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074B1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074B1
KR102069074B1 KR1020180098562A KR20180098562A KR102069074B1 KR 102069074 B1 KR102069074 B1 KR 102069074B1 KR 1020180098562 A KR1020180098562 A KR 1020180098562A KR 20180098562 A KR20180098562 A KR 20180098562A KR 102069074 B1 KR102069074 B1 KR 102069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bucket
drain
dehumidifi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연
윤상준
김창훈
박동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8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074B1/ko
Priority to CN201910682227.1A priority patent/CN110857797B/zh
Priority to US16/548,930 priority patent/US1124717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08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cleaning air in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제습기는 버킷과; 증발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버킷으로 안내하는 드레인 유로가 형성된 드레인 팬과; 펌프와; 펌프와 연결되고 버킷의 응축수를 펌프로 안내하는 펌프 입수라인과; 펌프와 연결되고 출구가 드레인 유로에 위치하거나 버킷의 위에 위치하게 설치된 펌프 출수라인과; 드레인 유로나 버킷의 위에서 펌프 출수라인과 연결되는 아우터 튜브를 포함한다. 제습기는 아우터 튜브와 펌프 출수라인 사이에서 유출된 응축수가 드레인 유로를 통해 버킷으로 낙하되거나 버킷으로 직접 낙하되고, 응축수의 누수시 발생될 수 있는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습기의 내부나 주변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담겨지는 버킷을 갖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제습기는 습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되는 공기조화기이다.
제습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를 제습시킬 수 있고, 제습기는 증발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 팬과, 드레인 팬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수용되는 버킷을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가 버킷에 많이 쌓이면, 사용자는 버킷을 제습기에서 꺼내 버킷 내 응축수를 버릴 수 있고, 다시 버킷을 제습기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제습기는 드레인 팬에 별도의 출수라인을 연결하고 출수라인에 배수펌프를 장착하여, 배수펌프의 구동시 출수라인을 통해 응축수를 배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제습기의 일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00710 B1(2014년05월27일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00710 B1에 개시된 제습기는 저수부에 물이 자유낙하 방식으로 배출되는 배출관로가 연결되고, 배출관로에 분기관로가 연결되며, 분기관로로 물을 강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가 구비되고, 분기관로에 연장관로가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는 저수탱크를 이용한 배수와, 배수펌프를 이용한 자동 배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배출관로에 분기관로 및 배수펌프를 구비된 제습기는 배출관로와 분기관로의 연결부에 응축수 누설이 발생될 수 있고, 분기관로와 연장관로의 연결부에 응축수의 누설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렇게 누설된 응축수는 의해 제습기의 내부나 제습기의 주변이 오염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출관로가 저수부의 하부에 연결되므로, 배출관로나 연장관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배출관로나 연장관로를 별도의 마개로 각각 막아 두어야 하고 배출관로에 체크밸브가 설치되므로 부품수가 많다. 한편, 사용자가 마개를 분실할 경우, 제습기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00710 B1(2014년05월27일 공고)
본 발명은 제습기의 내부나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하면서 제습기가 설치된 곳과 먼 장소로 응축수를 배수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는 버킷과; 증발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버킷으로 안내하는 드레인 유로가 형성된 드레인 팬과; 펌프와; 펌프와 연결되고 버킷의 응축수를 펌프로 안내하는 펌프 입수라인과; 펌프와 연결되고 출구가 드레인 유로에 위치하거나 버킷의 위에 위치하게 설치된 펌프 출수라인과; 드레인 유로나 버킷의 위에서 펌프 출수라인과 연결되는 아우터 튜브를 포함한다.
드레인 팬의 배수구는 버킷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출구는 배수구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아우터 튜브는 배수구 내부에서 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제습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케이싱에는 아우터 튜브가 관통되는 아우터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구는 아우터 관통공을 향할 수 있다.
펌프 출수라인은 출수 피팅과, 출수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 피팅은 적어도 일부가 드레인 유로에 수용될 수 있고, 아우터 튜브는 출수 피팅에 연결될 수 있다.
출수 튜브는 출수 피팅과 연결될 수 있다.
펌프 출수라인은 펌프의 출수부와 연결된 펌프 튜브와, 펌프 튜브 및 출수 튜브 각각과 연결된 커넥팅 피팅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팬은 일측에 홀이 형성되고, 커넥팅 피팅은 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 피팅은 드레인 팬 외부에 펌프 튜브가 연결되는 펌프 튜브 연결부가 돌출될 수 있다. 커넥팅 피팅은 드레인 유로에 출수 튜브가 연결되는 출수 튜브 연결부가 돌출될 수 있다.
드레인 유로에는 펌프 출수라인을 드레인 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습기는 베리어와; 방수벽을 포함할 수 있다.
베리어는 버킷이 수용되는 버킷 공간과 펌프가 수용되는 기계실을 구획할 수 있다.
방수벽은 베리어에서 기계실을 향해 돌출되어 펌프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제습기는 베리어에서 절곡된 한 쌍의 버킷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버킷 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아우터 튜브가 관통되는 버킷 커버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아우터 튜브가 드레인 팬의 드레인 유로나 버킷의 위에서 펌프 출수라인과 연결되므로, 아우터 튜브와 펌프 출수라인 사이에서 유출된 응축수가 버킷으로 낙하되므로, 응축수의 누수시 발생될 수 있는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습기의 내부나 주변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튜브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펌프 출수라인를 막기 위한 마개가 필요하지 않고, 펌프 출수라인에 응축수의 역류를 막기 위한 체크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튜브와 펌프 출수라인의 연결부가 배수구 내부에 위치하므로, 이러한 연결부가 배수구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이러한 연결부의 파손이나 손상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펌프 출수라인의 출구가 드레인 팬의 배수구 내부에 위치하고, 드레인 팬의 배수구가 케이싱의 아우터 관통공을 향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아우터 튜브를 펌프 출수라인의 출구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펌프 출수라인이 드레인 팬에 고정 및 관통되어, 펌프 출수라인이 드레인 팬에 견고하게 고정 및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팬이나 펌프 출수라인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펌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버킷을 제습기 외부로 인출하였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버킷을 제습기 외부로 인출하였을 때의 제습기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습기에 드레인 호스가 연결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습기에 아우터 튜브가 연결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내부가 도시된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레인 팬과 베리어 및 베이스가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레인 팬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 입수라인과 펌프과 펌프 출수라인 및 아우터 튜브가 도시된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A-A 선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B-B 선 단면도,
도 13은 도 9의 C-C 선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버킷 내 수위가 만수가 아닐 때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버킷 내 수위가 만수일 때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운전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버킷을 제습기 외부로 인출하였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1에 도시된 버킷을 제습기 외부로 인출하였을 때의 제습기 측면도이며, 도 5은 도 1에 도시된 제습기에 드레인 호스가 연결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습기에 아우터 튜브가 연결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제습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와, 케이싱(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킷(2)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
케이싱(1)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싱(1)은 베이스(11)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바디(12)와, 제습기 내부에서 제습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 바디(1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에는 바퀴(14)가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1)에는 버킷(2)이 안착될 수 있다. 베이스(11)의 상면은 버킷(2)이 안착되는 버킷 안착면일 수 있다.
케이싱(1)은 제습기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백 커버(15)와, 제습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6)와, 제습기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17)(18)와, 제습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커버(19)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바디(12)는 백 커버(15)에 배치될 수 있고, 백 커버(15)에는 흡입 바디(12)가 배치될 수 있는 리어 개구부(15A)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바디(13)는 탑 커버(19)에 배치될 수 있다. 탑 커버(19)에는 토출 바디(13)가 배치되는 탑 개구부(19A)가 형성될 수 있다.
제습기는 배면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서 제습한 후 상면을 통해 토출할 수 있다.
케이싱(1)에는 드레인 호스(500, 도 5 참조)나 아우터 튜브(400, 도 6 참조)가 관통될 수 있는 아우터 관통공(15B, 도 5 및 도 6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에는 아우터 관통공(15B)에 위치되는 캡(15C,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고, 아우터 튜브(400)나 드레인 호스(500)를 제습기에 연결할 경우, 캡(15C)은 케이싱(1)에서 분리될 수 있고, 사용자는 아우터 관통공(15B)으로 아우터 튜브(400)나 드레인 호스(500)를 삽입하여 아우터 튜브(400)나 드레인 호스(500)를 제습기에 연결할 수 있다.
제습기는 사용자가 제습기를 조작할 수 있는 컨트롤 패널(800)이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800)은 탑 커버(19)에 배치될 수 있다.
<버킷(2)>
버킷(2)은 베이스(11)와 드레인팬 (7) 사이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고, 그 삽입 완료되었을 때, 일면(2A)이 제습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버킷(2)은 제습기의 옆에서 베이스(1)와 드레인 팬(7) 사이로 삽입될 수 있고, 제습기의 옆으로 인출된 후 운반될 수 있다. 버킷(2)은 제습기에서 좌우 방향(X)에서 착탈되는 사이드 버킷일 수 있다.
응축수가 버킷(2)에 가득 담겨지면,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2)을 케이싱(1)에서 인출한 후 버킷(2)을 비울 수 있고, 버킷(2)을 다시 케이싱(1)에 삽입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할 수 있다.
버킷(2)은 그 장착시 버킷 공간(S1)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버킷(2)은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과 우측면 및 저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다. 버킷(2)은 베리어(9)의 일면을 향하는 베리어 대향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버킷(2)은 베리어 대향판(22)의 반대편에 손잡이 바디(23)이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 바디(23)는 제습기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제습기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손잡이(24)가 돌출되거나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버킷(2)의 상부에는 펌프 입수라인(2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버킷(2)의 그 상면 전체가 개방되어 개구부(25)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상면 중 일부가 막히고, 막히지 않는 부분이 개구부(25)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드레인 호스(500)>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호스(500)를 제습기에 연결할 수 있고, 제습 도중에 발생된 응축수는 드레인 팬(7)과 드레인 호스(500)를 통해 제습기와 근접한 장소로 배수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레인 호스(500)는 드레인 팬(7)의 배수구(74)에 내삽되거나 외삽되어 드레인 팬(7)의 배수구(74)와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드레인 팬(7)에 안내된 응축수는 배수구(74)에서 버킷(2)으로 낙하되지 않고, 배수구(74)에서 드레인 호스(500)를 통해 제습기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아우터 호스(400)>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튜브(400)를 제습기에 연결할 수 있고, 버킷(2)에 담겨진 응축수는 펌프 입수라인(200)과, 펌프(100) 및 펌프 출수라인(30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아우터 튜브(400)로 안내될 수 있고, 아우터 튜브(400)를 통해 제습기와 먼 장소로 강제 배수될 수 있다. 이 경우, 아우터 튜브(400)는 그 길이가 드레인 호스(500) 보다 길고, 응축수를 드레인 호스(500) 보다 원거리로 안내할 수 있도록 그 내경이 드레인 호스(500) 보다 작을 수 있다.
<응축수 배수 방식의 선택>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2)을 인출하여 버킷(2) 내 응축수를 배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드레인 호스(500)를 제습기에 연결하여 드레인 팬(7)의 응축수가 도 5에 도시된 드레인 호스(500)를 통해 근거리로 자연 배수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아우터 튜브(400)을 제습기에 연결하여 버킷(2) 내 응축수가 도 6에 도시된 아우터 튜브(400)를 통해 원거리로 강제 배수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배수 방식들 중 어느 하나를 제습기 사용 환경에 맞게 선택할 수 있고, 제습기의 사용 편의성은 향상될 수 있다.
<제습기의 상세 구성>
제습기는 케이싱(1)의 내부에 배치된 압축기(3)와, 및 응축기(4)와, 증발기(5)와, 송풍기(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습기는 증발기(5)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드레인되는 드레인 팬(7)과, 드레인 팬(7)에서 드레인된 응축수가 담겨지는 버킷(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습기는 제습기 내부를 버킷(2)이 수용되는 버킷 공간(S1)과, 압축기(3)와 펌프(100)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하는 기계실(S2)을 구획하는 베리어(9)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3)>
압축기(3)는 냉매를 압축하는 것으로서, 기계실(S2)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3)는 베이스(11)의 상면에 올려져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4)>
응축기(4)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5)와 송풍기(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응축기(4)는 드레인 팬(7)의 상측에 증발기(5)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4)는 압축기(3)에서 압축된 냉매가 증발기(5)를 통과한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될 수 있다.
<증발기(5)>
증발기(5)는 팽창기구에 의해 팽창된 냉매가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증발될 수 있고, 공기 유동 방향으로 응축기(4)의 이전에 위치될 수 있다. 증발기(5)는 드레인 팬(7)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6)>
송풍기(6)는 제습기 외부의 공기가 증발기(5)와 응축기(4)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습기 외부로 토출되게 하는 것으로서, 공기 유동방향으로 응축기(4) 이후에 위치될 수 있다. 송풍기(6)는 드레인 팬(7)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6)는 응축기(4)를 향하는 면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6A)가 형성될 수 있고, 상면에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6B)가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팬(7)>
드레인 팬(7)은 제습기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버킷공간(S1)및 기계실(S2)은 드레인 팬(7)의 아래에 형성될 수 있고, 응축기(4)와 증발기(5)와 송풍기(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드레인 팬(7)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9)>
베리어(9)는 드레인 팬(7)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드레인 팬(7)을 지지할 수 있다. 베리어(9)는 그 하단이 베이스(11)에 올려질 수 있고, 베이스(11)와 드레인팬(7)의 사이를 버킷(2)가 수용되는 버킷 공간(S1)과, 펌프(100) 및 압축기(3)가 위치하는 기계실(S2)로 구획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내부가 도시된 배면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레인 팬과 베리어 및 베이스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레인 팬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 입수라인과 펌프과 펌프 출수라인 및 아우터 튜브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11는 도 9의 A-A 선 단면도이고, 도 12은 도 9의 B-B 선 단면도이다.
<드레인 팬(7)>
드레인 팬(7)에는 증발기(5)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버킷(2)으로 안내하는 드레인 유로(D)가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팬(7)는 상면이 개방되고 응축기(4)나 증발기(5)를 지지하는 지지 리브(71)가 형성된 드레인 바디(7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팬(7)은 드레인 바디(72)를 따라 흐른 응축수가 모이는 집수 바디(7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바디(72)의 저면(72A)은 집수 바디(73)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드레인 바디(72)로 낙하된 응축수는 드레인 바디(72)를 따라 집수 바디(73)로 모일 수 있다.
집수 바디(73)는 드레인 바디(72)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집수 바디(73)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고, 저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다.
드레인 팬(7)에는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구(74)가 형성될 수 있고, 배수구(74)는 버킷 공간(S1)으로 응축수를 배수할 수 있다. 버킷(2)이 버킷 공간(S1)에 수용되었을 때, 배수구(74)는 버킷(2)의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드레인 유로(D)에 안내되어 배수구(74)를 통과한 응축수는 배수구(74)에서 낙하될 수 있고, 이러한 응축수는 버킷(2)에 수용될 수 있다.
배수구(74)는 집수 바디(73)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중공된 형상일 수 있다. 배수구(74)는 집수 바디(73)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74)는 그 출구단(74A)을 향해 하측 방향으로 구배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74)는 케이싱(1)의 아우터 관통공(15B, 도 5 및 도 6 참조)을 향할 수 있다. 배수구(74)는 집수 바디(73)에서 후방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드레인 팬(7)의 드레인 유로(D)는 드레인 바디(72)와 집수 바디(73) 및 배수구(74)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9)>
베리어(9)는 베이스(11)와 드레인 팬(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9)는 드레인 팬(7)의 하면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습기는 베리어(9)에서 절곡된 한 쌍의 버킷 커버(91)(9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버킷 커버(91)(92) 중 어느 하나에는 아우터 튜브(400)가 관통되는 버킷 커버 관통공(92A, 도 12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제습기는 펌프(100)의 상측을 덮는 방수벽(94)을 포함할 수 있다. 방수벽(94)는 베리어(9)에서 기계실(S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방수벽(94)은 펌프(100)의 상단 위에 위치되게 베리어(9)에서 돌출될 수 있다. 방수벽(94)은 베리어(9) 중 기계실(S2)를 향하는 면세서 기계실(S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방수벽(94)은 드레인 팬(7)과 펌프(10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드레인 팬(7)이나 펌프 출수라인(300)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펌프(100)로 낙하되지 않게 막을 수 있다.
방수벽(94)은 드레인 팬(7)과 펌프(100) 중 펌프(100)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고, 펌프(100)의 상측에서 펌프(100)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방수벽(94)은 단순히 응축수를 막는 기능에 한하지 않고, 베리어(9)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특히 베리어(9) 중 펌프(100)가 장착되는 부분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 버킷 배수 유로>
제습기는 버킷(2) 내의 응축수를 강제로 펌핑하여 배수하는 버킷 배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는 펌프(100)와, 펌프 입수라인(200)와, 펌프 출수라인(300) 및 아우터 튜브(400)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100)와, 펌프 입수라인(200)와, 펌프 출수라인(300) 및 아우터 튜브(400)는 버킷(2) 내의 응축수를 펌핑하여 제습기와 먼 장소로 펌핑 배수하는 버킷 배수 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펌프(100)의 구동시, 버킷(2) 내의 응축수는 펌프 입수라인(200)와, 펌프(100)와, 펌프 출수라인(300) 및 아우터 튜브(400)를 차례로 통과한 후, 아우터 튜브(400)의 출구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아우터 튜브(4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401)이 제습기 내부로 삽입되어 제습기 내부에서 펌프 출수라인(300)과 연결될 수 있고, 제습기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아우터 튜브(400)는 제습기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가 희망하지 않을 경우, 펌프 출수라인(300)에서 분리되어 보관되거나 폐기될 수 있다.
<펌프(100)>
펌프(100)는 기계실(S2)에 수용될 수 있다. 펌프(100)는 베리어(9)에 설치될 수 있고, 베리어(9) 중 기계실(S2)을 향하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펌프(100)는 DC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기어를 갖는 DC 기어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100)은 다량의 응축수를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는 용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재 위험성을 고려하여 DC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100)는 입수부(101)와 출수부(102)가 형성된 펌프 케이스(103)와, 펌프 케이스(103)와 결합된 DC 기어드 모터(104)를 포함할 수 있다. DC 기어드 모터(104)는 펌프 케이스(103)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100)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베리어(9)에 체결될 수 있다.
<펌프 입수라인(200)>
펌프 입수라인(200)는 일단이 버킷(2)의 내부로 삽입되고 타단이 펌프(100)의 입수부(101)에 연결될 수 있으며, 버킷(2) 내의 응축수를 펌프(100)로 입수 안내할 수 있다. 펌프 입수라인(200)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여 설명한다.
<펌프 출수라인(300)>
펌프 출수라인(300)의 입구(301)는 펌프(100)에 연결될 수 있다. 펌프 출수라인(300)의 출구(302)는 버킷(2)의 위에 위치하거나 드레인 유로(D)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우터 튜브(400)는 펌프 출수라인(300)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우터 튜브(4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2)의 위나 드레인 유로(D)에서 펌프 출수라인(300)과 연결될 수 있다. 아우터 튜브(400)와 펌프 출수라인(300)의 연결부는 드레인 유로(D)나 버킷(2)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우터 튜브(400)가 드레인 유로(D)나 버킷(2)의 위 이외에서 펌프 출수라인(300)에 연결되면, 아우터 튜브(400)와 펌프 출수라인(300)의 연결부에서 발생된 누수는 버킷(2)으로 낙하되지 못하고, 베이스(11)나 제습기 주변으로 흐를 수 있다.
반면에, 아우터 튜브(400)가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2)의 위나 드레인 유로(D)에서 펌프 출수라인(300)과 연결되면, 아우터 튜브(400)와 펌프 출수라인(300)의 연결부에서 발생된 누수는 드레인 유로(D)를 통해 버킷(2)의 내부로 낙하되거나 버킷(2)의 내부로 직접 낙하될 수 있고, 제습기의 내부나 제습기의 주변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펌프 출수라인(300)의 출구(302)는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74)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아우터 튜브(400)는 배수구(74) 내부에서 출구(302)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우터 튜브(400)는 일단(401)이 배수구(74)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배수구(74) 내부에서 출구(302)로 삽입될 수 있다. 아우터 튜브(400)와 펌프 출수라인(300)의 연결부는 드레인 유로(D)에 위치하고, 연결부에서 발생된 누수는 드레인 유로(D)로 낙하된 후 배수구(74)를 통해 버킷(2)으로 낙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펌프 출수라인(300)의 출구(302)가 배수구(74) 내부에 위치하고, 아우터 튜브(400)와 펌프 출수라인(300)의 연결부가 드레인 유로(D)에 위치하면, 아우터 튜브(400)와 펌프 출수라인(300)의 연결부는 배수구(74)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배수구(74)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한편, 펌프 출수라인(300)의 출구(302)는 배수구(74) 내부에 위치되지 않고, 배수구(74)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펌프 출수라인(300)는 출구(302)를 포함하는 일부가 배수구(74) 외부로 연장되어 배수구(74) 주변에 위치할 수 있고, 아우터 튜브(400)는 배수구(74) 주변에서 출구(302)로 삽입될 수 있다. 아우터 튜브(400)와 펌프 출수라인(300)의 연결부는 버킷(2)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아우터 튜브(400)와 펌프 출수라인(300)의 연결부에서 발생된 누수는 버킷(2)으로 직접 낙하될 수 있다.
이하, 펌프 출수라인(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펌프 출수라인(300)는 응축수 유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 출수라인(300)은 적어도 일부가 드레인 유로(D)에 수용되고 아우터 튜브(400)가 연결되는 출수 피팅(310)과, 출수 피팅(310)과 연결된 출수 튜브(32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 피팅(310)은 제습기 외부에서 진입된 아우터 튜브(400)가 연결되는 것으로, 드레인 팬(7)에 그 위치가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출수 피팅(310)은 아우터 튜브(400)와 출수 튜브(320) 사이에서 아우터 튜브(400)와 출수 튜브(320)를 연통시킬 수 있다. 출수 피팅(310)은 적어도 일부가 배수구(74)에 위치하는 아우터 튜브 연결부(312)와, 아우터 튜브 연결부(312)에서 절곡된 출수 튜브 연결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유로(D)에는 펌프 출수라인(300)을 드레인 팬(7)에 고정시키는 고정부(76)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76)는 펌프 출수라인(300)의 출구(302)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고, 이를 위해, 펌프 출수라인(300)의 출구(302)를 포함하는 출수 피팅(310)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76)는 드레인 유로(D)에 위치되게 드레인 팬(7)에 형성될 수 있다.
출수 피팅(310)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부(76)에 고정될 수 있고, 이 경우, 고정부(76)는 드레인 유로(D)에 위치되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 피팅(310)은 스냅 핏 방식으로 고정부(76)에 고정될 수 있고, 이 경우, 출수 피팅(310) 중 드레인 팬(70 중 하나에는 후크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후크가 착탈되는 후크 걸이 리브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76)는 후크이거나 후크 걸이 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튜브 연결부(312)는 배수구(74) 내부에 배수구(74)의 개방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출수 튜브 연결부(314)는 아우터 튜브 연결부(312)와 직교하게 절곡될 수 있다. 출수 튜브 연결부(314)는 아우터 튜브 연결부(312)의 일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출수 튜브(320)는 출수 피팅(310) 특히, 출수 튜브 연결부(314)에 연결될 수 있다. 출수 튜브(320)는 출수 튜브 연결부(314)에 외삽될 수 있다.
출수 튜브(320)의 일예는 일단이 펌프(100)의 배수부(102)에 연결되고 타단이 출수 피팅(31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펌프(100)에서 펌핑된 응축수는 출수 튜브(320)와, 출수 피팅(31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아우터 튜브(400)으로 배수될 수 있다.
이러한, 출수 튜브(320)는 드레인 팬(7)의 테두리를 우회하여 펌프(100)의 배수부(102)로 연장되고 펌프(100)의 배수부(102)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드레인 팬(7)을 관통하여 펌프(100)의 배수부(102)로 연장되고 펌프(100)의 배수부(102)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출수 튜브(320)가 드레인 팬(7)을 관통하는 경우, 드레인 팬(7)에는 출수 튜브(320)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고, 드레인 팬(7)에는 홀과 출수 튜브(320)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출수 튜브(320)의 다른예는 일단이 후술하는 커넥팅 피팅(340)에 연결되고 타단이 출수 피팅(31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응축수는 커넥팅 피팅(340)과, 출수 튜브(320)와, 출수 피팅(31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아우터 튜브(400)으로 배수될 수 있다.
< 펌프 튜브(330) 및 커넥팅 피팅(340)>
펌프 출수라인(30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100)의 출수부(102)와 연결된 펌프 튜브(330)와, 펌프 튜브(330) 및 출수 튜브(320) 각각과 연결된 커넥팅 피팅(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 펌프 튜브(330)>
펌프 튜브(330)은 일단은 펌프 출수라인(300)의 입구(301)일 수 있고, 펌프 튜브(330)의 일단은 펌프(100)의 출수부(102)에 연결될 수 있다. 펌프 튜브(330)의 일단은 펌프(100)의 출수부(102)에 외삽될 수 있다.
펌프 튜브(330)의 타단은 커넥팅 피팅(340) 특히, 펌프 튜브 연결부(342)에 연결될 수 있다. 펌프 튜브(330)의 타단은 펌프 튜브 연결부(342)에 외삽될 수 있다.
드레인 팬(7)은 일측에 홀(75)이 형성될 수 있고, 펌프 출수라인(300)은 드레인 팬(7)의 홀(75)을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펌프 출수라인(300)의 구성 중 커넥팅 피팅(340)은 홀(75)에 배치될 수 있다.
< 커넥팅 피팅(340)>
커넥팅 피팅(340)은 드레인 팬(7) 외부에 펌프 튜브(330)가 연결되는 펌프 튜브 연결부(342)가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 피팅(340)은 드레인 유로(D)에 출수 튜브(330)가 연결되는 출수 튜브 연결부(344)가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 피팅(340)은 펌프 튜브 연결부(342)부터 출수 튜브 연결부(344)가 응축수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도 9의 C-C 선 단면도이다.
<펌프 입수라인(200)>
펌프 입수라인(200)은 펌프(100)와 연결되고 버킷(2)의 응축수를 펌프(100)로 안내할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210)>
제습기는 버킷(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플렉서블 튜브(21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210)는 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일부가 버킷(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210)는 물이 입수되는 일단(211)이 자유단일 수 일 수 있고, 물이 출수되는 타단(212)이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플렉서블 튜브(210)를 잡고 플렉서블 튜브(210)의 일부를 버킷(2)의 내부로 집어 넣을 수 있고, 버킷(2)에 응축수가 채워지면, 플렉서블 튜브(210)의 일단(211)은 버킷(2) 내부의 응축수에 잠길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210)는 펌프(100)의 구동시 버킷(2) 내부의 응축수를 석션하는 석션 튜브일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210)는 타단(212)이 펌프(100)의 입수부(101, 도 10 참조)에 연결되어 펌프(10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고, 펌프(100)의 구동시, 플렉서블 튜브(210)에 안내된 응축수는 펌프(100)로 직접 펌핑될 수 있다. 펌프(100)가 기계실(S2)에 배치될 경우, 베리어(9)에는 플렉서블 튜브(210)과 관통되는 입수라인 관통공(93)이 형성될 수 있고, 플렉서블 튜브(210)는 베리어(9)에 형성된 입수라인 관통공(93)을 관통하여 펌프(100)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베리어(9)에는 플렉서블 튜브(210)과 베리어(9) 사이를 막는 실링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210)는 그 일부가 버킷(2)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그 일단(211)이 최대한 버킷(2)의 저면(2B)과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이트(240)>
제습기는 플렉서블 튜브(210)의 일단에 설치되고 플렉서블 튜브(310)를 하측 방향으로 휘게 하는 중량을 갖는 웨이트(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240)에는 버킷(2)의 응축수를 플렉서블 튜브(210)의 내부로 안내하는 입수 통로(242)가 형성될 수 있다.
웨이트(240)는 플렉서블 튜브(210)의 일부와 함께 버킷(2)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고, 플렉서블 튜브(210)의 일단(211)을 버킷(2)의 내측 저면(2B)을 향해 당길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210)는 웨이트(240)와 함께 버킷(2)의 개구부(25)로 삽입될 수 있고, 개구부(25)를 통해 버킷(2) 내부로 삽입된 부분은 웨이트(240)와 함께 버킷(2) 내의 응축수에 잠길 수 있다.
<베리어 피팅(220)>
플렉서블 튜브(2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위해, 제습기는 플렉서블 튜브(210)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별도의 피팅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피팅은 베리어(9)에 설치된 베리어 피팅(220)일 수 있다.
제습기가 베리어 피팅(220)을 더 포함할 경우, 제습기는 펌프(100)에 연결된 펌프 입수 튜브(23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펌프 입수 튜브(230)는 베리어 피팅(220)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플렉서블 튜브(210)를 베리어 피팅(220)에 연결하면, 플렉서블 튜브(210)와, 베리어 피팅(220)와, 펌프 입수 튜브(230)는 버킷(2) 내부의 응축수를 펌프(100)로 입수 안내하는 펌프 입수라인(200)을 구성할 수 있다. 버킷(2) 내부의 응축수는 플렉서블 튜브(210)와, 베리어 피팅(220)와, 펌프 입수 튜브(2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펌프(100)로 입수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튜브(210)는 타단(212)이 베리어 피팅(220)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일단(211)이 자유단인 상태에서 그 일부가 버킷(2) 내부로 진입되거나 버킷(2)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베리어(9)에는 펌프 입수라인(200)이 관통되는 입수라인 관통공(93)이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 피팅(220)은 입수라인 관통공(93)에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 피팅(220)은 버킷(2)의 베리어 대향판(22) 보다 높게 장착될 수 있다. 베리어 피팅(220)은 펌프(100) 보다 높게 장착될 수 있다.
베리어 피팅(220)은 전체적인 형상이 'ㄱ' 형상일 수 있다. 베리어 피팅(220)는 복수개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베리어 피팅(220)는 플렉서블 튜브(210)가 연결되는 제1튜브 피팅(222)와, 제1튜브 피팅(222)에 연결되고 펌프 입수 튜브(230)가 연결되는 제2튜브 피팅(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튜브 피팅(222)는 입수라인 관통공(93)에 관통되게 장착될 수 있고, 일단이 버킷 공간(S1)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타단이 기계실(S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210)는 타단(212)가 제1튜브 피팅(222)로 내삽될 수 있고, 제1튜브 피팅(22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튜브 피팅(224)는 기계실(S2)에 위치되게 제1튜브 피팅(22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튜브 피팅(224)는 일부가 제1튜브 피팅(222)에 내삽될 수 있고, 제1튜브 피팅(222)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베리어(9)의 피팅 장착부(95)>
베리어(9)에는 베리어 피팅(220)이 장착되는 피팅 장착부(95)가 형성될 수 있다.
피팅 장착부(95)는 버킷 공간(S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피팅 장착부(95)는 베리어(9)에서 기계실(S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피팅 장착부(9)는 드레인 팬(7)의 하측에 드레인 팬(7)과 이격될 수 있다.
피팅 장착부(95)는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피팅 장착부(95)는 버킷 공간(S1)을 향하는 면이 개방될 수 있다. 피팅 장작부(95)의 내부에는 플렉서블 튜브(210)가 삽입되어 베리어 피팅(220)에 연결될 수 있는 튜브 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피팅 장착부(95)에는 펌프 입수라인(200)이 관통되는 입수라인 관통공(93)이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 피팅(220)은 입수라인 관통공(93)에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 피팅(220)의 일부는 튜브 공간(S3)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플렉서블 튜브(210)의 타단(212)은 튜브 공간(S3)을 통과하여 베리어 피팅(220)에 연결되거나 튜브 공간(S3)에서 베리어 피팅(220)에 연결될 수 있다.
피팅 장착부(95)는 베리어 피팅(220)이 관통되게 장착되는 피팅 마운터(96)를 포함할 수 있다.
피팅 장착부(95)는 베리어(9)와 피팅 마운터(96)를 잇고 베리어 피팅(220)과 플렉서블 튜브(210)의 연결부를 둘러싸는 보호 바디(97)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 입수 튜브(230)>
펌프 입수 튜브(230)는 일단이 베리어 피팅(220)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펌프(100)의 입수부(101)에 연결될 수 있고, 베리어 피팅(220)을 통과한 응축수를 펌프(100)의 입수부(101)로 안내할 수 있다.
펌프 입수 튜브(230)는 기계실(S2)에 위치할 수 있고, 기계실(S2) 내부에서 베리어 피팅(220) 및 펌프(1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버킷 내 수위가 만수가 아닐 때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버킷 내 수위가 만수일 때의 단면도이다.
제습기는 버킷(2)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위센서(600)는 버킷(2) 내 응축수의 만수를 감지할 수 있는 높이에 장착될 수 있다.
버킷(2)에는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플로우트(26)가 구비될 수 있고, 버킷(2)에는 플로우트(26)를 승강 안내되는 플로우트 가이드(27)가 형성될 수 있다. 플로우트 가이드(27)의 내부에는 플로우트(26)가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 플로우트 가이드(27)에는 응축수가 출입될 수 있는 출입구(28)가 형성될 수 있다. 플로우트 가이드(27)는 버킷(2)의 베리어 대향판(22)에 형성될 수 있다. 플로우트 가이드(27)는 버킷(2)의 베리어 대향판(22) 양면 중 버킷(2) 내부를 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수위센서(600)는 플로우트 가이드(27)를 따라 승강 안내되는 플로우트(26)의 높이를 감지하여,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플로우트(26)가 위치하는 높이에 따라, 응축수의 만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센서(600)는 베리어(9)에 장착될 수 있다. 베리어(9)에는 수위센서(600)가 버킷(2)의 향하게 장착되는 수위센서 장착부(99)가 형성될 수 있다. 수위센서 장착부(99)는 수위센서(60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센서(600)는 플로우트(26)와 비접촉된 상태에서 플로우트(26)의 높이를 감지하는 홀 센서나 광 센서 등의 비접촉식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접촉식 센서는 버킷(2) 및 플로우트(26)과 이격되어 플로우트(26)의 높이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하는 수위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비접촉식 센서의 일예는 마그네트에 의해 전압이 발생되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플로우트(26)는 홀 센서를 작동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접촉식 센서의 다른예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플로우트(26)는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을 수광부로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접촉식 센서의 일예는 플로우트(26)의 높이에 따라 스위칭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플로우트(26)에는 리미트 스위치의 접촉부에 접촉되어 리미트 스위치를 온시키는 돌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위센서(600)는 응축수와 비접촉식으로 응축수의 수위 특히, 응축수의 만수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플로우트(26)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으면, 자외선센서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버킷(2)이 제습기 내부로 충분하게 삽입되지 못할 경우, 접촉식 센서는 수위센서(600)를 오작동시킬 수 있고, 수위센서(600)는 비접촉식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수위센서(600)가 비접촉식 센서 특히, 홀 센서인 예로 들어 설명한다.
버킷(2) 내 응축수의 수위가 낮을 경우, 플로우트(26)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트 가이드(27) 내 낮은 높이 예를 들면, 제1높이(P1)에 위치될 수 있고, 이 경우, 플로우트(26)는 수위센서(600)와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수위센서(600)에는 전압이 발생될 수 있다.
버컷(2) 내 응축수의 수위가 높을 경우, 플로우트(26)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트 가이드(27) 내 높은 높이 예를 들면, 제2높이(P2)에 위치될 수 있고, 이 경우, 플로우트(26)는 수위센서(600) 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수위센서(600)에는 전압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제어부(700)는 수위센서(600)에 발생된 전압의 유/무에 따라, 응축수 수위의 만수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습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그리고, 제습기는 압축기(3) 및 송풍기(6) 및 펌프(10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수위센서(6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펌프(100)를 구동/정지시킬 수 있고, 수위센서(600)에서 만수가 감지되면 펌프(100)를 구동할 수 있다.
제습기는 펌프(100)를 이용한 응축수 배수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800)는 사용자가 응축수 배수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800)을 통해 응축수 배수모드를 선택하면, 제습기는 응축수 배수모드의 입력 여부와, 수위센서(600)의 감지결과에 따라 펌프(100)를 작동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800)을 통해 응축수 배수모드가 입력된 상태에서, 수위센서(600)에서 만수가 감지되면, 제어부(700)는 펌프(100)를 기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700)는 펌프(100)가 기동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펌프(10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버킷(2) 내 응축수를 제습기와 원거리 장소로 배수를 희망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버킷(2)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분리한 후, 플렉서블 튜브(210)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리어 피팅(220)에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플렉서블 튜브(210) 중 웨이트(240)의 반대편 타단(212)를 베리어 피팅(220)에 내삽할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210)가 베리어 피팅(2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버킷(2)의 일부를 버킷 공간(S1)으로 삽입하면서, 플렉서블 튜브(210)의 일부와 웨이트(240)를 버킷(2)의 개구부(25)를 통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2) 내부로 집어 넣을 수 있다. 그런 다음, 버킷(2)을 버킷 공간(S1)으로 깊숙히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플렉서블 튜브(210)의 연결 이전이나 이후에 아우터 튜브(400)의 일단(401)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에 형성된 아우터 관통공(15B)으로 삽입할 수 있고, 아우터 튜브(400)의 일단(401)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74)의 내부나 버킷(2) 위에서 펌프 출수라인(300)에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우터 튜브(400)의 일단(401)을 펌프 출수라인(300)의 출수 피팅(310)에 내삽할 수 있고, 아우터 튜브(240)를 펌프 출수라인(30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우터 튜브(240)를 펌프 출수라인(300)에 연결한 상태에서, 응축수의 배수를 희망하는 장소로 아우터 튜브(240)를 길게 연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800)을 통해 응축수 배수 모드를 입력한 후 제습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700)는 제습기를 제습 운전으로 운전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운전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제어부(700)는 컨트롤 패널(800)을 통해 제습 운전이 입력되면, 압축기(3) 및 송풍기(6)를 구동할 수 있다.(S101)
송풍기(6)의 구동시, 제습기 외부의 공기는 증발기(5)로 흡입되어 냉각되면서 제습될 수 있고, 이후 응축기(4)를 통과하면서 승온된 후, 송풍기(6)를 통해 제습기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습기의 작동이 진행되는 동안 증발기(5)의 표면에서는 응축수가 낙하될 수 있고, 이러한 응축수는 드레인 팬(7)의 드레인 유로(D)를 통과한 후, 버킷(2)로 낙하될 수 있다.
버킷(2)의 내부에는 응축수가 점차 채워질 수 있고, 이러한 응축수가 소정 높이로 상승되면, 수위센서(600)는 응축수의 만수를 감지할 수 있다.(S102)
제어부(700)는 컨트롤 패널(800)을 통해 응축수 배수모드가 입력된 상태에서, 응축수의 만수가 감지되면, 응축수 배수모드를 개시할 수 있고, 펌프(100)를 구동할 수 있다.(S103)(S104) 제어부(700)는 응축수 배수모드시, 압축기(3) 및 송풍기(6)를 정지할 수 있다.(S104)
펌프(100)의 구동시, 버킷(2) 내 응축수는 플렉서블 튜브(210)과, 베리어 피팅(220)과 펌프 입수 튜브(2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펌프(100)로 유입될 수 있고, 펌프(100)에서 펌프 튜브(330)로 출수될 수 있다. 펌프 튜브(330)의 응축수는 커넥팅 피팅(340)과, 출수 튜브(320)와, 출수 피팅(31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아우터 튜브(400)으로 유동될 수 있고, 이러한 응축수는 아우터 튜브(400)를 통해 사용자가 희망하는 장소로 펌핑 배수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펌프(100)가 기동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펌프(100)를 정지할 수 있다.(S105)(S106) 그리고, 제어부(700)는 정지 중인 압축기(3) 및 송풍기(6)를 구동할 수 있다.(S016)
여기서, 설정시간은 버킷(2) 내용적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시간으로서, 응축수 만수시를 기준으로 버킷(2) 내 응축수를 모두 배수하거나 최소한의 응축수를 남겨둘 수 있는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설정시간은 버킷(2)의 내용적에 비례할 수 있다. 일예로, 설정시간은 응축수 만수시를 기준으로, 버킷(2) 내 응축수를 90% 이상 배수할 수 있는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킷(2)의 내용적이 응축수 만수시의 응축수를 1분이면 모두 배수되는 크기이면, 1분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제어부(700)는 펌프(100)를 기동한 후, 1분이 경과하면, 응축수 배수 모드를 종료하고, 펌프(10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버킷(2)의 내용적은 드레인 팬(7)의 드레인 유로(D) 내용적 보다 클 수 있고, 응축수는 버킷(2)의 내부에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펌프(100)의 구동시 다량이 모두 배수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배수시, 펌프(100)의 잦은 온/오프는 최소화될 수 있고, 펌프(100)의 수명은 최대화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0)는 컨트롤 패널(800)을 통해 응축수 배수모드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수위센서(600)가 응축수의 만수를 감지하더라도 펌프(100)를 구동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나 부져 등의 알림기구(미도시)를 통해 응축수의 만수를 외부로 알릴 수 있다.(S107)
디스플레이나 부져 등의 알림기구는 컨트롤 패널(800)에 구비된 엘이디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수위센서(600)가 버킷(2)에 수용된 응축수의 만수를 감지하고, 컨트롤 패널(800)을 통해 응축수 배수모드가 미입력이면, 펌프(100)를 정지 유지하고, 알림기구가 응축수의 만수를 알리도록 알림기구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버킷 5: 증발기
7: 드레인 팬 100: 펌프
200: 펌프 입수라인 300: 펌프 출수라인
400: 아우터 튜브 D: 드레인 유로

Claims (10)

  1. 증발기에서 형성된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구비된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으로부터 배수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버킷;과
    상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를 강제로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버킷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버킷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펌프로 안내하는 펌프 입수라인;과
    상기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펌핑된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펌프 출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 출수라인의 출구는 상기 배수구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드레인 팬에서 형성된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호스 또는 상기 펌프 출수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펌프에 의해 강제 펌핑된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아우터 튜브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의 배수구는 상기 버킷의 위에 위치하고,
    상기 아우터 튜브는 상기 배수구 내부에서 상기 출구에 연결되는 제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아우터 튜브가 관통되는 아우터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는 상기 아우터 관통공을 향하는 제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출수라인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드레인 유로에 수용되고 상기 아우터 튜브가 연결되는 출수 피팅과,
    상기 출수 피팅과 연결된 출수 튜브를 포함하는 제습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출수라인은
    상기 펌프의 출수부와 연결된 펌프 튜브와,
    상기 펌프 튜브 및 출수 튜브 각각과 연결된 커넥팅 피팅을 포함하는 제습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은 일측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피팅은 상기 홀에 배치되는 제습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피팅은
    상기 드레인 팬 외부에 상기 펌프 튜브가 연결되는 펌프 튜브 연결부가 돌출되고,
    상기 드레인 유로에 상기 출수 튜브가 연결되는 출수 튜브 연결부가 돌출된 제습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유로에는 상기 펌프 출수라인을 상기 드레인 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된 제습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이 수용되는 버킷 공간과 상기 펌프가 수용되는 기계실을 구획하는 베리어와;
    상기 베리어에서 상기 기계실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펌프의 상측을 덮는 방수벽을 포함하는 제습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이 수용되는 버킷 공간과 상기 펌프가 수용되는 기계실을 구획하는 베리어와;
    상기 베리어에서 절곡된 한 쌍의 버킷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버킷 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아우터 튜브가 관통되는 버킷 커버 관통공이 형성된 제습기.
KR1020180098562A 2018-08-23 2018-08-23 제습기 KR102069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562A KR102069074B1 (ko) 2018-08-23 2018-08-23 제습기
CN201910682227.1A CN110857797B (zh) 2018-08-23 2019-07-26 除湿机
US16/548,930 US11247170B2 (en) 2018-08-23 2019-08-23 Dehumid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562A KR102069074B1 (ko) 2018-08-23 2018-08-23 제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074B1 true KR102069074B1 (ko) 2020-01-22

Family

ID=69368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562A KR102069074B1 (ko) 2018-08-23 2018-08-23 제습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47170B2 (ko)
KR (1) KR102069074B1 (ko)
CN (1) CN11085779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4741B2 (en) * 2019-12-20 2023-06-13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Drain spout for drain of HVAC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3076S1 (en) * 2020-04-23 2022-02-08 Qierling (Beijing) Health Technology Co., Ltd. Air purifier
USD942605S1 (en) * 2020-04-23 2022-02-01 Qierling (Beijing) Health Technology Co., Ltd. Air purifier
US11454406B2 (en) * 2020-06-23 2022-09-27 New Widetech Industries Co., Ltd. Dehumidifier with filtering assembly for secondary tank
US11339980B2 (en) * 2020-06-23 2022-05-24 New Widetech Industries Co., Ltd Dehumidifier with a retractable conduit
US11435094B2 (en) * 2020-06-23 2022-09-06 New Widetech Industries Co., Ltd. Dehumidifier with controlling assembly for water pump
USD1028197S1 (en) * 2022-03-04 2024-05-21 Shenzhen Kaysno Technology Co., Ltd Dehumidifier
USD994100S1 (en) * 2022-09-26 2023-08-01 Gaboss International Limited Dehumidifier
USD984620S1 (en) * 2022-09-26 2023-04-25 Gaboss International Limited Dehumidifi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607A (ko) * 2004-03-02 2005-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배수 구조
KR20110031934A (ko) * 2011-02-15 2011-03-29 주식회사 위닉스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KR20140046311A (ko)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기의 간편한 자동배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2691A (en) * 1986-06-02 1988-05-10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Dehumidifier
KR940004104B1 (ko) * 1991-08-27 1994-05-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응축수위 감지장치
JP3108273B2 (ja) * 1994-04-11 2000-11-13 シャープ株式会社 生ゴミ処理装置
KR100416948B1 (ko) * 2000-01-26 2004-02-0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JP3762755B2 (ja) * 2003-03-20 2006-04-05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除湿機
CN1712818A (zh) * 2004-06-21 2005-12-2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除湿器的漏水防止装置
JP2006082725A (ja) 2004-09-16 2006-03-30 Denso Corp 空調装置
CN1782564A (zh) * 2004-11-29 2006-06-0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除湿器的连接管结构
WO2006135171A2 (en) 2005-06-15 2006-12-21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CN101178209A (zh) * 2006-11-08 2008-05-1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除湿机
US7523854B2 (en) 2007-04-04 2009-04-28 William R. Gray Drain pan assembly
US20090064698A1 (en) 2007-09-12 2009-03-12 Spanger Gerald S Condensate liquid pumping system
US20090071181A1 (en) 2007-09-19 2009-03-19 Spanger Gerald S Evaporator unit
CN101639250B (zh) * 2008-08-01 2012-10-10 日立空调·家用电器株式会社 空气净化器以及凝结器
CN101737928A (zh) * 2008-11-24 2010-06-1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除湿机
JP2011007402A (ja) * 2009-06-25 2011-01-13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IL200680A0 (en) 2009-09-01 2010-05-17 Water Gen Ltd Vehicle integrable water producing device
CN201811404U (zh) * 2009-11-26 2011-04-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空气调节器室内单元的排水装置
CN201637000U (zh) * 2010-02-05 2010-11-17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带排水功能的除湿机
US9308490B2 (en) * 2012-06-11 2016-04-12 7Ac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urbulent, corrosion resistant heat exchangers
CN103574789B (zh) * 2012-08-02 2016-05-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水泵内置的除湿机
US20140216093A1 (en) * 2012-11-13 2014-08-07 Plexaire Llc Condensa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JP5831431B2 (ja) 2012-11-15 2015-12-0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404546B2 (ja) * 2013-01-18 2018-10-1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1560694B1 (ko) * 2013-12-26 2015-10-1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CN104949214B (zh) * 2014-03-31 2018-01-05 Lg电子株式会社 除湿机
KR101581116B1 (ko) * 2014-04-05 201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US10527341B2 (en) * 2014-04-30 2020-01-07 Arcelik Anonim Sirketi Water drainage assembly for use in a refrigeration appliance
KR20160013477A (ko) 2014-07-25 2016-02-04 주식회사 동양매직 펌프 내장형 드레인을 갖는 제습기
CN105571250B (zh) * 2016-02-26 2017-11-1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出冰口装饰盖及冰箱
CN106440311B (zh) * 2016-10-08 2019-04-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除湿机自动排水结构及除湿机
CN106482317A (zh) * 2016-11-01 2017-03-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水箱组件及除湿机
CN106766082B (zh) * 2017-01-11 2022-06-03 江苏友奥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多用集成一体式排水结构的移动除湿机
CN206398959U (zh) * 2017-01-11 2017-08-11 江苏友奥电器有限公司 一种除湿机排水结构及一种除湿机
CN206846915U (zh) 2017-05-23 2018-01-05 江苏友奥电器有限公司 一种排水接头组件及一种除湿机
US11609963B2 (en) 2018-10-24 2023-03-21 Citrix Systems, Inc. Dynamically change user interfaces for web applications and associ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607A (ko) * 2004-03-02 2005-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배수 구조
KR20110031934A (ko) * 2011-02-15 2011-03-29 주식회사 위닉스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KR20140046311A (ko)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기의 간편한 자동배수 구조
KR101400710B1 (ko) 2012-10-10 2014-05-27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기의 간편한 자동배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4741B2 (en) * 2019-12-20 2023-06-13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Drain spout for drain of HVAC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47170B2 (en) 2022-02-15
CN110857797B (zh) 2022-05-17
CN110857797A (zh) 2020-03-03
US20200061531A1 (en)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074B1 (ko) 제습기
KR102556967B1 (ko) 제습기
EP2942581B1 (en) Dehumidifier and water tank for dehumidifier
US11077399B2 (en) Dehumidifier
EP2927618A1 (en) Dehumidifier
KR101581116B1 (ko) 제습기
EP2927617A1 (en) Dehumidifier
KR101662891B1 (ko) 제습기
KR20140046311A (ko) 제습기의 간편한 자동배수 구조
KR102348040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KR20160059933A (ko)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63802B1 (ko) 제습기
JP2009198168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1801563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댐퍼 프레임 구조
JPH09269140A (ja) 除湿機
CN219640378U (zh) 除湿机
KR101581115B1 (ko) 제습기
KR100591325B1 (ko) 제습기의 배수 구조
KR20010077923A (ko) 공기 조화기
KR101791168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제습수 안내 구조
JP3870126B2 (ja) 気液排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09250453A (ja) 空気調和室内機の保守装置
KR101581549B1 (ko) 제습기
JP2006308191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100591324B1 (ko) 제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