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5910A - 댄스 연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댄스 연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5910A
KR20010095910A KR1020000019382A KR20000019382A KR20010095910A KR 20010095910 A KR20010095910 A KR 20010095910A KR 1020000019382 A KR1020000019382 A KR 1020000019382A KR 20000019382 A KR20000019382 A KR 20000019382A KR 20010095910 A KR20010095910 A KR 20010095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alue
dancing
rhythm
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이
Original Assignee
정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이 filed Critical 정윤이
Priority to KR1020000019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5910A/ko
Publication of KR20010095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91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096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using a touch scree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41Floor sensors, e.g. platform or groundsheet with sensors to detect foot position, balance or pressure, steps, stepping rhythm, dancing movements or jump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61Memory and use thereof, i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memory map

Abstract

댄스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댄스 동작 연습을 통하여 다양한 악기의 합주 및 운동 그리고 춤동작에 의한 게임을 할 수 있는 장치는, 연주자의 레벨, 악기종류, 리듬 및 멜로디를 선택할 수 있으며, 연주자의 춤동작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댄싱 박스 그리고 연주곡, 리듬 및 멜로디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댄싱 박스에서 센싱된 값을 입력받아 상기 기억부의 데이터값과 믹싱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합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악기를 능숙하게 다루지 못하는 초보자도 손쉽게 합주에 참여 할 수 있으며, 합주를 하면서 운동을 즐길 수 있고, 또한 여러 사람이 연주하는 경우 협동심을 기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악기의 선택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난이도 별로 여러 등급으로 나누어져 음악적 소질에 따라 등급을 선택할 수 있어 지루하지 않으며, 흥미를 가질 수 있어 댄스연습 또는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춤동작에 따라 센서에 의하여 이를 감지하고 점수화시킴으로서 게임기로의 역할을 할 수 있어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댄스 연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ancing and play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음악 게임기 또는 전자 악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 또는 여러 사람이 동시에 몸의 율동으로 여러 개의 전자 악기가 동시에 합주되도록 하고, 그 연주 음악을 율동과 함께 즐기며, 또한 점수화하여 게임으로도 즐길 수 있는 댄스 연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댄스 게임 장치는, 출력 장치인 모니터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나오는 신호 및 리듬을 듣고 이에 따라 춤을 추면 댄서의 스텝에 따라 정해진 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어 입력 값이 기존의 리듬 및 박자와 비교하고, 이 비교값을 적산하여 점수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댄스 게임 장치는, 그 구성 및 작용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9-7862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음악을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발판부와, 상기 음악에 따라 발판부에 대한 밟기 동작 지시를 행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댄서는 출력수단 등에 나타나는 지시에 의하여 춤추는 동작을 하면 발판에 제공되는 센서가 발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리듬 박자의 차이를 비교하여 이에 따른 점수를 출력하여 게임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댄스 게임 장치는, 음악에 맞춰서 몸 전체를 이용하여 리듬감각을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사용상에는 특별한 문제가 없으나, 사용자는 더욱 다양하고 흥미를 유발하며,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시스템들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한 선행 기술은 주어진 음악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따라단지 춤을 추는 등 단조로운 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선행 기술의 댄스 게임 장치는 한번에 한사람씩 춤동작을 하며 게임이 이루어져 여러 명이 어울려 게임에 참여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춤동작에 의하여 음악이 연주되고, 또 여러 사람이 각각의 춤동작을 하는 경우에 전자 악기에 의한 합주가 이루어져 흥미를 증대시키고, 또한 음악에 대한 특별한 지식이 없이도 다양한 악기와 곡을 연주할 수 있으며, 또한 춤동작에 의하여 흥미롭게 합주를 함으로서 운동 효과를 배가시키는 댄스 연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댄스 연주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는 구성도,
도 3은 댄스 연주 장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댄스 박스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댄스 박스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댄스 박스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댄스 박스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댄스 박스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주자의 레벨, 악기종류, 리듬 및 멜로디를 선택할 수 있으며, 연주자의 춤동작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댄싱 박스와, 연주곡, 리듬 및 멜로디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댄싱 박스에서 센싱된 값을 입력받아 상기 기억부의 데이터값과 믹싱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합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있는 댄스 연주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댄스 연주장치에 의하여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댄서가 레벨, 악기종류, 리듬 그리고 멜로디를 선택한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댄서의 춤동작을 센싱하여 그 센싱값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입력된 신호값과 기억부의 입력값을 믹싱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믹싱된 신호값을 출력부에 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댄스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식화한 블록도로서, 복수의 댄싱 박스(1, 3, 5,...)와, 상기 댄싱 박스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7) 그리고 상기 제어부(7)와 연결되는 출력수단(9)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댄싱 박스(1, 3, 5,...)는 댄서의 춤동작을 센싱하는 센서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댄서가 춤을 추기 전에 자신에 맞는 연주곡, 리듬, 멜로디, 악기종류 그리고 레벨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댄싱 박스(1, 3, 5,...)는 복수개가 제어부(7)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여러 사람이 각각의 댄싱 박스(1, 3, 5,...)에서 춤동작을 할 때 이를 센싱하여 센싱된 값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댄싱 박스(1, 3, 5,...)의 일 예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댄싱 박스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기본적인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3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31)은 저면에 댄서가 올라가 춤을 출 수 있는 바닥부(3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33)는 댄서의 스텝에 의한 발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33)는 일측에 연직방향으로 상기 프레임(31)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프레임(31)은 댄서의 키 높이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출력장치의 하나인 모니터(193)가 마련되어 있고, 중간부에는 댄서가 손으로 터치할 수 있는 터치패드(103)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터치 패드(103)는 댄서의 율동에 의한 손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제공되는 것으로 다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터치 패드(103)는 각각 서로 다른 음계를 가질 수 있도록 배치되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1)은 일측에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출력장치의 하나인 복수의 스피커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31)은 일측에 선택 버튼 패드(10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선택 버튼 패드(105)는 다수의 레벨, 악기종류, 리듬 그리고 멜로디 등을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이 제공되어 있다.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택 버튼 패드(105)의 설명을 생략하고 있으나, 동일한 개념으로 구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도 5는 댄싱 박스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나, 출력장치인 모니터가 생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댄싱 박스(1, 편의상 하나의 댄싱 박스의 부호만을 기술하여 설명함)를 제작할 때 고가의 모니터를 생략하고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모니터(191)는 제어부(7)와 연결되어 댄싱 박스에서 춤을 추는 댄서가 공통으로 볼 수 있도록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댄싱 박스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는 사시도로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나, 프레임(3)에 키보드(107)가 추가로 제공되는 점이 다르다. 상기 키보드(107)는 댄서의 터치에 의하여 연주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어부(7)와 연결되어 춤동작을 하면서 연주를 함께 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키보드(107)가 설치되는 댄싱 박스(1)는 더욱 다양한 전자 악기 음악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댄서가 어느 정도 음악에 대한 소질이 있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합주를 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댄싱 박스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로서, 제3 실시예와 유사하나 비용 절감을 위하여 모니터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3 실시예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제작비용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댄싱 박스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제2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바닥부(33)에 러닝 머시인(35)이 제공되는 점이 다르다. 이러한 구조는 바닥부(33)에서 댄서가 춤동작을 하면서 게임 혹은 합주를 하는 다른 실시예와는 달리 러닝 머시인(35)을 통하여 운동을 하면서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러닝 머시인(35)은 통상의 것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댄싱 박스(1)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댄서의 다양한 춤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구조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면 도 2를 통하여 임의의 댄싱 박스와, 이 댄싱 박스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댄싱 박스(1)에는 센싱부(131)와 선택 버튼부(101)가 제공된다. 상기 센싱부(131)는 터치 패드(103)의 내측에 배치되는 터치 패드 센서(133)와, 상기 바닥부(33)의 내측에 제공되는 발 움직임 감지 센서(135)와, 상기 키보드(107)의 음을 감지하는 센서(키보드에 내장되는 통상의 것이 사용됨)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싱부(131)의 각각의 센서는 제어부(151)에 제공되는 입력값 감지부(153)와 연결되어 센싱된 값을 상기 입력값 감지부(153)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드 센서(133)는 댄서가 율동을 하면서 손으로 터치하여 팔 또는 손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발 움직임 감지 센서(135)는 댄서가 춤을 출 때 발의 이동 및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 움직임 감지 센서(135)는 통상의 댄스 기기와 동일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선택 버튼부(101)는 상술한 선택 버튼 패드(105)에 제공되는 것으로, 제어부(7)에 제공된 기억부에 내장되어 있는 연주곡, 리듬 및 멜로디의 레벨을 선택하기 위한 레벨 선택 버튼(111)과, 상기 기억부에 내장되어 있는 악기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악기 종류 선택 버튼(113)과, 상기 기억부에 내장되어 있는 리듬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리듬 선택 버튼(115)과, 상기 기억부에 내장되어 있는 멜로디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멜로디 선택 버튼(117)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각각의 선택 버튼은 각각의 댄서가 춤동작을 시작하기 전에 댄스 게임 장치를 댄서에 적합한 상태로 세팅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151)에 연결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센싱부(131) 및 상기 선택 버튼부(101)의 신호를 받아 처리하는 제어부(151)는 상술한 입력값 감지부(153) 및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부(155)와 입력된 값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부(15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억부(155)는 다양한 종류의 악기음을 기억하고 있는 악기 종류 기억부(161)와, 연주곡을 기억하고 있는 연주곡 기억부(163)와, 다양한 종류의 리듬을 기억하고 있는 리듬 기억부(165) 그리고 역시 다양한 종류의 멜로디를 기억하고 있는 멜로디 기억부(167)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157)는 센싱부(131) 및 선택 버튼부(101)에서 입력되는 입력값과 상기 기억부(155)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적산하여 점수를 계산하는 입력값 비교부(185)와, 상기 입력값 비교부(185)에서 처리된 값을 입력받아 상기 기억부(155)의 데이터 값, 즉 기억된 연주곡, 리듬 그리고 멜로디와 하모니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정한 값과 동일한 신호 값으로 변환하는 입력값 변화부(183) 그리고 상기 입력값 변환부(157)에서 변환된 신호값을 상기 기억부(155)의 신호값과 믹싱하여 새로운 합주곡을 연주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값 믹싱부(18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악기 종류 기억부(161)는 상기 악기 종류 선택버튼(113)의 작동에 의하여 다양한 종류의 전자 악기음을 상기 처리부(157)의 입력값 믹싱부(181) 및 입력값 비교부(185)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주곡 기억부(163)는 선택 버튼부(101)에 도시된 연주곡 선택버튼(118)의 작동에 의하여 기억하고 있는 연주곡을 상기 입력값 믹싱부(181) 및 상기 입력값 비교부(185)에 전송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듬 기억부(165)는 다수의 리듬을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값 믹싱부(181) 및 상기 입력값 비교부(185)에 각각 전송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멜로디 기억부(167)는 역시 다수의 멜로디를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값 믹싱부(181) 및 상기 입력값 비교부(185)에 전송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출력부(191)는 스피커(195) 및 모니터(193)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입력값 믹싱부(181)에서 믹싱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출력부(191)는 도시하여 설명한 것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댄스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댄서는 각각의 댄싱 박스(1)에서 초급, 중급, 고급 및 전문가 레벨 등의 단계로 나뉘어지는 레벨 선택 버튼(111)을 누르면 레벨 선택 값이 제어부(151)의 메모리(도시생략)에 기억된다(S1). 그리고 악기 종류 선택버튼(133)을 누르면 악기 종류 기억부(161)에서 선택된 악기음의 신호가 입력값 비교부(185) 및 입력값 믹싱부(181)로 전송된다(S2). 그리고 각각의 댄서가 리듬 선택 버튼(115)을 눌러 원하는 리듬(115)을 선택하면 리듬 기억부(165)에 기억되어 있으며, 선택된 리듬 신호가 입력값 믹싱부(181) 및 입력값 비교부(185)로 전송된다(S3). 계속해서 멜로디 선택버튼(117)을 눌러 멜로디를 선택하면 멜로디 기억부(167)에 기억되어 있는 멜로디 신호가 상기 입력값 믹싱부(181) 및 입력값 비교부(185)로 전송된다(S4). 또한 연주곡 선택버튼(118)을 눌러 연주곡을 선택하면 연주곡 기억부(163)에 기억되어 있는 신호값을 상기 입력값 믹싱부(181) 및 입력값 비교부(185)로 전송된다(S5). 이러한 경우 다수의 댄서가 각각의 댄싱 박스(1)에서 상기 값을 선택할 경우에 제어부는 합주되는 곡의 하모니를 고려하여 최초의 선택자에 어울리는악기 종류 리듬 멜로디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후순의 선택자는 리듬 멜로디 등의 선택을 제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본적인 리듬 과 멜로디 및 연주곡을 선택하면 입력값 믹싱부(181)에서 입력된 신호가 출력부(191)로 출력되어 전주곡이 나오게 된다. 이때 전주곡은 스피커(195)를 통하여 나오게 되며, 모니터(193)에는 춤동작을 안내할 수 있는 표시가 나오게 된다.
그러면 댄서는 바닥부(33)에 올라가 춤동작을 하면서 리듬 또는 멜로디에 따라 터치 패드를 손으로 두드린다. 그리고 키보드가 설치되어 있는 댄싱 박스(1)에서는 댄서가 키보드를 두드리면서 춤을 춘다. 그러면 터치 패드 센서(133) 및 발움직임 감지 센서(135)의 센서에 의한 신호 및 키보드의 신호가 입력값 감지부(153)를 통하여 입력된다(S5). 그리고 상기 신호를 받아 기존에 입력 및 세팅된 신호와 함께 믹싱 처리하는 단계(S6)를 거치는데, 이를 도 4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처리부(157)의 입력값 비교부(185)는 댄서에 의하여 선택된 리듬 및 멜로디 등의 선택 신호값과 댄서의 춤동작에 의하여 센싱된 신호값을 비교하여 기억값과의 차이(리듬 및 박자의 시간차이 등)를 적산하고, 점수를 계산한다(S61). 이때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레벨의 종류를 고려하여 가중값을 두고 계산한다. 그리고 이렇게 계산된 신호는 계속해서 적산하고, 한편으로 입력값 감지부(153)의 신호가 입력값 비교부(185)를 바로 통과하여 입력값 변환부(183)로 전송된다. 상기 입력값 변환부(183)는 상기 입력값 비교부에서 받은 신호 중 그대로 통과된 신호는 기억값과 비교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고, 리듬 및 멜로디 등과 하모니를 이룰 수있는 신호만 남도록 필터링 한다(S62). 이렇게 필터링 된 신호는 입력값 믹싱부(181)로 전송되어 기억값과 믹싱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S63). 이렇게 생성된 출력 신호를 출력부(191)의 스피커(195) 및 모니터(193)로 전송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선택값의 데이터 양 많큼 연주하기 위한 시간이 경과했는가를 판단한다(S7). 선택된 데이터가 끝나지 않은 경우에는 율동에 의한 센싱값 입력전 단계(S6)로 리턴된다. 그리고 선택값의 데이터 양 많큼 연주하기 위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입력값 비교부(185)에서 적산된 점수를 모니터(193)에 출력한다(S8).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한사람의 댄서 또는 각각의 댄서는 전자 악기음을 이용하여 합주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춤동작이 점수화되어 나타나므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5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러닝 머시인(35)의 상부에 올라가 뛰면서 터치 패드(103)를 두드리는 것에 의하여 상술한 연주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는 운동을 하면서 다른 사람과 합주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몸의 율동으로 개인 또는 여러 사람이 동시에 여러 종류의 전자악기를 합주할 수 있는 댄스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여, 악기를 능숙하게 다루지 못하는 초보자도 손쉽게 합주에 참여 할 수 있으며, 합주를 하면서 운동을 즐길 수 있고, 또한 여러 사람이 연주하는 경우 협동심을 기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악기의 선택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난이도 별로 여러 등급으로 나누어져 음악적 소질에 따라 등급을 선택할 수 있어 지루하지 않으며, 흥미를 가질 수 있어 댄스연습 또는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춤동작에 따라 센서에 의하여 이를 감지하고 점수화시킴으로서 게임기로의 역할을 할 수 있어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연주자의 레벨, 악기종류, 리듬 및 멜로디를 선택할 수 있으며, 연주자의 춤 동작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댄싱 박스와;
    연주곡, 리듬 및 멜로디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댄싱 박스에서 센싱된 값을 입력받아 상기 기억부의 데이터값과 믹싱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합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있는 댄스 연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댄싱 박스는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댄서의 율동에 의한 손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제공되는 다수의 터치패드와;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댄서의 스텝에 의한 발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제공되는 바닥부와;
    상기 프레임의 중간부에 결합되며 댄서의 터치에 의하여 연주가 이루어지는 키보드와;
    상기 기억부에 내장되어 있는 연주곡, 리듬 및 멜로디의 레벨을 선택하기 위한 레벨 선택 버튼부와;
    상기 기억부에 내장되어 있는 악기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악기 종류 선택 버튼부와;
    상기 기억부에 내장되어 있는 리듬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리듬 선택 버튼부와;
    상기 기억부에 내장되어 있는 멜로디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멜로디 선택 버튼부;
    를 포함하는 댄스 게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처리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다수의 악기음을 기억하고 있는 악기 종류 기억부와;
    상기 처리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다수의 연주곡을 기억하고 있는 연주곡 기억부와;
    상기 처리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다수의 리듬을 기억하고 있는 리듬 기억부와;
    상기 처리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다수의 멜로디를 기억하고 있는 멜로디 기억부;
    를 포함하고 있는 댄스 게임 장치.
  4. 제1항 또는 제3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댄싱 박스에서 입력된 입력 값과 상기 각각의 기억부에서 기억된 값을 비교하여 편차를 적산하여 점수를 계산하는 입력값 비교부와;
    상기 입력값 비교부에 입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기억된 연주곡, 리듬 그리고 멜로디와 하모니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정하여 시그널을 변환하는 입력값 변환부와;
    상기 입력값 변환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 보정된 입력값과 상기 각각의 기억부에 기억된 값을 믹싱하여 믹싱된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값 믹싱부;
    를 포함하는 댄스 게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값 믹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합주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 및 모니터를 포함하는 댄스 게임 장치.
  6.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댄서가 레벨, 악기종류, 리듬 그리고 멜로디를 선택한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댄서의 춤동작을 센싱하여 그 센싱값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입력된 신호값과 기억부의 입력값을 믹싱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믹싱된 신호값을 출력부에 의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댄스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댄서의 춤동작을 센싱하여 센싱된 값을 입력받는 단계후에 입력값을 리듬 기억부 및 멜로디 기억부의 내용과 비교하여 차이값을 적산하여 점수로 환산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값을 연주에 적합하도록 필터링하여 변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댄스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00019382A 2000-04-12 2000-04-12 댄스 연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10095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382A KR20010095910A (ko) 2000-04-12 2000-04-12 댄스 연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382A KR20010095910A (ko) 2000-04-12 2000-04-12 댄스 연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910A true KR20010095910A (ko) 2001-11-07

Family

ID=1966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382A KR20010095910A (ko) 2000-04-12 2000-04-12 댄스 연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59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38B1 (ko) * 2006-06-01 2007-09-04 곽종기 폭소부스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9546A (ja) * 1996-08-05 1998-04-21 Pioneer Electron Corp ビデオダンスゲーム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
KR19990022582U (ko) * 1999-03-18 1999-07-05 김승영 댄스교습기능을갖는컴퓨터가요반주기
KR19990083864A (ko) * 1999-08-20 1999-12-06 최광현 리듬앤드댄스게임제어장치및풋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9546A (ja) * 1996-08-05 1998-04-21 Pioneer Electron Corp ビデオダンスゲーム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
KR19990022582U (ko) * 1999-03-18 1999-07-05 김승영 댄스교습기능을갖는컴퓨터가요반주기
KR19990083864A (ko) * 1999-08-20 1999-12-06 최광현 리듬앤드댄스게임제어장치및풋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38B1 (ko) * 2006-06-01 2007-09-04 곽종기 폭소부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5480B2 (en) Physical motion state evaluation apparatus
US6695694B2 (en) Game machine, game device control method, information storage medium, game distribution device, and game distribution method
US10055017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creating control signals
US20080250914A1 (en)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detecting signals generated by one or more sensors and translating those signals into auditory, visual or kinesthetic expression
US20040127285A1 (en) Entertainment device
JP2000507721A (ja) ジャムセッションのシミュレーションを行い、ユーザにドラムの演奏方法を教える方法及び装置
JP2001232062A (ja) ゲーム装置、ゲーム制御方法およびその記録媒体
JP3742370B2 (ja) トレーニング装置
JP3824462B2 (ja) ゲーム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CN101278335A (zh) 合奏系统
JP3654143B2 (ja) 時系列データの読出制御装置、演奏制御装置、映像再生制御装置、および、時系列データの読出制御方法、演奏制御方法、映像再生制御方法
WO2000029085A1 (fr) Jeu electronique et module de commande associe
JP3815938B2 (ja) ゲーム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2001070636A (ja) ゲーム装置、ゲーム制御方法およびその記録媒体
WO2008053591A1 (fr) Dispositif de support d'exercice et dispositif de détection
KR20010095910A (ko) 댄스 연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131279B2 (ja) 合奏パラメータ表示装置
JP2002023743A (ja) 発音制御システム
JP3374484B2 (ja) ビデオゲーム装置
KR200203814Y1 (ko) 전자 오락기
KR19990022582U (ko) 댄스교습기능을갖는컴퓨터가요반주기
JPH10198360A (ja) 電子楽器
KR19990068803A (ko) 노래방시스템
JP2009193082A (ja) カラオケ装置
JP4108850B2 (ja) 歌唱による標準的なカロリー消費量を試算する方法および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