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8075A -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8075A
KR20010078075A KR1020010003718A KR20010003718A KR20010078075A KR 20010078075 A KR20010078075 A KR 20010078075A KR 1020010003718 A KR1020010003718 A KR 1020010003718A KR 20010003718 A KR20010003718 A KR 20010003718A KR 20010078075 A KR20010078075 A KR 20010078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ontainer
latch
receiving station
replaceable ink
replace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1410B1 (ko
Inventor
킹데일
존슨데이비드씨
Original Assignee
파트릭 제이. 바렛트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트릭 제이. 바렛트,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filed Critical 파트릭 제이. 바렛트
Publication of KR20010078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Landscapes

  • Ink Jet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10)에 잉크를 공급하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10)은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수용하는 수용 스테이션(14)을 갖는다.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는 소정량의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용기 섀시(34)를 구비한다. 또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수용 스테이션(14)에 고정하기 위해 섀시(34)에 부착될 수 있는 래치(30)가 잉크 용기 섀시(34)와 분리되게 구비된다.

Description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및 그 조립 방법{REPLACEABLE INK CONTAINER HAVING A SEPARATELY ATTACHABLE LATCH}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내의 수용 스테이션에 삽입되고 제거되는 형상을 갖는 잉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프린터는 통상 종이와 같은 인쇄 매체에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캐리지(carriage)내에 장착된 잉크젯 프린트헤드(printhead)를 사용한다. 프린드헤드가 인쇄 매체에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 제어 시스템이 프린트헤드를 활성화시켜 인쇄 매체상에 이미지와 텍스트(text)를 형성하도록 잉크 방울을 침적하거나 방출하도록 한다. 일회용 프린트 카트리지(cartridge)의 경우와 같이 프린트헤드와 일체로 된 잉크 공급부에 의해 혹은 프린트헤드와 분리되는 교환 가능한 잉크 공급부에 의해 잉크가 프린트헤드에 제공된다.
종래에 사용된 프린팅 시스템의 일 형태는 캐리지(carriage)에 의해 운반되는 잉크 공급부(ink supply)를 사용한다. 이러한 잉크 공급부는 프린트헤드와 일체로 형성되었으며, 잉크가 소모되었을 때 전체의 프린트헤드와 잉크 공급부가 교환된다. 변형예로서, 잉크 공급부는 캐리지에 의해 운반될 수 있고 프린트헤드로부터 분리되게 교환될 수 있다. 잉크 공급부가 분리 교환가능한 경우, 잉크 소모시 잉크 공급부는 교환된다. 그 후 프린트헤드는 프리트헤드 수명이 끝날 때 교환된다. 잉크 공급부가 프린팅 시스템내에 위치하는 것에 관계없이, 잉크 공급부가 잉크젯 프린트헤드에 신뢰할만한 잉크 공급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설치와 제거가 용이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를 사용하는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이 요구된다. 잉크 용기의 설치는 프린터에 신뢰할만한 유체 연결(fluidic connection)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잉크 용기는 제조하기가 용이하며, 그에 의해 잉크 공급 비용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여야 한다. 잉크 공급 비용의 감소는 프린팅 시스템의 종이 당 인쇄비용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잉크 용기는 외형이 콤팩트하고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내로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낮은 외형의 프린팅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프린팅 시스템의 전체 높이를 유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에 잉크를 공급하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이다.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은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 스테이션을 갖는다.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는 소량의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용기 섀시를 구비한다. 또한 수용 스테이션에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를 고정하기 위해 섀시에 부착되는 래치가 잉크 용기 섀시와 분리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특징은 수용 스테이션이 수용 스테이션 결합 형상부를 구비한다는 것이다. 래치는 상보적 래치 결합 형상부를 더 구비하여,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를 수용 스테이션내로 삽입함에 따라 수용 스테이션 결합 형상부와 상보적 래치 결합 형상부가 결합하여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를 수용 스테이션에 고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특징은 리셉터클이 리셉터클 결합 형상부를 더 구비한다는 것이다. 래치는 상보적 래치 결합 형상부를 더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래치를 리셉터클내로 삽입함에 따라 리셉터클 결합 형상부와 래치 결합 형상부가 결합하여 래치를 잉크 용기 섀시에 고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수의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를 도시하기 위해 개방된 커버와 함께 도시된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린트헤드 사이에 유체 교환을 제공하는 수용 스테이션에 위치한 본 발명의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를 도시하는 스캐닝 캐리지 부분의 확대된 사시도,
도 3은 각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와 연관된 유도 및 잠금 형상부와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를 고정하고 그에 의해 프린트헤드와 유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수용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스캐닝 캐리지 부분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 스테이션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는 분리되어 도시된 본 발명의 삼색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의 등각도,
도 6은 본 발명의 단색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의 사시도,
도 7a, 도 7b 및 도 7c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를 공급 스테이션에 삽입하는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수용 스테이션의 수직 유체 출구 위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의 통과를 각각 도시하는 측면도 및 단부도,
도 9a, 도 9b 및 도 9c는 수용 스테이션으로부터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를 제거하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수용 스테이션에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를 고정하는 분리되는 래치부를 갖는 본 발명의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의 후단 단부의 사시도,
도 11은 래치부가 제거되어 도시된 도 10의 분리되는 래치부를 갖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의 후단 단부의 확대된 사시도,
도 12는 분리되어 도시된 도 10의 래치부의 확대된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분리되는 래치부를 수용하는 리셉터클을 도시하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의 확대된 저면도,
도 14는 분리되는 래치부가 부분적으로 리셉터클내로 삽입되어 도시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의 후단 단부의 사시도,
도 15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에 고정된 분리되는 래치에 의해 수용 스테이션에 고정되어 도시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린팅 시스템 12 :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14 : 수용스테이션 16 : 프린트헤드
20 : 스캐닝 캐리지 22 : 인쇄 매체
30 : 래치 부재 34 : 잉크 저장고
36 : 유체 연결부 40 : 가이드
52 : 판 스프링 62 : 전기 연결부
92 : 리셉터클 96 : 래치 장착부
98 : 래치 손잡이
도 1은 수용 스테이션(14)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포함하며 커버가 개방된 프린팅 시스템(1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는 수용부(14)내에 적절히 설치되고, 잉크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잉크젯 프린트헤드(16)로 공급된다. 잉크젯 프린트헤드(16)는 프린터부(18)로부터의 작동 신호에 응답하여 인쇄 매체에 잉크를 침적시킨다. 잉크가 프린트헤드(16)로부터 분출됨에 따라, 프린트헤드(16)는 잉크용기(12)의 잉크로 보충된다. 일 실시예에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 수용 스테이션(14) 및 잉크젯 프린트헤드(16)는 인쇄를 수행하도록 인쇄 매체에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스캐닝 캐리지(scanning carriage)의 각 부품이다. 프린터부(18)는 인쇄 매체(22)를 수용하는 매체 트레이(media tray)를 구비한다. 인쇄 매체(22)가 인쇄 영역을 통하여 전진함에 따라, 스캐닝 캐리지(20)는 인쇄 매체(22)에 상대적으로 프린트헤드를 이동시킨다. 프린터부(18)는 인쇄를 수행하기 위해 인쇄 매체(22)에 잉크를 침적시키는 프린트헤드(16)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
스캐닝 캐리지(20)는 스캐닝 기구상의 인쇄 영역을 통하여 이동되며, 이 스캐닝 기구는 스캐닝 캐리지(20)가 스캔 축을 따라 이동할 때 스캐닝 캐리지(20)가 그 상에서 미끄러지는 미끄럼 로드(slide rod)(26)를 구비한다. 위치결정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스캐닝 캐리지(20)의 정밀한 위치설정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종이 구동 기구(paper advance mechanism)(도시되지 않음)는 스캐닝 캐리지(20)가 스캔 축을 따라 이동될 때 인쇄 매체(22)를 인쇄 영역을 통해 전진시키도록 사용된다. 프린트헤드(16)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가 리본 케이블(ribbon cable)(28)과 같은 전기적 링크에 의해 스캐닝 캐리지(20)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잉크 용기(12)가 프린터부(18)와 적절한 유체적 연결 및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잉크 용기(12)를 수용 스테이션(14)에 고정시키는 방법과 장치이다. 본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래치(latch) 기구가 잉크 용기에 분리되게 부착되어 래치(latch) 형상을 갖는 제조가 용이한 잉크 용기를 제공한다.잉크 용기(12)와 프린터부(18) 사이에 적절한 유체적 연결 및 전기적 연결이 확립되도록 잉크 용기(12)가 수용 스테이션에 고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프린트헤드(16)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해 유체 연결부(fluidic interconnection)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내의 잉크 공급부가 프린트헤드와 유체적으로 결합되게 한다. 전기 연결부(electrical interconnection)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와 프린터부(18) 사이에 정보가 전달되게 한다.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와 프린터부(18) 사이에 전달된 정보는 프린터부(18)에 대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의 적합성에 관한 정보 및 잉크 레벨 정보와 같은 작동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논의될 바와 같이, 별개의 래치부를 갖는 잉크 용기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논의될 바와 같이, 잉크 용기(12)와 수용 스테이션(14)의 일반적인 기능을 먼저 논의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러한 일반적인 기능의 형상은 신뢰할만한 전기적 연결 및 유체적 연결이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와 수용 스테이션(14) 사이에 확립되는 방식으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가 수용 스테이션(14)내로 삽입되게 하는 형상을 나타낸다.
도 2는 수용 스테이션(14)에 적절히 설치된 한 쌍의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도시하는 스캐닝 캐리지부(20)의 사시도이다. 잉크젯 프린트헤드(16)는 수용 스테이션(14)과 유체 교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10)은 세 개의 분리된 잉크 색을 수용하는 삼색 잉크 용기와 단색 잉크를 수용하는 제 2 잉크 용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3색 잉크 용기는청록(cyan), 심홍(magenta) 및 노랑 잉크를 수용하고, 단색 잉크 용기는 4색 인쇄를 수행하도록 검정 잉크를 수용한다.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는 세 개의 잉크 색 또는 보다 많은 색이 필요하다면 세개의 잉크 색 이상을 수용하도록 상이하게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 충실도 인쇄의 경우, 인쇄를 수행하도록 종종 여섯 개 또는 그 이상의 색이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스캐닝 캐리지부(20)는 단순성을 위해 단일의 프린트헤드(16)에 유체적으로 결합된 것으로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네 개의 잉크젯 프린트헤드(16)가 수용 스테이션(14)에 유체적으로 각각 결합된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네 개의 프린트헤드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에 수용된 4색 잉크의 각각에 유체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청록, 심홍, 노랑 및 검정 프린트헤드(16)는 상응하는 청록, 심홍, 노랑 및 검정 잉크 공급부에 각각 결합된다. 네 개보다 작은 수의 프린트헤드를 사용하는 다른 형태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잉크 색이 잉크 노즐의 제 1 그룹에 제공되고 제 2 잉크 색이 잉크 노즐의 제 2 그룹에 제공되도록 프린트헤드(16)를 적절히 구획함으로써 프린트헤드(16)는 하나 이상의 잉크 색을 인쇄하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제 2 잉크 노즐 그룹은 제 1 그룹과 상이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의 프린트헤드(16)는 4색 인쇄를 수행하는 네 개의 프린트헤드(16)보다 작은 수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잉크 색을 인쇄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각의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와 프린트헤드(16) 사이의 유체 통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각각의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수용 스테이션(14)에 고정시키는 래치(latch)(30)를 구비한다. 래치(30)는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수용 스테이션(14)은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상의 상응하는 키 형상(keying feature)(도시되지 않음)과 상호 작용하는 키(32)의 세트를 구비한다.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가 수용 스테이션(14)과 적합하도록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상의 키 형상은 수용 스테이션(14)상의 키(32)와 상호작용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캐닝 캐리지부(20)의 측면도이다. 스캐닝 캐리지부(20)는 수용 스테이션(14)내에 적절히 설치된 도시된 잉크 용기(12)를 포함하며, 그에 의해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와 프린트헤드(16) 사이의 유체 교환을 확립한다.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잉크를 수용하는 저장부(3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3색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는 각각 다른 색의 잉크를 수용하는 세 개의 분리된 잉크 수용 저장고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색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는 단색 잉크를 수용하는 단일 잉크 저장고(34)이다.
본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저장고(34)는 그 내에 배치된 모세관 저장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모세관 저장 부재는 프린팅 시스템(10)에 대한 잉크 용기(12)의 삽입과 제거 도중 저장고(34)에서의 잉크 누설을 방지하도록 잉크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모세관현상을 갖는 다공성 부재이다. 이러한 모세관 힘은 온도와 압력 변화와 같은 다양한 환경 조건에 대해 저장고(34)에서의 잉크 누설을 방지하도록 충분히 커야 한다. 또한, 모세관 부재의 모세관현상은 정상 작동중 잉크 용기에 가해지는 상당한 양의 쇼크와 진동뿐만 아니라 잉크 저장고의 모든 배향에 대해 잉크 저장고(34)내에 잉크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모세관 저장 부재는 열결합 폴리머 섬유망인 것이 바람직하며,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 저장고(Ink Reservoir for an Inkjet Printer)"의 명칭으로 상기 내용은 1999년 10월 29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9/430,400 호에 개시되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 합체된다.
일단 잉크 용기(12)가 수용 스테이션(14)에 적절히 설치되면, 잉크 용기(12)는 유체 연결부(36)에 의해 프린트헤드(16)와 유체적으로 결합된다. 프린드헤드(16)를 활성화시키면, 잉크는 프린트헤드 내부에 음의 게이지 압력(gauge pressure)[종종 배압(backpressure)으로 지칭됨]을 발생시키는 분출부(38)로부터 분출된다. 프린트헤드(16)내의 이러한 게이지 압력은 잉크 저장고(34)내에 배치된 모세관 부재에 유지되는 모세관 힘을 극복하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배압에 의해 잉크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로부터 프린트헤드(16)로 유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린트헤드(16)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에 의해 공급된 잉크로 보충된다.
유체 연결부(36)는 잉크 용기(12)내로 상방으로 또한 잉크젯 프린트헤드(16)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잉크 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 연결부(36)는 도 3에 단순화된 상태로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 연결부(36)는 스캔 축을 따르는 프린트헤드(16)의 위치설정에 옵셋(offset)을 허용하는매니폴드(manifold)이며, 그에 의해 프린드헤드(16)가 상응하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로부터 옵셋되게 위치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세관 부재를 압축하도록 유체 연결부(36)는 저장고(34)내로 연장되며, 그에 의해 유체 연결부(36)에 인접한 증가된 모세관현상 영역을 형성한다. 이러한 증가된 모세관현상 영역은 유체 연결부(36)를 향해 잉크를 유출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그에 의해 잉크는 유체 연결부(36)를 통해 프린트헤드(16)로 유동하게 된다. 논의될 바와 같이, 잉크 용기(12)가 수용 스테이션내로 삽입될 때 모세관 부재의 적절한 압축이 수행되도록 잉크 용기(12)가 수용 스테이션(14)내로 적절히 위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잉크 용기(12)로부터 프린트헤드(16)로 신뢰할만한 잉크 유동을 확립하기 위해 모세관 부재의 적절한 압축이 필요하다.
도 7a 내지 도 7c 및 도 8a와 도 8b를 참조하여 논의될 바와 같이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와 스캐닝 캐리지(20) 사이의 신뢰할만한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프린트헤드(16)와의 신뢰할만한 유체 연결을 달성하도록 잉크 용기(12)가 수용 스테이션(14)내로 삽입되게 하는 가이드 형상부(40), 결합 형상부(42), 손잡이(44) 및 래치 형상부(30)를 더 구비한다.
수용 스테이션(14)은 가이드 레일(46), 결합 형상부(48) 및 래치 결합 형상부(50)를 구비한다. 가이드 레일(46)은 잉크 용기(12)를 수용 스테이션(14)내로 인도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 결합 형상부(40) 및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와 협동한다. 일단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가 수용 삽입체내로 완전히 삽입되면,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와 연관된 결합 형상부(42)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의 전방단부 또는 선단 단부를 수용 스테이션(14)에 고정시키면서, 수용 스테이션(14)에 연관된 결합 형상부(48)와 결합한다. 그 후 잉크 용기(12)의 후방 단부 또는 후단 단부를 수용 스테이션(14)에 고정하기 위해 수용 스테이션(14)에 연관된 래치 결합 형상부(50)가 래치 부재(30)에 연관된 후크(hook) 형상부(54)와 결합할 때까지 잉크 용기(12)는 수용 스테이션(14)에 연관된 스프링 바이어스 부재(52)를 압축하도록 아래쪽으로 가압된다. 수용 스테이션(14)에 연관된 형상부와 잉크 용기(12)상의 형상부가 협동함으로써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와 수용 스테이션(14) 사이의 적절한 삽입과 기능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수용 스테이션(14)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도 4는 분리되어 도시된 잉크 수용 스테이션(14)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수용 스테이션(14)은 단색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용기(12)를 수용하는 단색 격실(bay)과 세 개의 분리된 잉크 색을 내부에 수용하는 잉크 용기를 수용하는 3색 격실(58)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단색 격실(56)은 검정 잉크를 수용하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수용하고, 삼색 격실은 각각이 잉크 용기(12)내의 분리된 저장고로 구획된 청록, 심홍 및 노랑 잉크를 수용하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를 수용한다.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뿐만 아니라 수용 스테이션(14)은 그 내에 수용된 상이한 수의 구분된 잉크를 수용하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를 수용하는 격실(56, 58)의 다른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용 스테이션(14)의 수용 격실(56, 58)의 수는 두 개 미만이거나 두 개를 초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 스테이션(14)은 네 개의 분리된 단색 잉크 용기(12)를 수용하는 네 개의 분리된 격실을 가질 수 있고 각 잉크 용기는 4색 인쇄를 수행하도록 분리된 잉크 색을 수용한다.
수용 스테이션(14)의 각 격실(56, 58)은 격실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수직 유체 연결부(36)를 수용하는 개구를 구비한다. 유체 연결부(36)는 잉크가 잉크 용기(12)에 연관된 상응하는 유체 출구로 빠져나가는 유체 입구이다. 전기 연결부(62)가 또한 각 수용 격실(56, 58)에 포함된다. 전기 연결부(62)는 다수의 전기 접점(electrical contact)(64)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접점은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수용 스테이션(14)의 상응하는 격실내로 적절히 설치하는 것에 따른 네 개의 스프링 적재(spring-loaded) 전기 접점의 구성이다. 전기 연결부(62)와 유체 연결부(36) 각각의 적절한 결합이 신뢰할만한 방식으로 확립되어야 한다.
잉크 용기를 수용 스테이션내로 인도하도록 각 격실(56, 58)내의 유체 연결부의 어느 한 측면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46)은 잉크 용기(12)의 어느 한 측면상의 상응하는 가이드 형상부(40)와 결합한다. 잉크 용기(12)가 수용 스테이션(14)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수용 스테이션(14)의 후방 벽에 배치된 결합 형상부(48)는 도 3에 도시된 잉크 용기(12)의 상응하는 결합 형상부(42)와 결합한다. 결합 형상부(48)는 전기 연결부(62)의 어느 한 측면에 배치된다. 판 스프링(leaf spring)과 같은 바이어스 수단(biasing means)(52)이 수용 스테이션(14)내에 배치된다. 판 스프링(52)은 수용 스테이션(14)의 밑면에서 위쪽으로 잉크 용기(12)를 가압하는 경향이 있는 편위력(biasing force)을 제공한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논의될바와 같이 판 스프링은 수용 스테이션에서 잉크 용기(12)를 제거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용 스테이션(14)에 잉크 용기(12)를 잠그는 것을 돕는다.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는 각각 본 발명의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의 정면, 측면, 후면 및 저면을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는 한 쌍의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 레일 결합 형상부(4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가이드 레일 결합 형상부의 각각은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의 수직 측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된다. 결합 형상부(42)는 잉크 용기(72)의 전방 표면 또는 선단 에지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결합 형상부(42)는 전기 인터페이스(electrical interface)(74)의 양측에 배치되고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의 밑면(76)을 향해 배치된다. 전기 인터페이스(74)는 다수의 전기 점점(78)을 구비하며, 각 전기 접점(78)은 전기 저장 장치(80)에 연결된다.
도 5c에 도시된 후단 단부(82)는 선단 단부의 반대쪽에 있다.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의 후단 단부(82)는 결합 후크(54)를 갖는 래치 형상부(30)를 구비한다. 래치 형상부(30)는 래치 형상이 후단 단부에서 외부로 연장되게 하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그에 의해 결합 형상부가 수용 스테이션(14)에 연관된 상응하는 결합 형상부를 향해 외부로 연장된다. 논의될 바와 같이 래치 부재(30)가 후단 단부(82)를 향해 내부로 압축됨에 따라, 결합 형상부(54)가 수용 스테이션(14)에 연관된 상응하는 결합 형상부(50)와 결합된 채로 있도록 래치 부재가 외부로 편위력을 가하여 잉크 용기(12)를 수용 스테이션(14)내로 고정한다.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는 또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의 후단 단부에 배치된 키(84)를 포함한다. 키는 래치(30)의 양측에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의 밑면(76)을 향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84)는 수용 스테이션(14)의 키 형상부(32)와 함께 잉크 용기(12)가 수용 스테이션(14)의 정확한 격실(56, 58)에 삽입되도록 상호작용 한다. 또한 키(84)와 키 형상부(32)는, 수용 스테이션(14)내의 상응하는 수용 격실(56, 58)과 색과 화학조성 또는 계산성에서 적합한 잉크를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가 수용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의 후단 에지(82)의 윗면에 배치된 손잡이부(44)가 또한 잉크 용기(12)에 구비된다. 잉크 용기(12)가 수용 스테이션(14)의 적절한 격실로 삽입되는 동안 손잡이부(44)는 잉크 용기(12)의 후단 에지(82)가 파지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잉크 용기(12)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의 밑면(76)에 배치된 개구(88)를 구비한다. 개구(88)는 저장고내에 배치된 모세관 부재와 결합하도록 유체 연결부(36)가 저장고(34)를 통해 연장되게 한다. 3색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의 경우, 세 개의 유체 출구(88)가 있으며, 각각의 유체 출구는 상이한 잉크 색에 대응한다. 3색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의 경우, 세 개의 유체 연결부(36)의 각각은 각각의 유체 출구(88)내로 연장되어 각 잉크 챔버와 당해 잉크 색과 상응하는 프린트헤드 사이에 유체 교환을 제공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수용 스테이션(14)의 단색 격실(56)내로 삽입되기 위해 위치된 단색 잉크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단색 잉크 용기는 밑면에단지 하나의 유체 출구(88)가 제공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 5a 내지 도 5d에서 도시된 삼색 잉크 용기와 유사하다. 단색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는 단색 잉크를 내포하므로 잉크 용기(12)로부터 상응하는 프린트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는 하나의 상응하는 유체 연결부(36)만을 수용한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수용 스테이션(14)과 신뢰할만한 전기 및 유체 연결을 형성하도록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수용 스테이션(14)내로 삽입하는 본 발명의 기술을 도시하는 일련의 도면이다.
도 7a는 수용 스테이션(14)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된 잉크 용기(12)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44)를 잡고 잉크 용기의 선단에지 또는 선단 표면(72)을 먼저 수용 스테이션내로 삽입함으로써 잉크 용기(12)가 수용 스테이션(14)내에 삽입된다. 선단 에지(72)가 수용 스테이션(14)으로 들어감에 따라 잉크 용기상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부재(40)는 가이드 레일(46)의 각 쌍과 결합한다. 가이드 레일(46)은 잉크 용기(12)를 수용 스테이션(14)의 뒷벽(66)을 향해 수평 또는 직선 운동으로 안내한다. 그 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용기(12)상의 결합 형상부(42)가 수용 스테이션(14)의 뒷벽상의 상응하는 결합 형상부(48)에 의해 수용되도록 가이드 레일(46)은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를 뒷벽(66)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또한 수용 스테이션(14)의 밑면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안내한다. 잉크 용기(12)의 삽입은 가이드 레일(46)을 따라 직선으로 잉크 용기를 가압하는 삽입력만을 필요로 한다. 가이드 레일이 결합 형상부(42, 48)의 결합을 허용하도록 아래쪽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잉크 용기(12)에 작용하는 중력은잉크 용기가 가이드 레일(46)을 따르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가이드 레일 결합 형상부(40)는 가이드 레일(46)을 따라 자유로이 미끄럼운동하도록 완만하게 만곡된 표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는 수용 스테이션(14)에 삽입된 잉크 용기(12)를 도시하며 결합 형상부(42)는 수용 스테이션(14)에 연관된 결합 형상부(48)와 결합한다. 판 스프링(52)을 압축하고 잉크 용기(12)의 후단 단부를 수용 스테이션(14)의 밑면(68)을 향해 아래쪽으로 가압하도록 화살표(90)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잉크 용기(12)에 하방 힘이 가해진다. 키(84)는 수용 스테이션(14)상의 키 형상부(32)와 적절히 상응해야 한다. 잉크 용기(12)상의 키(84)가 키 형상부(32)와 상응하지 않는다면, 키 시스템은 수용 스테이션(14)내로의 잉크 용기(12)의 추가 삽입을 방지할 것이다. 키(84)와 키 형상부(32)로 구성된 이러한 키 시스템은 수용 스테이션(14)과 적합하지 않는 잉크 용기가 수용 스테이션(14)내로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용 스테이션(14)으로 잉크 용기를 더 삽입하면 잉크 용기(12)내의 모세관 부재와 유체 연결부(36)가 접촉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부적합한 잉크로 유체 연결부(36)를 오염시키게 된다. 유체 연결부에서 혼합된 부적합한 잉크는 프린트헤드(16)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침전을 일으킬 수 있다. 부적합한 화학 조성의 잉크뿐만 아니라, 잉크 용기는 색혼합을 야기할 수 있는 부적합한 색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출력되는 인쇄 품질을 저하시킨다.
잉크 용기(12)상의 키(84)와 수용 스테이션(14)상의 키 형상부(32)는 적절한 수용 스테이션(14)으로의 적절한 잉크 용기(12)의 완전한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잉크 용기(12)의 후단 단부(82)에 가해진 하방 힘은 피봇 축을 중심으로 잉크 용기(12)가 피봇되어 판 스프링(52)을 압축하도록 함으로써, 잉크 용기(12)의 후단 단부(82)를 수용 스테이션(14)의 밑면(68)을 향해 이동시킨다. 잉크 용기(12)가 수용 스테이션(14)내로 아래쪽으로 가압되므로, 탄성 래치(30)는 잉크 용기(12)의 후단 단부(82)를 향해 내부로 약간 압축된다. 일단 잉크 용기(12)가 충분히 크게 아래쪽으로 가압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용기(12)를 수용 스테이션(14)에 고정시키기 위해 래치(30)의 결합 형상부(54)는 수용 스테이션(14)의 상응하는 결합 형상부(50)와 결합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용기(12)가 수용 스테이션(14)에 적절히 고정되면, 유체 연결부(36)는 모세관 부재를 압축하도록 저장고(34)내로 연장되며, 그에 의해 유체 연결부(36)에 인접한 증가된 모세관현상 영역을 형성한다. 이러한 증가된 모세관현상 영역은 잉크를 유체 연결부(36)를 향해 유출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그에 의해 잉크가 유체 연결부(36)로부터 프린트헤드(16)로 유동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력이 잉크 용기(12)내의 잉크에 대해 작용하여 잉크를 잉크 용기(12)의 밑면을 향해 유출시키는 경향이 있도록 잉크 용기(12)는 수용 스테이션(14)내에 삽입될 때 잉크 용기(12)는 중력 좌표계(gravitational frame of reference)로 배향된다. 따라서 잉크 용기(12)내의 잉크는 밑면(76)으로 당겨지고, 여기서 잉크는 잉크가 모세관현상의 인력에 의해 유체 연결부(36)를 향해 당겨지므로 그에 의해 잉크 용기(12)내에서 잉크가 정지(stranding)되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한다.
도 8a 및 도 8b는 잉크 용기(12)의 선단 단부(72)가 유체 연결부(36) 위로 위치한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된 삽입 공정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8a는 단부도를 도시하는 도 8b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로부터, 잉크 용기의 선단 단부(72)가 삽입 도중 유체 연결부(36)와 충돌하지 않게 가이드 형상부(40)는 잉크 용기(12)의 밑면(76)을 향해 충분히 낮게 잉크 용기(12)에 위치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가이드 부재(40)의 위치설정에 대한 또 하나의 제한은 결합 형상부(42)가 수용 스테이션(14)의 상응하는 결합 형상부(42)와 적절히 결합하는 것을 확보하도록 잉크 용기(12)의 윗면(86)에 충분히 가깝게 위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잉크 용기의 외부로 연장된 가이드 부재(40)는 가이드 레일(46)과 결합하도록 충분히 외부로 연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외부로 연장되는 가이드 부재(40)는 너무 멀리 연장되어서는 안되며 만일 그렇게 되면 가이드 부재(40)가 수용 스테이션(14)의 수직 측면과 결합하게 되고, 수용 스테이션(14)으로의 잉크 용기(12)의 삽입을 저해하는 마찰과 구속을 일으키는 간섭을 발생시킨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수용 스테이션(14)에서 잉크 용기(12)를 제거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잉크 용기(12)를 제거하는 방법은 래치(30)를 후단 표면(82)을 향해 가압함으로써 수용 스테이션(14)의 상응하는 결합 형상부(50)로부터 결합 형상부를 해제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일단 잉크 용기(12)의 후단 단부가 해제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52)은 잉크 용기의 후단 단부를 가압한다.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잉크 용기(12)를 회수하기 위해 잉크 용기(12)의 손잡이(44)가 파지될 수 있다. 잉크 용기(12)가 수용 스테이션(14)에서 제거됨에 따라, 가이드 부재(40)가 가이드 레일(46)을 추종하여 잉크 용기가 들어올려지므로, 그에 의해 유체 연결부(36)와 잉크 용기(12)의 밑면의 유체 출구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도 10은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에서 분리 가능한 래치부(3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의 후단 단부(82)의 사시도이다.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에 부착된 별개의 래치부(30)를 사용함으로써 잉크 용기와 일체로 성형된 래치부를 갖는 잉크 용기(12)를 사용하는 것보다 몇몇의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두 부품(two-piece)의 잉크 용기(12)의 장점의 하나는 잉크 용기를 성형하는 재료와 래치부(30)를 성형하는 재료를 별개로 최적화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잉크 수용 저장고(34)는 저장고(34)를 통해 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우수한 증기 장벽 특성을 제공하는 재료로 성형되어야 한다. 저장고(34)내로의 공기의 확산은 인쇄 시스템의 신뢰성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저장고(34)내로의 공기 확산은, 만일 충분하다면, 유체 도관의 폐색(occlusion)뿐만 아니라 프린트헤드의 공기 축적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며, 상기 각 문제는 인쇄 품질뿐만 아니라 신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래치 형상부(30)는 래치 작용을 위해 적절한 탄성 특성을 나타내는 재료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래치부(30)는 래치 형상부를 성형하기에 적절한 재료로 성형되어야 한다. 두 부품의 저장고(34)와 래치부(30)를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이러한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고(34)는 제 1 재료로 성형되고, 래치부(30)는 제 1 재료와 다른 제 2 재료로 성형된다.
저장부(34)와 별개인 래치부(30)를 성형하는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하나의 장점은 저장고(34)의 성형에 요구되는 금형에 대한 제한이 없다는 것이다. 래치부(30)가 저장고(34)와 일체인 경우, 래치(30)와 저장고(34) 사이에 형성되는 활동 힌지(living hinge)와 같은 것은 금형 설계에 특별한 제한을 요구한다. 저장고(34)와 래치(30)를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금형에 대한 제한을 제거하며, 그에 의해 저장고(34)내에 덮개부 부착을 위한 잉크 용기의 위쪽 주위의 립(lip) 또는 플랜지와 같은 다른 형상부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 잉크 용기(12)의 덮개부를 부착하기 위한 립부 또는 플랜지에 추가하여 일체의 래치(30)를 성형하는 금형을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것은 매우 난이할 것이다.
저장부(34)와 별개로 래치부(30)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방법의 또 하나의 장점은 래치부(30)와 저장부(34)에 대해 상이한 색의 수지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상이한 색이 사용된 래치부(30)는 잉크 용기(12)의 사용자-배치부(user-configured portion) 또는 사용자-변위부(user-displaced portion)를 지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부(34)는 검정 플라스틱으로 성형되고, 사용자에 의해 프린터부(18)로부터 잉크 용기(12)를 제거하기 위해 래치부(30)가 변위되거나 구부러질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주지시키도록 래치부(30)는 회색 또는 녹색 플라스틱으로 성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 용기(12)의 저장고(34)는 래치부(30)를 수용하는 리셉터클(receptacle)(92)을 포함한다. 리셉터클(92)은 키 형상부(84) 사이에 후단단부(82)의 밑부분 쪽에 위치된다.
도 11은 래치부(30)가 제거된 채로 절단되어 도시된 후단 단부의 밑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다. 리셉터클(92)은 래치부(30)를 수용하여 래치부(30)를 저장고 또는 섀시(34)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리셉터클(92)은 래치부(30)를 수용하는 포켓(pocket)을 형성한다. 결합부(94)가 저장고(34)에 형성되어 래치부(30)와 결합하여 리셉터클(92)로부터 래치(30)의 제거를 방지하거나 제한한다.
도 12는 래치부(30)를 확대시키고 분리시켜 도시한다. 래치부(30)는 장착부(96)와 장착부(96)와 마주보는 손잡이부(98)를 구비한다. 결합 형상부(54)는 상기 논의된 수용 스테이션(14)에 연관된 상응하는 결합 형상부(50)와 결합하기 위해 장착부(96)와 손잡이부(98)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부(96)는 하단 단부(102)로부터 상단 단부(104)로 테이퍼(taper)진 한 쌍의 측면(100)을 갖는다. 또한, 한 쌍의 측면(100)은 후방측(106)으로부터 전방측(108)으로 제 2 방향으로 테이퍼진다. 한 쌍의 측면(100)의 테이퍼는 도 13을 참조하여 논의될 바와 같이 리셉터클(92)상의 상보적인 테이퍼에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도 13은 래치부(30)를 수용하는 리셉터클(92)을 도시하는 잉크 저장고(34)의 후단 에지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리셉터클(92)은 래치 형상(30)의 장착부(96)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슬롯(110)을 구비한다. 장착부(96)의 한 쌍의 테이퍼진 측면(100)은 테이퍼 측면(110)의 테이퍼에 상보적인 테이퍼를 갖는다.
도 14는 장착부(96)가 잉크 저장고 또는 섀시(34)에 고정되도록 손잡이를(30)를 리셉터클(92)내로 삽입하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다.장착부(96)는 잉크 용기(12)의 밑면으로부터 리셉터클(92)내로 삽입되고 후단 단부(82)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위쪽으로 삽입된다.
도 15는 수용 스테이션(14)에 적절히 고정된 잉크 용기(12)를 도시한다. 잉크 용기(12)는 래치(30)에 의해 수용 스테이션에 고정된다. 래치(30)는 래치(30)를 잉크 용기의 후단 단부(82)에 고정시키는 리셉터클(92)에 의해 잉크 용기(12)의 일단부에 고정된다. 일단 래치부가 리셉트클(92)내로 완전히 삽입되면 결합부(94)는 래치부를 고정하기 위해 래치부(30)상의 상보적인 결합부(112)와 결합한다. 래치부(30)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수용 스테이션(14)에 고정시키기 위해 수용 스테이션(14)상의 상응하는 결합부(50)와 결합한다.
결합부(54)가 상응하는 결합부(50)와 결합하도록 손잡이부(98)가 후단 표면(82)과 이격되는 동안 장착부(96)가 후단 표면(82)에 대해 위치되도록 래치부(30)가 형성된다. 삽입 도중 래치부(30)가 후단 에지(82)를 향해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고 수용 스테이션(14)의 상응하는 래치 형상부(50)와 결합하도록 후단 에지(82)에서 튀어나오게 하는 탄성 재료로 래치부(30)가 성형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유사하게, 손잡이부를 후단 에지(82)를 향해 가압하는 힘이 손잡이부(98)에 가해질 때, 수용 스테이션(14)으로부터 잉크 용기(12)를 해제시키기 위해 결합부(54)가 상응하는 결합부(50)에서 해제되도록 래치(30)는 또한 충분한 탄성을 가져야한다.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는 각각의 잉크 저장고(34)와 래치(30)의 재료 특성을 최적화하도록 래치부가 잉크 저장부(34)로부터 분리되게 형성되게 한다. 또한, 래치부(30)를 저장부(34)와 별개로 형성함으로써,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34)가 래치가 저장고(34)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보다 단순한 성형 공정으로 형성되게 하며, 그에 의해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의 비용을 감소시키거나 래치가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형성될 수 없는 다른 형상부가 교환 잉크 저장고(34)에 성형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는 각각의 잉크 저장고(34)와 래치(30)의 재료 특성을 최적화하도록 래치부가 잉크 저장부(34)로부터 분리되게 형성되게 한다. 또한, 래치부(30)를 저장부(34)와 분리되게 형성함으로써,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34)가 래치가 저장고(34)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보다 단순한 성형 공정으로 형성되게 하며, 그에 의해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의 비용을 감소시키거나 래치가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와 일체로 형성되어지면 형성될 수 있는 다른 형상이 교환 잉크 저장고(34)내로 성형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린터에 신뢰성 있는 유체 연결을 제공하면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의 설치와 제거를 용이하게 하여, 잉크 용기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고 잉크 공급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10)에 잉크를 제공하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10)은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수용하는 수용 스테이션(10)을 가지며,
    소정량의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용기 섀시(34)와,
    상기 잉크 용기 섀시(34)와 분리되고, 상기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상기 수용 스테이션(14)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섀시(34)에 부착될 수 있는 래치(30)를 포함하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30)는 장착부(96)와 상기 장착부(96)의 반대쪽에 손잡이부(98)를 가지며, 상기 래치(30)와 섀시(34)는 상기 섀시(34)로부터 손잡이부(96)를 탄성적으로 편위시켜 상기 수용 스테이션(14)으로부터 상기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손잡이부(98)가 상기 섀시(34)를 향해 가압될 수 있게 상기 장착부(96)가 상기 섀시(34)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3.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10)에 잉크를 제공하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10)은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수용하는 수용 스테이션(10)을 가지며,
    소정량의 잉크를 수용하는 저장고(34)로서, 리셉터클(92)을 규정하는 외측 표면을 가지는 상기 저장고(34)와,
    잉크 용기(12)를 수용 스테이션(14)에 고정시키는 래치(30)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30)는 상기 저장고(34)에 고정되기 위해 상기 리셉터클(92)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92)은 상기 용기 내에 규정된 한 쌍의 슬롯(110)을 갖는 외측 표면상의 돌출된 형상부이고 상기 래치(30)가 상기 외측 표면에 평행하게 삽입됨에 따라 상기 래치(3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30)는 장착부(96)와 상기 장착부(96)의 반대쪽에 손잡이부(98)를 가지며, 상기 저장고(34)의 외측 표면은 상기 래치를 저장고(34)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래치(30)의 상보적 형상의 리세스(112)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외부로 연장되는 결합 형상부(94)를 갖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스테이션(14)은 수용 스테이션 결합 형상부(50)를 구비하고 상기 래치(30)는 상보적 래치 결합 형상부(54)를 더 구비하며, 수용 스테이션(14)내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삽입함으로써 상보적 래치 결합 형상부(54)와 수용 스테이션 결합 형상부(50)가 결합하여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수용 스테이션(14)내에 고정시키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34)와 래치(30)는 상기 래치(30)가 상기 리셉터클(92)내에 적절히 수용될 때 활동 힌지(living hinge)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8.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와 별개의 래치부(30)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래치부(30)를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상의 리셉터클(92)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조립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잉크로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조립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와 별개의 래치부(30)를 제공하는 상기 단계 전에, 리셉터클(92)을 갖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92)은 상기 래치부(30)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조립 방법.
  11.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10)에 잉크를 제공하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10)은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수용하는 수용 스테이션(10)을 가지며,
    소정량의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특성을 갖도록 선택된 제 1 재료로 성형된 잉크 용기 저장고(34)와,
    상기 저장고(34)에 부착 가능하고 상기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12)를 상기 수용 스테이션(14)에 고정시키기 위한 특성을 갖도록 선택된 제 2 재료로 성형된 래치(30)를 포함하는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KR1020010003718A 2000-01-31 2001-01-26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및 그 조립 방법 KR100731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95,288 US6431697B1 (en) 2000-01-31 2000-01-31 Replaceable ink container having a separately attachable latch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container
US09/495,288 2000-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075A true KR20010078075A (ko) 2001-08-20
KR100731410B1 KR100731410B1 (ko) 2007-06-21

Family

ID=2396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718A KR100731410B1 (ko) 2000-01-31 2001-01-26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431697B1 (ko)
EP (1) EP1122076B1 (ko)
JP (1) JP3340120B2 (ko)
KR (1) KR100731410B1 (ko)
CN (1) CN1221394C (ko)
DE (1) DE60101007T2 (ko)
TW (1) TW5170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2592B2 (ja) 2001-04-03 2004-10-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733266B2 (ja) 1999-10-04 2006-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US6827432B2 (en) * 2000-01-31 2004-12-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placeable ink container for an inkjet printing system
US6431697B1 (en) * 2000-01-31 2002-08-13 Hewlett-Packard Company Replaceable ink container having a separately attachable latch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container
TW541247B (en) * 2000-01-31 2003-07-11 Hewlett Packard Co Latch and handle arrangement for a replaceable ink container
US6796635B2 (en) * 2000-10-11 2004-09-28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and inkjet printer
CA2379725C (en) 2001-04-03 2007-06-12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US6969148B2 (en) * 2001-07-31 2005-11-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ivoting on-axis ink reservoir for inkjet printer
MXPA03002490A (es) 2002-03-20 2004-10-15 Seiko Epson Corp Cartucho para tinta y soporte de cartucho para tinta.
US7438401B2 (en) * 2002-06-17 2008-10-21 Seiko Epson Corporatio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JP4631253B2 (ja) 2002-06-17 2011-02-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KR100470709B1 (ko) * 2002-06-29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US6749294B2 (en) * 2002-10-10 2004-06-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Key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inkjet print cartridges and inkjet printers
RU2336175C2 (ru) * 2002-11-26 2008-10-20 Сейко Эпсон Корпорейшн Чернильный картридж и печат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SI1593518T1 (sl) * 2002-11-26 2008-06-30 Seiko Epson Corp Črnilna kartuša
JP3624950B2 (ja) 2002-11-26 2005-03-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6773100B2 (en) * 2002-12-19 2004-08-10 Pitney Bowes Inc. Insertion/extraction mechanism for an ink cartridge
US6779880B1 (en) * 2003-02-19 2004-08-24 Pitney Bowes Inc. Insertion/extraction mechanism for an ink cartridge
DE10324059B4 (de) * 2003-05-27 2007-03-08 Pelikan Hardcopy Production Ag Tintenpatrone
AR049674A1 (es) * 2003-08-08 2006-08-30 Seiko Epson Corp Recipiente contenedor de liquido a suministrar a un aparato de consumo de dicho liquido
GB0330111D0 (en) * 2003-12-29 2004-02-04 Dynamic Cassette Int Ink cartridge
CN101027187B (zh) * 2004-01-09 2011-07-06 录象射流技术公司 将墨盒连接到喷墨打印系统的储墨仓的系统和方法
JP2006088650A (ja) * 2004-09-27 2006-04-06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タンクの装着方法
DE102005031143A1 (de) * 2005-07-04 2007-01-18 Pelikan Hardcopy Production Ag Tintenpatrone
DE202005020053U1 (de) * 2005-07-04 2006-02-23 Pelikan Hardcopy Production Ag Tintenpatrone
JP4321562B2 (ja) * 2006-08-08 2009-08-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EP2080620B1 (en) * 2006-11-06 2011-06-01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container holder, and liquid consumption device
JP4946751B2 (ja) * 2006-11-06 2012-06-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容器ホルダ、液体消費装置及び液体収容容器
US20080165214A1 (en) * 2007-01-05 2008-07-10 Kenneth Yuen Ink cartridge fluid flow arrangements and methods
US8052257B2 (en) * 2007-01-30 2011-11-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bined ink family keying for an ink cartridge
US20080204528A1 (en) * 2007-02-28 2008-08-28 Kenneth Yuen Ink cartridge
JP2008221615A (ja) * 2007-03-13 2008-09-25 Seiko Epson Corp 流体収容容器ホルダ及び流体噴射装置
WO2008113094A1 (en) * 2007-03-21 2008-09-25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Fluidically damped printhead
US7321739B1 (en) * 2007-04-30 2008-01-22 Lexmark International, Inc. Cartridge with a handle for use with an image forming device
CN101590732B (zh) * 2008-05-29 2011-03-30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供墨容器的退出机构及其所适用的打印机构
CN102161279B (zh) * 2008-06-30 2013-10-16 兄弟工业株式会社 用于墨盒的转接器
JP2010012602A (ja) * 2008-06-30 2010-01-21 Brother Ind Ltd パッケージ、インクカートリッジ
CN102427948B (zh) 2009-05-18 2014-09-17 惠普开发有限公司 可更换打印组件
CN101654019B (zh) * 2009-09-12 2011-05-11 孙荣华 用弹性胶体件固定的墨盒
US8651645B2 (en) 2010-10-29 2014-02-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cartridge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GB2485593B (en) * 2010-11-19 2017-09-20 Domino Printing Sciences Pl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kjet printers
JP6171313B2 (ja) 2011-12-08 2017-08-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6051595B2 (ja) * 2012-05-21 2016-12-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TWI611942B (zh) * 2013-03-01 2018-01-21 Seiko Epson Corp 液體收容容器、液體收容容器單元、液體噴射系統、液體噴射裝置
AU2014368304B2 (en) * 2013-12-18 2017-03-09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supply unit
WO2015093008A1 (ja) 2013-12-18 2015-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ユニット
WO2015112117A1 (en) * 2014-01-21 2015-07-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placeable liquid supply having cut outs and latch
JP6512774B2 (ja) 2014-08-25 2019-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の保持部材、プリントヘッドおよびプリンタ
CN108290413B (zh) * 2015-09-04 2021-07-2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用于打印机系统的托架组件的外壳、托架组件和打印机系统
WO2017130242A1 (en) * 2016-01-29 2017-08-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ystem for consuming consumable material
CN110300654A (zh) * 2017-02-27 2019-10-0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打印材料容器接收器
US11673331B2 (en) 2017-10-05 2023-06-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upply station for dispensing build material
CN114393928A (zh) * 2021-12-23 2022-04-26 王宁 一种打印机墨盒及墨盒的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3331A (en) * 1955-01-21 1956-04-24 W L Maxson Corp Snap switch
US3700843A (en) * 1971-11-05 1972-10-24 Honeywell Inc Snap-in rigid lever actuating arrangement
US3918322A (en) * 1973-12-13 1975-11-11 Gen Motors Corp Snap-in lever assembly
US5182581A (en) 1988-07-26 1993-01-26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unit having an ink tank section containing porous material and a recording head section
EP0602020B1 (en) * 1988-12-29 1998-06-10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head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DE4130359C2 (de) * 1991-09-12 1997-04-17 Heidelberger Druckmasch Ag Vorrichtung zum Ab- und/oder Zuführen von Druckplatten einer Druckmaschine
US5467116A (en) * 1992-05-22 1995-11-14 Kabushiki Kaisha Tec Ink jet printer with device for aligning an ink cartridge
US5226719A (en) * 1992-06-08 1993-07-13 Steelcase Inc. Quick mounting arrangement for light fixtures in overhead cabinets and the like
ES2112951T3 (es) 1993-07-20 1998-04-16 Canon Kk Aparato para la impresion por chorros de tinta que utiliza una unidad de impresion con cartucho de tinta que tiene un elemento inductor del paso de tinta.
US5619239A (en) 1993-11-29 1997-04-08 Canon Kabushiki Kaisha Replaceable ink tank
DE69532150T2 (de) 1994-08-24 2004-08-26 Canon K.K. Tintenbehälter für Tintenstrahldrucker, Halter für den Behälter, Druckwagen für den Halter und Tintenstrahldrucker
JPH08174860A (ja) * 1994-10-26 1996-07-09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5699091A (en) 1994-12-22 1997-12-16 Hewlett-Packard Company Replaceable part with integral memory for usage, calibration and other data
US5812156A (en) 1997-01-21 1998-09-22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controlled by data from consumable parts with incorporated memory devices
US5629725A (en) 1995-01-04 1997-05-13 Brother International Corporation Carriage mount for an ink jet cartridge
EP0763432B1 (en) 1995-09-14 2003-04-23 Canon Kabushiki Kaisha Reading unit and recording apparatus capable of mounting such reading unit thereon
DE69635869T2 (de) * 1995-12-25 2006-10-26 Seiko Epson Corp. Tintenstrahlaufzeichnungsapparat für tintenpatrone
US6464338B1 (en) 1996-07-31 2002-10-15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head with separable tank holding member and recording unit
JP3295339B2 (ja) * 1996-08-30 2002-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ホルダー、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およびキャップ
US5788388A (en) * 1997-01-21 1998-08-04 Hewlett-Packard Company Ink jet cartridge with ink level detection
JP4395943B2 (ja) * 1998-11-26 2010-0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その情報の管理方法
US6161975A (en) * 1999-05-13 2000-12-19 Ek Success, Ltd. Marker assembly
US6155678A (en) * 1999-10-06 2000-12-05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ink cartridge for ink jet pen
US6431697B1 (en) * 2000-01-31 2002-08-13 Hewlett-Packard Company Replaceable ink container having a separately attachable latch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40120B2 (ja) 2002-11-05
DE60101007D1 (de) 2003-11-27
DE60101007T2 (de) 2004-08-19
US6431697B1 (en) 2002-08-13
EP1122076A1 (en) 2001-08-08
US6508547B2 (en) 2003-01-21
KR100731410B1 (ko) 2007-06-21
TW517013B (en) 2003-01-11
US20010045977A1 (en) 2001-11-29
CN1316334A (zh) 2001-10-10
JP2001225483A (ja) 2001-08-21
EP1122076B1 (en) 2003-10-22
CN1221394C (zh)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410B1 (ko)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및 그 조립 방법
KR100676031B1 (ko)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및 상기 잉크 용기의 삽입 및 제조 방법
EP1257423B1 (en) Latch and handle arrangement for a replaceable ink container
US6375315B1 (en) Replaceable ink container for an inkjet printing system
US6488369B1 (en) Ink container configured to establish reliable electrical and fluidic connections to a receiving station
US6302535B1 (en) Ink container configured to establish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receiving station
AU2001231257A1 (en) Latch and handle arrangement for a replaceable ink container
US6749292B2 (en) Replaceable ink container for an inkjet printing system
AU768894B2 (en) Techniques for adapting a small form factor ink-jet cartridge for use in a carriage sized for a large form factor cartridge
EP1120257B1 (en) Print head unit
EP1259380B1 (en) Ink container for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receiving station
AU2001231258A1 (en) Ink container for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receiving station
RU2284917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чернил, выполненный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установления надежной гидравлической связи с приемной станцией
KR100676032B1 (ko) 교환가능한 잉크 용기 및 상기 잉크 용기의 삽입 및 제거 방법
US6827432B2 (en) Replaceable ink container for an inkjet prin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