은 액체 불투과성 신체측 라이너(42)를 구성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외층이 반드시 액체 투과성일 필요는 없지만, 착용자에게 비교적 천과 같은 촉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커버(40)의 내층은 액체 및 기체 불투과성일 수 있거나 또는 액체 불투과성이지만 기체 투과성일 수 있다. 내층은 다른 가요성이고 액체 불투과성인 물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얇은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층 또는 단층인 경우의 액체 불투과성 외측 커버(40)는 배출물이 착용자 및 보호자는 물론 침구류 및 의복을 젖시는 것을 막는다. 액체 불투과성 내층 또는 단일층의 액체 불투과성 외측 커버(40)로 사용하기 적합한 액체 불투과성 필름은 미국 뉴저지주 사우쓰 플레인필드에 소재하는 에디손 플라스틱스 캄퍼니가 시판하는 1.0 mil의 폴리에틸렌 필름이다. 외측 커버(40)가 단층인 경우, 더 천과 같은 외관을 제공하도록 엠보싱 및(또는) 매트(matte) 가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엑체 불투과성 물질은 1회용 흡수 제품의 내부로부터 기체가 빠져 나오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액체가 외층 커버(40)를 통과하는 것을 여전히 막는다. 적합한 "기체투과성(breathable)" 물질은 액체 불투과성을 원하는 수준으로 제공하도록 코팅되거나 처리된 미세다공성 중합체 필름 또는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다공성 필름으로 적합한 것에는 일본 도쿄에 소재하는 미트수이 토아트수 케미컬즈 인크(Mitsui Toatsu Chemicals Inc.)가 시판하는 PMP-1 필름 물질 또는 미국 미네소타주 미네아폴리스에 소재하는 3엠 캄퍼니가 시판하는 XKO-8044 폴리올레핀 필름이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변 연습용 바지(20) 및 특히 외측 커버(40)는 1 이상의 외관 관련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관 관련 요소의 예로는 그래프, 제품의 형상이 더 명확하거나 착용자에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다리 및 허리 개구부를 하이라이트를 주거나 강조하는 것, 기능적 요소(예, 탄성다리 밴드, 탄성 허리밴드, 소년용 "지퍼가림 개구부"를 모방한 것, 소녀용 주름)를 모방하기 위해 제품의 일부에 하이라이트를 주거나 강조하는 것, 제품의 크기의 외관을 바꾸기 위해 제품의 부분에 하이라이트를 주는 것, 젖음성 지시기, 온도 지시기 등을 제품에 표시하는 것, 후면 라벨 또는 정면 라벨을 제품에 표시하는 것 및 제품의 원하는 위치에 서면 지시사항을 표시하는 것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린 소녀가 사용하도록 디자인된, 도시된 용변 연습용 바지(20)는 표시된 그래프(6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디자인에서, 표시된 그래프(60)는 모방된 허리 주름(62), 모방된 다리 주름(64), 무지개, 태양, 구름, 마차 및 풍선을 포함한다. 한편, 어린 소녀 및 보호자에게 심미적 및(또는) 기능적으로 유쾌감을 주기 위하여 어린 소녀가 사용하도록 의도된 임의의 적합한 디자인을 용변 연습용 바지에 사용할 수 있다. 외관 관련 요소는 용변 연습용 바지(20)의 선택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브랜돈(Brandon) 등의 미국특허 제5,766,389호(1998년 6월 16일 등록)에 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문헌을 본 명세서에서 참고 문헌으로 채택한다.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42)는 외측 커버(40) 및 흡수성 어셈블리(44)위에 놓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외측 커버(40)와 동일한 치수를 가질 필요는 없다. 신체측 라이너(42)는 순응성이고 보들보들한 촉감을 가지며 유아들의 피부를 자극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신체측 라이너(42)는 착용자에게 비교적 건조한 촉감을 제공하고 액체가 그 두께를 통해 쉽게 투과하도록 흡수성어셈블리(44) 보다 덜 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체측 라이너(42)는 웹 물질, 예를 들면 합성 섬유(예,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천연 섬유(예, 목재 또는 면 섬유), 천연 및 합성 섬유의 조합, 다공성 발포체, 망상 발포체, 에퍼처드(apertured)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각종 직물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신체측 라이너(42)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신체측 라이너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멜트블로운 또는 스펀본디드 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는 실질적으로 소수성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소수성 물질을 계면활성제로 처리하거나 가공하여 원하는 정도의 젖음성 및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물질을 트리톤 X-102라는 상표명으로 롬 앤드 하아즈 캄퍼니(Rohm and Haas Co.)가 시판하는 계면활성제 0.28 중량%로 표면 처리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통상적인 수단, 예를 들면 분무, 프린팅, 브러쉬 코팅 등에 의해 도포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를 신체측 라이너(42) 전체에 도포하거나 신체측 라이너의 특정 부분, 예를 들면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중간 부분에 선택적으로 도포할 수 있다.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42)로서 적합한 것은 기초 중량이 약 27 gsm인 부직 이성분 웹이다. 부직 이성분은 스펀본드 이성분 웹 또는 본디드 카디드 이성분 웹일 수 있다. 이성분 단섬유로 적합한 것으로는 일본 오사카에 소재하는 시소(CHISSO) 코퍼레이션으로부터 입수가능한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이성분 섬유를 들 수 있다. 상기 특정 이성분 섬유에서, 폴리프로필렌은 중심부를 형성하고, 폴리에틸렌은 섬유의 외피를 형성한다. 기타 다른 섬유 배향, 예를 들면 멀티로브형(multi-lobe), 나란이형, 엔드투엔드형(end-to-end) 등도 가능하다.
흡수성 어셈블리(44)(도 3)는 외측 커버(40)와 신체측 라이너(42)의 사이에 위치하고, 요소들은 임의의 적합한 수단, 예를 들면 당업계에 공지된 접착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흡수성 어셈블리(44)는 일반적으로 압축성, 순응성, 유아들의 피부에의 비자극성이고 액체 및 특정 신체 배출물을 흡수하고 보유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체일 수 있다. 흡수성 어셈블리(44)는 각종 크기 및 형태를 갖도록 제조할 수 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액체 흡수재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성 어셈블리(44)는 초흡수재로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고흡수재의 입자와 혼합된 친수성 섬유의 매트릭스,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플러프(fluff)의 웹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흡수성 어셈블리(44)는 셀룰로오스 플러프, 예를 들면 목재 펄프 플러프의 매트릭스 및 초흡수성 하이드로겔 형성 입자를 포함한다. 목재 펄프 플러프는 합성 중합체성 멜트블로운 섬유 또는 천연 섬유와 멜트블로운 섬유의 조합체로 대체할 수 있다. 초흡수성 입자는 친수성 섬유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혼합되거나 또는 비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플러프 및 초흡수성 입자는 또한 흡수성 어셈블리(44)의 원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신체 배출물을 더 잘 수용하고 흡수할 수 있다. 초흡수성 입자의 농도는 또한 흡수성 어셈블리(44)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흡수성 어셈블리(44)는 섬유상 웹 및 초흡수재의 적층물 또는 초흡수재를 국소 지역에 유지시키기 위한 다른 적합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초흡수재로 적합한 것은 천연, 합성 및 개질 천연 중합체 및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초흡수재는 무기 물질, 예를 들면 실리카 겔 또는 유기 화합물, 예를 들면 가교결합된 중합체일 수 있다. 적합한 초흡수재는 회사, 예를 들면 미국 미시간주 미드랜드에 소재하는 다우 케미컬 캄퍼니 및 독일 데-47805 카제에 소재하는 스탁하우젠 게엠바하 & 캄퍼니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초흡수재는 전형적으로물에서 그 중량의 15 배 이상을 흡수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25 배 이상을 흡수할 수 있다.
일실시태양에서, 흡수성 어셈블리(44)는 일반적으로 네모 형태를 가지고, 목재 펄프 플러프 및 초흡수재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한가지 바람직한 종류의 플러프는 미국 위스콘신주 니나에 소재하는 킴벌리 클라크 코퍼레이션으로부터 입수가능한 상표명 CR1654이고, 기본적으로 연질 목재 섬유를 함유하는 표백된 고흡수성 황산염 목재 펄프이다. 일반적으로, 초흡수재는 흡수성 어셈블리(44) 중에 흡수성 어셈블리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흡수성 어셈블리(44)의 밀도는 약 0.10 내지 약 0.35 g/cm2인 것이 적합하다. 흡수성 어셈블리(44)는 흡수성 어셈블리의 일체성 및(또는) 형태를 유지하는 적합한 티슈 랩으로 포장되거나 둘러싸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흡수성 샤시(32)는 주로 흡수성 어셈블리(44)와 서로 마주보는 면을 따라 액체를 수용하고 일시 저장하고(하거나) 전달하고, 이에 따라 흡수성 어셈블리의 흡수 용량을 최대화하도록 디자인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가지 적합한 물질은 서지층(도시되지 않음)이라 칭하며, 폴리에스테르 중심/폴리에틸렌 외피를 포함하는 이성분 섬유(60%, 3 denier)(바스포 코퍼레이션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40%, 6 denier)(미국 버지니아주 포츠마우쓰에 소재하는 호에스트 셀라네즈 코퍼레이션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의 균질한 블렌드의 쓰로우-에어-본디드-카디드 웹(through-air-bonded-carded web)을 포함하고 기초 중량이 약 50 g/m2인 물질을 포함한다.
전기한 바와 같이, 도시된 용변 연습용 바지(20)은 흡수성 샤시(32)의 양측에 배치된 측면 패널(32)를 갖는다.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측면 패널(34) 한 쌍은 1 이상의 허리부(22 및 24)에서 흡수성 샤시(32)의 복합 구조체(33)에 영구적으로 결합되고, 반대편 허리부에서 흡수성 샤시에 떼어낼 수 있게 결합된다. 예를 들면,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패널(34)은 부착 라인(66)을 따라 배면 허리부(24)에서 복합 구조체(33)의 측면 모서리부(47)에 영구 결합되고 측면 모서리부를 지나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측면 패널(34)는 부착 라인(66)에서 떨어진 원위 모서리부(68) 및 흡수성 샤시(32)의 측면 모서리부(36)에서 원위 모서리부까지 연장된 내측 모서리부(70) 및 외측 모서리부(72)를 정의한다. 측면 패널(34)의 내측 모서리부(70)는 흡수성 샤시(32)의 측면 모서리부(36)의 일부를 구성하고,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바지의 정면과 비교시 바지의 배면을 더 둘러싸기 위하여 횡축(49)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모서리(72)는 횡축(49)에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고, 흡수성 샤시(32)의 배면 허리 모서리부(38)의 일부를 구성한다. 나아가, 외측 모서리부(72)는 복합 구조체(33)의 선형 말단 모서리부(45)와 실질적으로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종방향으로 약 1 cm 이하 만큼 연장된다.
착용감 및 외관을 개선하기 위한 특정 실시태양에서, 종축(48)과 평행으로 측정된 측면 패널(34)의 평균 길이는 종축(48)과 평행으로 측정된 흡수성 제품의 전체 길이의 약 20% 이상, 특히 약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체 길이가 약 54 cm인 용변 연습용 바지에서, 측면 패널(34)의 평균 길이는 약 10 cm 이상, 예를 들면 15 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패널(34)은 허리 개부부(50)에서 다리 개구부(52)중 하나까지 연장되고, 부착 라인(66)에서 원위 모서리부(68)까지 이동하는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길이를 갖는다.
측면 패널(34)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부착 수단(예, 접착제, 열 또는 초음파 결합)을 사용하여 부착 라인(66)을 따라 복합 구조체(33)에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지만, 이와 같은 형태에서 각각의 측면 패널(34)은 용변 연습용 바지(20)의 정면 허리부(22)에서 복합 구조체(33)에 떼어낼 수 있게 부착될 수 있다. 별법으로, 측면 패널(34)은 정면 허리부(22)에서 측면 모서리부(47)에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만약 고정재가 착용자의 배면을 향해 위치하길 원한다면 배면 허리부(24)에서 측면 모서리부(36)에 떼어낼 수 있게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는 착용자가 제품을 너무 일찍 떼어내는 것을 막는데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 패널은 또한 신체측 라이너의 외측 커버와 같은 복합 구조체(33)의 요소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패널(34)은 물질의 1 이상의 개개의 독특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예를 들자면 각각의 측면 패널(34)은 이음매에서 결합된 정면 및 배면 측면 패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별법으로, 개개 측면 패널(34)은 각각 중간 접힌선(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그 자체상에서 접혀진 단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패널(34)은 용변 연습용 바지(20)의 횡축(49)과 평행인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는 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측면 패널을 용변 연습용 바지에 도입하는 방법은 물론 적합한 탄성 부재가 판 곰펠(Van Gompel) 등의 미국특허 제4,940,464호(1990년 7월 10일 등록), 포졸라(Pohjola)의 미국특허 제5,224,405호(1993년 7월 6일 등록) 및 제5,104,116호(1992년 4월 14일 등록) 및 보그트(Vogt) 등의 미국특허 제5,046,272호(1991년 9월 10일 등록)에 개시되어 있고,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채택된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탄성 물질은 열신장성 적층물(stretch-thermal laminate: STL), 넥본디드 적층물(neck-bonded laminate; NBL), 역네킹된 적층물 또는 스트레치 본디드 적층물(SBL)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비스네스키(Wisneski) 등의 미국특허 제4,663,220호(1987년 5월 5일 등록), 모몬(Mormon)의 미국특허 제5,226,992호(1993년 7월 13일 등록) 및 테일러(Taylor) 등의 유럽특허출원 제217,032호(1987년 4월 8일 공개)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을 참고문헌으로 채택한다. 선택적으로, 측면 패널 물질은 기타 직물 또는 부직 물질, 예를 들면 외측 커버(40) 또는 신체측 라이너(42)에 적합하다고 위에서 기술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변 연습용 바지(20)는 또한 착용자의 허리 주위에서 용변 연습용 바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시스템(80)을 포함한다(도 2 및 3 참조). 도시된 고정 시스템(80)은 제2 고정 요소(84 및 85) 한 쌍에 재고정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적합화된 제1 고정 요소(82 및 83) 한 쌍을 포함한다. 일실시태양에서, 각각의 제1 고정 요소(82 및 83)의 일표면은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맞물림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요소(82 및 83)의 맞물림 요소는 다른 고정 요소(84 및 85)의 맞물림 요소에 반복적으로 맞물리고 떼어지도록 적합화된다.
한가지 특정 실시태양에서, 제1 고정 요소(82 및 83)는 각각 후크형 고정재를 포함하고, 제2 고정 요소(84 및 85) 각각은 보충적인 루프형 고정재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태양에서, 제1 고정 요소(82 및 83)는 각각 루프형 고정재를 포함하고, 제2 고정 요소(84 및 85)는 각각 보충적인 후크형 고정재를 포함한다. 루프형 고정재는 기저 또는 지지 구조체 및 지지 구조체의 1 이상의 표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루프 부재를 갖는 패브릭 또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루프 재료는 임의의 적합한 물질, 예를 들면 아크릴릭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될 수 있고, 경편법, 스티치 본딩법 또는 니들 펀칭법과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루프 재료는 미국 노쓰 캐롤라이나주 그린스보로에 소재하는 길포드 밀즈 인크(상표 지정번호 제36549호)로부터 입수가능하다.
후크형 고정재는 기저 또는 지지 구조체 및 지지 구조체의 1 이상의 표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후크 부재를 갖는 패브릭 또는 물질을 포함하는것이 전형적이다. 가요성 패브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루프형 고정재와는 반대로, 후크 재료가 변형되고 의복 또는 기타 물품에 걸림으로 인해 고정재 요소가 본의 아니게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후크 재료는 탄력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탄력성이란 미리정해진 형태를 갖는 맞물림 물질 및 짝을 이루는 보충적인 맞물림 물질과 맞물리고 떼어진 후 미리정해진 형태를 회복하는 맞물림 물질의 특성에 관계된다. 적합한 후크 재료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기타 적합한 물질로 성형되거나 압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 요소에 적합한 단일면 후크 재료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소재하는 벨크로 인더스트리즈 비브이 또는 그 계열사로부터 입수가능하고, 일방향 후크 패턴 및 약 0.089 mm(3.5 mils)의 두께를 갖는 벨크로 HTH-829 및 일방향 후크 패턴을 갖고 두께가 약 0.051 mm(2 mils)인 HTH-851이다.
도 3을 보면, 제1 고정 요소(82 및 83)는 용변 연습용 바지(20)의 내측 표면(28)상의, 배면 허리부(24)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 요소(82 및 83)는 측면 패널(34)의 원위 모서리부(68)를 따라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 요소(82 및 83)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많은 수단, 예를 들면 접착제 접착, 초음파 접착 또는 열융착에 의해 측면 패널(34)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제2 고정 요소(84 및 85)는 용변 연습용 바지(20)의 외측 표면(30)상의, 정면 허리부(22)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 요소(84 및 85)는 제1 고정 요소(82 및 83)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조절되고, 정면 허리 모서리부(38)에 인접하는 흡수성 샤시(32)의 측면 모서리부(36)를 따라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고정 요소(84 및 85)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수단, 예를 들면 접착제 접착, 초음파 접착 또는 열융착에 의해 외측 커버(40)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태양에서, 용변 연습용 바지(20)는 제1 고정 요소(82 및 83)에 재부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정면 허리부(22)에 배치된 단일의 제2 고정 요소만을 포함한다(도시되지 않음). 다른 대안적인 실시태양에서, 외측 커버(40)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42)는 제1 고정 요소(82 및 83)와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릴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2 고정 요소로 기능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태양에서, 제1 고정 요소는 외측 커버상에 위치하고, 제2 고정 요소는 내측 표면상에 위치한다. 제2 고정 요소(84 및 85)는 네모, 원, 타원, 곡선 또는 비네모형일 수는 있지만, 네모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제1 고정 요소(82 및 83)는 고정 요소와의 접촉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자극으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원위 모서리부(68) 및 말단 모서리부(70 및 72)에서 안쪽으로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고정 요소(82 및 83)는 원위 모서리부(68)로부터 횡방향 안쪽으로 약 1 내지 약 15 mm, 특히 약 1 내지 약 5 mm(예, 약 2 mm) 만큼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요소(82 및 83)는 다리 말단 모서리부(70) 및 허리 말단 모서리부(72)에서 종방향 안쪽으로 약 2 mm 이상, 특히 약 5 mm 이상(예, 약 5 내지 약 15 mm) 만큼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면 허리부(22)에서, 제2 고정 요소(84 및 85)는 측면 모서리부(36)로부터 횡방향 안쪽으로 약 1 내지 약 50 mm, 특히 약 1 내지 약 10 mm(예, 약 2 mm) 만큼 떨어져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말단 모서리부(45)에서 종방향 안쪽으로 약 2 mm 이상, 특히 약 5 mm 이상(예, 약 5 내지 약 15 mm) 만큼 떨어져 위치한다. 간격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유아 또는 부모가 제거하기 곤란해지지만 더욱 의류와 같은 외관을 갖는 반면, 거리가 멀수록 유아 및 부모가 제거하기 더 용이해지만 의류 같지 않은 느슨하고 펄럭이는 외관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정한다.
제1 및 제2 고정 요소(82-85)가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릴 때, 가랑이부(26)에서의 흡수성 샤시(32)의 측면 모서리부(36)는 다리 개구부(52)를 정의하고, 측면 패널의 외측 모서리부(72)를 포함하여 흡수성 샤시의 허리 모서리부(38)는 허리 개구부(50)를 정의한다. 연결되었을 때, 고정 요소(82-85)는 차등적인 고정 정도를 제공하도록, 더 구체적으로는 더 집중적인 분리력을 받는 경향이 있는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를 따라 위치하는 점에서 더 큰 고정 정도를 제공하도록 형태화된 재고정가능한 이음매(88)를 이룬다(도 1).
재고정가능한 이음매(88)는 고정 요소(82-850가 맞물려 있을 때, 허리 개구부(6)와 다리 개구부(52)사이의 거의 전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재고정가능한 이음매(88)는 허리 개구부(50)와 각각의 다리 개구부(52)사이의 거리의 약 80 내지 100%, 특히 약 90 내지 약 98%에 이를 수 있으며, 이 때 거리는 종축(48)에 평행으로 측정된다. 허리 개구부(50)와 다리 개구부(52)사이의 전 거리를 실질적으로 연장하도록 이음매(88)를 형태화하기 위해, 측면 패널(34)상에 배치되는 고정 요소(82 및 83)는 측면 패널의 허리 말단 모서리부(70)에서 다리 말단 모서리부(72)까지의 거리의 약 80 내지 100%, 특히 약 90 내지 약98%에 이르도록 형태화될 수 있다.
도 4는 용변 연습용 바지(20)의 한 측면 패널(34)의 내면(28)을 보여주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시된 제1 고정 요소(82)는 떼어낼 수 있는 맞물림 특성이 서로 다른 제1 부분(100) 및 제2 부분(102)을 갖는다. 제1 고정 요소(82)는 측면 패널(34)의 내측 모서리(70)쪽으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고정 요소가 맞물릴 때 다리 개구부(52) 중 하나를 향해 배치되는 내측 말단 모서리부(104), 및 측면 패널의 외측 모서리부(72)를 향해 배치되고, 이에 따라 고정 요소가 맞물릴 때, 허리 개구부(50)를 향해 배치되는 외측 말단 모서리부(106)를 정의한다. 제1 고정 요소(82)는 또한 내측 말단 모서리부(104)와 외측 말단 모서리부(106)사이에서 연장되는 반대측 측면 모서리부(1080를 정의한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제1 고정 요소(82 및 83) 및 제2 고정 요소(84 및 85)는 각각 용변 연습용 바지(20)의 종축(48)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 길이 및 용변 연습용 바지의 횡축(49)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 너비를 정의한다. 체중이 약 9 내지 15 kg(20-30 파운드)인 유아의 경우, 예를 들면 고정 요소의 길이는 약 5 내지 13 cm(예, 약 10 cm)이고 너비는 약 0.5 내지 약 3 cm(예, 2 cm)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요소의 길이 대 너비 비는 약 2 이상(예, 약 2 내지 약 25), 특히 약 5 이상(예, 약 5 내지 약 8)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고정 요소 및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는 곡선형이거나 비선형일 수 있다.
제1 부분(100)은 제2 고정 요소(84 및 85)에 기본적인 고정 정도를 제공하는 고정 물질을 포함하는 반면, 제2 부분(102)은 제2 고정 요소에 증가된 고정 정도를제공하는 고정 물질을 포함한다. 즉, 제2 부분(102)의 제2 고정 요소(84 및 85)에 대한 떼어낼 수 있는 맞물림 특성은 제1 부분(100) 보다 더 크다. 도 4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분(102)은 제1 고정 요소(82)의 내측 말단 모서리부(104)를 향해 연장되고, 제1 부분(100)에 의해 측방향으로 둘러싸여 있다.
고정 요소(82 및 85)가 서로 고정되어 재고정가능한 이음매(88)를 형성하는 것을 예시하는 용변 연습용 바지(20)의 확대 부분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고정 요소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취해진 확대 단면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재고정가능한 이음매(88)는 용변 연습용 바지(20)의 허리 개구부(50)를 향해 배치된 허리 개구 말단부(90) 및 다리 개구부(52) 중 하나를 향해 배치된 반대편 다리 개구 말단부(92)를 갖는다. 재고정가능한 이음매(88)의 중심부(94)는 허리 개구 말단부(90) 및 다리 개구 말단부(92)사이에 배치된다. 재고정가능한 이음매(88)의 측면 모서리부(96)(도 5)는 용변 연습용 바지(20)의 종축(48)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재고정가능한 이음매(88)의 허리 개구 및 다리 개구 말단부(90 및 92)는 이음매에서 가장 원거리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간주되며, 각각 바지(20)의 허리 개구부(50) 또는 다리 개구부(52)를 향해 위치하고, 그 곳에서 제1 및 제2 고정 요소가 떼어낼 수 있게 서로 맞물린다.
제1 고정 요소(82)의 제1 부분(100)은 제2 고정 요소(85)와 맞물려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120)을 형성한다.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120)은 제1 및 제2 고정 요소(82 및 85)사이에서 기본 고정 정도를 제공한다.
제1 고정 요소(82)의 제2 부분(102)은 제2 고정 요소(85)와 떼어낼 수 있게 맞물려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122)을 형성한다.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122)은 제1 및 제2 고정 요소(82 및 85)사이에서 증가된 고정 정도를 제공한다. 증가된 고정 정도는 기본 고정 정도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부분(100 및 102)는 고정 요소를 따라 서로 다른 종방향 부분에 위치하고, 용변 연습용 바지(20)의 종축(48)에 평행이다.
다른 대안적인 고정 요소(182)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제1 고정 요소(182)는 제1 부분(100) 및 한 쌍의 제2 부분(102)을 포함한다. 제2 부분(102) 중 하나는 제1 고정 요소(182)의 내측 말단 모서리부(106)를 향해 배치되고, 다른 제2 부분은 제1 고정 요소의 외측 말단 모서리부(106)를 향해 배치된다. 제1 부분(100)은 두개의 제2 부분(102)사이에 놓여진다.
제2 고정 요소(85)와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요소(182)는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허리 개구 말단부(90) 및 다리 개구 말단부(92)를 향해 배치된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122)을 갖는 재고정가능한 이음매(88)를 형성한다(도시되지 않음). 비록 개개 고정용 물질로 구성되어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고정 요소(182)와 유사한 제1 고정 요소(282)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서, 측면 패널(34)은 일부의 탄성 특성이 다른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내측 모서리부(70) 및 외측 모서리부(72) 근방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된 세그먼트는 측면 패널의 중간 세그먼트와 비교시 주어진 신장률에서 더 큰 장력을 제공한다. 다른 세그먼트는 각종 방법, 예를 들면 탄성 물질의 양, 종류 및 배향 등을 달리하여 도입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요소의 형태는 측면 패널의 각종 세그먼트의 장력 특성과 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부분(100)은 비교적 낮은 정도의 장력을 제공하는 측면 패널의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종방향 쪽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부분(102)은 비교적 더 큰 정도의 장력을 제공하는 측면 패널의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종방향 쪽에 위치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제2 고정 요소(185)를 나타낸다. 도 9에서, 제2 고정 요소(185)는 서로 다른 떼어낼 수 있는 맞물림 특성을 갖는 제1 부분(100) 및 제2 부분(102)을 갖는다.
용변 연습용 바지(20)는 특히 착용자의 둔부상에서 착용되거나 벗겨질 때, 미리 고정된 상태에서 바지를 확실히 유지하기 위한 떼어낼 수 있는 측면 본드(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떼어낼 수 있는 측면 본드는 용변 연습용 바지(20)가 더렵혀진 다음, 보호자가 용변 연습용 바지(20)를 쉽게 제거할 수 있게, 쉽게 풀어지도록 형태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떼어낼 수 있는 측면 본드는 초음파 점 본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떼어낼 수 있는 측면 본드를 포함하는 흡수성 제품은 엘스버그(Elsberg)의 미국특허출원 제09/100,574호(발명의 명칭: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Passibe Side Bonds And Adjustable Fastening Systems, 출원일: 1998년 6월 19일)에 기재되어 있고, 상기문헌을 참고 문헌으로 채택한다.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재고정가능한 용변 연습용 바지(20)를 확실하고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용변 연습용 바지(20)의 각종 요소는 각종 적합한 부착 수단(예를 들면, 접착제, 음파 및 열 접착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서로 일체적으로 서로 조립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더 상세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다. 특정 양, 비, 조성 및 변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본 발명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태양을 나타내는 20개의 시험용 고정 요소를 만들었다. 이들 고정 요소는 루프 재료 및 후크 재료의 어떤 부분에 도포된 접착제를 갖는 후크 재료를 포함하였다. 고정 요소는 서로 맞물리게 하였다. 접착제를 포함하고 포함하지 않는 부분에서의 고정 요소간의 맞물림 정도는 상기 박리 시험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물질을 다음과 같았다.
1. 너비가 2.5 cm(1 인치)인 접착제 트랜스퍼 테이프(등록상표 스카치),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파울에 소재하는 3M으로부터의 고성능 접착제 트랜스퍼 테이프(0.05 mm, 즉 2 mil).
2. 멜트블로운 함량이 14 중량%이고 전체 기초 중량이 34 g/m2(1.0 osy)인 폴리올레핀 섬유의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적층물로 구성된 지지 물질.
3. 미국 노오쓰 캐롤라이나주 그린스보로에 소재하는 길포드 밀즈 인크로부터 입수가능한 루프 재료(No. 36549).
4.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소재하는 벨크로 인더스트리즈 비브이 및 그의 계열사로부터 입수가능한, 2 mil의 지지체를 갖는 등록상표 벨크로 후크 HTH 851로 알려진 후크 재료[너비 스트립은 1.9 cm(0.75 inch임)].
5. FPC 코퍼레이션이 60631-3505 일리노이아주 시카고에 소재하는 트루서브(TruServ)를 위해 제조한 ASTM D-4236에 해당하는, 10.1 cm x 1.1 cm(4 x 7/16 inch)의 DT-6 mm 457-272로 식별되는 매스터 미케닉스 "All Temperature Glue Sticks", 미국 위스콘신주 니나에 소재하는 크루에거 하드웨어에서 구입.
본 실시예에 사용된 장치는 다음과 같았다.
1. 직선 모서리/자
2. 황동 롤[직경 5.0 cm(2 인치), 길이 5.7 cm(2.25 인치)], 1,000 g의 중량이 롤상에 표시되었고, 메틀러 스케일(Mettler Scale)에 의해 측정된 실제 중량은 92 g이었음.
3. 회전 절단기.
4. 페이퍼 절단기.
5. FPC 코퍼레이션이 60631-3505 일리노이아주 시카고 트루서브를 위해 제조한 매스터 미케닉 "Professional Glue Gun" 80 watts HE 750 mm 456-613, 미국 위스콘신주 니나에 소재하는 크루에거 하드웨어에서 구입함.
6.플루크(FLUKE 52k/j) 온도계와 같은 온도계.
7. 메틀러(Mettler) PE 1600 저울과 같은 저울.
시험 시료는 아래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1. 접착제 트랜스퍼 테이프를 사용하여 루프 재료(루프 측면이 상방향임)를 지지 물질에 부착시킴(100% 커버리지).
2. 후크 재료(후크 측면은 하방향임)를 루프/지지 물질 복합물에 올려 놓음.
3. 직선 모서리를 사용하여 후크/루프/지지 물질 복합물을 1.9 cm 너비(0.75 인치)의 스트립으로 절단함(회전 절단기).
4. 페이퍼 절단기를 사용하여 7.6 cm 길이(3 인치)의 스트립으로 절단함.
5. 시료 번호를 사용하여 7.6 cm x 1.9 cm(3 x 0.75 인치) 스트립을 표시함.
6. 열융점 지시기(글루건)에서 온도가 약 385 내지 390℉에서 안정되도록 함. 온도계를 사용하여 온도를 확인함.
7. 메틀러 저울상에서 시료 스트립의 무게를 측정함.
8. 후크/루프/지지 물질 복합물 스트립의 한쪽 끝[약 1.9 cm(0.75 인치)]을 벗겨 후크를 루프와 분리시킴.
9. 스트립의 끝으로부터의 후크 약 0.6 cm(0.25 인치)에 글루건으로부터의 접착제 한 방울을 도포함. 이 때 후크 재료에서 연소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제 노즐이 후크에 닿지 않도록 주의함.
10. 접착제 한 방울을 도포한 즉시 루프/지지 물질 복합물을 접고, 후크로 이동시켜, 1,000 g 황동 롤로 3회 롤링한다.
11. 모든 시료를 제조한 후, 각각의 스트립의 중량을 다시 측정하여 접착제 첨가량을 계산한다.
계산 결과, 20개의 시험 고정 요소의 접착제 첨가량은 0.05 g(0.03 내지 0.06 g의 오차 범위를 가짐)이었다. 20개의 시험 시료로부터의 박리 시험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냈고, 요약 정보를 표 2에 나타냈다. 시험 입력치는 아래 표 3에 나타냈다.
피크(g) 평균(g)
평균 3622.4 125.4
최소 2701.5 44.6
최대 4357.7 162.1
Stdv 450.4 26.6
%Cov 12.4 21.2
크로스헤드의 속도 500.00 Mm/Min
하중 한계 HI 10 kg
Brk 민감성 110 %
시험의 종단 5.25 inch
예시목적으로 기술된 상기 실시태양의 세부사항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약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몇 몇 대표적인 실시태양이 위에서 상세하게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신규한 교시내용 및 장점으로부터 많이 이탈하지 않고도 예시된 실시예에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모든 변형은 하기 특허청구범위 및 그의 균등물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나아가, 실시태양의 일부,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장점들을 모두 달성하지 못하는 많은 실시태양들을 생각할 수 있지만, 특정 장점의 부재가 곧 그와 같은 실시태양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않될 것임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신체 배출물(exudate)을 수용하도록 적합화된(adapted) 흡수성 제품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차등 강도 특성을 갖는 재고정가능하고 위치가 가변적인 이음매를 갖는 바지형 1회용 흡수성 제품 및 상기 1회용 흡수성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33)

  1. 종축, 횡축, 종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하는 제1 및 제2 허리부 및 상기 제1 허리부와 제2 허리부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가랑이부를 갖는 흡수성 제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제품은 흡수성 샤시(chassis) 및 고정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시스템은 상기 제1 허리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수성 샤시에 부착된 1 이상의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허리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수성 샤시에 부착된 1 이상의 제2 고정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는 함께 기본 고정 정도를 제공하는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 및 상기 기본 고정 정도보다 더 큰 증가된 고정 정도를 제공하는 재자금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을 갖는 재고정가능하고 가변적인 위치의 이음매를 정의하는 것인 흡수성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정가능하고 위치가 가변적인 이음매가 상기 흡수성 제품의 종축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 길이, 상기 흡수성 제품의 횡축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 너비 및 약 2 이상의 길이 대 너비 비를 정의하는 흡수성 제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정가능하고 위치가 가변적인 이음매의 길이 대 너비의 비가 약 5 이상인 흡수성 제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제품이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가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릴 때 허리 개구부 및 다리 개구부들을 정의하며, 상기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은 다리 개구부에 인접해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제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제품이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가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릴 때 허리 개구부 및 다리 개구부들을 정의하며, 상기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은 상기 허리 개구부에 인접해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제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제품이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가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릴 때 허리 개구부 및 다리 개구부들을 정의하며, 상기 재고정가능하고 위치가 가변적인 이음매가 허리 개구부 및 다리 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 한 쌍을 포함하며,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은 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성 제품.
  7. 종축, 횡축, 제1 허리부, 반대편 제2 허리부 및 상기 제1 허리부와 상기 제2 허리부를 연결하고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랑이부를 갖는 흡수성 제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제품은 상기 제1 허리부에 배치되는 1 이상의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허리부에 배치되는 1 이상의 제2 고정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는 재고정가능하고 가변적인 위치를 갖는 이음매에서 서로떼어낼 수 있게 맞물리도록 적합화되며(adapted), 상기 제1 고정 요소는 떼어낼 수 있는 맞물림 특성이 서로 다른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제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가 후크/루프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다른 종류의 후크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제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가 후크/루프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서로 다른 종류의 루프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제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가 후크/루프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이 접착제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제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물질이 접착제를 약 1 g/cm2이하로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제품.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가 접착제 고정재(fastener)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다른 종류의 접착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제품.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요소가 또한 떼어낼 수 있는 맞물림 특성이 서로 다른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제품.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요소가 상기 흡수성 제품의 배면 허리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고정 요소가 상기 흡수성 제품의 반대편 정면 허리부에 배치되는 흡수성 제품.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요소가 상기 흡수성 제품의 종축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 너비 및 상기 흡수성 제품의 횡축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 너비를 정의하는 흡수성 제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요소의 길이 대 너비의 비가 약 2 이상인 흡수성 제품.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요소의 길이 대 너비의 비가 약 5 이상인 흡수성 제품.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제품이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가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릴 때 허리 개구부 및 다리 개구부들을 정의하고, 상기 제1 고정 요소가 상기 다리 개구부를 향해 배치된 내측 말단 모서리부 및 상기 허리 개구부를 향해 배치된 외측 말단 모서리부를 정의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보다 더 큰 떼어낼 수 있는 맞물림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고정 요소의 상기 내측 말단 모서리부를 향해 연장된(offset) 것인 흡수성 제품.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제품이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가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릴 때 허리 개구부 및 다리 개구부들을 정의하고, 상기 제1 고정 요소가 상기 다리 개구부를 향해 배치된 내측 말단 모서리부 및 상기 허리 개구부를 향해 배치된 외측 말단 모서리부를 정의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보다 더 큰 떼어낼 수 있는 맞물림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고정 요소의 상기 외측 말단 모서리부를 향해 연장된(offset) 것인 흡수성 제품.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제품은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가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릴 때 허리 개구부 및 다리 개구부들을 정의하고, 상기 제1 고정 요소는 상기 다리 개구부를 향해 배치된 내측 말단 모서리부 및 상기 허리 개구부를 향해 배치된 외측 말단 모서리부를 정의하며, 상기 제1 고정 요소는제1 부분보다 더 큰 떼어낼 수 있는 맞물림 특성을 갖는 한 쌍의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제 1 고정 요소의 반대편 내측 말단 모서리부 및 외측 말단 모서리부를 향해 연장되며(offset), 상기 제1 부분은 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성 제품.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인 위치를 갖는 이음매가 기본적인 고정 정도를 제공하는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 및 상기 기본 고정 정도보다 더 큰 증가된 고정 정도를 제공하는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을 갖는 것인 흡수성 제품.
  22. 종축, 횡축, 종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제1 허리부 및 제2 허리부, 및 상기 제1 허리부 및 상기 제2 허리부를 연결하고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랑이부를 갖는 흡수성 제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제품은 흡수성 샤시 및 고정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시스템은 상기 흡수성 샤시에 부착되고 상기 제1 허리부에 배치되는 1 이상의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흡수성 샤시에 부착되고 상기 제2 허리부에 배치되는 1 이상의 제2 고정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는 위쪽으로 연장된 복수의 맞물림 요소를 갖는 기계식 고정 요소를 포함하고 아울러 위쪽으로 연장된 상기 맞물림 요소의 적어도 일부상에 배치된 접착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는 함께 기본적인 고정 정도를 제공하는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 및 기본 적인 고정 정도보다 더 큰 증가된 고정 정도를 제공하는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을 갖는 재고정가능하고 위치가가변적인 이음매를 정의하는 것인 흡수성 제품.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제품이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가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릴 때 허리 개구부 및 다리 개구부들을 정의하고, 상기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이 다리 개구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흡수성 제품.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제품이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가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릴 때 허리 개구부 및 다리 개구부들을 정의하며, 상기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이 상기 허리 개구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흡수성 제품.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제품이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가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릴 때 허리 개구부 및 다리 개구부들을 정의하고, 상기 재고정가능한 이음매가 상기 허리 개구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다리 개구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 한 쌍을 포함하며,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은 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성 제품.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제품이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가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릴 때 허리 개구부 및 다리 개구부들을 정의하고, 상기 재고정가능한 이음매가 상기 허리 개구부와 상기 다리 개구부 사이의 거리의 약 90내지 약 98%에 이르는 것인 흡수성 제품.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정가능한 주부착 영역이 상기 재고정가능한 이음매 길이의 약 95% 이하를 포함하고, 상기 재고정가능한 강화 부착 영역이 상기 재고정가능한 이음매의 길이의 약 20% 이하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제품.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재고정가능한 결합을 형성하는 것인 흡수성 제품.
  29. 흡수성 샤시를 제공하는 단계,
    1 이상의 제1 고정 요소를 제1 허리부에서 흡수성 샤시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1 이상의 제2 고정 요소를 제2 허리부에서 흡수성 샤시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성 제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흡수성 제품은 종축, 횡축, 제1 허리부, 반대편 제2 허리부 및 상기 제1 허리부와 상기 제2 허리부를 연결하고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랑이부들을 정의하고,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는 함께 재고정가능하고 위치가 가변적인 이음매를 정의하고, 상기 제1 고정 요소는 떼어낼 수 있는 맞물림 특성이 서로 다른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제품의 제조방법.
  30. 흡수성 샤시를 제공하는 단계,
    지지 구조체, 맞물림 표면 및 상기 맞물림 표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맞물림 요소를 가지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정의하는 제1 기계식 고정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접착제를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맞물림 요소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 1부분 중의 맞물림 요소를 접착제를 함유하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기계식 고정 요소를 제1 허리부에서 상기 흡수성 샤시에 부착하는 단계 및
    1 이상의 제2 기계식 고정 요소를 상기 제2 허리부에서 상기 흡수성 샤시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성 제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흡수성 제품은 종축, 횡축, 제1 허리부, 반대편 제2 허리부 및 상기 제1 허리부와 상기 제2 허리부를 연결하고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랑이부를 가지며,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는 떼어낼 수 있게 서로 맞물리도록 적합화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떼어낼 수 있는 맞물림 특성이 서로 다른 흡수성 제품의 제조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제품이 상기 제1 기계식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기계식 고정 요소가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릴 때 허리 개구부 및 다리 개구부들을 정의하고, 상기 제2 부분을 다리 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제품이 상기 제1 기계식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기계식 고정 요소가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릴 때 허리 개구부 및 다리 개구부들을 정의하고, 상기 제2 부분을 허리 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제품이 상기 제1 기계식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기계식 고정 요소가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릴 때 허리 개구부 및 다리 개구부들을 정의하고, 상기 제1 기계식 고정 요소가 한 쌍의 제2 부분을 정의하며, 상기 허리 개구부에 인접하고 다리 개구부에 인접하게 상기 제2 부분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부분은 그 사이에 배치되는 방법.
KR1020017007605A 1998-12-18 1999-12-16 차등 강도의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를 갖는 흡수성 제품 KR100723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70998P 1998-12-18 1998-12-18
US60/112,709 1998-12-18
US09/444,632 1999-11-22
US09/444,632 US6764475B1 (en) 1998-12-18 1999-11-22 Absorbent articles having differential strength refastenable se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270A true KR20010101270A (ko) 2001-11-14
KR100723552B1 KR100723552B1 (ko) 2007-05-31

Family

ID=2681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605A KR100723552B1 (ko) 1998-12-18 1999-12-16 차등 강도의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를 갖는 흡수성 제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764475B1 (ko)
KR (1) KR100723552B1 (ko)
AR (1) AR021731A1 (ko)
AU (1) AU2188200A (ko)
CO (1) CO5111009A1 (ko)
DE (1) DE19983786B4 (ko)
GB (1) GB2362087B (ko)
TW (1) TW42269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437B1 (ko) * 2006-07-05 2014-05-14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성인용 기저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57100A (en) 1998-12-18 2000-07-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hinged fasteners
US6645190B1 (en) 1999-11-22 2003-11-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non-irritating refastenable seams
US6761711B1 (en) 1998-12-18 2004-07-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US6849067B2 (en) 1999-11-22 2005-02-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US6447497B1 (en) * 1999-11-22 2002-09-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hild resistant refastenable seams
US6554816B1 (en) 1999-11-22 2003-04-29 Kimberly-Clarke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shaped fastening component
US6764475B1 (en) 1998-12-18 2004-07-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differential strength refastenable seam
US8343127B1 (en) 1999-11-22 2013-01-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garment-like refastenable seams
US6726670B2 (en) 2000-07-13 2004-04-27 Sca Hygiene Products Ab Belted absorbent article
US7578812B2 (en) * 2001-03-01 2009-08-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e-fastened absorbent article having simplified fastening features
US20030153889A1 (en) * 2002-02-14 2003-08-14 Gibbs Bernadette Mary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with curved side seams
US20050027280A1 (en) * 2003-07-28 2005-02-03 Patty-Brown La'tanya Y. Hook and loop disposable undergarment
US8070738B2 (en) * 2004-02-06 2011-1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nt-like disposable garment having improved fastener systems
US7985210B2 (en) * 2004-02-09 2011-07-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flap handle that aids in the application of said absorbent article
US8568382B2 (en) * 2004-03-29 2013-10-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co-elongation
US8562580B2 (en) * 2004-04-30 2013-10-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lective modification of a nonwoven surface
US20060137079A1 (en) * 2004-12-29 2006-06-29 Goodrich Kellie M Calibrated fastener system
US8221378B2 (en) * 2005-08-30 2012-07-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bination of refastenable and releasable bonds
CA2624252C (en) * 2005-09-29 2012-06-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ide seam for disposable garment
US7722592B2 (en) * 2006-01-03 2010-05-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tacky adhesive fastening system for use in consumer products
US7727215B2 (en) 2006-07-06 2010-06-01 Unicharm Corporation Wearing article
US8470440B2 (en) * 2006-08-30 2013-06-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generative non-tacky adhesive fastening system for use in consumer products
WO2008057435A2 (en) * 2006-11-02 2008-05-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tacky adhesive fastening system
US7996930B2 (en) * 2008-04-09 2011-08-16 William Carter Disposable collapsible portable toilet
JP5306731B2 (ja) * 2008-07-16 2013-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の製造方法
US8377028B2 (en) * 2009-05-21 2013-02-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king a pant-like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an underwear-like waistband graphic, and garment made thereby
JP5075901B2 (ja) * 2009-09-30 2012-11-2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120053553A1 (en) * 2010-08-27 2012-03-01 Michell Renae Griggs Adaptive clothing boxer short undergarment
US8545474B2 (en) * 2010-10-22 2013-10-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finger tab without compromising stretch
US8523836B2 (en) 2010-10-22 2013-09-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finger tab
US9248056B2 (en) 2011-01-13 2016-02-02 Fameccanica.Data S.P.A. Pant-type diaper and corresponding manufacturing process and apparatus
CN103458841B (zh) 2011-03-17 2015-07-15 优质婴幼产品有限公司 用于折叠裤子型尿布的方法和设备
US20130131625A1 (en) * 2011-11-18 2013-05-23 Daniel Robert Schlinz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plit Fastener
US11246767B2 (en) * 2018-08-27 2022-02-15 Medline Industries, Lp Easy change protective underwear
WO2021163256A1 (en) * 2020-02-13 2021-08-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fasten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34424A (ko) 1953-12-24
US3039466A (en) 1959-01-23 1962-06-19 Charles H Wilson Diaper panty
US3277547A (en) 1961-12-19 1966-10-11 Separable fastening element
FR1375254A (fr) 1963-09-06 1964-10-16 Procédé de fabrication de tissus rigides et accrochants par rétraction de fils
FR1411421A (fr) 1963-10-16 1965-09-17 Dispositif de liaison entre deux morceaux de tissu
US3316139A (en) 1964-12-31 1967-04-25 Standard Oil Co Plastic structure containing fibrous layers and hollow glass spheres
US3577607A (en) 1967-06-19 1971-05-04 Ikoma Orimono Co Ltd Separable fastening fabric
US3842837A (en) 1967-06-28 1974-10-22 R Sward Baby diapers
BE727352A (ko) 1969-01-24 1969-07-24
US3694867A (en) 1970-08-05 1972-10-03 Kimberly Clark Co Separable clasp containing high-loft, non woven fabric
US3842832A (en) 1972-10-06 1974-10-22 Poly Wide Inc Disposable laminate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it
FR2298283A1 (fr) 1975-01-24 1976-08-20 Aaron Rene Ets Couche-culotte pour bebes
US4209563A (en) 1975-06-06 1980-06-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random laid bonded continuous filament cloth
GB1520740A (en) 1975-12-02 1978-08-09 Courtaulds Ltd Sanitary garment
US4205679A (en) 1976-07-23 1980-06-03 Johnson & Johnson Disposable undergarment
US4145763A (en) 1976-12-07 1979-03-27 Abrams Joe L Separable medical undergarment
US4122552A (en) 1977-11-07 1978-10-31 Fred Tedford Disposable undergarments
US4259957A (en) 1978-03-21 1981-04-07 Colgate-Palmolive Company Fastening means for diapers
US4201203A (en) 1978-06-26 1980-05-06 Surgical Appliance Industries, Inc. Knee brace
US4418123A (en) 1978-12-06 1983-11-29 H. B. Fuller Company Extrudable self-adhering elastic and method of employing same
US4244368A (en) 1979-03-05 1981-01-13 Gilman Brothers Inc. Incontinent garment
US4253461A (en) 1979-10-11 1981-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brief
US4338938A (en) 1980-05-19 1982-07-13 Seavitt Susan A Washable diaper
US4402690A (en) 1980-10-21 1983-09-06 Robin Redfern High absorbency, contoured, reusable diaper
US4446189A (en) 1983-05-12 1984-05-01 Phillips Petroleum Company Textured nonwoven textile fabric laminate and process of making said
SE446939B (sv) 1983-05-24 1986-10-20 Duni Bila Ab Inkontinensbloja samt forfarande for fixering av elastiska band vid en dylik bloja
US4496360A (en) 1983-06-27 1985-0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using a composite waste-containment garment having disposable elasticized insert
US4560381A (en) 1983-07-07 1985-12-24 Southwell Sandra R H Disposable panty for menstrual wear
US4650483A (en) 1983-10-19 1987-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ste-containment garment having integrally protected adhesive fasteners
US4615695A (en) 1983-11-14 1986-10-07 Cooper Rosanna M Combination diaper training pant for children and adults
US5087253A (en) 1983-11-14 1992-02-11 Cooper Rosanna M Combination diaper training pant for adults and children
US4516975A (en) 1984-03-12 1985-05-14 Mitchell Debra J Formed and washable diaper
US4581772A (en) 1984-03-28 1986-04-15 Smith Alice G Training panty
US4619649A (en) 1984-04-30 1986-10-28 Joan Roberts Disposable toddler training panty
WO1985005254A1 (fr) 1984-05-16 1985-12-05 Boussac Saint Freres B.S.F. Culotte a ceinture elastiqu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CA1341430C (en) 1984-07-02 2003-06-03 Kenneth Maynard Enloe Diapers with elasticized side pockets
CH664879A5 (de) 1984-09-26 1988-04-15 Esther Gilomen Waschbares windelhoeschen.
US4585447A (en) 1985-04-15 1986-04-29 Colgate-Palmolive Company Disposable diaper with intersecting stressed crotch and waist seals
US4761318A (en) 1985-04-15 1988-08-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oop fastener portion with thermoplastic resin attaching and anchoring layer
US4610680A (en) 1985-04-29 1986-09-09 Lafleur Ruby S Disposable training panty
US4610682A (en) 1985-07-25 1986-09-09 Kopp Yvette B Disposable diaper
US4663220A (en) 1985-07-30 1987-05-05 Kimberly-Clark Corporation Polyolefin-containing extrudabl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formation into elastomeric products including microfibers
US4657802A (en) 1985-07-30 1987-04-14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nonwoven elastic web
US4655760A (en) 1985-07-30 1987-04-07 Kimberly-Clark Corporation Elasticized garm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720415A (en) 1985-07-30 1988-01-19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omeric material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4623339A (en) 1985-08-15 1986-11-18 Joann Ciraldo Precious baby diaper
CA1292100C (en) * 1985-09-06 1991-11-19 Gregory J. Rajala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fixed full length fasteners
US4701176A (en) 1985-09-06 1987-10-20 Kimberly-Clark Corporatio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fixed full-length fasteners
US4701170A (en) 1985-09-06 1987-10-20 Kimberly-Clark Corporatio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fixed position fasteners
US4756709A (en) 1985-09-06 1988-07-12 Kimberly-Clark Corporatio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 3-section stretchable outer cover
US4662875A (en) 1985-11-27 1987-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US4714096A (en) 1985-12-03 1987-12-22 George C. Moore Co. Elastic fabric provided with a looped gripping surface
JPS62111410U (ko) 1985-12-30 1987-07-16
BR8600823A (pt) 1986-02-26 1987-09-08 Johnson & Johnson Sa Sistema de fixacao e vedacao para fraldas
US4699622A (en) 1986-03-21 1987-10-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an improved side closure
US4834742A (en) 1986-09-03 1989-05-30 Kimberly-Clark Corporation Fastening system for a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US4895569A (en) 1986-09-03 1990-01-23 Kimberly-Clark Corporation Fastening system for a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a tailored seam
US4789699A (en) 1986-10-15 1988-12-06 Kimberly-Clark Corporation Ambient temperature bondable elastomeric nonwoven web
US4743239A (en) 1986-11-07 1988-05-10 Cole Shelley K Disposable brief having an area of relatively thin absorbent material and an area of relatively thick absorbent material
US4725473A (en) 1986-11-25 1988-02-16 Kimberly-Clark Corporation Cloth-like, liquid impervious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4872871A (en) * 1986-12-31 1989-10-10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elastic outer cover and integrated absorbent insert structure
US4770656A (en) 1986-12-31 1988-09-13 Kimberly-Clark Corporation Routing of leg elastic to reduce stresses in a stretchable outer diaper cover
US4850988A (en) 1987-02-25 1989-07-25 Chicopee Double fastening system with a slit
US5032122A (en) 1987-04-24 1991-07-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op fastening material for fasten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380313A (en) 1987-06-19 1995-01-10 The Proctor & Gamble Company Loop fastening material for fasten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940464A (en) 1987-12-16 1990-07-10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incontinence garment or training pant
CA1326328C (en) 1987-12-16 1994-01-25 Paul Theodore Van Gompel Disposable incontinence garment or training pant
US4938757A (en) 1987-12-16 1990-07-03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training pant or incontinence garment
CA1311589C (en) 1987-12-17 1992-12-22 Charles Locke Scripps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combination mechanical and adhesive tape fastener system
US4963140A (en) 1987-12-17 1990-10-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chanical fastening systems with disposal means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4847134A (en) 1987-12-22 1989-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Stretchable absorbent undergarment
US4892598A (en) * 1987-12-30 1990-01-09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of integrating an absorbent insert into an elastomeric outer cover of a diaper garment
US4923456A (en) 1987-12-31 1990-05-08 Kimberly-Clark Corporation Adjustable combination fastener for a disposable diaper
US4936840A (en) 1987-12-31 1990-06-26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of reducing fastener irritation and waist droop in a disposable diaper
US4894060A (en) 1988-01-11 1990-01-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osable diaper with improved hook fastener portion
JPH01199178A (ja) 1988-02-04 1989-08-10 Mitsubishi Electric Corp 超伝導磁力計
US5256231A (en) 1988-05-13 1993-10-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making a sheet of loop material
US5616394A (en) 1988-05-13 1997-04-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heet of loop material, and garments having such loop material incorporated therein
US5643397A (en) 1988-05-13 1997-07-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quipment for forming a sheet of loop material
US5226992A (en) 1988-09-23 1993-07-13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a composite elastic necked-bonded material
US4863785A (en) 1988-11-18 1989-09-05 The James River Corporation Nonwoven continuously-bonded trilaminate
US5176671A (en) 1988-12-20 1993-01-05 Kimberly-Clark Corporation Fastening system for disposable diaper with disposability feature
US5019073A (en) 1988-12-20 1991-05-28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with improved mechanical fastening system
US5176670A (en) 1988-12-20 1993-01-05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with improved mechanical fastening system
US5250253A (en) * 1989-09-19 1993-10-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astener
US5062839A (en) 1989-09-29 1991-11-05 Dora Anderson Disposable training panty with controlled wetness release
US5114781A (en) 1989-12-15 1992-05-19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direction stretch composite elastic material including a reversibly necked material
US5116662A (en) 1989-12-15 1992-05-26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direction stretch composite elastic material
CA2031435A1 (en) 1989-12-19 1991-06-20 Dan Darold Endres Conformable absorbent article
US5224405A (en) 1990-04-06 1993-07-06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cess for rotating and placing a strip of material on a substrate
US5104116A (en) 1990-04-06 1992-04-14 Kimberly-Clark Corporation Applicator apparatus and process for rotating and placing a strip of material on a substrate
US5046272A (en) 1990-05-01 1991-09-10 Kimberly-Clark Corporation Fluid-operated stabilizing apparatus and method
MY106077A (en) 1990-05-09 1995-03-31 Kao Corp Disposable diapers.
US5185052A (en) 1990-06-06 1993-02-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igh speed pleating apparatus
CA2050782C (en) 1990-09-13 1997-01-28 Takamitsu Igaue Disposable garments and method for attachment of elastic members around leg-holes thereof
ES2074663T3 (es) 1990-09-21 1995-09-16 Minnesota Mining & Mfg Sujetador mecanico y estructura de pañal.
MY109047A (en) 1990-10-31 1996-11-30 Kao Corp Disposable diaper
CA2053110C (en) 1990-12-17 2002-09-10 Bruce M. Siebers Diaper or absorbent article with tensioning attachment
US5151092A (en) 1991-06-13 1992-09-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dynamic elastic waist feature having a predisposed resilient flexural hinge
US5546608A (en) 1991-05-17 1996-08-20 Russano; Jama K. Undergarment
US5326612A (en) 1991-05-20 1994-07-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female component for refastenable fasten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TE161400T1 (de) 1991-05-20 1998-01-15 Procter & Gamble Mehrschichtbauelement für einen flächenreissverschluss
CA2103272C (en) 1991-06-13 1999-01-05 Denis Gaston Weil Absorbent article with fastening system providing dynamic elasticized waistband fit
JPH0593174A (ja) 1991-06-28 1993-04-16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及び粘着テープの止着構造並びに粘着テープの巻回体
CA2053105A1 (en) 1991-08-07 1993-02-08 Jody D. Suprise Disposable absorbent child's training pant with stretchable panels
CA2053106A1 (en) 1991-08-08 1993-02-09 Mary A. Bruemmer Disposable diaper enabling standing application with childproof fastening
CA2057739A1 (en) * 1991-09-11 1993-03-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diaper having differentially stretchable ears with childproof fastening
US5401275A (en) 1991-09-11 1995-03-28 Diaperaps Limited Apparatus for enforcing the closure of diapering garments
US5385775A (en) 1991-12-09 1995-01-31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ic material including an anisotropic elastic fibrous web and process to make the same
CA2072675A1 (en) 1991-12-18 1993-12-30 Paul Theodore Van Gompel Child's disposable training pant with stretch gradient side panel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0628005B1 (en) 1992-02-27 2000-06-28 Paramount Packaging Corporation An easy opening flexible plastic bag
SE508409C2 (sv) 1992-03-04 1998-10-05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blöjbyxor
US5549591A (en) * 1992-04-02 1996-08-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dhesive/mechanical fastener systems for disposable articles
JP3350094B2 (ja) 1992-05-22 2002-11-25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改良された伸縮性サイドパネルを有する使い捨てトレーニングパンツ
JP3096152B2 (ja) 1992-05-22 2000-10-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US5315716A (en) 1992-11-30 1994-05-31 Baum Gregory H Easily removable and donnable pants
CA2092581C (en) 1992-12-22 2003-10-14 Judith K. Faass Self-adhesive nonwoven elastic compressible composite material
JP3313809B2 (ja) 1993-04-01 2002-08-12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SE508027C2 (sv) 1993-05-12 1998-08-10 Moelnlycke Ab Fastsättningsanordning för ett bälte
US5358500A (en) 1993-06-03 1994-10-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providing sustained dynamic fit
ATE177313T1 (de) 1993-07-16 1999-03-15 Procter & Gamble Höschenartige windeln
US5451219A (en) 1993-07-28 1995-09-19 Paragon Trade Brands, Inc. Stretchable absorbent article
JPH07116191A (ja) 1993-09-02 1995-05-09 Kao Corp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US5669900A (en) 1993-11-03 1997-09-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punbond loop material for hook and loop fastening systems
US5899895A (en) 1993-11-19 1999-05-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extensible side panels
US5997521A (en) 1993-11-19 1999-1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extensible side panels
US6994698B2 (en) 1994-12-28 2006-02-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mechanical fastening tab
US5496298A (en) 1993-12-28 1996-03-05 Kimberly-Clark Corporation Elastomeric ears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6149637A (en) 1994-01-03 2000-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omeri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EP0740541A1 (en) 1994-01-19 1996-11-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vertible belted diaper
US5399219A (en) * 1994-02-23 1995-03-21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a fastening system for a dynamic fitting diaper
US5554145A (en) 1994-02-28 1996-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multiple zone structural elastic-like film web extensible waist feature
US5722127A (en) 1994-03-07 1998-03-03 Tailored Technologies, Inc. Tailored and protective undergarments
JP3573487B2 (ja) * 1994-03-25 2004-10-06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SE508614C2 (sv) 1994-04-12 1998-10-19 Sca Hygiene Prod Ab Byxblöja eller byxbinda
SE508260C2 (sv) 1994-04-12 1998-09-21 Moelnlycke Ab Byxblöja eller byxbinda med löstagbart förbundet framparti
SE508613C2 (sv) 1994-04-12 1998-10-19 Sca Hygiene Prod Ab Förfarande för att tillverka en byxblöja eller en byxbinda samt ett sådant absorberande alster
SE508612C2 (sv) 1994-04-12 1998-10-19 Sca Hygiene Prod Ab Förfarande för att tillverka en byxblöja eller byxbinda samt en sådan artikel
EP0757550B2 (en) 1994-04-29 2004-09-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osure system for disposable pull-on pants having a stretchable waistband
US5547531A (en) 1994-06-06 1996-08-20 The Proctor & Gamble Company Nonwoven female component for refastenable fasten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615460A (en) 1994-06-06 1997-04-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ale component for refastenable fastening device having regions of differential extensibility
US5531732A (en) 1994-06-14 1996-07-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djustable fit disposable training pant or incontinence garment having disposable means
US5681302A (en) 1994-06-14 1997-10-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astic sheet-like composite
US5620432A (en) * 1994-06-21 1997-04-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pe tab fasteners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CA2142128A1 (en) 1994-07-29 1996-01-30 Paulette Mary Rosch Disposable swimwear
US5603708A (en) 1994-08-05 1997-02-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ounded corner fastening tab diaper closure
US5595567A (en) 1994-08-09 1997-0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female component for refastenable fastening device
US5911713A (en) 1994-08-23 1999-06-15 Yamada; Jiro Absorbent product with leg closures
US5531731A (en) 1994-09-07 1996-07-02 Kimberly-Clark Corporation Tape fastener for conveying inform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542942A (en) 1994-09-22 1996-08-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elasticized waistband
US5779831A (en) 1994-12-24 1998-07-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undergarment having overlapping or butt-type side seams
US5605735A (en) 1994-12-28 1997-02-25 Kimberly-Clark Corporation High-peel tab fastener
US5476702A (en) * 1994-12-28 1995-12-19 Kimberly-Clark Corporation Fastening system for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795350A (en) 1994-12-29 1998-08-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mechanical fastener
DE69517149T3 (de) 1994-12-29 2006-12-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Absorbierender Wegwerfartikel mit einem elastisch dehnbaren Flächenhaftverschlusselement zur Verbindung mit einem Hakenverschlusselement
US5785699A (en) 1994-12-29 1998-07-28 The Procto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backsheet and an inner layer projecting beyond the front transverse edge of the backsheet for engaging with a mechanical fastening member
EP0719534B1 (en) 1994-12-29 2000-04-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backsheet having front waist section forming a landing zone for a mechanical fastening element
US6063466A (en) * 1995-01-14 2000-05-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e-prelaminated closure tape system
US5624427A (en) 1995-01-18 1997-04-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ale component for refastenable fastening device
US5897547A (en) 1995-02-16 1999-04-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ally extensible landing member
US5606781A (en) 1995-02-17 1997-03-04 Velcro Industries, B.V. Separable fastener having a bald perimeter rib bounded by fastening elements
US5636414A (en) * 1995-02-24 1997-06-10 Litchholt; John J. Two mechanism mechanical fastener
US5906008A (en) 1995-03-22 1999-05-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US6030373A (en) * 1995-04-13 2000-02-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attachment fastening system
AU6164796A (en) 1995-06-13 1997-01-09 Procter & Gamble Company, The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producing it
US5843068A (en) 1995-06-21 1998-12-01 J&M Laboratories, Inc. Disposable diaper having elastic side panels
US5814178A (en) 1995-06-30 1998-09-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king a bulked fabric laminate
SE504649C2 (sv) 1995-07-07 1997-03-24 Moelnlycke Ab Förfarande för att tillverka element till fastsättningsorgan avsedda att fästas till sidopartier hos ett absorberande alster samt fastsättningselement
SE508248C2 (sv) 1995-07-07 1998-09-21 Moelnlycke Ab Absorberande artikel innefattande ett fastsättningssystem
JP3167889B2 (ja) * 1995-07-28 2001-05-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WO1997004729A1 (en) 1995-07-28 1997-02-13 Blessings Corp. Adhesive taping panel
JP3170435B2 (ja) * 1995-08-02 2001-05-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623288B2 (ja) 1995-10-13 2005-02-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172408B2 (ja) 1995-10-13 2001-06-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AU7521396A (en) 1995-11-22 1997-06-11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garment-like appearance
SE508214C2 (sv) 1995-12-22 1998-09-14 Moelnlycke Ab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återförslutningsbara absorberande plagg och absorberande plagg erhållna därmed
US5766389A (en) 1995-12-29 1998-06-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gistered graphic and process for making
JPH09187477A (ja) 1996-01-08 1997-07-22 Oji Paper Co Ltd 使いすておむつ
JP3434663B2 (ja) * 1996-02-27 2003-08-11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用のファスナー用原材
US5624429A (en) * 1996-03-06 1997-04-29 Kimberly-Clark Corporation Mechanical fastening system with grip tab
US5897545A (en) 1996-04-02 1999-04-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omeric side panel for use with convertible absorbent articles
JP3659738B2 (ja) 1996-05-24 2005-06-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掛止ファスナーおよびこのファスナーを用いたおむつ
SE512345C2 (sv) 1996-06-06 2000-03-06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såsom en blöja ett inkontinensskydd eller liknande, innefattande ett grepporgan
US5938652A (en) 1996-06-19 1999-08-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selectively elasticized waist flap
US5879500A (en) 1996-06-21 1999-03-09 Herrin; Robert M. Disposable undergarment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5699593A (en) 1996-08-30 1997-12-23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Loop fastening material
US5735840A (en) 1996-09-20 1998-04-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with integral backsheet landing zone
US5782819A (en) 1996-10-17 1998-07-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rticle with stay-in-place feature
EP0839507A1 (en) 1996-10-30 1998-05-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pening tab for disposable pull-on diapers
SE513387C2 (sv) 1996-10-31 2000-09-04 Sca Hygiene Prod Ab Infästningsanordning för ett absorberande plagg
DE19654052C1 (de) 1996-12-23 1997-12-18 Hartmann Paul Ag Hygieneartikel zum einmaligen Gebrauch mit kombiniertem mechanischen und klebenden Verschlußsystem
DE19727916C2 (de) 1996-12-23 1998-10-15 Hartmann Paul Ag Hygieneartikel zum einmaligen Gebrauch
US5891547A (en) 1997-02-04 1999-04-06 Precision Fabrics Group, Inc. Needle punch nonwoven component for refastenable fastening device
US6192521B1 (en) 1997-04-08 2001-02-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shorts or trousers
US6009558A (en) 1997-04-08 2000-01-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ctive wear garments
JP3934203B2 (ja) 1997-05-13 2007-06-20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シールラインを前方に有する完全パンツ型おむつ
MX9703855A (es) 1997-05-26 1998-11-29 Absormex S A De C V Articulo absorbente con cinturon elastico respirable, con alta capacidad de extension y retraccion.
BR9714818A (pt) 1997-05-30 2000-06-20 Procter & Gamble Peça de vestuário de puxar para cima descartável
US6402730B1 (en) 1997-07-01 2002-06-11 Paul Hartmann Ag Liquid impermeable disposable hygienic article for one time use with an improved fastening system
US5888607A (en) 1997-07-03 1999-03-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Soft loop laminate and method of making
US5925027A (en) 1997-08-15 1999-07-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extensible landing member for engaging with a hook-type fastening member
US6329016B1 (en) 1997-09-03 2001-12-11 Velcro Industries B.V. Loop material for touch fastening
US5997981A (en) 1997-09-15 1999-12-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barrier composite useful as an ideal loop fastener component
US6099516A (en) * 1997-10-30 2000-08-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astener system for use with personal care articles
JP3532081B2 (ja) 1997-10-31 2004-05-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メカニカルファスナの雌部材
CA2251177A1 (en) 1997-12-04 1999-06-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polymer packaging bag with a partially parallel opening feature
SG85108A1 (en) 1998-03-23 2001-12-19 Uni Charm Corp Absorbent article for prevention of sideward leak
KR20010042871A (ko) 1998-04-23 2001-05-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내부 기계적 패스너를 갖는 일회용 흡수 제품
US6287287B1 (en) 1998-06-19 2001-09-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passive side bonds and adjustable fastening systems
US6022430A (en) 1998-06-19 2000-02-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absorbent articles having an adjustable belt
US6022432A (en) 1998-06-19 2000-02-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prefasten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R021477A1 (es) 1998-09-17 2002-07-24 Kimberly Clark Co Un articulo que posee un sistema de sujecion mecanica con secciones con miembros de acoplamiento
ATE459467T1 (de) 1998-10-02 2010-03-15 Procter & Gamble Elastische laminate und damit hergestellte wegwerfkleidungsstücke
AU9685698A (en) 1998-10-02 2000-04-26 Procter & Gamble Company, The Disposable garment having elastic laminate including nonwoven layer formed from highly oriented component fibers
WO2000019950A1 (en) 1998-10-02 2000-04-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garment having elastic laminate including polystyrene thermoplastic elastomer and nonwoven layer containing polyester
WO2000020206A1 (en) 1998-10-02 2000-04-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ic laminate including nonwoven layer formed from highly oriented component fibers and disposable garment employing the same
EP0993817A1 (en) 1998-10-16 2000-04-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reusable fastening means
JP2002529124A (ja) 1998-11-10 2002-09-10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機械的留め具装置
CA2348478A1 (en) 1998-11-10 2000-05-18 Craig Andrew Hawkins Fastener device
JP2002529147A (ja) 1998-11-10 2002-09-10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改良された処分装置を有する、使い捨てプルオン形衣類
BR9915450A (pt) 1998-11-19 2001-07-17 Kimberly Clark Co Artigo absorvente com revestimento expansìvel
AU1702899A (en) 1998-11-24 2000-06-13 Nordson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having elastic side panels
AR021905A1 (es) 1998-12-18 2002-09-04 Kimberly Clark Co Un articulo absorbente con costuras resujetables no irritantes
AU2057100A (en) 1998-12-18 2000-07-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hinged fasteners
US6113717A (en) 1998-12-18 2000-09-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refastenable, pant-lik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6454751B1 (en) 1999-11-22 2002-09-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hinged fasteners
US6761711B1 (en) 1998-12-18 2004-07-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US6352528B1 (en) 1999-11-22 2002-03-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hidden graphics
US6447497B1 (en) 1999-11-22 2002-09-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hild resistant refastenable seams
WO2000035396A1 (en) 1998-12-18 2000-06-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hild resistant refastenable seams
US6764475B1 (en) 1998-12-18 2004-07-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differential strength refastenable seam
WO2000037016A1 (en) 1998-12-18 2000-06-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differential strength refastenable seam
CO5111008A1 (es) 1998-12-18 2001-12-26 Kimberly Clark Co Articulos absorbentes con un componente configurado para sujecion
GB2362086B (en) 1998-12-18 2003-05-21 Kimberly Clark Co Absorbent articles with garment-like refastenable seams
JP3583645B2 (ja) 1999-03-26 2004-11-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メカニカルファスナのループ部材
US6307120B1 (en) 1999-06-09 2001-10-23 Confab Services Ag Cloth-like, breathable disposable absorbent brief with refastening means
USD438614S1 (en) 1999-12-28 2001-03-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D437933S1 (en) 1999-12-28 2001-02-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D439662S1 (en) 1999-12-28 2001-03-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D437932S1 (en) 1999-12-28 2001-02-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6969441B2 (en) 2000-05-15 2005-11-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aminated art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437B1 (ko) * 2006-07-05 2014-05-14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성인용 기저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64475B1 (en) 2004-07-20
DE19983786T1 (de) 2001-11-22
GB0115502D0 (en) 2001-08-15
KR100723552B1 (ko) 2007-05-31
DE19983786B4 (de) 2010-04-01
AU2188200A (en) 2000-07-12
TW422690B (en) 2001-02-21
US20020099353A1 (en) 2002-07-25
AR021731A1 (es) 2002-07-31
GB2362087B (en) 2003-06-18
GB2362087A (en) 2001-11-14
CO5111009A1 (es) 200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552B1 (ko) 차등 강도의 재고정가능한 이음매를 갖는 흡수성 제품
KR100676797B1 (ko) 재고정할 수 있는 무자극성 이음매를 갖는 흡수제품
US7534237B2 (en) Absorbent article with non-irritating refastenable seams
US6447497B1 (en) Absorbent article with child resistant refastenable seams
US8747379B2 (en)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US6761711B1 (en)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US6454751B1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hinged fasteners
US20020095131A1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hinged fasteners
AU2008224349A1 (en) Disposable absorbent pant having refastenable seams
WO2000035395A2 (en) Absorbent articles with garment-like refastenable seams
EP1559388B1 (en)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WO2000037016A1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differential strength refastenable seam
WO2000035396A1 (en) Absorbent article with child resistant refastenable seams
US8343127B1 (en) Absorbent articles with garment-like refastenable seams
ZA200103932B (en) Absorbent article with non-irritating refastenable seams.
AU2004200771B2 (en)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AU2006201430B2 (en)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MXPA01006166A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differential strength refastenable seam
MXPA01006259A (en) Absorbent articles with garment-like refastenable seams
MXPA01006029A (en)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