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135A - 데이터 객체들을 무선국에 전달하기 위한 다중 링크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객체들을 무선국에 전달하기 위한 다중 링크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6135A
KR20010086135A KR1020017007828A KR20017007828A KR20010086135A KR 20010086135 A KR20010086135 A KR 20010086135A KR 1020017007828 A KR1020017007828 A KR 1020017007828A KR 20017007828 A KR20017007828 A KR 20017007828A KR 20010086135 A KR20010086135 A KR 20010086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link
personal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code
data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0746B1 (ko
Inventor
욘.에르. 벨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10086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1Time-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무선 시스템은 단거리 무선 링크를 통해서 서로 통신하기 위한 다수의 무선국을 포함한다.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에서의 데이터 전달 세션(session)에서, 제 1 단거리 무선 링크가 상기 무선 시스템의 제 1 및 제 2 무선국 사이에 셋업된다. 상기 제 1 단거리 무선 링크를 셋업하자마자, 제 1 및 제 2 개인용 식별 코드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국에 입력된다. 그 이후, 상기 제 1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연결은, 만약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된 개인용 식별 코드가 동일한 경우에만 셋업된다. 만약 상기 데이터 연결이 셋업된다면, 상기 제 1 개인용 식별 코드는 상기 세션에서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서 저장되며, 데이터 객체는 상기 제 1 무선 링크를 통해서 전달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저장된 제 1 개인용 식별 코드를 사용하면서, 후속적인 단거리 무선 링크가 상기 제 1 무선국에서부터 제 3 무선국으로 적어도 셋업된다. 상기 제 3 무선국이 상기 재사용된 제 1 개인용 식별 코드와 동일한 개인용 식별 코드를 반환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 이후에,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객체가 상기 후속적인 무선 링크를 통해서 전달된다.

Description

데이터 객체들을 무선국에 전달하기 위한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A MULTIPLE LINK DATA OBJECT CONVEYING METHOD FOR CONVEYING DATA OBJECTS TO WIRELESS STATIONS}
계층(layer)들에 대한 개방형 시스템 참조 모델인, 충분히 알려진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는 7개의 계층, 즉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트랜스포트(transport) 계층, 세션(session) 계층, 및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계층 및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 계층을 구별한다.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7개의 계층은 단일 계층으로 결합될 수 도 있다. OSI 참조 모델에 따라서, 시스템 개체(entity)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물리적인 데이터는 개체들 사이의 모든 계층에 걸쳐서 발생하며, 반면 논리적인 데이터 이동은 상기 개체들의 대응하는 계층들 사이의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통신으로 한정된다.
블루투스 규격, "불루투스 시스템 규격 - 핵심" 1.0A권(1999년 7월 26일)의 41 내지 45 및 47 페이지는 단거리 무선 시스템을 설명하고 있다. 블루투스에서, 무선 링크 거리는, 전형적으로 대략 수 미터이다. 41 페이지에는 BT(블루투스) 단거리 라디오 링크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이 제시되어 있다. 42 페이지에는, 마스터(master)들과 슬레이브(slaver)들을 갖는 BT 피코넷(piconet)이 나타나 있다. 43 내지 45 페이지에는 시간 슬롯들을 갖는 BT 물리적인 채널이 나타나 있다. 45 페이지는 마스터들과 슬레이브들 사이의 링크 유형을 설명하며, 이때 마스터는 링크의 개시자가 되며, 슬레이브는 상기 마스터에 의해 액세스되는 디바이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마스터/슬레이브 관계는 블루투스 링크가 수립될 때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존재한다. 일단 링크가 수립되어지면, 통신은 고객 또는 서버에 의해 개시될 수 있으며, 고객/서버 관계는 링크에 관계된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들 사이에 존재한다. 블루투스에 있어서, 블루투스 링크를 개시하는 디바이스에 따라서 서버 또는 고객중 어느 하나는 마스터가 되며, 서버/고객중 다른 하나는 슬레이브가 된다. 서버/고객 관계에서, 고객은 서버에게 요청을 발신하며, 서버는 그러한 요청에 응답한다. 47 페이지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예컨대 블루투스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직렬 포트 프로파일(profile) 또는 좀더 복잡한 객체 교환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정보는 패킷들을 통해서 교환된다. 블루투스 규격,"블루투스 시스템 규격 - 프로파일" 1.0A 권(1999년 7월 26일)은 블루투스에서의 프로토콜 프로파일을 설명한다. 26 페이지에서, 두 BT 디바이스들을 서로에 대해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PIN, 즉 패스키(passkey)가 설명되어 있다. 상기 PIN은 상호 호출된 페어링 절차(co-called pairing procedure)에 사용된다. 페어링은 28 페이지에서 설명되어있다. 페어링 절차에서, 무선 링크에 관계된 사용자들은 둘 다 링크의 각 디바이스들에 동일한 PIN을 입력해야 한다.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이 고객/서버 쌍중 다른 하나를 찾기 위해서 시작된다. 66 페이지에 한정된 바와 같이 BT 인에이블된 디바이스 상에서 이용 가능하거나 또는 이러한 디바이스 근처의 디바이스를 통해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찾는데 사용되는 서비스 발견 절차를 수행하자마자, 45 페이지에 한정된 수립 절차가 수행된다. 먼저, 링크 수립 절차가 두 BT 디바이스들 사이의 물리 링크를 수립하기 위해서 수행된다. 그런 다음, 채널 수립 절차가 BT 채널을 수립하도록 수행된다, 즉 두 BT 디바이스 사이에 논리 링크가 수립된다. 그 이후에, 연결 수립 절차가 두 BT 디바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들 사이에 연결을 수립하기 위해서 수행된다. 상기 BT 디바이스들중 하나로부터의 연결 요청과, 다른 BT 디바이스의 연결 승인 사이에,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 도 있을 것이다. 336 내지 348 페이지에는, 객체 푸시(push) 및 객체 풀(pull) 디바이스들과 같은 BT 디바이스들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에 의해 사용되는 객체 교환 프로파일이 설명되어 있다. 객체 푸시 프로파일은 객체를 또 다른 BT 디바이스에 푸시하기 위해서 BT인에이블된 이동 전화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객체 풀 프로파일은 객체를 또 다른 이동 전화로부터 풀하기 위해 이동 전화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객체 푸시 및 풀 프로파일을 통해서, 비즈니스 카드 정보, 캘린더 정보, 또는 임의의 다른 유용한 정보와 같은 정보는 BT 디바이스에 발신되거나 이러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또는 BT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으며, 이때 교환은 비즈니스 카드를 푸시한 다음 비즈니스 카드를 풀하는 것으로 한정된다. 346 페이지에는, vCard를 지원해야 하는 전화 번호부(phone book) 애플리케이션, vCalendar를 지원해야 하는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vMessage를 지원해야 하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및 vNote를 지원해야 하는 기록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객체 푸시 특징들이 설명되어 있다.
단거리 무선 링크 대신에, 적외선 링크와 같은 기타 단거리 링크들이 알려져 있으며, 이것의 예로 카운터포인트 시스템스 파운더리 사(Counterpoint Systems Foundry, Inc)와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Microsoft Corporation)의 IrOBEX 규격, "IrDA 객체 교환 프로토콜"의 버전 1.2(1999년 3월 18일)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IrDA 표준이 있다. 상기 IrOBEX 규격에서, 단거리 적외선 링크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소위 CONNECT, PUT, GET 및 DISCONNECT 동작인 네 개의 OBEX 명령들이 설명되어 있다. 섹션 3.3에서, OBEX 동작과 opcode 정의들이 제공되어 있으며, 좀더 상세하게는 23 페이지의 섹션 3.3.1은 CONNECT 동작을 설명하며, 26 페이지의 섹션 3.3.2는 DISCONNECT 동작을 설명하며, 26 및 27 페이지의 섹션 3.3.3은 PUT 동작을 설명하며, 29 페이지의 섹션 3.3.4는 GET 동작을 설명하고 있다. IrDA는 블루투스에 적응되어지고 있다. 블루투스에서, 대응하는 명령들로, IrOBEX 규격의 PUT에 대응하는 PUSH, GET에 대응하는 PULL이 설명되어 있다. IrOBEX 규격의 45 페이지에는, CONNECT, PUT 및 GET 고객 요청들과 서버의 응답들의 예들이 제공되어 있다. IrOBEX의 소위 vCard 객체는 이름, 전화 및 팩스 번호, e-메일 주소 및 다른 유형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비즈니스 카드 포맷을 한정하고 있다. 상기 블루투스 규격 - 프로파일의 337 페이지는 BT IrDA 상호운용성 규격에 참조된다.
PCT 특허 출원, WO99/29127에서, 짧은 메시지 서비스의 짧은 메시지를 통해서 태그가 붙여진(tagged) 정보를 셀룰러 전화에 발신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WO99/29127의 7 페이지 24 줄에서부터 8 페이지 18줄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짧은 메시지 유형에는 상기 메시지를 표준화된 전자 비즈니스 카드로 식별하는 헤더가 붙여진다. 이러한 표준화된 전자 비즈니스 카드들은 위에서 지시된 바와 같은 vCard로 알려져 있으며, 인터넷 메일 협회(Internet Mail Consortium)를 통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vCard 및 vCalendar는 인터넷 메일 협회의 웹사이트 상에 더 설명되어 있다. vCard 및 vCalendar는 인터넷 메일 협회의 등록된 상표들이다.
PCT 특허 출원, WO97/04602에서, 셀룰러 전화에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는 셀룰러 전화와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air) 인터페이스 상에서 PIN들을 차단할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PIN(개인용 식별 번호 :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의 이용이 감소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셀룰러 전화의 사용자 즉 가입자는, 셀룰러 전화의 분리된 호출 또는 접촉 목록에 이전에 저장되지 않은 전화 번호에 대해 호출이 이뤄질 때 PIN을 입력해야만 한다, 즉 이때 셀룰러 전화의 호출 셋업 루틴은 PIN 요청을 회피하고 이러한 호출을 연결한다. WO97/04602의 2 페이지 5 내지 25 줄을 참조하기 바란다.
본 발명은, 라디오 링크, 적외선 링크,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무선 링크 또는 다른 유형의 무선 링크들의 결합과 같은 단거리 무선 링크를 통해서 데이터 객체들을 무선국들에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거리 무선 링크는, 소위 블루투스(Bluetooth) 규격에 따른 무선 링크나 임의의 다른 적합한 단거리 무선 링크일 수 있다. 무선국은 셀룰러 또는 코드리스(cordless) 전화, 개인용 컴퓨터, PDA, 랩탑(laptop), 팜 파일럿(palm pilot),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휴대용 디바이스(device)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무선 시스템 및 무선국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무선국들을 갖는 무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국에 대한 기능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도면에 걸쳐서, 동일한 특징들에 대해서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 링크들을 위해 개인용 식별 코드들을 지루하게 반복해서 입력하지 않고, 개인용 식별 코드들의 매칭을 통해 무선 링크들이 인증되는 유형의 무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간단한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든 무선 링크들에 대해 동일한 데이터 객체 전달 임무가 수행되는 그러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전에 결정된 시간, 특히 대략 수 분 이하의 시간 기간 내에 모든 관계된 무선 링크들을 위한 데이터 객체 전달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링크들에 관계된 무선국들의 사용자들에 의해 승인된 바와 같은, 데이터 객체 전달 임무에 관계된 모든 무선 링크들을 위한 승인된 개인용 식별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상 비즈니스 카드, 가상 캘린더, 가상 기록과 같은 다른 유형의 데이터 객체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데이터 객체들을 전달, 즉 수신, 송신 또는 교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동되는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이, 단거리 무선 링크들을 통해서 서로 통신하는 복수의 무선국을 포함하는 무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해서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제 1 및 제 2 무선국 사이의 제 1 단거리 무선 링크를 셋업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제 1 무선국에서는 제 1 개인용 식별 코드를 입력하며, 상기 제 2 무선국에서는 제 2 식별 코드를 입력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개인용 식별 코드가 동일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국들 사이에 상기 제 1 단거리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연결을 단지 수립하는, 제 1 단거리 무선 링크 셋업 단계와;
상기 데이터 연결을 성공적으로 수립하자마자,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중 하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국 사이에서 제 1 데이터 객체 전달 임무를 개시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제 3 무선국에 후속적인 단거리 무선 링크를 적어도 셋업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개인용 식별 코드와 동일한 저장된 개인용 식별 코드를 사용하며, 상기 제 3 무선국이 상기 저장된 개인용 식별 코드와 동일한 개인용 식별 코드를 반환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한 후, 상기 제 1 및 제 3 무선국 사이에서 추가적인 데이터 객체 전달 임무에 대한 수행을 개시하는, 셋업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데이터 객체 전달 임무가 전달 세션에 관계된 모든 무선 링크들에 대해서 수행되며, 예컨대, 데이터 객체는 가상 비즈니스 카드이다. 이러한 데이터 객체 전달 임무에서, 몇 개의 무선국들만이 비즈니스 카드 정보를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으며, 다른 무선국들은 비즈니스 카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데이터 객체 전달 임무는, 관계된 무선국들 사이의 마지막 세션이후 대략 30초 내에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종료된다.
데이터 객체 전달 세션에 관계되는 둘 이상의 무선국들이, 짧은 시간 예컨대 30초 내에 이러한 세션을 요청할 때, 본 방법은 수동으로 개시될 수 있지만, 또한 자동으로 개시될 수 도 있다.
도 1은 다수의 무선국(3, 4, 5 및 6)을 갖는 단거리 무선 시스템(2)을 포함하는 무선 시스템(1)을 도시한다. 각 단거리 다중 무선 링크(7, 8 및 9)를 통해서 무선국들(4, 5 및 6)과 통신하는 무선국(3)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덧붙여서, 무선국은 셀룰러 라디오 네트워크(10)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10)는 공중 회선교환 전화 네트워크(11)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국(3, 4, 5 및 6)은 단거리 무선 통신에 대해서만또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무선 링크(7, 8 및 9)를 통해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들이 상기 블루투스 규격에 따라 수행된다. 대안적으로, 소위 HomeRF 표준에 따르는 것과 같은 다른 적합한 단거리 무선 링크 프로토콜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단거리 무선 링크(7, 8 및 9)는 무선 링크, 적외선 링크, 임의의 적합한 무선 링크 또는 이들의 결합 링크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국(3)의 기능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무선국(4, 5 및 6)은 구성과 동작에 있어서 유사하다. 무선국들은 셀룰러 전화, 개인용 컴퓨터, PDA, 또는 본 발명을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프로그래밍된 임의의 다른 적합한 휴대용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국(3)은 셀룰러 무선 트랜시버(20)와, 블루투스(BT) 라디오 트랜시버(21)와, 변조된 적외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LED)(23)를 갖는 IrDA 적외선 트랜시버(22)를 포함한다. 트랜시버(20, 21 및 22)는, 상기 트랜시버들이 처리 수단(24)을 통해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들을 송신하며, 디지털 신호들을 상기 처리 수단(24)에 제공할 수 있도록, 믹서(mixer), 변조기, 복조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하는 수신 및 송신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트랜시버 회로는 충분히 알려져 있어서, 여기서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는다. BT 트랜시버(21)는 상기 블루투스 규격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IrDA 트랜시버(22)는 상기 IrDA 규격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무선국(3)은, 비휘발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부분(25A)을 갖는 휘발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5)와, 애플리케이션(27)을 포함하는 ROM-메모리(26)와, 디스플레이(28)와, 키보드 또는다른 적합한 입력 수단 및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과 같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9)를 더 포함하며, RAM(25), ROM(26), 디스플레이(28) 및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9)는 처리 수단(24)에 연결되어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25A)는 전화 번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20, 21 및 22)는 각각 수신된 신호 세기 측정 수단(20A, 21A 및 22A)을 포함한다. 다중 링크에 관계된 무선국들(3, 4, 5 및 6)에 걸쳐 분포된 애플리케이션(2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도 3은, 무선 링크(7, 8 및 9)에 의해 형성된 다중 무선 링크에 관계되는 무선국들에 걸쳐서 분포된 프로그래밍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주어진 예에서, 모든 개별 무선국 탐색, 발견, 링크 셋업, 데이터 연결 수립 및 인증 절차는 상기 블루투스 규격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전달되는 데이터 객체는, 나타낸 바와 같이 가상의 비즈니스 카드(vCard)나 또한 가상 캘린더 정보(vCalendar)일 수 있으며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가상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vCard 및 vCalendar의 데이터 포맷은 상기 인터넷 메일 협회를 통해 알려져 있다. 블록(30)에서, 무선국(3)은, 예컨대 데이터 객체 전달 임무를 수행하고, 제시된 예에서는 가상 비즈니스 카드 또는 가상 캘린더 정보를 스와핑(swapping)하고, 수신하거나 송신하도록 스위칭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전형적인 상황은 다중 전달, 즉 다수의 무선국들 사이에서 이러한 비즈니스 카드 또는 캘린더 정보를 비즈니스 회의 등에 관계된 사용자에 의해 발신하고, 수신하거나 스와핑하는 것이다. 블록(31)에서 블루투스는 무선국(3)에서 개시된다.블록(32)에서, 무선국(3)의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9)와 상호 동작하는 것과 같은 사건이 발생했는지의 여부가 테스트된다. 블록(33)에서, 예컨대 가상 비즈니스 카드들을 전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바램과 같은 상기 사건이 테스트된다. 만약 그러한 경우가 아니라면, 블록(34)에서, 또 다른 스크린을 디스플레이(28)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 전화 호출을 하는 것, 또는 가장 캘린더 정보를 전달하는 것과 같은 또 다른 데이터 전달 임무를 수행하는 것과 같은 또 다른 임무가 수행된다. 만약 상기 선택된 임무가 가상 비즈니스 카드를 전달하는 것이라면, 블록(35)에서, 무선국은 모든 원격 무선국들을 탐색한다. 블록(36)에서 원격 무선국이 발견되는지의 여부가 테스트된다. 만약 발견되지 않는다면, 블록(37)에서 무선국에 대한 탐색이 너무 오래 걸렸는지의 여부가 테스트된다. 다른 어떠한 무선국도 무선국(3)의 거리 내에(in-range) 있지 않을 때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다. 만약 탐색이 너무 오래 걸렸다면, 블록(37)은 블록(32)으로 귀환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기다린다. 블록(38)에서, 발견된 원격 무선국이 신규 무선국인지의 여부가 테스트되며, 여기서 신규 무선국은 무선국(3)과의 링크를 동시에 가지고 있지는 않다. 만약 발견된 원격 무선국 또는 디바이스가 신규한 것이 아니라면, 블록(38A)에서, 상기 디바이스가 이미 카드들을 스와핑했는지의 여부가 테스트된다. 만약 스와핑했다면, 탐색은 다른 원격 디바이스들을 탐색하기 위해서 블록(35)으로 귀환한다. 만약 스와핑하지 않았다면, 서비스 발견 절차는 이후에 설명될 바와 같이 수행된다. 만약 신규한 원격 무선국, 예컨대 무선국(4)이 발견된다면, 블록(39)에서 무선국(3 및 4) 사이에 무선 링크(7)가 개시된다. 그 이후, 블록(40)에서, 만약 최근의 앞선 링크가 30초쯤 전 이내에 수립되었는지의 여부가 테스트된다. 이것은, 회의에서 비즈니스 카드들을 교환하는 전형적인 상황에서, 사용자가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링크 데이터 전달 방법에서 사용되는 공통인 개인용 식별 코드를 승인하며, 그런 다음, 비즈니스 카드 정보의 교환을 시작하기 때문이다. 전체 전자 교환 프로세스는 상당히 빠른 프로세스이다. 따라서, 만약 앞선 링크가 최근에 셋업되지 않았다면, 이것은 다른 용도로 거의 사용되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실제 상황에서, 만약 최근의 앞선 링크가 수립되지 않았었다면, 블록(41)에서, 무선국(3)의 사용자는 즉시 개인용 식별 코드(PIN1)를 입력한다. PIN-코드(PIN1)를 입력하자마자, 코드(PIN1)는 메모리(25)에 저장된다. 만약 비즈니스 카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최근의 앞선 링크가 있었다면, 최근의 앞선 링크와 함께 저장된 PIN-코드(PIN1)는 현재 발견된 신규하며, 비즈니스 카드 전달 가능한 링크를 인증하는 프로세스에 사용된다. 블록(42)에서, 현재 발견된 비즈니스 카드 전달 가능한 링크는 인증된다. 이러한 인증 프로세스에서, 발견된 무선국의 사용자는 즉시 PIN-코드를 입력한다. 제공된 예에서, 모든 원격 무선국들이 비즈니스 카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무선국(4, 5 및 6)의 각 사용자들은 PIN-코드(PIN2, PIN3 및 PIN4)를 입력함이 가정된다. 먼저, 무선국(4)이 발견되며, 그 이후 무선국(6 및 5)이 순서적으로 발견되었을 것으로 또한 가정된다. 블록(43)에서, 무선국(3)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PIN-코드인, PIN-코드(PIN1)가 원격 무선국(4, 6 및 5)의 사용자들에 의해 입력된 PIN-코드와 동일한지의 여부가 각 발견된 원격 무선국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테스트된다. 무선국(4 및 5)의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 직후에 PIN-코드(PIN1)와 동일한PIN-코드를 입력하고, 무선국(6)의 사용자는 다른 PIN-코드를 입력했다고 가정하자. 이때, 초기에 무선국(3, 4 및 5)은 비즈니스 카드 전달 임무에 관계된다. 만약 30초 기간 내에서 마지막 데이터 전달 임무 직후에 무선국(6)의 사용자가 동일한 PIN-코드를 재입력한다면, 무선국(6)은 비즈니스 카드 전달 세션에 결국 관계된다. 따라서, 만약 데이터 객체 전달 프로세스에서 링크들이 동일한 서비스를 위해 연달아(shortly after another) 이루어짐으로써, 연속적인 링크가 데이터 객체 교환 세션을 형성한다면, 무선국(3)의 사용자는 최근의 앞선 링크 다음에 오는 링크들을 인증하는데 자동으로 사용되는 단일 PIN-코드를 입력해야만 한다. 애플리케이션은, 블록(44)에서 상기 블루투스 규격 - 프로파일의 66 페이지에 설명된 소위 블루투스 서비스 발견 절차로 진행한다. 서비스 발견 절차에는, 본래 알려진 방식으로 무선국(4) 상의 또는 이 국을 통한 서비스들이 위치해 있다. 제공된 예에서, 블록(45)에서, 무선국(4)이 가상 비즈니스 카드 전달 서비스 또는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만약 수행할 수 없다면, 블록(45)은 또 다른 원격 무선국을 탐색하기 위해서 블록(35)으로 귀환한다. 만약 무선국(4)이 비즈니스 카드 전달 서비스 또는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면, 블록(46)에서 실제 데이터 전달 임무가 수행된다. 제공된 예에서, 데이터 전달 임무는, 두 무선국 사이에서 블루투스 객체 푸시를 사용한 다음에 BT 객체 풀을 사용함으로써 비즈니스 카드 정보의 스와핑(swapping), 즉 교환일 수 있고, 주어진 세션에서의 사용자의 특정한 요구에 따라서, 또는 BT 객체 풀을 사용하는 단지 수신 임무이거나, BT 객체 푸시를 사용하는 단지 발신 임무이거나 또는 데이터 전달 임무의 임의의 결합일 수 있다. IrDA에서, BT 객체 PUSH 및 PULL과 유사한 명령(PUT 및 GET)이 한정된다. 바람직하게, 한 세션 내에서 모든 데이터 전달 임무는 동일하다. 이는 링크가 기타 승인되지 않은 용도로 이뤄지는 것을 차단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예컨대, 무선국(3)이 한 세션에서 비즈니스 카드들을 하나의 원격 무선국과 스와핑하고, 또 다른 무선국으로부터 캘린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아야 한다. 서비스 발견 및 카드 스와핑은 또한, 블록(38)에서 신규하지 않은 것으로 발견되었으며, 아직 스와핑된 카드들을 갖지 않은 디바이스에 대해, 만약 이러한 디바이스가 카드들을 스와핑할 수 있다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데이터 전달 세션은 무선국(3)의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메모리(27)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게스트 전화번호부(guest book) 애플리케이션은, 무선국(3)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특수한 비즈니스 카드 교환 옵션을 갖는다. 사용자가 PIN-코드를 입력한 후, 애플리케이션은 전체 세션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전달 세션이 개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세션은, 둘 이상의 링크 요청이 짧은 시간 기간, 예컨대 30초 내에 이뤄진 이후에 자동으로 시작된다. 요청은 무선국(3)의 사용자나 원격 무선국(4, 5 및 6)의 사용자들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세션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세션을 종료하는 무선국(3)의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종료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세션은, 상기 세션의 마지막 데이터 전달 임무 이후에 예컨대 대략 30초의 짧은 기간 내에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자동으로 종료될 수 있다. 블루투스에서,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은 소위 반-영구적인 링크가 아닌 소위 신규한 임시적인 링크에만 응용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현재의 동작중인 링크가 임의의 방식으로 차단되거나 실행될 필요가 없도록 프로그래밍된다. 무선국은, 비즈니스 카드들이 다른 무선국들과 교환됨과 동시에 인터넷에 액세스하도록 PC에 대한 링크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사실들로 볼 때,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아래에서 한정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이 제시된 예들로 제한되지 않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용어 "포함하는"은 청구항에 청구된 요소들 또는 단계들 이외의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라디오 링크, 적외선 링크,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무선 링크 또는 다른 유형의 무선 링크들의 결합과 같은 단거리 무선 링크를 통해서 데이터 객체들을 무선국들에 전달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무선 시스템 및 무선국에 이용된다.

Claims (17)

  1. 단거리 무선 링크를 통해서 서로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무선국들을 포함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동되는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으로서,
    제 1 및 제 2 무선국 사이에 제 1 단거리 무선 링크를 셋업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제 1 무선국에서는 제 1 개인용 식별 코드를 입력하고, 상기 제 2 무선국에서는 제 2 식별 코드를 입력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개인용 식별 코드가 동일할 때만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국들 사이의 상기 제 1 단거리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 연결을 수립하는, 제 1 단거리 무선 링크 셋업 단계와;
    상기 데이터 연결을 성공적으로 수립하자마자,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디바이스(device)들중 하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국 사이에서 제 1 데이터 객체 전달 임무를 개시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제 3 무선국에 후속적인 단거리 무선 링크를 적어도 셋업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개인용 식별 코드와 동일한 저장된 개인용 식별 코드를 사용하며, 상기 제 3 무선국이 상기 저장된 개인용 식별 코드와 동일한 개인용 식별 코드를 반환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한 후 상기 제 1 및 제 3 무선국 사이에서 추가적인 데이터 객체 전달 임무에 대한 수행을 개시하는, 셋업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데이터 객체 전달 임무는 상기 제 1 데이터 객체 전달 임무와 동일한,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국들중 하나가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국들중 다른 하나를 발견하자마자 상기 제 1 단거리 무선 링크를 수립하며, 상기 제 3 무선국을 발견하자마자 상기 후속적인 단거리 무선 링크를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적인 단거리 무선 링크를 셋업하기 이전에, 사전에 결정된 시간이 상기 제 1 단거리 무선 링크의 셋업 이후에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만약 상기 사전에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된 개인용 식별 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적인 단거리 무선 링크를 셋업하기 이전에, 사전에 결정된 시간이상기 제 1 단거리 무선 링크의 셋업 이후에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만약 상기 사전에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상기 저장된 개인용 식별 코드를 사용하면서 상기 후속적인 단거리 무선 링크를 자동으로 셋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후속적인 단거리 무선 링크의 셋업 이전에, 상기 제 1, 제 2 및 적어도 제 3 무선국의 사용자들은 상기 셋업 시에 상기 동일한 개인용 식별 코드의 사용을 승인하는,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3 무선국이 상기 제 1 또는 상기 추가적인 데이터 객체 전달 임무를 수행하도록 인에이블(enable)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객체 전달 임무는 비즈니스 카드 정보를 전달하는,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즈니스 카드 정보는 표준 가상 비즈니스 카드의 형태로 전달되는,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비즈니스 카드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액세스될 수 있는 전화 번호부(phone book)에 저장하기 위한 전화 번호들을 포함하는,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객체 전달 임무는 캘린더 정보를 전달하는,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개시되는,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은, 사전에 결정된 시간 내에 적어도 두 개의 링크 요청을 하자마자 자동으로 개시되는,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은 수동으로 종료되는,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은, 적어도 상기 후속적인 단거리 무선 링크를 셋업함으로써 마지막으로 수행된 데이터 객체 전달 임무 후에 시간 기간이 경과된 다음에 자동으로 종료되는,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16. 단거리 무선 링크를 통해서 서로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무선국과;
    상기 복수의 무선국중 제 1 및 제 2 무선국 사이에 제 1 단거리 무선 링크를 셋업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복수의 무선국중 상기 제 1 무선국과 제 3 무선국 사이에 후속적인 단거리 무선 링크를 적어도 셋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국은 제 1 및 제 2 개인용 식별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 1 무선국은, 상기 입력된 제1 및 제 2 개인용 식별 코드가 동일할 때만 상기 제 1 단거리 무선 링크를 통해서 데이터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데이터 연결을 성공적으로 수립하자마자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국 사이에 데이터 객체를 전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식별 코드와 동일한 저장된 개인용 식별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저장된 개인용 식별 코드를 사용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3 무선국 사이에서 적어도 상기 후속적인 단거리 무선 링크를 셋업하기 위한 상기 수단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시스템.
  17. 단거리 무선 링크를 통해서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국들인 제 1 무선국과, 적어도 제 2 및 제 3 무선국을 포함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제 1 무선국으로서, 상기 무선 시스템은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국 사이에 제 1 단거리 무선 링크를 셋업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3 무선국 사이에 후속적인 단거리 무선 링크를 셋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제 1 무선국으로서,
    제 1 개인용 식별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입력된 제 1 개인용 식별 코드가, 상기 제 2 무선국에 입력되고 상기 제 2 무선국으로부터 수신된 제 2 개인용 식별 코드와 동일할 때만, 상기 제 1 단거리 무선 링크를 통해서 데이터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데이터 연결을 성공적으로 수립하자마자,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국 사이에서 데이터 객체를 전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 1 개인용 식별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저장된 제 1 개인용 식별 코드(PIN1)를 사용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3 무선국 사이에서 적어도 상기 후속적인 단거리 무선 링크를 셋업하기 위한 상기 수단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무선국.
KR1020017007828A 1999-10-22 2000-10-06 데이터 객체들을 무선국에 전달하기 위한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및 무선 시스템 및 제 1 무선국 KR100710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25,658 US6600902B1 (en) 1999-10-22 1999-10-22 Multiple link data object conveying method for conveying data objects to wireless stations
US09/425,658 1999-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135A true KR20010086135A (ko) 2001-09-07
KR100710746B1 KR100710746B1 (ko) 2007-04-24

Family

ID=2368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828A KR100710746B1 (ko) 1999-10-22 2000-10-06 데이터 객체들을 무선국에 전달하기 위한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및 무선 시스템 및 제 1 무선국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00902B1 (ko)
EP (1) EP1142203B1 (ko)
JP (1) JP2003513516A (ko)
KR (1) KR100710746B1 (ko)
CN (1) CN1166123C (ko)
DE (1) DE60022622T2 (ko)
WO (1) WO20010318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7195A (ja) * 2000-01-11 2001-07-19 Seiko Instruments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010033554A1 (en) * 2000-02-18 2001-10-25 Arun Ayyagari Proxy-bridge connecting remote users to a limited connectivity network
US7065646B1 (en) * 2000-03-16 2006-06-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ote notification of print or fax hardcopy recipient using standard identification data
US20030157963A1 (en) * 2000-03-28 2003-08-21 Laurent Collot Selective intercommunication 1 device for mobile terminals in physical proximity, also linked by global networks
US7136999B1 (en) * 2000-06-20 2006-11-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authentication
US20030165128A1 (en) * 2000-07-13 2003-09-04 Rajendra Sisodia Interactive communications system coupled to portable computing de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s
EP1178445A1 (en) * 2000-07-31 2002-02-06 Alcatel Method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transactions between an hybrid wireless terminal and a service terminal
JP2002101104A (ja) * 2000-09-21 2002-04-05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検索方法
US6760728B1 (en) * 2000-09-27 2004-07-06 Palmsour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and exporting directory and calendar information to and from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applications
FI20002140A (fi) * 2000-09-29 2002-03-30 Goia Stelian Adrian Järjestelmä henkilökontaktien muodostamiseksi
JP3558125B2 (ja) * 2000-10-17 2004-08-2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接続先特定方法
US20040203592A1 (en) * 2000-11-15 2004-10-14 Motorola, Inc. Introduction device, smart appliance and method of creating a federation thereof
US7242905B2 (en) * 2000-11-27 2007-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information sharing between cellular and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092671B2 (en) * 2000-11-30 2006-08-15 3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ly autodialing a telephone number from a record stored on a personal information device
US6826387B1 (en) * 2000-11-30 2004-11-30 Palmsource, Inc. Efficient service registration for legacy applications in a bluetooth environment
GB2369964B (en) * 2000-12-11 2004-07-07 Ubinetics Ltd Communications device
US7765580B2 (en) * 2000-12-22 2010-07-27 Entrus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authentication using a back channel
FI20002852A (fi) * 2000-12-22 2002-06-23 Nokia Corp Objektien siirto meneillään olevan tiedonsiirtotoimenpiteen sisällä
US20030158952A1 (en) * 2000-12-29 2003-08-21 Kris Fle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virtual communications ports with applications and services on bluetooth enabled devices
US7231204B1 (en) * 2001-01-30 2007-06-12 Palmsour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and automatic two-way beaming of related information to and from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US8478281B2 (en) * 2007-12-13 2013-07-02 Agere Systems Llc Cell phone extension using wireless piconet
US7363006B2 (en) * 2001-03-14 2008-04-22 Agere Systems Inc. Cell phone extension using wireless piconet
JP4913954B2 (ja) * 2001-05-24 201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機器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7339939B2 (en) * 2001-06-29 2008-03-0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n object exchange bridge
JP4215968B2 (ja) 2001-07-10 2009-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その通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端末、その端末における通信方法およびその端末において通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03037545A (ja) * 2001-07-23 2003-02-07 Nec Corp 近距離無線機能付き移動局及びその消費電力低減方法
US7043205B1 (en) * 2001-09-11 2006-05-09 3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a virtual serial communications port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in a Bluetooth communications network
US20030087658A1 (en) * 2001-11-08 2003-05-08 Jane Dashevsky Partitioning responsibility between link manager and host controller interface firmware modules in wireless systems
US20030143954A1 (en) * 2002-01-25 2003-07-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wireless device intrusion into populated areas
US7474888B1 (en) * 2002-02-25 2009-01-06 Palm, Inc. Method for bypassing passkey exchange and authentication procedures
US20030182559A1 (en) * 2002-03-22 2003-09-25 Ian Curry Secur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recipient and sender activity delegation
US20040203350A1 (en) * 2002-05-07 2004-10-14 Inte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information retrieval using a universal identity metatag
US20040203351A1 (en) * 2002-05-15 2004-10-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luetooth control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30225744A1 (en) * 2002-05-28 2003-12-04 Luke Waaler Method,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xchange of information
JP3862073B2 (ja) * 2002-06-07 2006-12-27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40203563A1 (en) * 2002-06-07 2004-10-14 Menard Raymond J. Emergency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7472135B2 (en) * 2002-10-18 2008-12-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calling details regarding past events
US20060274669A1 (en) * 2003-04-01 2006-12-07 Thomas Falck Discovering proximate apparatus and services in a wireless network
JP2004320161A (ja) * 2003-04-11 2004-11-11 Sony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情報通信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
JP2004320162A (ja) * 2003-04-11 2004-11-11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無線通信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
JP2005254793A (ja) * 2003-07-17 2005-09-22 Seiko Epson Corp 出力装置及び無線通信器
US8964765B2 (en) * 2004-11-12 2015-02-24 Broadcom Corporation Mobile handheld multi-media gateway and phone
US20060253409A1 (en) * 2005-03-04 2006-11-09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local service discovery with browser search
US20060293028A1 (en) * 2005-06-27 2006-12-28 Gadamsetty Uma M Techniques to manage network authentication
CN100361553C (zh) * 2005-07-29 2008-01-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终端用户标识保存方法与装置
TWI274284B (en) * 2005-09-07 2007-02-21 Micro Star Int Co Ltd Method for changing parameter values of embedded system by way of object push profile
EP1768434A1 (en) * 2005-09-21 2007-03-28 Thomson Telecom Belgium Method and a device to suspend the access to a service
JP4451378B2 (ja) * 2005-11-08 2010-04-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機器設定情報通知方法及び機器
US8090401B2 (en) 2006-05-19 2012-01-03 Agere Systems Inc. Virtual gateway node for dual-mode wireless phones
US20110213711A1 (en) * 2010-03-01 2011-09-01 Entrust,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action verification
CN109963271B (zh) 2012-11-12 2022-06-03 埃姆皮公司 用于电刺激的无线配对和通信的系统及方法
CN104077169A (zh) * 2014-07-21 2014-10-01 北京深思数盾科技有限公司 低功耗蓝牙设备、信息安全设备及应用程序的自启动方法
JP6414283B2 (ja) * 2017-06-28 2018-10-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US10867321B1 (en) * 2018-07-16 2020-12-15 James D MacDonald-Korth Automatic login link for targeted users without previous account crea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4602A2 (en) 1995-07-19 1997-02-0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 for us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with telecommunications calls
US5982520A (en) * 1996-03-28 1999-11-09 Xerox Corporation Personal storage device for application and data transfer
US6434159B1 (en) * 1996-10-15 2002-08-13 Motorola, Inc.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5898831A (en) * 1996-12-16 1999-04-27 Motorola, Inc. Interactive appliance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6331972B1 (en) * 1997-02-03 2001-12-18 Motorola, Inc. Personal data storage and transa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WO1999029127A1 (en) 1997-12-01 1999-06-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lectronic business card hand-over
SE517709C2 (sv) * 1997-12-29 2002-07-09 Ericsson Telefon Ab L M Ett personligt informationshanterings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42203B1 (en) 2005-09-14
WO2001031851A1 (en) 2001-05-03
JP2003513516A (ja) 2003-04-08
US6600902B1 (en) 2003-07-29
CN1341312A (zh) 2002-03-20
KR100710746B1 (ko) 2007-04-24
EP1142203A1 (en) 2001-10-10
DE60022622T2 (de) 2006-06-22
DE60022622D1 (de) 2005-10-20
CN1166123C (zh) 200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746B1 (ko) 데이터 객체들을 무선국에 전달하기 위한 다중 링크 데이터 객체 전달 방법, 및 무선 시스템 및 제 1 무선국
US71587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short-range service sessions
EP1225778B1 (en) Wireless repeater using identification of call originator
US7313120B2 (en) Application control in peer-to-peer ad-hoc communication networks
EP1364494B1 (en) Method for adding a new device to a wireless network
US72162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FI113145B (fi) Laitteen piilottaminen
AU773827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23445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080268814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150373179A1 (en) Method for selecting and configuring wireless connec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US7212785B2 (en) Local file transfer
US845833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payment services
US20070224976A1 (en) PoC system and method of PoC communication
KR100369899B1 (ko) 블루투스 탑재 기기 종류 및 모델 자동 확인 방법 및 시스템
KR100565337B1 (ko) Ptt 서비스의 리스트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JP2003224567A (ja) 通信接続補助装置、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02111914A (ja) 公衆電話システム
KR100737310B1 (ko) 통신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의 동작 방법
JP2003348645A (ja) 複合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複合無線通信方法
JP2003244012A (ja) 無線通信装置
JP2008109202A (ja) 移動通信端末および移動通信端末の制御方法。
JP2002152820A (ja) Phs通信システムとその方法
JP2001157257A (ja) 発信先限定方法及びその方法を使用する移動通信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