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5125A - 휴대용 컴퓨터 접속 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 접속 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5125A
KR20010075125A KR1020017003342A KR20017003342A KR20010075125A KR 20010075125 A KR20010075125 A KR 20010075125A KR 1020017003342 A KR1020017003342 A KR 1020017003342A KR 20017003342 A KR20017003342 A KR 20017003342A KR 20010075125 A KR20010075125 A KR 20010075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rd
trunk line
communic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석
Original Assignee
최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석 filed Critical 최영석
Publication of KR2001007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12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17/02Coin-freed or check-freed systems, e.g. mobile- or card-operated phones, public telephones or boo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epayment Telephone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휴대용 컴퓨터 접속 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공중전화기는, 훅 스위치(20), 카드 수록정보를 읽고 판별하는 카드 리더부(30) 및 카드 검색부(31), 투입된 주화를 선별하는 주화선별부(32), 카드 또는 주화 투입이 유효한 경우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 패드부(34), 키 패드부의 키신호에 대한 DTMF 신호를 발생시키는 DTMF 신호 발생부(35), 훅스위치의 오프후크에 따라 초기화되어, 주변장치의 입력신호를 조합, 분석하여 분석결과에 따라 공중전화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6), 공중전화기의 이용안내 문구를 출력하는 문자표시부(37), 국선접속용 국선정합부(38), 국선정합부에 접속되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통화회로부(39), PC 통신모드를 개시하는 PC 통신스위치(28)와, 통화회로부를 PC의 모뎀에 연결하는 모뎀접속부(42)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 접속 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Public telephone having portable computer interface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공중전화기는 마그네틱 카드, IC 카드, 신용카드 또는 동전을 투입하여 유효한 시간 동안 멀리 떨어져 있는 상대방과 전기 통신망을 통하여 양방향, 실시간(Real Time)으로 음성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가진 통신시스템의 단말장치로서, 음성주파수의 음향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회선을 통하여 송신하고, 상대방의 전기적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이격지 간에 음성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종래 공중전화기는, 통상 첨부도면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국에 연결된 국선에 대한 회선을 개폐하는 훅 스위치(Hook Switch)(1)와, 투입된 카드의 금액정보나 신용정보를 읽어들이는 카드 리더부(2)와, 카드 리더부(2)에 투입된 카드의 암호를 확인하고 유효한 카드인지를 검색하는 카드 검색부(3)와, 주화 투입구(도 2의 부호 22)에 투입되는 주화들을 선별하는 주화선별부(4)와, 주화선별부(4)의 주화선별에 따른 적산금액 신호를 발생하는 적산금액 신호발생부(5)와, 사용자의 번호 키 및 기능 키 조작에 따른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 패드부(6)와, 키 패드부(6)에서 발생되는 키신호에 따른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신호를 발생하는 DTMF 신호 발생부(7)와, 훅 스위치(1)의 신호를 입력받아 초기화되며,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처리하고 공중전화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와, 제어부(8)의 제어에 따라 이용안내 문자메시지를 출력하는 문자표시부(9)와, 제어부(8)의 제어에 따라 국선과 연결하여 전화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국선정합부(10)와, 송수화기(12)의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국선정합부(10)로 전송하고, 국선정합부(10)를 통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송수화기(12)로 전송하며, 통화를 위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화회로부(11)와, 사용자의 음향신호는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국선정합부(10)를 통해 전송하거나, 국선정합부(10)로부터 수신된 전기신호는 음향신호로 변환시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송수화기(12) 및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관련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전원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재발신 스위치(도 2의 부호 27 참조) 및 긴급전화 스위치(도 2의 부호 29 참조)와 같이 국선에 대한 회선연결을 제어하는 스위치들과, 카드가 교체 투입되었음을 알리는 카드 교체 스위치(미도시)와 같은 별도의 기능 스위치들을 추가로 포함하기도 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훅 스위치(1)는 통상, 송수화기(12)(도 2에서는 부호21)가 사용자에 의하여 들려지거나 놓여짐으로써 오프 후크(Off Hook: 회선이 개방되는 상태)되거나 온 후크(On Hook: 회선이 폐쇄되는 상태)되면서 회선을 개폐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들을 포함하는 공중전화기는 다음과 같은 작동을 한다.
먼저, 사용자가 송수화기(12)를 들면 훅 스위치(1)가 오프 후크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8)는 훅 스위치(1)의 오프 후크를 인식하여 문자표시부(9)를 통해 문자표시판(도 2의 부호 23)에 "카드 또는 동전을 넣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어 카드 투입구(도 2의 부호 25)에 카드를 투입하면 카드 리더부(2)는 카드에 수록된 정보를 읽고, 연이어 카드 검색부(3)가 카드의 유,무효 여부를 판독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8)에 입력한다. 제어부(8)는 카드가 무효인 경우 이에 대하여 사용 불가능한 카드임을 문자표시부(9)에 문자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유효인 경우에는 DTMF 신호 발생부(7)로 하여금 다이얼링 가능하다는 표시의 음향신호를 말하면서 문자표시부(9)의 문자표시판을 통해서는 전화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키 패드부(6)는 제어부(8)에 의해 DTMF 신호 발생부(7)와 통화회로부(11) 등을 통하여 국선에 연결된다.
전화번호 입력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가 키 패드(도 2의 부호 24)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면 제어부(8)는 DTMF 신호발생부(7)를 제어하여 DTMF 신호 발생부(7)로 하여금 그 입력된 전화번호 순서대로 DTMF 신호를 발생하여 통화회로부(11)에 보내게 한다. 통화회로부(11)는 그 DTMF 신호를 국선을 통하여 교환국으로 보내고, 교환국은 그 DTMF 신호를 상대방 전화로 입력한다. 그 신호에 대하여 상대방 전화가 오프 후크되어 응답하면, 국선을 통하여 통화회로부(11)끼리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서로의 음향신호가 증폭되어 상대방 송수화기(12)로 출력됨으로써 쌍방간의 음성통화가 가능해진다. 이때, 통화시간 경과에 따른 과금신호가 국선을 통해 수신되어 국선정합부(10)를 거쳐 제어부(8)에 입력되는데, 제어부(8)는 그 과금신호에 따라 통화가 충전식 전화카드에 의해 이루어진 경우에는 카드 리더부(2)를 제어하여 카드에 충전된 충전금액을 감액하고, 동전주입에 의해 이루어진 경우에는 주화선별부(4)의 주화선별에 따라 적산금액 신호발생부(5)가 생성한 적산금액을 감액하여, 현재 잔액을 문자표시부(9)에 표시한다. 한편, 사용된 카드가 충전식 전화카드가 아닌 신용카드와 같이 적산식 카드인 경우에는 제어부(8)는 반대로 통화에 따른 과금금액을 적산하여 문자표시부(9)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런데, 통화 중에 그 통화가 전화카드나 혹은 동전 투입에 의해 이루어졌으면서 그 적산잔액이 일정액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제어부(8)는 송수화기(12)를 통해 경고음을 발하여 통화가능시간이 소진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 경고음이 발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사용자가 동전을 보충하지 않거나 또는 카드를 교체하지 않으면, 제어부(8)는 최종적으로 송수화기(12)와 국선 사이 회로 접속을 단락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컴퓨터가 대중화되면서 정보화시대에 걸맞게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망들을 통하여 국내외적으로 막대한 양의 정보들이 교환되고 있으며, 이 정보통신망을 통한 전자상거래도 점증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터의 보금대수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통신만 이용률 상승과 휴대용 컴퓨터 보급률 증대의 현실에 비추어, 종래에는 휴대용 컴퓨터를 통한 정보통신망 이용률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것은 일반 컴퓨터와 달리 휴대용 컴퓨터는 전화선이 가설되지 않은 실외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반해 그 실외에는 정보통신망과 접속할 수 있도록 가설된 공중의 전화회선이 극히 미미하였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였다. 이에 종래에는 휴대용 컴퓨터로서 정보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기회가 극히 제한받을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현실이 감안되어 최근에는 컴퓨터를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 접속단자를 구비한 휴대폰이 실용화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휴대폰을 통해 무선으로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정보를 이용할 경우, 통화시간보다 상대적으로 긴 통신시간과 유선통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싼 요금체계를 갖는 무선통신에 비추어 매우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공중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개인 컴퓨터(PC:Personal Computer)를 컴퓨터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터 접속 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공중전화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접속 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 접속 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 접속 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7 : 재발신 스위치 28 : PC 통신 스위치
29 : 긴급통화 스위치 30 : 카드 리더부
31 : 카드 검색부 32 : 주화선별부
33 : 적산금액 신호발생부 34 : 키 패드부
35 : DTMF 신호 발생부 36 : 제어부
37 : 문자표시부 38 : 국선정합부
39 : 통화회로부 40 : 송수화기
42 : 모뎀접속부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서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를 공중의 정보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용 접속기능을 구비한 공중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유선의 전화선이 가설되지 않은 불특정 장소에서도 휴대용 컴퓨터를 정보통신망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정보통신망의 정보를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여 휴대용 PC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접속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송수화기를 온 후크 혹은 오프 후크시키는 훅 스위치; 공중전화기가 국선에 연결된 후, 카드투입구로 투입된 카드의 수록정보를 읽어들이는 카드 리더부; 상기 카드 리더부가 읽은 카드 수록정보를 판별하여 그 유, 무효를 검색하는 카드 검색부; 상기 카드 검색부의 카드 검색결과가 유효인 조건에서 키 패드의 번호키 및 기능키에 대한 사용자조작에 따른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 패드부; 상기 키 패드부의 키신호에 따른 DTMF 신호를 발생하는 DTMF 신호 발생부; 상기 훅 스위치의 오프 후크에 따라 초기화되고, 그 후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조합, 분석하여, 분석결과에 따라 공중전화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공중전화기의 이용안내 문구를 출력하는 문자표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국선에 접속되는 국선정합부; 상기 국선정합부에 연결되어 그 국선정합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증폭된 신호를 상기 송수화기, 모뎀접속부 및 상기 DTMF 신호 발생부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통화회로부; 상기 통화회로부에 의해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하여 음향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통화회로부에서 증폭되어 국선으로 전송되도록 사용자의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송수화기; PC 통신모드를 개시하는 PC 통신스위치; 및 상기 PC 통신스위치가 턴 온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통화회로부를 PC의 모뎀에 연결하는 모뎀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PC 통신스위치는 상기 카드 검색부의 검색결과 상기 카드가 유효인 조건에서 상기 통화회로부의 상기 국선정합부에 대한 접속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중전화기는 상기 훅 스위치가 오프 후크인 조건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카드검색부, 상기 키 패드부, 상기 DTMF 신호 발생부, 상기 문자표시부, 상기 국선정합부, 상기 통화회로부 및 상기 송수화기를 초기화하는 재발신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발신 스위치는, 상기 PC 통신 스위치가 턴 온된 조건에서 상기 통화회로부와 상기 국선정합부 사이 회선을 단락하여 상기 PC 통신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초기화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다른 특징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접속 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에 따르면, 국선에 대한 회선을 개폐하는 훅 스위치; 공중전화기가 국선에 연결된 후, 주화투입구를 통해 주입된 주화를 선별하는 주화선별부; 상기 주화선별부의 주화선별결과에 따른 주화적산 금액신호를 생성하는 적산금액신호 발생부; 상기 적산금액신호 발생부의 적산금액이 기준금액 이상인 조건에서 키 패드의 번호키 및 기능키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른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 패드부; 상기 키 패드부의 키신호에 따른 DTMF 신호를 발생하는 DTMF 신호 발생부; 상기 훅 스위치의 오프 후크에 따라 초기화되고, 그 후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조합, 분석하여, 분석결과에 따라 공중전화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공중전화기의 이용안내 문구를 출력하는 문자표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국선에 접속되는 국선정합부; 상기 국선정합부에 연결되어 그 국선정합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통화회로부; 상기 통화회로부에 의해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하여 음향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통화회로부에서 증폭되어 국선으로 전송되도록 사용자의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송수화기; 상기 훅 스위치가 온 후크인 조건에서 상기 통화회로부의 상기 국선정합부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PC 통신스위치; 및 상기 통화회로부를 PC의 모뎀에 연결하는 모뎀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접속 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의 제어방법은, PC 통신 스위치가 턴 온된 경우, 모든 데이타를 초기화하여 PC 통신모드를 개시하는 PC 통신모드개시단계; PC의 모뎀을 모뎀접속부에 연결하고, 카드투입구에 투입된 카드의 유, 무효를 검색하는 카드검색단계; 상기 카드검색단계에서 카드가 유효한 것으로 인정된 경우 상기 PC의 모뎀을 국선에 연결하는 PC 통신접속단계; 상기 PC 통신접속단계에서 서로 연결된 상기 PC의 모뎀과 국선을 통해 컴퓨터 통신망으로부터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PC 통신단계; 통화시간 경과에 따른 과금신호를 국선을 통해 수신하여, 그 과금신호에 따라 상기 카드에 충전된 금액을 감액하거나과금액을 적산하는 과금단계; 및 상기 과금단계에서 상기 카드의 충전잔액이 일정 금액 이하로 되거나 또는 상기 PC 통신단계에서 재발신 스위치가 조작되거나, 사용자가 상기 PC의 모뎀을 턴 오프시킨 경우 상기 PC의 모뎀과 국선 사이 회선을 단락하는 PC 통신종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PC 통신모드개시단계는 훅 스위치가 온 후크인 조건에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중전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PC 통신모드가 종지된 이후 재발신스위치가 다시 눌려진 경우, 상기 PC 통신모드개시단계로 복귀하는 PC 통신모드 복귀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으로 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이상의 각 구성들의 기능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접속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는 전화카드나 동전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부에 케이스(100)의 좌측상단의 측면에 설치되는 훅 스위치(20), 이 훅 스위치(20)에 걸쳐지는 송수화기(21), 케이스(100) 우측상면 후측에 설치되는 동전투입구(22), 케이스(100) 전면 좌측 상단의 문자표시판(23), 문자표시판(23) 아래에 설치되며 그 표면에 다수의 번호키와 기능키들이 정렬되어 있는 키패드(24), 케이스(100) 전면우측 하부의 카드 투입구(25), 그리고 케이스(100) 전면 좌측 하단에 PC 통신 접속단자(26)가 외부로 노출된 채로 설치된다. 또한, 카드투입구(25) 상부에는 위에서부터 재발신 스위치(27), PC 통신 스위치(28) 및 긴급 통화 스위치(29) 등이 차례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기의 내부 시스템 구성이 도 3에 일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중전화기는 훅 스위치(20), 카드 리더부(30), 카드 검색부(31), 키 패드부(34), 주화선별부(32), 적산금액 신호발생부(33), DTMF 신호 발생부(35), 제어부(36), 문자표시부(37), 국선정합부(38), 통화회로부(39), 송수화기(40), 전원부(41), 그리고 통화회로부(39)와 PC 사이 회선을 연결하는 모뎀접속부(42), 통화회로부(39)와 모뎀접속부(42) 사이의 회선을 인위적으로 단속시킬 수 있게 하는 PC 통신 스위치(2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훅 스위치(20)는 송수화기(40)의 작동에 의해 온, 오프 후크되면서 공중전화기와 국선 사이의 회선을 개폐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이 송수화기(40)가 들려지면 훅스위치(20)가 오프 후크 상태가 되면서 국선에 대한 회선이 연결된다.
상기 카드리더부(30)는 카드 투입구(도 2의 부호 25)를 포함하며, 이 카드투입구(25)에 투입된 카드에 적산된 금액정보나 신용정보를 읽어들여 그 정보를 카드검색부(31)에 보낸다.
카드검색부(31)는 투입된 카드의 암호를 확인한 후, 상기 카드리더부(30)가 카드로부터 읽어들인 적산금액 또는 신용정보 등을 체크하여 유, 무효를 판별하여제어부(36)에 보낸다.
주화선별부(32)는 주화투입구(도 2의 부호 22)로 투입된 주화의 종류를 기계적으로 선별하고, 적산금액신호 발생부(33)는 주화선별부(32)의 주화선별 결과에 따라 투입금액을 산출하여 전기적 신호로서 제어부(36)에 보낸다.
한편, 키 패드부(34)는 키패드(도 2의 부호 24)의 번호키 및 기능키가 조작됨에 따라 그에 따른 키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제어부(36)에 보낸다.
DTMF 신호 발생부(35)는 제어부(36)의 제어에 의해 상기 키 패드부(34)의 키신호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발생하여 통화회로부(39)에 입력한다.
그리고, 제어부(36)는 주변의 모든 구성요소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공중전화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 바, 이는 특히 상기 훅 스위치(20)의 신호에 의해 초기화된 후, 주변 구성요소들로부터 입력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그 결과에 의거 공중전화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문자표시부(37)는 액정 디스플레이어(LCD)로서, 상기 제어부(36)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공중전화기 이용에 따른 안내문구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상기 국선정합부(38)는 상기 제어부(36)의 제어에 따라 국선과 통화회로부(39)를 연결하거나 차단하여, 공중전화기를 공중전화망에 접속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통화회로부(39)는 송수화기(40)와 국선정합부(38)를 연결하는 통신회로로서, 제어부(36)가 국선 연결신호를 보내면 상기 국선정합부(38)를 통하여 수신된 전기신호를 증폭하여 송수화기(40)로 보내고, 아울러 송수화기(40)의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증폭하여 국선정합부(38)를 통해 국선으로 송출한다.
송수화기(40)는 통화회로부(39)에서 증폭되어 전송된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음성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반대로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통화회로부(39)에 보낸다.
그리고, 재발신 스위치(도 2의 부호 27)는 통화가 끝난 후, 카드 검색결과 카드가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나타나거나 또는 주화 검색 결과 잔액이 있는 것이 확인된 상태에서 다시 국선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통화회로부(39)와 모뎀접속부(42) 사이의 회선을 강제적으로 끊어주는 역할을 한다.
긴급통화 스위치(도 2의 부호 29)는 제어부(36)에 긴급통화신호를 보내어 카드 혹은 주화 투입 여부에 관계없이 예컨데 화재신고와 같은 긴급신고용 전화회선을 공중전화기와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카드 교체 스위치(미도시)는 카드 투입구에 투입된 카드가 무효여서 새 카드를 투입한 경우, 제어부(36)에 카드교체신호를 보내 카드 리더부(30)와 카드 검색부(31)를 초기화하고, 카드 리더부(30)와 카드 검색부(31)들로 하여금 새 카드를 재검색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모뎀접속부(42)는 통화회로부(39)와 PC 사이 회선을 연결하는 접속단자(26)로서,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송수신 분리부(미도시)와, PC 모뎀에 직류전류를 피딩하기 위한 직류피딩부, 및 PC 모뎀(미도시)이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직류감지부를 포함하여, 국선과 PC 사이의 데이타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모뎀접속부(42)는 그 직류감지부(미도시)에서 모뎀의 오프상태를 감지하여 국선정합부(38)에서 국선을 끊도록 한다.
그리고, PC 통신 스위치(28)는 상기 통화회로부(39)와 모뎀접속부(42) 사이의 회선을 훅 스위치(20)의 단속여부에 관계없이 인위적으로 단속시킬 수 있게 하는 상기 긴급통화 스위치(29)와 같은 형식의 강제 회선연결스위치이다.
이제,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들을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전화기의 작동과정을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공중전화기에 있어서 사용자와 상대방 간에 음성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통상의 전화통화모드는 사용자가 송수화기(40)를 듦에 따라 훅 스위치(20)가 오프 후크 상태가 되면서 개시되는데, 그 진행과정은 도 1에 자세히 설명된 종래 공중전화기 전화통화모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전화통화모드 작동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PC 통신 모드 작동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기를 PC 통신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송수화기(40)를 훅 스위치(도 2의 부호 20)에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우선 PC 통신 스위치(28)를 조작하여 공중전화기 내부의 시스템을 PC 통신모드로 전환하여야 한다. 이때, 문자표시부(37)에 표시되는 메시지에 따라 PC의 모뎀 접속단자(시리얼 포트)를 공중전화기의 PC 통신 접속단자(26)에 연결한 후, 카드 투입구(25)에 유효한 카드를 투입하거나 주화투입구(22)에 주화를 투입하면, 국선과 PC 모뎀이 서로 연결되어 컴퓨터 통신망에 접속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공중전화기의 내부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우선, PC 통신 스위치(28)가 사용자의 조작으로 턴 온 상태가 되면(PC 통신모드개시단계), 제어부(36)는 먼저 통화회로부(39)를 통하여 모뎀접속부(42)에 모뎀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제어부(36)는 모뎀이 연결되지 않았다면 문자표시부(37)를 제어하여 문자표시판에 "모뎀을 연결하시오"라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모뎀이 연결되어 있다면 문자표시부(37)를 제어하여 문자표시판에 "카드 또는 주화를 투입히시오"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어, 사용자가 카드투입구(25)혹은 주화투입구(22)를 통하여 카드나 주화를 투입하면, 카드 리더부(30) 및 카드 검색부(31) 또는 주화선별부(32)가 투입된 카드나 주화의 유,무효를 검색한다(카드혹은 주화검색단계). 카드나 주화가 유효인 것으로 인정되면, 문자표시부(37)는 문자표시판(23)에 PC 모뎀이 국선에 접속되었다는 표시 즉, PC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문자표시부(37)로 출력하게 되는데(통신접속단계), 사용자는 이때부터 국선을 통하여 PC를 컴퓨터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통신단계).
PC를 통한 데이타 송수신을 완료하면, 사용자는 재발신 스위치(27)를 눌러 인위적으로 국선에 대한 회선을 끊을 수 있다(통신종지단계). 이때 재발신 스위치(27)는 통상의 통화모드에서와는 반대의 기능을 한다. 즉, 통화모드에서 재발신 스위치(27)는 국선을 공중전화기와 다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PC 통신모드에서는 반대로 국선을 공중전화기와 단락시키는 역할을 한다.
PC 통신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재발신 스위치(27)를 조작하는 인위적인 방법에 의해서 종지되지만, PC 통신모드에서도 통화모드에서와 같이, 통신단계가 진행되는 동안에 충전된 금액을 감액하는 과금단계가 병행되므로, 통신단계 중에 충전잔액이 일정 금액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제어부(36)에 의해 강제 종지되기도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국선에 대한 접속이 단락되면, 제어부(36)는 문자표시부(37)를 제어하여 문자표시판(23)에 사용자에게 모뎀연결을 해제하라는 메시지를 띄운다. 이때 사용자가 모뎀연결을 해제하면 공중전화기의 모든 작동이 끝나고 공중전화기의 모든 시스템은 초기화된다.
한편, 상기 PC 통신모드개시단계 이후 모뎀이 소정의 시간내에 모뎀접속부(42)에 연결되지 않거나 투입된 카드 또는 주화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제어부(36)는 국선에 대한 회선을 개방하지 않고 문자표시부(39)를 통하여 서비스 불능상태임을 표시한 후 모든 시스템을 초기화한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중전화기는 휴대용 PC를 전화회선을 통해 컴퓨터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PC 통신용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음성을 교환하는 통상의 전화 통화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공중전화기에 의하면, 유선의전화선이 가설되지 않은 불특정 장소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휴대용 PC를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컴퓨터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기술보호범위는 명세서의 청구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확대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송수화기를 온 후크 혹은 오프 후크시키는 훅 스위치;
    공중전화기가 국선에 연결된 후, 카드투입구로 투입된 카드의 수록정보를 읽어들이는 카드 리더부;
    상기 카드 리더부가 읽은 카드 수록정보를 판별하여 그 유, 무효를 검색하는 카드 검색부;
    상기 카드 검색부의 카드 검색결과가 유효인 조건에서 키 패드의 번호키 및 기능키에 대한 사용자조작에 따른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 패드부;
    상기 키 패드부의 키신호에 따른 DTMF 신호를 발생하는 DTMF 신호 발생부;
    상기 훅 스위치의 오프 후크에 따라 초기화되고, 그 후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조합, 분석하여, 분석결과에 따라 공중전화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공중전화기의 이용안내 문구를 출력하는 문자표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국선에 접속되는 국선정합부;
    상기 국선정합부에 연결되어 그 국선정합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증폭된 신호를 상기 송수화기, 모뎀접속부 및 상기 DTMF 신호 발생부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통화회로부;
    상기 통화회로부에 의해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하여음향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통화회로부에서 증폭되어 국선으로 전송되도록 사용자의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송수화기;
    PC 통신모드를 개시하는 PC 통신스위치; 및
    상기 PC 통신스위치가 턴 온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통화회로부를 PC의 모뎀에 연결하는 모뎀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C 통신스위치는 상기 카드 검색부의 검색결과 상기 카드가 유효인 조건에서 상기 통화회로부의 상기 국선정합부에 대한 접속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훅 스위치가 오프 후크인 조건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카드검색부, 상기 키 패드부, 상기 DTMF 신호 발생부, 상기 문자표시부, 상기 국선정합부, 상기 통화회로부 및 상기 송수화기를 초기화하는 재발신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발신 스위치는, 상기 PC 통신 스위치가 턴 온된조건에서 상기 통화회로부와 상기 국선정합부 사이 회선을 단락하여 상기 PC 통신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초기화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기.
  5. 국선에 대한 회선을 개폐하는 훅 스위치;
    공중전화기가 국선에 연결된 후, 주화투입구를 통해 주입된 주화를 선별하는 주화선별부;
    상기 주화선별부의 주화선별결과에 따른 주화적산 금액신호를 생성하는 적산금액신호 발생부;
    상기 적산금액신호 발생부의 적산금액이 기준금액 이상인 조건에서 키 패드의 번호키 및 기능키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른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 패드부;
    상기 키 패드부의 키신호에 따른 DTMF 신호를 발생하는 DTMF 신호 발생부;
    상기 훅 스위치의 오프 후크에 따라 초기화되고, 그 후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조합, 분석하여, 분석결과에 따라 공중전화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공중전화기의 이용안내 문구를 출력하는 문자표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국선에 접속되는 국선정합부;
    상기 국선정합부에 연결되어 그 국선정합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통화회로부;
    상기 통화회로부에 의해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하여 음향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통화회로부에서 증폭되어 국선으로 전송되도록 사용자의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송수화기;
    상기 훅 스위치가 온 후크인 조건에서 상기 통화회로부의 상기 국선정합부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PC 통신스위치; 및
    상기 통화회로부를 PC의 모뎀에 연결하는 모뎀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접속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
  6. PC 통신 스위치가 턴 온된 경우, 모든 데이타를 초기화하여 PC 통신모드를 개시하는 PC 통신모드개시단계;
    PC의 모뎀을 모뎀접속부에 연결하고, 카드투입구에 투입된 카드의 유, 무효를 검색하는 카드검색단계;
    상기 카드검색단계에서 카드가 유효한 것으로 인정된 경우 상기 PC의 모뎀을 국선에 연결하는 PC 통신접속단계;
    상기 PC 통신접속단계에서 서로 연결된 상기 PC의 모뎀과 국선을 통해 컴퓨터 통신망으로부터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PC 통신단계;
    통화시간 경과에 따른 과금신호를 국선을 통해 수신하여, 그 과금신호에 따라 상기 카드에 충전된 금액을 감액하거나 과금액을 적산하는 과금단계; 및
    상기 과금단계에서 상기 카드의 충전잔액이 일정 금액 이하로 되거나 또는상기 PC 통신단계에서 재발신 스위치가 조작되거나, 사용자가 상기 PC의 모뎀을 턴 오프시킨 경우 상기 PC의 모뎀과 국선 사이 회선을 단락하는 PC 통신종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접속 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PC 통신모드개시단계는 훅 스위치가 온 후크인 조건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접속 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 제어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PC 통신모드가 종지된 이후 재발신스위치가 다시 눌려진 경우, 상기 PC 통신모드개시단계로 복귀하는 PC 통신모드 복귀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접속 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 제어방법.
KR1020017003342A 1998-09-15 1999-09-15 휴대용 컴퓨터 접속 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751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003A KR19990078483A (ko) 1998-09-15 1998-09-15 공중전화기
KR1019980038003 1998-09-15
PCT/KR1999/000556 WO2000016535A2 (en) 1998-09-15 1999-09-15 Public telephone having portable computer interface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125A true KR20010075125A (ko) 2001-08-09

Family

ID=195506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003A KR19990078483A (ko) 1998-09-15 1998-09-15 공중전화기
KR1020017003342A KR20010075125A (ko) 1998-09-15 1999-09-15 휴대용 컴퓨터 접속 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003A KR19990078483A (ko) 1998-09-15 1998-09-15 공중전화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2002525918A (ko)
KR (2) KR19990078483A (ko)
CN (1) CN1318251A (ko)
AU (1) AU5762399A (ko)
CA (1) CA2344332A1 (ko)
IL (1) IL142005A0 (ko)
WO (1) WO20000165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165B1 (ko) 2000-09-15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접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847616A (zh) * 2016-03-29 2016-08-10 苏州玄禾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投币式公用电话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5460A (en) * 1991-03-11 1992-04-14 Williams John S Plug-in telephone facility
EP0486160A2 (en) * 1990-10-22 1992-05-20 Touchfax Information Systems, Inc Multi-purpose public facsimile transmission terminal
JPH06296193A (ja) * 1993-04-07 1994-10-21 Fujita Corp 公衆回線利用型携帯電話システム
KR20000013472A (ko) * 1998-08-05 2000-03-06 김좌순 인터넷겸용 공중전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1101C1 (de) * 1994-06-16 1995-12-21 Siemens Ag Anschaltemöglichkeit für zusätzliche Dienste an Fernsprechendgeräten
KR0143308B1 (ko) * 1995-07-14 1998-08-01 김광호 전화기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회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6160A2 (en) * 1990-10-22 1992-05-20 Touchfax Information Systems, Inc Multi-purpose public facsimile transmission terminal
US5105460A (en) * 1991-03-11 1992-04-14 Williams John S Plug-in telephone facility
JPH06296193A (ja) * 1993-04-07 1994-10-21 Fujita Corp 公衆回線利用型携帯電話システム
KR20000013472A (ko) * 1998-08-05 2000-03-06 김좌순 인터넷겸용 공중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44332A1 (en) 2000-03-23
WO2000016535A3 (en) 2000-06-08
CN1318251A (zh) 2001-10-17
JP2002525918A (ja) 2002-08-13
IL142005A0 (en) 2002-03-10
WO2000016535A2 (en) 2000-03-23
AU5762399A (en) 2000-04-03
KR19990078483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762B1 (ko) 휴대 영상 전화 단말, 휴대 영상 전화 시스템, 및 휴대 영상 전화 단말의 발호 및 착호 방법
JP2003110758A (ja) 一般電話とインターネット電話兼用の公衆通信端末機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40072544A1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2376110A (zh) 基于gsm网络的门禁系统及门禁方法
US20100015965A1 (en) Integrated handheld computing and telephony device
JPS6141262A (ja) 音声記録可能なカ−ド
US20030103609A1 (en) Network access pay telephone and conversion kit
CN101351000A (zh) 一种信息呈现方法及通讯终端
US58126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epting potentially fraudulent
US5881141A (en) Data communication circuit and method using telephone system
KR20010075125A (ko) 휴대용 컴퓨터 접속 기능을 가진 공중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088613B2 (ja) 有料電話詐欺を防止しハンドセット破壊を減少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JP2680565B2 (ja) 電話線を利用した送受信システム
CN100418338C (zh) 在便携式终端使用预付卡提供呼叫业务的设备和方法
KR20000020280A (ko) 발신자 정보처리 시스템
KR20020048567A (ko) 공중전화를 통한 발신자 정보 전송 방법
KR200306326Y1 (ko) 휴대전화용 acr 장치
KR20040046312A (ko) 문자 및 음성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29393B1 (ko) 무인 및 자급형 다기능 공중전화기
KR200212105Y1 (ko) 발신자 정보표시 기능이 내장된 자동 접속 다이얼 장치
JPH104450A (ja) 赤外線インターフェース機能付き公衆通信装置
JP3412428B2 (ja) 電話端末装置
CN2318768Y (zh) 一种密码式公用电话限拨装置
KR100707249B1 (ko)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가지는 공중 전화기 및 그 방법
KR100317528B1 (ko)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및 그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