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2020A - 스로어웨이 팁 - Google Patents

스로어웨이 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2020A
KR20010082020A KR1020010004079A KR20010004079A KR20010082020A KR 20010082020 A KR20010082020 A KR 20010082020A KR 1020010004079 A KR1020010004079 A KR 1020010004079A KR 20010004079 A KR20010004079 A KR 20010004079A KR 20010082020 A KR20010082020 A KR 20010082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ting edge
tip
deformation
throwaway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나야마다카시
Original Assignee
오카무라 가네오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카무라 가네오,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카무라 가네오
Publication of KR20010082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02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4Cutting-off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4Cutting-off tools
    • B23B27/045Cutting-off tools with chip-break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4Cutters, for shaping with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 Y10T407/245Cutters, for shaping with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comprising concave surface in cutting face of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5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cut off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과제) 절삭저항이 작고, 또한 절삭분의 변형효과가 안정하게 얻어지는 스로어웨이 팁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앞 절삭날(15)의 절삭날 모서리(15a)의 거의 중앙에 경사면(16)이 낮게 되도록 원호형상의 오목부(25)를 형성하고, 경사면(16)에 상기 오목부(25)에서 동일한 원호형상으로 연속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오목홈(26)을 형성하였다. 절단가공할 때에는, 절삭분은 앞 절삭날(15)을 모방하여 그 횡단면형상이 하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원호형상의 형태로 좁혀 들어가도록 변형되어 경사면(16)의 오목홈 (26)을 따라서 후방으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변형은 종래와 같이 경사면 위에 형성된 볼록부에 밀어 붙임에 의한 변형이 아니기 때문에, 절삭저항이 작고, 팁의 세로이송속도에 관계없이 절삭분에 변형이 가해진다.

Description

스로어웨이 팁{throw-away tip}
본 발명은 선삭가공에 있어서의 절단 또는 홈파기에 사용되는 스로어웨이 팁(바이트용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절단 또는 홈파기(이하, 간단히 '절단가공'이라 한다)에 사용되는 스로어웨이 팁(이하, 간단히 '팁'이라 한다)으로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팁 (101)이 알려져 있다. 이 팁(101)은 경사면(416)에 있어서의 앞 절삭날(415) 근방의 좌우 양측에 1쌍의 융기형상의 볼록부(경사벽)(420)를 형성한 것이다. 이것은, 절삭분(K)을 상기 좌우 양측의 볼록부(420)에 강제적으로 밀어 붙임으로써 그 단면을 평탄한 형태에서 대략 V자 형상으로 좁혀 들어간 압축형태로 변형시켜서 배출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경사면(416)의 좌우 양측에 볼록부(420)를 형성한 팁(101)에 의한 절삭분(K)은 그 단면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V자 형상으로 압축변형되는 만큼 평탄한 단면의 절삭분에 비해 강성이 커지게 되고, 또한 그 폭이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절삭분이 나선형상으로 되어 배출되더라도 적당한 정도의 길이로 분단되기 쉽기 때문에, 바이트나 피가공재(이하, '워크'라 한다) 또는 척에 휘감기는 일이 없어 절삭분의 처리성이 우수하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팁(10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절단가공시에 절삭분(K)을 그 배출과정에서 앞 절삭날(415) 근방의 양측 볼록부(420)에 강제적으로 밀어 붙임으로써 그 단면형상을 변형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절삭분(K)을 변형시키기 위한 볼록부(420)가 있는 만큼, 이것이 없는 팁에 의한 절단가공에 비하면, 팁 또는 워크에 대한 저항이 커지게 되며, 팁의 관점에서 보면 절삭날의 마모가 빠르게 진행되어 수명이 짧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절삭저항이 크기 때문에, 절단가공을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도 있었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 절삭날(415)에 약간의 리드각이 있는 팁(101)으로 절단가공을 할 경우, 워크가 절단되기 직전까지는 그 절단되는 폭부분(V)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잘라내어지는 워크의 단면(Tm)측(도면의 우측)이 가늘게 되는 테이퍼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이 절단가공에 있어서는, 앞 절삭날(415)의 세로이송에 의해서 그 절단되는 폭부분(V)이 테이퍼형상을 이루면서 점차 절삭되어 축소되어 가고, 최후에는 워크가 잘라내어지는 것이지만, 앞 절삭날(415)이 워크의 단면(Tm) 중심에 거의 이르기 직전에 그 세로이송력에 의한 횡방향의 힘에 의해서 절삭에 의하지 않고 꺾이 듯이 절단되게 된다. 따라서, 잘라내어진 워크의 단면(Tm)에는 그 중심에 보스(boss)형상의 버(이하, '중심보스'라 한다)가 돌출형상으로 잔존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팁에 의해서 절단가공을 할 때에는, 앞 절삭날(415)의 양측에 볼록부(420)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워크의 절단면(단면(Tm)) 근방에서의 절삭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중심보스가 크게 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단면에 높은 가공정밀도가 요구되는 정밀 축부품에 대해서는 반드시 후처리 공정(2차 가공)에서 이 중심보스를 별도로 깎아 내도록 되어 있었다. 한편, 척에 고정되어 있는 워크(도면의 좌측)의 단면(T)은 앞 절삭날(415)이 단면의 중심을 넘는 위치까지 세로이동되기 때문에, 중심보스의 발생은 방지된다.
또, 같은 이유에서, 파이프(관)형상의 부품을 절단가공할 경우에도 잘라내어진 워크의 단면의 내경부분에 관의 중심(내경측)을 향해서 버(이하, '내경 버'라 한다)가 돌출형상으로 잔존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단면에 높은 가공정밀도가 요구되는 부품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반드시 후처리 공정에서 별도로 깎아 내도록 되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팁에서는 절삭분의 단면에 변형을 가하는 볼록부가 절삭날에서 약간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삭이송속도에 따라서 그 변형효과가 다르며, 또한 절삭이송속도가 작을 때에는 그 변형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절삭이송속도가 0.05㎜/rev 이하로 작은 경우에는 절삭분이 얇아서 볼록부에 밀어 붙여지지 않기(충돌하지 않기) 때문에 그 변형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또 충돌하였다 하더라도 절삭분의 온도 저하에 의해서 단지 브레이커로서 작용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배출되는 절삭분은 그 단면이 평탄하여 강성이 낮고, 나선형상이라 하더라도 그 감김이 엉성하고, 또한 길게 연속해서 배출되는 경향이 강하고, 그 배출방향이 불안정하게 되는 경향이 있거나 워크등에 휘감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예를 들어 절삭이송속도가 0.2㎜/rev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절삭분이 두꺼워 볼록부에 대한 밀어 붙임이 커지게 되므로 그 변형효과가 크다. 따라서, 안정하게 절삭분을 처리할 수 있으나, 반면에 그 밀어 붙임에 의해서 절삭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팁의 수명저하를 초래하고 있었다. 결국, 상기한 종래의 팁에서는 절삭분의 변형효과를 안정하게 발휘할 수 있는 이송속도의 영역이 좁아지며, 또 안정하게 절삭분을 처리할 수 있는 경우에는 수명이 짧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절단용 스로어웨이 팁이 가지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절삭저항이 작고, 또한 절삭분의 변형효과가 안정하게 얻어지는 스로어웨이 팁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스로어웨이 팁의 사시도 및 그 요부 확대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평면도(경사면측에서 본 도면)
도 3은 도 1의 스로어웨이 팁을 앞면 여유면측에서 본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오목홈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스로어웨이 팁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스로어웨이 팁의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스로어웨이 팁을 앞면 여유면측에서 본 도면
도 8은 도 6의 스로어웨이 팁에 있어서의 오목홈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오목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스로어웨이 팁의 요부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스로어웨이 팁을 앞면 여유면측에서 본 도면
도 11은 도 9의 스로어웨이 팁에 있어서의 오목홈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오목홈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스로어웨이 팁의 요부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절단용 스로어웨이 팁의 요부 확대 평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1,31,41 - 스로어웨이 팁
15 - 앞 절삭날 15a - 절삭날 모서리
16 - 경사면 25,125,225,325 - 오목부
26,126,226,326 - 오목홈 D - 오목부의 깊이
W - 앞 절삭날의 폭 Wa - 오목부의 폭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은, 절단 또는 홈파기에 사용되는 스로어웨이 팁으로서, 앞 절삭날의 절삭날 모서리의 거의 중앙에 경사면이 낮게 되도록 오목부를 형성하고, 경사면에 상기 오목부에서 연속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오목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후방이란, 절단(세로)이송방향의 반대방향(앞 절삭날에서 떨어지는 방향)을 말한다.
상기 수단에 있어서, 예를 들면 환봉(丸棒)을 절단가공할 때에는, 절삭분은 앞 절삭날을 모방하여 그 횡단면형상이 하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원호형상의 형태로 좁혀 들어가도록 압축변형되어 경사면의 오목홈을 따라서 앞 절삭날에서 후방으로 배출된다. 즉, 절삭분은 그 폭방향으로의 압축변형에 의해서 고강성으로 되어 후방으로 배출되는데, 그 변형이 종래와 같이 앞 절삭날 후방의 경사면 위에 형성된 볼록부에 밀어 붙여짐에 의한 것이 아니고, 앞 절삭날 자체의 오목부의 형상 및 이것에 연속하는 경사면에 있어서의 오목홈의 형상에 의해서 변형이 가해진다. 따라서, 절삭저항이 작고, 팁의 세로이송속도에 관계없이 절삭분에 변형이 가해지기 때문에 안정하게 그 변형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절삭분에 변형을 가하는 볼록부이 없기 때문에, 즉 절삭저항이 작기 때문에, 절단시에 잘라내어지는 워크의 단면에 발생하는 중심보스나 내경 버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절삭저항이 작은 만큼 절삭날의 마모가 적어지기 때문에, 절단가공이나 홈파기가공에 있어서의 그 수명의 연장도 기대된다.
상기 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오목부 및 오목홈의 단면형상을 원호형상으로 하면, 절삭분의 횡단면에 가해지는 변형이 원호형상으로 되며, 저항도 적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모든 단면형상에 있어서 0.05∼0.2㎜로 하면된다. 이것은, 오목부의 깊이가 0.05㎜ 미만이면 절삭분의 변형효과가 작아지게 되고, 한편 오목부의 깊이가 0.2㎜를 넘으면 절삭분의 변형효과는 커지지만 절삭분의 변형에 수반되는 저항이 커지게 되어 공구의 수명이 짧아지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오목부 및 오목홈의 단면형상을 원호형상으로 할 경우, 그 원호의 반경은 0.5∼4㎜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절삭날의 폭을 W로 하고, 오목부의 폭을 Wa로 하였을 때, W 및 Wa가 『W/2 ≤ Wa ≤ 2W/3』의 치수관계에 있으면 된다. 이것은, Wa가 W/2보다 작으면 변형효과가 작아지게 되고, Wa가 2W/3보다 크면 절삭날의 양단의 강도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스로어웨이 팁의 사시도 및 그 요부 확대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평면도(경사면측에서 본 도면), 도 3은 도 1의 스로어웨이 팁을 앞면 여유면측에서 본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스로어웨이 팁의 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스로어웨이 팁(1)은 초경합금, 서멧, 세라믹 등의 소결체로 이루어지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평행사변형의 블록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그 양 예각부(銳角部)(12)에 동일한 앞 절삭날(15)을 가지는 2코너 타입의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그 1코너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본실시형태에서는 예각부(12)를 포함하는 삼각부분(13)이 그 두께가 얇게 되어 있으며, 잔여 부분인 두께가 두꺼운 기부(14)의 중앙에 형성된 클램프용 구멍(14a)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홀더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1코너를 이루는 앞 절삭날(15)은 경사면(16)과 앞면 여유면(17)에 의해서 형성되며, 경사면(16)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에서 보았을 때, 그 양측(16a)이 앞 절삭날(15)의 좌우 양단에서 후방을 향하여 각각 2도의 후퇴각을 가지고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면(16)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 절삭날(15)의 절삭날 모서리(15a)에서 6도의 양각(positive angle)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고, 후방에 원호면으로 된 브레이커 벽(18)을 구비하고 있다. 또, 앞면 여유면 (17)에는 6도의 앞면 여유각이 주어지고, 측면 여유면(19)에는 3도의 측면 여유각이 주어져 있다. 또한, 앞 절삭날(15)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5도의 리드각이 주어져 있다.
그리고, 경사면(16)에 있어서, 직선형상의 앞 절삭날(15)의 절삭날 모서리{경사면(16)과 앞면 여유면(17)이 교차하는 능선(稜線)}(15a)의 중앙에 하측을 향해서 오목하게 되는 원호형상의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면(16)에는 상기 오목부(25)에서 연속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오목홈(26)이 형성되어 있다. 단, 오목홈(26)은 오목부(25)의 단면형상과 같은 반경의 원호형상으로 또한 거의 같은 깊이로 하여 경사면(16) 및 브레이커 벽(18)을 따라서 형성되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팁(1)의 클램프 면(29)까지 형성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 절삭날(15)의 폭(W)이 약 1.8㎜이고, 이 앞 절삭날(15)에 형성된 오목부(25)는 그 폭(Wa)이 약 0.9㎜로 되고, 그 원호의 반경(R)이 1.5㎜로 되고, 그 중심의 최대 깊이(D)가 0.15㎜로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앞 절삭날(15)의 오목부(25) 및 오목홈(26)은 스로어웨이 팁(1)의 소결체 성형과정에서 일체적으로 형성하여도 되나, 오목부(25) 및 오목홈(26)이 없는 스로어웨이 팁으로서 소결, 형성한 후에 상기 오목부(25) 및 오목홈(26)에 대응하는 외주면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다이아몬드 숫돌등으로 연삭(연마)함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스로어웨이 팁(1)에 의해서 축부품을 절단가공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즉, 절단가공에 있어서는, 절삭분은 앞 절삭날(15)을 모방하여 그 횡단면형상이 하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원호형상으로 좁혀 들어가도록 압축변형되어 경사면(16)의 오목홈(26)을 따라서 앞 절삭날(15)에서 후방으로 배출된다. 즉, 절삭분은 그 폭방향으로의 압축변형에 의해서 고강성으로 되어 후방으로 배출되는데, 그 변형이 종래와 같이 앞 절삭날 후방의 경사면 위에 형성된 볼록부에 밀어 붙여짐에 의한 것이 아니고, 앞 절삭날(15) 자체의 오목부(25)의 원호형상 및 이것에 연속하는 경사면(16)에 있어서의 오목홈(26)의 원호형상에 의해서 변형이 가해진다. 따라서, 절삭저항이 작고, 팁의 세로이송속도에 관계없이 절삭분에 변형이 가해지기 때문에, 안정한 절삭분의 변형효과가 얻어진다. 즉, 절삭분의 변형은, 앞 절삭날(15)에 의한 절삭분의 최고온도영역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변형시의 저항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절삭분에 변형을 가하는 볼록부가 없기 때문에, 즉 절삭저항이 작기 때문에, 축부재를 절단할 경우에는 워크의 단면에 발생하는 중심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관부재를 절단할 경우에는 내경 버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실시형태의 스로어웨이 팁(1)으로서 오목부(25)의 원호의 반경을 1.5㎜로 일정하게 하되 오목부(25)의 깊이를 다르게 한 시료를 만들어 축부품을 절단가공하고, 잘라내어진 워크의 절단면에 있어서의 중심보스의 지름 및 돌출량(높이) 등을 비교하였다. 단, 절삭조건은 스핀들 회전수 = 2000rpm, f(이송) = 0.03㎜/rev, 드라이 절삭. 피삭재는 외경 12㎜의 SUS303으로 하고, 팁(1)의 앞 절삭날 (15)의 폭(W)은 1.8㎜, 오목부의 깊이(D)는 0∼0.30㎜로 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단, 표 1에서 나타낸 수치는 10회의 절단에 의한 평균치이다(이하 동일). 또한, 비교대상인 스로어웨이 팁(비교예)은 앞 절삭날을 직선형상으로 하여 오목부 및 오목홈을 없애고, 경사면에 있어서의 앞 절삭날 근방의 좌우 양측에 볼록부를 형성한 것이다.
시료NO. 오목부의깊이(㎜) 중심보스의지름(㎜) 중심보스의돌출량(㎜) 절삭분의변형작용 공구수명
1* 0 0.5 1.0 없음 길다
2 0.05 0.1 0.2 양호 길다
3 0.15 0.05 0.05 양호 길다
4 0.2 0.1 0.2 양호 길다
5 0.25 0.4 0.7 양호 약간 짧다
6 0.30 0.7 1.2 양호 짧다
*표시는 비교예이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료품에 의한 절단의 경우에는, 비교예와 비교하면, 거의 대부분에 있어서 중심보스의 지름 및 높이가 작았다. 이것은, 시료품에 의한 경우에는 비교예에 의한 경우와 비교하면, 절삭(절단)이 단면의 중심에 더 가까운 위치까지 진행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절삭저항이 작은 것을 실증하는 것이다. 또, 오목부의 깊이가 0.05㎜이면 절삭분의 변형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오목부의 깊이가 0.2㎜를 넘으면 공구수명이 약간 짧아지게 되었다. 이것은, 절삭분의 변형에 있어서의 저항이 커지게 되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비교예에 의한 경우에는 공구수명이 길어 양호하였으나, 반면에 절삭분의 변형작용을 볼 수 없었다. 이것은 이송속도가 작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다음은, 상기한 시료 No.1∼3의 팁을 가지고, 워크를 외경 12㎜, 내경 8㎜의 관부재로 한 점만을 변경하여 절단시험을 하고, 잘라내어진 워크의 절단면에 있어서의 내경 버의 두께 및 돌출량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비교해 보았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단위 ㎜
시료 No. 내경 버의 두께 내경 버의 돌출량
1* 0.05 0.1
2 0.02 0.05
3 0.01 0.02
*표시는 비교예이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료품에 의한 경우에는, 비교예와 비교하면, 내경 버의 두께 및 돌출량이 작았다. 이것은, 시료품에 의한 경우에는, 비교예에 의한 경우와 비교하면, 절삭저항이 작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다음은, 오목부의 깊이를 0.15㎜로 일정하게 하되, 오목부의 원호의 반경을 0.5∼4.0㎜의 범위에서 변경하여 오목부의 폭(Wa)을 변화시키고, 상기 축부재의 절단시험을 하여 절삭분의 변형작용 및 공구수명(절삭날 양단의 강도)을 확인하였다. 단, 앞 절삭날의 폭(W)은 1.8㎜로 일정하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단위 ㎜
시료 No. 오목부의 폭(Wa) 절삭분의 변형작용 공구수명
1 0.3 거의 없다 길다
2 0.6 약간 있다 길다
3 0.9 양호 길다
4 1.2 양호 길다
5 1.5 양호 짧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료 No.1, 2와 같이 오목부의 폭(Wa)이 W/2보다 작으면, 오목홈의 폭이 작아지게 되기 때문에 절삭분의 변형작용이 적어지게 되었다. 또, 시료 No.5와 같이 오목부의 폭(Wa)이 2W/3보다 크면, 앞 절삭날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었다. 이것에 의해서, 앞 절삭날(15)의 폭(W)과 오목부(25)의 폭(Wa)의 관계는 『W/2 ≤ Wa ≤ 2W/3』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에 관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6∼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단, 제 2 실시형태의 팁(21)은 앞 절삭날(15)에 형성한 오목부(125)와 경사면(16)에 형성한 상기 오목부(125)에서 연속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오목홈 (126)의 단면형상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한 점만이 다르므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팁(21)으로 절단할 때에 발생하는 절삭분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앞 절삭날(15)의 오목부(125)를 모방한 형태로 그 횡단면이 변형되어 배출된다.
〈제 3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에 관한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9∼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단, 제 3 실시형태의 팁(31)은 앞 절삭날(15)에 형성한 오목부(225)와 경사면(16)에 형성한 상기 오목부(225)에서 연속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오목홈 (226)의 단면형상을 삼각형상으로 한 점만이 다르므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의 팁(31)으로 절단할 때에 발생하는 절삭분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앞 절삭날(15)의 오목부(225)를 모방한 형태로 그 횡단면이 변형되어 배출된다.
본 발명에 관한 스로어웨이 팁은 상기한 각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설계변경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오목홈(26,126,226)은 후방을 향해서 브레이커 벽(18)까지 연장하였으나, 도 12에 나타낸 팁(41)과 같이 경사면(16)의 도중에서 오목홈(326)을 일단락 짓는 형태로 하여도 된다.
또,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2코너(2개의 절삭날을 가진다) 타입의 평행사변형(마름모꼴) 스로어웨이 팁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삼각형 스로어웨이 팁과 같이 삼각의 둘레면 상호간에 절삭날을 3개 가지는 3코너 타입의 스로어웨이 팁등, 절단에 사용되는 각종 형태의 스로어웨이 팁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로어웨이 팁은 홈파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로어웨이 팁으로 절단가공할 때에는, 절삭분은 그 폭방향으로의 압축변형에 의해서 고강성으로 되어 후방으로 배출되는데, 그 변형이 앞 절삭날 자체의 오목부의 형상 및 이것에 연속하는 경사면에 있어서의 오목홈의 형상에 의해서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변형이 종래와 같이 앞 절삭날 후방의 경사면 위에 형성된 볼록부에 밀어 붙임에 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절삭저항이 작고, 팁의 세로이송속도에 관계없이 절삭분에 변형이 가해지기 때문에 그 변형효과가 안정하게 얻어진다.
또한, 절삭분에 변형을 가하는 볼록부가 없기 때문에, 즉 절삭저항이 작기 때문에, 절단가공시에 잘라내어지는 워크의 단면에 발생되는 중심보스나 내경 버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절삭저항이 작은 만큼 절삭날의 마모가 적어지기 때문에, 절단가공이나 홈파기가공에 있어서의 그 수명의 연장도 기대된다.

Claims (4)

  1. 절단 또는 홈파기에 사용되는 스로어웨이 팁으로서,
    앞 절삭날의 절삭날 모서리의 거의 중앙에 경사면이 낮게 되도록 오목부를 형성하고,
    경사면에 상기 오목부에서 연속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오목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오목홈의 단면형상이 원호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깊이를 0.05∼0.2㎜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앞 절삭날의 폭을 W로 하고, 오목부의 폭을 Wa로 하였을 때,
    W 및 Wa가 『W/2 ≤Wa ≤2W/3』의 치수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KR1020010004079A 2000-01-31 2001-01-29 스로어웨이 팁 KR200100820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22639A JP2001212704A (ja) 2000-01-31 2000-01-31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2000-22639 2000-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020A true KR20010082020A (ko) 2001-08-29

Family

ID=1854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079A KR20010082020A (ko) 2000-01-31 2001-01-29 스로어웨이 팁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10014259A1 (ko)
EP (1) EP1123765A1 (ko)
JP (1) JP2001212704A (ko)
KR (1) KR200100820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8452A1 (de) * 2000-04-13 2001-10-25 Widia Gmbh Schneideinsatz
SE520629C2 (sv) * 2000-09-05 2003-08-05 Sandvik Ab Skär för grovsvarvningsändamål med avsmalnande bakre ände
US6739808B1 (en) * 2000-09-21 2004-05-25 Kennametal Inc. Tool holder
US6843620B2 (en) * 2000-12-28 2005-01-18 Ngk Spark Plug Co., Ltd. Cutting tool and indexiable insert therefor
DE10346790A1 (de) * 2003-10-08 2005-05-04 Kennametal Widia Gmbh & Co Kg Schneideinsatz
US7229236B2 (en) * 2005-06-13 2007-06-12 Kennametal Inc. Helical cutting insert with progressive cutting edge
US9101985B2 (en) * 2007-01-18 2015-08-11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assembly and components thereof
US8454274B2 (en) 2007-01-18 2013-06-04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s
WO2008117822A1 (ja) * 2007-03-27 2008-10-02 Kyocera Corporation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被削材の切削方法
JP5279300B2 (ja) * 2008-02-29 2013-09-04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切りくず誘導機能付き切削工具
JP5288836B2 (ja) * 2008-02-29 2013-09-11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切りくず処理機能付き工作機械
KR101425910B1 (ko) * 2010-01-29 2014-07-31 쿄세라 코포레이션 절삭 인서트와 절삭 공구 및 그들을 사용한 피삭재의 절삭 방법
US8561509B2 (en) 2010-06-15 2013-10-22 Kennametal Inc. Mechanical-activated ID grooving tool
US8408849B2 (en) 2010-06-15 2013-04-02 Kennametal Inc. Pressure-activated ID grooving tool
JP5607451B2 (ja) * 2010-07-28 2014-10-15 株式会社谷テック 突切りバイト
US8827599B2 (en) 2010-09-02 2014-09-09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assembly and components thereof
EP2682208B1 (en) * 2011-02-28 2016-05-04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t product using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AT12526U1 (de) * 2011-03-09 2012-07-15 Ceratizit Austria Gmbh Schneideinsatz
US8573904B2 (en) 2011-06-14 2013-11-05 Kennametal Inc. Grooving insert
US9314851B2 (en) * 2013-05-21 2016-04-19 Iscar, Ltd. Cutting insert having a rearwardly offset cutting edge and cutting tool
JP6206801B2 (ja) * 2013-09-09 2017-10-04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
US10010939B2 (en) 2014-05-22 2018-07-03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JP6798663B2 (ja) * 2016-04-27 2020-12-09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
CN106216722A (zh) * 2016-08-31 2016-12-14 石凤武 新型切断刀及其加工方法
US10926337B2 (en) * 2016-11-07 2021-02-23 Sumitomo Electric Hardmetal Corp. Cutting-off processing tool
CN106735358B (zh) * 2016-12-30 2019-03-15 石凤武 一种机夹切断刀及其加工方法
US11583933B1 (en) * 2017-01-19 2023-02-21 Consolidated Nuclear Security, LLC Shaped cutting tool and method of use to efficiently form a finished part
JP7116730B2 (ja) * 2017-08-23 2022-08-10 京セラ株式会社 インサート
EP3450063A1 (en) * 2017-08-30 2019-03-06 Tungaloy Corporation Cutting tool
EP3450064A1 (en) * 2017-08-30 2019-03-06 Tungaloy Corporation Cutting tool
CN108487367A (zh) * 2018-04-20 2018-09-04 德清爱得机械有限公司 一种平地机和推土机及犁雪机用刀头
EP3785830A1 (en) * 2019-08-30 2021-03-03 Walter Ag Cutting insert for parting off a metal work piece
CN114260513B (zh) * 2022-01-25 2022-11-22 深圳市誉和光学精密刀具有限公司 一种刀具制备方法及刀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98422C (de) * 1927-11-04 1930-05-22 Fried Krupp Akt Ges Schneidstahl zum Abstechen und zum Einschneiden von schmalen Nuten
SE377771B (ko) * 1971-07-07 1975-07-28 Sandvik Ab
SE454060B (sv) * 1986-08-15 1988-03-28 Sandvik Ab Spanavskiljande verktyg
US5839856A (en) * 1993-06-03 1998-11-24 Widia Gmbh Boring tool
SE505526C2 (sv) * 1994-11-08 1997-09-15 Sandvik Ab Avsticksskä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14259A1 (en) 2001-08-16
JP2001212704A (ja) 2001-08-07
EP1123765A1 (en) 200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2020A (ko) 스로어웨이 팁
KR100794092B1 (ko) 고 이송 정면 밀링을 위한 절삭 인서트
KR100824345B1 (ko) 스로-어웨이 팁
JP5438771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EP1075889B2 (en) Rotary cutting tool with indexable insert
US7909545B2 (en) Ballnose end mill
KR101184162B1 (ko) 레이디어스 커터용 스로우 어웨이 팁, 및 이것을 장착한 스로우 어웨이식 레이디어스 커터
JP4704495B2 (ja) タービン翼接続用溝の切削加工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クリスマスカッタ
KR100484469B1 (ko) 절삭 공구 및 절삭 공구용 인덱스 가능 삽입체
JP2009056559A (ja) ボールエンドミル
JPH08276311A (ja) スパイラルエンドミ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819019A (zh) 钻头
CN111822765A (zh) 切削刀片
JP2007075993A (ja) ラジアスカッタ、特にボールカッタまたは環状カッタ
JP2002254216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切削工具
JP3754270B2 (ja) テーパ刃エンドミル
CN217596002U (zh) 插铣刀
CN218656969U (zh) 钻孔工具
CN219310172U (zh) 一种用于加工狭小孔槽端部毛刺的偏心t刀
CN216575731U (zh) 一种三刃圆鼻刀
JP4336183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切削工具
CN211331527U (zh) 一种刀头结构及切削刀具
CN215615397U (zh) 一种加工精度高的圆鼻铣刀
CN215615396U (zh) 一种能够一刀成型的球头式成型钻头
JP2004314258A (ja) スローアウェイ式穴明け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