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321A -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321A
KR20010085321A KR1020010004727A KR20010004727A KR20010085321A KR 20010085321 A KR20010085321 A KR 20010085321A KR 1020010004727 A KR1020010004727 A KR 1020010004727A KR 20010004727 A KR20010004727 A KR 20010004727A KR 20010085321 A KR20010085321 A KR 20010085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orage device
elevator
voltag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6801B1 (ko
Inventor
스가이쿠로
아라키히로시
다지마시노부
고바야시가즈유키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10085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285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with the use of a speed pattern gen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회생시에 발생하는 전력은, 회생저항등으로 열소비되고, 유효하게 사용되지 않고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컨버터(9)와 인버터(12)와 인버터의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8)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21)와 컨트롤러의 속도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을 연산하는 소요전력연산회로(50)와,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이 부인경우, 즉 회생전력이 있는 경우는 이 회생전력에 따라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를 가변제어해서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23)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충전회로(22)를 구비하였다. 이로써 회생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성에너지화를 도모할 수 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ELEVATOR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전력축적장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관한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9는 예를들면 「미쓰비시덴키기호 「중저속승용엘리베이터 "그랜디"의 모델체인지」(안도, 기무라, 모러 저 Vol70. No11, 1996년 발행)의 9페이지」에 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9에서 1은 상용의 3상교류전원, 2는 인덕션모터 IM의 전동기, 3은 권양기, 4는 로프, 5는 엘리베이터의 카, 6은 균형추이다. 또 7은 인코더, 8은 컨트롤러, 9는 다이오드로 구성된 컨버터, 10은 컨덴서, 11은 커렌트트랜스(CT)등의 전류검출기, 12는 인버터, 13은 인버터제어회로, 14는 게이트드라이드회로, 15는 회생저항, 16은 IGBT등의 스위칭수단이다.
다음에 전술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동기(2)로 권양기(3)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프(4)의 양단에 접속된 엘리베이터의 카(5) 및 균형추(6)를 이동시켜, 카내의 승객을 소정의 층으로 운반한다.
컨버터(9)는 상용전원(1)에 공급된 고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고 컨덴서(10)에 축적한다. 이 직류전력을 인버터(12)로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한다.
컨트롤러(8)는 엘리베이터의 기동정지를 결정하는 동시에, 그 위치 속도지령을 작성한다. 인버터 제어회로(13)는 컨트롤러(8)의 지령에 따라 전류검출기(11)에서 전류귀환과 권양기(3)에 탑재한 인코더(7)로부터의 속도귀환에 의해 전동기(2)를 회전구동해서 엘리베이터의 위치속도제어를 실현한다. 이때, 인버터 제어회로(13)은 게이트드라이드회로(14)를 통해서 인버터(12)의 출력전압, 주파수를 제어한다. 엘리베이터의 균형추(6)는 카(5)에 적당한 인간이 승차하고 있을때에 균형을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들면 균형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주행하는 경우, 가속시는 전력을 소비하면서 속도를 올려 역으로 감속시는 축적된 속도에너지를 전력으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에서는 이 회생전력을 스위칭수단(16)을 제어함으로써 회생저항(15)에서 열에너지로 변환해서 소비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는, 항상 상용전력에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운전하고 있고, 엘리베이터의 회생시에 발생하는 전력은 회생저항등에서 열소비되고 유효하게 사용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엘리베이터 회생시에 발생하는 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성에너지화가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얻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트롤러의 속도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을 연산하는 소정전력연산회로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이 부인경우, 즉 회생전력이 있는 경우에는 이 회생전력에 따라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를 가변제어해서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트롤러의 속도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을 연산하는 소요전력 연산회로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이 부인경우, 즉 회생전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상기 교류전력을 정류한 전압치 이상으로 미리 설정한 전압으로 정전압이 되도록 제어해서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트롤러의 속도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을 연산하고 이 소요전력이 부인경우는 회생운전신호를 출력하는 소요전력연산회로와 상기 회생운전신호를 입력하면, 회생전력의 충전제어를 개시하고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의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을 개시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비터와 상기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엘리베이터의 정지신호를 입력하면 회생전력의 충전제어를 정지하고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정지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의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층분을 정지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상기 교류전력을 정류한 전압보다 높은 미리 설정한 소정전압에 도달하면 회생전력의 충전제어를 개시하고,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개시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의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을 개시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교류전력을 정류해서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상기 교류전력을 정류한 전압치이상의, 미리 설정한 전압으로 정전압이 되도록 제어하고, 또 충전전류를 제어해서 상기 충전전류가 0이되면, 회생전력의 충전제어를 정지하고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정지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의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을 정지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를 미리 설정한 소정의 전류치에 일정제어해서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정전류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상기 교류전력을 정류한 전압보다 높은 미리 설정된 소정전압에 도달하면, 회생전력의 충전제어를 정지하고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의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서 충전을 정지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에 따라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를 단계적으로 미리 설정한 다수의 소정의 전류치에 일정제어해서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정전류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미리 설정된 소정전압으로 정전압이 되도록 제어하고, 또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상한치에 도달하면, 상기 충전전류가 상기 상한치가 되도록 제어해서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상기 충방전제어회로는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가 상기 소정의 상한치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상기 상한치에서의 충전을 계속하면서 상기 모선전압이 미리 설정한 제2의 소정전압을 초과했을때는 상기 회생전력의 일부를 저항에 의해 열소비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미리 설정한 소정전압으로 정전압이 되도록 제어해서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제1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전력축적장치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상한치에 도달하면, 상기 회생전력의 충전제어를 정지하고,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정지하기 위한 제2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제어회로와 상기 제1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동시에 상기 제2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것을 정지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미리 설정한 소정전압으로 정전압이 되도록 제어해서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전력축적장치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소정전압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상한치가 되도록 제어해서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충전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4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상기 충방전제어회로는, 상기 전력축적장치의 전압이 미리 설정한 상기 소정전압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상기 상한치에서의 충전을 계속하면서, 상기 모선전압이 미리 설정한 제2의 소정전압을 초과했을때는 상기 회생전력의 일부를 저항에 의해 열소비시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충방전회로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인버터제어회로와 소요전력연산회로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충방전제어회로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충방전 전파파형을 표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충방전 제어회로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충방전 제어회로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9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0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19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상교류전원, 2. 전동기, 3. 권양기,
4. 로프, 5. 카, 6. 균형추,
7. 인코더, 8. 컨트롤러, 9. 컨버터,
10. 컨덴서, 11,24. 전류검출기, 12. 인버터,
13. 인버터제어회로, 14.52. 게이트드라이브회로,
15. 저항, 16. 스위칭수단, 21. 전력축적장치,
22. 충방전회로, 23. 충방전제어회로, 50. 소요전력연산회로,
51. 통신케이블, 53. PWM신호회로, 54. 충전전류컨트롤러,
55.58 감산기, 56. 제산기, 57. 전압컨트롤러.
실시의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의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또, 각 도면중,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한다.
도 1에서 3상교류전원(1)~게이트드라이브회로(14)는 상기 종래예에 표시한 도 19의 구성요소와 동등한 것이다.
또, 동도면에서 21은 배터리로 구성된 전력축적장치 22는 DC/DC컨버터로 구성된 충방전회로, 23은 충방전회로(22)의 충방전전력을 제어하는 충방전제어회로, 24는 커렌트트랜스(CT)로 구성된 전력축적장치(21)의 입출력전류를 검토하기 위한 전류검출기, 50은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을 연산하는 소요전력연산회로, 51은 소요전력연산회로(50)에서 연산한 소요전력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케이블이다.
도 2는 도 1의 충방전회로의 회로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25는 리엑터, 26,27은 IGBT의 스위칭소자, 28,29는 역병렬에 접속된 다이오드이다.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은 스위칭소자(26)와 다이오드(29)의 강압형초퍼회로로 시행된다. 또 전력축적장치(21)에서의 방전은 스위칭소자(27)와 다이오드(28)의 승압형초퍼회로로 시행된다.
도 3은 도 1의 인버터제어회로와, 소요전력연산회로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서 33은 3상-2상좌표변환기로, 3상 교류전류 Iu, Iv, Iw를 고정자 권선에 인가되는 교류전압의 주파수 ω 1과 동기해서 회전하는 2축의 회전좌표계(d-q좌표계)에서의 값, 즉, 고정자 권선전류 Id, Iq로 변환한다. 또, 38은 d-q좌표계에서의 고정자권선전류 Id에서 회전자에 쇄교하는 자속 Φ 2d를 산출하는 자속 연산기이다.
또, 동도면에서 31은 PWM신호작성회로, 32는 d-q좌표계에서의 전압지령치 Vd, Vq를 3상의 교류전압지령치로 변환하는 2상-3상 좌표변환기, 34는 고정자권선전류의 A축성분지령치 Id*와 그 실제치 Id와의 차를 예를들면 비례적분연산해서 d축전류를 지령치로 제어하는 d축전류컨트롤러, 35는 마찬가지로 고정자권선전류의 q성분지령치 Iq*와 그 실제치 Iq의 차를 예를들어 비례적분 연산해서 q축전류를 지령치로 제어하는 q축 전류컨트롤러이다.
또, 동도면에서 36은 회전자권선쇄교자속의 d축성분 Φ 2d를 소망하는 값 Φ 2d*로 제어하기 위한 자속컨트롤러, 37은 회전자각속도ω r를 소망하는 ω r*로 제어하기 위한 속도컨트롤러, 39는 제산기, 40은 계수기이다. 이들 제산기(39)및 계수기(40)에 의해 슬립주파수지령 ω r*로 산출하고 있다.
또 동도면에서 (41),(42),(43),(44),(45)는 가산기 또는 감산기, 46은 적분기이다.
또, 동도면에서, 47은 가산기, 48, 49는 적산기, 50은 소요전력연산기이고, d-q좌표계에서의 전압지령치 Vd와 고정자권선전류 Id와의 적과, 전압지령치 Vq와 고정자권선전류 Iq와의 적을 가산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 PW를 연산한다.
또, 소요전력연산기(50)는, d-q좌표계에서의 전압지령치 Vd와의 고정자권선전류지령치 Id*과의 적, 전압지령치 Vq와 고정자 권선전류지령치 Iq*의 적을 가산해도 같은 연산이 가능하다.
최종적으로는 2상-3상 좌표변환기(32)의 출력3상 교류전압지령치는, PWM신호작성회로(31)에 보내지고 게이트드라이브회로(14)에 의해 인버터(12)가 구동된다.
도 4는, 도1의 충방전제어회로의 충전제어회로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 52는 게이트드라이브회로, 53은 PWM변조신호를 작성하는 PWM신호회로, 54는 충전전류컨트롤러로, 충전전류지령치 Icc와 도 1의 전류검출기(24)에서 검출한 충전전류의 실제치 Ic와의 차를 예를들어, 비례적분연산해서, 충전전류지령치에 제어한다. 또 55는 감산기, 56은 제산기이다.
다음, 이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충전전류파형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주행시, 도 1의 인버터제어회로(13)에 의해 엘리베이터는 소정의 속도지령에 따라 주행한다.
또, 동시에 소요전력연산회로(50)는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 PW를 연산하고, 그 소요전력 PW는 통신케이블(51)을 통해서 충방전제어회로(23)에 출력된다.
도 4에 표시하는 충방전제어회로(23)의 충전제어회로는, 소요전력 PW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회생시, 즉 소요전력이 부인 경우는, 도 2에 표시하는 충전전력용의 제어회로(22)를 동작시켜서, 엘리베이터가 회생해오는 전력을 전력축적장치(21)에 충전한다.
이 충방전제어회로(23)의 충전제어회로는, 소요전력연산회로(50)에서 연산한 소요전력 PW와 배터리 전압 Vb를 사용해서 하기의 식(1)에 따라 충전전류지령 Icc를 작성한다.
Icc = Pw/Vb ........................... (1)
다음, 충전전류컨트롤러(54)는 충전전류지령 Icc와 충전전류 Ic에 따라 도 5에 표시한 바와같이 충전전류를 가변제어한다.
또, 전력축적장치(21)에 충전한 회생전력은, 도 2에 표시한 충방전회로(22)의 방전회로에 의해 적시 방전해서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엘리베이터의 회생시, 즉 소용전력이 부인 경우에 회생전력을 전력축적장치(21)에 충전을 하고, 충전한 회생전력을 적시방전하므로써, 유효하게 회생전력의 이용을 하고 상용전원(1)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저감시킬 수 있고, 성에너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소요전력연산회로(50)에서 연산한 부의 소요전력 Pw에 따라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전류를 제어하는 것에 대해 표시하였으나, 이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도 1에 표시하는 PN간의 전압, 즉 모선전압 Vc는 정전압으로제어함으로써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을 하는것이고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 소요전력연산회로(50)에서는 기계적 또는 전기적인 손실등에 의해 회생전력의 연산오차가 다소 발생하므로, 실제의 회생전력보다 연산치가 클때에는 모선전압이 저하하고 실제의 회생전력보다 연산치가 작은 경우에는 모선전압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으나, 모선전압 Vc는 정전압으로 제어함으로써, 모선전압이 소정의 값으로 유지되고, 실제의 회생전력에 따른 전력축적장치(21)에의 보다 정밀한 충전이 가능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충방전제어회로의 충전제어회로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또 다른 구성은 상기한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도 6에서, 52~55는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표시한 도 4의 충전제어회로의 구성요소와 같은것이다. 또, 23A는 충방전제어회로, 57은 전압컨트롤러, 58은 감산기이다.
다음 이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타이밍차트로, (a)는 모선전압의 파형, (b)는 충전전류의 파형을 각각 표시한다.
엘리베이터의 주행시 도 3에 표시한 인버터제어회로(13)에 의해 엘리베이터는 소정의 속도지령에 따라 주행한다.
또 동시에 도1에 표시한 소요전력 연산회로(50)는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Pw를 연산하고 소요전력이 부가되었을때에 회생운전신호를 통신케이블(51)을 통해서 충방전제어회로(23A)에 출력한다.
엘리베이터의 회생운전신호를 받으면 충방전제어회로(23A)의 충전제어가 도 7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개시하고 엘리베이터의 회생전력을 전력축적장치(21)에 충전한다.
충방전제어회로(23A)내의 충전전력용 제어회로는 도 6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소정의 전압지령(전원전압을 정류한 전압이상의 전압)에 따라, 전압컨트롤러(57)에의해 전압을 정전압으로 제어한다. 또 충전전류컨트롤러(54)에 의해 충전전류를 제어함으로써, 회생전력을 전력축적장치(21)에 정밀하게 충전한다.
충방전회로(23A)의 충전제어는, 도1에 표시한 컨트롤러(8)로 부터의 엘리베이터의 정지신호를 통신케이블등(도1에서는 생략)을 통해 받고, 도7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정지한다.
실시의 형태 3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기본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1과 같다.
상기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엘리베이터의 회생운전신호를 받아 회생전력의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제어를 개시하는 것에 대해 표시하였으나,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엘리베이터의 회생운전시에 전원전압을 정류평활한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미리 설정한 모선전압 도달시점에서 회생전력의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제어를 개시하는 것으로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통신케이블(51)등을 필요로 하지 않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컨트롤러(8)로부터의 엘리베이터의 정지신호를 통신케이블을 통해서 받고 회생전력의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제어를 정지하는 것에 대해 표시하였으나,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충전전류가 0이 되었을때에 충전제어를 정지하는 것으로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통신케이블등을 필요치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 이 실시의 형태 3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의한 모선저압파형(a), 전동기(2)로부터의 회생전류파형(b)및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전류파형(c)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가 회생운전을 개시하면, 도8(a)에 표시한 바와같이 회생전류는 도 1의 컨덴서(10)에 충전되고 모선전압이 상승한다. 이 모선전압이 전원전압을 정류평활하게한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미리 설정한 전압 Vs에 도달한 시점에서, 도8(c)에 표시한 바와같이 회생전력의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제어를 개시한다.
충방전제어회로(23A)내의 충전전력용 제어회로는 도 6에 표시한 바와같이 소정의 전압지령(본 실시의 형태예에서는 충전제어를 개시하는 전압 Vs와 같은 전압)에 따라, 전압컨트롤러(57)에 의해 전압을 정전압으로 제어하고, 또 충전전류컨트롤러(54)에 의해 충전전류를 제어함으로써, 회생전력을 전력축적장치(21)에 정밀하게 충전한다.
또, 충방전제어회로(23A)의 충전제어는, 도1에 표시하는 전류검출기(24)를검출한 충전전류가 0이 된 시점이후에 충전제어를 정지한다.
실시의 형태 4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4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기본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1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충방전제어회로에서의 충전제어회로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도9에서, (23B)는 충방전제어회로이고 게이트드라이브회로(52)~감산기(55)는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표시한 도 4와 상기 실시의 형태2에 표시한 도6의 충전제어회로의 구성요소와 같은 것이다.
상기 실시의 형태 1~3에서는 회생전력의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전류를 가변제어하는 것에 대해 표시하였으나, 이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정전류에서의 충전이고,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전력축적장치(21)가 배터리인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정지전에 생기는 회생전력의 피크시 부근에서의 대전류충전에 의한 배터리전압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배터리내부에서의 가스의 발생을 방지하고 배터리의 급격한 열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 이 실시의 형태 4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의한 모선전압파형(a), 전동기(2)로 부터의 회생전류파형(b) 및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전류파형(c)을 표시한다.
도 1에 표시한 소요전력연산회로(50)에서 통신케이블(51)을 통해서 충방전제어회로(23B)가 엘리베이터의 회생운전신호를 받으면, 도10(c)에 표시한 바와같이 충전전류지령치Ic*에서의 정전류에서의 충전을 한다.
도 9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충전전류컨트롤러(54)에 의해 전류를 정전류로 제어한다. 또, 충방전제어회로(23B)의 충전제어는 도1에 표시한 컨트롤러(8)로부터의 엘리베이터의 정지신호를 통신케이블등(도1에서는 생략)을 통해서 받고 도 10(c)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정지한다.
실시의 형태 5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기본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1과 같다.
상기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엘리베이터의 회생운전신호를 받아, 전력축적장치(21)에 정전류에서 충전을 개시하고, 엘리베이터의 정지신호를 받아, 충전을 정지하는 것에 대해 표시하였으나, 이 실시의 형태 5에서는, 전원전압을 정류평활하게 한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미리 설정한 모선전압 도달시점에서 회생전력의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제어를 개시하고 미리 설정한 모선전압에 도달한 시점에 회생전력의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제어를 정지하는 것으로 상기 실시의 형태 4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충전전류가 회생전류보다도 많은 경우에 상용전원(1)에서 컨덴서(10)에의 충전이 시행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충전전류가 회생전류보다도 적은 경우에 모선전압이 대폭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이 실시의 형태 5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의한 모선전압파형(a), 전동기(2)로부터의 회생전류파형(b) 및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전류파형(c)를 표시한다.
엘리베이터의 회생운전이 시작되면, 도1에 표시한 컨덴서(10)가 충전되고 모선전압이 상승한다. 도11(a)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전원전압을 정류평활한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미리 설정된 모선전압 Vs에 도달하면, 회생전력을 전력축적장치(21)에 충전전류지령치 Ic*에 따라 정전류로 충전을 개시한다.
다음 도 11(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미리 설정한 모선전압 Ve(Ve〈Vs)에 도달하면, 도 11(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을 정지한다.
이같이 충전전류의 도통시간을 가변으로 함으로서 회생전류에 따른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이 가능해진다.
실시의 형태 6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 6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기본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상기 실시의 형태 4, 5에서는 미리 설정한 정전류로 충전하는 것에 대해 표시하였으나, 이 실시의 형태 6에서는 모선전압에 따라 단계적으로 충전전류치를 가변시킨 것으로, 상기 실시의 형태 5와 거의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다음에 이 실시의 형태 6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의한 모선전압파형(a), 전동기(2)로부터의 회생전류파형(b) 및 전류축적장치(21)에의 충전전류파형(c)을 표시한다.
엘리베이터의 회생운전이 시작되면, 도 1에 표시한 컨덴서(10)가 충전되고, 모선전압이 상승한다.
도 12(a)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전원전압을 정류평활한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미리 설정한 제1의 모선전압 VS1에 도달하면, 회생전력을 전력축적장치(21)에 제1의 충전전류지령치 IC1*에 따라 정전류로 충전을 개시한다.
다음, 도 12(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미리 설정한 제2의 모선전압 VS2(VS2〉VS1)에 도달하면, 회생전력을 전력축적장치(21)에 제2의 충전전류지령치 IC2*에 따라 정전류로 충전을 하고 또 미리 설정한 제3의 모선전압 VS3(VS3〉VS2)에 도달하면, 회생전력을 전력축적장치(21)에 제3의 충전전류지령치 IC3*에 따라 정전류로 충전을 한다.
모선전압이 제2의 모선전압 VS2나 제1의 모선전압 VS1 으로 내려갔을때는 그것에 따라 충전전류지령치를 가변으로 한다.
모선전압이 상승하는 경우와 하강하는 경우에 전환전압에 약간의 히스테리시스전압을 설치해도 된다.
모선전압이 Ve(VS1〉Ve)가 되면 충전회로의 충전제어를 정지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 6에서는 3단 변환한 것을 표시하였으나, 2단이상의 다단이면 좋은 것을 말할 필요가 없다.
또, 충전제어의 개시는, 엘리베이터의 회생운전신호를 받고저 설치해도 되고, 또 충전제어의 정지는 엘리베이터의 정지신호를 받고 실시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7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 7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기본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상기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전력축적장치(21)의 충전전류에 상한치를 설치하지 않는 것에 표시하였으나, 이 실시의 형태 7에서는 충전전류에 상한치를 설치한 것이었고, 상기 실시의 형태 3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전력축적장치(21)가 배터리인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정지전에 생기는 회생전력이 피크시 부근에서의 대전류 충전에 의한 배터리전압이 급격한 상승을 방지하고, 또 배터리 내부에서의 가스의 발생을 방지하고 배터리의 급격한 열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 이 실시의 형태 7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의한 모선전압파형(a), 전동기(2)로부터의 회생전류파형(b) 및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전류파형(c)를 표시한다.
엘리베이터의 회생운전이 시작되면 도 1에 표시한 컨덴서(10)가 충전되어 모선전압이 상승한다.
도 13(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전압을 정류평활한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미리 설정한 모선전압 VS에 도달한 시점에서, 도 13(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회생전력의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제어를 개시한다.
충방전 제어회로(23A)내의 충전전력용 제어회로는, 도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전압지령(본 실시의 형태예에서는 충전제어를 개시하는 전압 VS와 같은 전압)에 따라 전압컨트롤러(57)에 의해 전압을 정전압으로 제어하고, 충전전류컨트롤러(54)에 의해 충전전류를 제어함으로써 회생전력을 전력축적장치(21)에 정밀하게 충전한다.
여기서, 전력축적장치(21)의 전압이 급상승하거나,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는 충전전류보다 낮은 레이트의 충전전류치로 미리 상한치 Ilimit를 설정해두고, 도 13(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충전전류가 상한치 Ilimit에 도달하면 이 상한치에서의 충전을 한다.
또, 충방전 제어회로(23A)의 충전제어는 도 1의 전류검출기(24)에서 검출된 충전전류가 0이 되었을때 이후에 충전제어를 정지한다.
또, 충전제어의 개시는 엘리베이터의 회생운전신호를 받고가도 되고, 또 충전제어의 정지는 엘리베이터의 정지신호를 받고가도된다.
실시의 형태 8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서 15는 저항, 16은 IGBT의 스위칭수단이고,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표시한 도 1과 같은 것이다.
상기 실시의 형태 7에서는 전력축적장치(21)의 충전전류에 상한치를 설치한 것에 대해 표시했으나, 이 실시의 형태 8에서는 충전전류에 상한치를 설치하는 동시에,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전류가 소정의 상한치에 도달했을때 전력축적장치(21)에 상한전류치에서의 충전을 계속하면서 모선전압이 제2의 소정의 전압을 초과한 경우에 회생전력의 일부를 저항(15)에 의해 열소비하는 것이고, 상기 실시의 형태 7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모선전압의 상승을 억제하고, 인버터회로(12)를 과전압에서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이 실시의 형태 8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모선전압파형(a), 전동기(2)로부터의 회생전류파형(b),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전류파형(c) 및 저항(15)의 전류파형(d)를 표시한다.
기본적인 동작은 상기 실시의 형태 7과 같은 동작을 한다.
다른점은,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전류가 소정의 상한치 Ilimit에 도달했을 때에, 전력축적장치(21)에 상한전류치 Ilimit에서의 충전을 계속하면서, 도 15(a)에 실시하는 바와 같이 모선전압이 제2의 소정의 전압 Vrs를 초과했을때에, 충방전 제어회로(23)는 도시하지 않은 통신케이블을 통해서 컨트롤러(8)에 그 뜻의 신호를 보내고, 컨트롤러(8)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수단(16)을 온함으로써, 도 15(d)와 같이 저항(15)에 전류를 흘려서, 회생전력의 일부를 열소비한다.
이로써, 모선전압이 급상승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 모선전압이 제3의 소정의 전압 Vre 이하가 되면 스위칭수단(16)을 오프한다.
또, 스위칭수단(16)의 온(구동)은, 충방전 제어회로(23)가 직접 시행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9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9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 9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기본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상기 실시의 형태 7에서는 전력축적장치(21)가 배터리의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정지전에 생기는 회생전력의 피크시 부근에서의 대전류 충전에 의해 배터리전압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배터리 내부에서의 가스의 발생을 방지하고, 배터리의 급격한 열화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충전전류에 상한치를 설치하는 것에 대해 표시하였으나, 이 실시의 형태 9에서는 같은 목적으로 전력축적장치(21)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상한전압에 도달한 경우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을 정지하므로 상기 실시의 형태 7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다음에 이 실시의 형태 9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9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의한 모선전압파형 9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의한 모선전압파형(a), 전동기(2)로부터의 회생전류파형(b),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전류파형(c) 및 전력축적장치(21)의 전압파형(d)를 표시한다.
기본적인 동작은 상기 실시의 형태 3과 같은 동작을 한다.
다른 점은, 도 16(d)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력축적장치(21)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상하전압 Vbe에 도달한 경우에, 전력측적장치(21)에의 충전을 도 16(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정지하는 점이다.
실시의 형태 10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0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 10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기본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상기 실시의 형태 9에서는, 전력축적장치(21)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상한전압에 도달한 경우에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을 정지하는 것에 대해 표시하였으나, 이 실시의 형태 10에서는 전력축적장치(21)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에 도달한 경우에,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전류에 상한치를 설치해서 충전을 계속하는 것으로, 상기 실시의 형태 9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회생전력을 낮은 레이트의 충전전류로 계속해서 전력축적장치(21)에 충전할 수 있으므로, 보다 성에너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이 실시의 형태 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0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의한 모선전압파형(a), 전동기(2)로부터의 회생전류파형(b),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전류파형(c) 및 전력축적장치(21)의 전압파형(d)를 표시한다.
기본적인 동작은, 상기 실시의 형태 9와 같은 동작을 한다.
다른점은, 도 17(d)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력축적장치(21)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Vbc에 도달한 경우에 도 17(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전류에 낮은 레이트에서의 상한치 Ir를 설치해서 충전을 계속해서 회생전력을 최대한 전력축적장치(21)에 충전하는 점이다.
또, 충전전류의 상한치 Ir는 상기 실시의 형태 5와 같이 모선전압 또는 전력축적장치(21)의 전압에 의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것도 상관없다.
실시의 형태 11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 1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기본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 8과 같다.
상기 실시의 형태 10에서는, 전력축적장치(21)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에 도달한 경우에 전력축적장치(21)의 충전전류에 상한치를 설치한 것에 대해 표시하였으나, 이 실시의 형태 11에서는 충전전류에 상한치를 설치하는 동시에 전력축적장치(21)에의 충전전류가 소정의 상한치에 도달했을때, 전력축적장치(21)에 상한전류치에서의 충전을 계속하면서, 모선전압이 제2의 소정의 전압을 초과한 경우에 회생전력의 일부를 저항(15)에 의해 열소비하는 것으로, 상기 실시의 형태(10)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모선전압의 상승을 억제하고 인버터회로(12)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 이 실시의 형태 1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의한 모선전압파형(a), 전동기(2)로부터의 회생전류파형(b), 전류축적장치(21)에의 충전전류파형(c) 및 저항(15)의 전류파형(d)를 표시한다.
기본적인 동작은 상기 실시의 형태 10과 같은 동작을 한다.
다른점은, 전력축적장치(21)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 VS에 도달한 후에 전력축적장치(21)에 상한전류치 Ir에서의 충전을 계속하면서, 도 18(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모선전압이 제2의 소정의 전압 Vrs를 초과한 경우에 스위칭(16)을 함으로써 도18(d)와 같이 저항(15)에 전류를 흘려서 회생전력의 일부를 열소비한다.
이로써, 모선전압이 급상승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 모선전압이 제3의 소정의 전압 Vre이하가 되면 스위칭수단(16)을 오프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트롤러의 속도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을 연산하는 소요전력연산회로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이 부인 경우, 즉 회생전력이 있는 경우에는 이 회생전력에 따라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에의 충전전류를 가변제어해서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하였으므로, 회생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성에너지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대로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트롤러의 속도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을 연산하는 소요전력연산회로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이 부인경우, 즉 회생전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상기 교류전력을 정류한 전압치이상의 미리 설정한 전압으로 정전압이 되도록 제어해서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하였으므로 회생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성에너지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대로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트롤러의 속도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을 연산해, 이 소요전력이 부일때는 회생운전신호를 출력하는 소요전력 연산회로와, 상기 회생운전신호를 입력하면 회생전력의 충전제어를 개시하고,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의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을 개시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하였으므로, 회생전력을 유효하게이용할 수 있고, 성에너지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대로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엘리베이터의 정지신호를 입력하면 회생전력의 충전제어를 정지하고,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정지하기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의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을 정지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하였으므로 회생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성에너지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 대로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상기 교류전력을 정류한 전압보다 높은 미리 설정한 소정전압에 도달하면 회생전력의 충전제어를 개시하고,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개시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의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을 개시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하였으므로 회생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성에너지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대로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상기 교류전력을 정류한 전압치이상의 미리 설정한 전압으로 정전압이 되도록 제어하고, 또 충전전류를 제어해서 상기 충전전류가 0이 되면 회생전력의 충전제어를 정지하고,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정지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의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을 정지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하였으므로 회생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성에너지화를 도모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바와 같이,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를 미리 설정한 소정의 전류치에 일정하게 제어해서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정전류 충전하기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하였으므로 회생전력을 이용할 수 있고 성에너지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대로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상기 교류전력을 정류한 전압보다 높은 미리 설정한 소정전압에 도달하면 회생전력의 충전제어를 정지하고,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저축장치에 충전하기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의 상기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을 정지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하였으므로, 회생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성에너지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에 따라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를 단계적으로 미리 설정한 다수의 소정의 전류치에 일정제어해서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정전류 충전하기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충전방전회로를 구비하였으므로, 회생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성에너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대로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미리 설정한 소정전압으로 정전압이 되도록 제어하고, 또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상한치에 도달하면, 상기 충전전류가 상기 상한치가 되도록 제어해서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하였으므로, 엘리베이터의 회생전력의 피크시 부근에서 전력축적장치의 전압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하고, 또 전력축적장치 내부에서의 가스의 발생을 방지하고 전력축적장치의 급격한 열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대로 상기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가 상기 소정의 상한치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상기 상한치에서의 충전을 계속하면서 상기모선전압이 미리 설정한 제2의 소정전압을 초과했을때에는, 상기 회생전력의 일부를 저항에 의해 열소비시키므로, 인버터회로를 과전압에서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대로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미리 설정한 소정전압으로 정전압이 되도록 제어해서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제1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전력축적장치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상한치에 도달하면, 상기 회생전력의 충전제어를 정지하고,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정지하기위한 제2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제1의 구동신호에 따라서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동시에, 상기 제2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것을 정지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하였으므로, 전력축적장치의 전압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하고, 또 전력축적장치 내부에서의 가스의 발생을 방지하고, 전력축적장치의 급격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대로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미리 설정한 소정전압으로 정전압이 되도록 제어해서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전력축적장치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소정전압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상한치가 되도록 제어해서,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의 전압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하면서 회생전류를 최대한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4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대로 상기 충방전 제어회로가 상기 전력축적장치의 전압이 미리 설정한 상기 소정전압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상기 상한치에서의 충전을 계상하면서 상기 모선전압이 미리 설정한 제2의 소정전압을 초과했을때에는 상기 회생전력의 일부를 저항에 의해 열소비시키므로 인버터회로를 과전압에서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4)

  1.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트롤러의 속도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을 연산하는 소요전력연산회로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이 부(-)인 경우, 즉 회생전력이 있는 경우에는, 이 회생전력에 따라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를 가변제어해서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축적장치에 충전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트롤러의 속도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을 연산하는 소요전력연산회로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이 부(-)인 경우, 즉 회생전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상기 교류전력을 정류한 전압치이상의 미리설정한 전압으로 정전압이 되도록 제어해서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3.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트롤러의 속도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소요전력을 연산하고, 이 소요전력이 부일때에는 회생운전신호를 출력하는 소요전력연산회로와, 상기 회생운전신호를 입력하면 회생전력의 충전제어를 개시하고,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정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의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을 개시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4.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엘리베이터의 정지신호를 입력하면 회생전력의 충전제어를 정지하고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정지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의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을 정지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5.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상기 교류전력을 정류한 전압보다 높은 미리 설정한 소정전압에 도달하면 회생전력의 충전제어를 개시하고,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개시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의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을 개시하는 충방전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6.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상기 교류전력을 정류한 전압치이상의 미리 설정한전압으로 정전압이 되도록 제어하고, 또 충전전류를 제어해서 상기 충전전류가 0이 되면, 회생전력의 충전제어를 정지하고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 정지하기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의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을 정지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7.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를 미리 설정한 소정의 전류치로 일정제어해서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정전류를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충방전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8.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상기 교류전력을 정류한 전압보다 높은 미리 설정한 소정전압에 도달하면 회생전력의 충전제어를 정지하고,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정지하기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의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을 정지하는 충방전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9.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에 따라,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를 단계적으로 미리 설정한 다수의 소정의 전류치에 일정제어해서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 장치에 정전류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0.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미리 설정한 소정전압으로 정전압이 되도록 제어하고, 또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상한치에 도달하면 상기 충전전류가 상기 상한치가 되도록 제어해서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1. 제 10항에서, 상기 충방전 제어회로는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가, 상기 소정의 상한치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상기 상한치에서의 충전을 계속하면서, 상기 모선전압이 미리 설정한 제2의 소정전압을 초과했을때는 상기 회생전력의 일부를 저항에 의해 열소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2.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미리 설정한 소정전압으로 정전압이되도록 제어해서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제1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전력축적장치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상한치에 도달하면, 상기 회생전력의 충전제어를 정지하고 상기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정지하기 위한 제2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제1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동시에 상기 제2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것을 정지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3. 교류전력을 정류해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직류전력을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변전압가변주파수의 교류전력에 따라 전동기를 제어해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직류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축적장치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간의 모선전압이 미리 설정한 소정전압으로 정전압이 되도록 제어해서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전력축적장치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소정전압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전력축적장치에의 충전전류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상한치가 되도록 제어해서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충방전 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서 상기 회생전력을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충전하는 충방전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14. 제 13 항에서, 상기 충방전 제어회로는, 상기 전력축적장치의 전압이 미리 설정한 상기 소정전압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전력축적장치에 상기 상한치에서의 충전을 계속하면서 상기 모선전압이 미리 설정한 제2의 소정전압을 초과했을때는 상기 회생전력의 일부를 저항에 의해 열소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10-2001-0004727A 2000-02-28 2001-01-31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100396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51941A JP4343381B2 (ja) 2000-02-28 2000-02-28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0-051941 2000-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321A true KR20010085321A (ko) 2001-09-07
KR100396801B1 KR100396801B1 (ko) 2003-09-03

Family

ID=1857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727A KR100396801B1 (ko) 2000-02-28 2001-01-31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39347B2 (ko)
JP (1) JP4343381B2 (ko)
KR (1) KR100396801B1 (ko)
CN (2) CN122617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07545C (zh) * 1999-11-17 2008-07-30 富士达株式会社 交流电梯的电源装置
JP3722810B2 (ja) * 2003-06-06 2005-11-3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
JP3722811B2 (ja) * 2003-06-06 2005-11-3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
KR100527184B1 (ko) * 2003-07-07 2005-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공조 시스템을 이용한 회생 제동 방법
US7246686B2 (en) * 2004-01-30 2007-07-24 Thyssen Elevator Capital Corp. Power supply for elevator systems having variable speed drives
CN101155744B (zh) * 2005-04-11 2010-06-02 富士达株式会社 升降机的控制装置
FI117282B (fi) * 2005-05-12 2006-08-31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WO2007013141A1 (ja) * 2005-07-26 2007-02-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5173124B2 (ja) * 2005-07-26 2013-03-2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20090255526A1 (en) * 2005-08-17 2009-10-1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te Gmbh Cooking appliance
DE102005038878A1 (de) * 2005-08-17 2007-02-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argerät
US7540356B2 (en) * 2005-10-18 2009-06-02 Thyssen Elevator Capital Corp. Method and apparatus to prevent or minimize the entrapment of passengers in elevators during a power failure
DE102006004375A1 (de) * 2006-01-31 2007-08-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argerät
US7471008B2 (en) * 2006-03-10 2008-12-30 Deere &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rotational speed of a rotor of a turbogenerator
US7327134B1 (en) * 2006-07-26 2008-02-0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transformer control
JP4986541B2 (ja) * 2006-08-31 2012-07-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ATE504973T1 (de) * 2007-09-03 2011-04-15 Siemens Ag Verfahren zur auslaufsteuerung einer asynchronmaschine
BRPI0823024A2 (pt) * 2008-08-15 2015-07-28 Otis Elevator Co Método e sistema para gerenciar distribuição de energia
US8827042B2 (en) 2009-03-31 2014-09-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regenerative drive including an air core inductor
CN101572526B (zh) * 2009-04-30 2011-07-20 山东鸿达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变频施工升降机控制系统
WO2011008207A1 (en) * 2009-07-15 2011-01-20 Otis Elevator Company Energy savings with optimized motion profiles
ES2382430B1 (es) * 2009-12-21 2013-01-30 Orona, S. Coop Metodo y sistema de gestion de energia de un motor electrico
US8143819B2 (en) * 2010-03-24 2012-03-27 Burd Alexander L Optimized power demand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motors
US9296589B2 (en) * 2010-07-30 2016-03-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regenerative drive control referenced to DC bus
CN102372197B (zh) * 2010-08-12 2014-08-13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控制装置
CN102372201B (zh) * 2010-08-26 2013-09-04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贮能装置
CN102381594B (zh) * 2010-08-31 2014-02-26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节能装置
EP2503666A3 (en) * 2011-02-01 2013-04-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Power supply system for an electrical drive of a marine vessel
JP5935300B2 (ja) * 2011-11-16 2016-06-15 住友重機械搬送システム株式会社 電力供給装置及び充放電制御方法
CN102514990B (zh) * 2011-12-14 2014-04-16 天长市金陵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升降机控制器及控制系统
WO2014126563A1 (en) * 2013-02-14 2014-08-2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speed control in a battery powered elevator system
DE112013007081B4 (de) 2013-05-16 2019-04-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steuersystem
US10081512B2 (en) * 2014-08-06 2018-09-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ontrol device
JP6308091B2 (ja) * 2014-10-03 2018-04-11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変換装置
JP5771857B1 (ja) * 2014-10-21 2015-09-02 株式会社リージック モータ及びモータ制御方法
CN105471361B (zh) * 2015-12-25 2018-11-02 华中科技大学 一种电机驱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219572B (zh) * 2016-05-31 2020-06-23 因温特奥股份公司 电力中断期间的电梯驱动控制
US10604378B2 (en) 2017-06-14 2020-03-31 Otis Elevator Company Emergency elevator power management
CN110040587B (zh) * 2018-01-17 2021-05-25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节能调配装置
CN108792859B (zh) * 2018-08-14 2024-05-10 广东寰宇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电梯电源装置实现电梯系统供电的方法及装置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6097A (en) * 1982-10-12 1984-06-2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attery charging control
JPS59117486A (ja) * 1982-12-23 1984-07-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S59203072A (ja) * 1983-05-04 1984-11-17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S6043094A (ja) * 1983-08-17 1985-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タの故障時運転装置
JPS61267675A (ja) 1985-05-20 1986-11-27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H02106573A (ja) * 1988-10-12 1990-04-1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656684B2 (ja) * 1991-06-12 1997-09-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停電時運転装置
US5420491A (en) * 1992-12-02 1995-05-30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for consuming regenerated power for elevators
JPH07242376A (ja) 1994-03-07 1995-09-19 Toshiba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の停電時着床装置
JP3286068B2 (ja) 1994-03-16 2002-05-2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電力変換装置
US5712456A (en) 1996-04-10 1998-01-27 Otis Elevator Company Flywheel energy storage for operating elevators
KR19980031116A (ko) * 1996-10-31 1998-07-2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회생전력 제어장치
KR19980073218A (ko) * 1997-03-12 1998-11-05 이종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US5936375A (en) 1997-11-05 1999-08-10 Paceco Corp. Method for energy storage for load hoisting machinery
JPH11299275A (ja) 1998-04-14 1999-10-29 Osaka Gas Co Ltd エレベータの電源装置
KR100312771B1 (ko) * 1998-12-15 2002-05-09 장병우 엘리베이터의정전운전제어장치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1147A (zh) 2001-09-05
JP4343381B2 (ja) 2009-10-14
CN1226175C (zh) 2005-11-09
US6439347B2 (en) 2002-08-27
US20010017235A1 (en) 2001-08-30
KR100396801B1 (ko) 2003-09-03
CN100450907C (zh) 2009-01-14
CN1781838A (zh) 2006-06-07
JP2001240320A (ja) 2001-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801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RU2466040C1 (ru) Силовое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9236736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303746B1 (en) Control system for an elevator apparatus
JPH1067469A (ja) エネルギー蓄積回生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運転方法
TW555684B (en) Elevator control device
CN101304234A (zh) 电源转换器
CN102299681A (zh) 电动机系统、电力变换装置及电力变换装置的控制方法
CN1185156C (zh) 电梯控制装置
US4818890A (en) Turbine helper drive apparatus
US20190149068A1 (en) Motor controller, power converter, auxiliary power sour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xiliary power source
JP3350439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3787803B2 (ja) 永久磁石式同期モータの制御装置
JP2000166009A (ja) シリーズ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
JP3832325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Rao et al. Analysis of energy during regenerative modes
JP3554798B2 (ja) 電気車の制御装置
Vlachou et al. Energy Savings in Elevators by Using a Particular Permanent-Magnet Motor Drive. Energies 2023, 16, 4716
JP2009294188A (ja) 充電電圧の測定方法及び充電電圧測定装置
JPH06329349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0028907A (ja) 電力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