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0315A -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0315A
KR20010090315A KR1020000015162A KR20000015162A KR20010090315A KR 20010090315 A KR20010090315 A KR 20010090315A KR 1020000015162 A KR1020000015162 A KR 1020000015162A KR 20000015162 A KR20000015162 A KR 20000015162A KR 20010090315 A KR20010090315 A KR 20010090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rver
car
repai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8260B1 (ko
Inventor
연제현
Original Assignee
김경회
주식회사 카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회, 주식회사 카마스 filed Critical 김경회
Priority to KR10-2000-0015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260B1/ko
Publication of KR20010090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2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출장 서비스를 받을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한 출장점검 요청을 수신하여 서버에서 해당 영업소로 통지하고; 출장점검 요청을 통지받은 영업소는 현장으로 출동하여 차량의 이상유무를 파악하고, 현장 수리가 가능한지를 판단하여 현장 수리가 가능하면 현장에서 수리하고, 현장 수리가 가능하지 않으면 예상 수리비 견적서를 작성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지정점으로 예상 수리비 견적서를 전송하고, 지정점은 예상 수리비 견적서의 내용에 따라 차량을 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자동자 소유자는 정기적인 점검을 통하여 자동차의 이상유무를 사전에 발견하고, 이상 발생 시 예상 수리비 견적서를 제공하여 부당한 가격을 지불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하고 자동차의 주행수명을 연장시키며 자동차 수리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Total Service in a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과 자동차 관리 서비스업의 접목을 통하여 자동차 관리 사업 및 자동차 관련 부대사업을 확대하고, 전국적인 체인망의 구축을 통해 고객과 1:1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 나라의 자동차 보유대수는 1천만 대에 이르고 있으나, 자동차 문화는 여전히 후진국 수준을 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자동차 관리에 대한 인식과 정보가 부족하여 운전경력이 10년이 넘은 운전자라 하더라도 타이어 하나 제대로 교체하지 못하는 운전자가 태반이다. 그러므로, 자동차 소유자들은 평소 자신의 차량에 대한 점검이나 정비를 직접하기 보다는 고장 또는 사고 발생 시 정보업소를 찾는 것이 관례화 되고 있다.
자동차를 오래 타려면 꾸준한 자동차 관리가 선결조건이지만 바쁜 현대인에게는 그리 쉬운 문제가 아니다. 또한, 자동차 정비업소를 가더라도 방문하는 정비업소마다 견적이 틀리게 나와 정비업소를 신뢰하기 어려우며, 특히 자동차 정비에 서투른 여성 운전자의 경우 정비를 받고도 정비업소에서 제시한 가격이 올바른 가격인지를 의심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는 기존의 자동차 관리업체에서 정비를 위한 점검 즉, 이윤추구를 위한 수단에 기인하여 과장 점검을 해왔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아직도 점검과 정비의 분업을 통한 서비스의 투명성을 확보한 자동차 관리업체가 없음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자동차를 산 뒤 약 3∼4년 정도 지나면, 자동차의 고장을 걱정하게 되며, 이때부터 자동차는 실내 잡소리와 연비 감소 등 각종 자동차의 노후증세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이 시기에 배터리와 브레이크 라이닝, 벨트, 배선류 등 소모성 부품을 전체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하지만, 자동차를 정비할 자신이 없는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이 시기에 새 자동차로 교체한다. 현재 우리 나라 자동차의 평균 주행수명은 12만 km밖에 되지 않으며, 이는 미국의 30만 km, 일본의 40만 km와 많은 차이가 있다. 또한, 자동차 교체시기는 국내 운전자의 경우 평균 3년 4개월이며, 이는 미국의 7년 10개월, 프랑스의 8년, 일본의 9년 5개월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 자동차 전문가들은 한 달에 한 번 정도 자동차의 각 부분과 부품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습관을 들이면 자동차의 주행수명을 40만 km∼50만 km까지 연장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현재 보험사의 용역을 받아 몇몇 업체에서 자동차 정비 및 24시간 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상출동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지만, 출동시간이 느리고 비용의 대폭적인 증가와 보험사간의 차별성이 없기 때문에 운전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자동차 서비스 제공방법은 자동차 소유자의 호출에 의해 출동하는 '이상 발생 후 출동'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일부 카센터 또는 정비업소는 고객 차량 정비 시 정품을 사용하지 않거나 비싼 수리비를 요구하여 고객으로부터 불신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정기적인 출장 점검 및 관리를 해주면서 정비 시 실제 정비가격과차이나는 가격을 지불하거나 불필요한 정비를 미연에 방지해주는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이 자가 운전자에게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출장 점검은 영업소가 담당하고 정비는 지정 정비업체가 담당함으로써, 과잉정비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자동차 관리의 투명성, 편의성,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기적인 점검을 통하여 자동차의 이상유무를 사전에 발견하고, 이상 발생 시 예상 수리비 견적서를 제공하여 부당한 가격을 지불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하고 자동차의 주행수명을 연장시키며 자동차 수리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지정점 이용 시 정비 내역 및 비용을 고객이 일일이 기억하는 불편을 해소하도록 해당 자동차의 수리이력을 은행식 차계부 또는 인터넷 차계부에 기재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지 해당 자동차의 수리이력을 보고 자동차 부품의 교환시기 및 자동차의 이상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서비스의 범위를 자동차 관리에 국한하지 않고, 인터넷 등을 통해 자동차 보험, 신차 또는 중고차 판매, 자동차 부품판매, 자동차 사고의 관리 등 자동차에 관련된 제반 서비스를 모두 제공함으로써, 자동차 소유자의차량 관리에 대한 부담을 해소함과 동시에 신속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정기적인 출장 점검을 고객이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제공함으로써, 자동차의 이상 발생 시 직접 정비업소에 가서 정비를 받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사전점검에 따른 자동차 관리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 사이트의 예시적인 홈페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원가입 신청서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장식 차계부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차계부의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차계부의 확인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서버 12: 영업소
14: 지정점 16: 회원
20: 통신장치 24: 브라우저
28: 서버 30: 서버 프로그램
32: 처리 프로그램 34: 데이터베이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출장 서비스를 받을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한 출장점검 요청을 수신하여 서버에서 해당 영업소로 통지하고; 출장점검 요청을 통지 받은 영업소는 현장으로 출동하여 차량의 이상유무를 파악하고, 현장 수리가 가능한지를 판단하여 현장 수리가 가능하면 현장에서 수리하고, 현장 수리가 가능하지 않으면 예상 수리비 견적서를 작성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지정점으로 예상 수리비 견적서를 전송하고, 지정점은 예상 수리비 견적서의 내용에 따라 차량을 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영업소 또는 지정점의 점검 내용을 차계부에 기재하고; 차계부에 기재된 점검 내용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차계부는 통장 발급기를 통해 점검 내용을 기재하는 통장식 차계부와 인터넷을 통해 점검 내용을 기재하는 인터넷 차계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며, 본 발명은 서버(10), 영업소(12), 지정점(14) 및 회원(16)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서버(10)는 실제로 자동차 종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인터넷 등에 연결된 서버컴퓨터를 의미하고, 영업소(12), 지정점(14) 및 회원(16)의 관리,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자동차 관리 및 인터넷 종합 서비스를 주 업무로 하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사이버 자동차 관리에는 인터넷 차계부 제공 및 작성, 정기적인 출장 점검, 예상 수리비 견적서 발급 등이 포함되고, 인터넷 종합 서비스에는 신차 및 중고차의 매매 알선, 자동차 품질평가, 쇼핑몰 운영(예를 들면, 자동차 관련 용품의 할인판매), 자동차 보험 가입, 자동차 사고의 처리, 자동차에 관한 궁금증 해결, 비상출동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서버(10)는 서버 프로그램, 처리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서버(10)를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이용하기 편리한 사이트의 개설, 영업소(12), 지정점(14) 및 회원(16)의 모집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서버 관리자(즉, (주)카마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서버 프로그램, 처리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영업소(12)는 출장 점검 서비스를 주 업무로 하고, 보험가입 절차 대행, 신차 및 중고차 판매, 예상 수리비 견적서 발급, 현장 수리 가능 시 부품의 원가 교환 등의 부대 업무도 수행한다. 출장 점검 서비스는 회원(16)의 종류에 따라 정기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출장 점검의 요청 시 제공할 수도 있다. 영업소(12)의 출장점검 시 점검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각종 오일(엔진, 기아, 브레이크, 파워 스티어링) 점검 및 무료 보충.
2. 각종 벨트(팬벨트, 파워벨트, 에어컨벨트)류 점검.
3. 전구(전조등, 방향지시등, 브레이크등, 실내등, 미등)류 점검.
4. 시스템 부분(배터리, 충전장치, 점화플러그, 플러그배선, 냉각장치, 전자제어, 브레이크, 핸드브레이크, 조향장치, 클러치) 점검.
5. 엔진룸 세척 무료.
6. 각종 벨트류, 점화플러그, 브레이크 패드, 라이닝 등 부품원가에 교환.
7. 기타(타이어상태, 타이어공기압, 브레이크라이닝, 냉각수, 워셔액, 휴즈류) 점검.
이러한 출장 점검 서비스의 장점은 자동차 관리비용을 30% 이상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엔진내부 청소로 유류비를 절감하고, 사전 견적서 발급으로 과다한 수리비의 지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전문가를 통해 자동차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다. 영업소(12)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초기 창업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며,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휴대폰, 양방향 호출기, 휴대용 컴퓨터 장치,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등)를 구비한 상태에서는 무점포 사업도 가능하지만 반드시 1급 정비기사가 1명 이상 있어야 한다. 초기 창업비용의 내역은 지역독점권 부여, 브랜드 사용료, 광고/홍보 지원을 위한 가맹비, 첨단 컴퓨터 진단기 제공, 고객관리 프로그램 지원, 콤프레셔 및 점검장비를 위한 공구 및 부품비, 차량 진단서 및 계약서, 홍보용 전단지, 제휴 카드(예를 들면, 삼성 카드 등)의 발급 신청서, 점검 기록부를 위한 회원 관리비로 이루어져 있다. 서버(10)에 가입한 영업소(12)는 회원(16)의 회비수익, 출장점검수익(제휴업체회원), 보험수익, 자동차 용품 및 부품 판매수익을 올릴 수 있으며, 재고/외상없는 현금사업과 지속적인 회원 관리로 평생사업을 영유할 수 있다는 혜택이 있다. 이러한 혜택을 영업소(12)에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서버(10)는 축적된 기술/영업 노하우, 홍보물 및 자동차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신문, 라디오, TV의 광고를 통해 영업소(12)들이 고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끊임없는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정점(14)은 자동차의 정비 및 수리를 주 업무로 하고, 회원관리 프로그램의 운영, 고정 고객 확보, 비상출동 서비스 등의 부대 업무도 수행한다. 회원관리 프로그램은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며, 이 회원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각 회원의 수리 및 거래내역의 조회, 통장식 차계부의 발급, 각 회원에 대한 신용 조회, 자기만의 정비노하우의 기록 및 조회, 차량별 부품 및 공임 자료의 검색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에 가입한 지정점(14)은 영업소(12)로부터 안정적인 정비물량을 공급받으므로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고, 영업소(12)에서 작성한 예상 수리비 견적서를 통하여 정비 및 수리를 할 수 있으므로 이중 점검에 의한 시간 및 업무효율의 낭비를 감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정점(14)의 안정적인 수익을 위해 서버(10)는 일정 인구(예를 들면, 5만 명)에 대해 하나의 정비업소가 지정점(14)으로 선택되면 같은 구역 내의 타 정비업소의 가입을 배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원(16)은 등급에 따라 패밀리 회원, 스탠더드 회원, 골드 회원, VIP 회원으로 나뉘고, 각 회원의 등급별로 연회비 및 서비스 내용이 서로 다르다. 회원이 되면 자동차 관리비용 30% 이상 절감 가능, 자동차 수명 연장, 수리비 및 유류비 절감, 운행 중 고장이나 사고의 사전방지, 고장으로 인한 정비업소 방문빈도 감소, 과다한 수리비 지출방지, 중고자동차 판매 시 높은 가격 보장 등의 특전을 누릴 수 있다. 우선, 서버(10)는 많은 수의 패밀리 회원을 확보하고, 보다 많은 서비스 및 많은 특전을 부여하여 더 높은 등급의 회원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본 발명은 크게 통신장치(20), 브라우저(24)와 서버(28)로 구성되며, 통신장치(20)와 서버(28)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을 통해 연결되고, 브라우저(24)와 서버(28)는 인터넷(26)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통신장치(20)는 서버(28)와 통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화기, 팩시밀리, 셀룰러폰, 휴대용 컴퓨터 장치 등을 포함하고, 브라우저(24)는 일반 컴퓨터 사용자(예를 들면, 회원, 영업소, 지정점)가 사용하는 컴퓨터와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넷스케이프 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같은 웹브라우저(web browser)를 의미한다.
서버(28)는 서버 프로그램(30), 처리 프로그램(32) 및 데이터베이스(34)로 이루어져 있고, 서버이름(예를 들면, www.camas.co.kr)이 도메인 네임서버에 등록되어 있으며, 일반 컴퓨터 사용자가 URL형식(예를 들면, http://www.camas.co.kr)으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서버하드웨어로서 웹서버 프로그램이 반드시 설치되고 실행되어야 한다.
서버 프로그램(30)은 통신장치(20) 및 브라우저(24)와 PSTN망(22) 및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PSTN망(22)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형식으로 전환하는 역할과 브라우저(24)로부터 전송되는 URL형식의 정보검색요청을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다. 이 서버 프로그램(30)에는 유닉스용 서버인 NCSA, CERN, Apache, JIGSAW, 윈도우NT용 서버인 IIS, 그리고 윈도우NT와 윈도우95/98겸용 서버인 WebSite 등이 있다.
처리 프로그램(32)은 서버 프로그램(30)과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컴퓨터 사용자의 정보입력(예를 들면, 출장 점검 요청, 회원가입에 대한 정보입력 등)을 처리하기 위하여 서버-클라이언트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고, 일반적으로 CGI(Common Gateway Interface) 또는 ASP(Active Sever Page)라는 표준화된 정보의 상호전달 방식을 사용한다. 처리 프로그램(32)은 회원들의 정보 및 회원들의 수리내역 등을 원활하게 관리하기 위한 회원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컴퓨터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는 CGI 및 ASP 형식으로 전환되어 서버(28)에 도착하게 되고, 처리 프로그램(32)은 도착된 데이터를 CGI 및 ASP 형식에 따라 해석하여 컴퓨터 사용자가 신청한 정보를 파악한다. 처리 프로그램(32)은 서버 관리자의 선택에 의해 C, 자바(Java) 또는 펄(Perl)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사이트의 특성과 정보처리 방법에 적절하게 구현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4)는 처리 프로그램(32)과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영업소, 지정점 및 회원의 정보와 각종 서비스 정보 등을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기록하는 등의 데이터베이스 갱신을 위하여 처리 프로그램(32)과 연동하여 작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서버 관리자의 선택에 의해 다른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 사이트의 예시적인 홈페이지이고, 이러한 홈페이지는 일반 컴퓨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페이지를 일반 컴퓨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버 관리자가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 사이트를 개설한 후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 또는 검색 사이트 등에 등록하여야 한다.
홈페이지의 좌측 상단에는 일반메뉴들이 위치하고, 우측 상단에는 선택메뉴들이 위치하며, 나머지 공간에는 공지사항과 자동차 뉴스와 일반 서비스 정보 및 광고들이 적절하게 배열된다. 일반메뉴에는 회원정보 변경, 적립금 확인, 정비 점검 내역, 출장점검 요청 등을 포함하는 '로그인' 메뉴, 회사 소개 및 연혁 등을 제공하는 '회사소개' 메뉴, 회원 서비스 내용과 등급별 회원에 대한 서비스 내용 및 회원가입 절차 등을 제공하는 '카마스회원가입' 메뉴, 제휴 카드 회사의 종류 및 가입절차를 제공하는 '카마스 삼성카드' 메뉴, 지역별 무인 카메라 및 CCTV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무인카메라 위치' 및 'CCTV서비스' 메뉴, 자동차에 대한 궁증금 및 하고 싶은 말 등을 기재하는 '자유게시판' 메뉴, 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메뉴들을 한 화면에 제공하여 해당 메뉴로 점프할 수 있는 'SITEMAP' 메뉴가 있다. 또한, 선택메뉴에는 신차 구입 요령과 자동차 법규 및 자동차 사고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카오피스' 메뉴, 회원 서비스와 회원가입 절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회원가입' 메뉴, 지정 정비업소와 가맹점 및 제휴업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가맹점영업소' 메뉴, 중고차의 가격정보와 중고차 구입 시 유의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고차' 메뉴, 보험종류와 보험상식 및 보험견적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자동차보험' 메뉴, 자동차에 대한 궁금증과 주식투자 및 법률상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담실' 메뉴, 드라이브 코스와 무인카메라 위치 및 CCTV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자동차나들이' 메뉴, 자동차 관련 용품의 종류 및 가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용품판매' 메뉴가 있다. 각각의 선택메뉴에는 부 메뉴가 포함되어 있으며, 컴퓨터 사용자는 해당 메뉴를 선택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 및 요청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원가입 신청서의 예시도이고, 도 3의 일반메뉴 중 '로그인' 메뉴 또는 선택메뉴 중 '회원가입' 메뉴를 선택하면 회원가입에 대한 절차가 출력되고, 본 사이트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입력하여야만 회원 자격이 부여된다. 즉, 도 4에 예시된 '회원가입 신청서'에서 요구하는 항목을 모두 입력하면 회원의 자격이 부여됨과 동시에 회원가입 신청자가 원하는 ID 및 암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회원의 등급별로 제공되는 서비스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원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원이 된 후에는 제공되는 서비스를 숙지하여 필요할 때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중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장식 차계부의 예시도이고, 통장식 차계부는 회원의 차량 수리이력(예를 들면, 수리 날짜, 수리 내용, 수리 시 차량의 주행거리 등)을 기재한 것이다. 이 통장식 차계부를 통하여 회원은 자신의 차량 수리이력을 언제나 확인할 수 있고, 지정점은 회원의 차량 수리이력을 파악하여 가장 적합한 수리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자동차 프로그램 개발업체들이 마그네틱 카드를 통해 고객관리를 지원하는데 그친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통장식 차계부는 예금통장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되어 1인 1통장이면 폐차할 때까지 차량을 관리할 수 있고, 언제 어떤 내용의 수리를 받았는지를 쉽게 알 수 있으며, 이 통장식 차계부에는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어 키보드를 이용하지 않아도 자동차와 관련한 회원의 모든 정보가 컴퓨터로 입력되는 편리성을 가지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차계부의 예시도이고, 인터넷 차계부는 통장식 차계부와 같이 회원의 차량 수리이력(예를 들면, 수리 날짜, 수리 내용, 수리 시 차량의 주행거리, 부품금액, 공임금액, 지정점)을 기재한 것이다. 통장식 차계부는 회원이 직접 소지하는 것인데 반해, 인터넷 차계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 사이트에 게재되었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인터넷 차계부를 통해 통장식 인터넷을 소지하고 있지 않거나 분실하였을 경우에 본 사이트를 방문하여 회원 ID 및 암호를 입력하면 컴퓨터가 있는 장소라면 전국 어디에서든지 자신의 수리이력을 볼 수 있다. 인터넷 차계부는 도 2의 서버(28)에 의해 자동적으로 작성되며, 회원이 지정점에서 차량의 정비 또는 수리를 받으면 지정점은 인터넷 또는 PSTN망을 통해 서버로 수리내용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수리내역을 인터넷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동작 상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먼저, 서버 관리자는 출장점검을 수행할 영업소와 자동차 정비 및 수리를 수행하는지정점을 많이 확보하고, 서버와 영업소 및 지정점 간의 네트워크망을 구축하였다고 가정한다.
서버는 PSTN망 또는 인터넷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출장점검의 요청이 있는가를 판단한다(702). 출장점검의 요청은 PSTN망을 통해 통신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출장점검 요청과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출장점검 요청이 가능하며, 출장점검은 고객의 요청에 의한 출장점검과 등급별 회원에 대한 정기적인 출장점검이 있다. 상기 단계(702)의 판단결과, 출장점검 요청이 없으면 회원에 대한 정기 출장점검인가를 판단한다(704). 판단결과 정기 출장점검이 아니면 고객으로부터 출장점검 요청 또는 회원에 대한 정기 출장점검이 있을 때까지 대기하고, 정기 출장점검이면 후술하는 단계(710)로 진행하여 후속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702)의 판단결과, 출장점검 요청이 있으면, 서버는 출장점검 요청자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위치 및 시간을 입력한다(706). 인터넷을 통한 출장점검 요청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출력된 항목에 서비스를 받을 위치 및 시간을 기재하면 되고, PSTN망을 통한 출장점검 요청의 경우에는 서버 관리자가 출장점검 요청자를 대신하여 입력한다. 서버는 출장점검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영업소에 출장점검의 위치 및 시간을 PSTN망 또는 인터넷을 통해 통지한다(708). 이러한 통지를 받은 영업소는 현장으로 출동하여(710) 차량을 점검한 후, 차량의 이상유무를 판단한다(712). 판단결과,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면 출장점검 결과를 출장점검 요청자에게 현장에서 제시(714)한 후, 점검내용을 서버에 전송하거나 통지함과 동시에 출장점검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 단계(712)의 판단결과, 이상이 있으면 그 이상이 현장에서 수리가 가능한가를판단한다(716). 판단결과, 현장수리가 가능하면 현장에서 차량의 이상을 치유하고, 현장에서 수리가 불가능하면 해당 부품에 대한 예상 수리비 견적서를 작성하여 출장점검 요청자에게 발급한다(720).
차량의 이상을 지정점에서 수리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차량과 함께 예상 수리비 견적서를 지정점에 제시한다(722). 지정점은 이상유무를 체크를 다시 할 필요없이 영업소가 작성한 예상 수리비 견적서를 파악하여 그 내용대로 차량을 정비 및 수리한다(724). 정비 및 수리 후, 지정점은 정비 요청자가 통장식 차계부가 있는가를 조사(726)하여 통장식 차계부가 없는 경우 정비 요청자에게 통장식 차계부를 발급할 것인지를 질문(728)하고, 정비 요청자가 통장식 차계부를 발급 받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통장식 차계부를 발급해주며, 통장식 차계부를 발급 받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비요금을 정산한 후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지정점은 통장식 차계부가 없는 정비 요청자에게 통장식 차계부의 장점과 특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통장식 차계부의 발급 및 회원가입을 유도한다.
상기 단계(726) 또는 단계(730) 다음에, 지정점은 자신이 점검 및 정비내용을 통장식 차계부에 기재(732)함과 동시에 점검 및 정비내용을 PSTN망 또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로 전송한다(734). 서버는 지정점으로부터 전송된 점검 및 정비내용을 수신하여 인터넷 차계부에 기재(736)한 후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차계부의 확인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서버 관리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 사이트를 개설한 후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또는 검색 사이트에 등록하고, 회원들의 정보, 회원들의 차량수리이력 등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였다고 가정한다.
자신의 자동차 수리이력을 인터넷을 통해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 사용자는 URL주소(예를 들면, http://www.camas.co.kr)를 입력하여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 사이트에 방문한다(802). 서버는 본 사이트에 방문한 컴퓨터 사용자에게 홈페이지를 제공한 후, 본 사이트에 방문한 컴퓨터 사용자가 회원인가를 판단한다(804). 판단결과, 회원이면 회원 ID 및 암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하고, 회원은 자신의 ID 및 암호를 입력한다(806). 상기 단계(804)의 판단결과, 회원이 아니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원가입 신청서를 디스플레이하고(808), 사이트 방문자는 요구하는 해당 항목을 입력한다(810). 서버는 입력이 모두 완료되었는지를 판단(812)하여 입력이 완료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810)로 진행하여 해당 항목을 모두 입력하도록 빠진 항목을 디스플레이 해 주고, 입력이 모두 완료되면 사이트 방문자에게 회원을 자격을 부여함과 동시에 회원 ID 및 암호를 제공한다.
상기 단계(806) 또는 단계(812) 다음에, 서버는 메뉴(예를 들면, '회원정보 변경', '적립금 확인', '정비 점검 내역', '출장점검 요청')를 출력하고, 회원은 인터넷 차계부의 확인을 위해 해당 항목의 메뉴(즉, '정비 점검 내역')를 선택(814)한다. 서버는 회원이 선택한 메뉴가 '정비 점검 내역' 메뉴인가를 판단(816)하고, '정비 점검 내역' 이외의 메뉴이면 해당 메뉴의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고(818), 회원이 선택한 메뉴가 '정비 점검 내역' 메뉴이면 도 6과 같은 인터넷 수리이력 및 점검내역에 대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출력한다(820). 회원은 출력된 정비 점검 내역을 보고 자신의 차량에 대한 수리이력을 확인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외에도 각종 널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하면, 자동자 소유자는 정기적인 점검을 통하여 자동차의 이상유무를 사전에 발견하고, 이상 발생 시 예상 수리비 견적서를 제공하여 부당한 가격을 지불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하고 자동차의 주행수명을 연장시키며 자동차 수리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출장 서비스를 받을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한 출장점검 요청을 수신하여 서버에서 해당 영업소로 통지하고;
    상기 출장점검 요청을 통지 받은 영업소는 현장으로 출동하여 차량의 이상유무를 파악하고, 현장 수리가 가능한지를 판단하여 현장 수리가 가능하면 현장에서 수리하고, 현장 수리가 가능하지 않으면 예상 수리비 견적서를 작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지정점으로 상기 예상 수리비 견적서를 전송하고, 상기 지정점은 상기 예상 수리비 견적서의 내용에 따라 차량을 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업소 또는 상기 지정점의 점검 내용을 차계부에 기재하고;
    상기 차계부에 기재된 점검 내용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계부는
    통장 발급기를 통해 점검 내용을 기재하는 통장식 차계부와 인터넷을 통해 점검 내용을 기재하는 인터넷 차계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종합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0-0015162A 2000-03-24 2000-03-24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 KR100388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162A KR100388260B1 (ko) 2000-03-24 2000-03-24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162A KR100388260B1 (ko) 2000-03-24 2000-03-24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315A true KR20010090315A (ko) 2001-10-18
KR100388260B1 KR100388260B1 (ko) 2003-06-19

Family

ID=1965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162A KR100388260B1 (ko) 2000-03-24 2000-03-24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2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648A (ko) * 2000-12-09 2002-06-20 심용대 고객 중심의 차량 정비 견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684341B1 (ko) 2015-06-17 2016-12-08 김영호 자동차 부품 가격 및 정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052A (ko) * 2002-04-01 2002-04-17 김덕환 인터넷을 이용한 이동세차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974B1 (ko) * 1996-03-06 1999-07-01 박동규 원격고객차량 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00391A (ko) * 1999-10-18 2000-01-15 이주형 자동차 자기 진단 및 전지구 위치 파악 시스템을 이용한찾아가는 서비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648A (ko) * 2000-12-09 2002-06-20 심용대 고객 중심의 차량 정비 견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684341B1 (ko) 2015-06-17 2016-12-08 김영호 자동차 부품 가격 및 정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8260B1 (ko) 200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53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ssessment, pricing, and provisioning of distance-based vehicle insurance
US78903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ssessment, pricing, and provisioning of distance-based vehicle insurance
US79871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ssessment, pricing, and provisioning of distance-based vehicle insurance
US8131417B2 (en) Automotive diagnostic and estimate system and method
US20030065630A1 (en) Adjusting an amount owed for fueling based on vehicle characteristics
WO2006137137A1 (ja) 顧客管理装置
KR102139724B1 (ko) 빌딩 차량 공유 시스템
JP2010529562A (ja) 走行距離に基づく自動車保険の既経過保険料を査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22183315A (ja) 可搬型端末による販売活動管理システム、可搬型端末による販売活動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可搬型端末による販売活動管理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7326563A (ja) 車両整備点検支援システム及び車両の整備点検方法
JP3206803B2 (ja) 共用車両管理システム
US20020010613A1 (en) Managed automobile repair and preventive maintenance system
JP2001331734A (ja) 商品役務提供管理方法、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JP4369678B2 (ja) 車両に係る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6685525B2 (ja) 車両貸出管理システム
KR100388260B1 (ko) 자동차 종합 서비스 제공방법
KR20000064053A (ko) 포인트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자동차 보험 가입 유도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20010097145A (ko) 인터넷을 이용한 차량 광고 중개 사업 방법
CA2657303A1 (en) Internet enabled vehicle downpayment system and method with backend system for managing vehicle dealer information
JP2017072974A (ja) 保険基幹システム
JP5717085B2 (ja) マーケティング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477355B1 (ko) 통신망을 이용한 가맹점 기반의 물건대여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54826A (ko) 동영상 시나리오 데이터를 인터렉티브 방식으로 이용한보험 가입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36377A (ko) 인터넷 차량정비 지원 시스템
KR20010106675A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보험운용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