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2047A -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2047A
KR20010082047A KR1020010005363A KR20010005363A KR20010082047A KR 20010082047 A KR20010082047 A KR 20010082047A KR 1020010005363 A KR1020010005363 A KR 1020010005363A KR 20010005363 A KR20010005363 A KR 20010005363A KR 20010082047 A KR20010082047 A KR 20010082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contact
housing
contact
operation lever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9457B1 (ko
Inventor
이따바시다까유끼
니이누마아끼라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10082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4Le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38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spring or other flexible shaf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01H2013/52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using a return spring acting perpendicular to the actuating direction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검출스위치의 접점부의 구조에서, 조작시에 가동측 접점과, 조작레버와의 맞닿음부나 고정측 접점과의 접속부에 발생하는 마찰을 억제하여, 조작성이나 복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자유로운 방향에서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검출스위치의 접점부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납부 (la) 를 갖는 하우징 (l) 과, 상기 수납부 (1a) 에서 그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 (1) 에 부착된 조작레버 (5) 와, 상기 수납부 (1a) 에 수납되고 상기 조작레버 (5) 를 상기 하우징 (1) 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코일스프링 (4) 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스프링 (4) 에는, 코일부 (4a) 로부터 연장형성된 한 쌍의 아암부 (4b, 4c) 를 형성하고, 일방의 아암부 (4b) 가 상기 수납부 (1a) 의 일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타방의 아암부 (4c) 는 상기 조작레버 (5)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코일스프링 (4) 은, 상기 조작레버 (5) 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코일부 (4a) 가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l) 에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기기 등의 메카구동용의 검출스위치로서 사용되는 스위치장치에 관련되고, 특히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등을 사용한 접점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검출스위치의 구조에 있어서는, 접점부에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을 사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검출스위치의 접점부의 구조로서는, 가동측 접점에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이 코일스프링에서 아암부를 연장형성하여 형성함으로써, 이 아암부를 가동측 접점으로서 사용하고, 또한, 코일스프링을 조작레버의 복귀용의 스프링부재로서 사용하고 있다.
이 코일스프링이 스위치의 하우징 등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코일스프링의 권회된 코일부가 하우징 등에 고정되어 고정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코일부에서 연장형성된 아암부에는 굴곡부가 형성되고, 이 굴곡부나 아암부의 자유단부가 가동측 접점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측 접점의 이동궤적상에는 고정단자와 대향하여 고정측 접점이 형성되어 있고, 아암부가 조작레버에 의해서 가압됨으로써 가동측 접점이 이동되어, 고정측 접점과 접속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때, 가동측 접점의 이동궤적은 아암부의 코일부와의 연장형성부를 지점으로서 원호형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되고, 조작레버와의 맞닿음부나 고정측 접점과의 접속부에 동작의 폭 (미끄럼 폭) 이 발생하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검출스위치의 접점부의 구조는, 가동측 접점으로서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있고, 이 코일스프링을 하우징에 부착하는 경우에, 권회된 코일부를 하우징에 고정하여 부착하고 있음으로써, 가동측 접점의 이동궤적은 아암부의 코일부와의 연장형성부를 지점으로 원호형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되고, 조작레버와의 맞닿음부나 고정측 접점과의 접속부에 동작의 폭 (미끄럼 폭) 이 발생하기 때문에, 조작레버의 폭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미끄럼에 의해 마찰이 발생하여 조작성이나 복귀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조작레버의 조작방향은, 코일스프링의 아암부의 이동궤적방향으로만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방향이 제한되어, 자유로운 방향으로부터 조작을 할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검출스위치의 접점부의 구조에서, 조작시에 가동측 접점과, 조작레버와의 맞닿음부나 고정측 접점과의 접속부에 발생하는 마찰을 억제하여, 조작성이나 복귀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자유로운 방향으로부터 조작이 가능해지는 검출스위치의 접점부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검출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가동측 접점 및 고정측 접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가동측 접점 및 고정측 접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가동측 접점과 고정측 접점과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가동측 접점과 고정측 접점과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검출스위치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검출스위치의 왼쪽방향으로 조작레버가 경사전도 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검출스위치의 조작레버가 왼쪽방향으로 경사전도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검출스위치의 오른쪽방향으로 조작레버가 경사전도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검출스위치의 조작레버가 오른쪽방향으로 (에) 경사전도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검출스위치의 가압방향으로 조작레버가 가압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검출스위치의 조작레버가 가압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검출스위치의 가동측 접점 및 고정측 접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가동측 접점 및 고정측 접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가동측 접점과 고정측 접점과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검출스위치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검출스위치의 왼쪽방향으로 조작레버가 경사전도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검출스위치의 조작레버가 왼쪽방향으로 경사전도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검출스위치의 오른쪽방향으로 조작레버가 경사전도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검출스위치의 조작레버가 오른쪽방향으로 경사전도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검출스위치의 가압방향으로 조작레버가 가압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검출스위치의 조작레버가 가압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 하우징 1a 수납부 lb 개구부
2 고정단자 2a 절결부 2b 접속단자
3, 7 고정측 접점 3a, 7a 접점판 3b, 7b 요동스프링부
3c 접속단자 4 코일스프링 4a 코일부
4b, 4c 아암부 4d, 4e 굴곡부 4f 가동측 접점
5 조작레버 5a 걸림구멍 5b, 5c 회전운동축부
6 커버 7c 돌출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수단으로서,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로부터 그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조작레버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어 상기 조작레버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스프링에는, 코일부로부터 연장형성된 한 쌍의 아암부를 형성하고, 일방의 아암부가 상기 수납부의 일단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타방의 아암부는 상기 조작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조작레버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코일부가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수납부의 일단측에 형성된 고정단자와, 이 고정단자에 대향하여 상기 수납부의 타단측에 형성된 고정측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아암부의 일방이 상기 고정단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타방의 아암부에 상기 고정측 접점과 접속분리되는 가동측 접점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 수단으로서, 상기 가동측 접점은, 상기 코일스프링의 아암부의 선단에 형성된 굴곡부에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측 접점은, 절곡형성된 클립형상의 접점판에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 수단으로서, 상기 조작레버의 양측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의 상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걸리는 회전운동축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레버가 일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된 때에는, 경사전도방향과는 반대측의 상기 회전운동축부를 지점으로서 상기 조작레버가 회전운동 됨으로써, 상기 가동측 접점이 상기 고정측 접점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측 접점과 접촉하고, 또한, 상기 조작레버가 가압조작된 때에는, 상기 회전운동축부의 양쪽이 상기 수납부의 측벽을 따라서 가압방향으로 평행이동 됨으로써, 상기 가동측 접점이 상기 고정측 접점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측 접점과 접촉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 수단으로서, 상기 조작레버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 방향이 다른 복수의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22 에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1 은 검출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가동측 접점 및 고정측 접점의 평면도, 도 3 은 동일 측면도, 도 4 및 도 5 는 가동측 접점과 고정측 접점과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하우징 (1) 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내부에 수납부 (la) 를 갖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하우징 (l) 에는, 일측부에 후술하는 조작레버 (5) 가 돌출되어 설치되는 개구부 (1b)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일단부에는, 도전성의 판재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세워서 형성된 고정단자 (2) 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단자 (2) 의 자유단측에는 오목형상의 절결부 (2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 (2a) 에 후술하는 코일스프링 (4) 의 일방의 아암부 (4d) 가 걸리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고정단자 (2) 의 타단측은, 상기 하우징 (1) 의 바깥쪽으로 도출되고, 도시하지 않은 전자기기의 회로기판의 회로패턴 등과 접속되는 접속단자 (2b)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타단부에는, 상기 고정단자 (2) 와 대향하는 위치에, 이것도 도전성의 판재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클립형상으로 대치시켜 형성된 고정측 접점 (3)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측 접점 (3) 에는, 후술하는 가동측 접점 (4f) 이 삽입되어 접속되는 한 쌍의 접점판 (3a, 3a) 과, 이 접점판 (3a, 3a) 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이 접점판 (3a, 3a) 이 상기 하우징 (1) 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장의 요동스프링부 (3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고정측 접점 (3) 의 타단측은, 상기 하우징 (l) 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동일하게 접속단자 (3c) 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코일스프링 (4) 은, 도전성의 선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권회형상의 코일부 (4a) 를 갖고, 이 코일부 (4a) 의 양측에는, 방사형상으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아암부 (4b, 4c)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아암부 (4b, 4c) 의 자유단측에는,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굴곡부 (4d, 4e) 가 형성되고 있고, 이 굴곡부 (4d, 4e) 의 일방의 굴곡부 (4d) 가 상기 고정단자 (2) 에 형성된 절결부 (2a) 와 걸리고,타방의 굴곡부 (4e) 가 후술하는 조작레버 (5) 의 걸림구멍 (5a) 에 걸리며, 이 굴곡부 (4e) 의 선단부가, 상기 고정측 접점 (3) 의 상기 접점판 (3a) 과 접속되는 가동측 접점 (4f) 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 (4) 은, 한 쌍의 상기 아암부 (4b, 4c) 가, 상기 고정단자 (2) 와 조작레버 (5) 에 걸림으로써, 상기 코일부 (4a) 는 프리의 상태로 상기 하우징 (l) 의 수납부 (1a) 에 설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코일스프링 (4) 은, 상기 아암부 (4b, 4c) 의 굴곡부 (4d, 4e) 끼리를 잇는 선을 따라 휘게 되고,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의 이동궤적의 가로방향의 이동을, 매우 적게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조작레버 (5)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대략 삼각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조작레버 (5) 의 중앙에는 상기 아암부 (4c) 의 굴곡부 (4e) 가 걸리는 걸림구멍 (5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구멍 (5a) 에 걸린 상기 굴곡부 (4e) 의 선단부가, 상기 가동측 접점 (4f) 으로 되고,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조작레버 (5) 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고정측 접점 (3) 과 접속분리되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 (5) 의 양측부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상면에 맞닿아 회전운동 가능하게 걸리는 회전운동축부 (5b, 5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운동축부 (5b, 5c) 를 상기 조작레버 (5) 의 양측부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작레버 (5) 는 좌우의 양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시킬 수 있게 되어있고, 상기 조작레버 (5) 가 일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된 때에는, 경사전도방향과는 반대측의 상기 회전운동축부 (5b 또는 5c) 를 지점으로 상기 조작레버 (5) 가 회전운동 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운동축부 (5b, 5c) 를, 상기 수납부 (la) 의 측벽을 따라서 가압방향으로 평행이동 시킴으로써, 가압방향으로의 조작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버 (6) 는, 박판의 금속판 등으로 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를 덮듯이 상기 하우징 (1) 에 부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 (4) 이나 상기 조작레버 (5) 등의 비산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검출스위치의 동작을 도 6 내지 도 12 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2 는, 검출스위치의 조작레버의 조작시의 접점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6 은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 은 왼쪽방향으로 조작레버가 경사전도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 은 조작레버가 왼쪽방향으로 경사전도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 는 오른쪽방향으로 조작레버가 경사전도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 은 조작레버가 오른쪽방향으로 경사전도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 은 가압방향으로 조작레버가 가압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 는 조작레버가 가압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우선, 초기의 상태 (도 6) 에서, 상기 조작레버 (5) 를 도시하지 않은 메카에 의해 도시하는 왼쪽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시킨다. 이 때, 상기 조작레버 (5) 는 도시하는 오른쪽의 상기 회전운동축부 (5b) 를 지점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 함으로써,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조작레버 (5) 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상기 고정측 접점 (3) 과 접속되는 것으로 된다.
이때,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가로방향으로 그 이동궤적이 어긋나지만, 상기 고정측 접점 (3) 의 상기 요동스프링부 (3b) 이 가로방향으로 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접점판 (3a, 3a) 이 같이 추종됨으로써,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접점판 (3a, 3a) 에 양측으로부터 끼움지지되어 접점부끼리는 양면 접촉하게 되고, 접촉이 안정된 상태에서 이동된다. (도 7)
또한, 상기 조작레버 (5) 를 도시하는 왼쪽방향으로 최후까지 경사전도 조작시키면,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접점판 (3a, 3a) 내를 끼움지지된 상태로 도시하는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도 8)
이 경우, 상기 코일스프링 (4) 은, 한 쌍의 상기 아암부 (4b, 4c) 가, 상기 고정단자 (2) 와 상기 조작레버 (5) 와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코일부 (4a) 는 프리의 상태로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코일스프링 (4) 은, 상기 아암부 (4b, 4c) 의 굴곡부 (4d, 4e) 끼리를 잇는 선을 따라 휘게 되고,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의 이동궤적의 가로방향의 이동을, 매우 적게 설정할 수 있게 되어있다. 또한, 상기 접점판 (3a, 3a) 의 한 쪽만이 많이 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스프링 응력의 증대에 의한 상기 접점판 (3a, 3a) 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 은, 상기 조작레버 (5) 를 도시하는 오른쪽방향으로 경사전도 시킨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이때, 상기 조작레버 (5) 는 도시하는 좌측의 상기 회전운동축부 (5c) 를 지점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 함으로써,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조작레버 (5) 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상기 고정측 접점 (3) 과 접속되게 된다.
이때도,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가로방향으로 그 이동궤적이 어긋나지만, 동일하게 상기 고정측 접점 (3) 의 상기 요동스프링부 (3b) 이 가로방향으로 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접점판 (3a, 3a) 이 함께 추종됨으로써,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접점판 (3a, 3a) 에 양측으로부터 끼움지지되어 접점부끼리는 양면 접촉으로 되어, 접촉이 안정된 상태로 이동되게 된다.
도 11 및 도 l2 는, 상기 조작레버 (5) 를 도시하는 아랫방향에 수직으로 가압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이때, 상기 조작레버 (5) 는 양측부에 형성된 상기 회전운동축부 (5b, 5c) 가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la) 의 양측벽을 따라, 상기 조작레버 (5) 의 가압방향 즉, 도시하는 아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조작레버 (5) 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고정측 접점 (3) 과 접속되게 된다.
이때,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고정측 접점 (3) 의 한 쌍의 상기 접점판 (3a, 3a) 의 중심상을 이동되게 되고, 가로방향으로의 이동궤적의 어긋남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있다.
도 8, 도 10, 도 12 의 상태로부터, 각각 상기 조작레버 (5) 로의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조작레버 (5) 는, 상기 코일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의해서 도 6에 나타내는 초기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도 13 내지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13 은 가동측 접점및 고정측 접점의 평면도, 도 l4 는 동일 측면도, 도 15 는 가동측 접점과 고정측 접점과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그림 l 내지 도 12 로 설명한 동일부품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 제 1 실시예와의 상이점은, 상기 고정측 접점 (3) 의 구조가 약간 다른 점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고정측 접점 (7) 은, 한 쌍의 클립형상의 접점판 (7a, 7a) 를 갖고 있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그 형상이 다른 점과, 요동스프링부 (7b, 7b) 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 경우, 요동스프링부 (7b, 7b) 는, U 자형의 두 갈래형상에 형성되어 있고, 클립형상의 한 쌍의 접점판 (7a, 7a) 은, 상기 요동스프링부 (7b, 7b) 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 (l) 에 각각 독립하여 요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접점판 (7a, 7a) 은, 그 중앙이 L 자형의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가 겹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서로 중합하고 있는 자유단측에는, 각각 크로스하여 반대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7c, 7c)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 (7c, 7c) 의 외측부를 따라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이 상기 접점판 (7a, 7a) 사이에 삽입되어, 끼움지지 된다.
즉, 각각 독립하여 요동 가능한 상기 요동스프링부 (7b, 7b) 와, 상기 접점판 (7a, 7a) 에 각각 반대측에 돌출된 상기 돌출부 (7c, 7c) 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이 상기 접점판 (7a, 7a) 에 삽입된 경우,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의 이동궤적이 가로방향으로 어긋나는 데 추종하여, 상기 접점판 (7a, 7a) 이 각각 가로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게 되어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검출스위치의 동작을 도 16 내지 도 22 에서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22 는, 검출스위치의 조작레버의 조작시의 접점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16 은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7 은 왼쪽방향으로 조작레버가 경사전도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8 은 조작레버가 왼쪽방향으로 경사전도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l9 는 오른쪽방향으로 조작레버가 경사전도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0 은 조작레버가 오른쪽방향으로 경사전도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l 은 가압방향으로 조작레버가 가압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2 는 조작레버가 가압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우선, 초기의 상태 (도 16) 부터, 상기 조작레버 (5) 를 도시하지 않은 메카에 의해 도시하는 왼쪽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시킨다. 이때, 상기 조작레버 (5) 는 도시하는 오른쪽의 상기 회전운동축부 (5b) 를 지점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 함으로써,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조작레버 (5) 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상기 고정측 접점 (7) 과 접속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가로방향으로 그 이동궤적이 어긋나지만, 상기 고정측 접점 (7) 의 상기 요동 스프링부 (7b, 7b) 가, 각각 독립한 상태에서역방향으로 휘게 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접점판 (7a, 7a) 의 외측부에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접점판 (7a, 7a) 에 양측으로부터 끼움지지되어 접점부끼리는 양면접촉으로 되고, 접촉이 안정한 상태로 이동되게 된다. (도 17)
또한, 상기 조작레버 (5) 를 도시하는 왼쪽방향으로 최후까지 경사전도 조작시키면,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접점판 (7a, 7a) 사이를 끼움지지된 상태로 도시하는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8)
이 경우, 상기 코일스프링 (4) 은, 한 쌍의 상기 아암부 (4b, 4c) 가, 상기 고정단자 (2) 와 상기 조작레버 (5) 에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코일부 (4a) 는 프리의 상태로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코일스프링 (4) 은, 상기 아암부 (4b, 4c) 의 굴곡부 (4d, 4e) 끼리를 잇는 선을 따라 휘게 되고,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의 이동궤적의 가로방향의 이동을, 매우 적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점판 (7a, 7a) 의 한 쪽만이 많이 휘는 일이 없어짐으로써, 스프링 응력의 증대에 의한 상기 접점판 (7a, 7a) 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 은, 상기 조작레버 (5) 를 도시하는 오른쪽방향으로 경사전도시킨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이때, 상기 조작레버 (5) 는 도시하는 좌측의 상기 회전운동축부 (5c) 를 지점으로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조작레버 (5) 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상기 고정측 접점 (7) 과 접속되게 된다.
이때도,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가로방향으로 그 이동궤적이 어긋나지만,동일하게 상기 고정측 접점 (7) 의 상기 요동스프링부 (7b, 7b) 가, 각각 독립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접점판 (7a, 7a) 의 외측부에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접점판 (7a, 7a) 에 양측으로부터 끼움지지되어 접점부끼리는 양면이 접촉하게 되어, 접촉이 안정한 상태로 이동된다.
도 2l 및 도 22 는, 상기 조작레버 (5) 를 도시하는 아래방향으로 수직으로 가압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이때, 상기 조작레버 (5) 는 양측부에 형성된 상기 회전운동축부 (5b, 5c) 가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양측벽에 따라, 상기 조작레버 (5) 의 가압방향 즉, 도시하는 아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조작레버 (5) 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고정측 접점 (7) 과 접속된다.
이때,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고정측 접점 (7) 의 한 쌍의 상기 접점판 (7a, 7a) 의 중합된 중심상을 이동되는 것으로 되고, 가로방향으로의 이동궤적의 어긋남은 발생하지 않고, 상기 접점판 (7a, 7a) 에 양측으로부터 균등하게 끼움지지 된다.
도 18, 도 20, 도 22 의 상태로부터, 각각 상기 조작레버 (5) 로의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조작레버 (5) 는, 상기 코일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의해서 도 16 에 나타내는 초기의 상태로 복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출스위치는, 하우징에 부착된 조작레버를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코일스프링에, 코일부로부터 연장형성된 한 쌍의 아암부를 형성하고, 일방의 아암부를 하우징의 일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타방의 아암부를 조작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코일스프링을 조작레버의 이동에 수반하여 코일부가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코일스프링의 아암부와, 조작레버와의 맞닿음부에 동작의 폭 (미끄럼 폭) 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마찰에 의한 작동력이나 복귀력으로의 영향을 작게할 수 있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는, 수납부의 일단측에 형성된 고정단자와, 이 고정단자에 대향하여 수납부의 타단측에 설치된 고정측 접점을 구비하고, 코일스프링은, 아암부의 일방이 고정단자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타방의 아암부에 고정측 접점과 접속분리되는 가동측 접점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조작성이 양호한 검출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동측 접점은, 코일스프링의 아암부의 선단에 형성된 굴곡부에서 형성하는 동시에, 고정측 접점은, 절곡 형성된 클립형상의 접점판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부품의 구성이 간이하게 되고, 저비용으로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레버의 양측부에는, 하우징의 수납부의 상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걸리는 회전운동축부를 형성하고, 조작레버가 일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된 때에는, 경사전도방향과는 반대측의 회전운동축부를 지점으로서 조작레버가 회전운동 됨에 의해, 가동측 접점이 고정측 접점측으로 이동하여 고정측 접점과 접촉하고, 또한, 조작레버가 가압조작된 때에는, 회전운동축부의 양쪽이 수납부의 측벽을 따라 가압방향으로 평행이동 됨으로써, 가동측 접점이 고정측 접점측으로 이동하고 고정측 접점과 접촉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조작레버는, 좌우의 양방향으로의 경사전도조작, 및 가압방향으로의 가압조작 등의, 자유로운 방향으로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하나의 스위치로 다방향의 조작스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조작레버에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 방향이 다른 복수의 경사면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모든 방향으로부터의 조작대응이 가능해진다.

Claims (5)

  1.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로부터 그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조작레버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어 상기 조작레버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코일부로부터 연장형성된 한 쌍의 아암부를 형성하고, 일방의 아암부가 상기 수납부의 일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타방의 아암부는 상기 조작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조작레버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코일부가 회전운동 가능해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수납부의 일단측에 형성된 고정단자와, 이 고정단자에 대향하여 상기 수납부의 타단측에 형성된 고정측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아암부의 일방이 상기 고정단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타방의 아암부에 상기 고정측 접점과 접속분리되는 가동측 접점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접점은, 상기 코일스프링의 아암부의 선단에 형성된 굴곡부에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측 접점은, 절곡 형성된 클립형상의 접점판에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의 양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의 상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걸리는 회전운동축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레버가 일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되었을 때에는, 경사전도방향과는 반대측의 상기 회전운동축부를 지점으로서 상기 조작레버가 회전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측 접점이 상기 고정측 접점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측 접점과 접촉하고, 또한, 상기 조작레버가 가압조작된 때에는, 상기 회전운동축부의 양쪽이 상기 수납부의 측벽을 따라서 가압방향으로 평행이동 됨으로써, 상기 가동측 접점이 상기 고정측 접점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측 접점과 접촉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 방향이 다른 복수의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KR10-2001-0005363A 2000-02-15 2001-02-05 스위치장치 KR100399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41466 2000-02-15
JP2000041466A JP2001229767A (ja) 2000-02-15 2000-02-15 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047A true KR20010082047A (ko) 2001-08-29
KR100399457B1 KR100399457B1 (ko) 2003-09-29

Family

ID=1856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363A KR100399457B1 (ko) 2000-02-15 2001-02-05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1229767A (ko)
KR (1) KR100399457B1 (ko)
CN (1) CN1165061C (ko)
TW (1) TW4779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8069B1 (en) 2003-04-08 2004-07-27 Shin Jiuh Corp. Micro switch
US6967294B1 (en) 2004-11-23 2005-11-22 Zippy Technology Corp. Microswitch
CN102683073A (zh) * 2011-03-11 2012-09-19 株式会社Magma 按压开关装置
KR101656740B1 (ko) 2015-04-08 2016-09-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맥 혈압 파형의 특징점 검출 장치 및 방법
US11227731B2 (en) 2017-10-20 2022-01-18 Omron Corporation Switch with guide and sloped faces
WO2019078099A1 (ja) 2017-10-20 2019-04-25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CN113685721A (zh) * 2020-05-19 2021-11-23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自动化加氢开关装置和燃料电池汽车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901A (ja) * 1997-03-21 1998-10-09 Alps Electric Co Ltd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061C (zh) 2004-09-01
KR100399457B1 (ko) 2003-09-29
JP2001229767A (ja) 2001-08-24
CN1309402A (zh) 2001-08-22
TW477995B (en) 200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76327B2 (ja) コネクタ
US6248966B1 (en) Lever switch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0420190B1 (ko)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KR100399457B1 (ko) 스위치장치
JP2003132765A (ja) レバースイッチ
KR19980023941A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KR100462031B1 (ko) 스위치장치
US4767896A (en) Stamped circuitry assembly
JP3146200U (ja) 電気コネクタ
US4659157A (en) Stamped circuitry assembly
KR100423776B1 (ko) 스위치 장치
US4835348A (en) Electrical switch device
US6441325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US6353196B2 (en) Water-resistant switching device
JP3964093B2 (ja) スイッチ装置
US4728759A (en) Stamped circuitry and adjustable rotary switch assembly
JP4326987B2 (ja) スイッチ装置
JP3959900B2 (ja) 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123021A (ja) 複合スイッチユニット
US20010023179A1 (en) Input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3907601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JPH07220829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04281275A (ja) 2方向操作スイッチ
JP2005123019A (ja) 電子入力部品
JP2001229769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