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0990A - 사람 이동기구 - Google Patents

사람 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0990A
KR20010100990A KR1020017005768A KR20017005768A KR20010100990A KR 20010100990 A KR20010100990 A KR 20010100990A KR 1020017005768 A KR1020017005768 A KR 1020017005768A KR 20017005768 A KR20017005768 A KR 20017005768A KR 20010100990 A KR20010100990 A KR 20010100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inch
frame
person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지. 치세보로
Original Assignee
로버트 지. 치세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 지. 치세보로 filed Critical 로버트 지. 치세보로
Publication of KR20010100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99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2Rai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5Cables, chain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1Flexible harnesses or s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5Suspended platforms, frames or sheets for patient in ly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9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63Safety means
    • A61G7/1067Safety means for adjustable b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20/00Adaptations of particular transporting means
    • A61G2220/10Airc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61Yok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침대에 누워있어야만 하는 사람 또는 휠체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사람과 같은 사람들 들어올려서 전달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체 및 과정은 바퀴 위에 지지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부 부분의 하중 지지 수평 빔, 및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전동식 윈치를 포함한다. 상기 윈치는 사람을 위한 캐리어를 상기 윈치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동기식으로 상승 및 하강되도록 수평으로 이격된 한 쌍의 커플링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빔을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한 쌍의 빔 지지 레그를 포함하며, 이들 중 하나는 상기 프레임이 문간을 통과할 수 있는 최소 길이의 상태로부터 연장된 채로 상기 빔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폭은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빔은 사람이 연장된 빔으로부터 프레임의 외측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이 전도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지면과 맞닿는 고정부재와 관련하여 상기 프레임의 측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사람을 위한 캐리어는 단단한 등받이부와 좌석부를 갖는 구조체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캐리어의 양쪽에는 인상점을 갖는다. 다른 형태의 캐리어는 침대의 일부분으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사람 이동기구 {PERSONAL TRANSPORTER}
장애인은 미국에서만, 현재, 5천 4백만 인구의 20%에 상당한다. 이것은 생명구조 기술 및 의료 기술의 세계적인 진보 때문에 증대하는 비율이다, 따라서, 상해자 또는 장애인은 현재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아직 보조 장비를 필요로 하는 생산적인 삶을 살고 있다.
본 발명은 사람이 96세의 나이든 허약한 할머니를 들어올리고 이동할 필요의 인식에서 비롯된다. 간호하는 손녀, 임신한 젊은 부인이, 현재의 가동 바닥-지지 외팔보 타입의 환자 리프트 기구를 사용하여 환자를 들어올리기(lifting), 옷 갈아입히기, 목욕, 이동, 수송의 힘든 일을 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없다. 상기 리프트 기구는 이동시킬 때 그 앞바퀴를 침실 양탄자에 찔러 넣고 그녀가 환자를 들어올릴 때 간호자를 방해하기 쉽다. 또한 환자가 그 기구의 외팔보 리프팅 빔의 끝단으로부터 슬링에 매달리기 때문에 그녀가 환자를 이동시킬 때 간호자를 다치게 할 위험이 있다. 환자는 리프트 기구에서만 지지될 때 그 동안은 극도로 불안감을 느낀다.
본 발명은 보조를 요하는 사람의 수송, 이동, 리프팅을 위한 구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및 방법의 상기에서 언급된 그리고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그리고 다른 실시예의 다음 설명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며, 상기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람 이동기구의 일반적인 정면도이고, 이동기구의 그 최소 폭(실선)과 확장된 폭(점선)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이동기구의 일반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침대와 이 침대에 인접한 의자 공간을 에워싸는 연장된 상태의 이동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기구의 이동 레그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이동기구의 고정위치에서 사람을 지지하는 이동기구의 위치에서 떼어낼 수 있고 접을 수 있는 시트 조립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이동기구의 레그 조립체에 접어서 집어넣은 시트 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이동기구에 매달린 관절식, 위치 조절가능한 사람 캐리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이동기구용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기구의 수평 지지 빔에 의하여 윈치기구의 설치를 도시한, 부분적으로 단면도이고, 확대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윈치기구의 호이스트 구동 형태의, 부분적으로 단면도이고,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기구에 유용한, 수평 빔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윈치 하우징과 그 지지체의 일반적인 정면도이다.
도 12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도 11에 도시된 윈치의 기본적인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1과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기구에 유용한 또 다른 윈치구조의 일반적인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윈치가 한 쌍의 유연성 하중운반부재를 감고 풀기를 하도록 동작하는 방식을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원치가 한 쌍의 유연성 하중-운반 스트립을 감고 풀기를 하도록 동작하는 방식을 도시하며, 수평 지지 빔과 결합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기구에 유용한 다른 윈치 구조의 일반적인 정면도이다.
도 16은 이동기구의 이동 레그용 캐리지와 이동기구의 연장 가능한 수평 빔의 힌지 연결 부분의 사이에서 결합가능한 래치기구의 확대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4에 도시된 가동 레그의 상부 끝단에서 커플링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18-18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타입의 이동기구의 연장된 빔이 이동기구의 가동지지 레그를 떨어져서 지지할 수 있는 액세서리의, 부분적으로 단면도이고,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7에 도시된 종류의 관절식 사람 캐리어용 좌우 양측으로 대칭 프레임의 좌측-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서 도시한 프레임에 맞출 수 있으며, 침대 시스템용 좌우 양측으로 대칭 베이스 조립체의 좌측-반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선 22-22를 따른 단면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종류의 프레임이 조절가능한 설비 시스템의 사용에의하여 도 13 및 15에 도시된 종류의 윈치에 의하여 상승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 간략한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한 설비의 허브 조립체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25-25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26-26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1에 도시된 종류의 이동기구를, 예를 들면, 연장된 이동기구에 의하여 연결된 침대에, 안내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유용한 가이드 구조의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28-28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에 도시된 종류의 이동기구에서 위치를 정할 수 있게 안정한 도 27에 도시된 종류의 캐리어를 유지하기에 유용한 다중 조절가능한 홀더의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30은 항공기내의 승객을 그 항공기 내에서 이리저리 이동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사람 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이동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32는 도 30에 도시된 이동기구의 수평 빔의 연장부분과 베이스 사이에 힌지 구조를 도시한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33은 다른 상태에서 도 32의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34는 확장된 스테빌라이져 아웃리거의 내측 끝단의 확대 일부 파단 정면도이고 아웃리거가 바람직한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작동하는스프링 부하 종동부 암을 도시한다.
도 35는 접힌 아웃리거의 상부 끝단의 확대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36은 도 30에 도시된 이동기구를 갖는 유용한 사람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종류의 필요, 및 현재 제품의 결함과 한계를 제기한다. 널리, 본 발명은 사람을 들어올리고, 사람을 한 지지 장소로부터 다른 인접한 지지 장소로 이동하고, 사람을 이리저리 이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사람 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조 예가 사람들의 사용을 위한 본 발명의 현재의 바람직한 형태를 함께 구성하는 사람 이동 시스템("PMS") 및 환자 포지셔닝 시스템("PPS")이다. 본 발명의 PMS 예 부분은 집, 상업적 및 개인적 환경에서보다도 물건의 들어올림(리프팅) 및 이동에 유리하고 유용한 연장가능 만능 리프터("EVL")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MS)는 침대, 휠체어, 화장실 또는 목욕실, 차량, 수영장, 온천, 방, 바닥, 이리저리 육체적으로 장애인의 리프팅, 이동, 및 수송에서 광범위한 유연성 및 안전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PMS 예의 중요한 구성요소는 리프터/트랜스퍼/트랜스포터(LTT) 유닛이다. 상기 LTT는 예를 들어, 사람을 들어올리고 그 사람을 휠체어로 이동하기 위하여 침대 위로 위치시킬 수 있는 평면 A-프레임식 레그를 갖는 측면으로 연장가능한 구조 프레임이다. 상기 LTT는 사람을 이리 저리 이동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71/2ft(229 cm.)폭인, 연장 상태로부터, 예를 들어 21/2ft(76 cm.)폭인, 최소 상태로 소형화되고 축소될 수 있다. 상기 LTT에 의하여 지지되는 사람의 무게는, 대개의 경우, 4바퀴의 직사각형 내에 중심을 둔다. 상기 PPS는 바람직하게 장애자 또는 일어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현재 사용될 수 있는 개별 제품의 조합 사용을 통하여서만 지금까지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PMS와 관련하여 사용된다.
상기 PPS는 시장에서 현재 사용될 수 있는 환자 리프트와 함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웨브-타입 슬링의 사용에 의지하지 않는 관절식 환자 지지 기구이다. 상기 PPS는 한 조(組)의 지탱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것은 수평으로 움직이고 들것(stretcher)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것은 여러 가지 좌석 모양 또는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것은 선 채로 돕기 위해 경사질 수 있다. 상기 PPS 구조는, 특별한 메트리스 배열과 조합될 때, 환자의 침대 부분일 수 있고 환자를 PMS에 의하여 쉽게 방향전환하고, 들어올리고, 착석시키고, 이동하고 수송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구조, 시스템, 방법은 다음의 특징, 이점, 장점을 제공한다; 장애인의 들어올림, 이동, 운송에서 다기능 능력; 출입구를 통한 이동을 위하여 넓은 오버-침대 상태(71/2ft)에서 좁은 폭(21/2ft)으로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접을 수 있는 차량; 침대로부터 휠체어로 환자의 안전한 리프트 및 이동; 환자는 돌보는 사람이 환자의 무게의 어떤 중요 부분을 지지할 필요가 없다; 환자 픽업 위치로부터 인접한 위치로 환자의 용이한 이동; 환자가 이동 동안 개선된 위치상의 안전성 및 안정성을 가진다; 환자 무게가 이동 및 수송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 구조체의 4바퀴 내에 중심을 둔다; 독립식 배터리 동력 리프터 및 이동 작용; 리프트 및 이동 기능을 위하여 각각의 모터를 갖는 이중 스트랩, 이중 볼 스크류 리프팅 호이스트; 벽(wall) 및 차량 브래킷이 개선된 유연성 및 유용성을 제공한다; 시트 구조가 환자를 들어올리고 이동할 때 환자의 분명하고 제어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정 및 이점이 PMS, PPS, 및 항공기에서 환자를 승객 좌석 내외로 쉽고 안전하게 이동하는 유용한 본 발명의 형태의, 다음 설명에서 전개된다.
본 발명은 사람을 이동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 프레임에 연결된 지지 휠 상에 가동식 프레임을 포함한다. 가역 모터 구동 윈치기구가 빔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윈치기구는 사람을 지지하는 캐리어와 관련하여 지지하는 하중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부재에 의하여 커플링에서 끝나는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하중운반부재를 풀고 감도록 동작된다. 상기 기구는 프레임과 바람직한 관계로 캐리어 및 사람을 홀딩하기 위한 사람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캐리어 사이에서 협동할 수 있는 포지셔닝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는 상기 기구가 선택된 높이에서 수평으로 빔을 지지하는 한 쌍의 레그 조립체 및 길이가변 빔을 포함하는 사람을 이동하기 위한 기구를 제공한다. 모터 구동 윈치기구는 빔에 의하여 지지되고 레그 조립체 사이에서 빔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레그 조립체중의 하나는 빔과 하나의 레그 조립체의 결합을 하중-지지하는 동안 다른 레그 조립체를 향하거나 멀어지게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지지 휠에 이동될 수 있는 프레임에 있는 사람을 이동하기 위한 기구를 제공한다. 가역 모터 구동 윈치기구는 프레임의 상부 위치에서 지지된다. 윈치기구는 윈치의 이격된 위치에서 한 쌍의 유연성 하중운반부재를 동기식으로 풀기 및 감기를 하도록 동작된다. 커플링은 사람을 지지하는 캐리어와 관련된 지지 하중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하중운반부재에 의하여 지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호이스트에서 사람을 지지하는 캐리어이다. 상기 캐리어는 사람의 엉덩이 및 넓적다리 아래나 등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등받이 및 착석부를 갖는 구조체이다. 상기 구조체의 보강부는 착석부 아래 및 착석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사람의 대략 허리에 대하여 착석부 이상의 높이까지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조체는 착석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사람의 전방으로 교차하고 측면 둘레에 등받이부의 각각의 측면에지로부터 끝단 가장자리까지 연장될 수 있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flaps)을 포함한다. 상기 플랩은 사람의 몸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위하여 그 끝단 가장자리까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스트랩은 각 사이드 플랩과 결합된다. 각 지지 스트랩은 보강부의 대응 끝단과 연결가능하고 스트랩의 상부 끝단까지 대응 플랩의 측면의 가이드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각 스트랩의 상부 끝단은 스트랩이 호이스트에 연결될 수 있고 캐리어의 사람이 호이스트의 동작에 의하여 올려지고 내려질 수 있는 기구를 지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람 이동 시스템(이하에서 "PMS" 또는 "이동기구(transporter)"라 한다)(10)이 도 1 내지 3에 도시된다. 상기 사람 이동기구(10)는 고정 레그(14)를 갖는 우측 레그 조립체(12)와 가동 및 제거할 수 있는 좌측 레그(18)를 갖는 좌측 레그 조립체(16)를 포함한다. 우측 레그 조립체(12)는 호이스트 및 채널 조립체(26)의 빔 채널(20)의 우측 끝단(22)에 확고하게 연결되는 반면 좌측 레그 어셈블리(16)는 호이스트 및 채널 조립체(26)에 이동가능하고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은 그 하단부에서 레그 조립체(12,16)의 외측면 사이의 전체 거리가 30인치(76.2cm)의 설계 값을 가지는 소형의, 최소-폭 형상의 이동기구를 실선으로 도시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 참조.
호이스트 및 채널 조립체(26)의 빔 구조체는 우측 레그 조립체(12)의 상부끝단이 확고하게 연결되는 짧은 베이스 채널부(30), 및 도 1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채널부(30)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 긴 가동 채널부(32)로 구성된다. 도 1은 이동기구의 최소-폭 상태에 대응하는 그 수직 탑재된 포지션에서 빔의 긴 가동 채널부(32)를 실선으로 도시한다. 또한 도 1은 긴 그리고 베이스 채널부(30,32)가 동일직선상 및 수평선상에 있는 긴 채널부(32)의 펼쳐진 포지션 또는 사용 포지션을 파선으로 도시한다. 유사하게, 도 1의 좌측 맨 끝에, 좌측 레그 조립체(16)는우측 레그 조립체로부터 펼친 빔을 따라서 이동하게 될 때 점유하는; 펼쳐진 또는 펼쳐진 상태에서, 이동기구의 폭이 91.75인치(233.0 cm)의 설계 값을 가지는 포지션을 파선으로 도시된다.
도 9는 좌측 및 우측 레그 조립체(12,16)의 상부 끝단 사이에 연결 빔(20)으로서 사용되는 채널이 폐쇄 측면과 상부표면(34,36)을 가지고 있지만 인접한 내측으로 및 상부로 향하는 립(lips) 또는 플랜지(40) 사이에서 그 바닥을 하부로 개방한 것을 도시한다. 상기 빔 채널은 바람직하게 강철부재로 형성된다. 짧은 및 긴 채널부(30,32)는 동일한 단면 형상과 치수 특성을 가진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가동 레그 조립체(16)는 이 가동 레그 조립체(16)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캐리어(42)의 직립 립(44)의 반대 측면에 지탱된 롤러 또는 휠(46)에 의하여 채널(20)과 그 상부 끝단에서 연결된다. 휠(46)은 바람직하게 볼 베어링 조립체의 아웃 레이스이고 정상상태로는 채널(20)의 상부 내측 부분을 점유하는 인슐레이터(50)의 바닥면에 얹혀 있다; 도 9를 참조. 인슐레이터(50)의 횡단면 형상은 역 "U"자 형상이다. 가동 레그 조립체(16)용 휠(46)은 역 "U"자의 레그(54) 끝단을 지탱한다.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하부로 향하는, 금속 랙(56), 즉, 선형기어는 양쪽 긴 및 짧은 채널부(30,32)의 상부에서 인슐레이터 레그(54) 사이에 지탱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 휠(46)의 두 세트는 가동 레그 조립체(16)의 상부 끝단을 채널(20)에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각 휠 세트는 두 동일직선상으로 정렬된 휠(46)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세트는 짧은 거리를 위하여 채널(20)의 길이를따라 펼쳐지는 캐리어(42)의 반대쪽 끝단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캐리어의 본 바람직한 횡단면 형상은 리브(44)가 T의 스템인 역 "T"자 형상이다.
호이스트 및 채널 조립체(26)의 다른 구성요소는 개별 가역 윈치 및 가로(수평) 구동 모터를 또한 지탱하는 윈치기구(58)와 그 하우징(도 9 및 10)이다(도 11참조). 윈치 및 구동 모터 조립체는 빔 채널(20)에 매달리고 가동 레그 조립체(16)와 관련된 것과 유사한 두 쌍의 휠(66)을 통하여 채널에 의하여 지탱된다. 원치 지지 휠(66)은 사용 시 아래쪽으로 적재되기 때문에, 휠은 채널의 상부 부분에서 역 U자 형상 인슐레이터(50)에 대비하여 보다도, 채널(20)의 바닥에서 내측 및 상부로 향하는 립(40)의 상부 끝단에 얹혀 있다.
배터리(68), 바람직하게 재충전 12 VOLT DC 젤-타입 배터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레그 조립체(14)의 상부 부분에서 하우징(70)에 지탱된다. 도 8의 개략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68)의 양극은 빔 채널(30)의 짧은 길이 내에 지탱되는 랙(56)의 우측 끝단에 접속된다. 가동 윈치 조립체(58)는 전기적으로 전류를 통하는 랙(56)과 접촉하여 스프링-로드된 전도성 종동 기어(72)를 포함한다. 상기 종동 기어(72)는 다른 방법으로 윈치 조립체(58)의 금속 구조의 다른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격리되지만, 하우징(60)내의 퓨즈(74)를 통하여 각각의 리프트 및 수평 구동 모터(62,64), 및 그 제어장치 및 스위치에 연결된다. 가역 리프터 모터(62)는 기어장치를 통하여 리프트 모터(62)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직렬로, 구동되는 한 쌍의 수평 볼 나사(76)에 적절한 기어(78,80)를 통하여 연결된다. 윈치 리프트 모터(62)는 도 8의 상부 우측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복구기능(fail-safe) 브레이크 장치(82)를 결합시킬 수 있는 대형 입력기어(78)와 맞물리는 입력 피니언(79)을 구동한다.
상기 페일-세이프 브레이크 장치(82)는 솔레노이드(86)에 의하여 제어되는 피벗된 브레이크 레버(84), 포지션을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레버(84)의 포지션은 안전 스위치(88)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레버(84)는 리프트 모터(62)가 전류가 통하지 않을 때마다 입력기어(78)를 결합하는 폴(pawl)(90)을 지탱한다. 상기 리프트 모터(62)는 브레이크 솔레노이드(86)가 브레이크 레버 폴(90)을 입력기어(80)로부터 분리하도록 작동되어야 이동기구에 지지된 사람을 들어올리고 내리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모터(62)는 바람직하게 하우징(60)의 좌측 끝단에 위치된다.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스위치는 이동기구의 모터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제어박스는 호이스트 및 채널 조립체(26)와 결합된다. 제어박스는 5램프-일루미네이션을 한 푸쉬버튼 스위치(96,98,100,102,104)를 지탱할 수 있다. 상기 4개의 스위치(96 내지 102)는 박스 표면의 중앙 영역에서 12,3,6,9 시계방향으로 배치된다. 그 배열의 상부 및 하부 스위치(96,100)가 리프트 모터의 상부 및 하부 작동을 제어하는 반면 그 배열의 좌측 및 우측 스위치(98,102)가 수평 구동 모터의 좌측 및 우측 좌우이동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박스의 제5스위치(104)가 버저(buzzer)(106) 또는 다른 신호 기구를 작동하여, 보조자가 없다면, 이동기구에 지지된 사람이 보조의 필요를 신호로 알릴 수 있다. 그러한 5개의 일루미네이션을 한 푸쉬버튼은 도 8의 좌측 부분에 도시된다.
도 8의 우측 반쪽의 바닥 부분에서 3 X 6 배열로 도시된 부재(108)는 윈치 하우징 내에 소정의 전기 접속을 할 수 있는 단자 블록(110)을 나타낸다.
도 1,2,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기구는 튼튼한, 하중-운반 유연성 스트랩(114)의 길이의 자유단에 바람직하게 지탱되는 리프팅 훅(lifting hook)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랩(114)의 상부 종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치 하우징(60)내에 고정된다. 하우징(60)내의 고정단으로부터, 스트랩(114)이 이동하는 풀리(116)의 바닥, 우측, 표면 둘레 및 이때 하우징(60)으로부터 리프팅 훅(112)으로 아래쪽으로 펼쳐지기 전에 고정축 풀리(118)의 표면의 왼쪽방향 및 좌측 부분 둘레를 통과한다. 윈치 하우징내의 고정축과 이동풀리(116,118)는,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절한 기어장치(78,80)를 통하여 리프트 모터(62)에 의하여 구동되는, 두 개의 수평 팽행 볼 나사(76) 사이에 위치된다. 이동풀리(116)용 축의 대향 끝단은 각각의 볼 나사(76)와 결합되는 각각의 한 쌍의 볼너트 조립체(120)의 하나에 의하여 지탱된다. 이동풀리(116)가 고정풀리(118)에 가까이 위치하고, 훅(112)은 하우징(60) 하부에 가장 아래쪽으로 위치한다. 볼 나사(76)가 이동풀리(116)를 고정풀리(118)로부터 오른쪽으로 멀리 이동시키도록 동기식으로 작용함에 따라, 훅 조립체(112)가 하우징을 향하여 올려진다. 리밋 스위치(111,113)는 가동 풀리가 윈치 모터(62)의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하여 하중 내에서 그 이동 한계에 있을 때 작동된다.
수평 구동모터(64)의 출력축은 윈치 구조체에 고정된 축을 회전하는 대직경 비전도성 기어(124)(도 12)를 구동하는 입력 피니언(122)에 그 모터와 함께 결합되는 이동 감속 기어박스와 연결된다. 상기 기어(124)는 상기에서 설명된 구조체 채널 설비에 의하여 지탱되고 아래쪽으로 마주보는 금속 랙(56)과 맞물린다. 수평 구동모터(64)는 바람직하게 그 좌측단에 인접한 하우징(60)의 전면에 지탱된다; 도 11참조. 모터(64)의 작동은 윈치 캐리어 또는 윈치 하우징이 이동기구의 레그 조립체의 하나와 접촉하게 이동할 때 정지된다. 고정 레그 조립체의 가장 근접한 윈치 캐리어의 시동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캐리어의 뒤쪽 우측단부에 장착된 리밋 스위치(115)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윈치 조립체의 반대쪽 끝단에 제2리밋 스위치(117)가 가동 레그 조립체에 근접함을 감지할 수 있다. 도 8참조.
빔의 긴, 힌지 채널부(32)가 도 1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수직 위치에 있을 때, 윈치 조립체(26)가 이동기구의 두 레그 조립체(12,16) 사이에서 고정되고 짧은 빔 섹션(30)을 따라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좌우로 이동할 수 없다. 그러나, 채널(32)의 긴 길이가 그 수평 위치로 이동할 때(예를 들면, 도 3참조), 긴 채널부(32)에 의하여 지탱되는 랙(56)은 짧은 채널부의 랙(56)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두 가지 사실 중의 하나가 발생되면 호이스트 하우징(60)을 이동기구의 펼쳐진 상부 빔(20)을 따라 수평 구동모터(64)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게 한다.
그런 사실은 빔(32)의 좌측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그 때문에 그 제일 좌측단으로 펼쳐진 빔(32)을 따라 가동 레그 조립체의 수동 이동, 또는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기구로부터 가동 레그 조립체(18)의 분리와 통상 관련되는 적당한 지지장치(도 1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에서 펼쳐진 빔(32)의 좌측단의 결합이다.
두 가지 바람직한 관형 브레이스부재(brace members)(126)가 도 4에 도시되고 그 하단부가 가동 레그 조립체(18)의 메인 수직, 바람직하게 관형부재(130)와 힌지결합된다. 튜브(126)는 인접한 메인 관형부재(130)에 평행으로, 가동 레그 조립체(18)에서 탑재된 포지션을 가지고 있고, 그러한 탑재된 위치에서 클립(132)에 의하여 지지된다. 튜브(126)의 힌지분리 끝단은 스프링-바이어스된 래치기구를 지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26)는 이동기구의 최소 폭에서 고정 레그 조립체(12)의 하부와 함께 래치 연결 스터드(stud) 또는 핀으로 매달릴 수 있다. 도 4는 고정 레그 조립체(12) 뒤쪽의 그 래치 포지션에서 후방 브레이스튜브(126)와 그 래치와 탑재된 포지션의 사이에서 전방 브레이스튜브(126)를 도시한다. 브레이스튜브의 가동 끝단과 함께 작용하는 헤드핀(136)(도 27)(편리하게 볼트로 형성된다)은 고정 레그 어셈블리에 제공된다. 브레이스튜브는 이동기구가 이리저리 이동할 때 이동기구의 최소-폭 상태에서 가동 및 고정 레그 조립체의 하단부 사이에서 유리하게 연결된다. 그동안, 가로 브레이스튜브(126)는 이동기구의 하단부에 강도(strength) 및 안정성을 주고 레그 조립체(12,16)의 하단부를, 이동기구가 그 캐스터 지지 휠(138)에 이리 저리 이동할 때 서로 바람직하지 못하게 가까이 또는 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명백히, 브레이스튜브(126)는 가동 레그 조립체(16)가 이동기구의 고정 레그 조립체(12)에 대한 그 최소-폭 포지션과 다른 포지션에 있을 때 가동 레그 조립체에서 그 탑재된 포지션에 있어야만 한다.
도 1에 도시된 이동기구의 형태는 싱글 리프팅 훅(112)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동기구의 그 형태는 도 1 및 2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 리프팅 빔(140)(스트롱백(strongback)) 및 슬링-타입 지지체로 사용되기 위한 것이다. 슬링(142)은 스틸 바를 수용하기 위한 긴 에지의 단부에서 적절하게 보강될 수 있는 튼튼한 구조체의 기다란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링(142)의 각 측면 상에 바의 중간부분이 한 단위길이의 체인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각 체인의 중앙 링크가 그 중앙부분에서 이동기구의 리프팅 훅(112)과 결합되는 스트롱백 또는 크로스 리프팅 빔(140)의 각 단부에 형성된 훅과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이동기구의 우측 고정 레그 조립체(12)의 하단부내의 그 탑재된 포지션에서 도시된 지지 시트(150)의 이동기구의 존재를 도시한다. 상기 시트 조립체(150)는 도 5에서 이동기구의 고정 및 가동 레그(12,16) 사이에서 펼쳐진 포지션에 도시된다. 상기 시트 조립체(150)는 시트부재(154)의 후부와 힌지결합된 등받이(back)(152)를 가지고 있다. 시트 조립체는, 시트 등받이의 후방 하단부에 의하여 지탱되고, 도 5에 도시된 특별한 이동기구에서, 그 자유단에서 스냅부재(snap member)를 지탱하는, 리테이너 스트랩에 의하여, 접혀진 포지션(도 6)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시트 조립체가 이동기구 내에 적재를 위하여 접혀질 때, 상기 스냅은 그 전방 에지에 인접한 시트부재(150)의 측면 바로 밑에 지탱되는 스냅부재와 함께 작동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시트 조립체(150)가 고정 레그 조립체(12)에서 접혀진 포지션으로 적절하게 탑재될 때, 시트 조립체(150)의 하단부는 고정 레그 조립체(12)의 바닥 전방 및 후방부재(144)의 상부 에지에 리테이너(162)에 의하여 포지션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싱글 리프팅 훅 또는 이중 리프팅 훅을 가진 타입이든 아니든, 본 발명의 이동기구는 사람이 안정된 방식으로 위치할 수 있는 레그 조립체(12,16) 사이에 연결된 시트 조립체 또는 다른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로서, 제공된 이동기구의 이익을 얻는 사람은 이동기구 내에 실질적으로 고정된 이동기구에서 안정된 지지 포지션을 가질 수 있으며, 사람의 무게가 이동기구의 리프팅 훅 수단에 의하여 완전히 지탱되는 동안 앞뒤 또는 측면으로 흔들림 운동을 받지 않게 된다. 이동기구내의 사람을 위하여 안정된 착석 포지션의 제공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기구의 특별한 특징이다.
상기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기구, 휠체어 또는 다른 의자에 적응하기 위하여 충분히 넓은 침대 바로 옆의 인접 공간을 교차하고 침대를 가로질러 걸쳐서 위치되는 그 펼쳐진-폭 상태에서, 도 1의 더욱 상세한 이동기구를 도시한다. 침대 표면은 도 20에 도시된 환자(PPS)를 수용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환자 포지셔닝(positioning) 시스템 및 본 발명에 따른 이동기구의 제2 형태가 이하에서 논의된다.
도 5는 컴팩트한 이동기구의 상부 빔을 형성하는 긴 채널부(32)의 상부 끝단과 짧은 채널부(30)의 좌측 끝단 사이의 힌지 연결부를 도시한다. 또한 도 5는 짧은 채널부(30)에 의하여 지탱되고 긴 채널부의 힌지 구조체(168)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핀(166)(볼트 헤드)과 함께 작용하는 바람직한 판스프링-타입 탄성 래치부재(164)를 도시한다. 래치부재(168)는, 그 결합관계에 있을 때, 펼쳐진 빔을 따라서 가동 레그 조립체(16)의 이동 전에 짧은 채널부(30)와 근본적으로 일직선 관계로 긴 채널부(32)를 유지할 수 있다.
급기 포트와 관련하여 열릴 수 있는 커버가 짧은 채널부(30)의 전면에서 그 제일 우측끝단에 있다. 상기 포트에 대한 커버는 그 닫힌 위치로 바이어스된 스프링이다. 그 열린 위치로 이동될 때, 통로(access)는 이동기구의 탑재된 배터리(68) 충전용 동력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이동기구 내 커넥터에 연장 코드 등과 같은 연결부를 제공한다.
도 7은 고정 레그 조립체(12)의 메인 수직부재의 상부 사이에 그 지지 플레이트(172)상에 탑재된 배터리(68)용 하우징을 도시한다. 호이스트 하우징(60)의 우측 단부에서 원형 개구(174)(도 10)가 있다. 상기 개구는 호이스트 하우징(60)내에 두 개의 볼 나사(76)의 우측 단부에 지지되는 기어(78)와 맞물리는 중앙 기어(80)의 인접면에 통로를 제공한다. 호이스트 하우징(60)의 우측 단부를 통하여 상기 기어(80)의 접근성은 크랭크를 기어면과 결합할 수 있게 하여 그런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에 호이스트 장치를 수동적으로 작동하게 한다.
도 1은 긴 채널부(32)의 탑재된 포지션에서 짧은 및 긴 채널부(30,32) 사이에서 연결부를 도시한다. 상기 긴 채널부(32)는 도 4의 하단부에 도시된 제동장치(178)에 의하여 그 탑재된 포지션에서 그 하부에 유지된다.
도 16은 가동 레그 조립체(16)의 상부 끝단을 정렬된 채널부(30,32)내에 형성된 트랙에 연결하는 캐리어부재(42)의 좌측 단부에 의하여 지탱되는 스프링 하중 피벗된 래치 레버(182)를 도시한다. 상기 래치(182)는 채널부(30,32)와 연결되는 힌지 기구(180)와 함께 작용한다. 상기 채널부가 일직선 관계로 이동할 때, 그 힌지 부재는 힌지핀 바로 아래의 한 쌍의 정렬된 슬롯을 제공한다. 상기 래치부재는 그 정렬된 슬롯과 자동적으로 결합되도록 스프링(181)에 의하여 바이어스된다. 상기 래치(182)가 래치 레버(182)의 전방 자유단으로 가압함에 의하여 결합 해제되면, 가동 레그 조립체(16)가 고정 레그 조립체(12)와 멀어지게 이동된다. 도 16은 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 레버(182)를 도시한다.
도 19는 긴 채널부의 자유 또는 흔들릴 수 있는 단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그곳에서 볼 수 있는 헤드핀(볼트 헤드와 같은)은 접혀진 빔 연장부의 바닥 단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가동 레그 조립체의 바닥 수평부재의 중심에 위치한 리테이너 장치와 함께 작용할 있다. 도 19는 긴 채널부(32)가 그 수평 위치에 있을 때, 채널(32)의 가장 끝단을 가로질러 앞뒤로, 채널(32)의 하부 에지 아래의 립형상 돌출부(184)를 도시한다. 상기 돌출부(184)는 이동기구용 벽-장착 액세서리(188)의 수직 조절부재(186)와 협동한다. 도 19에 도시된 벽-장착 액세서리(188)는 수직면에 고정된 나사 스터드(192)와 협력하는 두-윙 너트(190)에 의하여 수직면에 장착된다. 상기 스터드는 베이스 플레이트(183)를 수직면에 고정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이동의 제한 범위를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를 따라서 세로로(수직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플레이트(186)에서 슬롯을 통하여 돌출하는 수직 랙(196)을 지탱한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랙(196)과 맞물리는 기어(185)를 고정하는 축을 설치하는 그 중앙부분에서 중공형상의, 상방으로 개방된 용기(194)를 형성한다. 크랭크 레버(187)는 용기(194) 외부에서 기어축에 연결된다. 래치 레버(189)의 폴 톱니가 기어(185)와인접한 랙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9는 긴 채널 길이(32)용 연장부(198)의 말단에 매달린 말단 립(184)의 도면이다. 연장 말단 립(184)은 벽 장착 부속품의 리셉터클(194)에 결합됨으로써 부속품의 이동가능한 지지 부재(186)가 연장된 긴 채널 길이(32)의 자유 말단을 지지한다. 즉, 채널 길이(32)의 힌지되지 않은 말단, 또는 이 채널 길이의 연장부 말단 중 어느 하나는 벽 장착 부속품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벽 장착 부속품(188)의 래크 기구(196)가 제공되어 부속품의 이동가능한 지지 부재(186) 및 이동기구 하중 빔의 인접하는 말단이 이동가능한 다리 조립체(16)와 독립적으로 빔의 좌측 말단을 지지하도록 협동할 수 있다. 즉, 벽-장착 부속품(188)을 사용함으로써, 이동기구에 지지된 하중이 벽-장착 부속품(188) 및 고정식 다리 조립체(12)에 의하여 지지되고, 이동식 다리 조립체(16)에 의하여는 단지 약간만 지지되거나 또는 전혀 지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동식 다리 조립체(16)가 이동기구로부터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으므로 이동기구가 사람을, 예를 들면, 벽에 기대어 있는 소파 위의 지지 위치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람을 소파 위의 지지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벽-장착 부속품은 소파 등받이 상측의 벽에 설치될 수 있다. 벽-장착 조립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그 벽에 장착되어 벽-장착 부속품을 수용하는 스터드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그림으로 커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9는 긴 채널 길이(32)의 자유 말단에 연결된 하나의 핀을 가진 연결부(200)를 가지며, 자신의 대향 말단(202)에서 벽-장착 부속품(188)과 결합된 연장 부재(198)의 긴 채널 길이(32)의 용도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기구의 성능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이동기구에 의하여 지지된 사람을 원하는 위치, 즉 온천탕 내로 옮기기 위하여 이동기구를 길고 짧은 채널 길이(30, 32)의 조합된 길이보다 더 길게 늘일 필요가 있는 상황에 사용될 수 있는 성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이동기구 수평 빔 구조에 고정된 자신의 캐리어(42)로부터 연결해제된 이동가능한 다리 조립체(16)의 상판(204)의 평면도이다. 캠-작용 로크 기구(206)가 상판(204)에 의하여 지지된 두 개의 헤드 핀(208) 및 이동가능한 다리 조립체(16)용 캐리어(42) 하측에 지지된 제3의 헤드 핀(210)과 결합되어 사용되며, 이는 도 18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 캠 작용 로크(206)는 자신의 자유 말단에 적합한 손잡이(214)를 가진 레버(212)에 의하여 동작된다. 도 17은 손잡이(214)가 볼 형의 구성일 수 있는 도면이다. 로크 기구(206)는 도 18에는 폐쇄된 위치로 도 17에는 개방된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로크 기구가 개방 상태일 때, 캐리어(42)에 매달린 헤드 핀(210)이 이동가능한 다리 조립체의 상판(204)의 중앙 좌측 에지 내의 슬롯(216)으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고, 상판(204)의 우측 에지에 인접하여 지지된 헤드 핀(208)이 캐리어(42)의 저면의 우측 부분에 형성된 대응하는 슬롯(209)으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기구의 이동가능한 다리 조립체(16)가 전술한 방식으로 수직 하중을 받지 않을 때, 이동가능한 다리 조립체(16)는 전술한 방식으로 자신의 캐리어(42)로부터 연결해제될 수 있다. 다음에, 이동가능한 다리 조립체(16)는 통로를 벗어나서 킥-스탠드 배열을 사용함으로써 필연적으로 수직 위치에 세워진 상태로 될 수 있다. 킥-스탠드는 이동가능한 다리 조립체(16)의 저면전방 및 후방 부재(144)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PPM의 신장가능한 유틸리티 리프터(expandable utillty lifter: EUL)는 EUL의 상단 수평 빔 구조를 따라 이동가능한 윈치 기구의 성질 면에서 이동기구(10)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EUL은 사람을 다루고 안락하게 하는 이동기구(10)의 특징(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의 탑재가능한 의자와 같음)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일반적으로 포함하지 않음). 전술한 바와 같이, 빔 채널 길이의 저면 코너의 상측으로 개방된 레일 면과 결합되는 휠에 의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지지된 적합한 캐리어에 장착된 시판 중인 전동식 윈치가 EUL의 구성품일 수 있다. EUL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접히는 신장가능한 빔 배열과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하나의 케이블 또는 스트랩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배열된 윈치를 가진 이동기구에 관하여 개시하였다. 첨부 도면에서 보면,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기구를 이 지점까지 반대편으로 젖히고, 가깝게 하고, 또는 변형시키는 적당한 정보 및 지시를 갖는 것으로 믿어진다. 또한, 예시된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의 내용으로 보아, 사람이 이중 후크 호이스트 조립체 및 PPS와 그 관련 구조를 반대편으로 젖히고, 가깝게 하고, 또는 변형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이동기구는 사람을 위한 두 개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지지점을 가진 이동기구이다. 이러한 형태의 이동기구는 환자를 적소에 위치시키는 시스템에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이중 리프트-포인트 이동기구라고 한다. 도 13에 도시된 윈치 배열(58')은 이동 풀리(116) 및 전술한 바와 같고 도 9 및 도 10에 예로서 도시된바의 볼 스크루 구동 기구(76)와 결합된다. 도 13의 윈치 배열(58')은 볼 스크루 사이에 위치된 고정식 축 풀리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이것은 볼 스크루(76)의 평면 하측에 위치된 공통의 수평면 내의 윈치 조립체(58')에 장착된 3개의 고정식 축 풀리(220, 222, 224)와 결합된다. 한 쌍의 하중-지지 가요성 스트랩(226, 228)은 자신의 가장 좌측 위치 내 이동 풀리(116)의 10시 방향에 인접한 윈치 프레임에 부착된 상측 말단을 갖는다. 이들 2개의 스트랩(226, 228)은 이동 풀리(116)의 상단, 우측, 및 저면부 둘레를 통과하고, 이 이동 풀리로부터 스트랩(226) 중 하나는 가장 좌측의 고정식 축 풀리(220)의 상단 및 좌측으로 통과한 다음 윈치 하우징(60')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통과한다. 다른 스트랩(228)은 이동 풀리(116)로부터 중앙의 고정식 축 풀리(222)의 좌측 둘레를 통과한 다음 가장 우측의 고정식 축 풀리(224)의 우측의 상단 및 하단에 걸쳐 통과하고 이 풀리로부터 윈치 하우징(60')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빠져나간다. 각 스트랩(226, 228)의 하측 말단은 윈치 하우징의 외측에서 리프트 후크(230)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 13에 예시된 호이스트 배열은 호이스트 조립체의 좌측 및 우측 말단과 결합된 두 개의 리프트 후크(230)를 동시에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동작가능한 이중-스트랩, 이중 후크 호이스트임을 알 수 있다. 이들 두 개의 리프트 후크(23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슬링 조립체, 또는 이용가능하거나 또는 편리한 임의의 다른 허용가능한 환자 지지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중 스트랩 윈치 조립체에 의하여 지지된 사람이 이동기구로부터 두 개의 지지점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사람은 종래의 개인 호이스트에 의하여 하나의 리프트 지점으로부터 지지된 사람이 겪을 수 있는 것과비교하여, 수직축을 중심으로 이동기구 내에서 선회하는 경향이 상당히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스트랩 윈치 조립체와 결합된 이동기구는 도 7 및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된 환자 포지셔닝 시스템(300)(PPS)과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PS의 헤드 말단(302)은 도 23의 우측 말단에 있다. PPS의 지지 구조는 PPS 지지 프레임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힌지 축 H1, H2, 및 H3에서 서로 연결된 일련의 루프형 프레임 내에 형성된 금속 튜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PS는 PPS 프레임의 힌지로 상호연결된 섹션에 의하여 지지된 패드(312)를 또한 포함한다.
PPS는 토르소(등) 및 헤드 프레임 섹션(304), 중앙 또는 좌석 프레임 섹션(306), 다리 프레임 섹션(308) 및 발 프레임 섹션(310)을 갖는다. PPS 지지 프레임의 이들 여러 개의 섹션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고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로 상호연결된다. PPS 프레임의 토르소 및 헤드부(304, 306) 및 좌석 섹션(306) 및 다리 섹션(308)과 상호연결된 힌지 축 H1 및 H2의 말단은 PPS 프레임의 각 측면을 따라 중간 M 및 하단 L 리프트를 제공한다. PPS 프레임의 각 측면의 제3 리프트 지점 T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토르소 및 헤드 섹션(304)을 통하는 횡방향 핀의 헤드 핀에 의하여 제공된다. 이들 리프트 포인트는 이중 드럼 허브 조립체(320)와 결합된 3개의 지지 스트랩(314, 316, 318) 세트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이중 드럼 허브 조립체(320)는 이중 스트랩 윈치 조립체의 리프트 후크(322)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이중 스트랩 호이스트 조립체와 PPS 구조 사이에 2개의 이중 드럼 허브 조립체(320)가 있다. 이중 드럼 허브 조립체중 하나는 PPS의 각 측면과 결합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지지 스트랩(316)은 허브 조립체(320)의 일단은 하단부에서 연결되고, 하단부는 루프, 후크 또는 PPS의 좌석 및 토르소/헤드 섹션과 상호연결되는 힌지 포인트 H1의 말단과 결합가능한 다른 적합한 부재를 거쳐 PPS 프레임의 중간 리프트 포인트 M에 연결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드럼 허브 조립체(320)는 각각의 하중 지지 스트랩(314 또는 318)과 결합된 두 개의 동축으로 장착된 드럼(324, 326)을 포함한다. 스트랩(314)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드럼(324)으로부터 PPS의 헤드 말단의 상단 리프트 포인트 T 와 연결되어 연장된다. 다른 드럼(326)과 결합된 스트랩(318)은 자신의 드럼으로부터 PPS 프레임의 좌석 및 다리부와 상호연결되는 힌지 핀 H2에 의하여 제공된 PPS 리프트 포인트 L로 연장된다. 각 드럼은 허브 조립체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경사진 복수의 안정 위치를 갖는다. 허브 조립체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각 드럼은 3개의 안정 위치(328, 330, 332)를 갖는다. 각 드럼이 임의의 소정 시간을 갖는 안정 위치 중 어느 위치인 가에 따라, 드럼과 결합된 스트랩이 상이한 유효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PPS 프레임의 헤드 말단과 결합된 스트랩(314)은 도 23에 표시된 안정 프레임 위치(328, 330, 332)의 효과적인 길이 결과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다른 드럼(326)과 결합된 스트랩(318)은 하단 리프팅 포인트 L에 대한 안정 위치(334, 336)를 한정하는 유효 길이를 갖는다. 드럼 장착 스트랩(314, 318)의 말단에 대한 위치(328, 334) 및 중앙 스트랩(316)의 하측 말단 M이 직선을 형성함을 알 수 있고, 이들 위치는 PPS 부재의 스트레처 또는 침대 배열에 대응한다. 이중 드럼 허브 조립체로부터 연장되는 3개의 스트랩에 의하여 지지되는 PPS의 두 명의 환자 지지 섹션으로 인하여 이들 PPS 섹션이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하여 여러 가지 경사진 관계로 이어질 수 있다.
이중 드럼 허브 조립체(320)의 드럼(324, 326)은 어깨(314) 및 무릎(318) 지지 스트랩의 유효 길이를 조정하도록 동작하고, 이 조정은 이들 스트랩이 환자의 초기 위치로부터 환자를 드는 하중을 받기 전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환자가 여러 개의 PPS 섹션의 의하여 지지된 쿠션 상에 반듯하게 눕고, 이 환자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앉은 위치로 들어 올리기를 원하는 경우, PPS의 각 측면의 스트랩(314, 318)의 유효 길이는 앉은 위치, 즉 위치(332, 338)에 대응하는 길이로 조정되고, 이 조정은 이들 스트랩의 하측 말단이 각각의 리프트 포인트에 연결되기 전 또는 스트랩 말단이 리프트 포인트에 연결 후에 스트랩이 느슨하게 조정된다. 따라서, 이중 스트랩 윈치 조립체가 이중 드럼 허브를 상승시키도록 동작할 때, 환자는 앉은 위치로 이동한 다음 PPS가 초기에 지지된 표면으로부터 상승한다. 반대로, 사람은 매달린 PPS의 앉은 위치로부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침대의 중앙부와 같이 지지면 상의 편평한 위치로 용이하고, 제어가능하고, 안전하고, 편안하게 옮길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드럼 허브 조립체(320)의 각 드럼(324, 326)은 각 드럼용으로 제공된 수동식 멈춤 기구(340)에 의하여 조립체의 원하는 각 위치에 고정된다. 드럼이 조립체의 여러 개 각 위치(328, 330 또는 332) 중 한 곳에 있는 경우, 멈춤 기구(340)가 이 기구의 일부인 스프링 배열(342)의 작용에 의하여 그 위치에 드럼(324)을 로크한다. 멈춤 기구(340)는 이 드럼용 접근가능한 액추에이터(344)를 누름으로써 로크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도 24에서도 알 수 있다. 드럼은 액추에이터(344)가 눌러질 때 안정 위치 사이에서만 선회할 수 있다. 허브 조립체의 드럼의 각 조정은 드럼에 연결된 스트랩이 느슨할 때, 즉 축방향 하중을 받지 않을 때 조정된다.
PPS 프레임의 다리 및 발 섹션(308, 310), 및 이들에 의하여 지지된 쿠션 또는 패드는 서로 서로 및 PPS 프레임의 좌석 섹션(306)의 인접하는 말단으로부터 연결해제가능할 수 있다.
도 20은 PPS 프레임의 좌석 섹션(30)에 대한 프레임은 외측 루프 및 중앙의 내측 루프를 갖는다. PPS 프레임 좌석 섹션의 특징은 이 PPS 프레임 섹션이 프레임 섹션의 영역에 걸쳐 연속된 쿠션 또는 중앙 개구를 갖는 쿠션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1(또한 도 3 참조)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PPS는 침대의 종방향 중앙부(346)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침대 중앙부는 PPS 프레임의 각각의 이어진 섹션에 의하여 지지된 일련의 쿠션에 의하여 형성된다. 침대 각각의 좌측 및 우측 종방향 측면부(347, 348)는 금속 튜브의 각각의 긴 루프(350) 상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한 하나의 긴 쿠션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는 직선이다. PPS가 침대의 중앙부로 사용될 때, PPS 프레임은 하나의 긴 금속 튜브 루프(351)가 바람직한 포지셔닝 장치 내의 지지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침대의 긴 측면 쿠션 하측의 인접한 튜브 루프는 적당한 위치에서 PPS 포지셔너 루프에 힌지로체결된다(352). 프레임이 하측의 침대 지지면 상에 반듯하게 놓여질 때 PPS 프레임이 포지셔너 내에 적절한 위치에 확실하게 배치되도록, PPS 프레임 섹션의 적절한 부분이 로케이터(351)에 고정된 상측으로 개방된 리셉터클(353) 내에 수용된다.
침대 측면 쿠션 하측의 튜브 루프의 전체 외부 길이는 리프트 포인트(355)를 들어 올릴 수 있고, 이와 함께 이중 드럼 허브 조립체(320)와 결합된 스트랩은 이동기구의 윈치를 사용함으로써 침대 측면 섹션의 외측 에지가 자신의 내측 에지에 대하여 상승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동기구는 침대 위의 장애자를 원하는 대로 돌려 눕히는 파워 보조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힌지로 서로 결합되고 적합한 패드 또는 쿠션을 지지하는 헤드 및 토르소 부분 및 좌석 부분을 포함하는 변형된 PPS 윈치는 이동기구를 차량에 싣거나 내림으로써 지지된 사람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차량 내부의 구조는 이동기구 지지 빔의 인접하는 말단을 지지하는데 필요하고, 이로부터 이동기구의 이동가능한 다리 조립체가 제거되어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은 이동기구(10)를 사용하여 한 사람을 신장된 이동기구를 침대에 걸쳐진 위치로부터 신장된 이동기구가 이동기구의 폭이 최소로 줄어들 수 있는 침대로부터 충분히 멀어진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 배열(357)을 예시한다. 가이드 배열은 침대의 프레임 측면에 이 침대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로 수평으로 장착된 가이드 레일(358)을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은 단면이 튜브형일 수 있고, 침대의 헤드로부터 침대의 발까지 가능한 근접하여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레일(358)은 이동기구의 다리 조립체, 도 27에서의 고정식 다리 조립체가바람직한 다리 중 하나의 저면 수평 브레이스 부재(144) 상측에 짧은 거리의 위치에 침대 프레임 상의 높이에 위치된다.
가이드 브래킷(360)은 가이드 레일(358)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가이들 레일의 길이를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 브래킷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일정한 편평한 중앙 웨브(361)를 가진 변형된 "Z" 단면 구성, 웨브와 직각인 평면의 웨브의 하나의 에지를 따라 직립한 플랜지(362), 및 웨브와 직각인 평면의 웨브의 다른 하나의 에지를 따라 하측 방향의 플랜지(363)를 가질 수 있다. 웨브의 폭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기구 다리 조립체의 브레이스(144)의 폭보다 적당하게 큰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브래킷은 웨브(361)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는 브래킷 플랜지(362)의 측면에 부착된 마운트에 지지된 슬리브 베어링과 같은 적어도 한 쌍의 베어링(364)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베어링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웨브의 침대 헤드 말단과 동일 평면인 자신의 침대 헤드 말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브래킷 플랜지(362)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다. 브래킷 플랜지(362)의 침대 발 말단은 브래킷 플랜지(363)의 침대 발 말단과 동일 평면인 것이 바람직한 침대 발 웨브(361)에 짧지만 근접하여 종료될 수 있다. 플랜지(363)의 침대-헤드 말단은 자신의 침대-헤드 말단으로부터 브래킷을 따라 짧은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래킷의 길이는 이동기구 다리 조립체 저면 브레이스의 구조 및 브레이스 상단에 장착된 구조부와 함께 가능한 일치시킨다. 다리 조립체에 탑재가능한 접는 좌석 조립체를 갖는 바람직한 이동기구에 있어서, 다리 조립체 브레이스는 그 위의 브레이스의 길이 중간에 탑재된좌석 조립체의 저면 에지용의 U자형 리시버(162)를 지지한다. 이 상황에서, 브래킷(360)의 길이는 리시버로부터 브레이스의 말단의 수직 부재까지 다리 조립체 브레이스를 따라 거리가 약간 짧다.
이동기구를 사용하여 침대로부터 들어 올리려는 사람이 누워 있는 침대의 폭에 걸쳐 이동기구를 위치시킨 다음 복도를 통해 다른 방으로 이동기구를 이동시킨다고 가정하자. 이동기구는 신장된 상태이고, 그 다리 조립체 중 하나는 가이드 레일(358)에 접해있다. 가이드 브래킷이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방식으로 다리 조립체 저면 브레이스와 결합되지 않는 경우, 이것은 레일(358)을 중심으로 레일 상측의 결합해제 및 탑재된 위치로부터 브레이스와 결합되도록 회전한다. 브레이스와 결합될 때, 브래킷 웨브는 브레이스 위에 놓이고, 브래킷 플랜지(363)는 침대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는 브레이스의 측면과 밀접하게 협동한다. 이동기구가 사람을 적합한 캐리어의 침대로부터 들어 올리려고 동작한 후에, 사람은 이동기구를 따라 가이드 레일(358)에 인접한 이동기구 다리에 근접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동기구를 동작시키는 사람은 브래킷(360)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 이동기구의 다리를 잡아 당겨서 이동기구를 침대의 발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브래킷(360)과 이동기구 다리의 결합으로 이 다리는 침대의 측면과 필연적으로 평행으로 유지되고, 이동기구는 신장된 이동기구의 한쪽 말단에만 힘이 가해지더라도 침대의 길이와 평행으로 구른다. 이동기구가 침대를 따라 이동할 때, 브래킷의 침대-헤드 말단은 다리 조립체에 의하여 접촉되고, 따라서 브래킷은 이동기구가 침대의 발을 향하여 이동할 때 가이드 레일(358)을 따라 구동된다. 이동기구 다리 조립체와 가이드 브래킷의접촉은 브래킷 웨브 위에 지지되고 이동기구 고정식 다리 조립체에 제공되어 수축가능한 크로스 브레이스(126)의 말단과 결합되는 핀(136)의 말단에 의하여 결합되는 직립 정지 손잡이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동기구가 침대의 발로부터 침대의 헤드로 침대-걸친 상태로 이동할 때, 브래킷(360)의 침대-발 말단이 좌석 리테이너(162)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므로 브래킷이 이동기구의 이동에 의하여 레일(358)을 따라 구동된다.
신장된 이동기구가 브래킷(360)과 이동기구와의 결합에 의하여 침대의 발을 향하여 멀리 이동했을 때, 이동기구는 침대의 발로부터 부분적으로 풀린다. 가이드 브래킷은 브래킷 웨브 상의 편리한 손잡이(366)를 사용하여 이동기구 다리 조립체로부터 결합해제되고, 그 후 이동기구는 한 사람에 의하여 침대가 이동기구 다리 조립체 사이의 공간이 비워진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기구 이동식 다리 조립체는 신장된 빔을 따라 빔 상의 원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빔은 빔 연장부를 이동식 다리를 따라 수직으로 탑재된 위치로 힌지결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단축될 수 있다. 크로스-브레이스(126)는 원하는 경우 다리 조립체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사람을 이동기구 좌석 상으로 내려놓거나 또는 이동기구에 안정되게 위치시킨다. 다음에 이동기구는 한 사람에 의하여 복도를 통해 다른 방으로 굴려갈 수 있다.
PPS는 이 PPS와 PMS의 다리 조립체 중 하나와 결합된 클램프 또는 홀더의 사용함으로써 서로에 대하여 PPS 구성품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관계 및 PMS에 대하여 PPS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위치로 PMS(10)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작업가능한 클램프 배열(370)은 도 29에 예시되어 있다. 클램프 배열은 다리 조립체(12 또는 16)의 튜브형 메인 수직 부재(130)를 그 둘레와 이를 따라 조정가능한 신장될 수 있고 클램프가능한 슬리브(371)를 포함한다. 슬리브는 이들 사이에 결합된 나사 스터드와 같은 놉-작동 샤프트(372)의 동작에 의하여 부재(130) 둘레에 풀려지거나 또는 조여질 수 있는 반원형 슬리브 절반부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슬리브(371)는 슬리브의 축과 평행으로 배치되고 슬리브로부터 멀리 떨어져 대면하는 평탄한 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브래킷(373)을 지지할 수 있다. 브래킷(373)의 평탄면은 다리 한쪽 말단에 연결되고 다리(374)와 수직으로 나란히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한 본체(376)를 갖는 제1 클램프 부재(375)의 다리(374) 상의 평탄면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체(376)는 다리(374)로부터 평행으로 떨어져 연장되는 핑거(377)에서 종료된다. 다리(374)는 볼트의 헤드와 다리(374) 사이에 압착된 스프링에 의하여 브래킷(373)을 향하여 스프링 바이어스될 수 있다. 볼트는 브래킷(373)으로부터 다리(374)의 구멍을 통과한다. 클램프 부재(375)는 브래킷에 대하여 원하는 대로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배열은 제2 클램프 부재(379)를 포함한다. 제2 클램프 부재는 제1 말단 다리(380)를 가질 수 있고, 이 말단은 다리(374) 근처의 제1 클램프 부재의 본체 면과 결합가능하다. 제2 클램프 부재는 제1 클램프 부재의 본체(376) 길이의 약 절반 이하가 바람직한 거리로 다리(380)의 타단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연장되는 제1 본체 섹션(381)을 가질 수 있다.
제2 클램프 부재의 제2 본체 섹션(382)은 다리(380)의 제1 본체 섹션(381)으로부터 클램프 암(383)이 연장되는 그 말단으로 직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클램프 암은 본체 섹션(382)과 직각으로 될 수 있고 본체 섹션(381)과 평행으로 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클램프 부재는 제2 부재의 본체 섹션(381)의 구멍을 통과하여 다리(374)에 근접한 제1 부재의 본체(376) 내의 탭 구멍 내로 연장되는 샤프트에 의하여 함께 지지된다. 샤프트는 제1 클램프 부재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는 제1 본체 섹션(381)의 측면과 결합되는 놉(384)을 지지한다. 압축 스프링이 두 개의 클램프 부재 사이의 샤프트 둘레에 결합된다. 제2 부재의 다리(380)의 말단은 제2 클램프 부재가 놉(384)이 선회할 때 제1 클램프 부재에 대하여 피벗할 수 있는 제1 클램프 부재에 맞대어 받침점을 형성한다. 제1 클램프 부재에 대한 제2 클램프 부재의 이러한 피벗으로 암(383)이 핑거(377)를 향하여 이동하고 핑거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핑거(377)는 PPS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튜브형 부재의 내부 에지에 맞대어 위치될 수 있다. 암(383)은 동일한 부재와 결합된 쿠션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클램프 배열(370)을 사용함으로써, 이들 각각은 이동기구 다리 조립체에 대하여 광범위한 위치 및 자세를 가질 수 있고, PPS는 이 PPS의 임의의 상태 및 자세로 이동기구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개인 이동기구(390)가 도 30 내지 도 35에 예시되어 있다. 이동기구(390)는 전술한 이동기구의 개념, 기구, 특징 및 장점 중 여러 가지와 결합되거나 또는 응용된다. 이동기구(390)는 개인의 이동에 휠체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사람과 같이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여객기를 탑승하여 기내의 좌석으로 용이하고 안락하고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차량 형태이다. 이 차량은 사람을 좌석으로부터 이동시켜 여객기 내의 이동 또는 여객기로부터 내릴 때 사용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차량은 사람, 여객기 승객을 공항에 도착 시 밴 또는 자동차로부터 태울 수 있고, 이 승객을 공항 터미널 건물 내로 및 건물을 통하여 승객이 원하는 목적지로 타고 갈 여객기 내로 안락하고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목적지에 도달할 때 동일 차량, 또는 상이하거나 유사한 차량을 이용하여 이 승객을 여객기로부터 목적지 공항 터미널 내 및 이 터미널을 통하여 밴, 자동차 또는 다른 육상 교통 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기구는 단지 한 사람에 의하여 이동 및 동작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승객을 차량에 태우고 내리게 하는 것은, 현재 일반적인, 한 명 이상의 다른 사람을 이용하기 보다 차량의 모터 구동 기구에 의하여 실행된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승객을 여객기 승객 좌석으로 태우고 내리게 하는 현재 이용되는 방법은 승객의 품위를 떨어뜨리고, 승객 및 현재 승객을 들어 올려 이동시키는 승무원이 다칠 수 있으므로 불행한 결과가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
전술한 이동기구와 같이, 이동기구(390)는 지지 휠(394, 395)을 가진 프레임(393)의 상단부에 장착된 길이가 다양한 횡방향 수평 빔(392)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역전가능한 모터 구동 윈치 기구(391)를 포함한다. 이동기구(390)용으로 개발된 윈치(391)는 전술한 개인 이동기구에 사용될 수 있고 다른 이동기구에도 바람직할 수 있다.
이 이동기구가 항공 분야에 사용될 수 있도록, 이동기구(390)는 폭, 길이 및 높이가 필연적으로 제한되어야 종래의 탑승구 또는 해치를 통해 여객기 상으로 굴러 갈 수 있고, 차량은 승객 좌석 사이의 복도를 따라 구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객기 캐빈의 다른 위치로 원하는 바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현재 바람직한 승객 이동기구는 전체적으로 폭이 16인치(40.6cm), 길이가 41인치(104.1cm), 높이가 73인치(185.4cm), 및 4개의 지지 휠로 형성된 22인치(55.9cm)±의 휠 베이스를 갖는다. 지지 휠은 두 개의 동축 후륜(394) 및 수직 캐스터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주물이 바람직한 두 개의 전륜(395)이다. 베이스의 전방부(397) 및 후방부(398)는 중앙 바닥(399) 상측에 위치되고, 횡방향으로 개방되어 포트를 제공하고 이 포트로부터 후술하는 수축가능한 안정 부재가 빠져 나올 수 있다. 이동기구 프레임(393)은 베이스의 상승된 전방 및 후방부에 장착되고, 특히, 이동기구에 앉아 있는 승객의 개방된 보호 엔클로우저를 형성한다.
휠(394, 395)은 이동기구의 승객 좌석 영역의 하측 및 전방의 편평한 중앙 바닥(399)을 갖는 일반적으로 수평 베이스(400)에 장착되어 이를 지지한다. 이동기구의 후륜(394) 각각에는 휠 축에 피벗된 로커 암을 포함하고 수평 브레이크 오프 위치 및 축에 대한 경사진 브레이크 온 위치를 갖는 공지의 브레이크 기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로커 암이 브레이크 오프 위치로부터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위치가 브레이크 온 위치이다. 브레이크 로커 암의 전방 말단은 이동기구가 이동기구의 전방에 근접한 전방 말단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샤프트(401)에 자신의 중앙에서 장착된 횡방향 레버의 대향 말단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샤프트(401)는 자신의 중앙을 따라 베이스(40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횡방향 페달 레버(402)는 베이스의 전방 에지 하측의 샤프트(401)의 전방 말단에 장착된다. 레버(402)의 대향 말단 각각은 페달로서 작용하고, 이 페달에 의하여 이동기구를 동작시키는 사람이 후륜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이들 브레이크를 필요에 따라 세트하고 릴리스한다. 이동 기구의 브레이크 동작 기구는 브레이크가 온 또는 오프 상태인 가를 감지하는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 이동기구의 프레임(393)은 강하고 가볍고 호감이 가는 금속 튜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이 얇은 스틸 튜브가 바람직하다. 예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정육면체 구성이고, 저면이 개방되고, 프레임의 전방, 후방 및 상단을 따라 적당하게 이격된 위치의 횡방향 부재에 의하여 연결된 두 개의 대향하는 측면 구조를 갖는다. 프레임의 측면 구조 각각은 전방 수직 다리(406), 후방 수직 다리(407), 및 수평 상단 런을 가지는 일반적으로 역 U자형 구성인 1차 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측면 구조 각각은 1차 부재의 전방 다리 및 후방 다리와 각각 평행이며 인접하는 1차 부재 수직 다리로부터 프레임의 내측으로 이격된 전방(408) 및 후방(409) 2차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2차 부재는 자신의 상측 말단에서 1차 부재의 수평 런에 연결된다. 1차 및 2차 부재의 하측 말단은 이동기구 베이스의 전방 및 후방 상승부의 측면 에지에 고정된다. 적합한 위치에, 2차 부재는 횡방향 부재(410)에 의하여 각각의 1차 부재의 인접하는 수직 다리에 연결된다. 도 31은 프레임의 상단에 근접하여, 프레임의 상단부가 프레임의 잔여 부분보다 폭이 더 좁도록 1차 프레임 부재 및 2차 부재의 수직 다리가 서로를 향하여 오프셋되어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프레임의 각 측면의 자신의 상측 말단에서의 내측으로의 오프셋으로 이동기구의 중앙 윈치-지지 빔(412)의 측면 연장부(413)를 탑재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동기구 안정 장치용 하우징은 각각의 2차 부재의 단부와 인접하는 1차 부재의 수직 다리 사이 공간의 프레임 내에 위치된다. 전방 및 후방 하우징이 있다. 각각의 하우징은 이동기구 베이스의 대응하는 상승부 상에 지지되고, 폐쇄된 상단, 전방, 후방, 및 측면을 갖는다. 조작자 제어 패널(415)이 전방 안정 장치 하우징 상측에 전방으로 대면하여, 즉 프레임 내의 승객 공간으로부터 떨어진 프레임에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승객 공간의 하단 후방부는 베이스에 장착된 적합한 서포트(418) 상에 지지된 좌석(416) 및 후방(417) 쿠션을 갖는 전방으로 대면하는 승객 좌석에 의하여 점유된다. 좌석 저면의 용적은 엔클로우저 될 수 있고, 이동기구의 여러 개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축전지(급속 사이클 재충전가능 축전지가 바람직함)를 위치시키는 자리로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범퍼 슬리브(420)는, 예를 들어 도 3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베이스 상승부 상측의 각 프레임 수직 부재의 외부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슬리브는 높이가 충분하고 여객기의 복도 좌석의 측면의 복도와 대면하는 면 상에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수평 범퍼 레일과 접촉될 수 있는 충분한 높이로 이동기구에 위치된다. 회전가능한 범퍼 슬리브는 이동기구가 이러한 여객기의 승객 캐빈 주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만든다.
수평으로 신장가능한 빔(400)의 중앙 섹션(412)은 프레임과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프레임의 상단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의 하측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 빔 섹션의 길이는 이동기구의 폭과 당연히 동일하다. 빔은 전술한 방식 및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 및 구성된다. 따라서, 빔은 상단 과 측면 표면이 폐쇄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 및 빔의 하측으로 개방된 저면의 측면 에지를 따라 인-앤드-업턴드 립을 갖는다. 이들 립의 상단 에지는 이동기구에 승객을 내우고 내리도록 제공된 역전가능한 모터 구동 윈치 기구용의 캐리지 구성품인 휠이 그 위를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이격된 레일을 형성한다. 또한, 전술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빔은 그 내부에 빔 자체(또한 전체적으로 이동기구로부터)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하측으로 대면하는 금속 래크를 지지한다. 프레임(393)에 고정된 횡방향 중앙 빔 구조(412)는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된 좌측 및 우측 빔 연장 유닛(413)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빔 조립체의 베이스 섹션이다. 각각의 빔 연장부는 단면 형상 및 치수가 빔 베이스 섹션과 마찬가지로 동일하며 전기적으로 절연된 하측으로 대면하는 금속 래크를 지지한다. 각각의 빔 연장부는 수직 축이 바람직한 힌지(413)의 대응하는 부분에 연결된 일단부가 외측으로 보강된다. 각 힌지의 잔여 구성품은 빔 베이스의 대응 말단에서 빔 베이스(412)의 외부에 연결된다. 각각의 힌지는 구조적으로 울퉁불퉁하며, 사용 시 승객의 캔틸레버식 서포트용 기초로서 작용하는 것이 필요할 때 강하다. 각각의 힌지는 자신의 빔 연장부(413)가 힌지 축을 중심으로 빔 베이스 섹션(412)에 대하여 동일 직선 상으로 및 동일 직선을 벗어나서 이동하고 이동기구의 폭 내에서 수축 및 탑재 위치로 및 이로부터 벗어나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빔 연장부는, 빔 베이스 섹션에 대하여 동일 직선 상으로 배치될 때, 베이스 섹션의 인접하는 말단과 접합된 자신의 말단(414)을 가지고, 베이스 섹션의 연장부에 있어서, 연장부 도전 래크는 연장 래크에 의하여 지지된 탄성 접점에 의하여 베이스 섹션의 래크, 바람직하기로는 상단면을 따라 도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각 빔 연장부의 탑재 위치는 도 3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의 폭이 감소된 상단부 측면의 수평 위치이다. 이 탑재 위치에서, 각 빔 연장부는 빔 베이스 섹션의 인접하는 말단으로부터 이동기구의 전방으로 연장된다.
이동기구에서의 펼쳐진 자세로 이동되면, 빔 연장부를 접어 넣기에 적절하다고 여겨질 때까지 빔 연장부를 그 자세로 굳게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잠금 가능한 래치 메커니즘(426)이 각각의 빔 연장부를 이동기구에 연결시키는 것에 관련되어 진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연장부의 힌지된 단부와 함께 이동하는 구조체는 접촉 래치면(428)을 갖는 직립 러그(427)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것은 빔 연장부가 완전히 펼쳐졌을 때 빔 베이스 유닛의 후방측에 인접한 래치 위치로 이동된다. 이 러그의 접촉면은 그 이동기구에 대향된 단부에서 피벗되는 래치 암(432) 상에서 핑거(429)에 결합될 수 있다. 래치 암은 오버센터 토글 액츄에이터(overcenter toggle actuator;432)를 조작하여 러그 유지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이동기구의 조작자의 접근을 위해 이동기구의 정면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피벗점 근처의 래치 암에 링크 로드(43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빔 연장부가 이동기구 측에 펼쳐지면, 고정상태에서 확실하게 해제될 때까지, 확실하게 그 위치에 고정 및 유지될 수 있다.
이동기구 제어 시스템은 많은 잠금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중 하나는 정확하게 빔 연장부가 이동하여 그 펼쳐진 자세로 고정될 때까지 모터 구동 윈치 가로방향 구동부의 작동을 중지하는 것이다. 이 잠금 기능을 위한 신호는 이동기구에 설치되어 빔 연장부의 펼쳐진 자세로의 이동에 민감한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미트 스위치는 래치 핑거에 인접하여 래치 암에 설치될 수 있어서, 핑거가 러그(427)에 유지된 위치에 있을 때 빔 연장부에 접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재 선호되는 자동 복구 기능(fail-safe)의 이중 상승점 윈치 메커니즘(391)이 도 15,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윈치(58')와 유사하게, 이 메커니즘도 한 쌍의 유연성 하중운반부재를 윈치로부터 풀거나 감도록 구성되는데, 유연성 부재로는 금속 혹은 다른 케이블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한 유연성 부재는 직조된 나일론 스트랩(woven nylon strap)으로, 이것은 케이블에 비해 보다 유연하고 취급 및 조작이 보다 용이하다. 이동기구(390)의 윈치(391)는 윈치 하우징(439)의 하부 좌우 모서리에 설치된 한 쌍의 회전 공회전 롤러 혹은 풀리(434, 435)를 구비한다. 관련 스트랩(436, 437)이 하우징 내의 공회전 풀리에 귄취되고 풀리의 좌우측으로부터 스트랩의 두 자유단을 향하여 하우징 외부를 향해 하측 방향으로 통과한다. 도 15 참조. 윈치는 하우징 내의 공회전 풀리와 스트랩의 폐쇄단부 사이에서 스트랩의 길이를 변화시키기 위해 내부에 배치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의 폐쇄 단부는 단일 길이의 스트랩소재를 따라서 선택된 곳에 위치되는데, 여기에서, 스트랩 소재는 접혀 앵커 핀(440)에 결합되는데, 앵커 핀(440)은 하우징의 상부 좌측 모서리에 인접한 윈치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이 앵커 핀의 오른쪽에 있는 이중 스트랩 소재는 가동 풀리(442)의 상부, 우측 및 하부에 귄취된다. 다음, 이중 스트랩 소재는 좌측 공회전 풀리(434)의 상부 및 좌측으로 연장된다. 좌측 공회전 풀리와 직접 접촉하는 스트랩의 제1 섹션(437)은, 좌측 공회전 풀리의 하부를 지나 그 후 우측 공회전 풀리(435)의 상부 및 우측을 지나고, 다음 하측으로 하우징 외부로 나간다. 스트랩 섹션의 2개의 개방 단부는 이들에 결합된 적절한 결합장치를 구비한다. 결합구는 래치 혹은 유지구(keeper)를 갖거나 혹은 갖지 않는 링, 디-링(D-ring) 혹은 후크일 수 있다. 결합구는 본 이동기구의 도움에 의해 항공기로 이동하고 항공기 밖으로 나오는 사람을 위한 캐리어 등을 지지하는데 스트랩이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윈치(391)의 가동 풀리(442)는 윈치 하우징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상부 크기에 걸쳐 수평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이 도 15의 가동 풀리의 실선 및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가동 풀리가 하우징 내의 가장 좌측에 있을 때, 폐쇄단부 앵커 핀으로부터 좌측 공회전 풀리로의 이중 스트랩 소재를 따르는 거리는 최소이고, 하우징으로부터 풀려 나온 스트랩의 크기는 최대이다. 반대로, 가동 풀리의 윈치 내에서의 이동범위의 우측 끝에 있을 때, 윈치 내의 폐쇄단부 앵커 및 좌측 공회전 풀리 사이의 이중 스트랩 섹션의 크기는 가장 크고, 윈치 밖으로 나온 스트랩의 수직 길이는 최소가 된다. 이러한 구조의 기계적이 장점은 두 가지인데, 가동 풀리의 이동하는 일 유닛이 2개의 유닛, 즉 스트랩의 2개의 개방 단부를 상승시키거나 혹은하강시킨다. 가동 풀리의 유효 이동 범위는 약 20 inch(50.8cm)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 풀리는 하우징 내에서 선형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풀리는 가역 구동모터에 의해 그 이동 한계 사이에서 제어 가능하게 구동된다. 윈치 구동모터는 윈치 하우징의 후면에 설치되고 그 면에 평행한 샤프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 샤프트는 감속 기어를 거쳐 한 쌍의 볼 나사 중 하나의 인접 단부에 고정된 구동 기어에 결합되는데, 볼 나사는 윈치 하우징의 상부에 평행하게 이격되어 수평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동 기어는 2개의 볼 나사의 나머지 하나의 인접 단부에 고정된 구동 기어에 맞물린 공회전 기어에 맞물린다. 이러한 방법에서, 볼 나사는 동일한 비율로 동시에 회전한다. 2개의 볼 나사 구동 기어 사이의 공회전 기어는 윈치 하우징의 인접 단부 벽의 포트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공회전 기어의 단부면은, 그 내에 직경방향으로 정렬된 한 쌍의 구멍을 구비함으로써, 적절한 렌치(wrench) 혹은 크랭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윈치 모터의 전원이 나가더라도, 윈치는 이동기구의 윈치에 의해 지지된 탑승자를 수동으로 승강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볼 너트는 각각의 볼 나사에 결합되어 있다. 볼 너트는 가동 풀리가 그 위에 설치되어 있는 액슬의 대향 단부들을 지지한다. 따라서, 볼 나사가 회전하면 그 들 사이에서 이동되는 가동 풀리가 선형 이동한다.
윈치 구동모터와 볼 나사 사이에서의 감소 기어 맞물림과 협력하여 이루어지는 가동 풀리의 볼 나사 구동은 윈치의 자동복구기능(fail-safe feature) 특징을 제공한다. 볼 나사가 회전하지 않으면, 볼 너트 및 가동 풀리는 볼 나사를 따라이동할 수 없다. 볼 나사의 피치가 매우 크고(나사각은 매우 작고), 입력 전동장치의 감속비도 매우 커서, 볼 나사를 따른 임의의 방향에서의 볼 너트에 작용하는 힘도 볼 나사를 회전시키지 못한다. 볼 너트는 오직 볼 나사의 회전에 반응하여서만 선형이동 할 수 있다. 통상의 리드 스크류 및 종동 너트보다 볼 나사 및 볼 너트가 낮은 마찰 때문에 바람직하다.
윈치 하우징(439)은 도 9를 참조하여 기술한 특징의 윈치 캐리어에 그 상면을 통해 설치된다. 따라서, 캐리어는 이동기구의 빔에 구속되지만, 빔, 즉, 빔 베이스 유닛 및 그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트랙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윈치 하우징과 빔 섹션 내부에 위치된 랙 사이에 결합된 가역 모터 종동 구동기의 조작에 의해 윈치는 빔을 따라 구동 가능하다. 윈치 가로방향 구동 모터는 바람직하게는 기어박스를 통해 윈치의 일 단부에서 윈치 하우징의 정면에 설치된다. 모터의 작동은, 기어박스의 감속 기어 및 윈치 하우징의 또 다른 기어들을 통해, 대형 비전도성 기어(124)를 회전시키는데, 이 기어는 윈치 캐리어의 일단에 인접한 빔 랙과 맞물린다. 도전성 기어, 만약 도전성이 아니라면 이동기구의 구조체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지는 도전성 기어는 윈치 캐리어에 설치되고, 도전성 랙과 맞물리도록 탄력적으로 바이어스되어, 랙과의 이동 접촉점으로 기능하여, 빔을 따르는 윈치의 임의의 위치에서 윈치 하우징에 설치된 모터 및 다른 전기 부품에 랙에 인가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도전성의 접촉기어는 윈치 내에 전선 연결되어 도 8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이동기구의 제어회로에 연결된다. 이동기구의 제어 시스템의 릴레이 및 다른 대부분의 부품은 윈치 하우징의 후방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고려하면, 예를 들면 빔 연장부 중 하나 혹은 다른 하나를 이용하여 이동기구와 항공기의 통로측 좌석 사이에서 탑승자를 이동시키는 동안에, 이동기구(390)의 짧은 휠 베이스는 이동기구를 안정되게 지지하기에 적절치 못하다. 이와 같이 탑승자를 이동시키는 동안에 이동기구가 측면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기구는 이동기구의 길이방향 중앙 평면으로부터 이동된 탑승자의 위치에서 이동기구 윈치에 의해 탑승자를 지지함으로써, 이동기구에 작용된 전복 움직임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을 이동기구에 부여하는 메커니즘 혹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은 이동기구의 좌석과 이동기구에 인접한 항공기 통로측 좌석 사이에서 탑승자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탑승자의 무게중심이 이동된 거리를 둘러싸기에 적절한 양만큼 중앙 평면의 측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기구의 휠 베이스의 폭을 효과적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이동기구(390)에서 달성된다. 이동기구의 휠 베이스를 효과적으로 측방향으로 확장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조체는 두 쌍의 접힐 수 있는 지면 접촉 스테빌라이저(446)로서, 한 쌍은 이동기구의 좌측으로 및 좌측으로부터 탑승자를 이동시킬 때 이동기구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것이고, 한 쌍은 이동기구의 우측으로 및 우측으로부터 탑승자를 이동시킬 때 이동기구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각 쌍에서, 하나의 스테빌라이저는 이동기구의 정면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그 후방에 위치된다. 이동기구로부터 연장되어 졌을 때, 스테빌라이저의 먼 쪽 단부(447)는 항공기 객실 바닥(448)(혹은 이동기구가 위치된 대략 편평한 다른 면)에 접촉된다. 그 위치는 이동기구의 일측 상의 통로측 탑승자 좌석위로 이동기구에 의해 위치된 탑승자의 무게중심보다 이동기구의 동일측면으로부터 적어도 더 먼 곳이 된다.
도 30은 이동기구(390)의 2개의 우측 스테빌라이저의 하단에 지지된 휠(449)을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스테빌라이저들은 이동기구 내로 완전히 접혀져 있다. 도 31은 우측 정면 스테빌라이저(446)가 접혀진 위치(실선) 및 연장된 혹은 펼쳐진 위치(쇄선)에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31은 또한 접혀진 위치에 있는 좌측 정면 스테빌라이저(446')를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테빌라이저(446)는 가늘고 긴 직선 바 혹은 사각 금속 튜브로서 제공된다. 이 바는 그 하측을 따라 그 대부분의 길이에 걸쳐 랙(451)을 지탱한다. 소형 가이드 롤러(452)가 바의 하측에 인접하여 바의 내측 단부(453)에 설치된다. 이 가이드 롤러는 트로프형(trough-like) 트랙(454)에 접촉하는데, 이 트랙은 그 주요 부분에서 직선이고 수직이지만 접혀진 위치의 바의 하부 단부 혹은 먼 쪽 단부의 위치를 향하여 그 하부 단부에서 휘어져 있다. 우측 정면 스테빌라이저를 위한 트랙은 전방 스테빌라이저 하우징의 좌측 벽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 하단부는 이 하우징의 우측 하부 모서리, 즉, 이동기구 베이스의 전방 상승부의 우측 아래의 개구를 향하고 있다. 이 가이드 트랙(454)의 하단은 무거운 하부 베어링 블록(456)에 지지되는데, 이 것은 기울어진 거의 상측으로 개방된 면(457)을 구비하며, 이 면은 대략 가이드 롤러가 접촉된 트랙 면의 말단부의 연장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 면은 피니언 기어(458)에 접하는 면상에 위치되고, 스테빌라이저 바의 랙은 이동기구의 스테빌라이저의 모든 위치에서 피니언 기어에 접촉한다. 피니언은 피니언의 후방부에 그와 동축으로 설치된 가역 전기모터(459)에 의해 구동된다. 스테빌라이저의 상면은 바의 구동 피니언 근처에서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된 종동 롤러(461)와 접촉한다. 롤러는 종동 암(462)의 단부 상에 지지되고, 종동 암의 타 단부는 스테빌라이저 바의 먼 쪽 단부 휠의 접혀진 위치 바로 위에 위치된 상부 베어링 블록(463) 위의 스테빌라이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프링 부하 종동자는 바의 가이드 롤러(452)가 트랙(454)에 접촉되도록 기능한다.
도 31은 트랙(454)의 기하구조가 스테빌라이저 바의 길이와 관련되어 형성됨으로써, 바의 가이드 롤러가 트랙의 외형과의 상호작용이 이동기구에 대한 스테빌라이저의 순간 자세를 결정하면서, 피니언 기어(458)가 회전하여 스테빌라이저 바를 트랙을 지나 이동시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피니언이 스테빌라이저를 하측으로 당기면, 스테빌라이저의 먼 쪽 단부가 이동기구 외측으로 하향 이동한다. 스테빌라이저의 상단이 하부 베어링 블록(456)에 접근하면, 스테빌라이저의 먼 쪽 단부의 휠(449)은 항공기 객실의 바닥(혹은 이동기구가 위치된 다른 면)에 접촉하고 이동기구 밖으로의 그 이동의 마지막 증분만큼 스테빌라이저를 지지한다. 스테빌라이저가 그 외측으로의 이동의 마지막에 도달하면, 스테빌라이저는 그 내측 단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한다. 이 회전은 스테빌라이저 하면의 상단부가 랙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에서 하부 베어링 블록(456)의 상면(457)을 지지하게 한다. 동시에, 스테빌라이저의 상면은 먼 쪽 단부를 향하는 스테빌라이저 상의 위치에서 상부 베어링 블록(463)의 편평한 면(464)에 접촉한다. 이 위치에서, 스테빌라이저는 이동기구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고, 즉, 스테빌라이저의 먼 쪽 단부는 이동기구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한다. 그 결과, 스테빌라이저는 스테빌라이저가 연장되어 나온 쪽으로의 이동기구의 전복에 저항한다.
한 쌍의 센서가 각 스테빌라이저에 관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 센서(466)(도 35 참조)는 스테빌라이저가 스테빌라이저 하우징에서 완전히 접혀진 위치에 스테빌라이저의 상단이 도착된 것을 검출하고, 다른 하나의 센서(467)(도 34)는 스테빌라이저의 상단이 이동기구로부터 완전히 펼쳐진 스테빌라이저의 연장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착한 것을 검출한다. 이러한 센서들은 닫혀질 때 이동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신호들을 생성하는 리미트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스테빌라이저 종동 암(462)의 탄력적 로딩은 스프링(469)을 회전 지지체 위치에 인접한 암과 이동기구의 베이스 사이에 결합시켜 이루어진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은 하부 베어링 블록(456)이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 하부에 위치된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스프링의 상단은 부재의 구멍 주위의 부재의 하부에 접촉할 수 있다. 로드(470)는 이 구멍 및 압축 스프링(469)을 통해 하측으로 압축 스프링의 하단에 접촉되는 플레이트로 연장될 수 있고, 플레이트는 압축 스프링의 하단에 접촉한다. 로드의 상단은 관련 스테빌라이저 바의 바닥 근처의 바 혹은 요크(472)의 중심에 접촉될 수 있다. 한 쌍의 긴 후크(473)가 요크(472)의 단부들과 종동 암의 대향 측에 설치된 핀(474)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은 항상 압축되어, 스테빌라이저가 이동기구를 향해서 및 이동기구로부터 구동 피니언(458)에 의해 이동될 때, 종동 암은 당겨져 그 종동 롤러가 스테빌라이저의상면에 힘에 의한 접촉이 이루어진다. 스테빌라이저 상의 종동 암 및 종동 롤러의 이러한 동작은, 구동 피니언에 의한 스테빌라이저의 이동 동안 내내 스테빌라이저 가이드 롤러가 가이드 트랙과 접촉을 유지하게 한다.
이동기구의 모든 스테빌라이저들은 상술한 방법으로 배치되고, 구동되고 바이어스된다. 좌측 스테빌라이저와 그 설치 및 구동은 상술한 우측 스테빌라이저와 대칭이다. 일 좌측 스테빌라이저 및 일 우측 스테빌라이저는 각 스테빌라이저 하우징 내에 위치된다. 관련 스테빌라이저 하우징에 좌측 스테빌라이저는 우측 스테빌라이저의 뒤에 위치된다.
각 스테빌라이저와 관련된 위치 검출센서는 윈치 호이스트(winch hoist) 및 가로방향 모터의 작동을 가능 및 불능으로 하기 위해 빔 연장부 위치 센서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우측 스테빌라이저 펼쳐진 자세 센서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채 우측 빔 연장부 위치 검출 센서에 다음과 같이 연결될 수 있는데, 즉, 두개의 우측 스테빌라이저가 완전히 펼쳐지고 또한 우측 빔 연장부가 펼쳐지고 제자리에 걸렸다는 것을 알리도록 3개의 위치 검출 센서 모두가 작동될 때까지, 윈치의 호이스트 구동 모터 및 윈치 가로방향 모터는 윈치가 그 기본 위치로부터 빔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작동하는 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테빌라이저 가이드 트랙의 상단에서의 스테빌라이저 위치 검출 센서(466)의 작동은 이동기구의 조작자에게 스테빌라이저가 완전히 접혀졌고, 이동기구가 항공기 등의 탑승자 통로를 따라 이동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알리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동기구의 각 측에 대한 스테빌라이저 사이의 거리는, 이동기구의 좌석이통로측 좌석에 바로 인접하도록 이동기구가 항공기의 통로측 좌석(444) 옆에 위치될 때, 이동기구의 동일한 쪽의 후방 스테빌라이저가 그 통로측 좌석의 베이스(foundation) 뒤로 펼쳐질 수 있고, 전방 스테빌라이저가 이웃한 전방의 통로측 좌석의 베이스 뒤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 적절하다. 도 30 참조,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기구(390)의 하부 좌석 쿠션(416)의 상부는 항공기 탑승자 좌석의 통로측 팔걸이(476)의 상부 바로 위 정도의 높이로 이동기구에 위치된다. 이동기구로부터 탑승자를 이 통로측 좌석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탑승자와 이동기구 좌석 사이에 위치된 탑승자 캐리어와 탑승자가 이동기구의 좌석으로부터 들려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동기구에서 들려진다. 그 때, 탑승자는 통로측 좌석 위의 위치로 이동기구 프레임의 측방향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 통로측 좌석위로 내려진다. 탑승자가 이동기구에 의해 통로측 좌석에 위치되면, 탑승자와 이 좌석 사이에 캐리어가 위치된다.
탑승자를 위한 바람직한 캐리어(480)가 도 36에 도시되어 있다. 캐리어는 중량의 캔버스(canvas) 혹은 다른 강한 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것은 탑승자의 등, 엉덩이, 넓적다리 및 캐리어 위에 앉은 탑승자의 하측 다리를 지나 연장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캐리어는 숄과 같은 방법으로 그 쪽 주위의 등 영역(483)으로부터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484, 485)들이 서로 중첩되는 탑승자의 정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측면 플랩(481, 482)을 포함한다. 플랩의 중첩가능한 단부는 캐리어 천에 재봉되어질 때, 적절한 방법으로 플랩에 고정되는 벨크로 파스너(Velcro fastener)에 의해 넓은 범위에 걸쳐 함께 고정될 수있다. 캐리어의 후방부(483) 및 좌석부(엉덩이 및 넓적다리;486)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이러한 영역의 캐리어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제거 가능하게 반격자 패널(semigrid panel)이 위치되는 포킷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반격자 패널은 예를 들면 두꺼운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 시트 조각 등이다.
캐리어는 캐리어 좌석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그리고 각 측면 상의 좌석으로부터 캐리어 상의 성인 탑승자의 허리정도에 상응하는 높이로 상측으로 연장되는 일정한 길이의 넓은 스트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넓은 스트랩은 캐리어의 하부의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 걸쳐 탑승자를 지지하기 위하기 위해 캐리어에 강화 영역을 제공한다. 다수의 이격된 절반 결합구들이 수평으로 이격된 위치에 이 넓은 스트랩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2개의 상대적으로 좁은 지지 스트랩 중 관련된 하나는 탑승자의 허리 근처의 대응 절반 결합구 중 선택된 하나에 대응하는 절반 결합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캐리어의 후방부에 대한 탑승자의 무게 중심의 위치에 근거한 선택이 이루어지는데, 연결이 일렬로 혹은 무게중심의 전방으로 되도록 선택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지지 스트랩은 탑승자로부터 떨어진 인접한 플랩측 상의 스테빌라이징 가이드 루프를 거쳐 그 하단 연결부로부터 탑승자측 상의 윈치 스트랩의 개방 단부에 지탱된 결합구에 의해 결합 가능한 상단으로 연장된다.
변형예로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긴 넓은 지지 스트랩(488)은 캐리어의 좌석부 아래의 그 중심을 지나 각 플랩(481, 482)의 외측에 고정된 가이드 루프(489)를 지나 캐리어의 각 측상에서 상측으로 링(490)등을 지탱하는 상단으로 연장될 수 있는데, 링 등에 의해서 캐리어 지지 스트랩 단부는 윈치 스트랩(436, 437)에 연결될 수 있다.
캐리어(480)는 또한 무릎 및 하부 다리 지지 스트랩(492)을 캐리어의 각 측 상에 포함할 수 있다. 이 스트랩은 그 단부에 혹은 그 단부 사이에 길이 조절 장치(49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스트랩의 상단은 탑승자의 어깨 근처에서 탑승자으로부터 먼 플랩 쪽 상의 캐리어 플랩(481, 482)에 적절한 절반 결합구(connection moiety)에 의해 연결 가능하다. 이 스트랩의 다른 하나의 단부는 탑승자의 무릎 근처에 있는 캐리어 소재 조각(495)의 모서리에 연결되는데(혹은 연결 가능한데), 이 소재 조작은 삼각형이고 탑승자의 하부 다리 뒤에 위치된 캐리어의 부분(496)의 에지를 따라 연결된 무릎 모서리에 대향된 에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중지지 코드는 무릎 모서리로부터 조각(495) 하부로 연결된 삼각형 소재 조각의 가장자리에 포함된다.
상술한 캐리어의 바람직한 사용방법은 예를 들면 캐리어(480)가 탑승자와 차량의 좌석 사이에 위치된 채로 자동차 혹은 밴의 정면 탑승자 좌석에 앉혀진 채로 출발 쪽 공항에 탑승자가 도착하는 것이다. 탑승자는 차량으로부터 직접 이동기구(390)로 이동된다. 이동기구는 탑승자에 의해 차량의 도어가 열린 후 앉아있는 탑승자 옆에 위치된다. 이동기구의 아웃리거 스테빌라이저들이 차량 아래에 펼쳐지고 대응하는 빔 연장부가 탑승자 위쪽으로 차량 내로 연장되도록 펼쳐진다. 이동기구의 윈치 스트랩(436, 437)들이 적절하게 하강된다. 캐리어 측면 플랩들은 탑승자 위치로 느슨하게 폐쇄되고, 탑승자의 팔은 원하는 바에 따라 폐쇄된 플랩의 내측 혹은 외측에 놓일 수 있다. 윈치 스트랩 단부 결합구가 캐리어의 수직 지지 스트랩(488)의 상단에 연결된다. 캐리어의 어깨-무릎 스트랩(492)의 길이는 조절 가능하여 느슨하게 되지 않는다. 이동기구의 윈치가 그 후 차량의 좌석으로부터 탑승자를 상승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윈치 가로방향 구동기는 그 후 캐리어(480) 상의 탑승자를 이동기구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고, 여기에서 탑승자는 이동기구의 좌석위로 직접 하강될 수 있다. 캐리어의 하부는 도 36에 도시된 방법으로 탑승자의 하부 다리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동안에, 탑승자는 탑승자의 하측과 후측에서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는 캐리어 상에서 정상적인 앉은 자세로 있어서 편안하다. 탑승자가 차량으로부터 이동기구로 이송될 때, 탑승자의 무게의 일부를 지탱하기 위해서 혹은 탑승자에 중요하게 접촉해야하는 어떠한 사람도 필요하지 않다.
캐리어 측면 플랩은 탑승자의 이동기구로의 이동 및 이동기구로부터 나오는 이동 동안에만 원한다면 탑승자 주위로 폐쇄될 수 있다. 플랩의 장점은 탑승자의 안전 및 편안함을 위한 이동 과정 동안에 캐리어 상에서 탑승자의 자세(즉, 탑승자의 무게 중심의 위치)에 대한 제어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탑승자가 이동기구에 캐리어 상에 앉혀지면, 측면 플랩은 개방되어 캐리어의 후방부와 이동기구의 좌석 후방부 사이의 탑승자 뒤에 감춰질 수 있다. 변형예로서, 캐리어 플랩은 어떠한 이유에 의해 필요하다면, 그 중첩가능한 단부에서 이동기구 프레임의 정면부분에 연결되어 이동기구 내에서 탑승자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할 수 있다.
캐리어 및 이동기구의 사용에 의해 탑승자가 항공기의 통로측 좌석에 위치되면, 캐리어는 탑승자와 통로측 좌석 사이에 협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캐리어는 이 좌석 상에서의 탑승자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또한, 항공기의 좌석으로부터 탑승자의 이동이 요구되거나 필요할 때 쉽게 사용될 수 있다. 항공기의 좌석에 탑승자를 초기에 위치시키는데 사용된 이동기구는 비행 동안 항공기에 남아있을 수 있고, 이 경우, 이동기구는 탑승자를 통로측 좌석으로부터 예를 들면 화장실로 이동시키고 돌아오는데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탑승자를 항공기내로 싣는데 사용된 이동기구가 비행 동안의 항공기에 남아있지 않는 경우, 도착지 공항의 이동기구가 탑승자를 항공기로부터 공항을 거쳐 지상 교통편 내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항공기 탑승자 캐리어(480)는 공지된 환자용 리프트 및 호이스트 시스템과 협력하여서 뿐만 아니라 도시되고 기술된 다른 이동기구와 어울려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캐리어의 장점은, 심하게 구속 및 한정시켜 종종 뼈가 부러지게 하는 몇몇 일부 자세에서가 아니라, 캐리어를 사용하여 사람을 통상적인 앉은 자세에서 안전하게, 편안하게, 안정하게 지지한다는 것이다. 캐리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트롱백(strongback) 혹은 스프레더(spreader)를 사용함으로써, 단일 포인트 리프트 및 호이스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동기구(390)에서의 윈치(391)의 위치는 이동기구에 앉은 탑승자의 무게중심의 위치의 예상되는 정면에서 후방까지의 범위의 중심보다 높도록 정의된다. 그러나, 원한다면, 윈치 하우징은 프레임의 상부를 따르는 제한적인 움직임을 위해 이동기구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기구의 제어패널의 바람직한 장치가 도 31에 도시되어 있다. 제어패널은 그 중심에 다이아몬드 패턴으로 배치된 4개의 푸시 버튼을 갖는데, 상부 및 하부 버튼은 윈치 메커니즘의 승강 동작을 초기화하는 스위치들을 동작시키고, 좌측 및 우측 버튼은 빔을 따르는 윈치 메커니즘의 좌측 및 우측 이동을 초기화한다. 만약 이동기구 제어시스템의 잠금 특징에 의해 동작이 불능으로 되지 않았거나 혹은 윈치 혹은 가로방향 이동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았다면, 이러한 동작은 버튼이 눌려지는 한 계속된다.
윈치 및 가로방향 구동 스위치 버튼의 각 측상에는 3개의 수직 배열된 버튼이 있다. 좌측 배열은 좌측 스테빌라이저와 관련되고, 우측 배열은 우측 스테빌라이저에 관련된다. 각 배열에서, 아웃리거가 완전히 펼쳐지고 우측 빔 연장부가 접혀지면 상부 버튼은 적색을 띄게 되어, 이동기구 조작자에게 우측 빔 연장부를 접고, 우측 스테빌라이저의 접는 동작을 개시하라는 것을 알린다. 배열 상의 중앙 버튼은 녹색일 수 있고, 이 버튼을 누르면 우측 아웃리거를 펼치도록(연장시키도록) 스테빌라이저의 구동 모터의 작동을 제어한다. 배열상의 하부 버튼은 적색일 수 있고, 이 것은 우측 스테빌라이저의 접는 동작을 제어한다. 중앙 및 하부 버튼은 우측 빔 연장부가 펼쳐진 자세에서 걸린 상태(latch state)에 있지 않으면 작동불능 상태로 된다.
또한, 이동기구 제어패널은 패널의 상부 중앙 영역에 5개의 수평 스테이션열을 포함한다. 좌측 스테이션은 퓨즈 홀더(fuse holder)일 수 있다. 퓨즈 홀더의 오른 쪽의 스테이션은 알람 버튼일 수 있고, 이 것이 눌려지면 벨이 울리거나 호출기를 동작시킨다. 알람은 예를 들면 공항 터미널 내에서 이동기구가 이동되고 있을 때 사용될 수 있다. 중앙 스테이션은 녹색 표시광일 수 있고 이동기구의 휠의 브레이크가 오프되어 있고 이동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전원이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린다. 오른 쪽 옆 스테이션은 적색 표시광일 수 있고 브레이크 메커니즘이 결합되어 있고 전원이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린다. 열의 우측 스테이션은 회로 차단기용 리셋 버튼일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고 상술한 구조 및 과정으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변형예들이 실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윈치에서 하나 이상의 리프트 케이블 즉 스트랩의 폐쇄단부는 윈치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볼 너트에 직접 설치될 수 있어서, 볼 너트의 이동은 그 폐쇄단부와 케이블 혹은 스트랩이 하우징으로 빠져나오는 지점 사이에서의 케이블 혹은 스트랩의 길이를 변화시킨다. 스트랩이 아닌 케이블들이 윈치 유연성 하중운반부재로서 사용되면, 멀티 시브 가동 풀리(multi-sheave movable pulley)가 고정 축 멀티 시브 풀리와 협력하여 바라는 임의의 윈치 메커니즘 장점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원한다면, 가동 풀리의 이동 경로는 수평이 아닌 수직이 될 수 있고, 수직으로 배치된 가동 풀리 구동기는 예를 들면 이동기구의 고정 레그(10)에 인접한 하우징의 일단과 같은 윈치 하우징의 일단에 위치될 수 있다. 이동기구는 모터 구동지지 휠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동기구 하중 빔으로부터 윈치를 지지하기 위한 다른 장치, 혹은 이동기구 프레임 상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가동 윈치 하우징에 공급하기 위한 다른 방법, 혹은 효율적으로 길이가 변하는 하중 빔(예를 들면 텔리스코핑 빔 장치)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방법, 혹은 이동기구 하중 빔으로부터 사람을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 혹은 슬링(sling)의 다른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내용 참고

Claims (89)

  1. 사람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자신에 연결된 지지 휠 상의 가동식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서 지지되는 가역 모터구동 윈치기구―여기서 윈치기구는 윈치의 이격된 위치에서 한 쌍의 유연성 하중운반부재를 동기식으로 풀기 및 감기를 하도록 동작됨―,및
    사람을 지지하는 캐리어 상의 이격된 위치와 관련하여 하중을 지지하도록 자신을 지탱하는 하중운반부재를 해제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커플링
    을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휠이 장착되는 베이스 상에 지탱되며, 상기 프레임은 캐리어에 있는 사람을 지지할 수 있는 좌석을 포함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가 궤도 내에서 가동식으로 지탱되며, 상기 궤도는 상기 프레임의 측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동작 포지션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이동을 하도록 장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 연장부가 상기 프레임의 양 측부 사이의 폭 내에서 탑재된 포지션을 갖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 연장부가 동작 포지션 및 탑재된 포지션 사이의 이동에서 수직 축에 대하여 이동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 내부의 탑재된 포지션과 펼쳐진 포지션 사이에 가동식 아웃리거 레그(outrigger leg)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는 상기 프레임의 측부로부터,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의 휠을 공통으로 지지하는 면과 접촉하도록 외측으로 연장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펼쳐진 포지션으로 된 상기 아웃리거 레그는 상기 프레임과 관련하여 연장된 단부의 상방 이동으로부터 홀딩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에 상기 아웃리거 레그와 연결되고 펼쳐진 자세와 접힌 자세사이의 레그 이동을 위해 작동가능한 모터를 포함하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리거 레그가 펼쳐진 포지션이 아닌 경우 상기 윈치가 동작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아웃리거 레그와 연관된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1항, 제2항, 제6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리거 레그가 연장되고 상기 아웃리거 레그 센서와 연속하여 연결될 수 있는 상기 프레임의 동일한 측부에 대한 상기 궤도 연장부와 연관된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측부 쪽으로부터 접히면서 연장될 수 있는 제2 아웃리거 레그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및 그 베이스는 상기 프레임의 양 측부 사이 폭이 여객기의 승객용 좌석 사이 통로의 최소 폭보다 작은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이 상기 프레임의 측부와 평행인 방향으로 대면하며, 장치에서의 좌석의 높이는 여객기의 승객용 좌석의 통로 팔걸이 높이에 해당하는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과 연결된 경우 착석한 포지션의 사람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캐리어를 포함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비교적 단단한 좌석 및 등받이를 갖는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대략 평행이고 대략 수직인 한 쌍의 레그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 각각에 대하여 지지 휠이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조립체의 상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윈치기구가 빔을 따라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수평 빔을 포함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빔이, 빔 베이스 섹션과 동일선상이고 빔 베이스 섹션과 대략 수직인이동을 위해 상기 빔 베이스 섹션의 일 단부와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조립체 중 하나는 연장부가 상기 빔 베이스 섹션과 동일선상에 있을 때 상기 빔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윈치기구는 상기 베이스 섹션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연장부의 동일선상을 따라 이동가능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빔과 상기 가동식 레그 조립체 사이에서 해제가능하게 맞물리는 래치를 포함하는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식 레그 조립체가 상기 빔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식 레그 조립체는 상기 가동식 레그 조립체의 잔여부분이 분리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는, 빔의 상단 섹션을 포함하는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조립체 중 하나가 다른 레그 조립체와 관련된 빔을 따라 이동가능한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빔이 최대 길이 상태로부터 최소 길이 상태로 확실히 접힐 수 있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빔을 따르는 레그 조립체들 사이의 거리가 침대 공간과 침대 옆의 의자 공간에 걸치기에 적절하도록 최대 폭의 상태를 갖는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문간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히 좁은 최소 폭의 상태를 갖는 장치.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조립체가 상기 프레임의 각 측부를 정의하고, 상기 프레임의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며, 상기 레그 조립체 사이의 프레임 중앙 공간을 가로지르는 레그 조립체의 하부 사이에서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브레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베이스 유닛과 일직선상으로 인접하는 펼쳐진 포지션과, 연장부가 상기 베이스 유닛의 일 단부로부터 매달리는 보관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수평인 베이스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의 일 단부와 연결되는 연장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그 조립체 중 하나는 상기 베이스 유닛의 타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레그 조립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빔을 따르는 방향에서 상기 프레임의 최대 폭 상태와 최소 폭 상태 사이의 펼쳐진 연장부를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기구가 상기 빔 베이스 유닛과 상기 펼쳐진 연장 유닛을 따라 이동가능한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빔과 상기 윈치기구 사이에 결합된 가역 모터구동 윈치의 가로 구동부를 포함하는 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빔 베이스 유닛과 정반대인 상기 빔 연장 유닛의 단부에 있으며, 상기 펼쳐진 빔 연장 유닛의 지지를 위해 실질적으로 고정되어 협동하는 반쪽 커플링과 맞물릴 수 있는 반쪽 커플링을 포함하는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식 레그 조립체가 상기 빔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기구 및 상기 윈치 가로 구동부의 동작을 위한 전력이 상기 빔을 통해 공급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실질적으로 상기 빔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전기적으로 절연된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와 도체접촉하고 있는 윈치기구에 의해 지탱되는 도전성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가 랙을 포함하며, 상기 윈치 가로 구동부는 상기 랙과 맞물리고 상기 윈치기구에 의해 지탱되는 비도전성 기어를 포함하는 장치.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가, 상기 유연성 하중운반부재 각각이 걸쳐져 연장되고 상기 윈치로부터 통과되는 한 쌍의 이격된 공회전 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유연성 부재는 상기 윈치 내에서 폐쇄단부(dead end)를 가지며, 상기 유연성 부재의 폐쇄단부와 상기 각 공회전 풀리 사이의 유연성 부재의 길이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모터구동 수단이 상기 유연성 부재와 연관되어 작동하는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부재의 폐쇄단부가 상기 윈치 내에서 고정되는 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 수단이 볼 나사, 및 상기 유연성 부재의 길이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볼 나사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볼 너트를 포함하는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볼 너트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되고, 상기 유연성 부재의 폐쇄단부와 상기 공회전 풀리 사이에서 상기 유연성 부재와 맞물리는 이동식 풀리를 포함하는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서로 평행인 한 쌍의 볼 나사 및 각 볼 나사와 맞물리는 볼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볼 너트에 의해 지탱되는 축 상의 볼 나사들 사이에 상기 이동식 풀리가 위치되는 장치.
  4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상기 프레임 내에서 지탱되는 좌석을 포함하는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이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측부에서 접힐 수 있는 장치.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윈치기구가 지지되는 가로 빔의 각 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되는 한 쌍의 측부 레그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좌석은 상기 레그 조립체 사이에서 상기 레그 조립체에 의해 지지되는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이 상기 레그 조립체 중 하나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레그 조립체에서 접힐 수 있는 장치.
  4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슬링(sling)인 장치.
  4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바닥 및 상기 바닥과 힌지결합된 등받이를 갖는 좌석인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등받이가 사람의 상체 및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크기이며, 상기 좌석 바닥과 상기 좌석 등받이 사이의 결합이 이들을 서로 대체로 동일평면상의 관계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상기 등받이와 상기 바닥 사이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등받이와 상기 바닥의 위치 양쪽에 인상점(lift point), 및 상기 커플링과 상기 좌석 쪽 인상점 각각의 사이에 맞물릴 수 있는 한 쌍의 인상장구(lifting harness)를 갖는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각 인상장구는 상기 인상장구가 커플링과 맞물리는 위치로부터 상기 인상장구가 상기 좌석 인상점과 맞물리는 각 위치까지의 실질적인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조절가능한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장구가 커플링과 연결될 수 있는 허브 조립체, 및 상기 허브 조립체로부터 상기 인상장구가 상기 좌석 인상점과 맞물리는 위치 각각을 정의하는 단부까지 연장되는 3개의 스트랩을 포함하는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조립체가 상기 3개의 스트랩 중 적어도 2개의 허브 조립체로부터의 실질적인 길이를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53. 사람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자신에 연결된 지지 휠 상의 가동식 프레임―여기서 프레임은 자신의 상부에 수평 빔을 포함함―,
    상기 빔에 의해 지지되는 가역 모터구동 윈치기구―여기서 윈치기구는 윈치의 이격된 위치에서 한 쌍의 유연성 하중운반부재를 동기식으로 풀기 및 감기를 하도록 동작됨―,
    사람을 지지하는 캐리어와 관련하여 하중을 지지하도록 자신을 지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중운반부재를 해제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커플링, 및
    상기 캐리어 및 사람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원하는 관계로 홀딩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과 캐리어 사이에서 협동하여 사람을 지지하는 포지셔닝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수단이 상기 윈치기구 아래의 프레임에 좌석을 포함하고, 상기 좌석에 캐리어에 지지된 사람이 상기 윈치기구에 의해 위치될 수 있는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지 휠이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측부 레그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 조립체 사이에 상기 좌석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이 등받이를 포함하며, 상기 윈치기구 아래의 상기 레그 조립체 사이에 빈 공간을 제공하도록 접힌 상태로 될 수 있고 레그 조립체 위에 탑재될 수 있는 장치.
  57.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대체로 동일평면상이면서 의자의 형태로 운동하도록 대략 서로 90°의 각도를 가지고 힌지결합되는 좌석 유닛 및 상체와 머리 유닛을 갖는 관절 조립체를 포함하는 장치.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동일평면상에서 좌석 유닛 및 상체와 머리 유닛이 별도로 지지되고 수평으로 놓이는 경우 상기 관절 조립체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커플링을 통해 상기 윈치기구에 의해 상기 조립체의 인상에 응답하여 상기 유닛이 의자가 되게 이동시키도록 배열되는 장치.
  59.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수단이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탱되는 좌석을 포함하며, 상기 빔은 상기 프레임의 측부로부터 연장가능하고, 상기 윈치기구는 상기 빔의 연장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측부로부터 상기 프레임에 확실히 고정되는 각도로 연장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의 말단부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지면과 맞닿는 장치.
  61. 사람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가변길이 빔,
    선택된 높이에서 상기 빔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레그 조립체, 및
    상기 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레그 조립체 사이의 빔의 따라 이동가능한 모터구동 윈치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 조립체 중 하나는 다른 하나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며 상기 빔과 맞물려 함께 하중을 지지하는 장치.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상기 레그 조립체 사이의 빔이 상기 윈치에 의해 지지되는 사람의 체중에 의해 부하를 받을 때 자신의 길이가 변화되도록 배열되는 장치.
  63. 호이스트에서 사람을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에 있어서,
    사람의 등 뒤 및 엉덩이와 허벅지의 아래에 놓일 수 있는 등받이부 및 좌석부를 갖는 구조체,
    상기 좌석부 아래 및 상기 좌석부의 양쪽으로부터 상기 좌석부에 의해 지지된 사람의 허리 근처 높이 위까지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구조체의 보강 구역―여기서 구조체는 상기 측부 근방의 등받이부의 각 측부 에지로부터 상기 좌석부에 의해 지지된 사람의 전방을 가로질러 사람의 상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함께 연결될 수 있는 가장자리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는 한 쌍의 측부 플랩을 포함함―, 및
    각 측부 플랩과 연관되는 지지 스트랩―여기서 각 지지 스트랩은 상기 보강 구역의 대응되는 단부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스트랩을 상기 호이스트에 연결시킬 수 있고 상기 호이스트의 동작에 의해 상기 캐리어에 있는 사람을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는 장치를 지탱하는 상단부를 향해 상기 대응되는 플랩의 측부 상의 가이드를 통과함―
    를 포함하는 캐리어.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은, 상기 좌석부의 전방 에지에 연결되고 상기 좌석부 상에 지지된 사람의 다리 아랫부분 뒤에 놓일 수 있는 하측 레그부, 및 상기 좌석부의 전방 에지로부터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하측 레그부를 앞쪽으로 홀딩하기 위해 상기 하측 레그부에 연결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캐리어.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하측 레그부의 각 측부 에지로부터 상기 좌석부에 의해 지지된 사람의 무릎 상단 근처의 위치까지 연장하는 구조체 패널을 포함하는 캐리어.
  66.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역의 각 단부를 따라 수평으로 이격된 위치가 복수 개이며, 여기에서 지지 스트랩의 하단부가 상기 보강 구역에 연결될 수 있는 캐리어.
  67.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의 좌석부 및 등받이부에 소정의 강성을 갖는 보강재가 포함되는캐리어.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가 상기 구조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캐리어.
  69. 슬링이나 좌석과 같은 캐리어에 자리잡은 사람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윈치에 있어서,
    한 쌍의 기다란 유연성 하중운반부재―여기서 유연성 하중운반부재는 하우징 내에 폐쇄단부를 가짐― 각각이 하우징의 수평으로 이격된 위치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윈치의 동작에 응답하여 하우징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도록 라인 단부를 수납하는 하우징,
    상기 유연성 하중운반부재 중 대응되는 것이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각각에 장착되는 한 쌍의 이격된 공회전 풀리, 및
    상기 유연성 부재의 폐쇄단부와 각 공회전 풀리 사이에서 상기 유연성 부재의 길이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유연성 부재와 연관되어 동작하는 모터구동 수단
    을 포함하는 윈치.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 수단이 볼 나사, 및 상기 유연성 부재의 길이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볼 나사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볼 너트를 포함하는 윈치.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부재의 폐쇄단부가 상기 윈치 내에 고정되는 윈치.
  72. 제71항에 있어서,
    이동을 위해 상기 볼 너트에 결합되고 이로 인해 상기 유연성 부재의 폐쇄단부와 상기 공회전 풀리 사이에서 상기 유연성 부재와 맞물리는 이동식 풀리를 포함하는 윈치.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부재는 자신들의 폐쇄단부 사이에서 서로 접혀서 놓이고 상기 이동식 풀리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스트랩인 윈치.
  74. 문간을 통해 침대로부터 사람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람을 위한 인상용 캐리어를 침대 위에 지지되도록 사람 아래에 위치시키는 단계,
    침대의 양쪽에 놓인 한 쌍의 휠 지지 레그에 의해 지탱되는 궤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윈치기구를 사람의 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캐리어 및 사람을 침대 위의 위치로 상승시키도록 윈치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레그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침대가 빠져나오는 위치로 상기 침대에 대하여 상기 레그를 이동시키는 단계,
    사람이 상기 레그 사이에서 지지되고 상기 레그는 문간을 통해 단일체로서 서로 통과하도록 충분히 인접한 소정의 레그 관계가 되도록, 상기 레그를 상기 궤도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소정의 레그 사이의 관계와 대응되는 길이로 상기 궤도의 길이를 확실히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문간을 통해 상기 레그, 궤도 및 사람의 집합체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상기 침대의 구성요소인 방법.
  76.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체를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레그 사이의 사람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계가 상기 윈치 및 상기 캐리어를 통해 상기 레그 사이에서 상기 레그에 의해 지지되는 좌석 위로 사람을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8.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를 상기 레그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침대를 빼어내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침대의 측부로부터 상기 다리 중 하나를 가이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9. 여객기에서 사람을 좌석에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여객기의 외부 위치에서, 사람과 차량용 좌석 사이에 놓인 사람을 위한 캐리어를 구비한 바퀴 달린 차량의 좌석에 사람을 착석시키는 단계,
    사람이 착석된 상기 차량을 사람이 위치될 여객기의 좌석 근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캐리어를 상기 차량의 윈치에 결합시키는 단계,
    사람이 착석된 캐리어를 상기 차량의 좌석으로부터 상승시키도록 상기 윈치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차량에 의해 운반되는 궤도를 여객기의 좌석 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윈치에 의해 상승된 캐리어에 지지된 사람과 함께 상기 궤도를 따라 윈치를 상기 여객기 좌석 위의 캐리어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캐리어 및 사람을 상기 여객기의 좌석으로 하강시키도록 상기 윈치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윈치로부터 캐리어를 결합해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여객기의 객실 내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폭을 가지며, 상기 궤도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여객기 좌석 위의 위치로 상기 궤도를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1.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여객기의 좌석 근처에 위치시킨 후 상기 궤도를 따라 윈치를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차량의 휠 베이스를 상기 여객기의 좌석 방향으로 확실히 펼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단계.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휠 베이스를 확실히 펼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 부재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여객기 좌석 쪽 측방향으로 연장하여 객실의 바닥과 접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를 여객기용 좌석의 중앙과 같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되도록 멀리 떨어진 바닥의 위치에서 객실의 바닥과 접촉하도록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4.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휠 베이스가 확실히 펼쳐질 때까지 상기 궤도를 따르는 윈치의 이동을 막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5.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여객기의 좌석이 통로 쪽 좌석인 방법.
  86.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를 따라 윈치를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여객기 좌석으로의 방향으로, 상기 차량과 여객기 내의 위치 사이의 차량 고정 접촉을 상기 차량으로부터 변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7. 제79항에 있어서,
    제79항에 기재된 단계의 역순에 의해 여객기의 좌석으로부터 상기 여객기의 외부 위치로 사람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8. 제79항에 있어서,
    사람을 상기 차량의 좌석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여객기의 외부 위치에 있는 캐리어 및 윈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9. 제88항에 있어서,
    자동차와 같은 상이한 차량으로부터 상기 윈치 및 캐리어를 통해 본질적으로 직접 사람을 상기 바퀴 달린 차량의 좌석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17005768A 1998-11-06 1999-11-06 사람 이동기구 KR200101009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45198P 1998-11-06 1998-11-06
US60/107,451 1998-11-06
PCT/US1999/026180 WO2000027333A1 (en) 1998-11-06 1999-11-06 Personal transpor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990A true KR20010100990A (ko) 2001-11-14

Family

ID=2231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768A KR20010100990A (ko) 1998-11-06 1999-11-06 사람 이동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37610B1 (ko)
EP (1) EP1126810A1 (ko)
KR (1) KR20010100990A (ko)
AU (1) AU774906B2 (ko)
CA (1) CA2390260A1 (ko)
MX (1) MXPA01004524A (ko)
WO (1) WO2000027333A1 (ko)
ZA (1) ZA20010454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544A (ko) * 2021-06-25 2023-01-03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0276354A1 (en) 1997-11-05 2002-04-15 Sunnybrook And Women's College Health Sciences Centre Patient transfer device
WO2005041839A1 (en) * 2003-10-30 2005-05-12 U-B-Let A/S Hois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for disabled persons
US7328467B2 (en) * 2004-04-06 2008-02-12 Aarestad Jerome K Patient lift and transfer device and method
US20070294823A1 (en) * 2004-09-24 2007-12-27 Haycomp Pty Lt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Person From A Wheelchair To A Fixed Seat
US20080301873A1 (en) * 2005-06-29 2008-12-11 White Elizabeth A Patient Positioning apparatus
US8407831B2 (en) 2006-04-12 2013-04-02 Ergonurse, Inc. Patient positioning apparatus
US20080216232A1 (en) * 2006-04-12 2008-09-11 White Elizabeth A Patient Repositioning System
US20070246974A1 (en) * 2006-04-24 2007-10-25 Ralph Bjork Transfer unit for individuals with partial or total disability
FR2909548B1 (fr) * 2006-12-11 2015-03-06 Orthopedie D Ile De France Jarrige Dispositif pour transferer et installer une personne, en toute securite, depuis une position allongee vers une position assise, et inversement
US7921484B2 (en) * 2007-02-08 2011-04-12 Kci Licensing, Inc. Patient repositioning and limb management system
GB0719406D0 (en) * 2007-10-04 2007-11-14 Helping Hand Company Ledbury T A patient manoeuving system
US7827630B2 (en) * 2008-01-25 2010-11-09 Roger Bostelman Home lift position and rehabilitation (HLPR) apparatus
AU2009215363B2 (en) * 2008-02-18 2014-03-06 Arjohuntleigh Magog Inc. Conductive connection for track-riding patient hoists
GB2457875B (en) * 2008-02-20 2012-08-08 Reid Lifting Ltd Upright support for gantry
US7618223B1 (en) * 2008-04-30 2009-11-17 Handicaptain Brands, LLC Dock to boat transfer aid for handicapped boaters
US8844961B2 (en) 2010-04-27 2014-09-30 Levo Ag Wohlen Stand-up unit for stand-up wheelchairs and chairs, particularly therapy chairs
US10010468B2 (en) 2008-09-11 2018-07-03 1073849 Ontario Limited Infection control strap and patient lifting system
US20100064432A1 (en) * 2008-09-11 2010-03-18 Duquette Noel Infection control lifting strap
TWI394550B (zh) * 2009-06-30 2013-05-01 Globe Union Ind Corp A bathing device for use as a means of bathing and its use
US8914920B2 (en) * 2009-09-24 2014-12-23 Arjo Hospital Equipment Ab Patient lift and coupling therefor
US8607378B2 (en) 2010-03-09 2013-12-17 Hill-Rom Services, Inc. Caregiver assist device
US20110225728A1 (en) * 2010-03-19 2011-09-22 Lyn Thornhill Tym-lyn portable lift system
US8286281B1 (en) * 2010-06-08 2012-10-16 Allen Toothman Personal lifting and suspension system
US8978905B2 (en) * 2010-07-02 2015-03-17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Lift systems with continuous in-rail charging
US8671475B2 (en) * 2010-09-14 2014-03-18 Yevgeniy Radzinsky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a patient
US8397320B2 (en) * 2010-12-23 2013-03-19 Guido Capaldi Patient lifting device
US9161873B2 (en) * 2012-06-20 2015-10-20 Jary Edward Tindall System and method for extricating a victim
US20130343849A1 (en) * 2012-06-25 2013-12-26 Kim Jason Joseph Gobert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Exercise Equipment
US9629769B2 (en) * 2012-11-12 2017-04-25 Hill-Rom Services, Inc. Support system for a lift motor unit
US9463965B2 (en) 2013-03-13 2016-10-11 Warn Industries, Inc. Pulling tool
US9156665B2 (en) 2013-03-13 2015-10-13 Warn Industries, Inc. Pulling tool
US20140259391A1 (en) 2013-03-14 2014-09-18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Split drum for lift strap in ceiling lift
CA2912396A1 (en) * 2013-05-17 2014-11-20 Dane Technologies, Inc. Devices relating to multifunctional aircraft aisle wheelchair
US20150096119A1 (en) * 2013-10-07 2015-04-09 Superior Technology Solutions Patient lift swivel
US9814644B2 (en) * 2014-05-22 2017-11-14 Redline Innovations, Inc. Lift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US9918437B2 (en) * 2014-08-04 2018-03-20 Brian D. Spencer Extraction Device
BR112017024406A2 (pt) * 2015-05-11 2018-07-24 Thomas Pump & Machinery Inc biciclea a cabo
US9737449B1 (en) 2015-06-26 2017-08-22 Annette Howell Apparatus and method for covering a Hoyer Lift sling
CA2991006C (en) * 2015-06-30 2023-09-05 Arjohuntleigh Ab Configurable patient sling
EP3111907B1 (en) 2015-07-01 2021-03-10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Person lifting devices with accessory detection feature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DE102015117767B4 (de) * 2015-10-19 2023-11-16 Airbus Operations Gmbh Flugzeugeigenes Mobilitätssystem für Passagiere
EP3205321A1 (en) 2016-02-10 2017-08-16 Peter Bosgraaf A personal transporter for transferring a person with restricted mobility to and from a seat in an aircraft and an assembly of a personal transporter and a wheelchair
JP7117589B2 (ja) 2016-10-31 2022-08-15 バルーガ ホールディングズ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昇降装置および片持ち支持された支持台を備える昇降システム
US10610432B1 (en) 2018-02-16 2020-04-07 Bryan M. Justice Collapsible lifting device and method
EP3754835B1 (en) 2019-06-03 2023-07-26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Switch assemblies, rail-mounted lift systems, and rail-mounted lift units having emergency stop devices
CN110127528B (zh) * 2019-06-12 2024-01-26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蒙城县供电公司 一种折叠式深沟电缆升降装置
JP6968309B1 (ja) * 2019-12-25 2021-11-17 株式会社がまかつ 介助用装置
CN112744696B (zh) * 2020-12-30 2023-06-30 广东建源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水利水电埋管用固定装置
US20230044322A1 (en) * 2021-08-09 2023-02-09 Nutech Ventures Cable-Based Body-Weight Support
US11932521B1 (en) * 2023-08-30 2024-03-19 The Kistner Family Trust Toilet hoist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760A (en) * 1904-04-21 1905-04-18 Elmer E Higgins Portable invalid's chair.
US1971294A (en) * 1932-09-12 1934-08-21 Wilfred E Bunker Invalid handling device
US2990899A (en) * 1958-11-24 1961-07-04 Bella Isabelle D De Bed patient weighing means
US3490385A (en) * 1968-04-25 1970-01-20 Wallace Prod Corp B E Gantry with adjustable span
US3877089A (en) * 1973-05-07 1975-04-15 Mercy Lift Inc Invalid lift apparatus
US3988790A (en) * 1973-11-29 1976-11-02 Mracek Milo F Portable support for a bed patient
US4041875A (en) * 1975-08-14 1977-08-16 B. E. Wallace Products Corporation Adjustable single-beam gantry
US4117561A (en) * 1976-04-16 1978-10-03 Zamotin Rodvinon I Patient lift device
CA1046202A (en) * 1977-01-04 1979-01-16 Tebor Mitro Lifting vest
SE7908643L (sv) * 1979-10-18 1981-04-19 Larsson Ralf Ide Prod Lyftanordning for rullstolsbundna i och ur personbilar
US4296509A (en) * 1979-10-23 1981-10-27 Simmons Dwane P Portable invalid lift
US4446587A (en) * 1981-07-28 1984-05-08 Jump Clarence E Patient positioning device
US4627119A (en) * 1985-01-22 1986-12-09 Parasystems, Inc. Apparatus to assist the disabled
US4805248A (en) * 1987-09-23 1989-02-21 Lunau Kevin R Invalid transfer lift
US4927034A (en) * 1988-07-18 1990-05-22 Holden John A Steerable power drive for gantry crane
JPH03202059A (ja) * 1989-12-28 1991-09-03 Yoshio Asakawa 医療用ベッド装置
US5084921A (en) * 1991-01-18 1992-02-04 Hicks Jr George W Supine patient lift and transfer apparatus
FI94834C (fi) * 1992-05-05 1995-11-10 Ahlstroem Consumer Prod Sairaalasänky
FI925982A (fi) * 1992-12-31 1994-07-01 Ahlstroem Consumer Prod Potilaan nostoväline
JP2527131B2 (ja) * 1993-02-04 1996-08-21 芳夫 浅川 身体の支持具および身体の支持具を使用したベッド装置
US5337908A (en) * 1993-07-15 1994-08-16 Beck Jr John R Patient hoist
US5388289A (en) * 1993-09-16 1995-02-14 Casperson; Donald L. Combination wheelchair and lift
US5511256A (en) * 1994-07-05 1996-04-30 Capaldi; Guido Patient lift mechanism
US5560054A (en) * 1994-08-16 1996-10-01 William H. Simon Storable patient lift and transfer apparatus
US5499408A (en) * 1994-09-09 1996-03-19 Nix; John W. Apparatus for lifting invalids
US5758371A (en) * 1995-05-18 1998-06-02 Vandyke; John Paul Self-propelled independent mechanical handling device
US5615426A (en) * 1995-06-13 1997-04-01 Hokett; Margaret D. Patient lift sheet
US5708993A (en) * 1995-12-01 1998-01-20 Patient Easy Care Products, Inc. Patient transporter and method of using it
US5694654A (en) * 1996-05-01 1997-12-09 Roy; Duane L. Patient lifting and transfer system
US6006376A (en) * 1998-04-03 1999-12-28 Williamson; Ted Patient lifting and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544A (ko) * 2021-06-25 2023-01-03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27333A1 (en) 2000-05-18
CA2390260A1 (en) 2000-05-18
AU774906B2 (en) 2004-07-15
ZA200104548B (en) 2004-03-29
MXPA01004524A (es) 2003-06-09
US6637610B1 (en) 2003-10-28
EP1126810A1 (en) 2001-08-29
AU1469500A (en) 200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0990A (ko) 사람 이동기구
US5682630A (en) Storable patient lift and transfer apparatus
US5201377A (en) Wheelchair with sidewardly swingable seat
US6430761B1 (en) Compact portable patient lift
US4999862A (en) Wheelchair mounted invalid lift
US5651149A (en) Apparatus for moving disabled persons
US11337875B2 (en) Wheelchair lift-transfer device
US5319813A (en) Invalid transfer arrangement
US3234568A (en) Lifting and transporting sling for persons
US4409695A (en) Adjustable bed for morbidly obese patients
US8646124B2 (en) Transport apparatus
US4376317A (en) Foldable step arrangement for beds
US5239713A (en) Hospital bed
WO2004064698B1 (en) Ambulance cot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US10806654B2 (en) Motorized chair
CN112674972A (zh) 抱臀装置及包含该抱臀装置的移位机
JP2926319B2 (ja) 移動支援機器
GB2296901A (en) Patient handling hoist and chair comprising a parallelogram linkage on a wheeled frame.
JPH09168566A (ja) 車椅子
AU2006235966B2 (en) Personnel hoist
JP2002136549A (ja) 介護用キャリア
CN213190754U (zh) 一种护理移位车
JP2001112823A (ja) 介護用走行リフト及び外部レール
JP2009039187A (ja) 座席搬送装置
JPH02280753A (ja) 障害者用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