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7923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7923A
KR20010077923A KR1020000067099A KR20000067099A KR20010077923A KR 20010077923 A KR20010077923 A KR 20010077923A KR 1020000067099 A KR1020000067099 A KR 1020000067099A KR 20000067099 A KR20000067099 A KR 20000067099A KR 20010077923 A KR20010077923 A KR 20010077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tank
drainage
cover
evaporato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6948B1 (ko
Inventor
오카다히로카즈
코마카즈토요
카미도조노토시로
마츠모토요시아키
아키야마신이치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1675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04986B6/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77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5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de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 탱크에 담긴 물을 넘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증발기 15에서 발생한 결로 수를 저류함과 동시에, 본체 케이스 1에서 착탈이 자재하게 장착되는 배수 탱크 27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배수 탱크 27의 위면에 배수용 개구 30을 가짐과 동시에, 배수 탱크 27의 위면을 덮는 덮개 29와, 덮개 29의 배수 탱크 27의 밑면 방향으로 돌조 32를 설치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 기능을 가진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로서, 예컨대, 흡입구에서 본체 케이스 내로 받아들인 공기를 증발기에서 냉각함으로써 결로시켜서, 결로한 수분을 위쪽으로 개구한 배수 탱크에 담아 실내 공기를 제습하는, 이런 종류의 공기 조화기가 일본의 실개소(實開昭) 62-62128호 공보(F24F 1/02)에 있어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체 케이스를 이동시키거나, 본체 케이스에서 배수 탱크를 끌어낼 때에는, 배수 탱크에 관성력이 작용하여, 배수 탱크 내에 담긴 물이 이동하여, 특히, 배수 탱크 내에 만수 수위 근방까지 물이 담겼을 때에는, 배수 탱크에서 물이 넘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배수 탱크에 담긴 물을 넘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인 공기 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같은 것을 다른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같은 것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케이스 8 : 흡기구
9 : 배기구 15 : 증발기
23 : 장착구 27 : 배수 탱크
29 : 덮개 30 : 배수용 개구
32 : 돌조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의 수단은, 본체 케이스에 설치된 흡입구 및 배기구와, 그 배기구와 흡입구를 연통하는 공기 유로와, 그 공기 유로에 배치된 증발기와, 그 증발기에서 발생한 결로수를 저류함과 동시에, 본체 케이스에 착탈이 자재하게 장착되는 배수 탱크와, 그 배수 탱크 위면을 덮음과 동시에, 배수용 개구를 가진 덮개와, 그 덮개에서 배수 탱크 밑면 방향을 향하여 뻗어 설치된 돌조(突條)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의 수단은, 본체 케이스에 설치된 흡기구 및 배기구와, 그 배기구와 흡기구를 연통하는 공기 유로와, 그 공기 유로에 배치된 증발기와, 그 증발기에서 발생한 결로수를 저류함과 동시에, 본체 케이스에 설치된 장착구에서 착탈이 자재하게 장착된 배수 탱크와, 그 배수 탱크 위면을 덮음과 동시에, 배수용 개구를 가진 덮개와, 그 덮개의 배수 탱크 밑면 방향으로 설치되고, 배수 탱크의 착탈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돌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의 수단 또는 제 2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돌조를, 배수 탱크의 만수 수위보다 낮은 위치까지 뻗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의 수단 또는 제 2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돌조를 복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3에 근거하여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1은 위쪽에서 보아서 앞 뒤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의 본체 케이스로, 1쌍의 케이스 2, 3 및 밑판 4로 구성되어 있다. 5는 상기 본체 케이스 1의 안을 상부 실 6과 하부 실 7의 2 실로 칸막이하는 칸막이 벽이다. 8은 상기 상부 실 6 쪽의 본체 케이스 1의 대향하는 양 측면에 형성된 흡기구, 9는 상기 본체 케이스 1의 위면에 형성된 배기구, 10은 상기 흡기구 8과 배기구 9를 연통하는 공기 유로이다.
11은 상기 공기 유로 10에 배치된 송풍 부로, 모터 12와 송풍기 13으로 구성되어, 흡기구 3에서 공기를 빨아들여, 공기 유로 10을 거쳐서 배기구 9에서 배기 하도록 되어 있다. 14는 상기 송풍 부 11보다 상류 쪽에 배치된 열교환 부로, 증발기 15와 그 증발기 15의 하류 쪽에 배치된 응축기 16으로 구성되어, 칸막이 판 5의 위면에 세워 설치된 지지 부 17과 한쪽 편의 케이스 2에 형성된 지지부 18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19는 상기 본체 케이스 1의 위면에 세우고 눕힘이 자재한 손잡이, 20은 상기 하부 실 7을 수납실 21과 기계실 22의 2 실로 구획하는 구획 판이다. 상기 수납실 22는, 본체 케이스 1에 형성된 장착구 23을 거쳐서 착탈이 자재하게 장착되는 후술하는 배수 탱크 27을 수납하며, 기계실 23은, 후술하는 압축기 24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24는 상기 기계실 23 내에 배치된 압축기로, 상기 응축기 16 및 증발기 15와 도시되지 않은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응축기 16 및 증발기 15에 냉매를 순환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압축기 20에 의하여 응축기 16 및 증발기 15에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응축기 16으로 열의 방출 동작, 증발기 15로 열의 흡수 동작을 하기 때문에, 흡입구 8에서 본체 케이스 1 내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 15를 통과할 때에 냉각되어, 공기 중의 수분이 증발기 15의 표면에 결로 함으로써 제습 되어, 응축기 16을 통과할 때에 더워져서 상대 습도를 저하시켜서 배기구 9에서 배기된다. 상기 증발기15의 표면에 부착한 결로수는, 칸막이 판 5에 방울져 떨어진다.
25는 상기 증발기 15의 아래쪽의 칸막이 판 5에 형성된 오목한 부위로, 증발기 15에서 칸막이 판 5의 위에 방울져 떨어진 결로 수가 모이게 되어 있다. 26은 상기 오목한 부위 25의 거의 중앙에 형성된 배수 구멍이다.
27은 상기 수납실 21에 장착구(裝着口) 23에서 착탈이 자재하게 수납되는 배수 탱크로, 칸막이 판 5의 위에 방울져 떨어진 결로 수가 배수 구멍 26을 거쳐 배수 탱크 27에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28은 상기 배수 탱크 27에 설치된 손잡이이다.
29는 배수 탱크 27의 위면을 덮는 덮개로, 장착 구 23 근방에 배수용 개구 30을 가지고 있다. 31은 상기 덮개 29에 설치된 안내 구멍으로, 상기 배수 구멍 26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배수 구멍 26에서 방울져 떨어지는 결로 수를 배수 탱크 27 내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32는 상기 덮개 29의 밑면에서 배수 탱크 27의 밑면 방향으로 복수 설치된 돌조로, 배수 탱크 27의 착탈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동시에, 배수 탱크 27의 만수 수위보다 아래쪽까지 뻗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수 탱크 27에는, 도시하지 않은 만수 검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배수 탱크 27 내에 결로 수가 소정 수위까지 담긴 것을 검지하여, 알리게 되어 있다.
33은 배수 탱크 27의 장착구 23이 형성된 면의 본체 케이스 1의 위쪽에 설치된 조작 부로, 운전ㆍ정지를 하는 스위치 34, 도시되지 않은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표시 부 및 배수 탱크 27의 만수 상태를 검지한 때에 알리는 만수 표시 부 등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조작 부 33의 스위치 34를 조작하면, 실내의 공기는, 모터 12의 구동에 의하여 본체 케이스 1에 설치된 흡기구 8에서 본체 케이스 1 내로 들어가, 증발기 15에서 결로 함으로써 제습 되어, 응축기 16에서 데워진 후, 배기구 9에서 실내로 돌아온다.
증발기 15에서 결로 한 수분은 물방울로 되어 칸막이 판 5의 위에 방울져 떨어지고, 칸막이 판 5에 형성된 배수 구멍 26 및 덮개 29에 형성된 안내 구멍 31을 거쳐 배수 탱크 27에 흘러 떨어진다. 배수 탱크 27 내에 결로 수가 소정량이 담기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가 운전을 정지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만수 표시부를 점등시켜서 배수 탱크 27의 안이 만수 상태인 것을 알린다.
배수 탱크 27을 본체 케이스 1에서 끌어낼 때에, 배수 탱크 27 내에 담긴 물은 관성력에 의하여 이동하려고 하나, 배수 탱크 27의 착탈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돌조 32에 의하여 물의 이동을 방지하여, 물의 정온(靜穩)을 유지하며, 배수 탱크 27 내에 만수 수위 근방까지 물이 담긴 경우에도, 배수용 개구 30에서 물이 넘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돌조 32를 복수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배수 탱크 27 내의 물의 이동 구간을 돌조 32에 의하여 세분하여 구획하여, 물의 이동량을 적게 하고 있으며, 관성력에 의하여 구획 안의 물이 돌조 32에 충돌했을 때에 수면이 상하로 움직이는 폭을 작게 할 수 있어서, 물의 정온 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장착구 23의 근방에 배수용 개구 30을 설치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위치에 배수용 개구 30을 설치함과 동시에, 돌조 30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배수 탱크에 관성력이 작용했을 때에, 덮개에 설치된 돌조에 의하여, 배수 탱크 내의 물의 이동을 방지하기 때문에, 배수 탱크에서 물을 넘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배수 탱크를 본체 케이스에서 끌어냈을 때 등에, 덮개에 설치된 돌조에 의하여, 배수 탱크 내의 물의 이동을 방지하기 때문에, 배수 탱크에서 물을 넘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돌조를, 배수 탱크의 만수 수위보다 낮은 위치까지 뻗어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물의 이동 구간을 작게 할 수 있으며, 물의 이동을 돌조에 의하여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돌조를, 배수 탱크에 복수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물의 이동 구간을 작게 할 수 있으며, 물의 정온 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본체 케이스에 설치된 흡기구 및 배기구와, 그 배기구와 그 배기구와 흡기구를 연통하는 공기 유로와, 그 공기 유로에 배치된 증발기와, 그 증발기에서 발생한 결로 수를 저류함과 동시에, 본체 케이스에 착탈이 자재하게 장착되는 배수 탱크와, 그 배수 탱크의 위면을 덮으며 동시에, 배수용 개구를 가진 덮개와, 그 덮개에서 배수 탱크 밑면 방향을 향하여 뻗어 설치된 돌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본체 케이스에 설치된 흡기구 및 배기구와, 그 배기구와 흡기구를 연통하는 공기 유로와, 그 공기 유로에 배치된 증발기와, 그 증발기에서 발생한 결로수를 저류함과 동시에, 본체 케이스에 설치된 장착 구에서 착탈이 자재하게 장착되는 배수 탱크와, 그 배수 탱크의 위면을 덮으며 동시에, 배수용 개구를 가진 덮개와, 그 덮개의 배수 탱크 밑면 방향에 설치되고, 배수 탱크의 착탈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돌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상기 돌조를, 배수 탱크의 만수 수위보다 낮은 위치까지 뻗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되거나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
  4. 상기 돌조를 복수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
KR10-2000-0067099A 2000-01-26 2000-11-13 공기 조화기 KR100416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6759 2000-01-26
JP2000016759A JP3604986B6 (ja) 2000-01-26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923A true KR20010077923A (ko) 2001-08-20
KR100416948B1 KR100416948B1 (ko) 2004-02-05

Family

ID=18543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099A KR100416948B1 (ko) 2000-01-26 2000-11-13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16948B1 (ko)
CN (1) CN1162655C (ko)
TW (1) TW4995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01037B (zh) * 2013-04-12 2016-12-28 海尔集团公司 水换热空调
CN104110818B (zh) * 2013-06-21 2017-02-08 广东美的集团芜湖制冷设备有限公司 除湿机
CN106969435A (zh) * 2017-03-08 2017-07-21 林智勇 空气能吸湿机
CN109028330A (zh) * 2018-07-03 2018-12-18 芜湖佳华代代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机房建设用空气除湿器
KR102069074B1 (ko) * 2018-08-23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6948B1 (ko) 2004-02-05
TW499556B (en) 2002-08-21
JP2001208372A (ja) 2001-08-03
CN1162655C (zh) 2004-08-18
JP3604986B2 (ja) 2004-12-22
CN1312447A (zh) 2001-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5005B2 (ja) 空気調和機
US11077399B2 (en) Dehumidifier
KR101662891B1 (ko) 제습기
KR100416948B1 (ko) 공기 조화기
KR100342670B1 (ko) 제습기
JP4495006B2 (ja) 空気調和機
KR100342669B1 (ko) 공기조화기
JP3604986B6 (ja) 空気調和機
JP2003207167A (ja) 空気調和機
KR101371889B1 (ko) 에어컨의 응축수 누수 방지 장치
JP3370061B2 (ja) 空気調和機
KR20040017687A (ko) 공기조화기용 물받이구조
KR20040084985A (ko) 공기 조화기
JPH0552631U (ja) 除湿機
JP2022138178A (ja) 空気調和機
JP2003279067A (ja) 空気調和機
KR102139486B1 (ko) 천장형 제습기
JP2022137637A (ja) 空気調和機
JP2022137636A (ja) 空気調和機
KR20030000209A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출구조
JP2022144806A (ja) 空気調和機
JPS5818592Y2 (ja) 通水式冷房機
JP2022142816A (ja) 空気調和機
KR100238975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167714Y1 (ko) 룸 에어컨용 증발기의 에어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