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324B1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324B1
KR100591324B1 KR1020040012591A KR20040012591A KR100591324B1 KR 100591324 B1 KR100591324 B1 KR 100591324B1 KR 1020040012591 A KR1020040012591 A KR 1020040012591A KR 20040012591 A KR20040012591 A KR 20040012591A KR 100591324 B1 KR100591324 B1 KR 100591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rd
dehumidifier
drain
cabinet
rea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6195A (ko
Inventor
한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2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324B1/ko
Publication of KR20050086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6Fastening of transformers or ball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 F21V23/009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the casing being inside the housing of the lighting devi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열교환기와 송풍기 및 압축기가 내장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전면에 장착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과, 상기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고 배수구가 형성된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의 배수구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 패널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버킷과,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후면에 장착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후면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면 패널의 일측에는 상기 송풍기와 압축기에 전원을 연결하는 파워코드가 수납되어 정리되도록 파워코드 걸이수단이 구비된 파워코드 수납부가 형성되므로, 제습기의 생산 및 보관시 상기 파워코드가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정리되고, 상기 파워코드의 정리 작업시 작업성도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제습기, 캐비닛, 전면 패널, 후면 패널, 파워코드, 파워코드 수납부, 파워코드 걸이수단, 관통홀

Description

제습기 {Dehumidifi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파워코드 취부 구조가 구비된 후면 패널이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선이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 캐비닛 54 : 공기 흡입구
56 : 전면 패널 58 : 공기 토출구
60 : 후면 패널 62 : 송풍기
64 : 증발기 66 : 응축기
68 : 열교환기 80 : 캐비닛 본체
82 : 베이스 84 : 베리어
86 : 컨트롤 패널 88 : 에어 필터
90 : 모터 마운트 92 : 송풍 모터
94 : 터보팬 96 : 드레인 파이프
100 : 파워코드 102 : 파워코드 삽입홀
110 : 파워코드 수납부 112 : 파워코드 걸이수단
114 : 상부 후크 116 : 하부 후크
118 : 관통홀 119 : 차폐판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습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코드가 간편하게 정리될 수 있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실내의 습한 공기를 캐비닛의 내부로 흡입하고,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및 응축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하도록 하여 습도를 낮춘 후, 실내로 이 제습된 공기를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장치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는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개구된 전면에 장착되고 공기 토출구(4)가 형성된 전면 패널(6)과, 상기 캐비닛(2)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8)와, 상기 송풍기(8)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제습 작용을 하도록 증발기(10) 및 응축기(12)로 이루어진 열교환기(14)와, 상기 송풍기(8)와 열교환기(1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14)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송풍기(8) 측으로 안내하는 오리피스(16)와, 상기 증발기(10)와 응축기(12)에 연결되어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18)와, 상기 열교환기(14)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14)의 제습시 생성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드레인 팬(20)과, 상기 드레인 팬(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14)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가 담수되고 응축수의 수위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되는 버킷(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2)은 제습기(1)의 상면 및 양측면을 형성하는 캐비닛 본체(24)와, 상기 캐비닛 본체(24)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습기(1)의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2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 본체(24)는 후면 상측에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 필터(28)가 장착되고, 상기 에어 필터(28)의 하측에는 상기 버킷(22)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습기(1)의 공기 흡입구(미도시)는 캐비닛 본 체(24)와 버킷(22)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6)는 상면에 상기 압축기(18)가 설치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버킷(2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올림되고, 상기 압축기(18)가 설치되는 공간과 버킷(22)이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압축기(18)와 버킷(22) 사이에 베리어(30)가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버킷(22)은 상기 베이스(26)의 상면에 후방으로 인출 가능토록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 팬(20)으로부터 응축수가 유입되어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제습기는 상기 송풍기(8)가 구동됨에 따라 실내측의 습한 공기가 상기 공기 흡입구의 에어 필터(28)를 통과하면서 상기 캐비닛(2)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열교환기(14)를 지나면서 제습이 이루어진 후 상기 전면 패널(6)의 공기 토출구(4)를 통해 건조한 공기가 실내측으로 다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14)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10)의 표면에는 응축수가 생성되어 상기 드레인 팬(20)에 낙하되고, 상기 드레인 팬(20)에 수거된 응축수는 배수구(20a)를 통해 상기 버킷(22)으로 유입되어 상기 버킷(22)의 내부에 담수된다.
상기 버킷(22)에 일정량 이상의 응축수가 담수되면, 사용자는 버킷(22)을 후방으로 인출하여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버린 후 상기 캐비닛(2)의 후면 하측으로 다시 밀어 넣어 장착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는 외부로부터 상기 송풍기(8)와 압축기(18)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코드(32)가 상기 제습기(1)의 외측에 늘어진 형 상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제습기(1)의 보관 및 생산시 늘어진 파워코드(32)에 의해 작업이 방해를 받아 작업성이 저하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파워코드(32)는 와이어 및 접착 테이프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정리되나,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파워코드(32)를 정리하는 작업이 용이치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정리된 파워코드(32)가 자주 풀어져 정리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습기(1)의 포장시 상기 파워코드(32)를 수납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수납공간을 포장재에 형성해야 하므로, 상기 파워코드(32)를 수납공간에 수납하면서 포장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성이 저하되고, 상기 제습기(1)의 포장이 불필요하게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습기에 파워코드를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제습기의 보관 및 생산시 파워코드가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정리되고, 상기 제습기의 포장시 포장이 컴팩트하게 되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습기는 열교환기와 송풍기 및 압축기가 내장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전면에 장착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과, 상기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고 배수구가 형성된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의 배수구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 패널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버킷과,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후면에 장착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후면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면 패널의 일측에는 상기 송풍기와 압축기에 전원을 연결하는 파워코드가 수납되어 정리되도록 파워코드 걸이수단이 구비된 파워코드 수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습기는 상기 드레인 팬의 응축수가 연속적으로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구에 일단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후면 패널에 타단이 관통되는 드레인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 패널의 파워코드 수납부에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타단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파워코드 취부 구조가 구비된 후면 패널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선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캐비닛(52)과, 상기 캐비닛(52)의 개구된 전면에 장착되고 공기 흡입구(54)가 형성된 전면 패널(56)과, 상기 캐비닛(52)의 개구된 후면에 장착되고 공기 토출구(58)가 형성된 후면 패널(60)과, 상기 전면 패널(56)의 공기 흡입구(54)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54)로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공기 토출구(58)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62)와, 상기 송풍기(62)와 전면 패널(56)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54)로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제습 작용을 하는 증발기(64) 및 응축기(66)로 이루어진 열교환기(68)와, 상기 증발기(64)와 응축기(66)에 연결되어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7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습기는 상기 송풍기(62)와 열교환기(68)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68)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송풍기(62) 측으로 안내하는 오리피스(72)와, 상기 열교환기(68)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68)의 제습시 생성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드레인 팬(74)과, 상기 드레인 팬(74)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 팬(74)의 응축수가 담수되고 응축수의 수위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 상기 전면 패널(56)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버킷(7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52)은 제습기(50)의 상면 및 양측면을 형성하는 캐비닛 본체(80)와, 상기 캐비닛 본체(80)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습기(50)의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8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82)의 상면에는 상기 압축기(70)가 설치 고정되고, 상기 버킷(76)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올림되며, 상기 압축기(70)와 버킷(76) 사이에는 상기 압축기(70)가 설치되는 공간과 버킷(76)이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베리어(84)가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 패널(56)은 상기 캐비닛 본체(80)의 전면 상부에 장착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습기(5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86)이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86) 이외의 부분에는 공기 흡입구(54)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면 패널(56)의 배면에는 에어 필터(88)가 장착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54)로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후면 패널(60)은 상기 캐비닛 본체(80)와 베이스(82)의 개구된 후면에 장착되고, 중앙에 공기 토출구(5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공기 흡입구(54)와 공기 토출구(58)에는 상기 제습기(50)의 내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흡입 그릴(54a)과 토출 그릴(58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송풍기(62)는 상기 오리피스(72)의 전면에 고정된 모터 마운터(90)에 의해 설치 고정된 송풍 모터(92)와, 상기 오리피스(72)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송풍 모터(92)의 회전축에 설치된 터보팬(9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72)의 중앙에는 상기 열교환기(68)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되는 송풍홀(72a)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모터(92)의 회전축은 송풍홀(72a)을 관통하여 상기 오리피스(72)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터보팬(94)은 송풍홀(72a)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송풍홀(72a)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주방향으로 송풍시키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68)는 공기 흡입구(54)에서 공기 토출구(58) 방향으로 상기 증발기(64)와 응축기(66)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64)와 응축기(66)는 냉매관(미도시)에 의해 상기 압축기(70)와 연결된다.
상기 압축기(70)는 상기 베리어(84)와 후면 패널(60)의 공기 토출구(58)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82)의 상면 후부에 장착되고, 상기 터보팬(94)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압축기(70)를 지나 상기 공기 토출구(58)로 송풍됨으로 상기 압 축기(70)는 건조한 공기에 의해 추가적인 방열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드레인 팬(74)은 상기 베리어(84)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열교환기(68)가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68)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수거하게 되고, 일측에는 수거된 응축수를 상기 버킷(76)으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74a)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74a)는 드레인 팬(74)의 일측에서 파이프 형상으로 하향 돌출되어 상기 버킷(76)으로 드레인 팬(74)의 응축수를 낙하시키게 되고, 낙하된 응축수는 상기 버킷(76)에 담수된 후 사용자에 의해 간헐적으로 버려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습기(50)의 배수 방법에는 버킷(76)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배수 방법과 아울러 드레인 파이프(96)를 이용하는 연속적인 배수 방법이 있는 바, 상기 드레인 파이프(96)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파이프 구조의 연결 부재로서, 일단이 상기 배수구(74a)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후면 패널(60)을 관통하여 제습기(50)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드레인 파이프(96)에 의해 응축수가 연속 배수될 경우에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96)의 타단에 배수 호스(미도시)가 연결되어 실외로 응축수를 배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 팬(74)에 수거된 응축수는 배수구(74a)를 통해 상기 드레인 파이프(96)로 유입되고, 상기 드레인 파이프(96)에 의해 응축수는 제습기(50) 외부로 안내된 후 상기 배수 호스를 통해 실외로 응축수가 배수된다.
상기 버킷(76)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 구조로 이루어 져 상기 전면 패널(56)의 하측에 전방으로 인출 가능토록 설치된다. 즉, 상기 버킷(76)은 상기 베이스(82)의 상면 전부에 서랍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면 패널(56)과 베이스(82)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밀어 넣거나 꺼내게 된다.
이러한 버킷(76)은 상기 전면 패널(56)과 함께 제습기(50)의 전면을 형성하게 된다.
삭제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후면 패널에는 상기 제습기(50)의 송풍기(62)와 압축기(70) 및 컨트롤 패널(86)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코드(100)가 소정의 길이로 관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파워코드(10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드레인 팬(74)의 배수구(74a)와 대향되는 부위에 파워코드 수납부(1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워코드 수납부(110)는 상기 공기 토출구(58)가 형성되지 않은 후면 패널(60)의 가장자리에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파워코드(100)가 제습기(50)의 내부에 삽입 연결되도록 상기 후면 패널(60)의 하단 일측에 파워코드 삽입홀(10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워코드 수납부(110)는 제습기(50)의 내측을 향해 함몰된 홈 구조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파워코드(100)가 감겨짐과 동시에 걸어지는 파워 코드 걸이수단(112)이 형성된다.
상기 파워코드 걸이수단(112)은 상기 파워코드 수납부(110)에서 제습기(50)의 외측으로 돌출된 후 선단이 꺽임된 후크로서, 상기 파워코드 수납부(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선단이 상측으로 꺽임된 상부 후크(114)와, 상기 파워코드 수납부(1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선단이 하측으로 꺽임된 하부 후크(116)로 구성된다.
즉, 상기 파워코드 걸이수단(112)은 전체적으로 'ㄱ'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파워코드 수납부(110)의 상부와 하부에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상기 파워코드(1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습기(50)는 제습시 생성된 응축수를 연속적으로 배수하기 위해 상기 드레인 파이프(96)와 배수 호스가 사용되는 바, 상기 파워코드 수납부(110)에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96)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홀(118)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18)은 상부 후크(114)와 하부 후크(116)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파이프(96)의 삽입시 제거되는 차폐판(119)에 의해 막힘된 상태로 출고된 후 응축수의 연속배수시 사용자에 의해 탈거된다. 따라서, 상기 차폐판(119)은 탈거가 용이하도록 둘레를 따라 절개선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후면 패널에 파워코드를 취부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파워코드(100)를 후면 패널(60)의 상부 후크(114)와 하부 후크(116)에 8자 형상으로 감은 후 밴드나 와이어 등을 사용하여 상기 파워코드(100)를 파워코드 수납부(110)에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파워코드(100)는 제습기(50)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의 파워코드 수납부(110)에 수납되어 상기 제습기(50)의 외측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상부 후크(114)와 하부 후크(116)로 이루어진 파워코드 걸이수단(112)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파워코드 수납부(110) 외측으로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습기(50)를 생산, 보관, 이송, 포장, 적재하는 과정에서 상기 파워코드(100)가 간편하게 정리되고, 상기 후면 패널(60)의 파워코드 수납부(110)에 안정적으로 수납되며, 상기 파워코드(100)가 제습기(5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지 않아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재의 형상이 단순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파워코드(100)는 적당한 크기의 8자 형상으로 매듭된 후 상기 파워코드 걸이수단(112)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파워코드 수납부(110)에 수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파워코드 수납부(110)의 위치나, 상기 파워코드 걸이수단(112)의 형상은 제습기(50)의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위치와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습기는 후면 패널에 파워코드가 수납되는 파워코드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워코드 수납부에 파워코드를 감아 거는 걸이수단이 형성되므로, 제습기의 생산 및 보관시 상기 파워코드가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정리되고, 상기 파워코드의 정리 작업시 작업성도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습기의 포장시 상기 파워코드를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수납공간이 생략되므로, 포장재가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어 포장 비용이 절감되고, 아울러 제습기의 포장이 컴팩트하게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열교환기와 송풍기 및 압축기가 내장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전면에 장착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과;
    상기 열교환기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고 배수구가 형성된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의 배수구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 패널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버킷과;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후면에 장착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후면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면 패널의 일측에는 상기 송풍기와 압축기에 전원을 연결하는 파워코드가 수납되어 정리되도록 파워코드 걸이수단이 구비된 파워코드 수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는 상기 드레인 팬의 응축수가 연속적으로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구에 일단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후면 패널에 타단이 관통되는 드레인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 패널의 파워코드 수납부에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타단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코드 수납부는 상기 후면 패널의 전방으로 향해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코드 수납부는 상기 후면 패널에 드레인 팬의 배수구와 대향되는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사용시 절개되도록 절개선이 둘레에 형성된 차폐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코드 걸이수단은 상기 파워코드 수납부에서 제습기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파워코드의 임의 탈거를 방지하기 위해 선단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꺾인 한 쌍의 후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KR1020040012591A 2004-02-25 2004-02-25 제습기 KR100591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591A KR100591324B1 (ko) 2004-02-25 2004-02-25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591A KR100591324B1 (ko) 2004-02-25 2004-02-25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195A KR20050086195A (ko) 2005-08-30
KR100591324B1 true KR100591324B1 (ko) 2006-06-19

Family

ID=3727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591A KR100591324B1 (ko) 2004-02-25 2004-02-25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3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734A (ja) * 1995-01-31 1996-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機
KR19980040317U (ko) * 1996-12-21 1998-09-15 배순훈 파워코드 정리고정장치
KR19990032134U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로터리히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734A (ja) * 1995-01-31 1996-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機
KR19980040317U (ko) * 1996-12-21 1998-09-15 배순훈 파워코드 정리고정장치
KR19990032134U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로터리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195A (ko) 2005-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6967B1 (ko) 제습기
KR101174529B1 (ko) 제습기
KR101897571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JP2007147141A (ja) 空気調和装置
JP4124226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905312B1 (ko) 공기조화기
KR20170081946A (ko) 공기정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KR20090022093A (ko) 공기조화기
KR20090022098A (ko) 공기조화기
KR100591324B1 (ko) 제습기
KR101328901B1 (ko) 이동식 공기조화기
KR101633789B1 (ko) 공기조화기
JP4584850B2 (ja) 除湿機
KR20070013449A (ko) 의류건조기기
KR100591325B1 (ko) 제습기의 배수 구조
JP4165246B2 (ja) 空気調和機
KR100761952B1 (ko) 제습기
JP2004245448A (ja) 空気調和機
KR100758947B1 (ko) 제습기의 베이스
KR20050088605A (ko) 제습기의 배수 구조
KR20090022106A (ko) 공기조화기
KR100409003B1 (ko)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JP2940786B2 (ja) 除湿機
KR20040021349A (ko)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20050088606A (ko) 제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