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5451A - 차량의 윈드스크린을 세척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차량의 윈드스크린을 세척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5451A
KR20010075451A KR1020017004008A KR20017004008A KR20010075451A KR 20010075451 A KR20010075451 A KR 20010075451A KR 1020017004008 A KR1020017004008 A KR 1020017004008A KR 20017004008 A KR20017004008 A KR 20017004008A KR 20010075451 A KR20010075451 A KR 20010075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wiper blade
protective
protective profile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5099B1 (ko
Inventor
뷔넨파울
허린씨큭스디르크
뢰켄스위르겐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75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0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2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 B60S2001/3836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43Wiper blades equipped with removable cover or prote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윈드스크린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캐리어 브래킷 시스템에 의해 지지된 와이퍼 스트립(12)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은 측면이 폐쇄된 보호 프로파일(14, 22, 24)들로 둘러싸인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보호 프로파일은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단부에서 커버(16, 18, 20)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커버는 보호 프로파일(14, 22)을 개방 및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윈드스크린을 세척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 for cleaning vehicle windscreens}
공지된 윈드스크린 와이퍼는 구동축에 고정된 고정 부품과, 관절 링크를 거쳐서 고정 부품과 결합된 조인트 부품과, 조인트 부품상에 단단히 연결된 와이퍼 로드로 구성된 와이퍼 아암을 포함한다. 또한, 윈드스크린 와이퍼는 캐리어 브래킷 시스템(carrier bracket system)과 이 시스템에 의해 유지된 와이퍼 스트립을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아암에 링크되며, 여기서 와이퍼 로드의 후크형 단부는 캐리어 브래킷 시스템의 두 측벽들 사이에 맞물릴 뿐만 아니라 힌지 볼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인트는 와이퍼 스트립과 함께 와이퍼 블레이드를 차량의 윈드스크린에 안내하며, 이때 조인트 부품과 캐리어 브래킷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윈드스크린 곡률에 따라 와이퍼 스트립을 조절할 수 있다. 와이퍼 스트립을 차량의 윈드스크린에 밀착하기 위하여 필요한 밀착력은 고정 부품과 조인트 부품을 와이퍼 로드와 함께 관절 링크를 거쳐서 예비 인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장 스프링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와이퍼 스트립은, 예를 들면 천연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엘라스토머나 에틸렌프로필렌으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은 스윙 바(swing bar)를 거쳐서 세척하고자 하는 윈드스크린 상에 안착된 와이퍼 립과 결합되는 헤드 스트립을 갖는다. 상기 스윙 바를 구성함으로써 와이퍼 립은 와이핑 운동의 전환점에서 반대 방향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와이퍼 립은 윈드스크린에 대하여 항상 유리한 각도를 갖게 된다. 윈드스크린 와이퍼가 작동하면, 와이퍼 스트립과 와이퍼 립은 차량의 윈드스크린을 활주하며, 이때 이들은 와이퍼 립과 윈드스크린 사이의 마찰에 의해서 노후된다. 또한, 와이퍼 스트립은, 예를 들면 부품들을 조기에 노후시킬 뿐만 아니라 더 급속하게 마모시키는 경향이 있는 온도 변화, 자외선, 염수, 배기 가스 등과 같은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게 된다.
신종 차량에서도 완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와이퍼 스트립을 제작하기 위하여, 차량이 출고되기 전에 와이퍼 스트립은 보호 프로파일로 덮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차량이 구매자에게 인도된 후에는 상기 보호 프로파일은 제거된다. 그렇지만, 윈드스크린이 차량의 조차(操車) 과정이나 출고 과정 등에서 더럽혀지거나 비 등에 의해 시야가 방해된다면, 차량의 와이퍼 시스템은 윈드스크린을 세척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보호 프로파일은 단단하게 굳어 버리게 되고 윈드스크린 상에서 단지 일부분만이 접하게 된다.
독일특허 제 DE 30 05 965 A1 호에는 윈드스크린을 향한 쪽 면에서 보호 프로파일 상에 길이방향 모서리를 갖는 유연한 밴드가 고정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 보호 프로파일은 경화 PVC로 구성되며 밴드는 연화 PVC로 구성된다. 따라서 와이퍼가 작동하면, 밴드는 대체로 와이퍼 블레이드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변화되며, 이로 인하여 전체 길이에서 윈드스크린의 곡률에 대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조절된다. 밴드가 와이퍼 립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세척 과정시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퍼 스트립이 노후되지 않고도 와이퍼 시스템은 윈드스크린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프로파일을 와이퍼 블레이드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그리고 와이퍼 스트립을 주위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 프로파일을 측면에서 용접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보호 프로파일은 정면에서 가열되며 플레이트에 대하여 압착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보호 프로파일을 용접할 수 있는 재료의 플레이트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 조립 전에 한쪽 정면만을 용접하고 제 2 정면을 차후에 용접한다면, 보호 프로파일은 와이퍼 스트립으로부터 분리되며, 분해시 보호 프로파일이 절단된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선 II-II을 따라 절취하여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선 IV-IV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선 VI-VI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선 VIII-VIII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커버를 조립 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1에 따른 보호 프로파일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선 XI-XI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0에 따른 보호 프로파일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선 XII-XII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선 XIV-XIV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에 따라서, 보호 프로파일은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단부 상에서 커버로 폐쇄되며, 이 커버에 의해서 보호 프로파일은 조립 및 분해를 위하여 복수회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보호 프로파일 상에 삽입될 수 있으며 강제 끼워 맞춤 및 형상 끼워 맞춤의 형태로 분리 가능하게 보호 프로파일 상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커버는 보호 프로파일과 안정적으로 결합되며, 유지 수단에 의해서 폐쇄 및 개방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 커버로서는, 예를 들어 회전 운동을 통하여 조인트에 의해 보호 프로파일과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커버나 직선 운동 등을 통하여 레일에 의해 보호 프로파일과 결합하는 커버를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간편하고 저렴한 조립과 분해가 가능한데, 이때 보호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조립시 이 보호 프로파일을 파손하지 않고도 양쪽에서 폐쇄될 수 있다. 보호 프로파일은 조립 용도로 반복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다른 폐쇄 부재와 조합된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일례로서 용접된 정면 등을 들 수 있지만, 보호 프로파일을 두 개의 커버로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보호 프로파일은 와이퍼 스트립에 배치된 두 개의 커버로 폐쇄된다. 이 보호 프로파일은 주위 환경으로부터 양쪽에서 보호되며, 와이퍼 스트립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양 길이방향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와이퍼가 구동할 때 보호 레일과 와이퍼 스트립 사이의 마찰뿐만 아니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두 개의 폐쇄면과 길이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대칭축을 갖는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커버 조립 공정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가지 방법이 가능한데,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대칭축을 중심으로 180o회전 형태로 조립이 가능하다. 상기 조립은 간편하고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폐쇄면들은 조립용 그립(grip)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 프로파일은 길이방향 쪽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에 대한 횡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경사진 돌출부로 폐쇄된다. 상기 돌출부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금속 프로파일에서는 일종의 펀치를 이용하여 설치되며 합성수지 프로파일에서는 열원(heating source),특히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소스로 설치될 수 있다. 제 1 측벽에 성형된 돌출부와 제 2 측벽 사이에서 와이퍼 립을 갖는 와이퍼 스트립이 조립 및 분해시 안내될 수 있는 틈새를 갖는 보호 프로파일은 이미 조립 과정에서 두 개의 돌출부에 의해 양쪽에서 폐쇄될 수 있다. 이로써, 보호 프로파일을 와이퍼에 조립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은 짧은 시간 내에 간편하고 저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와 같은 추가의 구조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양쪽에서 폐쇄되는 보호 프로파일의 구성으로 인하여 손상없는 조립이 가능하다. 상기 보호 프로파일은 복수회 중복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환경 보호와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
와이퍼 스트립에 보호 프로파일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돌출부는 길이방향 쪽으로 정면에 대하여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는데, 이 경사면은 조립시 와이퍼 스트립의 와이퍼 립이 틈새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돌출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경사진 제 2 경사면을 갖는데, 이 경사면은 와이퍼가 작동하는 동안 보호 프로파일을 와이퍼 스트립 상에 단단하게 유지하며, 파손없는 분해를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와이퍼 스트립의 와이퍼 립을 틈새 내에서 조절한다.
돌출부를 이용한 폐쇄 작업은 다른 폐쇄 부재와 조합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커버나 용접된 정면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보호 프로파일은 양쪽 정면에서 돌출부로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프로파일을 양쪽 길이방향에서 고정하기 위하여, 돌출부들 사이의 거리는 와이퍼 스트립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윈드스크린과 와이퍼 스트립 사이의 마찰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한 이하의 도면들로 기타 다른 장점들을 설명하며,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또한, 도면과, 실시예와, 청구항들은 여러 가지 특징들을 조합된 형태로 포함하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로서는 각 특징들을 개별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미있는 다른 조합된 형태로도 생각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메인 브래킷(64)과, 메인 브래킷에 힌지 형태로 결합된 중간 브래킷(66)과, 중간 브래킷의 양 단부에 링크된 크로우 브래킷(68, 70)으로 구성되는 캐리어 브래킷 시스템(10)을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상기 크로우 브래킷(68, 70)의 유지 크로우(72)에는 와이퍼 스트립(12)이 고정된다. 와이퍼 스트립(12)을 구매자에게 판매하기 전에 열이나 기타 주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와이퍼 부품(74)을 윈드스크린에 고정하는 보호 프로파일(14)로 와이퍼 스트립을 감싼다.
상기 보호 프로파일(14)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탄성 합성 수지로 구성되며 탄성 변형을 통하여 윈드스크린의 곡률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보호 프로파일(14)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와이퍼 스트립(12)을 둘러싸는 두 개의 측벽(76, 78)들을 구비한 중공 프로파일을 갖는데, 이 중공 프로파일은 크로우(craw) 형태의 돌기(80, 82)를 통하여 스윙 바(84: swing bar)의 영역에서 와이퍼 스트립(12)에 고정되며 와이퍼 스트립(12)으로부터 윈드스크린의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가늘어지는 형태를 갖는다(도 2). 각 측벽(76, 78)은 탄성 변형이 실시될 수 있는 두 개의 전환점(86, 88, 90, 92)을 포함한다. 가능하다면, 많은 전환점을 구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파형 측벽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윈드스크린에 대하여 라운딩된 전구 형태의 프로파일을 형성함으로써, 그리고 벽 두께(94)를 0.8mm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탄성 변형성을 높힐 수 있다. 바람직한 벽두께(94)는 도시한 실시예에서 0.6mm이지만 달리 설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III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보호 프로파일(14)은 길이방향(37, 40)으로 양 단부에서 합성수지재의 커버(16, 18)로 폐쇄된다. 상기 커버(16, 18)는 보호 프로파일(14) 상에 삽입되며 보호 프로파일(14)의 내면(96)에 배치된 3개의 핀(98, 100, 102)과 보호 프로파일(14)의 커버면(104) 상에 배치된 하나의 밴드(106)에 의해서 강제 끼워 맞춤식의 형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도 4, 도 5, 도 6). 커버(16, 18)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혹은 보호 프로파일(14) 상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밴드(106)와 핀(98, 100, 102)들은 페이스(108, 110, 112, 114)를 갖는다. 상기 커버(16, 18)들은 보호 프로파일(1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보호 프로파일(14)은 안정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 상에 고정되어 와이퍼 스트립(12)을 주위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16, 18)에 의해 용이하게 조립되거나 분해될 수 있다. 특히, 양쪽이 폐쇄된 보호 프로파일(14)은 적어도 한쪽 커버(16, 18)를 이용하여 분해 후에 다시 사용될 수 있다. 와이퍼가 작동할 때 보호 프로파일(14)이 와이퍼 스트립(12)으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보호 프로파일과 와이퍼 스트립의 마찰과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16, 18)에는 와이퍼 스트립(12) 상에서 밴드(106)가 배치되어 양 길이방향(38, 40: 도 1, 도 3)으로 보호 프로파일을 고정한다. 보호 프로파일(14)의 탄성은 보호 프로파일(14) 상에 단지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커버(16, 18)에 의해서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측벽(76, 78)들은 보호 프로파일(14)이 탄성적으로 변형할 때 커버(16, 18)와 상관없이 안쪽으로 굽혀진다.
도 7, 도 8 및 도 9에서는 커버(20)를 도시하며, 상기 커버는 핀(116, 118, 120, 122)들에 의해서 구멍(124, 126) 뿐만 아니라 보호 프로파일(22)의 측벽(42, 130)에 강제 끼워 맞춤 형태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도 10, 도 11). 커버(20)는 길이방향(38, 40)에 대해 횡방향으로 대칭축(26)을 포함하고 길이방향(38, 4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대칭축(128)을 포함하며, 보호 프로파일(22)의 단면 형태에 따른 두 개의 폐쇄면(28, 30)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20)는 각각 대칭축(26, 128)을 중심으로 180o회전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조립은 용이하며 보호 프로파일(22)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폐쇄면(28, 30)들은 바람직하게는 분해용 그립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보호 프로파일(22)은 길이방향(40)으로 커버(20)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38)으로 제 2 단부 상에서 길이방향(38, 40)에 대해 횡방향으로 돌출부(32)에 의해 폐쇄된다(도 10). 상기 보호 프로파일(22)은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돌출부(32)는 측벽(42)에서 초음파 소스에 의해 설치되어 제 2 측벽(13)까지 돌출된다.
도 12, 도 13 및 도 14에서는 길이방향(38, 40)으로 양 단부 상에서 돌출부(34, 36)로 폐쇄되는 보호 프로파일(24)을 도시하며, 상기 돌출부는 길이방향(38, 40)에 대한 횡방향을 따라서 안쪽으로 설정되어 측벽(44)에 설치된다. 상기 돌출부(34, 36)들은 합성 수지재의 프로파일(24) 내에서 초음파 소스나 초음파 존데(sonde)에 의해 측벽(44)에 성형된다.
돌출부(34)의 길이(50)는 돌출부(34)와 제 2 측벽(46) 사이에서 거의 일정한 틈새(48)가 형성될 수 있도록 윈드스크린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결정되며, 이 틈새로 인하여 와이퍼 립(132: 도 2)을 조립하거나 분해할 때 와이퍼 스트립(12)을 파손되지 않게 안내할 수 있다(도 13, 도 14). 돌출부(34)는 길이방향(38, 40)에 대한 횡방향을 따라 점점 가늘어지며 정면(54)에 대하여 길이방향(40)을 따라 안쪽으로 30o기울어진 경사진 제 1 경사면(56)을 포함하는데, 이 경사면으로 인하여 와이퍼 스트립(12)의 와이퍼 립(132)은 조립시 틈새(48)의 방향으로 조절되어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도 14). 또한, 돌출부(34)는 내면에 대하여 길이방향(38)을 따라 바깥쪽으로 10o경사진 제 2 경사면(58)을 길이방향(40) 쪽으로 포함하는데, 이 경사면은 와이퍼가 구동할 때 보호 프로파일(24)을 와이퍼 스트립(12)에 단단히 유지하여 손상없는 분해를 용이하게 한다.
돌출부 36은 정면(52)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경사면과 내면에 대하여 경사면을 갖는 돌출부 34와 동일한 형태를 이룬다. 상기 돌출부(34, 36)들은 와이퍼 스트립(12)의 길이(62)와 동일한 거리(60)로 상호 이격 배치된다(도 12, 도 1).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보호 프로파일(24)과 와이퍼 스트립(12) 사이의 마찰은 방지되며 보호 프로파일(24)은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하여 반복해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와이퍼 스트립(12)은 주위 환경에 대하여 보호될 수 있다. 돌출부(34, 36)들은 보호 프로파일(24)의 작은 원주 부분에 걸쳐서 연장하며, 그 결과 탄성 변형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Claims (13)

  1. 차량의 윈드스크린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캐리어 브래킷 시스템(10)에 의해 지지되며 측면이 폐쇄된 보호 프로파일(14, 22, 24)들로 둘러싸인 와이퍼 스트립(12)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보호 프로파일(14, 22)은 길이방향(38, 40)을 따라 하나 이상의 단부에서 커버(16, 18, 20)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커버는 보호 프로파일(14, 22)을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프로파일(14)은 두 개의 커버(16, 18)에 의해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6, 18, 20)는 와이퍼 스트립(12)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는 두 개의 폐쇄면(28, 30)을 가지며, 길이방향(38, 40)에 대한 횡방향으로 대칭축(2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프로파일(22, 24)은 하나 이상의 단부 상에서길이방향(38, 40)에 대한 횡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향하는 돌출부(32, 34, 36)에 의해 길이방향(38, 40)으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2, 34, 36)는 보호 프로파일(22, 24)의 제 1 측벽(42, 44)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프로파일(24)은 돌출부(34)와 제 2 측벽(46) 사이에서 틈새(48)를 가지며, 이 틈새에 의해서 조립 및 분해시 와이퍼 스트립(12)은 와이퍼 립(132)을 안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4)의 길이(50)는 윈드스크린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결정되며, 상기 틈새(48)는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4)는 길이방향(38) 쪽에서 정면(54)에 대하여 길이방향(40)을 따라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면(56)을 가지며, 이 경사면은 조립시 와이퍼 스트립(12)의 와이퍼 립(132)을 틈새(48)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4)는 길이방향(40) 쪽에서 냄면에 대하여 길이방향(38)을 따라 바깥쪽으로 경사진 경사면(58)을 가지며, 이 경사면은 분해시 와이퍼 스트립(12)의 와이퍼 립(132)을 틈새(48)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안쪽으로 경사진 상기 경사면(56)은 바깥쪽으로 경사진 경사면(58)보다 더 편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2. 제 5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프로파일(24)은 두 개의 돌출부(34, 36)를 가지며, 이 돌출부들의 거리(60)는 와이퍼 스트립(12)의 길이(62)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3. 제 5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호 프로파일(22, 24)은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돌출부(32, 34, 36)들은 초음파 소스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017004008A 1999-07-30 2000-07-19 차량의 윈드스크린을 세척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KR100655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5858A DE19935858A1 (de) 1999-07-30 1999-07-30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an Kraftfahrzeugen
DE19935858.3 1999-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451A true KR20010075451A (ko) 2001-08-09
KR100655099B1 KR100655099B1 (ko) 2006-12-08

Family

ID=7916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008A KR100655099B1 (ko) 1999-07-30 2000-07-19 차량의 윈드스크린을 세척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760951B1 (ko)
EP (1) EP1117575B1 (ko)
JP (1) JP4658424B2 (ko)
KR (1) KR100655099B1 (ko)
CN (1) CN1211232C (ko)
BR (1) BR0006963B1 (ko)
CZ (1) CZ296762B6 (ko)
DE (2) DE19935858A1 (ko)
WO (1) WO2001008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34475A1 (de) * 2000-07-15 2002-01-31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US20070022556A1 (en) * 2005-07-28 2007-02-01 Walworth Van T Wind deflector with symmetrical geometry
DE202006004584U1 (de) * 2006-03-22 2007-07-26 Agor Gmbh & Co. Kg Wischblatt
DE102006057024A1 (de) * 2006-12-04 2008-06-05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DE102007045253B4 (de) 2007-09-21 2019-01-17 Volkswagen Ag Wischerblatt mit einer gummielastischen Wischleiste für einen Scheibenwischer an einem Kraftfahrzeug
US20100230426A1 (en) * 2009-03-13 2010-09-16 Chin Pech Co., Ltd. Protective caps for wiper blades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KR101350275B1 (ko) * 2011-11-09 2014-01-23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CA2865292C (en) 2012-02-24 2018-03-1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KR101350279B1 (ko) * 2012-12-11 2014-01-14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와이퍼 립커버
US9403510B2 (en) * 2013-03-15 2016-08-02 Dean Randolph Ranucci Temporary scrubbing appendage for a windshield wiper assembly
US20150020340A1 (en) * 2013-07-22 2015-01-22 Barry Moore Universal Wiper Blade Cover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US9663287B1 (en) * 2016-05-31 2017-05-30 Steven Blackman Windshield wiper cover
FR3083503B1 (fr) * 2018-07-06 2020-07-03 Valeo Systemes D'essuyage Protege-lame pour balai d'essuyage
CN112917858B (zh) * 2021-01-25 2023-05-02 厦门翼竑工贸有限公司 一种具有中空腔的雨刮胶条及其加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1548A (en) * 1959-04-20 1962-02-20 Benjamin N Stoller Windshield wiper attachment
DE3005965A1 (de) 1980-02-16 1981-09-0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Wischblatt mit einem von einem gestell gehaltenen, langgestreckten wischelement
JPS5835448A (ja) * 1981-08-27 1983-03-02 Nippon Steel Corp X線試料台とその使用方法
JPS5835448U (ja) * 1981-09-01 1983-03-08 日本ワイパブレ−ド株式会社 ワイパ−用保護カバ−
JPS59165259A (ja) * 1983-03-11 1984-09-18 Victor Co Of Japan Ltd リバ−ス形テ−プレコ−ダ
JPS59165259U (ja) * 1983-04-22 1984-11-06 株式会社 三ツ葉電機製作所 ワイパブレ−ド保護カバ−
DE3329382C2 (de) 1983-08-13 1994-01-05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JPH077847B2 (ja) * 1984-12-17 1995-01-30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
JPS61144078U (ko) * 1985-02-26 1986-09-05
JPH0225355A (ja) * 1988-07-14 1990-01-26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出力装置
JPH0225355U (ko) * 1988-08-08 1990-02-20
JP2721365B2 (ja) * 1988-10-11 1998-03-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制動制御装置
JPH02102859U (ko) * 1989-02-01 1990-08-15
AU635591B2 (en) * 1990-01-08 1993-03-25 Acushnet Rubber Company, Inc. Windshield wiper blade
JPH05229405A (ja) * 1992-02-21 1993-09-07 Fukoku Co Ltd ワイパーの保護カバー
FR2703313B1 (fr) * 1993-03-31 1995-05-12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ssuyage.
FR2707941B1 (fr) * 1993-07-22 1995-08-25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balai d'essuie-glace.
US5732436A (en) * 1995-08-21 1998-03-31 Feigenbaum; Jeffery J. Replacement wiper blade
JPH1016719A (ja) * 1996-07-03 1998-01-20 Ichikoh Ind Ltd ウインター用ワイパーブレードにおける防水ストッパ構造
JPH10236282A (ja) * 1997-02-28 1998-09-08 Mitsubishi Motors Corp ワイパブレ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006963B1 (pt) 2010-09-21
CZ20011168A3 (cs) 2001-09-12
KR100655099B1 (ko) 2006-12-08
WO2001008948A1 (de) 2001-02-08
CZ296762B6 (cs) 2006-06-14
EP1117575A1 (de) 2001-07-25
BR0006963A (pt) 2001-08-07
EP1117575B1 (de) 2006-01-18
DE19935858A1 (de) 2001-02-01
CN1319056A (zh) 2001-10-24
CN1211232C (zh) 2005-07-20
JP4658424B2 (ja) 2011-03-23
JP2003506244A (ja) 2003-02-18
DE50012085D1 (de) 2006-04-06
US6760951B1 (en) 2004-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5451A (ko) 차량의 윈드스크린을 세척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KR101599098B1 (ko) 최적화된 에어포일을 갖는 앞유리 와이퍼 조립체
KR101310590B1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JP5637579B2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US20050251946A1 (en) Wiper blade
KR20010099977A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JP4700257B2 (ja) ワイパブレード
KR101602961B1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JP2007504995A5 (ko)
WO2001049537A3 (de) Wischvorrichtung zum reinigen von scheiben an fahrzeugen, insbesondere kraftfahrzeugen
KR20050006196A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KR20040058291A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KR20060118427A (ko) 유리창용 와이퍼 암
KR20130132482A (ko) 자가 잠금식 단부 캡을 구비하는 비임 블레이드 와이퍼 조립체
FR3048935A1 (fr) Dispositif d'essuie-glace comportant un adaptateur de bras d'essuie-glace
EP2790970B1 (en) Windscreen wiper arm
KR20190022527A (ko)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
KR20160084388A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JP2011512286A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KR100712870B1 (ko) 자동차 윈드실드 세척용 와이퍼 블레이드
NZ299620A (en) Pivot connection for a wiper blade support arm: swinging away from screen pivoting connection
US6964091B1 (en) Wiper blade claw with crimping design
KR100324370B1 (ko) 자동차용 와이퍼의 온풍공급장치
JP4837401B2 (ja) ワイパブレード
CN103313883B (zh) 一种风挡雨刮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