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8603A -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8603A
KR20010088603A KR1020010048278A KR20010048278A KR20010088603A KR 20010088603 A KR20010088603 A KR 20010088603A KR 1020010048278 A KR1020010048278 A KR 1020010048278A KR 20010048278 A KR20010048278 A KR 20010048278A KR 20010088603 A KR20010088603 A KR 20010088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scholarship
product
guardian
stu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필
Original Assignee
김용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필 filed Critical 김용필
Priority to KR1020010048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8603A/ko
Publication of KR20010088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603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생 전용 쇼핑몰과 인터넷 교육의 결합을 통해 학습 의욕을 향상시키고 학습 향상에 따른 보상을 수행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학생/후견인컴퓨터로 상호 전달되는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상호 전송하는 라우터; 상기 라우터에 접속되어 문제 은행 및 학습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라우터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은행 및 학습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및 제휴 인터넷쇼핑몰서버와 테스트서버를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수단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학습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는데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학부모 또는 제3의 후견인과 학생이 동시 또는 시간차를 두고 온라인 교육의 회원으로 가입하는 제 1 과정; 상기 학생이 사전에 원하는 상품을 등록하고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문제풀이 등의 학습 과정을 통하여 장학금인 적립금/포인트를 적립하는 제 2 과정; 온라인 쇼핑몰이나 제휴된 제3의 쇼핑몰로부터 상기 학생이 희망하는 상품을 구매하고 해당 적립금을 차감하는 제 3 과정; 및 상기 학부모 또는 상기 후견인이 해당 장학금을 지불하거나 사전 예치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학생들의 관점에서는 학습 과정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 짐으로써 학습 과정에 능동적인 참여가 가능하고, 학부모 입장에서는 추가의 교육 비용의 부담없이 기존에 오프라인 형태로 운영되던 학습에 대한 보상 또는 무조건적인 선물 공여를 객관적이고 자동화된 평가 및 보상으로 대체함으로써 온라인상에서 학습 의욕을 고취하고, 학생들이 적립금/포인트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품질의 교육 콘텐츠 개발이 가능하며, 1대1 맞춤 학습으로 성적 향상을 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tudying assignment and buying goods using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생 전용 쇼핑몰과 인터넷 교육의 결합을 통해 학습 의욕을 향상시키고 학습 향상에 따른 보상을 수행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의 경우 신용카드 결제 혹은 계좌이체/송금등의 결제수단만을 제공하는데, 실질적인 구매층인 학생들이 직접 이용할 수 없으며 실제로는 부모가 구매하여 학생에게 해당 물품을 제공하는 형태로 구매행위가 이루어진다. 또한, 인터넷 교육은 실질적인 선생이나 감독자가 없는 형태의 가상 교육인 관계로 학생들의 자발적인 교육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실질적으로는 학생들의 선택에 의해 언제든지 교육을 종료할 수 있다는 약점으로 인해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 않다. 현재, 다양한 형태의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서비스되고 있으며,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흥미 유발, 동기 부여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상술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해당 교육 참여 수준 및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국에서 운용되고 있는 천 여개 이상의 인터넷 교육기관이 실질적인 유료 화원 확보에 실패하여 대부분 경영상의 애로를 겪고 있는 현재의 상황은 모두 상술한 인터넷 교육의 약점에 기인한다 하겠다. 또한, 월별/과목별 수강료를 선납함으로써, 실제 교육 과정의 충실한 참여 여부 파악이 힘들고, 학부모 입장에서는 수강료에 대한 비용 대비 효과에 의구심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무상으로 교육 서비스를 하고 있는 업체의 경우에도 부실한 수익구조로 인해 교육의 질을 더 이상 높일 수 없는 한계에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들의 이탈이 심해 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주로 숙제를 위한 자료 검색에 이용하고 있으며, 게임 및 채팅용으로 활용함으로써 교육을 위해 구입한 컴퓨터가 교육에 장애가 되는 현상을 유발함으로써, 학부모에 의해 컴퓨터 사용이 엄격히 제한되는 경우가 일반적인 현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학생들과 후견인간의 학습 과정 및 결과에 대한 보상을 능동적으로 대행하고 개별적인 학습 지원을 행함으로써 학생들이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인터넷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후견인들에게는 온라인 교육의 성과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를 이루어 사교육비를 줄일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대1로 개별화된 학습이 가능한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의 전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및 방법의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의 장학제도 변경에 대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및 방법의 후견인을 위한 학습 결과의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및 방법의 후견인을 위한 현황 확인의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및 방법의 후견인을 위한 장학 제도 변경의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의 상품선정에 대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의 상품 변경에 대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의 제3의 쇼핑몰 이용에 대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의 다단계의 학습 절차에 대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의 개별화된 학습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의 개별 학습 및 장학금 적립에 대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사용자컴퓨터 200 : 인터넷망
300 : 라우터 400 : 웹서버
500 : DB서버 600 : DB
700 : 쇼핑몰서버 800 : 테스트서버
900 : 제휴쇼핑몰컴퓨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웹브라우저를 구비한 사용자 및 사용자의 학부모/후견인컴퓨터와 제휴 쇼핑몰컴퓨터를 구비하는 인터넷 학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학생/후견인컴퓨터로 상호 전달되는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상호 전송하는 라우터; 상기 라우터에 접속되어 문제 은행 및 학습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라우터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은행 및 학습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및 제휴 인터넷쇼핑몰서버와 테스트서버를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수단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학습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회원 및 학습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회원및학습정보데이터베이스; 문제 은행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문제은행정보데이터베이스; 및 쇼핑몰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쇼핑몰정보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학부모 또는 제3의 후견인과 학생이 동시 또는 시간차를 두고 온라인 교육의 회원으로 가입하는 제 1 과정; 상기 학생이 사전에 원하는 상품을 등록하고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문제풀이 등의 학습 과정을 통하여 장학금인 적립금/포인트를 적립하는 제 2 과정; 및 온라인 쇼핑몰이나 제휴된 제3의 쇼핑몰로부터 상기 학생이 희망하는 상품을 구매하고 해당 적립금을 차감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과정은 상기 학생이 장학금을 적립하기 위하여, 사전에 원하는 상품을 등록, 신청하고 수시로 해당 상품의 변경을 수행하며, 상기 후견인으로부터 확인, 동의를 거쳐 선입금, 후불 결제에 대한 승인을 얻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학습 결과로 사용자가 확보한 장학금을 보다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3의 쇼핑몰에서의 장학금 사용이 가능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확인 후 상기 제3의 쇼핑몰로 이동하는 단계; 해당 쇼핑몰을 검색하는 단계; 상품을 선택하거나 신규로 등록을 신청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선택되거나 등록 신청한 상기 상품을 확정하는 단계; 및 확정된 해당 상품을 구매, 배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사용자의 학습 의욕 고취 및 실질적인 학습 참여를 위하여 별도의 학습 동기 부여를 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 학생의 후견인이 별도의 전용 사이트 혹은 웹페이지에서 로그인하는 제 1 과정; 학생 개개인별 학습 결과를 확인하는 제 2 과정; 학생 참여도 및 장학금 지급 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제 3 과정; 장학금 지급 기준을 변경하는 제 4 과정; 및 장학금 지급 기준 변경을 확정하는 제 5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학생이 각각의 문제풀이 또는 학습을 마칠 때마다 장학금이 적립되어 지고 적립된 상기 장학금은 상기 학생의 필요에 의해 수시로 확인되고 사용되어 지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개인별로 특화된 1대1 교육을 실현하기 위하여 기존의 학습 결과에 따른 개인별 학습 능력 및 성취 수준을 판단하여 차기 로그인시 사용될 개인별 학습 내용을 사전에 준비하고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교육을 마치는 제 1 과정; 그동안 진행된 학습 진도를 확인하는 제 2 과정; 기본 문항, 심화 학습 문항 및 보충 학습 문항을 작성하는 제 3 과정; 및 상기 과정들을 통하여 만들어진 정보를 개인별로 학습 관련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은 사용자컴퓨터(100), 인터넷망(200), 라우터(300), 웹서버(400), DB서버(500), DB(600), 쇼핑몰서버(700), 테스트서버(800), 제휴쇼핑몰컴퓨터(900)로 구성된다.
라우터(300)는 웹브라우저를 구비한 사용자 및 사용자의 학생컴퓨터(101)와 후견인컴퓨터(102)를 구비한 사용자컴퓨터(100)와 제휴 쇼핑몰컴퓨터(900)에서 상호 전달되는 데이터를 인터넷망(200)을 통해 상호 전송하며, DB(600)는 라우터(300)에 접속되어 문제 은행 및 학습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회원및학습정보DB(610)와 문제은행정보DB(620) 및 쇼핑몰정보DB(630)를 구비한다. 이때, 회원및학습정보DB(610)는 회원 및 학습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인적사항DB, 후견인정보DB, 학습결과DB, 문제풀이결과DB, 개인별교육일정DB, 기본학습DB, 심화학습DB, 보충학습DB, 장학금DB, 장학금제도DB, 상품DB, 신청가능상품DB로 구분할 수 있으며, 문제은행정보DB(620)는 문제 은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학습단원DB, 교육일정DB, 학교DB, 기본문제DB, 기본문제힌트DB, 기본문제정답DB, 심화학습DB, 심화학습힌트DB, 심화학습정답DB, 기출문제DB, 기출문제힌트DB, 기출문제정답DB로 구분할 수 있고, 쇼핑몰정보DB(630)는 쇼핑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기본상품DB, 제휴쇼핑몰상품DB, 후견인선문DB, 추가상품DB, 보너스상품DB로 구분할 수 있다.
DB서버(500)는 라우터(300)에 접속되어 DB(600)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은행 및 학습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며, 웹서버(400)는 제휴 인터넷쇼핑몰서버(700)와 테스트서버(800)를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연결되며 DB(600)에 접속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학습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2에 있어서, 학생이 사용자컴퓨터(100)의 학생컴퓨터(101)를 이용하여 회원 가입 신청을 수행하고(단계 S100), 학부모 또는 18세 이상의 성인/학생의 보호자인 제3의 후견인의 회원 가입 및 장학금 지불 약속에 대한 동의를 얻었는가 판단한다(단계 S101). S101 단계에서 후견인의 동의를 얻지 못했으면 웹서버(400)를 통해 학생컴퓨터(101)를 사용하는 학생에게 가입 불가 통보를 하고(단계 S102), 가입을 유보시킨다(단계 S103). 이때, S103 단계에서 가입 유보된 학생의 인적사항은 회원및학습정보DB(610)의 인적사항DB에 보관된다.
S101 단계에서 후견인의 동의를 얻었으면 학생의 회원 가입을 승인하고(단계 S104), 학생은 원하는 상품을 1차적으로 선택한다(단계 S105). S105 단계에서 학생이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였으면 학생은 문제풀이 또는 학습을 수행하고(단계 S106), S106 단계에서의 학습 수행에 따른 장학금을 적립하고(단계 S107), 학부모 또는 후견인은 해당 장학금을 예치하거나 상품 구매시 지불한다(단계 S108). S108단계에서 적립된 장학금이 S105 단계에서 선택한 상품의 상품가보다 높은가 판단하여(단계 S109), S109 단계에서 장학금이 상품가와 같거나 낮으면 S106 단계로 복귀하고, 장학금이 상품가보다 높으면 상품 배송을 수행한다(단계 S110). S110 단계에서 상품 배송이 완료되면 장학금을 차감하여(단계 S111), 학습 결과를 분석하고 학생에게 통보한다(단계 S112). S108 단계에서의 누적 적립금/포인트 및 가용 장학금의 예치 내역이나 S105 단계에서 1차적으로 선택한 상품 및 성취도, 그리고 특별 장학금 및 공지 내역 등은 도 3에 나타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의 장학제도 변경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에 있어서, 후견인이 사용자컴퓨터(100)의 후견인컴퓨터(102)로 로그인하여(단계 S200), 학생의 학습 결과를 확인한다(단계 S201). S201 단계에서의 학습 결과를 확인하여 학생의 참여도가 높은가 판단하여(단계 S202), S202 단계에서 학생의 참여도가 높으면 종료하고, 학생의 참여도가 높지 않으면 장학 제도 변경을 의뢰하고(단계 S203), 장학 제도를 변경한다(단계 S204). S201 단계에서 확인된 후견인에 의한 학생의 학습 결과의 예시는 도 5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학생의 학급 결과에 따른 후견인의 상세 정보는 도 6에 예시되어 있으며, S204 단계에서의 장학금 제도 변경의 화면 예시도는 도 7에 나타나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의 상품 선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에 있어서, 쇼핑몰서버(700)를 통해 제공되는 쇼핑몰 사이트를검색하여(단계 S300), 해당 상품이 있는가 판단한다(단계 S301). S301 단계에서 해당 상품이 없으면 신규 상품 등록 신청을 하고(단계 S302), S301 단계에서 해당 상품이 있으면 선택한다(단계 S303). S303 단계에서 선택된 상품이 후견인의 선물인가 판단하여(단계 S304), 선택된 상품이 후견인의 선물이 아니면 후견인 승인 요청을 하고(단계 S305), 선택된 상품을 후견인이 승인하였는가 판단한다(단계 S306). S306 단계에서 후견인이 승인하지 않았으면 쇼핑몰을 검색하여(단계 S307), 신청 불가 상품이나 신규 상품 등록을 신청하고(단계 S308), S303 단계로 복귀한다. S304 단계에서 후견인의 선물로 판단되거나, S306 단계에서 후견인이 승인하였으면 해당 상품을 확정한다(단계 S309).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의 상품 변경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에 있어서, 신청 상품을 취소하고(단계 S400), 쇼핑몰서버(700)에서 제공하는 사이트상의 쇼핑몰을 검색한다(단계 S401). S401 단계에서 쇼핑몰을 검색하여 신규 상품을 선택하면(단계 S402), 해당 신규 상품이 기 승인 품목인가 판단한다(단계 S403). S403 단계에서 기 승인 품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후견인의 승인 요청을 하고(단계 S404), 후견인이 승인하였는가 판단한다(단계 S405). S405 단계에서 후견인이 승인하지 않았으면 신청 불가 통보하고(단계 S406), S401 단계로 복귀한다. S403 단계에서 기 승인 품목으로 판단되거나, S405 단계에서 후견인이 승인하였으면 해당 상품을 확정한다(단계 S407)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의 제3의 쇼핑몰 이용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제휴 쇼핑몰컴퓨터(900)에서 제공하는 제휴 쇼핑몰로 이동하여(단계 S500), 쇼핑몰서버(700)를 이용하여 쇼핑몰을 검색한다(단계 S501). S501 단계에서 쇼핑몰이 검색되면 해당 상품이 있는가 판단하여(단계 S502), S502 단계에서 해당 상품이 없으면 신규 상품을 등록 신청하고(단계 S503), S502 단계에서 해당 상품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상품을 선택한다(단계 S504). S503 단계에서 신규 상품을 등록 신청하거나, S504 단계에서 해당 상품을 선택하면, 후견인 승인 요청을 수행한다(단계 S505). S505 단계에서 후견인 승인 요청을 수행하면 후견인이 승인하였는가 판단하여(단계 S506), S506 단계에서 승인하지 않았으면 신청 불가 통보를 하고(단계 S507), S501 단계로 복귀한다. S506 단계에서 후견인이 승인하였으면 해당 상품을 확정한다(단계 S508).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의 다단계의 학습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과제 학습을 수행하는 사용자를 확인하여(단계 S600), 기존 사용자인가 판단한다(단계 S601). S601 단계에서 과제 학습 수행자가 기존 사용자가 아니면 일반 기본 문항을 학습하고(단계 S602), 심화 학습을 수행하겠는가 판단한다(단계 S603). S603 단계에서 심화 학습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일반 심화 학습 문항을 학습하고(단계 S604), 심화 학습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바로 종료한다. 한편, S601 단계에서 과제 학습 수행자가 기존 사용자이면 사전 준비된 기본 문항을 학습하고(단계 S605), 심화 학습을 수행할 것인가 판단한다(단계S606). S606 단계에서 심화 학습을 수행하기로 판단하면 사전 준비된 심화 학습 문항을 학습하고(단계 S607), 심화 학습을 수행하기로 판단하지 않으면 바로 종료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의 개별화된 학습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흐름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학습 진도를 확인하고(단계 S700), DB(600)의 회원및학습정보DB(610)를 구성하는 문제풀이결과DB에서 틀린 문제를 확인한다(단계 S701). S701 단계에서 틀린 문제를 확인하였으면 회원및학습정보DB(610)의 문제풀이결과DB를 확인하고(단계 S702), 보충 학습 문항을 작성한다(단계 S703). 또한, S700 단계에서 학습 진도가 확인되었으면 진도/가중치에 따른 문제를 추출하여(단계 S704), 기본 문항을 작성하고(단계 S705), 심화 학습 문항을 작성한다(단계 S706). 이와 같이, S703 단계에서 보충 학습 문항을 작성하고, S706 단계에서 심화 학습 문항을 작성하면 DB(600)의 회원및학습정보DB(620)에 저장한다(단계 S707).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의 개별 학습 및 장학금 적립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사용자 확인을 하고(단계 S800), 개인별 문제를 출제한다(단계 S801). S801 단계에서 개인별 문제가 출력되면 문제를 확인하고 검토하여(단계 S802), 아는 문제인가 판단한다(단계 S803). S803 단계에서 검토한 문제가 아는 문제가 아니면 힌트(Hint) 출력/학습을 수행하고(단계 S804), S803 단계에서 아는 문제이거나 S804 단계에서 힌트 출력과 학습을 수행하였으면 문제풀이와 답안을 작성한다(단계 S805).
S805 단계에서 문제 풀이와 답안을 작성하였으면 정답인가 판단하여(단계 S806), S806 단계에서 정답이 아니면 답안을 해설하고(단계 S807), 정답이면 힌트를 사용하였는가 판단한다(단계 S808). S808 단계에서 힌트를 사용하였으면 장학금 일부를 적립하고(단계 S809), S808 단계에서 힌트를 사용하지 않았으면 100% 장학금을 적립한다(단계 S810). S807 단계와 S809 단계 및 S810 단계를 수행한 후 학습을 종료할 것인가 판단하여(단계 S811), S811 단계에서 학습을 종료하지 않겠으면 S801 단계로 복귀하고, S811 단계에서 학습을 종료하겠으면 모든 단계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발생한다.
즉, 학생들의 관점에서는 학습 과정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 짐으로써 학습 과정에 능동적인 참여가 가능하고, 학부모 입장에서는 추가의 교육 비용의 부담없이 오프라인 형태로 운영되던 학습에 대한 보상 또는 무조건적인 선물 공여를 객관적이고 자동화된 평가 및 보상으로 대체함으로써 온라인상에서 학습 의욕을 고취하고, 학생들이 적립금/포인트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품질의 교육 콘텐츠 개발이 가능하며, 1대1 맞춤 학습으로 성적 향상을 기할 수 있다.

Claims (8)

  1. 웹브라우저를 구비한 사용자 및 사용자의 학생/후견인컴퓨터와 제휴 쇼핑몰컴퓨터를 구비하는 인터넷 학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학생/후견인컴퓨터로 상호 전달되는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상호 전송하는 라우터;
    상기 라우터에 접속되어 문제 은행 및 학습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라우터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은행 및 학습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및
    제휴 인터넷쇼핑몰서버와 테스트서버를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수단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학습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웹서버를 포함하고 제휴쇼핑몰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회원 및 학습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회원및학습정보데이터베이스;
    문제 은행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문제은행정보데이터베이스; 및
    쇼핑몰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쇼핑몰정보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3. 학부모 또는 제3의 후견인과 학생이 동시 또는 시간차를 두고 온라인 교육의 회원으로 가입하는 제 1 과정;
    상기 학생이 사전에 원하는 상품을 등록하고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문제풀이 등의 학습 과정을 통하여 장학금인 적립금/포인트를 적립하는 제 2 과정;
    온라인 쇼핑몰이나 제휴된 제3의 쇼핑몰로부터 상기 학생이 희망하는 상품을 구매하고 해당 적립금을 차감하는 제 3 과정; 및
    상기 학부모 또는 상기 후견인이 해당 장학금을 지불하거나 사전 예치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은
    상기 학생이 장학금을 적립하기 위하여, 사전에 원하는 상품을 등록, 신청하고 수시로 해당 상품의 변경을 수행하며, 상기 후견인으로부터 확인, 동의를 거쳐 선입금, 후불 결제에 대한 승인을 얻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
  5. 확습 결과로 사용자가 확보한 장학금을 보다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3의 쇼핑몰에서의 장학금 사용이 가능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확인 후 상기 제3의 쇼핑몰로 이동하는 단계;
    해당 쇼핑몰을 검색하는 단계; 상품을 선택하거나 신규로 등록을 신청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선택되거나 등록 신청한 상기 상품을 확정하는 단계; 및
    확정된 해당 상품을 구매, 배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
  6. 사용자의 학습 의욕 고취 및 실질적인 학습 참여를 위하여 별도의 학습 동기 부여를 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 학생의 후견인이 별도의 전용 사이트 혹은 웹페이지에서 로그인하는 제 1 과정;
    학생 개개인별 학습 결과를 확인하는 제 2 과정;
    학생 참여도 및 장학금 지급 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제 3 과정;
    장학금 지급 기준을 변경하는 제 4 과정; 및
    장학금 지급 기준 변경을 확정하는 제 5 과정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이 각각의 문제풀이 또는 학습을 마칠 때마다 장학금이 적립되어지고 적립된 상기 장학금은 상기 학생의 필요에 의해 수시로 확인되고 사용되어 지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
  8. 개인별로 특화된 1대1 교육을 실현하기 위하여 기존의 학습 결과에 따른 개인별 학습 능력 및 성취 수준을 판단하여 차기 로그인시 사용될 개인별 학습 내용을 사전에 준비하고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교육을 마치는 제 1 과정;
    그동안 진행된 학습 진도를 확인하는 제 2 과정;
    기본 문항, 심화 학습 문항 및 보충 학습 문항을 작성하는 제 3 과정; 및
    상기 과정들을 통하여 만들어진 정보를 개인별로 학습 관련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방법.
KR1020010048278A 2001-08-10 2001-08-10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및 방법 KR20010088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278A KR20010088603A (ko) 2001-08-10 2001-08-10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278A KR20010088603A (ko) 2001-08-10 2001-08-10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603A true KR20010088603A (ko) 2001-09-28

Family

ID=1971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278A KR20010088603A (ko) 2001-08-10 2001-08-10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860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203A (ko) * 2001-11-22 2003-05-2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구매정보 전송에 의한 상품구매 및 결제방법
KR101386257B1 (ko) * 2013-03-13 2014-04-22 심정택 경마ㆍ경륜ㆍ경정을 이용하여 상품의 유통을 활성화하는 상품구매 방법
KR101386258B1 (ko) * 2013-03-13 2014-04-22 심정택 복권을 이용하여 상품의 유통을 활성화하는 상품구매 방법
KR101667782B1 (ko) * 2015-10-29 2016-10-19 주식회사 에이투엠 학부모 커뮤니케이션을 이용한 자기주도학습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549A (ko) * 2000-03-06 2000-06-05 강병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영어학습서비스(명칭;모빌 잉글리쉬)의 구조와 그운영방식.
KR20010035136A (ko) * 2000-12-30 2001-05-07 김만석 인터넷 인공지능 학습 및 관리 방법
KR20010035284A (ko) * 2001-02-01 2001-05-07 김만석 학습마일리지 아바타를 이용한 학습 방법
KR20010110623A (ko) * 2000-10-09 2001-12-13 윤강희 이용자의 사이트 참여도를 유도하는 방법
KR20010110842A (ko) * 2000-06-08 2001-12-15 김영습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자료 이용 활성화 및 학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549A (ko) * 2000-03-06 2000-06-05 강병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영어학습서비스(명칭;모빌 잉글리쉬)의 구조와 그운영방식.
KR20010110842A (ko) * 2000-06-08 2001-12-15 김영습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자료 이용 활성화 및 학습방법
KR20010110623A (ko) * 2000-10-09 2001-12-13 윤강희 이용자의 사이트 참여도를 유도하는 방법
KR20010035136A (ko) * 2000-12-30 2001-05-07 김만석 인터넷 인공지능 학습 및 관리 방법
KR20010035284A (ko) * 2001-02-01 2001-05-07 김만석 학습마일리지 아바타를 이용한 학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203A (ko) * 2001-11-22 2003-05-2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구매정보 전송에 의한 상품구매 및 결제방법
KR101386257B1 (ko) * 2013-03-13 2014-04-22 심정택 경마ㆍ경륜ㆍ경정을 이용하여 상품의 유통을 활성화하는 상품구매 방법
KR101386258B1 (ko) * 2013-03-13 2014-04-22 심정택 복권을 이용하여 상품의 유통을 활성화하는 상품구매 방법
WO2014142393A1 (ko) * 2013-03-13 2014-09-18 Sim Joung Taek 경마ㆍ경륜ㆍ경정을 이용하여 상품의 유통을 활성화하는 상품구매 방법
WO2014142392A1 (ko) * 2013-03-13 2014-09-18 Sim Joung Taek 복권을 이용하여 상품의 유통을 활성화하는 상품구매 방법
KR101667782B1 (ko) * 2015-10-29 2016-10-19 주식회사 에이투엠 학부모 커뮤니케이션을 이용한 자기주도학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lanche et al. The role of customers in the gig economy: how perceptions of working conditions and service quality influence the use and recommendation of food delivery services
Otieno Adoption of mobile payments in Kenyan businesses: a case study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 in Kenya
Saldaña et al. Teachers as market influencers: Towards a policy framework for teacher brand ambassador programs in K-12 schools
KR20080016166A (ko) 3d 가상공간에서 경품이벤트 광고 게임 및 소비자 마케팅게임 등의 게임을 제공하고, 그를 통한 소비자 주도다중운영 전자상거래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Smith Strategies for E-Commerce Adoption in a Travel Agency
KR100810570B1 (ko) 보상을 통한 온라인 교육 방법
KR20010000529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연수 원격교육 컨텐츠 상거래 시스템및 서비스 방법
US8595064B1 (en) Host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viewer engagement of digital content from the host and/or third-party providers
KR20010088603A (ko) 인터넷을 이용한 과제 학습과 상품 구매 장치 및 방법
KR20040088848A (ko) 교육시스템
Aldajani A critical analysis of e-commerce use by Jordanian travel agents
JP2002251586A (ja) 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の動作方法
KR20050013365A (ko)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선호 광고를 이용한 지식거래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1815416A (zh) 一种扶持民间发明创新代理服务的系统
KR100527283B1 (ko) 학습참여에 대한 대가가 지급되는 인터넷상의 교육방법
Thananuraksakul Factors affecting online shopping behaviour: A study of Thai consumers
Volker et al. Tendering and Supplier Selection
Daly et al. Toward a shared services model for the delivery of public affairs education
KR20190067132A (ko) 지식공유서버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지식콘텐츠의 전달 및 결재를 수행하는 지식콘텐츠의 전달 및 결재 시스템 및 수행방법
KR20010025413A (ko) 온라인 퀴즈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사업 방법 및 이를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용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20020027810A (ko) 인터넷 채팅시스템을 이용한 무형의 서비스 제공 및결제방법과 그 시스템
Cicognani et al. Fostering trust: When the rhetoric of sharing can backfire
Zupanic Expanding Opportunities: Applying the Framework of Cultural Geomorphology to Investigate Potential Benefits of International Art Exchanges
US2007029972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centive to learning
KR20220096245A (ko) 지식(지적 재산권) 거래 및 경매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