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486B1 - 천장형 제습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486B1
KR102139486B1 KR1020160021452A KR20160021452A KR102139486B1 KR 102139486 B1 KR102139486 B1 KR 102139486B1 KR 1020160021452 A KR1020160021452 A KR 1020160021452A KR 20160021452 A KR20160021452 A KR 20160021452A KR 102139486 B1 KR102139486 B1 KR 102139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mpressor
ceiling
drain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278A (ko
Inventor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이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민 filed Critical 이영민
Priority to KR1020160021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486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천장형 제습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천장형 제습기는: 천장에 고정되는 본체와, 본체에 장착되어 모듈화되는 제습부 및 제습부를 커버하고,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장형 제습기{CEILING TYPE DEHUMIDFIER}
본 발명은 천장형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부품별로 모듈화되어 조립성 및 설치성이 향상되는 천장형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제습기는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을 통해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고,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원하는 공간으로 토출함으로써, 원하는 공간의 습도를 낮추는 가전 기기의 일종이다.
제습기는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응축기와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응축기와 증발기를 유동하는 냉매와 통과하는 공기를 열교환시켜 습기를 제거하게 된다.
증발기는 액체 상태의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주위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되고, 냉매가 증발하면서 증발기의 온도는 낮아지게 되며,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냉매와의 열 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지는 공기는,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응축되어 증발기의 표면에 이슬 맺히게 되고, 응축된 수분을 제외한 공기는 응축기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는 냉매 배관을 따라 유동하면서 응축기로 유동하게 되고, 응축기로 유동하는 냉매는 응축되면서 열을 방출하여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 교환된다.
이때,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매에서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여 건조된 상태로 원하는 실내로 토출되어 원하는 실내공간의 습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제습기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습과 건조 과정이 진행되면서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만 원하는 공간, 일 예로 실내로 토출되면서 실내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게 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44220호 (2007.04.27., 발명의 명칭 : 제습기)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에 제습부가 모듈화되어 조립성 및 설치성이 향상되고, 커버부에 의해 부품이 구획될 수 있어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천장형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의 모듈화에 의해 낮은 높이를 지니므로 설치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천장형 제습기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레인팬의 담수용량을 증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장형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는 천장에 고정되며,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송풍부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가 구비되고, 본체에는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수집하고, 배출시키는 드레인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드레인부는 응축수를 수집하고, 상기 증발기와 이웃한 상기 응축수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송풍부에 의한 수분 날림을 방지하도록 커버부재가 구비되고,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드레인팬과, 상기 드레인팬에 수집된 물을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송풍부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상기 압축기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센서부가 구비되는 덮개부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모듈화되어 있으며,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송풍부를 포함하는 제습부와; 상기 제습부를 커버하고, 상기 송풍부에 의해 외부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가 안내되어 토출되는 안내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를 구획하는 구획공간부가 형성되며,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드레인팬의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드레인펌프를 작동시키는 수위감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드레인팬의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여 설정 수위 이상이면, 제습작동을 정지시키는 안전수위감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기는 진동감쇄부에 의해 진동이 감쇄되며, 상기 진동감쇄부는 상기 압축기에 구비되는 장착플레이트 및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프레임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는 제습부의 각 부품을 본체에 모듈화함으로써, 조립성 및 설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부의 내부에 제습부의 각 부품과 일치되도록 안내유로와 구획공간부가 형성되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응축기와 증발기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압축기와 구동모터를 배치하여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부품의 모듈화에 의해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어 설치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인팬의 담수용량을 증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인팬의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여 드레인펌프를 작동시키는 수위감지부재 및 응축수가 설정 수위에 도달하면, 제습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안전수위감지부재에 의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부에 의해 사람 있음을 감지하여 압축기와 조명을 선택적으로 온/오프 함으로써, 소음을 최소화하고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의 커버부의 내부공간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의 내부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의 드레인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의 조립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의 커버부의 내부공간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의 내부 배치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의 드레인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의 조립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100)는 본체(110), 제습부(120) 및 덕트부(14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천장에 고정된다. 본체(110)는 제습부(120) 및 덕트부(14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천장에 전산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제습부(120)는 본체(110)에 장착되어 모듈화된다. 이러한 제습부(120)는 압축기(122), 응축기(124), 증발기(126) 및 송풍부(127)를 포함한다. 즉, 냉매가스가 압축기(122)와 응축기(124) 및 증발기(126)를 거치면서 외부공기를 제습하는 것으로서, 송풍부(127)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면, 증발기(126)를 거치면서 순간적으로 냉각되고, 이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기(126) 표면에서 결로되어 실내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본체(110)에는 압축기(122), 응축기(124), 증발기(126) 및 송풍부(127)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112)가 구비된다. 장착부(112)는 압축기(122), 응축기(124), 증발기(126) 및 송풍부(127)의 형상과 대응되어 구비되고, 각각의 압축기(122), 응축기(124), 증발기(126) 및 송풍부(127)에는 장착부(112)와 대응되는 장착브라켓이 구비되며, 상호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본체(110)에는 송풍부(127)의 작동에 의해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114)와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송풍부(127)는 구동모터(128)와 구동모터(128)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팬(129)으로 이루어지며, 송풍팬(129)은 토출구(116)와 인접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장착부(112)는 각각의 구성품이 효율적으로 배치되게 형성된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 구비되는 송풍부(127)의 구동모터(128)와 후술되는 드레인펌프(154)는 압축기(122)의 반대편에 구비되도록 장착부(112)가 구성된다. 이는 하중이 일측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덕트부(140)는 제습부(120)를 커버하고, 공기의 흐름을 안내한다. 이러한 덕트부(140)는 송풍부(127)에 의해 외부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가 안내되어 토출되는 안내유로(142)가 형성되고, 압축기(122)를 구획하는 구획공간부(144)가 형성된다. 덕트부(140)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진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부(140)는 일측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압축기(122), 응축기(124), 증발기(126), 송풍부(127)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안내유로(142)에는 응축기(124), 증발기(126), 송풍부(127)가 수용되며, 압축기(122)는 별도의 구획공간부(144)에 수용된다.
본체(110)의 안내유로(142)의 내측면은 송풍부(127)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와류를 방지하도록 곡률지게 형성된다.
덕트부(140)는 압축기(122), 응축기(124), 증발기(126) 및 송풍부(127)와 긴밀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전체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어 다양한 천장높이에 대응될 수 있어 설치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에는 제습부(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130)가 구비된다.
본체(110)에는 증발기(126)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수집하고, 배출시키는 드레인부(150)가 구비된다. 드레인부(150)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드레인팬(152) 및 드레인팬(152)에 수집된 물을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154)를 포함한다. 이때, 드레인팬(152)은 도 2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126)와 이웃한 응축기(124)의 하부로 연장 형성된다. 이는 드레인팬(152)의 담수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드레인팬(152)에는 송풍부(127)에 의한 수분 날림을 방지하도록 커버부재(153)가 구비된다. 커버부재(153)는 응축기(124)의 하부인 송풍팬(129)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다.
드레인팬(152)은 본체(1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본체(110)의 사출성형 시 드레인팬(152)은 증발기(126), 응축기(124)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팬(152)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제습된 물이 드레인팬(152)의 경사를 따라 드레인펌프(154)측으로 집수될 수 있어 물 배출이 용이하다. 드레인부(150)는 드레인팬(152)의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여 드레인펌프(154)를 작동시키는 수위감지부재(154a)를 포함한다.
수위감지부재(154a)는 플로팅 센서로 이루어져 드레인팬(152)의 수위를 감지하고,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드레인펌프(154)를 작동시켜 물을 배출시킨다. 또한, 드레인부(150)는 드레인팬(152)의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여 설정 수위 이상이면, 제습작동을 정지시키는 안전수위감지부재(155)가 더 구비된다.
안전수위감지부재(155)는 드레인팬(152)의 물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드레인펌프(154) 또는 수위감지부재(154a)의 고정시 드레인팬(152)에 수집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압축기(122), 응축기(124), 증발기(126)의 작동을 정지시켜 물 넘침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수위감지부재(155)는 전극봉 타입 감지센서 또는 PCB타입 감지센서 등 다양한 감지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압축기(122)는 진동감쇄부(160)에 의해 진동이 감쇄된다. 진동감쇄부(160)는 압축기(122)에 구비되는 장착플레이트(162) 및 장착플레이트(162)에 결합되도록 연결프레임에 구비되는 완충부재(164)를 포함한다. 장착플레이트(162)의 사방에는 완충부재(164)와 결속될 수 있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완충부재(164)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며,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결합홀에 끼움결합된다.
그리고, 본체(110)에는 압축기(122)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방출홀(11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10)의 저면은 덮개부(170)에 의해 커버된다. 덮개부(170)는 본체(110)의 저면에 결합되고, 본체(110)의 유입구(114), 토출구(116)와 대응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되며, 천장형 제습기(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덮개부(170)에는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72)가 구비된다. 그리고, 덮개부(170)에는 압축기(122)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센서부(174)가 구비된다. 센서부(174)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174)에 의해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압축기(122)의 운전을 멈출 수 있다. 이는 사람에게 압축기(122)에 의한 소음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센서부(174)는 제습기(100)의 설치공간 출입문 열림/닫힘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덮개부(170)에는 조명(176)이 구비된다. 조명(176)은 센서부(174)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덕트부(140)에는 환기부(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환기부(200)는 덕트부(140)에 구비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환기덕트(210) 및 환기덕트(2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도어(220)를 포함한다. 개폐도어(220)는 컨트롤부(130)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컨트롤부(130)의 작동모드에 따라 환기덕트(210)를 개폐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100)의 조립을 살펴보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장착부(112)에 제습부(120)를 조립한다. 즉, 제습부(120)를 이루는 각각의 압축기(122), 응축기(124), 증발기(126) 및 송풍부(127)는 장착브라켓이 구비되고, 각각의 장착브라켓은 장착부(112)에 대응되어 나사 결합된다. 이처럼 내부구성품이 본체(110)에 모듈화될 수 있어 조립성 및 설치성이 향상된다. 이때,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배치된 응축기(124)와 증발기(126)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구동모터(128)와 드레인펌프(154)가 배치되고, 반대편에는 압축기(122)가 구비되어 내부구성품의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하고, 하중을 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기(122)는 진동감쇄부(160)에 의해 진동이 완화된다.
본체(110)의 장착부(112)에 내부구성품의 모듈화된 상태에서 내부구성품을 커버하는 덕트부(140)가 결합된다. 덕트부(140)의 결합에 의해 덕트부(140)의 내부에는 외부공기가 유입구(114)를 통해 유입되어, 증발기(126)와 응축기(124)를 경유하여 제습된 후 토출구(116)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덕트부(140)의 안내유로(142)에 의해 가능하다.
이때, 압축기(122)는 덕트부(140)에 형성되는 구획공간부(144)에 수용되어 압축기(122)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덕트부(140)는 압축기(122), 응축기(124), 증발기(126) 및 송풍부(127)와 긴밀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부를 커버함으로써, 전체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어 다양한 천장높이에 대응될 수 있어 설치제약을 해소할 수 있으며, 내부를 밀폐하므로써, 생활 먼지, 벌레 등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10)에 내부구성품 및 덕트부(140)의 모듈화된 후 본체(110)의 모서리에 구비되는 전장볼트(119)를 이용하여 천장에 고정된다.
이후, 천장형 제습기(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신호에 의해 제습기(100)가 작동되면, 구동모터(128)에 의해 송풍팬(129)이 회전되어, 외부공기를 유입구(114)를 통해 유입한다. 그리고,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126)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이 결로되어 제습되고, 제습되어 온도가 낮아진 공기는 응축기(124)와 열교환된 후 토출구(116)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한 구동에 의해 실내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증발기(126)에 결로된 응축수는 하부로 낙하하여 드레인팬(152)에 수집된다. 이때, 드레인팬(152)에는 커버부재(153)가 구비되어 송풍팬(129)의 빠른 풍속에 의해 수분 날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팬(152)은 본체(110)의 사출성형시 일체로 사출성형되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인팬(152)의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여 드레인펌프(154)를 작동시키는 수위감지부재(154a)가 구비되고, 드레인팬(152)의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여 설정 수위 이상이면 제습작동을 정지시키는 안전수위감지부재(155)가 더 구비되어 드레인팬(152)의 물넘침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덮개부(170)에는 센서부(174)가 구비되고, 조명(176)이 구비되어 제습기(100)의 설치공간에 사람이 있음을 감지하면, 압축기(122)를 정지시키고, 조명(176)을 온 시킬 수 있다. 즉, 압축기(122)의 운전을 제한함으로써, 소음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조명(176)을 온 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100)는 환기부(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컨트롤부(130)에 의한 제습모드 시에는 개폐도어(220)가 환기덕트(210)를 커버한 상태임으로 실내공기를 제습할 수 있고, 환기모드 시에는 제습부(120)의 작동이 정지되고, 환기덕트(210)의 개폐도어(220)의 개방되어 실내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제습기에 의하면, 본체 장착부에 내부구성품이 모듈화됨으로써, 조립성 및 설치성이 향상되고, 하중이 집중되지 않는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하며,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천장형 제습기 110 : 본체
112 : 장착부 114 : 유입구
116 : 토출구 118 : 방출홀
120 : 제습부 122 : 압축기
124 : 응축기 126 : 증발기
127 : 송풍부 128 : 구동모터
129 : 송풍팬 130 : 컨트롤부
140 : 덕트부 142 : 안내유로
144 : 구획공간부 150 : 드레인부
152 : 드레인팬 153 : 커버부재
154 : 드레인펌프 154a : 수위감지부재
155 : 안전수위감지부재 160 : 진동감쇄부
162 : 장착플레이트 164 : 완충부재
170 : 덮개부 172 : 디스플레이부
174 : 센서부 176 : 조명
200 : 환기부 210 : 환기덕트
220 : 개폐도어

Claims (11)

  1. 천장형 제습기에 있어서,
    천장에 고정되며,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송풍부가 장착될 수 있는 장
    착부가 구비되고, 본체에는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수집하고, 배출시키는 드레인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드레인부는 응축수를 수집하고, 상기 증발기와 이웃한 상기 응축수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송풍부에 의한 수분 날림을 방지하도록 커버부재가 구비되고,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드레인팬과, 상기 드레인팬에 수집된 물을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송풍부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상기 압축기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센서부가 구비되는 덮개부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모듈화되어 있으며,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송풍부를 포함하는 제습부와;
    상기 제습부를 커버하고, 상기 송풍부에 의해 외부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가 안내되어 토출되는 안내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를 구획하는 구획공간부가 형성되며,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제습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드레인팬의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드레인펌프
    를 작동시키는 수위감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제습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드레인팬의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여 설정 수위 이상이면, 제습작동을 정지시키는 안전수위감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제습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진동감쇄부에 의해 진동이 감쇄되며, 상기 진동감쇄부는 상기 압축기에 구비되는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결합되도록 연결프레임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제습기.
KR1020160021452A 2016-02-23 2016-02-23 천장형 제습기 KR102139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452A KR102139486B1 (ko) 2016-02-23 2016-02-23 천장형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452A KR102139486B1 (ko) 2016-02-23 2016-02-23 천장형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278A KR20170099278A (ko) 2017-08-31
KR102139486B1 true KR102139486B1 (ko) 2020-07-30

Family

ID=59761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452A KR102139486B1 (ko) 2016-02-23 2016-02-23 천장형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4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3892A (ja) * 2001-09-28 2003-12-03 Toto Ltd 除湿乾燥装置
JP2004176975A (ja) * 2002-11-26 2004-06-24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の室内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963A (ja) * 1991-01-17 1993-02-23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3892A (ja) * 2001-09-28 2003-12-03 Toto Ltd 除湿乾燥装置
JP2004176975A (ja) * 2002-11-26 2004-06-24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の室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278A (ko)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0237B1 (ko) 공기조화기
KR102435202B1 (ko) 제습기
KR101440521B1 (ko) 제습기
KR20150005776A (ko) 제습기
KR101680425B1 (ko) 제습기
KR102632051B1 (ko) 공기 조화기
KR20120034446A (ko) 공기조화시스템
KR101450563B1 (ko) 공기조화기
KR102139488B1 (ko) 천장형 제습기
KR101420873B1 (ko) 공기 조화 장치
KR102139486B1 (ko) 천장형 제습기
KR101555199B1 (ko) 공기조화기
KR100509358B1 (ko) 제습기
KR20070107403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40301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KR101362664B1 (ko) 공기 조화 장치
JP2000274731A (ja) 除湿機
KR20080011507A (ko) 외기도입장치의 제어방법
CN220359529U (zh) 一种控制装置
KR950006251Y1 (ko) 에어콘 전면캐비넷의 이슬맺힘 방지용 격벽부재
JP2019098201A (ja) 除湿装置
JP2004294021A (ja) 空気調和機
KR10133523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KR20010077923A (ko) 공기 조화기
KR20000057823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