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9725A - 전기음향 악기 - Google Patents

전기음향 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9725A
KR20010079725A KR1020017002741A KR20017002741A KR20010079725A KR 20010079725 A KR20010079725 A KR 20010079725A KR 1020017002741 A KR1020017002741 A KR 1020017002741A KR 20017002741 A KR20017002741 A KR 20017002741A KR 20010079725 A KR20010079725 A KR 20010079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mony
acoustic
board
sou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크 샤르보노
빠트리스 모르샹
삐에르 삐깔뤼가
끌로드-아니 페리숑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피카-사운드 인터네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피카-사운드 인터네셔널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79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72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2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음향 변환기 또는 진동 발생기에 의해 여기된 하나 이상의 음향 보드를 사용하여 악기의 음향 재생과 유사한 음향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전기음향 장치에 의해 기술되고, 상기 전기음향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전기음향 변환기(6)에 의해 여기된 악기의 기계적 특성으로 구성되며, 신뢰성 있게 음향의 재생을 제공하고, 모든 시청각 분야 및 음향 분야에 유용하다.

Description

전기음향 악기{ELECTRO-ACOUSTIC MUSICAL INSTRUMENT}
전기음향 변환기의 음향을 증폭시키기 위해 강성 음향 홈스(homs)를 사용한다. 음향은 충격 또는 탄성 변형 의해 작동되는 재료 변형에 의해 발생되고 또한 음향실은 벽의 공명을 방지하므로, 모순이 발생되고, 따라서 무용 음향(dead sound)이 형성된다.
음향 재생 분야에서 음향실의 와류성 음향을 제거하기 위해 전기음향 변환기가 통상적으로 이용된다.
도 1 및 도 2 는 각각 정면도 및 측면도.
*부호 설명
1...하모니 보드 2...인장 장치
3,4...고정점 5...브리지
6...여기 장치 8...체적
하나 이상의 음향 변환기, 음향실 또는 진동 발생기에 의해 여기된 하나 이상의 하모니 보드(harmony board)를 사용함으로써 방법은 악기와 유사하다. 하모니 보드는 음향 송신기로 구성된다. 하모니 보드는 하모니 보드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인장 장치에 의해 음향 감도를 증가시키도록 인장된다. 상기 인장은 모든 악기와 마찬가지로 음향 역학을 제공하고, 인장의 조절은 상이한 음질 및 음조를 제공한다. 하모니 보드는 비교적 작게 구성될 수 있고, 수㎝로부터 수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전기 모터, 음악 스코어(score)를 실행하는 전기음향 변환기에 의해 여기된 음향 증폭기의 사용을 특징으로 한다. 공진으로 인한 다양한 탄성 변형으로 인해, 하모니 보드는 여기 장치(exciting device)에 의해 제공된 각 음향 성분을 증폭 및 소산시킨다. 따라서, 음향 메시지(message)의 유효성은 재료의 고유 진동에 의해 복원되고, 상기는 임의의 음향 송신에 대한 기본 원리이다.
음향 재생 전기음향 장치에 의해 방법(도 1 및 도 2)이 기술된다. 장치는 챔버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전기음향 변환기 또는 진동 발생기에 의해 여기된 악기의 기계적 특징으로 구성된다.
하모니 보드(1)는 2개 이상의 고정점(3,4)에 고정된 코드(cord)로 제작되는 하나 이상의 인장 장치(2)에 의해 인장된다. 하나 이상의 지지부, 상기 경우에는 브리지(bridge)(5)를 추가 구성함으로써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브리지(5)는 인장 상호작용을 증가시킨다. 전기음향 변환기인 인장 장치(6)는 하모니 보드와 일체구조로 구성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점(3)의 높이에서 하모니 보드의 배면에 접착되어 견고하게 구성된다. 전기음향 변환기는 초기에 전기 오디오 신호가 공급(7)됨으로써 음향 노트(note)를 송신하고, 동시에 기계적인 음향 여기 장치로 구성된다. 하모니 보드는 상기 기계적 진동에 반응하고, 다음에 전기음향 변환기의 기계적 진동에 의해 여기된 음향 송신기로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방법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이다.
상기 장치의 변형은 하모니 보드에 접착된 스트립(strip)이고, 상기 하모니 보드는 체적(8)을 제한하여, 추가 음향 기교에 의해 형성된 결과에 추가되는 공진 체적을 형성한다. 하모니 보드에 하나 이상의 공진 체적이 추가되는 것은 전기음향 악기를 완성하는 다른 음향 성분을 발생시킨다. 장치의 다른 변형은 예를 들어 폴딩(folding)에 의해 인장되는 재료면이다.
하모니 보드는 음량의 변화 또는 재료 두께에 의해 상이한 탄성 변화에서 연주되도록 천공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실시될 때, 장치 및 방법은 음향 재생의 유효성을 제공할 수 있고, 시청각 분야 및 음향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음향 재생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모니 보드로 제작된 음향 증폭기가 사용되고, 상기 하모니 보드는 하나 이상의 전기음향 변환기에 의해 기계적으로 여기된 음향 송신기로서 구성되며, 동시에 기계적 음향 여기 장치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음향 변환기는 음향 챔버 또는 진동 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음향 재생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전기음향 변환기가 조립되고, 상기 전기음향 변환기는 하나 이상의 하모니 보드를 기계적으로 여기시키도록 하모니 보드와 일체구조로 장착되며, 전기음향 변환기에 전기 오디오 신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하모니 보드의 인장은 하나 이상의 인장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지부 또는 브리지는 인장 상호작용을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인장은 폴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공진 체적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17002741A 1998-09-02 1999-08-13 전기음향 악기 KR200100797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11114 1998-09-02
FR9811114A FR2782830A1 (fr) 1998-09-02 1998-09-02 Instrument de musique electro-acoustique
PCT/FR1999/001986 WO2000014720A1 (fr) 1998-09-02 1999-08-13 Instrument de musique electro-acoust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725A true KR20010079725A (ko) 2001-08-22

Family

ID=953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741A KR20010079725A (ko) 1998-09-02 1999-08-13 전기음향 악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110202A1 (ko)
JP (1) JP2002524951A (ko)
KR (1) KR20010079725A (ko)
CN (1) CN1319222A (ko)
AU (1) AU5172499A (ko)
BR (1) BR9913423A (ko)
CA (1) CA2341602A1 (ko)
FR (1) FR2782830A1 (ko)
IL (1) IL141754A0 (ko)
NO (1) NO20011100L (ko)
WO (1) WO2000014720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3892A (en) * 1929-06-13 1933-01-10 Jr John Hays Hammond Piano with reaction loud speaker
US5031501A (en) * 1990-03-19 1991-07-16 Ashworth William J Method for attaching an audio transducer to a string musical instrument
JP3321792B2 (ja) * 1995-11-10 2002-09-09 新潟弦楽器有限会社 プレー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24951A (ja) 2002-08-06
NO20011100L (no) 2001-04-30
WO2000014720A1 (fr) 2000-03-16
AU5172499A (en) 2000-03-27
BR9913423A (pt) 2001-05-22
CN1319222A (zh) 2001-10-24
EP1110202A1 (fr) 2001-06-27
IL141754A0 (en) 2002-03-10
NO20011100D0 (no) 2001-03-02
CA2341602A1 (fr) 2000-03-16
FR2782830A1 (fr) 200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nklin Jr Generation of partials due to nonlinear mixing in a stringed instrument
US7432428B2 (en)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US7932457B2 (en) Accelerated aging process for acoustic stringed instruments
KR20080052450A (ko) 악음장치(樂音裝置)
JP2008292739A (ja) 響板付き鍵盤楽器
WO2001091103A3 (de) Instrument und verfahren zum erzeugen von klängen
US10777181B2 (en) Modulated electromagnetic musical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Boullosa Vibration measurements in the classical guitar
JP7098219B1 (ja) 弦楽器励振装置および弦楽器励振システム
US7459615B2 (en) Musical ton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 altering musical tone apparatus
US36848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ying vibrations produced from musical instruments
JP4327734B2 (ja) 音響システム
KR20010079725A (ko) 전기음향 악기
JPH09247779A (ja) 加振装置及び音響装置
JP4776465B2 (ja) 自動ヴァイオリン
JP2009171113A (ja) 可変振動特性音響装置
US11176916B2 (en) Keyboard device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6031164A (en) Mute acoust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having damping bridge
JP2008175866A (ja) 楽音装置及び楽音装置の生産方法
JP2008292738A (ja) 電子鍵盤楽器
JPS6031342Y2 (ja) スピ−カ−付弦楽器
RU2744773C1 (ru) Акус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лучения поперечной звуковой волны в газовой среде
JP4528280B2 (ja) 楽音装置及び楽音制御方法。
WO2023047787A1 (ja) 楽器
JP2008009236A (ja) 楽音装置及び楽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