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2559A - 냉간 가공강 - Google Patents

냉간 가공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559A
KR20010072559A KR1020007010728A KR20007010728A KR20010072559A KR 20010072559 A KR20010072559 A KR 20010072559A KR 1020007010728 A KR1020007010728 A KR 1020007010728A KR 20007010728 A KR20007010728 A KR 20007010728A KR 20010072559 A KR20010072559 A KR 20010072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cold worked
worked steel
cold
suita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2760B1 (ko
Inventor
오트 잔트베르크
뵈레 요한손
Original Assignee
고란발너,브요른잔트스트림
우데홀름툴링악티에보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란발너,브요른잔트스트림, 우데홀름툴링악티에보라그 filed Critical 고란발너,브요른잔트스트림
Publication of KR20010072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3Cement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Forging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냉간 가공강은 0.82 - 0.97 C, 미량으로부터 최대 1.10 Si, 미량으로부터 최대 0.62 Mn,7.6 이상 8.0 이하 Cr, 2.30 - 2.70 Mo, 0.35 - 0.55 V 중량%의 화학 조성물과, 그 나머지 철과 강의 제조로부터 잔류 원소의 형태의 정상 량의 불순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간 가공강{COLD WORK STEEL}
냉간 가공강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고경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적용분야에서 또한 양호한 내마모성과 충분한 인성이 필요하다. 이들 주요 조건 및 다른 많은 필수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많은 수의 강이 개발되어왔다. 이들 합금중 대부분은 특히 인성이 내마모성보다 더 중요할 때, 0.8 -1.2C, 0.2 -1.2Si, 0.2 -0.5Mn, 5-12Cr, 0.5-4Mo, 0 -3W 및 0.2 -2V의 합금 범위내의 조성물을 가진다. 또한, 소량 또는 적당히 높은 함량의 Ni, Nb, Cu 및/또는 Al가 존재할 수 있다. 적당한 량 내지 충분한 량의 니오븀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후자의 형태의 강은 US-A-5,160,553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냉간 가공강, 즉 냉각 가공을 위한 툴의 제조용 강에 관한 것이며, 통상적인 적용분야는 블랭킹 나이프, 펀칭 툴, 디프 드로오잉 모듈 등이다.
도 1은 초고 강도 강판의 펀칭과 연관하여 펀치 마모 대 스트로크의 수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이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균형있는 화학 조성물을 가진 냉간 가공강을 제공하는 것이다.
- 비분말 금속학 방법으로 제조하기 용이하고 제조시 높은 생산성을 얻기 위해서 양호한 열간 작업성을 가져야 한다.
- 아주 가장 작은 치수, 즉 직경 10mm 이하, 직경 500mm까지 또는 스퀘어 또는 평면 섹션의 대응 크기의 치수 범위로 제조될 수 있어야 한다.
- 어떠한 량의 조대한 1차 카바이드도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 양호한 열처리 특성을 가져야 하며, 그 중에서도 적당히 높은 오스테나이트화 온도로부터 경화될 수 있어야 한다.
- 양호한 경화성, 즉 대형 치수의 경우에도 완전히 경화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 열처리시 뿐만 아니라 사용중에 양호한 치수 안정성을 가져야 하며, 후자의 조건은 시효에 낮은 감수성을 가져야 한다는 뜻이다.
- 60-64 HRC의 경도를 성취하기 위해서 템퍼링과 연관하여 2차 경화를 할수 있어야 한다.
- 양호한 표면 증착 특성을 가져야 하며, 즉 PVD 및 CVD를 통해, 질화, 케이스 경화 및 표면 경화되어야 한다.
- 양호한 스파이킹 가공성을 가져야 한다.
- 적절한 내마찰 마모성을 가져야 한다.
- 적절한 인성을 가져야 한다.
- 높은 압축 강도를 가져야 한다.
- 양호한 피로 특성, 양호한 절단성 및 양호한 연삭성을 가져야 한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냉간 가공강을 시험하고, 이들 강의 화학 조성물은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의 강들은 마이크로 조직을 기준으로 시험되거나 비교되며, 이들은 함유물의 형태와 특성, 열처리에 대한 대응성, 경화성, 오스테나이트후 및 텐퍼링 후의 경도, 치수 안정성, 스파크 가공성, 충격 강도와 굽힘 강도에 대한 인성, 내마찰 마모성, 압축항복점, 연삭성 및 절단성을 포함한다.
시험된 강들중 아무것도 모든 면에서 이들 특성의 바람직한 조합을 가지지 못한다.
그러므로, 개발 작업이 계속되어 지는 동안, 얻어진 결과면에서, 일련의 조건들이 개정되어 설계되었으며, 첫째, 인성 및 내마모성에 대해서 경도 및 카바이드량의 영향을 고려한다. 개발 작업의 두 번째에서, C, N, Mn, V 및 Mo의 함량의 소량 변화가 인성, 열처리에 대한 대응성, 경화성, 2차 경도, 템퍼링에 대한 저항력및 내마모성과 같은 여러 중요 특징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보다 상세히 시험했다. 이 작업에서는, 표 2에 따라 화학 조성물 중량%을 가진 7개의 50kg 라보레토리 가열체(laboratory heats)로 이루어진다.
모든 가열체는 60 × 60mm의 바 형상으로 단조된다. 재료 시험은 상술한 여러 특징에서 가장 상승된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강이 중량%로 0.82-0.97 C, 0.70-1.10 Si, 0.38-0.62 Mn, 7.6 이상 8.0이하의 Cr, 최대 0.40 Ni, 2.30-2.70 Mo, 최대 0.25 W, 0.350 -0.55 V, 나머지 철과 불가피한 불순물 및 부수적인 원소들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가져야 하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강은 정상적으로 최대 0.15 N, 적합하게 최대 0.03 N, 최대 0.30 Cu, 및 최대 6ppm H를 포함한다. Al함량은 최대 0.1%, 적합하게 최대 0.045%이지만, 통상적으로 강의 탈산소 처리(desoxidation treatment)로부터의 잔류 원소로서 0.010-0.045%량이다. 통상적으로 강은 0.92 C, 0.95 Si, 0.5 Mn, 7.8 Cr, 2.5 Mo, 0.45 V를 포함한다.
강의 마이크로 조직이 관계되는 한, 1000-1080℃에서의 어닐링, 실온까지 냉각과 180-650℃에서 한번 또는 몇번 템퍼링후, 강은 3-6 vol-%, 적합하게는 3-5 vol-%의 전체 카바이드 체적을 함유하는 템퍼링된 마르텐사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 카바이드 체적은 0.25-0.45 vol-% MC 카바이드와 그 나머지 주로 M7C3카바이드로 이루어진다. 적합하게, 1차 카바이트의 량은 약 4 vol-%이다.
본 발명의 강은 용융물로 제조하고, 이를 강괴로 주조하고, 이를 바, 판의 형태로 고온가공하고, 바, 판등을 툴 또는 다른 제품으로 만들고, 그리고 특성의 바람직한 조합을 가진 최종 물품을 성취하기 위해서 열처리할 수 있다.
종래의 강괴 제조법은 예를들어, 전기-슬래그-정련법(ESR)과 같은 몇몇 연속적인 용융물-금속야금학적 방법이나, 오스프레이(Osprey)로 공지된 방법에 따른 고화되는 용탕의 낙하에 의한 강괴제조법을 통해서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과 양태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 질것이다.
본 발명의 강은 냉간 가공용 툴의 제조에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냉간 가공 툴은 예를 들어, 박막 강판을 블랭킹, 펀칭 프세싱 및 벤딩하기 위한 자동차 산업내에서 사용된다. 이 분야에서, 새로운 초고 강도강은 최근에 개발되어왔다. 이들강중 하나는 SSAB Tunnplat AB에 의해 개발되어 왔으며, 이는 상표명 DocolTM1400 DP에 의해 알려져 있으며 철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제외하고 중량%로 통상적으로 0.18 C, 0.50 Si, 1.80 Mn, 0.015 P, 0.002 S, 0.040 A 및 0.030 Nb를 포함한다. 이 강은 0.50과 2.00 mm사이의 게이지로 제조되며, 이것의 납품 상태에서의 기계적 특성은 표 3에 나타나 있다.
가공 재료의 기계적 성질
강 등급 항복 강도Rp0.2또는 ReLN/mm2최소-최대 2% 변형과 170℃/20min 베이크 경화후 항복 강도Rp2.0 +BHN/mm2최소-최대 인장 강도Rm횡방향으로의N/mm2최소-최대 연신율A80%최소 90도 굽힘에 대한 최소 반경
DocolTM1400 DP 1200-(1450) 1350 1400-1600 3 4.0 ×두께
자동차에서의 측면 충격 보호 시스템, 범퍼 보강 부재, 시트 프레임 및 빔과 다른 구조 부품의 세부품은 통상적으로 강으로 적용된다. 수행된 조사는 상기 종류의 제품의 제조용 툴용 강의 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냉간 가공툴용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강과 본 강의 특성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시험된 강의 화학 조성물은 표 4에 기록되어 있다. 강 번호 19는 본 발명의 강이다. 강은 전기 아크로에서 35톤 제품 가열체로서 제조된다. 강중에는 주괴가 있으며, 주괴는 바형상으로 단조 및 압연된다. 니켈, 니오븀, 티타늄 및 구리의 함량은 의도하지 않게 사용된 원재료로부터 잔류한다. 알루미늄은 강의 탈산소를 위해 추가되고 알루미늄의 상술한 량은 열처리로부터의 잔류물이다. 강 번호 20은 또 다른 생산자에 의해 제조되어져 있는 상술한 US-A-5,160,553에 따른 강이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강은 화학 조성물을 참고로 본 출원인에 의해 분석되어져 왔다. 강 번호 21, 22 및 23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조된 상업적 강이다. 표 4에서 언급한 강 번호 21, 22 및 23의 함량은 정상 함량이다. 강 번호 21은 종래 방식으로 제조된 강이고 반면에 강 번호 22와 23은 분말 야금으로 제조되었다. 표들에서 언급한 여러 원소의 함량 외에도, 이들 강은 또한 강의 제조에 사용되어진 원재료로부터나온 정상량의 불순물을 포함한다.
펀치 직경 10mm을 가진 펀치는 강 번호 19 내지 23의 바로 제조된다. 바 치수는 표 5에 기록되어 있다. 모든 펀치는 바의 중심으로부터 가로 방향과 바의 높이와 일치하는 펀치의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진다. 가공 재료는 1.0mm의 두께를 가진 DocolTM1400 DP로 구성되어 있다. 재료는 가장 높은 강도 레벨을 얻기 위해서 냉간 압연되고 열처리되고 그런 후 내 마찰 마모성과 연성/인성에 관해서 양호하게 한다. 펀칭 작업은 15톤 엑센터 프레스(excenter press)로 이루어진다. 펀칭 율은 200 스트로크/분이고; 펀치 플레이는 6%이고; 윤할은 없다. 마모 측정은 프리즘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곡선 이탈은 펀칭 시리즈 전후에 측정된다. 이 차이는 마모를 나타내는 ㎛2으로 변환된다.
표 5는 200,000 펀치 스트로크후의 테스트 변수와 기록된 펀치 마모를 도시한다. 표는 또한 툴의 열처리를 도시한다. 모든 툴은 상술한 오스테나이트화 온도로부터 경화되고(표에 도시한 바와 같이 TA) 냉각후 템퍼링되며 템퍼링 온도에서의 두 시간에 대한 각 시간은 표에 정해져 있다.
도 1에서, 완전한 펀칭 테스트의 과정 동안의 마모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결과는 아래 방법으로 설명될 수 있다. 분말 야금으로 제조된 강 번호 22와 23은 펀치 에지의 마이크로칩핑을 피하기에 충분한 연성을 가지고, 강 번호 23에 대해 설명한 가장 작은 마찰 마모는 강내에 있는 보다 높은 바나듐 함량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강 번호 19는 합금 원소의 잘 균형 있는 화학 조성물을 가지며, 또한 균형 있는 조합 특성을 가지며, 마찰 마모는 펀치 에지의 마이크로칩핑을 좌우한다. 내마모성은 대부분 보다 높은 합금강 번호 21의 것보다 양호하고 높은 바나듐 함량이 포함된 분말 야금으로 제조된 것과 비교가능하다. 특히, 강 번호 20은 펀치 에지의 마이크로칩핑에 뚜렷한 경향이 있으며, 이 테스트에서 이 재료가 왜 덜 양호한지를 설명하고 있다.

Claims (17)

  1. 냉간 가공강에 있어서,
    0.82 - 0.97 C,
    미량으로부터 최대 1.10 Si,
    미량으로부터 최대 0.62 Mn,
    7.6 이상 8.0 이하 Cr,
    2.30 - 2.70 Mo,
    0.35 - 0.55 V 중량%의 화학 조성물과,
    그 나머지 철과 강의 제조로부터 잔류 원소의 형태의 정상 량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냉간 가공강.
  2. 제 1 항에 있어서, 0.70 이상의 Si과 0.38 이상의 Mn을 포함하는 냉간 가공강.
  3. 제 1 항에 있어서, 최대 0.25 W을 포함하는 냉간 가공강.
  4. 제 1 항에 있어서, 최대 0.40 Ni를 포함하는 냉간 가공강.
  5. 제 1 항에 있어서, 최대 0.15 N, 적합하게는 최대 0.03 N를 포함하는 냉간가공강.
  6. 제 1 항에 있어서, 최대 0.30 Cu를 포함하는 냉간 가공강.
  7. 제 1 항에 있어서, 0.85 - 0.95 C를 포함하는 냉간 가공강.
  8. 제 1 항에 있어서, 0.46 - 0.54 Mn을 포함하는 냉간 가공강.
  9. 제 1 항에 있어서, 2.40 - 2.60 Mo을 포함하는 냉간 가공강.
  10. 제 1 항에 있어서, 0.4 - 0.5 V를 포함하는 냉간 가공강.
  11. 제 1 항에 있어서, 0 - 0.1 Al, 적합하게 최대 0.045 Al, 아주 적합하게 0.010 - 0.045 Al을 포함하는 냉간 가공강.
  12. 제 1 항에 있어서, 0.92 C, 0.95 Si, 0.5 Mn, 7.8 Cr, 2.5 Mo, 0.45 V를 포함하는 냉간 가공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00-1080℃에서의 오스테나이트화 , 실온까지 냉각과 180-650℃에서 한번 또는 몇번 템퍼링후, 3-6 vol-%, 적합하게는 3-5 vol-%의 카바이드를 포함하며, 이들 카바이드 체적은 0.25-0.45 vol-% MC 카바이드와 그 나머지 주로 M7C3카바이드로 이루어져 있는 냉간 가공강.
  14. 냉각 가공 툴의 제조용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냉간 가공강의 용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시트 금속을 블랭킹, 펀칭 또는 포밍하기 위한 용도.
  16. 제 14 항에 있어서, 구조적 원소, 적합하게 강 시트를 가공하기 위한 용도.
  17. 제 14 항에 있어서, 자동차 산업, 대형 가정용구 산업 및 전자 산업내에 구조적 부품용으로 시트 금속을 가공하기 위한 용도.
KR1020007010728A 1998-03-27 1999-03-08 냉간 가공강 KR100562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801045A SE511747C2 (sv) 1998-03-27 1998-03-27 Kallarbetsstål
SE9801045-7 1998-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559A true KR20010072559A (ko) 2001-07-31
KR100562760B1 KR100562760B1 (ko) 2006-03-23

Family

ID=20410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728A KR100562760B1 (ko) 1998-03-27 1999-03-08 냉간 가공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1068367B1 (ko)
JP (1) JP2002509987A (ko)
KR (1) KR100562760B1 (ko)
CN (1) CN1098369C (ko)
AT (1) ATE240418T1 (ko)
AU (1) AU740280B2 (ko)
BR (1) BR9909159A (ko)
CA (1) CA2325453C (ko)
DE (2) DE69907896T4 (ko)
ES (1) ES2197637T3 (ko)
HK (1) HK1033964A1 (ko)
SE (1) SE511747C2 (ko)
TW (1) TW500810B (ko)
WO (1) WO19990504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9042A1 (de) * 2000-04-18 2001-11-08 Edelstahl Witten Krefeld Gmbh Stickstofflegierter, sprühkompaktierter Stah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Verbundwerkstoff hergestellt aus dem Stahl
FR2823768B1 (fr) * 2001-04-18 2003-09-05 Usinor Acier a outils a tenacite renforcee, procede de fabrication de pieces dans cet acier et pieces obtenues
CN100513609C (zh) * 2002-12-25 2009-07-15 日立金属株式会社 尺寸变化抑制特性优异的冷模具钢
JP5988732B2 (ja) * 2012-07-02 2016-09-07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高硬度高靭性の冷間工具鋼
JP6590213B2 (ja) * 2013-05-30 2019-10-16 日立金属株式会社 冷間加工用金型の製造方法
WO2017109233A1 (en) * 2015-12-24 2017-06-29 Rovalma, S.A Long durability high performance steel for structural, machine and tooling applications
CN108220808A (zh) * 2017-11-28 2018-06-29 昆山邦泰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制造冲压加工设备冲头的钢
JP2020111766A (ja) * 2019-01-08 2020-07-27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冷間工具鋼
CN113493885A (zh) * 2020-04-01 2021-10-12 东莞市奥利瓦钢材模具有限公司 一种高性能热作模具钢及其制备方法
CN113604744B (zh) * 2021-08-10 2022-12-27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强韧冷作模具钢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56650C (sv) * 1987-03-19 1989-07-11 Uddeholm Tooling Ab Pulvermetallurgiskt framstaellt kallarbetsstaal
AT393387B (de) * 1989-10-23 1991-10-10 Boehler Gmbh Kaltarbeitsstahl mit hoher druckfestigkeit und verwendung dieses stah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5625A (zh) 2001-05-16
KR100562760B1 (ko) 2006-03-23
JP2002509987A (ja) 2002-04-02
ES2197637T3 (es) 2004-01-01
SE9801045L (sv) 1999-09-28
CA2325453A1 (en) 1999-10-07
EP1068367B1 (en) 2003-05-14
DE69907896D1 (de) 2003-06-18
CA2325453C (en) 2008-05-13
SE9801045D0 (sv) 1998-03-27
SE511747C2 (sv) 1999-11-15
CN1098369C (zh) 2003-01-08
EP1068367A1 (en) 2001-01-17
AU3737499A (en) 1999-10-18
AU740280B2 (en) 2001-11-01
DE69907896T4 (de) 2005-10-27
ATE240418T1 (de) 2003-05-15
TW500810B (en) 2002-09-01
DE69907896T2 (de) 2004-02-19
HK1033964A1 (en) 2001-10-05
BR9909159A (pt) 2000-12-05
WO1999050469A1 (en) 199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946B1 (ko) 스프링 강, 이를 이용한 스프링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스프링
KR100562761B1 (ko) 열간 가공툴용 강재료
KR100373169B1 (ko) 고충격인성및내마모성을갖는분말야금냉간공구강및그제조방법
US20150068647A1 (en) Hot worked steel and tool made therewith
KR20100135205A (ko) 열간가공 공구강 및 이를 이용한 철강제품
EP2784169B1 (en) Rolled steel bar for hot forging
KR100500772B1 (ko) 합금 강, 합금 강으로 제조된 공구 그리고 합금 강 및 공구를 제조하기 위한 통합 방법
RU2324760C2 (ru) Сталь и изготовленный из нее формовочны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пластмассы
KR20140110720A (ko) 열전도도가 향상된 다이케스팅 및 핫스템핑용 자동차용 금형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518723B1 (ko) 냉간 가공 공구강 제품
CN1918315A (zh) 用于切割零件的合金钢
KR101608087B1 (ko) 쾌삭 합금공구강
KR20160041869A (ko) 열전도도가 향상된 다이케스팅 및 핫스템핑용 자동차용 금형강 및 그 제조방법
KR100562760B1 (ko) 냉간 가공강
CN109790602B (zh)
JP3301439B2 (ja) 析出硬化性工具鋼
SE511747C3 (sv) Kallarbetsstål
JP7099549B2 (ja) 鋼材
KR20230024334A (ko) 열간 가공 공구강
EP3141627A1 (en) Soft-nitriding steel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soft-nitrided steel
JP4576976B2 (ja) 高強度ボルト用鋼
KR20230051544A (ko) 자동차의 판스프링용 강 및 이의 판재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