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692A -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692A
KR20130029692A KR1020110093122A KR20110093122A KR20130029692A KR 20130029692 A KR20130029692 A KR 20130029692A KR 1020110093122 A KR1020110093122 A KR 1020110093122A KR 20110093122 A KR20110093122 A KR 20110093122A KR 20130029692 A KR20130029692 A KR 20130029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umidification
humidity
humidification
damp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범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3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9692A/ko
Publication of KR20130029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on-off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물에 적셔진 디스크와 공기를 접촉시켜서 가습하는 가습모드단계와, 습도가 제1습도 초과인지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와, 습도가 제1습도 초과이면, 가습모드를 중지한 후 제습모드로 변경하는 제습단계를 포함하여, 가습과 제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apparatus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본 발명은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물에 적셔진 디스크와 공기를 접촉시켜서 가습하는 가습모드단계와, 습도가 제1습도 초과인지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와, 습도가 제1습도 초과이면, 가습모드를 중지한 후 제습모드로 변경하는 제습단계를 포함하는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습공기청정기는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5520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를 포함한다. 이때, 본체(100)는 가습공기청정기의 주된 구성 부위로, 상하면은 개구되고, 테두리를 따라 그릴 형상의 토출구(110)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100) 내부에는 송풍팬(170)이 설치되는데, 송풍팬(170)은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브라켓(120)에 안착되어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케이스(200)의 흡입구(210)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게 된다.
본체(100)의 하부에는 수조(300)가 배치되고, 수조(300)에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디스크조립체(350)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가습공기청정기는 단순히 가습 기능으로만 사용되며, 여름철과 같이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이렇게 여름철이나 습도가 높을 때 제습을 위하여 별도의 제습기를 구매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가습과 제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은, 물에 적셔진 디스크와 공기를 접촉시켜서 가습하는 가습모드단계와, 습도가 제1습도 초과인지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와, 습도가 제1습도 초과이면, 가습모드를 중지한 후 제습모드로 변경하는 제습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판단단계 이후에, 습도가 제1습도 초과이면, 가습모드가 일정시간을 초과했는지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와, 가습모드가 상기 일정시간 이내이면 압축기를 오프시키는 오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프단계는, 압축기 오프를 상기 일정시간 동안 유지했다가 압축기를 온시키고, 상기 제습단계 이후에, 습도가 제2습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를 포함하여, 습도가 제2습도 이하이면 제습모드를 중지한 후 가습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물에 적셔진 디스크와 공기를 접촉시켜서 가습하는 가습모드단계와, 습도가 제1습도 초과인지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와, 습도가 제1습도 초과이면, 가습모드를 중지한 후 제습모드로 변경하는 제습단계와, 습도가 제2습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를 포함하여, 습도가 제2습도 이하이면 제습모드를 중지한 후 가습모드로 변경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제습과 가습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여, 쾌적한 실내습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판단단계 이후에, 습도가 제1습도 초과이면, 가습모드가 일정시간을 초과했는지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와, 가습모드가 상기 일정시간 이내이면 압축기를 오프시키는 오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단계는, 압축기 오프를 상기 일정시간 동안 유지했다가 압축기를 온시켜서, 압축기가 짧은 시간내에 온오프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축기에 무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 제습 복합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내부에 구비된 제습댐퍼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내부에 구비된 제습댐퍼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내부에 구비된 필터댐퍼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내부에 구비된 필터댐퍼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는 도 1의 가습 작동시 가습 유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청정 가습 작동시 청정 가습 유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의 제습 작동시 제습 유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및 평면도.
도 14는 도 1의 청정 제습 작동시 청정 제습 유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 제습 복합기의 가습 유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 제습 복합기의 청정 가습 유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 제습 복합기의 제습 유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 제습 복합기의 청정 제습 유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19는 종래 가습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 플로우 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가습 제습 복합기를 먼저 설명하고,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습 제습 복합기는 본체(100)와 수조(200)와 디스크 어셈블리(300)와 열교환부(400)와 필터부(500)와 송풍팬(6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에는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본체(100)의 전면 상부에는 작동을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체(100)의 하부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바퀴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100)의 양측면에는 가습 흡입구(120)와 제습 흡입구(130)가 각각 배치되어, 가습 흡입구(120)와 제습 흡입구(130)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본체(100) 내부로 흡입된다.
이러한 가습 흡입구(120)는 본체(100) 양측면의 하부에 마련되어, 본체(100) 내부에 마련된 디스크 어셈블리(30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습 흡입구(130)는 본체(100) 양측면의 상부에 마련되어, 본체(100) 내부에 마련된 열교환부(40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140)는 본체(10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수조(200)는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흡입된 공기의 가습을 위한 물이 수용된다. 바람직하게, 수조(200)는 본체(100)의 하부 전방측에 배치되고, 수조(200)의 후방측에는 제습시 발생하는 물을 수용하는 제습물통(150)이 구비되어 있다.
제습물통(150)은 일부분이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는 제습물통(150)의 물이 가득 찰 경우 제습물통(150)을 본체(100)로부터 분리하여 물을 버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습물통(150)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는 파지하기 쉽도록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 어셈블리(300)는 디스크축과, 디스크축에 끼워지는 다수의 디스크를 포함하며, 본체(10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의 일부분이 수조(200) 내에 배치되어 있어, 수조(200) 내부의 물에 담궈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크 어셈블리(300)의 상부측에는, 도 8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댐퍼(7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습댐퍼(700)는 하기에서 설명할 가습 유로 상에 배치되어 있고, 단면이 부채꼴 형상으로 가습 유로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 또는 청정 가습 작동시에 가습댐퍼(700)의 후방이 개방됨으로써, 디스크 어셈블리(300)를 통과한 가습 공기가 본체(100)의 상부 후방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 또는 청정 제습 작동시에 회전하여 가습댐퍼(700)의 후방이 폐쇄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열교환부(400)는 흡입된 공기의 제습을 위하여 본체(100) 내부에 마련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상부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열교환부(400)는 제습 흡입구(13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부(400)는 본체(100)의 상부 전방측에 설치된 증발기(410)와 응축기(420) 뿐만 아니라 본체(100)의 하부 후방측에 마련된 기계실 내에 설치된 압축기(미도시)를 포함하여,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의 습기를 제거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본체 전면 및 측면을 따라 양측에 각각 에어가이드(141)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가이드(141)는 제습 흡입구(13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본체(100)의 전방 측으로 이동하여 열교환부(400)의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송풍팬(600)은 외부의 공기를 본체(100) 내부로 유입시켜 외부로 토출시키며, 본체(100)의 상부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교환부(400)와 송풍팬(600)의 사이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댐퍼(8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습댐퍼(800)는 하기에서 설명할 제습 유로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세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본체(100) 내의 열교환부(400)와 송풍팬(600)의 사이에 장착되는 댐퍼본체(810)에는 사각 형상의 제습공기 관통공(8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습공기 관통공(811)에는 가로로 길게 배치되는 다수의 댐퍼패널(830)이 댐퍼본체(8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제습공기 관통공(811)의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 또는 청정 제습 작동시에 댐퍼패널(830)이 제습공기 관통공(811)을 개방하여 제습댐퍼(800)가 개방됨으로써, 열교환부(400)를 통과한 제습 공기가 본체(100)의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 또는 청정 가습 작동시에 회전하여 댐퍼패널(830)이 제습공기 관통공(811)을 폐쇄하여 제습댐퍼(800)가 폐쇄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필터부(500)는 공기를 여과하여 청정공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체(100)의 상부에 장착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부(400)와 송풍팬(600)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2에서는 열교환부(400)와 송풍팬(600)의 사이에 마련된 제습댐퍼(800)를 도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더욱 정확하게, 필터부(500)는 제습댐퍼(800)와 송풍팬(600) 사이에 마련된다.
이러한 필터부(500)는 양측으로 배치되어, 양측의 필터부(50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 필터부(500)는 두 개로 마련되어 있고, 두 개의 필터부(500)는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어, 두 개의 필터부(50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이러한 필터부(500)의 상부에는 손잡이(510)가 마련되어 있으며, 손잡이(510)를 잡고 본체(100)의 상부 개방된 부분으로 빼낼 수 있다. 이렇게, 본체(100)로부터 필터부(500)를 분리하여 필터부(500)를 청소하거나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500)가 장착되는 필터프레임(52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전면과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며, 후면에는 세로로 긴 사각 형상의 공기통과구멍(5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통과구멍(522)에는 가로로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리브(523)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필터프레임(52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필터프레임(520)에 장착되는 필터부(300)를 상부로 빼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프레임(520)은 하기에서 설명할 댐퍼프레임(9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두 개의 필터부(500) 사이의 공간에는 필터댐퍼(9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터댐퍼(900)의 상세구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댐퍼프레임(910)은 본체(100) 내의 제습댐퍼(800)와 송풍팬(600) 사이에 장착되되,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두 개의 필터부(5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이러한 댐퍼프레임(910)은 상부와 전면이 개방된 형태이며, 후면에는 세로로 긴 사각 형상의 공기 관통공(916)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댐퍼날개(920)는 공기 관통공(916)에는 세로로 길게 배치되어 있고, 댐퍼프레임(9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한 쌍의 댐퍼날개(920)에 의해 공기 관통공(916)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댐퍼프레임(910)과 필터프레임(5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댐퍼프레임(910)과 필터프레임(520)은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하나의 프레임은 두 개의 격벽(a)에 의해 세 개의 공간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양측의 공간에 필터부(500)가 장착되고, 가운데 공간에 댐퍼날개(92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필터댐퍼(9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 작동시 또는 제습 작동시에 댐퍼날개(920)가 회전하여 공기 관통공(916)을 개방하여 필터댐퍼(900)가 개방됨으로써, 가습댐퍼(700)를 통과한 가습 공기 또는 제습댐퍼(800)를 통과한 제습 공기가 본체(100)의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정 가습 작동시 또는 청정 제습 작동시에 댐퍼날개(920)가 회전하여 공기 관통공(916)을 폐쇄하여 필터댐퍼(900)가 폐쇄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습 제습 복합기의 유로 구조 및 공기의 이동경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습 작동시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댐퍼(800)가 폐쇄되고, 가습댐퍼(700)가 개방되며, 필터댐퍼(900)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가습 유로는 외부의 공기가 가습 흡입구(120)를 통하여 유입되고,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디스크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가습 상태되어 가습댐퍼(700)를 통과하고, 가습댐퍼(700)를 통과한 가습 공기는 필터댐퍼(900) 및 필터부(500)를 통과하여 토출구(14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 작동시 가습 흡입구(120)를 통하여 본체(100)의 하부 양측면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디스크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가습된 상태가 된다. 가습 상태의 공기는 개방된 가습댐퍼(700)를 통과하여 본체(100)의 상부 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필터댐퍼(900)는 개방되어 있어, 가습 공기의 일부는 필터댐퍼(900)를 통과하고, 가습 공기의 나머지는 두 개의 필터부(500)를 통과한다. 따라서, 가습 작동시에도 일부분의 공기는 필터부(500)를 통과하므로 어느 정도의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댐퍼(900) 및 필터부(500)를 통과한 가습 공기는 상면의 토출구(140)를 통하여 배출된다.
다음으로, 청정 가습 작동시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댐퍼(800)가 폐쇄되고, 가습댐퍼(700)가 개방되며, 필터댐퍼(900)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청정 가습 유로는 외부의 공기가 가습 흡입구(120)를 통하여 유입되고,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디스크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가습된 상태가 되어, 가습댐퍼(700)를 통과하고, 가습댐퍼(700)를 통과한 가습 공기는 필터부(50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상태가 되며, 필터부(500)를 통과한 가습 및 여과 공기는 토출구(14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정 가습 작동시 가습 흡입구(120)를 통하여 본체(100)의 하부 양측면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디스크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가습된 상태가 된다. 가습 상태의 공기는 개방된 가습댐퍼(700)를 통과하여 본체(100)의 상부 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필터댐퍼(900)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가습 공기는 양측으로 갈라져 두 개의 필터부(500)를 각각 통과하면서 여과가 이루어진다. 여과된 청정 가습 공기는 본체(100)의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상면의 토출구(140)를 통하여 배출된다.
다음으로, 제습 작동시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댐퍼(700)가 폐쇄되고, 제습댐퍼(800)가 개방되며, 필터댐퍼(900)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제습 유로는 외부의 공기가 제습 흡입구(130)를 통하여 유입되고,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열교환부(400)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상태가 되어, 제습댐퍼(800)를 통과하고, 제습댐퍼(800)를 통과한 제습 공기는 필터댐퍼(900) 및 필터부(500)를 통과하여 토출구(14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즉,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 작동시 제습 흡입구(130)를 통하여 본체(100)의 상부 양측면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에어가이드(141)를 따라 본체(100)의 상부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열교환부(400)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상태가 된다. 제습 상태의 공기는 개방된 제습댐퍼(800)를 통과하여 본체(100)의 상부 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필터댐퍼(900)는 개방되어 있어, 제습 공기의 일부는 필터댐퍼(900)를 통과하고, 제습 공기의 나머지는 두 개의 필터부(500)를 통과한다. 따라서, 제습 작동시에도 일부분의 공기는 필터부(500)를 통과하므로 어느 정도의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댐퍼(900) 및 필터부(500)를 통과한 제습 공기는 상면의 토출구(140)를 통하여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청정 제습 작동시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댐퍼(700)가 폐쇄되고, 제습댐퍼(800)가 개방되며, 필터댐퍼(900)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청정 제습 유로는 외부의 공기가 제습 흡입구(130)를 통하여 유입되고,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열교환부(400)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상태가 되어, 제습댐퍼(800)를 통과하고, 제습댐퍼(800)를 통과한 제습 공기는 필터부(50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상태가 되며, 필터부(500)를 통과한 제습 및 여과 공기는 토출구(14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즉,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정 제습 작동시 제습 흡입구(130)를 통하여 본체(100)의 상부 양측면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에어가이드(141)를 따라 본체(100)의 상부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열교환부(400)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상태가 된다. 제습 상태의 공기는 개방된 제습댐퍼(800)를 통과하여 본체(100)의 상부 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필터댐퍼(900)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제습 공기는 양측으로 갈라져 두 개의 필터부(500)를 각각 통과하면서 여과가 이루어진다. 필터부(500)를 통과한 여과된 청정 제습 공기는 본체(100)의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상면의 토출구(140)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습 제습 복합기는 하나의 본체(100)로 상황에 따라 가습, 청정 가습, 제습, 청정 제습 상태의 공기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증대된다.
또한, 가습기와 제습기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공간 사용이 효율적이고, 별도 구매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나아가, 본체(100) 내부에 가습댐퍼(700), 제습댐퍼(800), 필터댐퍼(900)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가습 유로, 청정 가습 유로, 제습 유로, 청정 제습 유로를 제공함으로써, 본체(100)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본체(100)의 외관이 콤팩트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가습 제습 복합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가습 제습 복합기의 제어방법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에 적셔진 상기 디스크와 공기를 접촉시켜서 가습하는 가습모드단계(S1)와, 습도가 제1습도 초과인지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S3)와, 습도가 제1습도 초과이면, 가습모드를 중지한 후 제습모드로 변경하는 제습단계(S11)를 포함한다.
가습모드단계(S1)는 송풍팬(600)을 통해 물에 적셔진 디스크 어셈블리(300)의 상기 디스크와 실내의 공기를 접촉시켜서 가습한다.
이어서, 현재의 습도가 제1습도 초과인지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S3)를 거친다.
상기 제1습도는 실험을 통해 정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70%이다.
상기 제1판단단계(S3) 이후에, 습도가 제1습도 초과이면, 가습모드가 일정시간을 초과했는지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S5)와, 가습모드가 상기 일정시간 이내이면 열교환부(400)의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를 오프시키는 오프단계(S7)를 포함한다.
즉, 제2판단단계(S5)는 가습모드로 동작하다가 다시 제습모드로 도래한 시간이 일정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판단단계(S5)의 일정시간은 실험을 통해 정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3분이다.
오프단계(S7)는, 압축기 오프를 상기 일정시간 동안 유지했다가 압축기를 온시킨다. 즉, 제습모드로 동작시키되 압축기를 오프시키고 압축기 온을 일정시간동안 딜레이시킨다.
작은 공간에서는 습도량의 변화가 크므로 가습과 제습이 짧은 시간 내에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압축기가 짧은 시간내에 온오프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축기에 무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습모드가 일정시간을 초과했으면, 압축기를 온시킨다.
이어서, 가습모드를 중지한 후 제습모드로 변경하는 제습단계(S11)를 수행한다. 제습은 열교환부(400)를 통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현재의 습도가 제2습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S13)를 포함하여, 습도가 제2습도 이하이면 제습모드를 중지한 후 가습모드(S1)로 변경한다.
상기 제2습도는 실험을 통해 정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습도보다 낮은 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습도는 40%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가습 제습 복합기가 제어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제습과 가습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디스플레이 패널
120 : 가습 흡입구 130 : 제습 흡입구
140 : 토출구 141 : 에어가이드
150 : 제습물통 200 : 수조
300 : 디스크 어셈블리 400 : 열교환부
410 : 증발기 420 : 응축기
500 : 필터부 510 : 손잡이
520 : 필터프레임 522 : 공기통과구멍
523 : 보강리브 600 : 송풍팬
700 : 가습댐퍼 800 : 제습댐퍼
810 : 댐퍼본체 811 : 제습공기 관통공
830 : 댐퍼패널 900 : 필터댐퍼
910 : 댐퍼프레임 916 : 공기 관통공
920 : 댐퍼날개

Claims (4)

  1. 물에 적셔진 디스크와 공기를 접촉시켜서 가습하는 가습모드단계;
    습도가 제1습도 초과인지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
    습도가 제1습도 초과이면, 가습모드를 중지한 후 제습모드로 변경하는 제습단계를 포함하는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단단계 이후에,
    습도가 제1습도 초과이면, 가습모드가 일정시간을 초과했는지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
    가습모드가 상기 일정시간 이내이면 압축기를 오프시키는 오프단계를 포함하는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단계는, 압축기 오프를 상기 일정시간 동안 유지했다가 압축기를 온시키는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단계 이후에,
    습도가 제2습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를 포함하여,
    습도가 제2습도 이하이면 제습모드를 중지한 후 가습모드로 변경하는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
KR1020110093122A 2011-09-15 2011-09-15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 KR20130029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122A KR20130029692A (ko) 2011-09-15 2011-09-15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122A KR20130029692A (ko) 2011-09-15 2011-09-15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692A true KR20130029692A (ko) 2013-03-25

Family

ID=4817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122A KR20130029692A (ko) 2011-09-15 2011-09-15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96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3555A (zh) * 2017-11-08 2018-04-06 绵阳美菱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装置、方法和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3555A (zh) * 2017-11-08 2018-04-06 绵阳美菱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装置、方法和系统
CN107883555B (zh) * 2017-11-08 2020-02-21 绵阳美菱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装置、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71487A1 (en) Air humidific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JP7252867B2 (ja) 空気調和機
KR101249498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060129671A (ko) 제습기
JP5520901B2 (ja) 空気清浄機
KR20130055372A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제습물통 구조
KR20130029692A (ko)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
KR10140301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KR101403012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유로 구조
KR20130055378A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제습 덕트 구조
KR20130055369A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토출구 구조
KR10133523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KR101407977B1 (ko) 댐퍼장치
KR101854881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제어방법
KR101158581B1 (ko) 제습기
KR102222574B1 (ko) 제습기
WO2023095479A1 (ja) 空気処理装置
KR20130055374A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댐퍼 프레임 구조
KR101852516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
KR101284962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30055370A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제습수 수용 구조
JP2011002148A (ja) 換気装置
KR20130053845A (ko) 제습 및 가습 복합기 제어 방법
KR101158578B1 (ko) 제습기
KR20130055298A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수위 감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