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8220A - 신규한 실리콘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 Google Patents

신규한 실리콘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8220A
KR20010078220A KR1020010004658A KR20010004658A KR20010078220A KR 20010078220 A KR20010078220 A KR 20010078220A KR 1020010004658 A KR1020010004658 A KR 1020010004658A KR 20010004658 A KR20010004658 A KR 20010004658A KR 20010078220 A KR20010078220 A KR 20010078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group
acid
cosmetic according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4559B1 (ko
Inventor
데쯔오 나까니시
이찌로 오노
도루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카나가와 치히로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나가와 치히로,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카나가와 치히로
Publication of KR20010078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System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3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n alkoxy or aryloxy group, e.g. behenoxy dimethicone or stearoxy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38Polysiloxan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C08G77/5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by carbon linkages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테르화 촉매가 불필요하고, 반응률이 높으며, 따라서 미반응물이 적은 경제적인 제조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특정한 변성 실리콘 및 이 실리콘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부에 대한 부착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화장 지속력이 좋고 유화성이 우수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식 중, R1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불소 치환 알킬기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사닐실릴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이고, R2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잔기이고, R3은 탄소수 2 내지 30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a는 1.0 내지 2.5이고, b는 0.001 내지 1.5이다.

Description

신규한 실리콘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Novel Silicone Compounds and Cosmetic Materia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스테르화 촉매가 불필요하고, 반응률이 높으며, 따라서 미반응물이 적은 경제적인 제조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특정한 변성 실리콘 및 이 실리콘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부에 대한 부착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화장 지속력이 좋고 유화성이 우수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땀이나 눈물 및 피지 등, 사람에게서 나오는 분비물은 화장을 지우는 원인이 되는데, 특히 메이크업에 있어서는 화장료가 배합되어 있는 유제에 피부에서 분비되는 피지가 첨가되어, 과도하게 화장료 분체를 습윤화시키는 것이 화장을 지우는 큰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피부상에 남는 화장료 중의 유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배합되는 유제의 일부로서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이나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등의 휘발성 유제를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마찰이나 물 등도 화장 지속력을 악화시키는 외적 요인이 된다. 따라서, 땀이나 눈물 등의 수용성 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화장 지속력 악화를 개량하기 위하여, 또는 피부 중의 수용성 성분이나 피지 등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피부보호 효과를 지속시킬 목적으로 실리콘유를 배합하여 휘발성을 높이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 대표되는 실리콘유는 가벼운 감촉, 우수한 발수성 및 높은 안전성 등의 특징을 갖기 때문에, 최근 화장료에 사용하는 유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디메틸폴리실록산은 화장료 유제로서 우수한 특성을 갖기는 하지만, 메이크업 화장료에 대해서는 발수성 및 피부 부착성이 충분히 개선되었다고는 할 수 없었다.
또한, 스킨 케어 화장료에 있어서도, 가벼운 감촉에 발수성이 좋고, 사용성이 양호하며 피부와의 부착성을 감소시키는 유제가 요구되고 있었다.
종래부터 메이크업 화장료에 있어서 부착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소나무류 수지로부터 정제한 로진 또는 로진에스테르 등의 수지류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들은 실리콘유에 대한 용해성이 나쁘고, 실리콘을 기재로 한 화장료에 대한 배합이 곤란하였다.
예를 들어, 특허 2610496호 공보, 2665799호 공보 및 2750748호 공보에는 로진 중에 약 60 % 정도 포함되는 아비에트산의 수소 첨가물 실리콘 유도체를 이용한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 발명에서 사용된 테트라히드로아비에트산 변성 실리콘은 1) 알코올 변성 실리콘과 테트라히드로아비에트산 또는 테트라히드로아비에트산 클로라이드와의 반응, 또는 2) 테트라히드로아비에트산과 알릴폴리옥시에틸렌알코올과의 에스테르와 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의 부가 반응에 의해 합성되는데, 테트라히드로아비에트산 클로라이드의 합성 단계, 테트라히드로아비에트산과 알코올 변성 실리콘 또는 알릴폴리옥시에틸렌알코올과의 반응 단계는 모두 산성 조건하에서의 반응이며, 아비에트산 등의 불포화 삼환식 디테르펜카르복실산을 많이 포함하는 수지산을 사용하는 경우, 중합이 진행되어 과도하게 착색되고, 동시에 알코올 불용성이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반응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허와 같이 미리 수소 첨가 반응을 행하여 포화 수지산으로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성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응 후에 물 세정 등의 후공정이 필요하여 경제적인 합성법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따라서, 산성 촉매를 사용하지 않는 반응에 의해, 불포화 삼환식 디테르펜카르복실산인 로진 등을 직접 반응에 사용하여 아비에트산 변성 실리콘을 간단하고 저렴하게 합성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탄소수 2 내지 30의 포화 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과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과의 가열 반응에 의해 종래 처방과 비교하여 간단하고 저렴하게 실리콘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방법으로 얻어지는 변성 실리콘은 알코올 불용물을 생성하지 않고, 착색도 적은데다가 산성 촉매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이 변성 실리콘을 이용한 화장료는 발수성 및 부착성이 매우 우수함과 동시에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및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등의 휘발성 유제에 용해되는 것으로 화장료용 유제로서의 사용성이 양호하고, 나아가 이들을 이용한 화장료가 종래의 수지류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감촉이가볍다. 또한, 이 실리콘 화합물을 유화계 유제로서 사용하면 실리콘유, 에스테르유, 트리글리세라이드 등, 일반적인 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는 유제와 우수한 상용성을 가지며, 그 유화물의 시간에 따른 안정성이 양호하여 화장 용도로 매우 유효하다.
본 발명의 주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이다.
<화학식 1>
식 중, R1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불소 치환 알킬기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사닐실릴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이고, R2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잔기이고, R3은 탄소수 2 내지 30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a는 1.0 내지 2.5이고, b는 0.001 내지 1.5이다.
<화학식 2>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상기 R3이 삼환식 디테르펜카르복실산 잔기인 상기실리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상기 R1의 적어도 일부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사닐실릴알킬기인 상기 실리콘 화합물이다.
식 중, R4는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고,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불소 치환 알킬기 및 수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이고, c는 1 내지 5, d는 0 내지 500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상기한 실리콘 화합물 0.1 내지 99.5 중량%와 유제 0.5 내지 99.9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이 화장료를 적어도 그 일부로서 포함하는 스킨 케어 제품, 두발 제품, 발한 억제 제품, 메이크업 제품 또는 자외선 방어 제품이며, 이들의 형태는 액상, 유액상, 크림상, 고형상, 페이스트상, 겔상, 분말상, 다층상, 무스형 또는 스프레이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이 주쇄인 실록산과 비닐 지환식 에폭시드와의 부가 반응으로 지환식 에폭시 변성 실리콘을 합성하고, 여기에 포화 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더 반응시키는 상기에 기재된 것 중 어느 하나의 실리콘 화합물의 제법이다.
<발명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a) 실리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식 중, a는 1.0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3이고, b는 0.001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이다. 또한, R1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불소 치환 알킬기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사닐실릴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이다.
<화학식 1>
R1로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등의 알킬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톨릴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페네틸기 등의 아랄킬기, 올레일옥시기, 아릴옥시기 등의 알코올 잔기,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기 등의 불소 치환 알킬기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사닐실릴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
R1중 약 80 % 이상이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1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사닐실릴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중, R4는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고,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및 불소 치환 알킬기 및 수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서, c는 1 내지 5이고, 특히 이 치환기를 비닐기와 SiH기와의 반응으로부터 합성하는 경우, c는 2이다. 또한, d는 0 내지 500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이다. d가 500보다 크면 주쇄와의 반응성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a) 실리콘 화합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 또는 알칼리 촉매를 이용한 평형화 반응에 의해 합성된다. 또한, 이 실리콘 화합물 중의 분지 실리콘 단위는 트리알콕시메틸실란, 트리히드록시메틸실란,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란 및 이들의 직쇄상 또는 환상의 다량체를 평형화 반응에 사용함으로써 도입하거나, 또는 실란올 변성 실리콘을 사용하여 리빙 중합 촉매에 따른 개환 중합을 행하여 분지시킬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로 분지된 실리콘은,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과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한쪽 말단 비닐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또는 비닐 변성 오르가노실란과의 부가 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R2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잔기이다.
<화학식 2>
식 중, R3은 탄소수 2 내지 30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며,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부티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멜리스산 (mellissic acid), 팔미톨레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레산, 아라키돈산, 에루신산 (erucic acid), 2-에틸헥산산, 2-헥실데칸산, 2-헵틸운데칸산, 5,7,7-트리메틸-2-(1,3,3-트리메틸부틸)옥탄산, 메틸 분지 이소스테아르산, 시클로펜탄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콜산, 데옥시콜산, 글리틸리신산, 벤조산, 나프토산, 운데실렌산 또는 삼환식 디테르펜카르복실산 등의 수지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삼환식 디테르펜카르복실산, 상온에서 고체인 운데실렌산, 스테아르산 또는 에루크산의 수지산 잔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삼환식 디테르펜카르복실산의 수지산 잔기이다. 또한, 삼환식 디테르펜카르복실산의 수지산 잔기로서는 특히 로진 또는 수소 첨가 로진의 수지산 잔기가 바람직하고, 또한 아비에트산, 네오아비에트산, 디히드로아비에트산, d-피마르산, 이소 d-피마르산, 데히드로아비에트산, 레보피마르산, 팔루스트르산 (palustric acid), 덱스트로피마르산, 산다라코피마르산 및 이들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카르복실산 잔기일 수 있다.
화장료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의 a) 실리콘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0 내지 200000, 특히 1000 내지 100000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화학식 1의 a) 실리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이 주쇄인 실록산과 비닐 지환식 에폭시와의 부가 반응으로 지환식 에폭시 변성 실리콘을 합성하고, 또한 하기 반응식 2에 따라 포화 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특히 삼환식 디테르펜카르복실산 (반응식 중, X-COOH라고 약칭함)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삼환식 디테르펜카르복실산으로서 로진 및 수소 첨가 로진이 바람직하고, 또한 아비에트산, 네오아비에트산, 디히드로아비에트산, d-피마르산, 이소 d-피마르산, 데히드로아비에트산, 레보피마르산, 팔루스트르산, 덱스트로피마르산, 산다라코피마르산 및 이들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카르복실산일 수도 있다.
하이드로젠실리콘 화합물과 한쪽 말단 비닐실리콘 화합물 또는 비닐 지환식 에폭시드와의 부가 반응은 백금 촉매 또는 로듐 촉매의 존재하에서 부가 반응시킴으로써 쉽게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지환식 에폭시 변성 실리콘과 카르복실산과의 반응은 촉매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가열만으로 반응을 완결할 수 있다.
또한, 별법으로서 미리 비닐 지환식 에폭시드와 삼환식 디테르펜카르복실산 을 반응시킨 후, 하이드로젠실리콘 화합물과의 부가 반응을 행하여 생성물을 얻을 수도 있다.
이들 반응에 있어서, 산성 촉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포화 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특히 삼환식 디테르펜카르복실산 중합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은 직쇄상 또는 환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화학식 3으로 분지된 것일 수도 있다. 이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과 비닐 지환식 에폭시드의 혼합 비율은 SiH기에 대한 말단 불포화기의 몰비로 나타내면 0.5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이다.
또한, 상기 부가 반응은 백금 촉매 또는 로듐 촉매의 존재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염화 백금산, 알코올 변성 염화 백금산, 염화 백금산 -비닐실록산 착체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촉매의 사용량은 촉매량으로 할 수 있지만, 특히 백금 또는 로듐량으로 5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ppm 이하이다. 상기 부가 반응은 필요에 따라 유기 용제 중에서 행할 수 있으며,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지방족 알코올,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n-펜탄, n-헥산,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부가 반응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환류하에서 1 내지 10시간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폭시기와 카르복실산과의 반응은 유기 용매 중에서 60 내지 200 ℃로 가열함으로써 간단히 완결된다. 촉매로서 반응을 촉진하기 위하여 산성 촉매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과 같이 지환식 에폭시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촉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유기 용매로서는 특히 비점이 높은 톨루엔이나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이 반응은 환류하에 1 내지 20시간 반응시키는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중 a) 실리콘 화합물 (화학식 1)의 함유율은 0.1 내지 99.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60 중량%이다. 이 함유율이 0.1 중량% 미만에서는 부착성이 부족하고, 60 중량%를 넘으면 원하는 화장료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b) 유제로서는 하기의 것이 예시된다.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오일류로서, 아보카도유 (avocado oil), 아마인유, 아몬드유, 백납 (bleached bees wax), 들기름, 올리브유, 카카오지 (cacao butter), 케이폭납 (kapok wax), 카야유, 카르나우바납, 간유, 칸데릴라납 (candelilla), 우지, 우각지 (neat's-foot oil), 우골지, 경화 우지, 살구씨유, 경납 (spermaceti), 경화유, 소맥 배아유, 참기름, 쌀 배아유, 쌀겨유, 사탕수수납, 산다화유, 사플로워유 (saffloer oil), 쉐어버터 (shea butter), 시나기리유, 신나몬유, 호호바납 (jojoba wax), 셀락납, 터틀유, 대두유, 차실유, 엉겅퀴유, 달맞이꽃유, 옥수수유, 돼지 기름, 유채씨유, 일본 오동나무유, 겨 기름, 배아유, 마지(馬脂), 퍼식유, 팜유, 팜 핵유, 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해바라기유, 포도유, 베이베리납 (bayberry wax), 호호바유 (jojoba oil), 마카데미아 넛 오일 (macademia nut oil), 밀납, 밍크유 (mink oil), 면실유, 면납, 목납, 목납 핵유, 몬탄납, 야자유, 경화 야자유, 트리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양지, 낙화생유, 라놀린, 액상 라놀린, 환원 라놀린, 라놀린 알코올, 경질 라놀린, 아세트산 라놀린,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POE 라놀린 알코올에테르,POE 라놀린알코올아세테이트,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 첨가 라놀린 알코올에테르, 난황유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 종류로서는 오조케라이트 (ozokerite), 스쿠알란, 세레신, 파라핀, 파라핀 왁스, 유동 파라핀, 프리스탄 (pristane), 폴리이소부틸렌, 마이크로크리스탈링 왁스, 바세린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류로서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behenic acid), 운데실렌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헥사엔산, 이소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류로서는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팔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헥사데실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헥실도데칸올, 옥틸도데칸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신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 알코올), 모노올레일글리세린에테르 (세라킬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유 종류로서는 아디프산 디이소부틸, 아디프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디-2-헵틸운데실,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리콜,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세틸,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디-2-에틸헥산산 에틸렌글리콜, 디-2-에틸헥산산 네오펜틸글리콜, 2-에틸헥산산 세틸, 트리-2-에틸헥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트리톨, 옥탄산 세틸, 옥틸도데실검에스테르, 올레산 올레일, 올레산 옥틸도데실, 올레산 데실, 디카프르산 네오펜틸글리콜, 시트르산트리에틸, 숙신산 2-에틸헥실, 아세트산 아밀,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스테아르산 부틸, 세바신산 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 디-2-에틸헥실, 젖산 세틸, 젖산 미리스틸,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팔미트산 2-에틸헥실, 팔미트산 2-헥실데실, 팔미트산 2-헵틸운데실,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 2-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 2-헥실데실, 미리스트산 미리스틸,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라우르산 에틸, 라우르산 헥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덱스트린팔미트산 에스테르, 덱스트린스테아르산 에스테르, 덱스트린 2-에틸헥산산 팔미트산 에스테르, 자당 팔미트산 에스테르,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모노벤질리덴소르비톨, 디벤질리덴소르비톨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세라이드유 종류로서는 아세토글리세릴, 디이소옥탄산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트산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릴, 디-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릴, 트리미리스트산 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 종류로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하이드로젠시클로테트라실록산, 스테아록시실리콘 등의 고급 알콕시 변성 실리콘, 고급 지방산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오일류로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데카린, 퍼플루오로옥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제 일부 또는 전부는 상온에서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유제 일부 또는 전부가 휘발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실리콘유 및(또는) 분자 골격에 -[O-Si-]n-의 반복 구조를 포함하는 유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유제 일부 또는 전부가 불소기 또는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중 b) 유제의 함유율은 0.5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95.0 중량%이다. 0.5 중량% 미만에서는 b) 유제의 효과가 발휘되지 않고, 95.0 중량%를 넘으면 본 발명의 a) 실리콘 화합물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c) 분자 구조 중에 알코올성 수산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서는 에탄올, 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자당, 젖당, 크실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멀티톨, 카라기난, 한천, 구아검, 덱스트린, 트라가간트 검 (tragacanth gum), 로커스트 빈 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 황산, 키틴, 키토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a) 실리콘 화합물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용해할 수 있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c) 알코올성 수산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수용성이고,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또는 수용성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중 c) 알코올성 수산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함유율은 0 내지 50.0 중량%이다. 0.5 중량% 이하에서는 유제의 효과인 보습성, 방균, 먼지 부착 방지성 등이 불충분한 경우도 있으므로, 0.5 내지 50.0 중량%가 바람직하다. 50.0 중량%를 넘으면 끈적임 등이 증대하여 화장료로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구성 성분으로서 d) 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중의 화장료 중 물 함유율은 0 내지 99.0 중량%이고, 화장료 형태에 따라 증감하여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기 구성 성분, 즉 a)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 b) 유제, c) 알코올성 수산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d) 물만으로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이하의 성분 e) 분체 및(또는) 착색제, f) 계면 활성제, g)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h) 아크릴/실리콘 그래프트 또는 블럭 공중합체나 실리콘 망상 화합물 등의 실리콘 수지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e) 분체 및(또는) 착색제
무기 분체로서 산화 티탄, 산화 지르코늄, 산화 아연, 산화 셀륨, 산화 마그네슘, 황산 바륨, 황산 칼슘, 황산 마그네슘,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활석, 운모, 카올린, 세리사이트, 백운모, 합성 운모, 금색 운모, 홍색 운모, 흑운모, 리티아 운모, 규산, 무수 규산, 규산 알루미늄, 규산 마그네슘, 규산 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 칼슘, 규산 바륨, 규산 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버미큘라이트 (vermiculite), 하이질라이트,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제올라이트, 세라믹 분체, 제2 인산 칼슘, 알루미나, 수산화 알루미늄, 질화 붕소, 질화보론,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 폴리아미드 분체, 폴리에스테르 분체, 폴리에틸렌 분체, 폴리프로필렌 분체, 폴리스티렌 분체, 폴리우레탄, 벤조구아나민 분체, 폴리메틸벤조구아테민 분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분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체, 셀룰로오스, 실크 분체, 나일론 분체, 12 나일론, 6 나일론,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디비닐벤젠, 스티렌 공중합체, 비닐 수지, 요소 수지, 페놀 수지, 불소 수지, 규소 수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미결정 섬유 분체, 전분, 라우로일 리신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 금속염 분체 (금속 비누)로서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알루미늄,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리스트산 아연, 미리스트산 마그네슘, 세틸인산 아연, 세틸인산 칼슘, 세틸인산 아연나트륨을 들 수 있다. 유색 안료로서 산화 철, 수산화 철, 티탄산 철의 무기 적색 안료, γ-산화 철 등의 무기 갈색계 안료, 황산화 철, 황토 등의 무기 황색계 안료, 흑산화 철, 카본 블랙 등의 무기 흑색 안료, 망간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의 무기 자색 안료, 수산화 크롬, 산화 크롬, 산화 코발트, 티탄산 코발트 등의 무기 녹색 안료, 감청, 군청 등의 무기 청색계 안료, 타르계 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천연 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및 이들의 분체를 복합화한 복합 분체 등을 들 수 있다. 펄 안료로서 산화 티탄 피복 운모, 옥시염화 비스무트, 산화 티탄 피복 옥시염화 비스무트, 산화 티탄 피복 활석, 어린박 (argentine), 산화 티탄 피복 착색 운모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분말 안료로서 알루미늄 분체, 카퍼 분체, 스테인레스 분체 등을 들 수 있다. 타르 색소로서는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적색 228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황색 204호, 황색 401호, 청색 1호, 청색 2호, 청색 201호, 청색 404호, 녹색 3호, 녹색 201호, 녹색 204호, 녹색 205호, 오렌지색 201호, 오렌지색 203호, 오렌지색 204호, 오렌지색 206호, 오렌지색 207호 등; 천연 색소로서는 카르민산, 라카인산, 카르사민, 브라질린, 크로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되는 것이면, 그 형상 (구형, 바늘형, 판형 등)이나 입자 직경 (연무형, 미립자, 안료급 등), 입자 구조 (다공질, 무공질 등)를 불문하고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 e) 분체 및(또는) 착색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리콘 수지 및(또는) 실리콘 에스트리머를 골격으로 하는 분체 및(또는) 분자 골격에 -[O-Si-]n-의 반복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유기 분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분체들을 복합화 및(또는) 유제나 실리콘, 또는 불소 화합물로 표면 처리할 수도 있다.
f) 계면 활성제
음이온 활성제로서 스테아르산 나트륨, 올레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비누,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및 그의 염, 아미노산과 지방산의 축합 등의 카르복실산염, 아미드에테르카르복실산염, α-술포지방산 에스테르염,α-아실술폰산, 알킬술폰산, 알켄술폰산염, 지방산 에스테르의 술폰산염, 지방산 아미드의 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과 그의 포르말린 축합물의 술폰산염,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2급 고급 알코올 황산 에스테르염, 알킬 및 알릴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지방산 에스테르의 황산 에스테르염, 지방산 알킬올아미드의 황산 에스테르염, 터키 레드 오일 등의 황산 에스테르염류, 알킬인산염, 알케닐인산염, 에테르인산염, 알킬알릴에테르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N-아실아미노산계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활성제로서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및 아미노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등의 아민염, 알킬 4급 암모늄염, 방향족 4급 암모늄염, 피리듐염, 이미다졸륨염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탄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탄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플루오로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오르가노폴리실록산 블럭 공중합체, 알칸올아미드, 당 에테르, 당 아미드 등을 들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 베타인, 아미노카르복실산염, 이미다졸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 계면 활성제는 분자 중에 폴리옥시알킬렌쇄를 포함하는 변성 실리콘이 바람직하고, 또한 이 계면 활성제의 HLB (친수성 친유성 균형)는 2 내지 8이 바람직하다.
g)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이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0.65 cs 내지 10.0 cs의 저점도 실리콘에 대하여 자체 중량 이상의 저점도 실리콘을 포함하여 팽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가교제는 분자 중에 두개 이상의 비닐성 반응 부위를 포함하고, 동시에 규소 원자에 직접 결합한 수소 원자와의 사이에서 반응함으로써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알킬 부분, 알케닐 부분, 아릴 부분 및 플루오로알킬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가교 분자 중에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 아크릴/실리콘 그래프트 또는 블럭 공중합체나 실리콘 망상 화합물 등의 실리콘 수지
이 실리콘 수지는 아크릴 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리콘 수지는 피롤리돈 부분, 장쇄 알킬 부분,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및 플루오로알킬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분자 중에 함유하는 아크릴 실리콘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리콘 수지는 실리콘 망상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화장료의 구체적인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스킨 케어 제품, 두발 제품, 발한 억제 제품, 메이크업 제품, 자외선 방어 제품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제품 형태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상, 유액상, 크림상, 고형상, 페이스트상, 겔상, 분말상, 다층상, 무스형, 스프레이형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이하에 기재하는 "%"는 "중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 (실리콘 화합물의 합성)
반응기에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 733 중량부와, 이소프로필알코올 1,000 중량부를 넣고, 염화 백금산 0.5 중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 용액 2부를 첨가하고, 4-비닐-1-시클로헥산 1,2-에폭시드 70 중량부를 적하하면서 용제 환류하에 6시간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물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과잉량의 4-비닐-1-시클로헥산 1,2-에폭시드와 용제를 증류 제거하고, 크실렌 1000 중량부로 치환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로진 (카르복시 당량 330 g/몰) 165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제 환류하에 10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고 생성물을 얻었다. 이 생성물은 담갈색의 투명한 액상이고, 점도는 215 cs (25 ℃), 비중은 1.013 (25 ℃)이었다.
실시예 2 (실리콘 화합물의 합성)
반응기에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 768 중량부와, 이소프로필알코올 1,000 중량부를 넣고, 염화 백금산 0.5 중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 용액 2부를 첨가하고, 4-비닐-1-시클로헥산 1,2-에폭시드 140 중량부를 적하하면서 용제 환류하에 6시간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물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과잉량의 4-비닐-1-시클로헥산 1,2-에폭시드와 용제를 증류 제거하고, 크실렌 1000 중량부로 치환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로진 (카르복시 당량 330 g/몰) 330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제 환류하에 10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고 생성물을 얻었다. 이 생성물은 담갈색의 투명한 액상이고, 점도는 6000 cs (25 ℃), 비중은 0.987 (25 ℃)이었다.
실시예 3 (실리콘 화합물의 합성)
반응기에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 300 중량부와, 이소프로필알코올 1,000 중량부를 넣고, 염화 백금산 0.5 중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 용액 2부를 첨가하고, 4-비닐-1-시클로헥산 1,2-에폭시드 170 중량부를 적하하면서 용제 환류하에 6시간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물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과잉량의 4-비닐-1-시클로헥산 1,2-에폭시드와 용제를 증류 제거하고, 크실렌으로 치환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로진 (카르복시 당량 330 g/몰) 413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제 환류하에 10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여 점조한 갈색 투명한 고체를 얻었다.
실시예 4 (실리콘 화합물의 합성)
반응기에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 300 중량부와 톨루엔 1000 중량부를 넣고, 염화 백금산 0.5 중량%의 톨루엔 용액 2 부를 첨가하고,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360 중량부를 적하하면서 용제 환류하에 6시간 반응시켰다. 또한, 4-비닐-1-시클로헥산 1,2-에폭시드 105 중량부를 적하하면서 용제 환류하에 6시간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물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과잉량의 4-비닐-1-시클로헥산 1,2-에폭시드와 용제를 증류 제거하고, 크실렌으로 치환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수소 첨가 로진 (카르복시 당량 320 g/몰) 240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제 환류하에 1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이 생성물은 담갈색의 투명한 액상이고, 점도는 575 cs (25 ℃), 비중은 0.984 (25 ℃)였다.
실시예 5 (아이라이너의 제조)
하기 처방을 하기 제법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아이라이너를 제조하였다.
처방 비율 (중량%)
(1) 밀납 5.0
(2) 세틸알코올 0.4
(3) 스테아르산 1.0
(4)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실리콘 화합물 2.0
(5) 세스키올레산 소르비탄 0.5
(6) 모노올레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0.9
(7) 레시틴 0.1
(8) 흑산화 철 11.0
(9) 산화 티탄 0.5
(10) 카올린 0.5
(11) 1,3-부틸렌글리콜 6.5
(12) 방부제 0.2
(13) 정제수 잔량
(14) 무수 규산 0.6
(15) 알칼리 증점형 폴리메타크릴산 중합체 에멀젼* 2.0
(16) 트리에탄올아민 1.1
(17) 실리콘아크릴 에멀젼** 12.0
*: 롬&버스사 제조의 로하키드 SD-15**: 신에쯔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의 X-52-2104
제법
공정 1: 성분(1) 내지 (10)을 가열하여 롤 밀로 혼합한다.
공정 2: 성분 (11) 내지 (16)을 혼합한다.
공정 3: 공정 1의 생성물을 80 ℃로 가열하고, 여기에 80 ℃로 가열한 공정 2의 생성물을 주입하여 유화한다.
공정 4: 공정 3의 생성물을 냉각한 후, 여기에 성분 (17)을 첨가한다.
얻어진 아이라이너는 부착성이 좋고, 화장 지속력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6 (립 크림의 제조)
하기 처방을 하기 제법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립 크림을 제조하였다.
처방 비율 (중량%)
(1) 폴리에틸렌 왁스 4.0
(2)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실리콘 화합물 8.0
(3) 바세린 37.0
(4) 전분 지방산 에스테르 7.0
(5)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40.0
(6) 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3.0
(7) 친수성 구형 무수 규산** 1.0
*: 신에쯔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KSG-16*: 아에로질 300 (닛본 아에로질 가부기끼 가이샤 제조)
제법
상기 성분을 혼합 용해 및 분산하고, 수지 접시에 용융 충전하여 립 크림을 얻었다.
얻어진 립 크림은 입술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고, 에몰리언트성 (emollient)이 지속되었다.
실시예 7 (마스카라 (방수형)의 제조)
하기 처방을 하기 제법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마스카라 (방수형)를 제조했다.
처방 비율 (중량%)
(1) 카르나우바납 5.0
(2) 마이크로크리스탈링 왁스 4.0
(3) 실리콘 수지 (MQ 수지) 3.0
(4)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실리콘 화합물 10.0
(5)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5.0
(6) 변성 점토 광물 2.0
(7) 탄산 프로필렌 0.6
(8) 무수 규산 1.0
(9) 안료 적량
(10) 경질 유동 파라핀 잔량
제법
성분 (1) 내지 (10)을 가온 용해하고, 3축 롤로 혼합 분산하여 마스카라를 얻었다.
얻어진 마스카라는 안정성이 양호하고 매끄럽게 펴지며 사용감이 우수했다.
실시예 8 (마스카라 (W/O형)의 제조)
하기 처방을 하기 제법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마스카라 (W/0형)를 제조하였다.
처방 비율 (중량%)
(1) 카르나우바납 4.0
(2) 비드 왁스 4.0
(3)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실리콘 화합물 2.0
(4) 베헤닐 알코올 1.5
(5) 아크릴 실리콘* 3.0
(6)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1.5
(7) 세스키올레산 소르비탄 2.0
(8) 모노올레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E.O.) 1.0
(9) 표면 처리 단결정 산화 티탄 2.0
(10) 퍼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에스테르 처리 흑색 산화 철 8.0
(11) 운모 6.0
(12) 정제수 잔량
(13) 수산화 나트륨 0.5
(14) 1,3-부틸렌글리콜 8.0
(15) 방부제 적량
(16) 폴리아크릴산 알킬 수분산 용액 30.0
(17) 나일론 분말 4.0
(18) 미용 성분 적량
(19) 향료 적량
*: 신에쯔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KP-545
제법
A: 성분 (1) 내지 (4)를 100 ℃에서 가열 용해하고, 성분 (5) 내지 (7)을 첨가하여 용해한다. 여기에 성분 (8) 내지 (10)을 첨가하고, 충분히 혼련시켜 분체를 분산시키고, 75 ℃로 한다.
B: 성분 (11) 내지 (17)을 혼합 용해하고, 75 ℃로 한다.
C: A에 B를 첨가하여 유화 혼합한다. 그 후, 탈포하여 냉각한 후, 성분 (18)을 첨가하여 마스카라를 얻었다.
얻어진 마스카라는 발색 및 속눈썹에 대한 부착성이 양호하고, 시간이 경과해도 화장 지속력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9 (유화형 파운데이션의 제조)
하기 처방을 하기 제법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유화형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처방 비율 (중량%)
유상부(1)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2) 실리콘화 셀룰로오스(3)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실리콘 화합물(4) 디이소옥탄산 네오펜틸글리콜(5) 스쿠알란(6) 트리이소옥탄산 글리세린 10.02.05.05.02.52.0
분체부(7) 실리콘 처리 활석(8) 실리콘 처리 이산화 티탄(9) 실리콘 처리 무수 규산(10) 실리콘 분체* (11) 실리콘 처리 착색 안료 7.012.02.04.02.0
수상부(12) 1,3-부틸렌글리콜(13) 에탄올(14) 정제수 10.07.0잔량
*: 신에쯔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KSP-100
제법
수상부를 교반한 후, 분체부를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처리하였다. 여기에 용해한 유상부를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처리하고, 냉각하여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유화형 파운데이션은 부착성이 우수하고, 화장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은 간단히 합성할 수 있고, 산성 촉매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점으로부터 안전성도 높고, 화장료에 배합하기에 적합한 재료이다. 이 실리콘 화합물을 배합한 화장료는 기름기가 없고, 부착성이 우수하며 화장 지속력도 매우 좋고, 또한 온도 및 시간이 지나도 변화없이 매우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다.

Claims (2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
    <화학식 1>
    식 중, R1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불소 치환 알킬기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사닐실릴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이고, R2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잔기이고, R3은 탄소수 2 내지 30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a는 1.0 내지 2.5이고, b는 0.001 내지 1.5이다.
    <화학식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3이 삼환식 디테르펜카르복실산 잔기인 실리콘 화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1의 적어도 일부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사닐실릴알킬기인 실리콘 화합물.
    <화학식 3>
    식 중, R4는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고,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불소 치환 알킬기 및 수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이고, c는 1 내지 5, d는 0 내지 500이다.
  4. a)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리콘 화합물 0.1 내지 99.5 중량%와 b) 유제 0.5 내지 99.9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유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온에서 액상인 화장료.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유제의 일부 또는 전부가 휘발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 및(또는) 분자 골격에 -[O-Si-]n-의 반복 구조를 포함하는 유제인 화장료.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유제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불소기 또는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8. 제4항에 있어서, c) 성분으로서 분자 구조 중에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을 50 중량% 이하로 더 포함하는 화장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분자 구조 중에 알코올성 수산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수용성이고,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또는 수용성 고분자인 화장료.
  10. 제4항에 있어서, d) 물을 99.0 중량% 이하로 더 포함하는 화장료.
  11. 제4항에 있어서, e) 분체 및(또는) 착색제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e) 분체 및(또는) 착색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실리콘 수지 및(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골격으로 하는 분체 및(또는) 분자 골격에 -[O-Si-]n-의 반복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유기 분말인 화장료.
  13. 제4항에 있어서, f) 계면 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f) 계면 활성제가 분자 중에 폴리옥시알킬렌쇄를 포함하는 변성 실리콘인 화장료.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f) 계면 활성제의 HLB가 2 내지 8인 화장료.
  16. 제4항에 있어서, g)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g)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0.65 cs 내지 10.O cs의 저점도 실리콘에 대하여 자체 중량 이상의 저점도 실리콘을 포함하여 팽윤하는 것인 화장료.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g)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가교제가 분자 중에 두개 이상의 비닐성 반응 부위를 포함하고, 동시에 규소 원자에 직접 결합한 수소 원자와의 사이에서 반응함으로써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화장료.
  19. 제16 또는 17항에 있어서, 상기 g)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알킬 부분, 알케닐 부분, 아릴 부분 및 플루오로알킬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가교 분자 중에 함유하는 것인 화장료.
  20. 제4항에 있어서, h) 실리콘 수지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h) 실리콘 수지가 아크릴 실리콘인 화장료.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h) 실리콘 수지가 피롤리돈 부분, 장쇄 알킬 부분,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및 플루오로알킬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분자 중에 함유하는 아크릴 실리콘인 화장료.
  23. 제20 또는 21항에 있어서, 상기 h) 실리콘 수지가 실리콘 망상형 화합물인 화장료.
  24. 제4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를 적어도 그 일부로서 포함하는 스킨 케어 제품, 두발 제품, 발한 억제 제품, 메이크업 제품 또는 자외선 방어 제품.
  25. 그 형태가 액상, 유액상, 크림상, 고형상, 페이스트상, 겔상, 분말상, 다층상, 무스형 또는 스프레이형인 제4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 또는 제24항에 기재된 스킨 케어 제품, 두발 제품, 발한 억제 제품, 메이크업 제품 또는 자외선 방어 제품.
  26.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인 주쇄 실록산과 비닐 지환식 에폭시드와의부가 반응으로 지환식 에폭시 변성 실리콘을 합성하고, 여기에 포화 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더 반응시키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리콘 화합물의 제법.
KR1020010004658A 2000-02-01 2001-01-31 신규한 실리콘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100674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23869A JP4104264B2 (ja) 2000-02-01 2000-02-01 新規なシリコーン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料
JP2000-23869 2000-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220A true KR20010078220A (ko) 2001-08-20
KR100674559B1 KR100674559B1 (ko) 2007-01-26

Family

ID=1854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658A KR100674559B1 (ko) 2000-02-01 2001-01-31 신규한 실리콘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479686B2 (ko)
EP (1) EP1122276B1 (ko)
JP (1) JP4104264B2 (ko)
KR (1) KR100674559B1 (ko)
DE (1) DE6010933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7084B2 (ja) * 2000-11-22 2011-03-09 株式会社日本色材工業研究所 油性化粧料
US8080257B2 (en) 2000-12-12 2011-12-20 L'oreal S.A.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 polymer and at least one film-forming silicone resin and methods of using
US6835399B2 (en) 2000-12-12 2004-12-28 L'ORéAL S.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 blend
US20030082126A9 (en) * 2000-12-12 2003-05-01 Pinzon Carlos O.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heteropolymers and oil-soluble cationic surfactant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6881400B2 (en) 2000-12-12 2005-04-19 L'oreal S.A. Use of at least one polyamide polymer in a mascara 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adhesion of and/or expressly loading make-up deposited on eyelashes
US7387784B2 (en) * 2001-05-16 2008-06-17 O'brien Michael Joseph Process for making cosmetic compositions using polyether siloxane copolymer network compositions
US6538061B2 (en) * 2001-05-16 2003-03-25 General Electric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using polyether siloxane copolymer network compositions
US7241835B2 (en) * 2001-05-16 2007-07-10 General Electric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silicone gels
US20080233065A1 (en) * 2001-06-21 2008-09-25 Wang Tian X Stable Cosmetic Emulsion With Polyamide Gelling Agent
US20040234477A1 (en) * 2001-09-14 2004-11-25 Koji Sakuta Composition and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WO2003041664A1 (fr) * 2001-11-15 2003-05-22 Shin-Etsu Chemical Co., Ltd. Cosmetiques contenant un mineral argileux
US8449870B2 (en) * 2002-06-11 2013-05-28 Color Access, Inc. Stable cosmetic emulsion with polyamide gelling agent
US8333956B2 (en) 2002-06-11 2012-12-18 Color Access, Inc. Stable cosmetic emulsion with polyamide gelling agent
US20050008598A1 (en) 2003-07-11 2005-01-13 Shaoxiang Lu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 structuring agent, silicone powder and swelling agent
US20050019286A1 (en) * 2003-06-09 2005-01-27 Wang Tian Xian Stable cosmetic emulsion with polyamide
US20040261311A1 (en) * 2003-06-13 2004-12-30 Mike Mattlage Fishing hook
TW200517556A (en) * 2003-08-08 2005-06-01 Kao Corp Fabric product treating agent composition
EP1758547A1 (en) 2004-05-26 2007-03-07 L'oreal Cosmetic mousse formulations
FR2883748B1 (fr) * 2005-03-31 2009-08-2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nhydre transparente ou translucide et eventuellement coloree comprenant une phase huileuse texturee
US7687574B2 (en) * 2006-05-01 2010-03-30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Acrylate cross linked silicone copolymer networks
US7833541B2 (en) * 2006-05-01 2010-11-16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Cosmetic compositions utilizing acrylate cross linked silicone copolymer networks
EP2620464B1 (en) 2009-09-02 2014-12-10 Natura Inovacão e Tecnologia de Produtos Ltda Silicone modified fatty acids, method of preparation and usage thereof
WO2011064255A1 (en) * 2009-11-24 2011-06-03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Gmbh Hydrophilic/lipophilic modified polysiloxanes as emulsifiers
US9855207B2 (en) * 2011-01-28 2018-01-02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Gmbh UV-photo-protecting cosmetic composition
CN102250355B (zh) * 2011-05-30 2013-01-09 中科院广州化学有限公司 含氟基和环氧基团的聚硅氧烷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6480309B2 (ja) * 2015-11-16 2019-03-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シリコーン化合物およびこれを含む化粧料
WO2020203924A1 (ja) * 2019-03-29 2020-10-08 味の素株式会社 磁性粉体を含む樹脂組成物
CN111040169B (zh) * 2019-12-30 2021-09-24 南京林业大学 一种萜类基聚硅氧烷、其制备方法、及改性双组份水性聚氨酯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974504B (it) * 1961-12-13 1974-07-10 Shiseido Co Ltd Preparazione cosmetica a base di composti idrocarburici vegetali
US3414604A (en) * 1964-12-31 1968-12-03 Union Carbide Corp Organofunctional silanes and siloxanes
GB1400713A (en) * 1971-09-29 1975-07-23 Dow Corning Ltd Organosilicon compounds
US4336246A (en) * 1980-04-03 1982-06-22 Avon Products, Inc. Hair makeup products
CA1204061A (en) 1982-07-26 1986-05-06 Marlene Tietjen Multi-purpose cosmetic
US5041587A (en) * 1989-02-14 1991-08-20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rocess for preparing organic silicon compound
JP2530512B2 (ja) * 1990-06-18 1996-09-0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珪素化合物の製造方法
CA2107253C (en) * 1992-12-15 1998-04-21 Anthony Castrogiovanni Cosmetic compositions with improved transfer resistance
US5523442A (en) * 1993-02-16 1996-06-04 Merrell Pharmaceuticals Inc. Silylate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09335D1 (de) 2005-04-21
EP1122276A2 (en) 2001-08-08
EP1122276B1 (en) 2005-03-16
JP2001213966A (ja) 2001-08-07
DE60109335T2 (de) 2006-02-02
KR100674559B1 (ko) 2007-01-26
EP1122276A3 (en) 2002-01-02
US6479686B2 (en) 2002-11-12
US20010014312A1 (en) 2001-08-16
US6759031B2 (en) 2004-07-06
JP4104264B2 (ja) 2008-06-18
US20020159964A1 (en)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559B1 (ko) 신규한 실리콘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US7001971B2 (en) Polyhydric alcohol-modified silicone and cosmetic material containing same
US20020131947A1 (en) Polyhydric alcohol-modified silicone and cosmetic material containing same
JP3912961B2 (ja) 新規なシリコーン粉体処理剤及びそれを用いて表面処理された粉体、並びにこの粉体を含有する化粧料
JP4949550B2 (ja) 化粧料
KR100650478B1 (ko) 신규한 실리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0697054B1 (ko) 실리콘중합물 및 실리콘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료
KR100711690B1 (ko) 신규한 실리콘 화합물, 이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분체 및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JP4266022B2 (ja) 化粧料
US20030185771A1 (en) Powder composition, dispersion of this powder composition in oil and cosmetic material containing same
JP5015994B2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及びその製法ならびに該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2013119596A (ja) シリコーン変性ワックス、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化粧料、及びシリコーン変性ワックスの製造方法
KR20120015275A (ko)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JP2003292415A (ja) 化粧料
JP2009185296A5 (ko)
EP2505602A1 (en) Organopolysiloxane and cosmetic containing it
KR20130108150A (ko)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이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제조 방법
JP4723083B2 (ja) シリコーン分岐型ポリエーテル変性シリコーン化合物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って得られた化合物を含有する化粧料
EP1029897A1 (en) Organosilicon resin composition, method of making,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4535603B2 (ja) 分岐型ポリシロキサンを含有する化粧料
KR20010007568A (ko) 신규한 실리콘 분체 처리제, 이를 사용하여 표면 처리된분체 및 이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KR100616400B1 (ko) 화장료
JP5698113B2 (ja) シリコーン変性ワックス、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化粧料、及びシリコーン変性ワック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