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544A -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 - Google Patents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544A
KR20230000544A KR1020210082769A KR20210082769A KR20230000544A KR 20230000544 A KR20230000544 A KR 20230000544A KR 1020210082769 A KR1020210082769 A KR 1020210082769A KR 20210082769 A KR20210082769 A KR 20210082769A KR 20230000544 A KR20230000544 A KR 20230000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le
hole pair
base sheet
bed cover
s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3689B1 (ko
Inventor
이범석
송원경
배영현
김영경
김선홍
조계엽
조영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to KR1020210082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689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1Flexible harnesses or s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05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63Safety means
    • A61G7/1065Safety means with electronic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안착 영역이 정의된 베이스 시트와, 베이스 시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스트랩 수용부와, 베이스 시트의 저면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엣지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스트랩 수용부는 환자 안착 영역의 외측부에 배치되며, 베이스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은 스트랩 수용부를 기준으로 저면 방향으로 접히고 저면 방향으로 접힌 베이스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은 엣지고정수단에 의해 환자 안착 영역과 오버랩되는 베이스 시트의 저면 영역에 고정됨으로써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되는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BED COVER WHICH CAN BE TRANSFORMED WITH A LIFT SLING}
본 발명은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에 배치되는 동시에 리프트에 사용되는 슬링으로 변형하여 환자를 운반 가능한 침대커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환자 등을 위한 리프트용 슬링의 경우 신체조건별, 환부별 다양한 구조적 변경이 필요하였고 평상시 환자의 침상에 깔아 둘 수 없는 구조로서 환자를 리프트에 탑승시켜 이동할 때마다 슬링을 환자 몸통 아래로 삽입해야 하여 간병인에게는 번거롭고 환자에게는 피부쓸림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공보 제10-1501621호에는 팽창 가능한 매트리스 슬링은 팽창 가능한 몸통 지지용 패드, 팽창 가능한 몸통 지지용 패드의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레그 및 제1 레그로부터 이격되고 팽창 가능한 몸통 지지용 패드의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레그를 갖는다. 레그는 환자의 리프팅을 용이하게 하도록 그들의 내부 및 외부 시임에 부착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슬링이 제안되고 있으나, 신체거동이 불편한 체격이 건장한 성인 남성 등의 가혹한 사용조건에서 본체부와 결속된 스트랩 앵커(17)의 내구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며, 리프트에 탑승시켜 이동할 시 경계 밴드(7) 등에 의해 환자 피부쓸림 등의 문제가 여전히 발생할 수 있으며, 직관적이지 못한 사용방식에 따라 간병인의 사용용이성 및 미사용시 보관용이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01621호(2015.03.0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시 침대커버로 활용이 가능하되 리프트에 사용되는 슬링으로서의 역할 또한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슬링 침대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환자 안착 영역이 정의된 베이스 시트; 상기 베이스 시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스트랩 수용부; 및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저면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엣지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 수용부는 상기 환자 안착 영역의 외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스트랩 수용부를 기준으로 저면 방향으로 접히고, 저면 방향으로 접힌 상기 베이스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엣지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환자 안착 영역과 오버랩되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저면 영역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되는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가 제공된다.
상기 스트랩 수용부는, 상호 인접하도록 형성된 2개의 체결공들이 한 쌍으로 구성된 복수의 체결공 쌍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체결공 쌍들은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서 횡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체결공 쌍들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종방향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체결공 쌍; 상기 제1 체결공 쌍과 횡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체결공 쌍; 상기 제1 체결공 쌍보다 종방향으로는 하측에, 횡방향으로는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체결공 쌍; 상기 제3 체결공 쌍과 횡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4 체결공 쌍; 상기 제3 체결공 쌍보다 종방향으로는 하측에, 횡방향으로는 외곽에 배치되는 제5 체결공 쌍; 및 상기 제5 체결공 쌍과 횡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6 체결공 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체결공 쌍을 이루는 2개의 체결공들의 중심점을 연장한 직선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종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제1 각도는 상기 제3 체결공 쌍을 이루는 2개의 체결공들의 중심점을 연장한 직선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종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제2 각도보다 크고,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5 체결공 쌍을 이루는 2개의 체결공들의 중심점을 연장한 직선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종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제3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각도는 27° 내지 37°, 상기 제2 각도는 15° 내지 25°, 상기 제3 각도는 -5°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체결공 쌍과 상기 제5 체결공 쌍의 상호 이격거리(L2)는 상기 제1 체결공 쌍과 상기 제3 체결공 쌍의 상호 이격거리(L1)의 3배 내지 5배이고,
상기 제1 체결공 쌍과 상기 제5 체결공 쌍의 상호 이격거리(L3)는 상기 제1 체결공 쌍과 상기 제3 체결공 쌍의 상호 이격거리(L1)의 4배 내지 6배이며,
상기 제3 체결공 쌍과 상기 제4 체결공 쌍의 상호 이격거리(S2)는 상기 제1 체결공 쌍과 상기 제2 체결공 쌍의 상호 이격거리(S1)의 1.1배 내지 1.8배이고, 상기 제5 체결공 쌍과 상기 제6 체결공 쌍의 상호 이격거리(S3)는 상기 제1 체결공 쌍과 상기 제2 체결공 쌍의 상호 이격거리(S1)의 1.5배 내지 2.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저면에 구비되어 복수의 압력센서들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센서안착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가 침대커버인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들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압력데이터는 욕창예방 자세제어를 위한 기초데이터로 사용되고, 상기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가 리프티용 슬링인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들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압력데이터는 사용자의 몸이 안정적이고 편안한 자세로 슬링 내에 지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초데이터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센서안착부들은 사용자 체중에 의한 부하가 크지만 움직임이 적어 상기 압력센서들의 손상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압력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사용자의 등 흉추부, 사용자의 골반 좌골면, 및 사용자의 대퇴 후면 각각에 위치하는 센서안착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에 의하면, 복수의 체결홈들이 적정위치 및 적정각도로 대략 직사각 형태의 베이스 시트 상에 배치되고 시트 저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벨크로 등의 엣지고정수단이 구비되어 평시 침대커버로 활용이 가능하되 리프트에 탑승시켜 이동 시 컴팩트한 슬링으로서의 역할 또한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침대보 형태 활용 시 침상 내 환자가 위치하는 공간에 환자의 몸이 배기거나 걸릴 수 있는 구조체 또는 결합부 등을 전혀 구비하지 않고도 간소화된 구조로서 리프트 슬링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으며, 슬링이 스트랩 및 다점식 슬링걸이와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됨으로써 환자의 신체조건 또는 신체상태 등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하고 안정적인 방식으로 환자 리프팅 및 이동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 시트 저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구비된 압력센서에 의해 환자의 체중쏠림현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의 상면 및 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가 슬링으로 변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의 상면 및 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가 슬링으로 변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100)는 베이스 시트(110)와, 베이스 시트(110)에 형성된 스트랩 수용부(120), 엣지고정수단(130) 및 센서안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시트(110)는 침대 등에서 환자의 신체를 온전히 지지하도록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시트(11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시트(110)는 후술할 것과 같은 슬링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적당한 신축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적어도 환자 신체부위에 맞닿는 상면이 통풍을 위해 메쉬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베이스 시트(110)에는 환자 안착 영역(111)이 정의될 수 있다. 환자 안착 영역(111)은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100)가 침대커버로서 기능을 수행 시 환자가 누워있는 위치를 가이드하며, 환자가 환자 안착 영역(111)에 누워 있을 경우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100)는 환자의 몸을 들추거나 기울이지 않은 채로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될 수 있게 된다. 환자 안착 영역(111)은 베이스 시트(110) 상에 선, 색 등으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구획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별도의 선이나 색 없이 스트랩 수용부(120)가 정의하는 가상의 구역으로서 구획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간병인 등은 스트랩 수용부(120)의 위치에 따라 정의된 환자 안착 영역(111) 내에 환자를 눕힐 수도 있다.
스트랩 수용부(120)는, 슬링으로서의 기능 구현 시 리프트용 스트랩(W)을 베이스 시트(110)와 견고히 결착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스트랩 수용부(120)는, 도시된 것과 같이 환자 안착 영역(111)을 둘러싸도록, 환자 안착 영역(111)의 외측부에 배치된 복수의 체결공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공들 각각은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시트(110)의 상면 및 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대략 원형의 관통공 및 관통공 외주연을 견고히 마무리하는 금속 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공들은 2개씩 쌍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트랩 수용부(120)는, 상호 인접하도록 형성된 2개의 체결공들이 한 쌍으로 구성된 복수의 체결공 쌍들(120_1~120_6)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스트랩 수용부(120)는 베이스 시트의 종방향 최상단(즉, 환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말단)에 위치하는 제1 체결공 쌍(120_1), 제1 체결공 쌍(120_1)과 횡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체결공 쌍(120_2), 제1 체결공 쌍(120_1)보다 종방향으로는 하측에 횡방향으로는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체결공 쌍(120_3), 제3 체결공 쌍(120_3)과 횡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4 체결공 쌍(120_4), 제3 체결공 쌍보다 종방향으로는 하측에 횡방향으로는 외곽에 배치되는 제5 체결공 쌍(120_5), 및 제5 체결공 쌍(120_5)과 횡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6 체결공 쌍(120_6)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체결공 쌍들은 베이스 시트(110) 상에서 횡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체결공 쌍(120_1)은 제2 체결공 쌍(120_2)과, 제3 체결공 쌍(120_3)은 제4 체결공 쌍(120_4)과, 제5 체결공 쌍(120_5)은 제6 체결공 쌍(120_6)과 횡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체결공 쌍(120_1)을 이루는 2개의 체결공들의 중심점을 연장한 직선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종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제1 각도(120_1A)는 제3 체결공 쌍(120_3)을 이루는 2개의 체결공들의 중심점을 연장한 직선이 베이스 시트의 종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제2 각도(120_2A)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각도(120_1A)는 대략 27° 내지 37°(바람직하게, 30° 내지 35°), 제2 각도(120_1A)는 대략 15° 내지 25°(바람직하게, 17° 내지 22°)일 수 있다.
여기서, 제5 체결공 쌍(120_5)을 이루는 2개의 체결공들의 중심점을 연장한 직선은, 도시된 것처럼 상기 베이스 시트의 종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제5 체결공 쌍(120_5)을 이루는 2개의 체결공들의 중심점을 연장한 직선은 베이스 시트의 종방향에 대하여 대략 -5° 내지 5°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환자의 하반신 무게 분배 효과를 고려하여 제5 체결공 쌍(120_5)은 제1 체결공 쌍(120_1) 및 제3 체결공 쌍(120_3)과 달리 2개의 체결공 중 하측에 위치하는 체결공이 베이스 시트의 중심부에 더 가깝도록 배치(즉, 2개의 체결공들의 중심점을 연장한 직선은 베이스 시트의 종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3 체결공 쌍(120_3)과 제5 체결공 쌍(120_5)의 상호 이격거리(L2)는 제1 체결공 쌍(120_1)과 제3 체결공 쌍(120_3)의 상호 이격거리(L1)의 3배 내지 5배이고, 제1 체결공 쌍(120_1)과 제5 체결공 쌍(120_5)의 상호 이격거리(L3)는 제1 체결공 쌍(120_1)과 제3 체결공 쌍(120_3)의 상호 이격거리(L1)의 4배 내지 6배일 수 있다. 이 때, 도시된 것처럼 제5 체결공 쌍(120_5)은 제3 체결공 쌍(120_3)보다, 제3 체결공 쌍(120_3)은 제1 체결공 쌍(120_1)보다 베이스 시트의 외측 변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체결공 쌍(120_3)과 제4 체결공 쌍(120_4)의 상호 이격거리(S2)는 제1 체결공 쌍(120_1)과 제2 체결공 쌍(120_2)의 상호 이격거리(S1)의 1.1배 내지 1.8배이고, 제5 체결공 쌍(120_5)과 제6 체결공 쌍(120_6)의 상호 이격거리(S3)는 제1 체결공 쌍(120_1)과 제2 체결공 쌍(120_2)의 상호 이격거리(S1)의 1.5배 내지 2.2배일 수 있다.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체결공 쌍(120_2)의 중심점 및 제2 체결공 쌍(120_2)에 인접한 베이스 시트(110)의 꼭짓점을 연결한 선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종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120_2B)는 제4 체결공 쌍(120_4)의 중심점 및 제4 체결공 쌍(120_4)에 인접한 베이스 시트(110)의 꼭짓점을 연결한 선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종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120_4B)의 약 1.5배 내지 3배일 수 있다.
상기한 수치조건들을 충족 시,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100)는 슬링으로서의 기능 수행 시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조건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머리와 목을 후방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되 어깨로 필요 이상의 횡방향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엉덩이와 허벅지에 가해지는 체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엣지고정수단(130)은 베이스 시트(110)의 저면 가장자리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엣지고정수단(130)은 베이스 시트(110)의 각 변과 각 모서리에 배치된 8개의 엣지고정수단들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 및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엣지고정수단(130)은 예를 들면, 벨크로 등의 방식으로 베이스 시트(110)를 폴딩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100)가 슬링으로 사용될 시 베이스 시트(110)의 외곽부는 가상의 접힘선들(VL)을 따라서 베이스 시트(110)의 저면방향으로 접힘되고, 이에 따라 엣지고정수단(130)은 환자 안착 영역(111) 내에 위치된 베이스 시트의 저면에 접혀진 베이스 시트(110)의 외곽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베이스 시트(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안착부(1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안착부(140)에는 환자의 신체부위별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침대커버로서의 기능 수행 시 환자의 몸배김 방지를 위해 센서안착부(140)는 예를 들면 주머니 등의 형태로 베이스 시트(110)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센서안착부(140)에 안착된 압력센서를 통해 침대커버 상태에서 사용자가 침대에 누워 있을 때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압력데이터는 욕창 예방 자세제어를 위한 기초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으며, 리프티용 슬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압력데이터는 사용자의 몸이 안정적이고 편안한 자세로 슬링 내에 지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초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압력센서가 안착되는 센서안착부(140)는, 사용자 체중에 의한 부하가 가장 큰 영역이지만 사용자의 움직임이 적어 센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안정적인 압력 데이터를 측정하는데 최적의 위치인 등 흉추부, 골반 좌골면, 및 대퇴 후면 중간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100)는 사용자의 어깨영역 하중 측정을 위한 제1 센서(140_1), 사용자의 등과 척추영역 하중 측정을 위한 제2 센서(140_2), 사용자의 골반영역 하중 측정을 위한 제3 센서(140_3), 사용자의 허벅지영역 하중 측정을 위한 제4 센서(140_4)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하중분석을 위해, 제1 체결공 쌍(120_1)과 제1 센서(140_1)의 종방향 상호 이격거리(K1)는 상기 상호 이격거리(L3)의 0.25배 내지 0.35배이고, 제3 체결공 쌍(120_3)과 제2 센서(140_2)의 종방향 상호 이격거리(K2) 및 제5 체결공 쌍(120_5)과 제3 센서(140_3)의 종방향 상호 이격거리(K3) 각각은 상기 상호 이격거리(L2)의 0.35배 내지 0.45배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상호 참조하여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100)의 사용상태를 다시 살펴보면, 환자의 휴식 등의 상태에서의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100)는 침대 위에 배치되어 환자 안착 영역(111) 어디에도 환자의 신체 배김을 유발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아 환자가 편안하게 누워있을 수 있게 하며, 환자의 이동 시에는 리프트 등의 이송보조장치(미도시)에 구비된 다점식 슬링걸이(T)에 간단한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환자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2점식 슬링걸이(T)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2점식 슬링걸이(T)에 결합시에는, 제1, 제3, 제5 체결공 쌍들(120_1, 120_3, 120_5) 각각에 연결된 스트랩(W)이 슬링걸이(T)의 제1 점에 함께 체결되고 제2, 제4, 제6 체결공 쌍들(120_2, 120_4, 120_6) 각각에 연결된 스트랩(W)은 슬링걸이(T)의 제2 점에 함께 체결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달리 3점식 슬링걸이에 결합시에는, 제1, 제3 체결공 쌍들(120_1, 120_3) 각각에 연결된 스트랩(W)이 슬링걸이(T)의 제1 점에 함께 체결되고 제2, 제4 체결공 쌍들(120_2, 120_4) 각각에 연결된 스트랩(W)은 슬링걸이(T)의 제2 점에 함께 체결되며, 제5, 제6 체결공 쌍들(120_25, 120_6) 각각에 연결된 스트랩(W)은 슬링걸이(T)의 제3 점에 함께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스트랩(W)은 도 5의 A1 영역에 도시된 것처럼 스트랩(W) 자체가 체결공 쌍에 결합될 수도 있고, 도 5의 A2 영역에 도시된 것처럼 스트랩(W)과 연결된 별도의 체결고리(LK)를 통해 체결공 쌍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로서,
    환자 안착 영역이 정의된 베이스 시트;
    상기 베이스 시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스트랩 수용부; 및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저면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엣지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 수용부는 상기 환자 안착 영역의 외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스트랩 수용부를 기준으로 저면 방향으로 접히고, 저면 방향으로 접힌 상기 베이스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엣지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환자 안착 영역과 오버랩되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저면 영역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수용부는,
    상호 인접하도록 형성된 2개의 체결공들이 한 쌍으로 구성된 복수의 체결공 쌍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체결공 쌍들은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서 횡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공 쌍들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종방향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체결공 쌍; 상기 제1 체결공 쌍과 횡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체결공 쌍; 상기 제1 체결공 쌍보다 종방향으로는 하측에, 횡방향으로는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체결공 쌍; 상기 제3 체결공 쌍과 횡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4 체결공 쌍; 상기 제3 체결공 쌍보다 종방향으로는 하측에, 횡방향으로는 외곽에 배치되는 제5 체결공 쌍; 및 상기 제5 체결공 쌍과 횡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6 체결공 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공 쌍을 이루는 2개의 체결공들의 중심점을 연장한 직선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종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제1 각도는 상기 제3 체결공 쌍을 이루는 2개의 체결공들의 중심점을 연장한 직선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종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제2 각도보다 크고,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5 체결공 쌍을 이루는 2개의 체결공들의 중심점을 연장한 직선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종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제3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27° 내지 37°, 상기 제2 각도는 15° 내지 25°, 상기 제3 각도는 -5°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체결공 쌍과 상기 제5 체결공 쌍의 상호 이격거리(L2)는 상기 제1 체결공 쌍과 상기 제3 체결공 쌍의 상호 이격거리(L1)의 3배 내지 5배이고,
    상기 제1 체결공 쌍과 상기 제5 체결공 쌍의 상호 이격거리(L3)는 상기 제1 체결공 쌍과 상기 제3 체결공 쌍의 상호 이격거리(L1)의 4배 내지 6배이며,
    상기 제3 체결공 쌍과 상기 제4 체결공 쌍의 상호 이격거리(S2)는 상기 제1 체결공 쌍과 상기 제2 체결공 쌍의 상호 이격거리(S1)의 1.1배 내지 1.8배이고,
    상기 제5 체결공 쌍과 상기 제6 체결공 쌍의 상호 이격거리(S3)는 상기 제1 체결공 쌍과 상기 제2 체결공 쌍의 상호 이격거리(S1)의 1.5배 내지 2.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저면에 구비되어 복수의 압력센서들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센서안착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가 침대커버인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들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압력데이터는 욕창예방 자세제어를 위한 기초데이터로 사용되고, 상기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가 리프티용 슬링인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들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압력데이터는 사용자의 몸이 안정적이고 편안한 자세로 슬링 내에 지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초데이터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안착부들은 사용자 체중에 의한 부하가 크지만 움직임이 적어 상기 압력센서들의 손상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압력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사용자의 등 흉추부, 사용자의 골반 좌골면, 및 사용자의 대퇴 후면 각각에 위치하는 센서안착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링 침대커버.
KR1020210082769A 2021-06-25 2021-06-25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 KR102553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769A KR102553689B1 (ko) 2021-06-25 2021-06-25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769A KR102553689B1 (ko) 2021-06-25 2021-06-25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44A true KR20230000544A (ko) 2023-01-03
KR102553689B1 KR102553689B1 (ko) 2023-07-12

Family

ID=8492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769A KR102553689B1 (ko) 2021-06-25 2021-06-25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68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6006B1 (en) * 1999-10-13 2001-08-21 Judy Hoit Sling for transporting a person into a chai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10100990A (ko) * 1998-11-06 2001-11-14 로버트 지. 치세보로 사람 이동기구
JP2009011779A (ja) * 2007-07-03 2009-01-22 Shizue Sano 搬送用具
KR20140139016A (ko) * 2012-03-22 2014-12-04 아르조 하스피탈 이큅먼트 에이비 환자 슬링
KR101501621B1 (ko) 2011-02-17 2015-03-12 우드락 서클 인코포레이티드 환자를 위치시키기 위한 팽창 가능한 슬링 및 방법
US9737449B1 (en) * 2015-06-26 2017-08-22 Annette Howell Apparatus and method for covering a Hoyer Lift sling
JP2018529390A (ja) * 2016-06-30 2018-10-11 黄 祖基WONG, Cho Kee 手動リフティングスリング装置
KR20200001710U (ko) * 2019-01-23 2020-07-31 한영관 환자용 간이 욕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990A (ko) * 1998-11-06 2001-11-14 로버트 지. 치세보로 사람 이동기구
US6276006B1 (en) * 1999-10-13 2001-08-21 Judy Hoit Sling for transporting a person into a chai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09011779A (ja) * 2007-07-03 2009-01-22 Shizue Sano 搬送用具
KR101501621B1 (ko) 2011-02-17 2015-03-12 우드락 서클 인코포레이티드 환자를 위치시키기 위한 팽창 가능한 슬링 및 방법
KR20140139016A (ko) * 2012-03-22 2014-12-04 아르조 하스피탈 이큅먼트 에이비 환자 슬링
US9737449B1 (en) * 2015-06-26 2017-08-22 Annette Howell Apparatus and method for covering a Hoyer Lift sling
JP2018529390A (ja) * 2016-06-30 2018-10-11 黄 祖基WONG, Cho Kee 手動リフティングスリング装置
KR20200001710U (ko) * 2019-01-23 2020-07-31 한영관 환자용 간이 욕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689B1 (ko)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2127B1 (en) Head cradle with body support
US5448790A (en) Selectively arrangeable cushion assembly
EP1137354B1 (en) Side bolster system for a mattress
US20090007336A1 (en) Baby Position Holding Structure and Baby Pillow
US10039680B2 (en) Body sling and patient handling sheets
US20070199149A1 (en) Harness for securing an infant to reflux wedge
US12036169B2 (en) Patient lift sling
US4764985A (en) Garment for a wheelchair occupant
WO2004050002A1 (en) Support structure
US20160135608A1 (en) Cushion for co-sleeping
TWI722100B (zh)
KR102553689B1 (ko) 리프트 슬링으로 변형 가능한 침대커버
WO2011149147A1 (ko) 욕창 방지장치
WO2017185805A1 (zh) 趴式支撑椅以及包含该支撑椅的办公套件
US20100095459A1 (en) Pillow for use with wheelchair
US20060208018A1 (en) Adjustable infant carrier
US4882798A (en) Sling for lifting a disabled person
JP6544752B1 (ja) エアセル及びエアマットレス
GB2320486A (en) Invalid lifting sling
US5463781A (en) Anti-slide seat for bed-patients
US20210015266A1 (en) Adjustable Relaxation Device
WO2017128948A1 (zh) 一种适用运送不同卧姿患者的担架车
EP2158891A1 (en) Mattress Arrangement
CN209789332U (zh) 一种防止下滑的床单
JP3164639U (ja) 姿勢保持クッ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