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501A -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501A
KR20010093501A KR1020000016143A KR20000016143A KR20010093501A KR 20010093501 A KR20010093501 A KR 20010093501A KR 1020000016143 A KR1020000016143 A KR 1020000016143A KR 20000016143 A KR20000016143 A KR 20000016143A KR 20010093501 A KR20010093501 A KR 20010093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fixing
battery
vehic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5561B1 (ko
Inventor
이강우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20000016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561B1/ko
Publication of KR20010093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6Supplying batteries to, or removing batteries from,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좌, 우 양측에 걸림수단이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밧데리 케이스와 상기 밧데리 케이스에 형성된 걸림수단에 착, 탈되는 착탈기와 상기 착탈기에 걸림수단이 결합된 밧데리 케이스를 전후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브라켓트로 구성하여, 밧데리 케이스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수단이 차체에 용착되어 있는 착탈기에 착, 탈되어 고정되고, 착탈기에 걸림수단이 결합된 밧데리 케이스의 전, 후면을 브라켓트에 의해 좌, 우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밧데리 케이스를 차체에 결합 및 분해 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Vehicle Battery Fixation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설치된 각종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를 엔진룸이 형성된 차체에 탈, 장착시 조립 및 분해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밧데리는 자동차의 기동장치 및 각종 전장품등을 작동하게 하는 전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기관이 운전되고 있을 때에는 충전장치인 발전기가 각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며, 기관이 정지하고 있거나 시동을 할 경우에는 필요한 전원을 밧데리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밧데리는 차량 운행을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전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전기의 공급을 위해서는 밧데리가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한정된 공간 속에 다수개의 밧데리를 저장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실예로 밧데리 트레이를 차량 전면에 엔진룸이 형성된 차체에 구비해 두고서 상기 트레이에 각각의 셀로 구성된 밧데리를 안착시켜 보관하고 있다.
또, 상기 밧데리가 안착되는 트레이는 충전과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차량에서부터 쉽게 분리해 낼 수 있어야 하며, 밧데리 트레이가 안착되는 상태가 차량의 구조에 부담을 주지 않는 상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종래의 자동차용 밧데리의 고정구조는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차량의 전면에 엔진룸을 형성하는 차체에 설치되고, 양측면에 체결구멍(21')이 각각 형성된 트레이프레임(20')과; 상기 트레이프레임(20')의 바닥면 상부에 안착되는 밧데리 케이스(10')와; 상기 밧데리 케이스(10')가 안착된 트레이프레임(20')의 체경구멍(21')에 삽입 및 분리되는 걸림돌기(31')가 절곡되어 일측단부에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수나사부(32')가 형성된 연결고정편(30')과; 상기 연결고정편(30')에 형성된 수나사부(32')에 삽입되는 삽입홈(41')이 양측단부에 각기 형성되고, 전면 및 후면이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된 클램프(40')와; 상기 클램프(40')의 삽입홈(41')에 수나사부(32')가 삽입된 상태에서 저면이 밧데리 케이스(10')의 상부면에 접하며 압착되도록, 수나사부(32')에 체결되는 너트(5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프레임(20')에는 소정높이의 측벽(2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트레이프레임(20')에 밧데리 케이스(10')가 밀착되게 안착되고, 상기 연결고정편(30')에 의해 단속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40')의 전면 및 후면이 상부로 절편되어 형성된 절곡부는손잡이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밧데리 케이스(10')를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엔진룸이 형성된 차체에 트레이프레임(20')을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트레이프레임(20')의 바닥면 상부에 밧데리 케이스(10')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밧데리 케이스(10')가 안착된 트레이프레임(20')의 측벽 좌, 우 양측에 형성된 체결구멍(21')에는 연결고정편(30')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31')가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삽입시키며, 상기 연결고정편(30')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32')를 클램프(40')의 좌, 우 양측에 각기 형성된 삽입홈(41')에 관통되게 끼워넣음과 동시에 상기 수나사부(32')에 너트(50')를 체결시켜 주는 것에 의해 차체에 밧데리 케이스(10')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밧데리 고정구조는 차체에 고정설치된 트레이프레임(20')의 바닥면 상부에 밧데리 케이스(1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프레임(20')의 측벽(22')에 형성된 체결구멍(21')에 연결고정편(30')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31')를 삽입시켜 결합하고, 상기 연결고정편(30')의 수나사부(32')와 너트(50')사이에는 클램프(40')를 해제한 상태에서 체결을 해주어야 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많은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게 됨은 물론, 상기 클램프(40')의 상부에 위치한 너트(50')가 체결중에 유동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밧데리 케이스(10')를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 및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룸이 형성된 차체에 착탈기을 형성하고, 상기 착탈기에 착, 탈되는 걸림수단을 밧데리 케이스에 형성하여 차체에 밧데리 케이스를 고정되게 설치 및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밧데리 케이스를 고정하는 착탈기의 구조를 간편하게 제공하므로써, 별도의 공구 없이 조립 및 분해를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밧데리 케이스의 고정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착탈기와 브라켓트에 밧데리 케이스가 결합되는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착탈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착탈기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착탈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걸림수단 2 - 몸체부
3 - 착탈부재 4 - 단속구
5 - 탄성부재 10 - 밧데리 케이스
20 - 결합홈 21 - 베이스면
22 - 외벽 23 - 가이드홈
25 - 지지면 30 - 슬라이드부
31 - 걸림돌기 33 - 걸림부재
40 - 이동홈 90 - 고정부
100 - 브라켓트 200 - 착탈기
본 발명의 목적은, 좌, 우 양측에 걸림수단이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밧데리 케이스와;
상기 밧데리 케이스에 형성된 걸림수단에 착, 탈되는 착탈기와;
상기 착탈기에 걸림수단이 결합된 밧데리 케이스를 전후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브라켓트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밧데리 케이스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수단을 차체에 용착되어 있는 착탈기에 체결하고, 상기 브라켓트에 의한 좌, 우 흔들림을 방지하며, 사용자가 결합 및 분해를 손쉽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경쟁력을 높여 생산자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밧데리 케이스가 트레이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착탈기와 브라켓트에 밧데리 케이스가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착탈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착탈기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착탈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이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밧데리 케이스(10)의 좌, 우 양측에는 걸림수단(1)이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밧데리 케이스(10)가 차체에 안착되는 위치에는 상기 밧데리 케이스(10)에 형성된 걸림수단(1)을 단속하는 착탈기(200)가 차체에 용착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착탈기(2)에 걸림수단(1)이 결합된 밧데리 케이스(10)를 전후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브라켓트(100)가 타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트(100)는 하부 일측이 차체에 용착되며, 상기 밧데리 케이스(10)의 일측면에 접지되는 고정부(90)가 상부로 절곡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로 절곡형성되어 있는 고정부(90)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하여 밧데리 케이스(10)가 안착될 경우 쉽게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밧데리 케이스(10)를 차체에 고정할 경우 상기 착탈기(200)와 브라켓트(100)가 밧데리 케이스의 안착 위치를 잡아주게 되어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밧데리 케이스(10)의 외측에 형성되는 걸림수단(1)에 착탈기(200)를 체결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수단(1)에는 후술될 착탈부재(3)가 착, 탈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고정홈(11)이 내삽지게 형성되며, 외측 단부는 경사면을 주어 착, 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는 즉, 상기 착탈부재(3)가 반원형의 고정홈(11)에 삽입될 경우 착탈부재(3)를 밧데리 케이스(10) 방향으로 밀어넣어 착, 탈 시키는데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착, 탈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착탈기(200)는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에 지지면(25)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면(25) 중앙에는 결합홈(20)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면(25)의 좌, 우 양측에는 차체에 용착되는 베이스면(21)이 절곡되게 구비되며, 밧데리 케이스(10)의 일측면에 접지되는 외벽(22)이 상부로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20)에 삽입되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걸림돌기(31)가 하단부에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0)을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부(30)가 상기 걸림돌기(31)에서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30)에서 걸림수단(1)의 고정홈(11)에 착, 탈 되도록, 상부로 절곡 성형되어 있는 착탈부재(3)가 상기 몸체부(2)의 결합홈(20)에 설치된다.
이는 즉, 도 4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몸체부(2)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20)에 하단부가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는 착탈부재(3)를 삽입하고, 상기 착탈부재(3)를 걸림수단(1) 방향으로 밀어서 체결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면(25)에 형성된 결합홈(20)의 일측으로는 외부로 개구되어 착탈부재(3)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는 가이드홈(23)을 형성한다.
이는, 상기 착탈부재(3)를 결합홈(20)에 끼워넣을때 상기 착탈부재(3)의 하단부가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이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상기 결합홈(20)의 일측을 외부로 개구시켜 상기 착탈부재(3)를 끼워넣을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착탈부재(3)를 반회전시켜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수단(1)과 착탈기(2)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 체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5)가 슬라이드부(3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가 슬라이드부(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중앙부에 이동홈(40)이 형성된 단속구(4)가 상기 탄성부재(5)와 걸림돌기(31)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5)는 코일형의 스프링 및 판 스프링 등과 같이 자체 탄성력을 갖는 것이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이 것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는 즉, 도 4 ~ 5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착탈부재(3)를 상부로 끌어올리고, 상기 착탈부재(3)를 밧데리 케이스(10) 방향으로 밀어 넣으며, 이때, 걸림수단(1)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11)에 삽입되어 체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해제시에는 상기 걸림부재(33)를 상부로 당겨서 올리면 상기 착탈부재(3)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부재(5)가 갖는 탄성력에 의해 해제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손쉽게 밧데리 케이스(10)를 교환할 수 있으며, 차량의 흔들림에도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밧데리 케이스(1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수단(1)에 착탈기(200)에 설치되는 착탈부재(3)를 체결하여 사용하므로써,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일반인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착탈기(200) 및 브라켓트(100)를 이용한 체결이 이루어지므로써,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셋째, 별도의 장비없이 착, 탈이 이루어지므로써, 별도 장비구입에 따른 추가비용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좌, 우 양측에 걸림수단(1)이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밧데리 케이스(10)와;
    상기 밧데리 케이스(10)에 형성된 걸림수단(1)에 착, 탈되는 착탈기(200)와;
    상기 착탈기(2)에 걸림수단(1)이 결합된 밧데리 케이스(10)를 전후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브라켓트(1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1)에는 착탈부재(3)가 착, 탈될 수 있도록 고정홈(11)이 내삽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기(2)는 지지면(25) 중앙에 결합홈(20)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25)의 좌, 우 양측에는 차체에 용착되는 베이스면(21)이 절곡되게 형성되며, 밧데리 케이스(10)의 일측면에 접지되는 외벽(22)이 상부로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2)와;
    상기 결합홈(20)에 삽입되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걸림돌기(31)가 하단부에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0)을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부(30)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부(30)에서 걸림수단(1)의 고정홈(11)에 착, 탈 되는 걸림부재(33)가 상부로 절곡 성형되어 있는 착탈부재(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4.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100)는 하부 일측이 차체에 용착되며, 상기 밧데리 케이스(10)의 일측면에 접지되는 고정부(90)가 상부로 절곡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5. 청구항 제 3항에 있어서, 지지면(25)에 형성된 결합홈(20)의 일측이 외부로 개구되어 착탈부재(3)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는 가이드홈(2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6. 청구항 제 3에서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1)과 착탈기(2)와의 결합시 체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5)가 슬라이드부(30)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5)가 슬라이드부(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중앙부에 이동홈(40)이 형성된 단속구(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KR1020000016143A 2000-03-29 2000-03-29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KR100345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143A KR100345561B1 (ko) 2000-03-29 2000-03-29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143A KR100345561B1 (ko) 2000-03-29 2000-03-29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501A true KR20010093501A (ko) 2001-10-29
KR100345561B1 KR100345561B1 (ko) 2002-07-26

Family

ID=1965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143A KR100345561B1 (ko) 2000-03-29 2000-03-29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5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5855A1 (de) 2010-11-17 2012-05-24 Avl List Gmbh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zumindest ein batteriemodul
WO2012065853A1 (de) 2010-11-17 2012-05-24 Avl List Gmbh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zumindest ein batteriemodul
KR101428276B1 (ko) * 2012-12-12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트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012B1 (ko) 2011-12-23 2013-10-31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전기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4310U (ko) * 1974-11-14 1976-05-20
KR920006242Y1 (ko) * 1990-09-18 1992-09-1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장치
KR200144156Y1 (ko) * 1995-10-31 1999-06-15 류정열 배터리 고정장치
KR200313243Y1 (ko) * 1997-10-24 2003-08-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체결구조
KR200194107Y1 (ko) * 1997-12-19 2000-09-01 정몽규 자동차 밧데리의 클램핑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5855A1 (de) 2010-11-17 2012-05-24 Avl List Gmbh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zumindest ein batteriemodul
WO2012065853A1 (de) 2010-11-17 2012-05-24 Avl List Gmbh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zumindest ein batteriemodul
KR101428276B1 (ko) * 2012-12-12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5561B1 (ko) 200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2353B2 (ja) 遮断回路組立体
JP5462778B2 (ja) ビデオカメラ
CN116348733B (zh) 具有可互换夹持元件的可安装的灯
JP2008513284A (ja) 迅速連結構造物を有する自転車サドル
JP2000251611A (ja) 電源遮断装置
KR100345561B1 (ko)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JP2006230134A (ja) プラグインアダプタ
TW202116600A (zh) 用於將能量儲存裝置可釋放地安裝在框架單元和自行車框架上的固持裝置
EP1863106B1 (en) Sprayer with detachable rechargeable battery
US11228188B2 (en)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grip holder
KR20030041207A (ko) 컴퓨터
KR200145903Y1 (ko) 자동차용 밧데리 케이스 고정구조
KR100325360B1 (ko)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KR20010092493A (ko)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KR100325359B1 (ko)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KR19980038479A (ko) 자동차의 축전지의 취부구조
JP2004237419A (ja) 充電式電動工具におけるフックの取付構造
KR100325361B1 (ko)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JP3007544U (ja) コンピュータ主機の電池固定構造
CN205789821U (zh) 可更换手柄的断路器
KR200150883Y1 (ko) 차량용 보조 매트 고정장치
KR101382824B1 (ko) 스위치 조립체
KR200313243Y1 (ko) 배터리체결구조
JP2580973Y2 (ja) 電気機器の取付構造
JPS6026265B2 (ja) テ−ブルタツ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