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3411A -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3411A
KR20010083411A KR1020000006644A KR20000006644A KR20010083411A KR 20010083411 A KR20010083411 A KR 20010083411A KR 1020000006644 A KR1020000006644 A KR 1020000006644A KR 20000006644 A KR20000006644 A KR 20000006644A KR 20010083411 A KR20010083411 A KR 20010083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led base
fixing member
fix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06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3411A/ko
Publication of KR20010083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4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 A61F2007/005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of gas, e.g. hot ai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Moving Of Head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방향으로 설계 자유도를 확보하도록 한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는 상기 광픽업을 지지하는 슬레드 베이스와, 슬레드 베이스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케이블 쪽으로 회전하는 케이블 회동고정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조립후 케이블 고정장치가 슬레드 베이스의 회전중심과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게 되므로 케이블 고정장치의 위치이동에 따른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만큼 셋트의 높이방향으로 설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Apparatus For Clamping Cable in Optical Disc Driver}
본 발명은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이방향으로 설계 자유도를 확보하도록 한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CD 계열의 광디스크보다 기록용량이 월등한 DVD 계열, 광자기 디스크(Mageto-Optical Disc) 등의 광디스크가 개발·시판되고 있다.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의 대형에서 소형(또는 휴대용)에 이르는 각종 정보기기에는 광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광디스크 구동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 광디스크 구동장치에는 광디스크를 광학적으로 억세스하기 위한 광픽업과, 광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 광픽업과 스핀들 모터를 지지하는슬레드 베이스와, 슬레드 베이스가 선회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메카니즘 베이스 및 구동회로가 실장된 메인 인쇄회로보드(Main Printed Circuit Board : 이하 "메인보드"라 함) 등으로 구성된다.
광픽업은 케이블을 경유하여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메인보드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적 신호에 응답하여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시킴으로써 광디스크를 광학적으로 억세스함과 아울러 광디스크로부터 읽어 들인 신호를 메인보드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광픽업과 메인보드 사이에 연결된 케이블로는 통상 가요성 인쇄 회로 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이하 "FPCB"라 함)과 가요성 플렛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 이하 "FFC"라 함)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FPCB는 설계자의 의도대로 설계되어 설계자가 원하는 형태로 제작되는 케이블인 반면, FFC는 대량 생산용으로 일자형으로 규격화되어 제작되는 케이블이다. 이에 따라, FPCB는 FFC에 비하여 설계 자유도가 큰 장점이 있는데 반하여 제조단가가 큰 단점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과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선택하는 기준으로는 케이블의 코스트, 드라이브 셋트의 허용 사이즈, 광픽업의 형상, 슬레드 베이스의 힌지구성 및 광픽업에 연결된 커넥터의 위치 등이 있다. 케이블 고정장치는 광픽업 이송시 케이블의 장력(tension) 변화에 따른 부하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안정되게 케이블을 지지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슬레드 베이스(2) 상에 설치되는 광픽업(4)과, 커넥터(6)를 경유하여 광픽업(4)에 접속된 FPCB(10)와, 슬레드 베이스(2)의 드로잉부(2a)에 설치되어 FPCB(10)를 고정시키는 케이블 고정장치(8)를 구비한다. FPCB(10)는 커넥터(6)를 경유하여 광픽업(4)에 접속되고 슬레드 베이스(2)의 아래로 벤딩(bending)되어 케이블 고정장치(8)에 의해 슬레드 베이스(2)의 저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FPCB(10)는 도시하지 않은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케이블 고정장치(8)는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레드 베이스(2)에서 아래로 절곡된 드로잉부(2a)에 압입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 고정장치(8)는 셋트 내에서 바닥면과 가장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이 케이블 고정장치(8)는 도 3과 같이 FPCB(10)를 인접되게 지지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및 제2 가이드부(12,14)가 형성되도록 "B"자 형태로 성형된다. 제2 가이드부(14)의 일측면에는 FPCB 고정돌기(14a)가 형성된다. FPCB(10)에서 케이블 고정장치(8)에 고정되는 부분에는 도 4와 같이 광픽업(4)의 이송시 형상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보강판(16)이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이 보강판(16)에는 FPCB(10)에 형성된 홀(10a)과 대향되는 홀이 형성된다. 제2 가이드부(14)에 형성된 고정돌기(14a)는 FPCB(10)와 보강판(16)에 형성된 홀들을 관통하여 FPCB(10)와 보강판(16)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고정장치(8)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셋트 내의 설계자유도를 제약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상세히 하면, 케이블 고정장치(8)는 슬레드 베이스(2)로부터 아래로 벤딩된 드로잉부(2a) 저면에 형성되므로 셋트의 바닥면(SB)과 가장 가깝게 위치한다. 광디스크 로드시 광디스크를 간섭하지 않도록 슬레드 베이스(2)는 회전중심(RC)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일측이 셋트 아래 쪽으로 경사지게 된다. 이 경우, 케이블 고정장치(8)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레드베이스(2)의 회전중심(RC)으로부터 먼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그 만큼 셋트의 바닥면(SB)과 근접하게 된다. 이렇게 케이블 고정장치(8)에 의해 셋트의 높이방향으로 설계 자유도가 제약되기 때문에 두껍지 않고 셋트 내의 높이를 제약하지 않는 특수한 형태의 FPCB(10)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방향으로 설계 자유도를 확보하도록 한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디스크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선 "A-A'"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내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장치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된 FPCB의 절곡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슬레드 베이스의 하강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서 선 "P-P'"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슬레드 베이스의 하강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슬레드 베이스에 형성된 홀들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회동암의 초기 조립시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선 "Q-Q'"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10에서 선 "P-P'"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2 : 슬레드 베이스 4 : 광픽업
6 : 커넥터 8 : 케이블 고정장치
10 : FPCB 40 : FFC
42 : 회동암 44 : 회동암 고정부재
46 : 몰드탄성부재 48 : FFC 가이드부재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는 상기 광픽업을 지지하는 슬레드 베이스와, 슬레드 베이스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케이블 쪽으로 회전하는 케이블 회동고정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광픽업에 접속되고 슬레드 베이스(22)의 저면에서 접혀진 FFC(40)와, 회동하여 FFC(40)의 접철부분을 감싸는 회동암(42)과, 회동암(42)을 고정시키는 회동암 고정부재(44)와, 회동암(42)을 탄성지지하는 몰드탄성부재(46)를 구비한다. FFC(40)는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를 경유하여 광픽업에 접속되고 슬레드 베이스(22)의 아래로 벤딩된다. 그리고 FFC(40)는 슬레드 베이스(22)의 드로잉부(22a) 아래에서 "L"자 형태로 접철되어 메인보드에 접속된다. 회동암(42)은 슬레드 베이스(22)의 드로잉부(2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회동암(42)은 조립시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FFC(40)의 접첩부분을 감싸게 된다. 이를 위하여, 회동암(42)은 몰드물로 성형되어 슬레드 베이스(22)의 드로잉부(22a)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회동암중심부(42c), 회동암중심부(44c)의 일측에 돌출된 돌기(42a), 돌기(42a)의 반대측에서 회동암중심부(42c)로부터 길게 신장되는 암(42d), 암(42d)으로부터 신장되는 핑거부(42e)로 구성된다. 회동암중심부(42c)에는 조립자가 회동암(4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一)자 형태의 공구홈(42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회동암(42)은 도 8과 같이 조립시에 슬레드 베이스(22)의 회전중심(RC)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게 되지만 FFC(40)의 접철부를 감싼 상태의 조립 후에 슬레드 베이스(22)의 회전중심(RC)에 가깝게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도 5와 도 8을 대비하여 알 수 있는 바, 회동암(42)은 종래의 케이블 고정장치(8)에 비하여 슬레드 베이스(22)가 하강한 후에 설계기준라인(Ref)으로부터 더 멀어지고 셋트의 바닥면(SB)으로부터 더 높게 위치하게 된다. 회동암 고정부재(44)는 슬레드 베이스(22)의 드로잉부(22a)에 설치되어 FFC(40)를 감싼 회동암(42)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회동암 고정부재(44)는 회동암(42)의 암(42d) 저면에서 돌출된돌기(42f)와 맞물리는 후크(44a)가 형성되도록 몰드물로 성형된다. 몰드탄성부재(46)는 회동암(42)이 회동암 고정부재(44)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회동암(42)에 일정한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이 몰드탄성부재(46)는 탄성암(46a)이 형성되도록 몰드물로 성형된다. 탄성암(46a)은 회동암중심부(42c)의 돌기(42a) 쪽으로 신장되어 일정한 탄성력으로 돌기(42a)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조립시 FFC(40)가 접철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FFC 가이드부재(48)를 추가로 구비한다. FFC 가이드부재(48)는 조립시 FFC(40)가 "L"자 형태로 접철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메인보드 쪽의 FFC(40)의 일측변을 고정하게 된다. 이 FFC 가이드부재(48)는 몰드물로 성형되어 슬레드 베이스(22)의 드로잉부(22a)에 고정된다.
회동암(42) 및 FFC(40)는 다음과 같은 수순에 의해 조립 및 고정된다.
먼저, 슬레드 베이스(22)의 드로잉부(22a)에는 도 9와 같이 슬레드 베이스(22)의 회전중심(RC)에 가깝게 위치하여 회동암(42)이 삽입되는 홀(31), 몰드탄성부재(46)가 삽입되는 홀(32), 회동암 고정부재(44)가 삽입되는 가이드홀(33) 및 FFC 가이드부재(48)가 삽입되는 홀(34)이 형성된다. 이러한 슬레드 베이스(22)의 드로잉부(22a)에 형성된 홀들(31,32,33,34) 각각에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회동암(42), 몰드탄성부재(46), 회동암 고정부재(44) 및 FFC 가이드부재(48)가 아웃셔트(outsert)한 후, FFC(40)를 회동암 고정부재(44) 위에서 직각으로 접첩하게 된다. 이 때 암(42d)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42f)는 도 12와 같이 가이드홀(33)의 좌측에 위치하게 되며, 회동암 고정부재(44)의 후크(44a)는 암(42d)의 돌기(42f)에대향되도록 가이드홀(33)의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조립자는 회동암중심부(42d) 상에 형성된 공구홈(42b)에 공구를 삽입한 후, 공구를 이용하여 회동암(4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가이드홀(33)을 따라 회전되면서 회동암(42)은 슬레드 베이스(22)의 회전중심(RC)과 가까워지게 된다. 회동암(42)이 가이드홀(33)의 우측 끝단부에 근접할 때 도 6과 같이 암(42d)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42f)가 회동암 고정부재(44)의 후크(44a)에 구속됨과 아울러 회동암중심부(42b)의 돌기(42a)가 몰드탄성부재(46)의 탄성암(46a)에 의해 구속된다. 이와 동시에 회동암(42)의 핑거부(42e)가 FFC(40)의 접철부를 위에서 감싸는 형태로 FFC(4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장치를 슬레드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케이블 고정장치를 케이블 쪽으로 회동시켜 케이블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조립후 케이블 고정장치가 슬레드 베이스의 회전중심과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게 되므로 케이블 고정장치의 위치이동에 따른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만큼 셋트의 높이방향으로 설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케이블을 접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저가의 FFC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8)

  1. 광픽업과 메인보드 사이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을 지지하는 슬레드 베이스와,
    상기 슬레드 베이스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상기 케이블 쪽으로 회전하는 케이블 회동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회동고정부재의 위치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한 후 상기 슬레드 베이스의 회전중심 쪽으로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접철된 상태로 상기 케이블 회동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접철부 아래에서 상기 케이블 회동고정부재를 구속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반대측에서 상기 케이블 회동고정부재에 일정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접철부와 상기 메인보드 사이에서 상기 케이블의 일측변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드 베이스에는 상기 케이블 회동고정부재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원호 형태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가요성 플렛 케이블(Flexible Flat Cab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
KR1020000006644A 2000-02-12 2000-02-12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 KR20010083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644A KR20010083411A (ko) 2000-02-12 2000-02-12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644A KR20010083411A (ko) 2000-02-12 2000-02-12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411A true KR20010083411A (ko) 2001-09-01

Family

ID=1964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644A KR20010083411A (ko) 2000-02-12 2000-02-12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34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610B1 (ko) 2017-06-29 2018-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케이블의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센싱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610B1 (ko) 2017-06-29 2018-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케이블의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센싱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73457B2 (ja) 光記録再生装置
US20030193787A1 (en) Structure of mounting flexible wiring board
JP2002157749A (ja)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装置の調整方法、及びエンタテインメント装置
KR20040099634A (ko) 플렉시블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JP4016696B2 (ja) フレキシブル配線板及びそのフレキシブル配線板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
KR20010083411A (ko)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케이블 고정장치
JP2004152388A (ja) ディスク装置のトラバースユニット
US6351343B1 (en)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interface cable connector of a magnetic disk drive
KR100524967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JP2516161Y2 (ja) ディスク装置
JPH09251769A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468757B1 (ko) 디스크 클램핑 장치와 이를 구비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
JP3661091B2 (ja) 再生ユニット保持機構
KR100503729B1 (ko) 헤드구동장치
KR100828347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US8065692B2 (en) Optical disk drive having supporting bracket and notebook computer using the same
JP3702781B2 (ja) ディスク装置
US20060292899A1 (en) Connector and hard disk drive including the same
KR960014655B1 (ko) 양면재생용 레이저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틸팅장치
JP3358540B2 (ja) ディスク装置
JP3462766B2 (ja) ピックアップ送り装置
JP3813048B2 (ja) ディスク装置
KR940003553B1 (ko) 광디스크 기기의 클램핑장치
US20030117745A1 (en) Disc drive with a foldable support
JPH11110949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