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8592A -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8592A
KR20010088592A KR1020010048101A KR20010048101A KR20010088592A KR 20010088592 A KR20010088592 A KR 20010088592A KR 1020010048101 A KR1020010048101 A KR 1020010048101A KR 20010048101 A KR20010048101 A KR 20010048101A KR 20010088592 A KR20010088592 A KR 20010088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e nuts
oil
honey
manufacturing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형
Original Assignee
김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형 filed Critical 김주형
Priority to KR1020010048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8592A/ko
Publication of KR20010088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59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14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fruits, nuts, e.g. almonds, seeds, plants, plant extracts, essential o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되는 약과의 외피 전체를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된 잣으로 코팅시켜 맛과 식감 및 색상 등이 우수한 약과를 제공하며, 잣의 고소한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잣이 갖는 약용효능으로 인하여 사람들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밀가루에 여러 가지 첨가물을 넣고 혼합한 후 반죽하고 4시간 숙성시키는 제1 과정; 상기 제1 과정이 이루어진 후 반죽된 결과물을 이용하여 성형판으로 성형하는 제2 과정; 상기 제2 과정의 결과물을 110℃ 정도의 현미유에서 튀기는 제3 과정; 상기 제3 과정의 결과물을 물엿(조청)에 약 15초 내외로 담갔다가 꺼내는 제4 과정; 및 상기 제4 과정의 결과물을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된 잣이 들어있는 그릇에 넣어서 외피 전체를 코팅시키는 제5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KOREAN COOKIE COATING WITH PINE NUTS}
본 발명은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과의 외피 전체를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된 잣으로 코팅시켜 그 맛과 영양을 향상시킨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과(藥果)는 명절이면 항시 우리가 접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과자의 하나로서, 밀가루에 꿀을 섞어 반죽한 것을 기름에 튀긴 유밀과(油蜜果)의 하나이다. 이러한 약과는 통과의례나 명절, 잔치, 제향(祭享)때의 필수음식이었다. 약과는 이미 고려시대 때 널리 유행하여 왕족과 귀족, 그리고 사원과 민가에서 널리 즐겨 먹었는데, 특히 "왕족과 반가, 사원에서 유밀과를 만드느라 곡물과 꿀, 기름 등을 많이 허실함으로써 물가가 올라 민생을 어렵게 한다."고 하여,고려 명종 22년(1192)과 공민왕 2년(1353)에는 유밀과의 제조금지령을 내렸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약과가 대표적인 기호식품의 자리를 차지하였다.
약과는 본디 '약(藥)이 되는 과자(果子)'라는 뜻인데,《오주연문장전산고》와 1613년 《지봉유설(芝峯類說)》에 " 그 재료인 밀은 춘하추동을 거쳐서 익기 때문에 사시(四時)의 기운을 받아 널리 정(精)이 되고, 굴은 백약(百藥)의 으뜸이며, 기름은 살충(殺蟲)하고 해독(解毒)하기 때문이다."고 약과 재료의 특징을 잘 설명하고 있다. 1948년의 《조선상식(朝鮮常識)》에는 "조선에서 만드는 과자 가운데 가장 상품이며, 또 온 정성을 들여 만드는 점에서 세계에 그 짝이 없을 만큼 특색 있는 과자다."고 하면서, "속칭 과줄이라 하고 한자로 조과(造果),혹은 약과(藥果)라고 쓴다."고 하였다. 약과의 모양은 처음에 대추, 밤, 배, 감, 물고기, 짐승의 모양이었다가 점차 변하여 조선시대에는 원형이 되었고, 제사 때 사용하는 약과의 경우 제사상에 쌓아 올리기 불편하여 다시 방형(方形)이 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 예로 《성호사설》에서 "약과는 여러 가지 과실 모양이나 새의 모양으로 만들었던 것이나, 훗일에 고이는 풍습이 생겨나면서 넓적하게 자르게 되었다."는 기록을 볼 수 있다.
약과는 기름에 지질 때 기름이 속까지 배어들도록 천천히 지져 집청에 넣게 되므로, 단면이 여러 켜를 이룬 듯 하고, 그 사이에 기름과 꿀이 속속들이 배어 있어 고소한 맛과 단맛이 뛰어난 음식이다.
상기와 같은 약과의 제조방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6-3590호에 나타난 같이, 통상 쌀을 수침한 후 분쇄기에 분쇄하여 가루로 된 쌀가루를 50∼70℃의 온도에서 약 20분간 볶은 후 볶아진 쌀가루에 설탕, 물엿, 미강유, 중탄산나트륨 등을 첨가하여 반죽한 후 여러 가지 다양한 모양을 가지도록 성형틀로서 성형한 후 180℃∼200℃를 유지하는 미강유에 삽입하여 반죽물을 튀기고 튀김이 완료되면 청물에 일정시간 동안 담가 두었다가 건져내어 건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약과의 제조방법은 쌀가루를 밀가루의 대체 원료로 사용하고 있을 뿐 그 맛의 향상이나 큰 영양학 상의 향상을 찾아볼 수 없으며, 약과가 단지 간식용으로 만 사용되어 많은 사람의 기호식품으로 자리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량생산 및 원가절감의 측면을 고려하여 재래방식을 탈피하고 기계식으로 제조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여 그 본래의 맛을 잃음으로써 새로운 세대의 기호를 맞추지 못하여 청소년층 뿐 만 아니라 중장년층에서도 그 흥미를 잃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되는 약과의 외피 전체를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된 잣으로 코팅시켜 맛과 식감 및 색상 등이 우수한 약과를 제공하며, 잣의 고소한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잣이 갖는 약용효능으로 인하여 사람들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작업에 의해 제조하고 약과의 외피 전체를잣으로 코팅시켜 전통한과를 보다 고급화함으로써 기존의 중장년층 뿐 만 아니라 청소년층에서도 전통과자 및 약과의 수요를 창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밀가루에 여러가지 첨가물을 넣고 혼합한 후 반죽하고 4시간 숙성시키는 제1 과정; 상기 제1 과정이 이루어진 후 반죽된 결과물을 이용하여 성형판으로 성형하는 제2 과정; 상기 제2 과정의 결과물을 110℃ 정도의 현미유에서 튀기는 제3 과정; 상기 제3 과정의 결과물을 물엿(조청)에 약 15초 내외로 담갔다가 꺼내는 제4 과정; 및 상기 제4 과정의 결과물을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된 잣이 들어있는 그릇에 넣어서 외피 전체를 코팅시키는 제5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과정에서 사용되는 첨가물은 청주, 현미유, 소금, 설탕, 생강가루, 꿀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4 과정에서는 1mm 내지 4mm의 크기로 파쇄된 잣이 들어있는 그릇에 제3 과정에 의해 제조된 결과물을 넣고 흔들어서 외피 전체를 잣으로 코팅시키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그 특징으로 사용되는 잣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한방에서는 잣을 해송자(海松子)라 부르며 기를 돋우는 약재로 사용한다. 한약재로서의 성질은 달고 따뜻하다.
잣에는 지방 64.2%, 단백질 18.6%, 수분 5.5%, 당질 4.3%, 회분 1.5%, 기타 섬유질, 칼슘, 인, 철분, 비타민(A1, B1, B2)이 들어 있는데, 잣 100g에서 약 670칼로리의 열량이 나오는 고칼로리 식품으로 기운이 없을 때나 입맛을 잃었을 때 좋은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잣에는 비타민 B가 풍부하며 호도나 땅콩에 비해 철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빈혈의 치료와 예방에도 좋으나 인이 많고 칼슘이 적은 산성식품으로 해초, 우유 등 칼슘이 풍부한 식품과 함께 먹는 것이 좋다.
잣이 지니고 있는 성분중 가장 중요한 것은 자양강장제의 역할을 하는 우수한 지방 성분으로서 잣에 함유된 지방은 올레린산과 리놀산, 리놀레인산 등 불포화 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 불포화 지방산은 피부를 아름답게 하고 혈압을 내리게 할 뿐만아니라 스테미너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동물성 지방과는 달리 오히려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의 양을 줄이므로 동맥경화증은 물론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잣으로 죽을 만들어 먹으면 폐와 내장의 기능을 튼튼하게 해주기 때문에 기관지염 등 각종 노인성 질환을 예방하는데 좋으며 노화현상이 일어나는 중년기 이후에 좋은 약용식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껍질 벗긴 잣을 볶아 차로 끓여 마시면 식은 땀, 불면, 변비에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약과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약과는 전체적으로 원판형으로 형성되는데, 먹기에 편리하도록 지름이 1cm 내지 10cm이고, 두께가 1cm 내지 3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기에 좋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무늬를 갖도록 할 수 있는데, 그 꽃의 수는 10여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약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밀가루를 체에 내린 다음, 청주, 현미유, 소금, 설탕, 생강가루, 꿀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첨가물을 조금씩 넣으면서 혼합한 후 반죽하고 4시간 숙성시킨다. 그후, 반죽된 결과물을 일정크기 즉, 약 20g 내지 50g 씩 떼어 성형판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로 성형시킨다. 이때,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꽃무늬의 형태로 성형시킬 수 있으며, 이후의 공정에서 기름이 잘 스며들도록 뒷면에 6 내지 7군데의 구멍을 낼 수 있다.
그후, 성형된 결과물을 110℃ 정도의 현미유에서 튀기는데, 기름에 속이 익도록 천천히 튀긴다. 이때, 한 면을 4분간 튀기고 뒤집어 3분간 더 튀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후, 갈색이 나도록 튀기는 동작이 완료된 결과물을 건져서 일정시간 기름을 빼고, 물엿(조청)에 약 15초 내외로 담갔다가 꺼내어 약과를 완성한다.
한편, 고물로 사용하기 위한 잣을 다듬어 1mm 내지 4mm의 크기로 파쇄시키고, 그 파쇄된 잣이 들어있는 그릇에 상기 완성된 약과를 넣고 그릇을 흔들어서 약과 외피의 전체를 파쇄된 잣으로 코팅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잣을 고물로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검정콩, 아몬드, 탈피들깨, 호두, 튀김백미, 튀김흑미, 호박씨, 대추 등을 고물로 하여 약과를 제조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은 약과의 외피 전체를 파쇄된 잣으로 코팅시켜 잣의 고소한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약과를 싫어하는 청소년층이나 외국인 등에게도 널리 애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전통한과를 보다 고급화함으로써 기존의 중장년층 뿐 만 아니라 청소년층에서도 전통과자 및 약과의 수요를 창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잣이 갖는 약용효능으로 인하여 우리의 전통음식을 계승 발전시키며 국민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밀가루에 여러 가지 첨가물을 넣고 혼합한 후 반죽하고 4시간 숙성시키는 제1 과정;
    상기 제1 과정이 이루어진 후 반죽된 결과물을 이용하여 성형판으로 성형하는 제2 과정;
    상기 제2 과정의 결과물을 110℃ 정도의 현미유에서 튀기는 제3 과정;
    상기 제3 과정의 결과물을 물엿(조청)에 약 15초 내외로 담갔다가 꺼내는 제4 과정; 및
    상기 제4 과정의 결과물을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된 잣이 들어있는 그릇에 넣어서 외피 전체를 코팅시키는 제5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에서 사용되는 첨가물은 청주, 현미유, 소금, 설탕, 생강가루, 꿀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에서는 1mm 내지 4mm의 크기로 파쇄된 잣이 들어있는 그릇에 제3 과정에 의해 제조된 결과물을 넣고 흔들어서 외피 전체를 잣으로 코팅시키는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
KR1020010048101A 2001-08-09 2001-08-09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 KR20010088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101A KR20010088592A (ko) 2001-08-09 2001-08-09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101A KR20010088592A (ko) 2001-08-09 2001-08-09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592A true KR20010088592A (ko) 2001-09-28

Family

ID=1971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101A KR20010088592A (ko) 2001-08-09 2001-08-09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85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637B1 (ko) 유자잎 분말이 함유된 쿠키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쿠키
KR100723558B1 (ko) 흑미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흑미영양찰약밥
CN106417539A (zh) 一种五仁海鲜馅铁皮石斛酥皮月饼及其制备方法
CN112868706A (zh) 一种天麻保健饼干及其制作方法
CN105104661A (zh) 一种含面条的巧克力
KR100843296B1 (ko) 청국장 약과 및 그 제조방법
KR101382916B1 (ko) 백년초 호두 찐빵 및 그 제조방법
CN103535421A (zh) 一种蕨菜口味曲奇饼干
KR100585187B1 (ko)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865028A (zh) 酥皮紫薯火龙果派的制作方法
US20210235718A1 (en) Laver fried snack in three-dimensional shap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030086115A (ko) 천연 식재료가 도포된 초컬릿 한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49921B1 (ko) 아마씨 강정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10088592A (ko) 잣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
KR20010088586A (ko) 검정콩을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
KR20010088587A (ko) 아몬드를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
KR20050111460A (ko) 견과류가 함유된 호떡반죽물 및 그호떡반죽물을 이용한호떡 제조방법
KR20130102437A (ko) 닥나무를 포함하는 과자 또는 빵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과자 또는 빵
KR20010088588A (ko) 호두를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
KR102300693B1 (ko)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늘빵
KR102384686B1 (ko) 약과 쿠키 및 그 제조방법
KR100446230B1 (ko) 호박을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
CN102057975A (zh) 一种腊肉百果月饼及其制作方法
KR102459833B1 (ko) 무궁화 케익 제조방법
KR20010088593A (ko) 튀김백미를 고물로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