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8120A - 핸드폰 - Google Patents

핸드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8120A
KR20050018120A KR1020030056111A KR20030056111A KR20050018120A KR 20050018120 A KR20050018120 A KR 20050018120A KR 1020030056111 A KR1020030056111 A KR 1020030056111A KR 20030056111 A KR20030056111 A KR 20030056111A KR 20050018120 A KR20050018120 A KR 20050018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pcb
sensor
unit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봉
Original Assignee
조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봉 filed Critical 조영봉
Priority to KR1020030056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8120A/ko
Publication of KR20050018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12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어 케이스 상부로 노출된 다방향 선택버튼부를 눌러 프론트 케이스에 내설된 엘시디판의 커서가 상하,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하고, 리어 케이스에 형성된 클릭버튼부를 눌러 커서가 위치한 메뉴가 실행되도록 구성된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다방향 선택버튼부는 피시비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가로축 이동량 감지부와 세로축 이동량 감지부에 볼이 밀착되어 리어 케이스의 바깥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다방향 선택버튼부 하부의 볼과 피시비 사이에 클릭버튼부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져 휴대폰을 이용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및 전자메일 그리고 동영상 등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핸드폰{Mobile phone}
본 발명은 핸드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볼을 이용하여 커서의 방향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커서가 멈춘 상태에서 볼을 눌러 메뉴가 실행 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을 이용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및 전자메일 그리고 동영상 등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리어 케이스의 내부에 메인회로기판과 배터리 및 안테나 등의 부품들이 내설되고, 상기 리어 케이스의 상부에 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프론트 케이스의 내부에는 엘시디판 등의 부품들이 내설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프론트 케이스가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되어져 휴대폰의 부피를 줄임과 동시에 온/오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폰(A)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2)와, 프론트 케이스(3)와, 배터리(6)로 구성하되, 상기 리어 케이스(2)는 상부에 키패드(7)가 설치됨과 동시에 그 내부로 미도시한 메인회로기판이 설치되고, 그 상부 일측에는 안테나(8)가 설치되어 있고, 후방에는 미도시한 록킹 노브에 의해 상기 배터리(6)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엘시디판(4)에 띄워지는 메뉴 선택을 위한 다방향 선택버튼부(1)와 클릭버튼부(5)가 키패드(7)에 일체로 형성되어 리어 케이스(2)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3)는 리어 케이스(2)의 상부에 힌지(9)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엘시디판(4)이 내설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폰(A)의 통화를 위해 키패드(7)를 누르게 되면, 메인회로기판의 신호를 입력받은 각종 부품(기기)들이 작동하여 휴대폰이 사용가능하게 됨은 물론 안테나(9)에서는 특정 주파수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휴대폰의 메뉴 선택이나 인터넷 검색 그리고 전자메일 등을 확인 할 경우에는 리어 케이스(2)의 윗면으로 노출된 다방향선택 버튼부(1)의 좌측이나 우측 또는 상측이나 하측을 선택적으로 번갈아 눌러 가면서 커서를 이동시킨 후 그 일측에 구비된 클릭버튼부(5)를 눌러 메뉴가 실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방향 선택버튼부(1)는 하나의 메뉴 선택일 경우에는 사용이 편리하나, 다수의 연속적인 메뉴 선택 또는 인터넷 검색이나 게임을 즐길 경우에는 여러번 반복해서 눌러야 하고, 누른 후 그 일측에 있는 다른 클릭버튼부를 순차적으로 눌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폰을 이용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및 전자메일 그리고 동영상 등을 즐기는 과정에서 엘시디판에 띄워진 커서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핸드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어 케이스 상부로 노출된 다방향 선택버튼부를 눌러 프론트 케이스에 내설된 엘시디판의 커서가 상하,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하고, 리어 케이스에 형성된 클릭버튼부를 눌러 커서가 위치한 메뉴가 실행되도록 구성된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다방향 선택버튼부는 피시비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가로축 이동량 감지부와 세로축 이동량 감지부에 볼이 밀착되어 리어 케이스의 바깥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다방향 선택버튼부 하부의 볼과 피시비 사이에 클릭버튼부가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A)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2)에 노출되도록 구비된 다방향 선택버튼부(1)와, 상기 다방향 선택버튼부(1)의 하부에 구비된 클릭버튼부(5)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다방향 선택버튼부(1)는 핸드폰(A)의 엘시디판(4)에 띄워지는 메뉴나 게임 또는 인터넷 검색나 전자메일 그리고 동영상을 보려고 할때 커서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주된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다방향 선택버튼부(1)는 피시비(11)와, 가로축 이동량 감지부 (12)와 세로축 이동량 감지부(13)와, 볼(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시비(11)는 그 위에 고정되거나 설치될 부품을 받침과 동시에 이들을 고정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로축 이동량 감지부(12)는 볼(14)의 세로방향의 회전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전기신호에 따라 미도시한 제어부에 의해 엘시디판(4)에 있는 커서가 상하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로축 이동량 감지부(12)는 피시비(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센싱부(123)와, 볼(14)의 회전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 1센싱휠 (125)을 갖는 제 1로울러(126)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센싱부(123)는 소정의 빛을 발생시키는 제 1발광센서(121)와, 제 1발광센서(121)로 부터 발생된 빛의 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미도시한 제어부로 인가시키는 제 1수광센서(12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센싱휠(125)은 제 1로울러(126)의 일측단에 일체로 형성하고, 제 1발광센서(121)와 제 1수광센서(122)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 1센싱휠 (125)에는 다수개의 슬릿홀(124)이 형성되어 제 1발광센서(121)로 부터 발생된 빛이 제 1수광센서(122)로 비쳐지는 과정에서 빛의 량이 조절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로울러(126)는 피시비(11)로 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이격시킴과 동시에 볼(14)의 표면에 이를 밀착시키도록 하기 위해 상단이 개방된 안착홈(127)을 갖는 제 1지지대(128)에 의해 받쳐지면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세로축 이동량 감지부(13)는 볼(14)의 가로방향의 회전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전기신호에 따라 미도시한 제어부에 의해 엘시디판(4)에 있는 커서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피시비(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센싱부(133)와, 볼(14)의 회전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 2센싱휠 (135)을 갖는 제 2로울러(136)로 구성된다.
상기 제 2센싱부(133)는 소정의 빛을 발생시키는 제 2발광센서(131)와, 제 2발광센서(131)로 부터 발생된 빛을 감지하고, 감지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미도시한 제어부로 인가시키는 제 2수광센서(132)로 구성된다.
상기 제 2센싱휠(135)은 제 2로울러(136)의 일측단에 일체로 형성하고, 제 2발광센서(131)와 제 2수광센서(132)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 2센싱휠 (135)에는 다수개의 슬릿홀(134)이 형성되어 제 2발광센서(131)로 부터 발생된 빛이 제 2수광센서(132)로 비쳐지는 과정에서 빛의 량이 조절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로울러(136)는 피시비(11)로 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이격시킴과 동시에 볼(14)의 표면에 이를 밀착시키도록 하기 위해 상단이 개방된 안착홈(137)을 갖는 복수개의 제 2지지대(138)에 의해 받쳐지면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클릭 버튼부(5)는 다방향 선택버튼부(1)의 작동으로 인해 엘시디판(4)에 있는 커서가 상하, 좌우 중 임의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다방향 선택버튼부(1)를 누름과 동시에 이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클릭 버튼부(5)는 절연함체(51)의 하부에 고정된 복수개의 고정단자(52)(52') 상부로 가동단자(53)를 갖는 노브(54)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단자(52)(52')와 노브(54)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55)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클릭 버튼부(5)는 다방향 선택버튼부(1)의 하부인 볼(14)과 피시비(11) 사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볼(14)이 리어 케이스(2)의 상부 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걸림턱(21)을 갖는 관통공(22)에 중앙이 오픈된 상태를 취하는 캡(23)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A)을 이용하여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및 전자메일 그리고 동영상 등을 즐기기 위해서는 먼저, 핸드폰(A)의 프론트 케이스(3)를 오픈 시킨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14)의 표면에 손가락을 올려 놓고 상향으로 밀어 올릴 경우에는 볼(14)의 하측 표면에 맏닿아 있는 가로축 이동량 감지부(12)의 제 1로울러(126)가 회전을 하게 된다.
다음, 제 1로울러(126)의 회전으로 인해 그 단부에 형성된 제 1센싱휠(125)이 연동되는 과정에서 제 1센싱휠(125)에 다수개의 슬릿홀(124)이 형성되어 있고, 제 1발광센서(121)로 부터 발생된 빛이 슬릿홀(124)을 통해 제 1수광센서(122)로 비쳐지게 됨으로써, 제 1수광센서(122)로 비쳐지는 빛의 량이 조절되며 그 형태는 펄스형태를 갖게 된다.
이러한 빛에 의해 발생된 전기신호는 미도시한 제어부로 인가되며, 제어부는 이를 비교, 판단하여 엘시디판(4)의 비쳐지는 커서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볼(14)을 하부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커서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볼(14)을 좌우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볼(14)의 좌측 하부의 표면에 맏닿아 있는 세로축 이동량 감지부(13)의 제 2로울러(136)가 회전을 하게 된다.
다음, 제 2로울러(136)의 회전으로 인해 그 단부에 형성된 제 2센싱휠(135)이 연동되는 과정에서 제 2센싱휠(135)에 다수개의 슬릿홀(134)이 형성되어 있고, 제 2발광센서(131)로 부터 발생된 빛이 슬릿홀(134)을 통해 제 2수광센서(132)로 비쳐지게 됨으로써, 제 2수광센서(132)로 비쳐지는 빛은 펄스형태를 띄게 된다.
이러한 빛에 의해 발생된 전기신호는 미도시한 제어부로 인가되며, 제어부는 이를 비교, 판단하여 엘시디판(4)의 떠있는 커서를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같은 상태에서 볼(14)을 누르면 볼(14)의 하부에 맏닿아 있는 클릭버튼부 (5)의 노브(54)가 스프링(55)을 압축시키면서 피시비(11)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노브(54)의 하부에 형성된 가동단자(53)가 절열함체(51)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단자 (52)(52')에 접속됨과 동시에 전기신호가 제어부로 인가됨에 따라 현재의 커서 위치에 있는 메뉴, 게임, 인터넷 검색, 전자메일 및 동영상 등이 실행되면서 엘시디판(4)을 통해 외부로 비쳐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다방형 선택 버튼부(1)의 하부인 볼(14)과 피시비(11) 사이에 클릭버튼부(5)를 고정시켜 사용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방향 선택버튼부(1)를 리어 케이스(2)의 상부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사용할 경우, 양손가락으로 빠르게 번갈아 사용할 수 있다. 즉, 오른손가락으로는 상하, 좌우로 커서의 방향만을 이동시키고, 왼손가락으로는 클릭버튼부(5)를 빠르게 눌러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방형 선택 버튼부(1)의 하부인 볼(14)과 피시비(11) 사이에 클릭버튼부(5)를 고정시켜 사용하였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방향 선택버튼부(1)를 리어 케이스(2)의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사용할 경우, 오른손의 엄지만으로 커서의 상하, 좌우 방향을 이동시키고, 볼(14)을 눌러 그 내부에 구비된 미도시한 클릭버튼부를 접속시켜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다방형 선택 버튼부(1)를 구성하는 볼(14)과 피시비 (11) 사이에 클릭버튼부(5)를 고정시켜 사용하였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방향 클릭버튼부(5)를 리어 케이스(2)의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리어 케이스(2)의 상부에 클릭 선택부(5)를 노출되도록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볼을 이용하여 엘시디판의 커서를 네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볼을 눌러 커서가 위치한 메뉴나 명령이 실행 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을 이용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및 전자메일 그리고 동영상 등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선택버튼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다방향 선택버튼부 2:리어 케이스
3:프론트 케이스 4:엘시디판
5:클릭버튼부 11:피시비
12:가로축 이동량 감지부 13:세로축 이동량 감지부
14:볼 51:절연함체
52,52':고정단자 53:가동단자
54:노브 55:스프링
121:제 1발광센서 122:제 1수광센서
123:제 1센싱부 124:슬릿홀
125:제 1센싱휠 126:제 1로울러
127:안착홈 128:제 1지지대
131:제 2발광센서 132:제 2수광센서
133:제 2센싱부 134:슬릿홀
135:제 2센싱휠 136:제 2로울러
137:안착홈 138:제 2지지대

Claims (4)

  1. 리어 케이스(2) 상부로 노출된 다방향 선택버튼부(1)를 눌러 프론트 케이스(3)에 내설된 엘시디판(4)의 커서가 상하,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하고, 리어 케이스(2)에 형성된 클릭버튼부(5)를 눌러 커서가 위치한 메뉴가 실행되도록 구성된 핸드폰(A)에 있어서,
    상기 다방향 선택버튼부(1)는 피시비(11)의 전기적으로 접속된 가로축 이동량 감지부(12)와 세로축 이동량 감지부(13)에 볼(14)이 밀착되어 리어 케이스(2)의 바깥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다방향 선택버튼부(1) 하부의 볼(14)과 피시비(11) 사이에 클릭버튼부(5)가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축 이동량 감지부(12)는 피시비(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발광센서(121)와 제 1수광센서(122)로 구성된 제 1센싱부(123)와, 슬릿홀(124)이 형성된 제 1센싱휠(125)을 갖는 제 1로울러(126)가 개방된 안착홈(127)이 형성된 제 1지지대(128)에 의해 볼(14)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 1센싱휠(125)이 제 1발광센서(121)와 제 1수광센서(122)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축 이동량 감지부(13)는 피시비(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발광센서(131)와 제 2수광센서(132)로 구비된 제 2센싱부(133)와, 슬릿홀(134)이 형성된 제 2센싱휠(135)을 갖는 제 2로울러(136)가 개방된 안착홈(137)이 형성된 제 2지지대(138)에 의해 볼(14)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 2센싱휠(135)이 제 2발광센서(131)와 제 2수광센서(132)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 버튼부(5)는 절연함체(51)의 하부에 고정된 복수개의 고정단자 (52)(52') 상부로 가동단자(53)를 갖는 노브(54)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단자 (52)(52')와 노브(54) 사이에는 스프링(55)이 끼워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KR1020030056111A 2003-08-13 2003-08-13 핸드폰 KR20050018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111A KR20050018120A (ko) 2003-08-13 2003-08-13 핸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111A KR20050018120A (ko) 2003-08-13 2003-08-13 핸드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120A true KR20050018120A (ko) 2005-02-23

Family

ID=3722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111A KR20050018120A (ko) 2003-08-13 2003-08-13 핸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8120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582A (ko) * 1997-04-21 1998-11-16 윤종용 트랙볼을 이용한 휴대폰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JP2001224046A (ja) * 1999-11-04 2001-08-1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立体画像のためのスクリーンを有する装置
KR20010091856A (ko) * 2000-03-16 2001-10-23 윤종용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KR20020057203A (ko) * 2000-12-30 2002-07-11 송문섭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장치
KR20030041430A (ko) * 2001-11-20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포인터 제어장치
KR20030044488A (ko) * 2001-11-30 2003-06-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볼 스위치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582A (ko) * 1997-04-21 1998-11-16 윤종용 트랙볼을 이용한 휴대폰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JP2001224046A (ja) * 1999-11-04 2001-08-1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立体画像のためのスクリーンを有する装置
KR20010091856A (ko) * 2000-03-16 2001-10-23 윤종용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KR20020057203A (ko) * 2000-12-30 2002-07-11 송문섭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장치
KR20030041430A (ko) * 2001-11-20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포인터 제어장치
KR20030044488A (ko) * 2001-11-30 2003-06-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볼 스위치 휴대용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5381B2 (en) Computer keyboard
US7294795B1 (en) Slide switch
JP2002025394A (ja) 複合操作スイッチ
JPH04121923A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構造
US10354816B2 (en) Operating device
CN108062167B (zh) 一种键盘装置
JP3890863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3045291A (ja) 操作ボタン構造
KR20050018120A (ko) 핸드폰
RU2006141789A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клавишный узел
JP2000215761A (ja) 多方向操作キ―構造
EP1571539B1 (en) Mobile terminal with erroneous operation eliminated
CN211752422U (zh) 游戏辅助设备
JP2000149703A (ja) 多回路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20050248472A1 (en) Smart key exclusively for telephones calculator, remote controller and camera
CN220474520U (zh) 按键装置以及游戏掌机
CN219370849U (zh) 按键结构及带按键的设备
US6309332B1 (en) Touch counter for an exercise device
US8253597B2 (en) Keyboard providing power control
JP2001265527A (ja) トラックボール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370673Y1 (ko) 조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단말기
JPH0350594Y2 (ko)
KR1005436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장치
JP2004021790A (ja) 多方向入力装置
KR200161547Y1 (ko) 리모컨의 방향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