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1856A -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856A
KR20010091856A KR1020000052691A KR20000052691A KR20010091856A KR 20010091856 A KR20010091856 A KR 20010091856A KR 1020000052691 A KR1020000052691 A KR 1020000052691A KR 20000052691 A KR20000052691 A KR 20000052691A KR 20010091856 A KR20010091856 A KR 20010091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ointer
mouse
track ball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0090B1 (ko
Inventor
김정훈
김종광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2001009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폰의 표시부 평면상에서 움직이는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상기 휴대폰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우스부를 구비시킴으로써 휴대폰 표시부에서의 메뉴 선택 및 네비게이션 동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DISPLAYING MENU SEARCHING DEVICE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은 디지털 폰, 셀룰라 폰, PCS 폰 등의 휴대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장치는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통화를 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현재 이러한 휴대폰은 전자부품의 고감도 소형화 및 경량화추세에 따라 가고 있으며, 제1세대로 바 타입(bar-type)의 휴대폰이 보편화되었고, 제2세대로 플립 타입(flip-type)의 휴대폰이 일반화되었으며, 현재에는 플립 타입과 제3세대인 폴더 타입(folder-type)의 휴대폰이 공존하여 보편화된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은 데이터 입력수단인 키입력부의 입력동작에 따라 표시부상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폰은 소형화 및 경량화에 한계가 있었다. 특히 종래의 휴대폰은 누를 수 있는 키의 크기를 무한정으로 소형화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다수개의 키 가운데 주로 사용하는 방향키는 일반적인 번호키와 중복되도록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번호키와 별도로 구분되도록 제작되어 사용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폰에서는 키패드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키패드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속도가 느리게 되고, 또한 종래의 휴대폰에서는 휴대폰마다 키패드맵이 다르거나 메뉴 선택방법이 달라 사용자측면에서 메뉴 선택을 위한 기능을 모두 수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의 메뉴 검색을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폰의 메뉴 선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표시부 평면상에서 움직이는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상기 휴대폰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우스부를 구비시킴으로써 휴대폰 표시부에서의 메뉴 선택 및 네비게이션 동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우스부가 구비된 휴대폰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를 도시한 휴대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트랙볼을 사용하여 표시부에 나타나는 아이콘에 포인터를 위치 이동할 때의 트랙볼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트랙볼을 사용하여 표시부에 나타나는 아이콘에 포인터를 위치 이동하여 아이콘을 선택할 때의 트랙볼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를 도시한 휴대폰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폰의 메뉴 검색을 위한 마우스부를 새로이 구비한 휴대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6)는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마우스부(108)로부터 출력되는 마우스 포인터의 좌표값을 수신하여 표시부(102) 화면내 마우스 포인터를 상기 좌표값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메모리(104)는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06)에 의해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소정의 설정된 영역에 저장한다. 키입력부(100)는 다수의 숫자키 및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06)로 출력한다. 표시부(102)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Liquid Crystal Display: LCD)를 포함하고, 제어부(106)에 의해 제어되며, 키입력부(100)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206)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마우스부9108)가 활성화 될시 마우스 포인터를 마우스부(108)내 구비되는 트랙볼의 좌표값에 대응되는 화면상 위치에 표시시킨다. 마우스부(108)는 휴대폰의 외부 일측면에 형성되어 표시부(102) 평면상에서 움직이는 마우스 포인터의 좌표값을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200)의 메뉴 검색장치를 도시한 휴대폰(2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200)은 폴더형 휴대폰이며, 폴더(204)의 표시부(206) 하단 내측면에는 폴더(204)가 휴대폰(200) 본체(202)에 닫혀질 때 트랙볼(214)이 안착되도록 트랙볼(2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트랙볼 홈(212)이 형성된다. 참조번호 (212)는 폴더(204)를 닫았을 경우 트랙볼(214)이 안착되는 트랙볼 홈(212)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트랙볼(214)을 사용하여 표시부(206)에 나타나는 아이콘(208)에 마우스 포인터(210)를 위치 이동할 때의 트랙볼(214)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트랙볼(214)을 사용하여 표시부(206)에 나타나는 아이콘(208)에 포인터(210)를 위치 이동하여 아이콘(208)을 선택할 때의 트랙볼(214)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200)의 메뉴 검색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휴대폰(200)의 메뉴 검색을 위한 구성을 제외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200)의 기본 구성은 종래의 휴대폰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구성에 트랙볼(214)을 갖는 마우스부(108)를 더 부가하여 구성하므로써 휴대폰(200)의 메뉴를 보다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으며, 종래의 휴대폰에 사용되는 방향키를 제거하여 키입력부(100)를 보다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고, 키입력부(100)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마우스부(108)는 기계식, 광학식, 광·기계식을 혼용하는 복합식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트랙볼(214)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그에 대응하게 포인터(210)를 움직이는 기계식 마우스부(108)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광학식 마우스부는 격자무늬의 패드상에서 광학식 마우스부의 움직임에 따라 광학식 마우스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포토센서가 격자무늬의 위치변화를 감지함으로서 광학식 마우스부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그에 대응하게 포인터(210))를 움직인다. 복합식 마우스부는 슬릿을 가지는 휠의 움직임을 포토센서가 감지하여 복합식 마우스부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그에 대응하게 포인터(210)를 움직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부(108)는 트랙볼(214)의 측면에 인접되도록 장착되는 제1방향센서와, 제1방향센서에 직교방향으로 장착되어 트랙볼(24)의 다른 측면에 인접되는 제2방향센서와, 트랙볼(214)의 하단에 장착되어 인쇄회로기판에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선택 스위치(304)로 구성한다. 선택 스위치(304)는 트랙볼(214)의 눌림 동작에 따라 연동되어 스위칭 되는 구조이다. 트랙볼(214)은 휴대폰(200)의 본체(202) 패널(216) 상측 일부에 돌출 되도록 형성되어 자유로운 회전운동을 함에 따라 표시부(206)의 평면상에서 움직이는 포인터(21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제1방향센서는 트랙볼(214)의 측면에 인접되도록 상기 패널(216) 내측에 장착되어 트랙볼(214)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포인터(210)의 이동방향 가운데 포인터(210)의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제2방향센서는 제1방향센서에 직교방향으로 장착되어 트랙볼(214)의 다른 측면에 인접되며, 트랙볼(214)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포인터(210)의 이동방향 가운데 포인터(210)의 상측방향과 하측방향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선택 스위치(304)는 트랙볼(214)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폰(200)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트랙볼(214)의 눌림 동작에 따라 표시부(206)에 나타나는 아이콘(208) 가운데 포인터(210)가 놓여진 아이콘을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표시부(206)에 나타나는 다수개의 메뉴 항목 가운데 원하는 메뉴 항목을 보다 용이하게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의 메뉴 검색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해서 트랙볼(214)을 조작하여 표시부(206)에 나타나는 포인터(210)를 해당 아이콘(208)으로 위치 이동시킨다. 여기서 아이콘(208)이라 함은 표시부(206)에 소정의 크기를 갖고 형성되는 그림으로써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도형화된 그림을 말한다. 한편, 아이콘(208)을 사용하지 않는 휴대폰에서는 표시부(206)에 나타나는 메뉴 항목에 포인터(210)를 위치 이동시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후 사용자가 트랙볼(214)을 도 4에 도시된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사용자의 힘이 트랙볼(214)에 전해진다. 따라서 트랙볼(214)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며, 트랙볼(214)의 하부에 인접되는 선택 스위치(304)는 눌려져 스위칭 "온(ON)"상태로 된다. 이때 포인터(210)가 놓여진 아이콘(208)은 선택된다. 한편, 사용자가 트랙볼(214)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선택 스위치(30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며, 트랙볼(214)도 선택 스위치(304)의 복원에 따라 연동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이동된다. 선택 스위치(304)의 복원에 따른 기구적인 구성은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메뉴 검색을 위한 마우스부가 휴대폰 하측면에 구비된 휴대폰의 후면 사시도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은 플립형 휴대폰을 일예로서 도시하였다.
이하 상기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볼(504)은 휴대폰 본체(500)의 하측면 상단에 배터리부(502)와 평행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상기 트랙볼(504)은 휴대폰의 무선 인터넷 모드시 동작이 활성화되며, 사용자가 상기 휴대폰의 하측면에 위치된 트랙볼(504)을 평평한 책상위나 마우스 패드위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제어부(106)는 상기 트랙볼의 좌표값을 인식하여 휴대폰 표시부(102)에 디스플레이되는 윈도우 화면내 마우스 포인터를 상기 좌표값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트랙볼(504)을 이용하여휴대폰의 인터넷 화면에서 네비게이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키입력부(100)에 새로이 구비되는 메뉴 선택키 또는 종래 키입력부(100)내의 기능키들을 조합한 키조작을 통해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된 해당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폴더형 휴대폰에 마우스부를 적용한 예와 플립 또는 바형 휴대폰의 후면에 마우스부를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른 형태의 휴대폰에도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즉, 예를 들어, 마우스부를 플립형 또는 바형 휴대폰의 키패드부에 구비하거나 폴더형 휴대폰의 후면에 구비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의 전면 또는 후면에 마우스부를 구비시킴으로써 휴대폰의 각종 메뉴 선택이나 무선 인터넷 모드시 윈도우 화면 네비게이션을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게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폰의 표시부 평면상에서 움직이는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상기 휴대폰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우스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2.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외부 일측면에 형성되어 표시부 평면상에서 움직이는 마우스 포인터의 좌표값을 출력하는 마우스부와,
    상기 마우스부로부터 출력되는 좌표값을 수신하여 표시부내 마우스 포인터를 상기 좌표값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마우스 포인터를 윈도우 화면내 해당 위치에 표시시키는 표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부는,
    상기 휴대폰의 본체 패널 상측에 일부 돌출 되도록 형성되어 자유로운 회전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휴대폰의 표시부 평면상에서 움직이는 포인터의 움직임을제어하는 트랙볼과,
    상기 트랙볼의 측면에 인접되도록 상기 패널 내측에 장착되는 제1방향센서와,
    상기 제1방향센서에 직교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트랙볼의 다른 측면에 인접되는 제2방향센서와,
    상기 트랙볼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폰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트랙볼의 눌림 동작에 따라 연동되어 스위칭 되는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부는,
    상기 휴대폰의 본체 패널 상측에 일부 돌출 되도록 형성되어 자유로운 회전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휴대폰의 표시부 평면상에서 움직이는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트랙볼과,
    상기 트랙볼의 측면에 인접되도록 상기 패널 내측에 장착되는 제1방향센서와,
    상기 제1방향센서에 직교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트랙볼의 다른 측면에 인접되는 제2방향센서와,
    상기 트랙볼이 위치에 해당하는 표시부 화면내 마우스 포인터에 위치한 표시부 화면내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키는,
    상기 휴대폰의 키입렵부내에 상기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키는,
    상기 휴대폰의 키입력부에 구비된 기능키의 조합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센서는 트랙볼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포인터의 이동방향 가운데 포인터의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제2방향센서는 트랙볼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포인터의 이동방향 가운데 포인터의 상측방향과 하측방향의 움직임을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부는,
    상기 휴대폰의 상측 일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부는,
    상기 휴대폰의 하측 일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은,
    폴더형 휴대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은,
    플립형 휴대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은,
    바형 휴대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KR1020000052691A 2000-03-16 2000-09-06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KR100790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393 2000-03-16
KR20000013393 2000-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856A true KR20010091856A (ko) 2001-10-23
KR100790090B1 KR100790090B1 (ko) 2007-12-31

Family

ID=1965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691A KR100790090B1 (ko) 2000-03-16 2000-09-06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09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488A (ko) * 2001-11-30 2003-06-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볼 스위치 휴대용 단말기
KR20040018050A (ko) * 2002-08-24 2004-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우스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455149B1 (ko) * 2002-05-03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20050018120A (ko) * 2003-08-13 2005-02-23 조영봉 핸드폰
KR100687229B1 (ko) * 2005-06-07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포인터 매핑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장치및 방법
KR100739220B1 (ko) * 2002-06-17 2007-07-18 주식회사 다안전자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KR100773504B1 (ko) * 2005-06-11 2007-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각선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KR100791286B1 (ko) * 2005-11-16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1040730A2 (ko) * 2009-10-01 2011-04-07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의료장비에서의 메뉴 조작방법
US8059094B2 (en) 2006-01-06 2011-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navigation in three-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8467B2 (ja) * 1992-09-08 2002-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機
US5969698A (en) * 1993-11-29 1999-10-19 Motorola, Inc. Manually controllable cursor and control panel in a virtual image
US5729219A (en) * 1996-08-02 1998-03-17 Motorola, Inc. Selective call radio with contraposed touchpad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488A (ko) * 2001-11-30 2003-06-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볼 스위치 휴대용 단말기
KR100455149B1 (ko) * 2002-05-03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0739220B1 (ko) * 2002-06-17 2007-07-18 주식회사 다안전자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KR20040018050A (ko) * 2002-08-24 2004-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우스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50018120A (ko) * 2003-08-13 2005-02-23 조영봉 핸드폰
KR100687229B1 (ko) * 2005-06-07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포인터 매핑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장치및 방법
KR100773504B1 (ko) * 2005-06-11 2007-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각선 메뉴 네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KR100791286B1 (ko) * 2005-11-16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059094B2 (en) 2006-01-06 2011-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navigation in three-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11040730A2 (ko) * 2009-10-01 2011-04-07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의료장비에서의 메뉴 조작방법
WO2011040730A3 (ko) * 2009-10-01 2011-11-03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의료장비에서의 메뉴 조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090B1 (ko) 2007-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0092B2 (ja) 携帯情報端末
JP2001076582A (ja) 電子機器
US20050124387A1 (en) Portable apparatus user interface
JP2004511849A (ja) ハンドヘルド機能装置のための手段
JP2001069223A (ja) 通信装置
US9176526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image display method used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o record program for same
KR100790090B1 (ko)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WO2001075580A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a dynamic keypad display
US8195252B2 (en) Input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ing scroll key
EP1991983A2 (en) Wireless telephone handset with internet browsing capability
JP200211181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携帯型通信装置
JP2000236376A (ja) 携帯電話装置
JP2009200665A (ja) 携帯端末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318640A (ja) 小型電子機器
JP2002358155A (ja) 入力装置
KR20050050803A (ko) 회전/누름 겸용 입력 장치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와그의 따른 데이터 입력방법
KR20020016080A (ko) 터치 패드를 구비한 폴더형 단말기
KR1010335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EP2006761B1 (en) Appearance adaptable keypad for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KR200369021Y1 (ko)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20080211770A1 (en) Pointing device, portable terminal, point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strap
JP3201372B2 (ja) 携帯通信装置
KR100247076B1 (ko) 한손으로조작가능한소형복합기의키입력장치
JP2001016312A (ja) 移動体通信端末装置
KR20060019440A (ko)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