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419A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419A
KR20160006419A KR1020140085943A KR20140085943A KR20160006419A KR 20160006419 A KR20160006419 A KR 20160006419A KR 1020140085943 A KR1020140085943 A KR 1020140085943A KR 20140085943 A KR20140085943 A KR 20140085943A KR 20160006419 A KR20160006419 A KR 20160006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main body
rack
cover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2574B1 (ko
Inventor
이건희
박현욱
서준원
한승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5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5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06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상된 토출구의 개폐구조를 갖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제습기는 본체, 본체의 상부에 마련된 토출구, 토출구를 덮도록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부재, 토출구를 본체의 외관상 노출시키기 위해 커버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외관에 노출된 토출구를 숨김으로 이물질이 제습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향상된 토출구의 개폐구조를 갖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장치이다. 제습기의 작동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우선 실내 공간의 습한 공기를 본체의 내부로 흡입한다.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를 통과하며 냉각되고,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가 제거된다. 수증기가 제거된 공기는 응축기를 통과하며 온도가 높아지고 습도가 낮아진다. 이러한 제습된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즉, 제습기는 액체 상태의 냉매를 증발기에서 증발시킴으로써 주위의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는 방법을 사용한다. 냉매가 증발하면서 증발기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 역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 주위의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응축되어 증발기의 표면에 이슬로 맺히게 된다. 제습기 내부에는 증발기 표면에 맺힌 응축수를 저장하는 물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습기는 제습과정에서 온도가 높아진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를 포함한다. 온도가 높고 가벼운 토출공기를 실내공간으로 효과적으로 토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토출구는 본체의 상부에 마련된다.
또한, 토출구는 제습기의 외관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노출된 토출구에 의해 제습기 전체의 외관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습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토출구를 통해 제습기 내부로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습기의 성능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토출구가 외관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제습기를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구동유닛에 의해 이동하는 커버부재로 인해 토출공기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된 토출구, 상기 토출구를 덮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토출구를 상기 본체의 외관상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pinion)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랙(rac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랙과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커버부재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동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를 회전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유닛은 만곡되게 형성된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랙은 커버후크와, 상기 커버후크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커버홈 중 하나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커버후크와 상기 커버홈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랙은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작동선택을 위한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버튼부와 인접한 제 1단과, 상기 제 1단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 2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2단보다 상기 제 1단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1단보다 상기 제 2단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려 직선이동하는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랙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랙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랙은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랙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제습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마련된 토출구,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토출구에 설치되는 블레이드, 상기 토출구를 외관상 노출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토출구 및 상기 블레이드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블레이드는 별도의 모터에 의해 각각 구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토출구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외관에 노출된 토출구를 숨김으로 이물질이 제습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토출구를 숨기는 커버부재를 본체에서 착탈을 손쉽게 구현하여 청소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공기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커버부재와 구동유닛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구동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공기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공기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본체와 케이스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설치유닛, 구동유닛 및 커버부재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의 구동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1)의 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1)의 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는 물통(12)을 포함할 수 있다. 물통(12)은 본체(10)의 일 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10)에서 물통(12)을 제거하여 물통(12) 내에 수집된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손잡이(14)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14)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4)를 파지하여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의 하부에는 복수의 바퀴(WHEEL)(15, 도 3)가 마련되어, 제습기(1)의 이동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제습기(1)의 작동 선택을 위한 버튼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18)는 제습기(1)의 전원 및 후술할 순환팬(40, 도 3) 등의 동작을 선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튼부(18)는 사용자가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전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커버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토출구(24, 도 3)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1)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제습기(1)의 구성요소 및 작동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체(10)는 본체(1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2)와, 본체(10)의 내부에서 공기가 빠져나가는 토출구(24)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0)는 열교환기(30), 순환팬(40), 압축기(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22)는 본체(1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흡입구(22)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1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22)에는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도록 필터(16)가 장착될 수 있다.
필터(16)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본체(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필터(16)는 공기 중에 포함된 비교적 큰 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 전기적 작용으로 먼지를 모으는 집진필터 및 미세 먼지를 제거하는 헤파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24)는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24)는 커버부재(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토출구(24)를 덮도록 본체(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부(18)의 조작으로 제습기(1)가 작동하면 커버부재(100)가 이동하여 토출구(24)가 개방될 수 있다. 제습기(1)의 작동이 멈추면 커버부재(100)가 이동하여 토출구(24)가 차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습기(1)의 미작동시 커버부재(100)는 제습기(1)의 외관을 형성하고, 본체(10) 내부로 침투하는 이물질에 의한 제습기(1)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순환팬(40)은 공기가 흡입구(22)를 통해 들어와 토출구(24)로 빠져나가도록 강제유동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흡입구(22)로 유입된 공기가 관통하여 토출구(24)로 빠져나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도록 압축기(50) 등과 연결되어 냉매사이클을 이룬다.
제습기(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버튼부(18)의 입력에 의해 순환팬(40)이 작동하고 냉매가 냉매사이클을 순환한다. 또한, 커버부재(100)가 토출구(24)를 외부로 개방시킨다. 순환팬(40)에 의해 실내 공간의 공기는 필터(16)를 거쳐 정화된 후 흡입구(22)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30)를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과정을 거친다. 이를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응축수 형태로 열교환기(30)에 맺히게 되고, 응축수는 물통(12)으로 이동하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토출구(24)로 배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1)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1)의 공기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구동유닛(120)의 구조가 잘 보이도록 제습기(1)의 일부 구성요소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24)는 본체(10)의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00)는 토출구(24)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상방으로 이동하며 토출구(24)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커버부재(100)는 제습기(1) 미작동시 토출구(24)가 본체(10)의 외관상 드러나지 않도록 배치되고, 제습기(1) 작동시 토출구(24)가 본체(10)의 외관상 노출되도록 이동한다.
커버부재(100)의 상부는 본체(10)의 상면을 이루도록 평판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의 상부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지는 사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버튼부(18)와 인접한 커버부재(100)의 일 측을 제 1단(102)이라 하고, 제 1단(102)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커버부재(100)의 일 측을 제 2단(104)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버튼부(18)를 전면으로 두고 제습기(1)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 1단(102)은 제습기(1)의 전면과 인접하고, 제 2단(104)은 제습기(1)의 후면과 인접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토출구(24)에 배치되는 블레이드(11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10)는 본체(10)의 일 측에 마련된 토출구(24)를 개폐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토출구(24) 및 블레이드(110)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레이드(110)는 일 측에 설치된 모터(미도시)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블레이드(110)는 토출구(24) 내에서 회전하며 토출공기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10)는 복수의 리브(112)를 포함하여 토출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커버부재(100)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구동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100)와 블레이드(110)는 별도의 모터에 의해 각각 구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구동유닛(120)은 커버부재(100)만을 회동시키고 블레이드(110)는 별도의 구동구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모터로 커버부재(100)와 블레이드(110)를 모두 구동시킬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커버부재(100)만을 회동시키는 구동유닛(12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유닛(120)은 커버부재(100)를 이동시키도록, 본체(10)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유닛(120)은 커버부재(100)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유닛(120)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pinion, 130)과, 피니언(130)과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랙(rack, 1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유닛(120)은 커버부재(10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동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를 회전이동시키기 위해, 랙(140)은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140)은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진 호의 일부와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된다.
랙(140)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피니언(130)과 맞물려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랙(140)의 이동에 따라 커버부재(100)는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만곡된 랙(140)에 의해 커버부재(100)는 가상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제 1실시 예에 의한 커버부재(100)는 제 2단(104)에 인접하게 위하는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가상의 회전축은 제 1단(102)보다 제 2단(104)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제 2단(104)보다 제 1단(102)이 더 많은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커버부재(100)는 토출구(24)를 제습기(1)의 전면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공기의 흐름과 같이, 토출공기는 제습기(1)의 전면을 향해 토출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110)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며 토출공기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1)의 커버부재(100)와 구동유닛(120)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1)의 구동유닛(120)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커버부재(100)와 구동유닛(12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불필요한 구성요소를 생략하고, 커버부재(100)의 저면을 도시한 것이다.
랙(140)의 이동에 따라 커버부재(1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100)는 랙(14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00)는 랙(140)과 결합하기 위한 커버결합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결합부(106)는 커버부재(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랙(140)은 커버부재(100)와 결합하기 위한 랙결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랙결합부(142)는 랙(14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결합부(106)는 랙결합부(142)와 대응하는 수만큼 마련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두 개의 랙결합부(142)가 도시되었고, 커버결합부(106) 또한 두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결합부(106)의 일 측에는 커버후크(108)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후크(108)는 하나의 커버결합부(106)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랙결합부(142)는 커버후크(108)와 대응하는 커버홈(144)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홈(144)은 하나의 랙결합부(142)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버홈(144)이 커버부재(100)에 마련되고, 커버후크(108)가 랙(140)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버결합부(106)는 돌출되어 형성된 커버돌출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돌출부(107)는 랙(1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커버부재(100)와 랙(140)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랙(140)은 커버돌출부(107)가 안착될 수 있도록 커버안착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안착부(146)는 커버돌출부(107)를 수용할 수 있도록, 커버돌출부(107)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안착부(146)에 커버돌출부(107)가 삽입되도록 커버결합부(106)를 랙결합부(142)에 안착시키고, 커버홈(144)에 커버후크(108)를 결합시킨다. 그에 따라, 랙(140)과 커버부재(100)가 결합하여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랙(140)과 피니언(130)은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에는 한 쌍의 랙(140)과 피니언(130)을 가지는 형태로 도시하였다. 각각의 랙(140)은 샤프트(155)로 연결되어 하나의 모터(150) 구동력을 통해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130) 및 랙(140)의 적어도 일부는 기어케이스(16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기어케이스(160)는 제 1기어케이스(162)와 제 2기어케이스(1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기어케이스(162)와 제 2기어케이스(164)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기어케이스(162)와 제 2기어케이스(164)는 후크구조(163, 165)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피니언(130)은 기어케이스(16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피니언(130)은 모터(150)와 직접 연결되어 구동력을 받거나, 샤프트(155)를 통해 구동력을 받을 수 있다. 모터(150)는 기어케이스(160)의 일 측에 결합될 수 있다.
랙(140)은 피니언(130)과 접하도록 기어케이스(160)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랙(140)은 기어케이스(160)의 일 측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동유닛(120)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하면, 버튼부(18)의 입력으로 모터(150)가 구동된다. 모터(150)에 의해 샤프트(155)로 연결된 각각의 피니언(130)이 회전하고, 그에 맞물린 랙(140)이 이동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1a)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1a)의 공기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구동유닛(220)의 구조가 잘 보이도록 제습기(1a)의 일부 구성요소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에 관한 설명을 인용하고, 도 5 내지 도 7에 관한 내용을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인용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습기(1a)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a)를 포함한다. 본체(10a)는 물통(12a), 손잡이(14a), 버튼부(18a), 토출구(24a), 커버부재(200), 구동유닛(220)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200)는 버튼부(18a)와 인접한 제 1단(202)과, 제 1단(202)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 2단(204)을 포함한다. 또한, 구동유닛(220)은 랙(240)과 피니언(230) 등을 포함하고, 커버부재(200)를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제 2실시 예에 의한 커버부재(200)는 제 1단(202)에 인접하게 위하는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가상의 회전축은 제 2단(204)보다 제 1단(202)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제 1단(202)보다 제 2단(204)이 더 많은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커버부재(200)는 토출구(24a)를 제습기(1a)의 후면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공기의 흐름과 같이, 토출공기는 제습기(1a)의 후면을 향해 토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직접적으로 토출공기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두 개의 피니언(230)을 도시하였는데, 피니언(230)의 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1b)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1b)의 공기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는 구동유닛(320)의 구조가 잘 보이도록 제습기(1b)의 일부 구성요소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에 관한 설명을 인용하고, 도 5 내지 도 7에 관한 내용을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인용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습기(1b)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b)를 포함한다. 본체(10b)는 물통(12b), 손잡이(14b), 버튼부(18b), 토출구(24b), 커버부재(300), 블레이드(310), 리브(312), 구동유닛(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300)는 버튼부(18b)와 인접한 제 1단(302)과, 제 1단(302)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 2단(304)을 포함한다. 또한, 구동유닛(220)은 랙(240)과 피니언(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300)는 수평?향으로 이동하며 토출구(24b)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커버부재(30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랙(340)은 직선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회전하는 피니언(330)에 대해 랙(340)과 커버부재(300)는 직선이동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공기의 흐름과 같이, 토출공기는 제습기(1b)의 상방을 향해 토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습기(1b)는 빨래건조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효과적으로 세탁물을 제습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310)의 회전각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토출공기의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1b)의 본체(10b)와 케이스(370)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1b)의 설치유닛(380), 구동유닛(320) 및 커버부재(300)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본체(10b)는 구동유닛(320)을 수용하도록 마련된 케이스(37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37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370)는 본체(10b)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370)의 저면은 본체(10b)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평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버튼부(18b)와 인접한 케이스(370)의 일면을 전면, 전면과 연결된 양 면을 측면, 전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일 면을 후면이라 한다.
또한, 본체(10b)는 케이스(370)가 장착되는 케이스설치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설치부(70)는 본체(10b)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특히, 토출구(24b) 및 블레이드(310)의 후방부에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설치부(70)는 케이스(37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본체(10b)의 상면에서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설치부(70)는 케이스(370)가 소정의 위치에 안착되도록 가이드리브(7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리브(74)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리브(74)는 케이스(370)의 후면 너비에 대응하도록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설치부(70)에 안착된 케이스(370)를 고정하기 위해, 케이스설치부(70)와 케이스(370)는 케이스후크(372)와 케이스홈(7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70)의 전면에는 케이스후크(372)가 마련되고, 그에 대응하도록 케이스설치부(70)에는 케이스홈(72)이 마련된다. 따라서, 가이드리브(74)를 따라 케이스설치부(70)의 소정의 위치에 안착된 케이스(370)는 케이스설치부(7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370)는 구동유닛(320)이 안착되는 구동설치부(37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설치부(374)는 케이스(370)의 저면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설치부(374)는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유닛(320)은 랙(340)과 피니언(330), 모터(350), 기어케이스(36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케이스(360)는 구동설치부(374)와 대응하는 기어고정부(366)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고정부(366)는 구동설치부(374)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설치부(374)와 기어고정부(366)는 스크류 등으로 서로 결합고정될 수 있다.
또한, 구동유닛(320)과 커버부재(300)는 서로 결합하기 위한 랙결합부(342)와 커버결합부(306)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랙결합부(342)와 커버결합부(306)는 서로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랙결합부(342)는 랙(340)의 상부에 마련되고, 커버결합부(306)는 커버부재(300)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300)는 랙(340)과 함께 이동하도록, 랙(34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마련된 랙(340)의 이동에 의해 커버부재(30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그러나, 본체(10b)의 미관상 커버부재(300)는 본체(10b)의 상면을 이루도록 본체(10b)의 모서리부와 수평하게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커버부재(30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본체(10b)의 모서리부와 출동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체(10b)는 설치유닛(3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치유닛(380)은 커버부재(300)와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설치고정부(38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300)는 설치고정부(382)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커버고정부(309)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고정부(309)는 커버부재(300)의 하면에 마련되고, 그에 따라 설치유닛(380)은 커버부재(3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고정부(309)와 설치고정부(382)는 스크류 등으로 서로 결합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설치유닛(380)은 케이스(370)의 측면에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설치부(384)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370)는 이동설치부(384)가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이드(37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유닛(38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케이스(370)의 양측면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설치유닛(380)은 이동가이드(376)에 이동설치부(384)가 삽입되어 이동가이드(376)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설치유닛(380)과 커버부재(300)는 이동가이드(376)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이드(376)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일 측에 경사면(377)이 마련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경사면(377)은 커버부재(300)가 본체(10b)의 모서리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커버부재(30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습기(1b)의 작동과 함께 설명하자면, 제습기(1b)의 미작동시 설치유닛(380)은 경사면(377)이 마련된 이동가이드(376)의 일단에 안착된 상태로 마련된다. 설치유닛(380)과 결합된 커버부재(300)는 토출구(24b) 및 블레이드(310)를 덮은 상태로 마련된다. 버튼부(18b)의 입력에 따라 모터(350)가 작동하며 랙(34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랙(340)의 상부에 안착된 커버부재(300) 또한 수평방향으로 구동력을 받는다.
이때, 설치유닛(380)이 경사면을 통과하며 커버부재(300)가 소정의 거리만큼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300)는 랙(340)과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소정의 거리만 상승하여 계속하여 구동력을 받을 수 있다. 설치유닛(380)이 경사면(377)을 통과한 후에는 수평방향으로 마련된 이동가이드(376)를 따라 이동한다. 그에 따라 커버부재(30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토출구(24b)를 개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1b)의 구동유닛(320)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기어케이스(360)는 제 1기어케이스(362)와 제 2기어케이스(3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기어케이스(362)와 제 2기어케이스(364)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피니언(330)은 기어케이스(36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피니언(330)의 중심은 모터(350)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받을 수 있다. 모터(350)는 기어케이스(360)의 일 측에 결합될 수 있다.
랙(340)은 피니언(330)과 접하도록 기어케이스(360)에 안착될 수 있다. 랙(340)의 하부는 피니언(330)과 맞물리고, 랙(340)의 상부는 커버부재(300)가 안착되는 랙설치부(342)가 마련된다.  랙(340)의 하부는 기어케이스(360)의 내부에 위치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될 수 있다. 또한, 기어케이스(360)는 랙(340)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랙스토퍼(367)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유닛(320)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하면, 버튼부(18b)의 입력으로 모터(350)가 구동된다. 모터(350)에 의해 피니언(330)이 회전하고, 그에 맞물린 랙(340)이 이동할 수 있다.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제습기 10 : 본체
18 : 버튼부 24 : 토출구
100, 200, 300 : 커버부재 110, 310 : 블레이드
120, 220, 320 : 구동유닛 130, 230, 330 : 피니언
140, 240, 340 : 랙 150, 350 : 모터
160, 360 : 기어케이스 370 : 케이스
380 : 설치유닛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된 토출구;
    상기 토출구를 덮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토출구를 상기 본체의 외관상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구동유닛;
    을 포함하는 제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pinion)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랙(rac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랙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커버부재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를 회전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유닛은 만곡되게 형성된 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랙은 커버후크와, 상기 커버후크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커버홈 중 하나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커버후크와 상기 커버홈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랙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작동선택을 위한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버튼부와 인접한 제 1단과, 상기 제 1단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 2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2단보다 상기 제 1단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1단보다 상기 제 2단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려 직선이동하는 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랙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랙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랙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5.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마련된 토출구;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토출구에 설치되는 블레이드;
    상기 토출구를 외관상 노출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제습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토출구 및 상기 블레이드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블레이드는 별도의 모터에 의해 각각 구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토출구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제습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KR1020140085943A 2014-07-09 2014-07-09 제습기 KR102222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943A KR102222574B1 (ko) 2014-07-09 2014-07-09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943A KR102222574B1 (ko) 2014-07-09 2014-07-09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419A true KR20160006419A (ko) 2016-01-19
KR102222574B1 KR102222574B1 (ko) 2021-03-05

Family

ID=5530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943A KR102222574B1 (ko) 2014-07-09 2014-07-09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1682A (ko) * 2021-11-16 2023-05-23 지앙수 요아우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에어가이드 구조 및 제습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0207A (ko) * 1996-07-09 1998-04-30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20040021349A (ko) * 2002-09-03 200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20130110846A (ko) * 2012-03-30 2013-10-10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상단 토출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0207A (ko) * 1996-07-09 1998-04-30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20040021349A (ko) * 2002-09-03 200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20130110846A (ko) * 2012-03-30 2013-10-10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상단 토출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1682A (ko) * 2021-11-16 2023-05-23 지앙수 요아우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에어가이드 구조 및 제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574B1 (ko) 202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579B1 (ko) 제습기
KR101174529B1 (ko) 제습기
US20060278085A1 (en) Dehumidifier
US20070062370A1 (en) Dehumidifier
EP1899657B1 (en) Dehumidifier
KR20060129677A (ko) 제습기
KR20060131112A (ko) 제습기
KR102302545B1 (ko) 제습기
KR102222574B1 (ko) 제습기
KR101447508B1 (ko) 음식물 건조가 가능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장치
KR10140301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KR20060129678A (ko) 제습기
KR20150103909A (ko) 공기조화장치
CN208238045U (zh) 一种空气净化除湿装置
KR101158581B1 (ko) 제습기
KR101403012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유로 구조
KR20130055378A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제습 덕트 구조
KR101153691B1 (ko) 제습기
KR101158578B1 (ko) 제습기
KR10133523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KR20060129672A (ko) 제습기
KR20150102367A (ko) 제습기
KR101852516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
KR20130029692A (ko)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
KR20060131113A (ko) 제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