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242Y1 -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242Y1
KR920006242Y1 KR2019900014361U KR900014361U KR920006242Y1 KR 920006242 Y1 KR920006242 Y1 KR 920006242Y1 KR 2019900014361 U KR2019900014361 U KR 2019900014361U KR 900014361 U KR900014361 U KR 900014361U KR 920006242 Y1 KR920006242 Y1 KR 920006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ixing
tray
fixe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4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252U (ko
Inventor
김근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4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242Y1/ko
Publication of KR9200062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2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2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8Engi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66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 상태 사시도.
제3도는 종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트레이 11, 11' : 가이드
12 : 받침구 13, 13' : 고정공
14 : 나사공 15, 15' : 고정돌기
16 : 받침구 17 : 관통공
18 : 고정볼트 20 : 밧데리
21, 21' : 걸림턱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밧데리의 하단 장변에 검림턱을 형성하고 이의 밧데리가 고정되는 트레이(Tray)의 장변에는 상기 걸림턱이 끼워지는 가이도를 상호 대향되게 형성하여 밧데리의 장착시 밧데리를 트레이의 일측에서 밀어 넣은 후 별도의 고정구를 고정볼트로 트레이에 체결 고정하는 수단으로 밧데리를 고정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밧데리의 고정상태를 보다 견고히 함은 물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의 밧데리는 엔진을 가동할때와 발전량이 부족할때의 점화, 조명등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가솔린 및 디이젤 등의 모든 자동차에 설치되어 사용되는데, 이러한 밧데리를 고정 설치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50)의 양 장변을 상향 절곡시켜 걸림턱(51) (51')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51) (51')사이에 밧데리(53)를 올려 놓은후 일축 걸림턱(51)의 중간부에 연결되어진 J형볼트(54)의 선단부와 타측 걸림턱(51')에 연결된 클램프볼트(55)의 선단부를 상호 고정너트(56)로 체결하는 수단으로 밧데리(53)를 고정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밧데리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부품이 소요되어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됨은 물론 고정 및 탈거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고, 밧데리의 크기에 따라 J형볼트 및 클램프 볼트의 크기를 변경하여 사용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밧데리를 지지함에 있어서도 밧데리의 하부를 양 걸림턱이 지지하고 상부는 J형볼트로 지지토록 하였는바, 고정너트를 제대로 체결 하였다고 하더라도 밧데리가 좌우, 상하로 유동되기 쉬워 이에 따른 제반 문제점이 뒤따르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밧데리의 고정작업이 용이하고, 일단 고정된 상태에서 그 고정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게 함은 물론 밧데리의 크기에 관계없이 완벽하게 고정할수 있도록 개량한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수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밧데리(20)의 하단 장변에 양측으로 적정 크기로 돌출되는 걸림턱(21)(21')을 형성하고, 이의 밧데리(20)가 고정되는 트레이(10)의 장변 중간부에는 상기 밧데리(20)의 걸림턱(21)(21')이 대응하여 끼워지도록 상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가이도(11)(11')를 상호 대향되게 형성하고 타측상면에는 받침구(12)를 돌설하며, 트레이(10)의 일측 면상에는 전후측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고정공(13)(13')을 천공하고 상기 전후 고정공(13) (13')의 대각선 중앙부에는 나사공(14)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공(13) (13')과 대응하는 고정돌기(15)(15')가 전후 양측으로 하향 입설된 고정구(16)의 중앙부에는 고정볼트(18)가 관통되는 관통공(17)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밧데리(20)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밧데리(20)를 고정하고자 할때에는 밧데리(20)를 걸림턱(21)(21')이 트레이(10)의 가이드(11)(11')내로 끼워지게 되며 완전히 밀어 넣으면 밧데리(20)의 우측단이 받침구(12)에 받쳐지면서 완전히 끼워진다.
이와같이 밧데리(20)가 트레이(10)상에 완전히 끼워지면 밧데리(20)의 크기에 따라 고정구(16)의 고정돌기(15)(15')를 밧데리(20)의 좌측면을 지지할수 있는 위치에 천공된 트레이(10)의 고정공(13)(13')을 선택하여 끼운 후 고정볼트(18)를 체결하면 간단히 제2도와 같이 밧데리(20)의 고정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트레이(10)의 일측 전후에 등간격으로 천공되는 고정공(13)(13')를 3개씩 천공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트레이(10)의 절반부까지 세분하여 천공하면 밧데리(20)의 좌우 크기에 관계없이 고정할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밧데리(20)를 고정하게 되면 밧데리(20)의 전,후 유동과 상,하 유동은 가이드(11)(11')가 밧데리(20)의 하부를 지지하여 줌으로써 방지되고, 좌우의 유동은 받침구(12)와 고정구(16)가 밧데리(20)의 좌우측을 지지하여 줌으로써 방지할수 있는 6점지지 형태로 고정되는바, 고정상태가 완벽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밧데리를 견고하게 조립할수 있으므로 원가절감은 물론 밧데리의 크기에 관계없이 고정이 가능하고, 밧데리의 고정 및 탈거작업이 용이하여 작업공수 및 인력 절감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자동차용 밧데리를 고정함에 있어서, 장변 중간부에 적정 높이를 갖고 상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호 대향되게 가이드(11)(11')가 입설되고 일측 상면에 받침구(12)가 돌설되며 타측면상에 전후로 적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공(13)(13')들이 천공되고 이들의 대각선 중앙부에 다수의 나사공(14)이 천공된 트레이(10)와, 상기 고정공(13) (13')과 대응하는 고정돌기(15) (15')가 전후 양측으로 하향 입설되며 중앙에 고정볼트(18)가 관통되는 관통공(17)이 천공된 고정구(16)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10)의 가이드(11)(11')에 대응하도록 하단장변에 걸림턱(21)(21')이 형성된 밧데리(20)를 일측으로 부터 밀어 끼운후 상기 고정구(16)의 고정돌기(15)(15')를 트레이(10)상의 고정공(13)(13')과 대응 결합시켜 고정볼트(18)로 체결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장치.
KR2019900014361U 1990-09-18 1990-09-18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장치 KR920006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4361U KR920006242Y1 (ko) 1990-09-18 1990-09-18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4361U KR920006242Y1 (ko) 1990-09-18 1990-09-18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252U KR920006252U (ko) 1992-04-21
KR920006242Y1 true KR920006242Y1 (ko) 1992-09-17

Family

ID=19303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4361U KR920006242Y1 (ko) 1990-09-18 1990-09-18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2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561B1 (ko) * 2000-03-29 2002-07-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252U (ko) 199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5332A (en) Quick release seat belt anchor
KR920006242Y1 (ko)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장치
JP3459769B2 (ja) フットレスト装置
KR100333850B1 (ko) 자동차 배터리 고정 구조
KR0120679Y1 (ko) 자동차용 클립
KR200143828Y1 (ko) 배선고정용클립조립체
KR200148733Y1 (ko) 차량용 라디에타그릴의 설치구조
KR200156428Y1 (ko) 자동차용 번호판램프체결구조
KR100309347B1 (ko) 자동차의 번호판등 장착구조
KR0137278Y1 (ko) 자동차 도어 손잡이의 결합구조
KR20020039035A (ko) 차량용 와이어 고정 클립 조립체
JPH0110805Y2 (ko)
KR100345861B1 (ko) 자동차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329875Y1 (ko) 자동차용 연료배관 및 배선 고정클립
KR200158008Y1 (ko) 차량용 보조 매트 고정장치
KR19980045879A (ko) 트림(Trim) 두께에 따라 조정 가능한 마운팅 클립(Mounting Clip)
KR970009797B1 (ko) 차량의 후부시트 장착구조
KR0129075Y1 (ko)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
JPH0540616U (ja) 操作ノブの取付構造
KR200152693Y1 (ko) 자동차용 하니스 고정구
JP2600238Y2 (ja) 車両インスツルメントパネルのワイヤハーネス固定構造
JPS6322707Y2 (ko)
JPS5918715Y2 (ja) コネクタ−の取付装置
KR0132936Y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구조
KR0140221Y1 (ko) 차량용 파워 트레인 탑재용 브라켓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