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1349A -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1349A
KR20040021349A KR1020020052960A KR20020052960A KR20040021349A KR 20040021349 A KR20040021349 A KR 20040021349A KR 1020020052960 A KR1020020052960 A KR 1020020052960A KR 20020052960 A KR20020052960 A KR 20020052960A KR 20040021349 A KR20040021349 A KR 20040021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umidifier
sliding door
discharge port
discharg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진철
양성룡
이종혁
배경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1349A/ko
Publication of KR20040021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34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기의 미사용시 토출구를 닫을 수 있어 먼지 및 이물질이 제습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한 후 제습된 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습기 미사용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토출구로 이동시켜 토출구를 닫아 둘 수 있으므로, 먼지나 이물질이 상기 토출구를 통해 제습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An outlet open and close structure of dehumidifier}
본 발명은 실내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습기의 미사용시 토출구를 닫을 수 있어 먼지 및 이물질이 제습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실내의 습한 공기를 캐비닛의 내부로 흡입하고,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하도록 하여 습도를 낮춘 후, 실내로 이 제습된 공기를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종래의 제습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 흡입구(2)가 형성되고 상부에 토출구(4)가 형성된 캐비닛(6)과, 상기 흡입구(2)에 장착되어 캐비닛(6)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에어필터(8)와, 상기 캐비닛(6)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터보팬(10)과 모터(12)로 이루어진 송풍기(14)와, 상기 터보팬(10)과 흡입구(2) 사이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를 제습할 수 있도록 증발기(16)와 응축기(18)로 이루어진 열교환기(20)와, 상기 증발기(16)와 응축기(18)를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2)와, 상기 증발기(16)와 응축기(18)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가 흡입되는 오리피스(24)와, 상기 오리피스(24)와 결합되고 상기 모터(12)가 고정되며 상기 터보팬(10)의 양측과 전방과 하측을 에워싸는 하우징(26)과, 상기 열교환기(20)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 팬(32)과, 상기 드레인 팬(32)에 떨어진 응축수가 모이는 버킷(36)과, 상기 캐비닛(6)의 내측 하부를 압축기(22) 장착 영역과 버킷(36)의 수납 영역을 구획하는 베리어(3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6)과 오리피스(24)는 상부에 상기 캐비닛(6)의 토출구(4)와 통하는 토출구(28)가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16)와 응축기(18)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를 제습기의 상측으로 토출한다.
또, 상기 하우징(26)과 오리피스(24)의 토출구(28)에는 제습기 작동 중에 손이나 위험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보호 그릴(30)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제습기는 상기 모터(12)의 구동에 의해 터보팬(10)이 회전되면 제습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에어필터(8)를 통과하여 캐비닛(6)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16)와 응축기(18)를 차례로 통하면서 제습된 후, 상기 오리피스(24)와 하우징(26) 사이로 유입되고, 상기 토출구(4,28)를 통해 제습기 상측으로 토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제습기는 미사용시 상기 토출구(4,28)와 보호 그릴(30)을 통해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먼지가 상기 터보팬(12) 및 모터(10)에 붙게 되어 송풍기(14)의 송풍 능력을 떨어트리거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습기 미사용시 먼지나 이물질이 제습기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토출구를 개방할 경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토출구를 개방할 경우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토출구를 밀폐할 경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토출구를 밀폐할 경우의 내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와 도어 구동장치가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흡입구54; 토출구
56: 캐비닛57: 수납홈
60: 터보팬66: 증발기
68: 응축기 74: 오리피스
75: 도어 관통홀76: 하우징
78: 토출구 90: 슬라이딩 도어
92: 손잡이102: 모터
106: 피니언108: 랙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는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한 후 제습된 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상향 토출시키는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토출구를 개방할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제습기 일실시예의 토출구를 개방할 경우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5는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토출구를 밀폐할 경우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토출구를 밀폐할 경우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제습기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 흡입구(52)가 형성되고 상부에 토출구(54)가 형성된 캐비닛(56)과, 상기 흡입구(52)에 장착되어 캐비닛(56)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에어필터(58)와, 상기 캐비닛(56)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터보팬(60)과 모터(62)로 이루어진 송풍기(64)와, 상기 터보팬(60)과 흡입구(52) 사이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를 제습할 수 있도록 증발기(66)와 응축기(68)로 이루어진 열교환기(70)와, 상기 증발기(66)와 응축기(68)를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72)와, 상기 증발기(66)와 응축기(68)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가 흡입되는 오리피스(74)와, 상기 오리피스(74)와 함께 터보팬(60)의 전후, 좌우, 하측을 에워싸도록 상기 오리피스(74)와 결합되고 상기 모터(62)가 고정되며 상기 오리피스(74)와의 사이에 상기 캐비닛(56)의 토출구(54)와 통하는 토출구(78)가 형성된 하우징(76)과, 상기 열교환기(70)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 팬(82)과, 상기 드레인 팬(82)에 떨어진 응축수가 모이는 버킷(86)과, 상기 캐비닛(6)의 내측 하부를 압축기(72) 장착 영역과 버킷(86)의 수납 영역을 구획하는 베리어(88)와, 상기 토출구(54,78)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54,7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딩 도어(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56)은 상기 토출구(54,78)의 주변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90)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수납홈(57)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76)과 오리피스(74)의 토출구(78)에는 제습기 구동 중에 손이나 위험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보호 그릴(80)이 장착되고, 상기 오리피스(74)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90)가 진퇴되기 위해 관통되는 도어 관통홀(75)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90)는 상기 토출구(54,78)와 크기와 형상이 같게 이루어지고, 일측에 손잡이(92)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54,78)를 밀폐할 경우 공기의 토출 방향과 직교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90)는 상기 보호 그릴(80)보다 높은 위치로 전후 슬라이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손잡이(92)를 잡고 뒤로 당겨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90)를 후진시키면 상기 토출구(54,78)는 개방되게 되고, 상기 제습기는 상기 토출구(54,78)를 통한 제습 공기의 토출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제습기를 온 작동시키면 상기 압축기(72)는 구동되어 상기 응축기(68)와 증발기(66)로 냉매가 순환되게 하고, 상기 모터(62)는 구동되어 상기 터보팬(60)을 회전시킨다.
상기 터보팬(60)의 회전시 상기 제습기의 외부 공기는 상기 터보팬(60)의 송풍압에 의해 상기 캐비닛(56)의 흡입구(52)로 흡입되고, 상기 에어필터(58)를 지나면서 먼지나 이물질이 걸름된다.
상기 캐비닛(56)의 흡입구(52)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66)와응축기(68)를 차례로 지나면서 제습된 후 상기 오리피스(74)와 하우징(76)의 사이로 유입되고, 상기 오리피스(74)와 하우징(76) 상부의 토출구(78)와 캐비닛(56)의 토출구(54)를 차례로 지나서 제습기 상측으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제습기를 오프 작동시킨 후, 상기 손잡이(92)를 잡고 앞으로 밀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도어(90)는 상기 토출구(54,78)를 향하여 전진되어 토출구(54,78)를 막는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90)가 도어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진퇴되어 제습기 온 작동시 상기 토출구(54,78) 후방으로 후진되고, 제습기 오프 작동시 토출구(54,78)로 전진되어 상기 토출구(54,78)를 간편하게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와 도어 구동장치가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이다.
상기 도어 구동장치(100)는 모터(102)와, 상기 모터(102)의 구동력을 상기 슬라이딩 도어(9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10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102)는 상기 캐비닛(56)의 수납홈(57) 옆에 고정되고, 제습기 제어부(미도시)에서 송출된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스텝모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기구(104)는 상기 모터(102)의 샤프트(103)에 고정된 피니언(106)과, 상기 피니언(106)에 치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90)에 형성된 랙(108)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 구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제습기의 온 작동시 상기 모터(102)는 구동되어 상기 피니언(106)을 회전시키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90)는 상기 도어 수납홈(57) 내측으로 후진되어 제습된 공기가 토출구(54,78)를 통해 제습기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습기를 오프 작동시키면 상기 모터(102)는 역구동되어 상기 피니언(106)을 역회전시키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90)는 상기 토출구(54,78)를 향해 전진되어 제습기 미사용시 토출구(54,78)를 통해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는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작동되는 슬라이딩 도어가 배치되어 제습기 미사용시 상기 토출구를 닫아 둘 수 있고, 먼지나 이물질이 상기 토출구를 통해 제습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제습기는 상기 토출구의 주변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제습기 내부로 수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간편하고 제습기 외부 미관이 향상된 이점이 있다.
또,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동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 상기 제습기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샤프트에 고정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형성된 랙으로 구성된 도어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제습기 온 작동시 상기 토출구를 자동으로 밀폐하고 제습기 오프 작동시 상기 토출구를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한 후 제습된 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는 상기 토출구의 주변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진퇴시키는 도어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동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슬라이딩 도어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모터의 샤프트에 고정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형성된 랙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1020020052960A 2002-09-03 2002-09-03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20040021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960A KR20040021349A (ko) 2002-09-03 2002-09-03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960A KR20040021349A (ko) 2002-09-03 2002-09-03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349A true KR20040021349A (ko) 2004-03-10

Family

ID=37325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960A KR20040021349A (ko) 2002-09-03 2002-09-03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134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07310A (zh) * 2010-03-31 2011-10-0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有弧形热交换器的除湿机
KR20160006419A (ko) * 2014-07-09 2016-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KR20160101331A (ko) * 2015-02-16 2016-08-25 코웨이 주식회사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
CN114284923A (zh) * 2022-01-28 2022-04-05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变电站综合测控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07310A (zh) * 2010-03-31 2011-10-0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有弧形热交换器的除湿机
KR20160006419A (ko) * 2014-07-09 2016-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KR20160101331A (ko) * 2015-02-16 2016-08-25 코웨이 주식회사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
CN114284923A (zh) * 2022-01-28 2022-04-05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变电站综合测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358B1 (ko) 송풍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
KR20150062348A (ko) 제습기
JP4909699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590330B1 (ko) 환기 겸용 공기조화기
KR100737448B1 (ko) 공기조화기
KR100867953B1 (ko) 공기조화기
KR20040021349A (ko)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20050010346A (ko) 공기조화기
KR101267005B1 (ko) 열회수형 환기장치
KR100591325B1 (ko) 제습기의 배수 구조
CN100430657C (zh) 除湿机的排出口开闭结构
KR015670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CN217131412U (zh) 一种新风除湿机
KR19990041496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20050088605A (ko) 제습기의 배수 구조
KR20040029622A (ko) 제습기의 응축수 배출차단장치
KR100236018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0530895B1 (ko) 실내기용 보호커버의 작동구조
JP200725573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565510B1 (ko) 제습기
KR20050088606A (ko) 제습기
KR0156701B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900006949Y1 (ko) 에어콘을 겸한 제습기
KR19990041499A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705079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