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1199A - 소거방지용 디스크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소거방지용 디스크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1199A
KR20010071199A KR1020007012189A KR20007012189A KR20010071199A KR 20010071199 A KR20010071199 A KR 20010071199A KR 1020007012189 A KR1020007012189 A KR 1020007012189A KR 20007012189 A KR20007012189 A KR 20007012189A KR 20010071199 A KR20010071199 A KR 20010071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element
disc
casing
optical disc
bea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946B1 (ko
Inventor
오타겐지
Original Assignee
사토 도리
히다치 마쿠세루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도리, 히다치 마쿠세루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도리
Publication of KR20010071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28Indicating or preventing prior or unauthorised use, e.g. cassettes with sealing or locking means, write-protect devices for discs
    • G11B23/288Protecting disks from being written or overwritte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2Auxiliary features
    • G11B23/0303Write protect features with a sliding par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3Container cases
    • G11B23/0316Constructional details, e.g. sh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리라이트가능한 디스크상에 기록 또는 기억된 정보가 부주의로 소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광디스크 카트리지를 전체적으로 더욱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조할 수 있고 또한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외부에서 스위칭소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거가능한 디스크형상 기록매체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 챔버가 규정되어 있는 디스크 케이싱 및; 소거가능한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정보가 부주의로 소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크 케이싱내에 배치된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소거가능한 기록매체는 디스크 챔버내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되어 있고, 디스크 케이싱은 서로 대향하는 케이싱의 제1 및 제2 벽부에 규정되고 대응하는 벽부의 두께를 가로질러 완전하게 연장하는 센서 구멍 및 슬롯을 구비하도록 구성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리라이트가능한 디스크상에 기록 또는 기억된 정보가 부주의로 소거되는 것을 카트리지의 크기를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고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이용가능한 한정된 공간을 효과적으로 최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거방지용 디스크 카트리지{Erasure Prevention in Disc Cartridge}
광디스크 카트리지는 여러 가지 형태로 이용가능하다. 이들 광디스크 카트리지중 예를 들어 소거가능한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상변화가능한 광디스크 등의 리라이트가능한 광디스크를 이용한 광디스크 카트리지에는 리라이트가능한 광디스크상에 기록 또는 기억된 정보가 부주의로 소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내장되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안전장치는 라이트 허가위치(인에이블 위치)와 라이트 금지위치(기억보호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이동가능 소자를 포함한다. 이동가능 소자가 라이트 허가위치로 이동하면 광디스크상에 정보를 기록 또는 오버라이트할 수 있고, 이동가능 소자가 라이트 금지위치에 유지되면 광디스크상에 기록 또는 기억된 정보를 기록하거나 오버라이트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이동가능 소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가능 소자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쉬운 안전 러그(lug)를 갖는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리라이트가능한 광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챔버를 규정하도록 서로 조립된 상부 패널 및 하부 패널과 4개의 측벽을 구비한 대략 사각 평면 케이싱을 포함한다. 광디스크는 디스크 챔버내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안정장치는 디스크 케이싱의 모서리부 및 각각 내측에 규정된 대략 4개의 삼각 모서리 공간 중의 1개내에 동작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삼각 모서리 공간과 인접하는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4개의 측벽 중 안전장치가 수납되어 있는 측벽에는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외부에서 액세스가능한 위치에 안전 러그가 유지되어 있고 개구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안전 러그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안전장치 이외에도 광디스크 카트리지는 하부 패널내에 규정되고, 디스크 케이싱의 인접한 2이상의 모서리부를 위치결정하는 2이상의 위치결정용 식별자 구멍을 갖는다. 위치결정용 구멍은 광디스크 플레이어내에 설치된 대응하는 위치결정용 핀과 공용되고, 또한 이 구멍은 광디스크 카트리지가 광디스크 플레이어에 장착되면 광디스크와 리드/라이트용 광헤드 사이의 상호작용 관계를 확립할 위치에 광디스크 카트리지를 설정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식별자 구멍은 광디스크 플레이어가 장착된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사양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사양은 광디스크의 광학 특성(예를 들어, 소거가능 또는 소거 불가능) 및 광디스크의 기록용량을 포함한다. 이것은 카트리지내에 수납된 광디스크가 소거 불가능한 형태이면 광디스크 카트리지에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좋은 것을 의미한다.
또, 광디스크 카트리지는 안전장치의 이동가능 소자와 나란한 위치에 규정된 센서 구멍을 갖고, 이 구멍은 이동가능 소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된다. 예를 들어, 센서 구멍은 이동가능 소자가 라이트 금지위치에 있으면 개방상태로 되고, 이동가능 소자가 라이트 허가위치에 있으면 폐쇄상태로 된다. 종래의 안전장치에 사용된 이동가능 소자는 일반적으로 라이트 허가위치와 라이트 금지위치 사이에서 디스크 케이싱의 측벽을 따라서 직선으로 슬라이딩가능한 가늘고 긴 슬라이드부재 형태로 되어 있다.
광디스크 카트리지가 점점 컴팩트해지고 현재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MD(Mini-Disc) 카트리지의 사이즈가 약 7. 2×6. 8㎝이고 소거가능한 광디스크가 약 6. 4㎝인 것을 고려하면, 광디스크 카트리지내에서 이용가능한 모서리 공간은 점점 작아진다. 모서리 공간이 작아지고 안전장치가 작아짐에 따라, 슬라이드부재의 이동 행정이 작아진다. 슬라이드부재의 사이즈가 작아지면, 필요한 슬라이드부재의 이동 행정을 확보하기 위해 안전 러그의 사이즈도 작아져야 한다. 안전 러그가 작아지면 사용자는 그것을 조정하는데 있어서 더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안전러그가 미소하더라도 이동가능 소자가 라이트 허가위치와 라이트 금지위치 사이를 확실하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 10-338236에는 후자(라이트 금지위치)가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 리라이트가능한 광디스크 카트리지를 수납하고, 광디스크 카트리지가 수납되어 있는 동안 안전 러그를 거쳐서 외부에서 슬라이드부재를 트리거(trigger)하는 작동 폴(멈춤쇠)이 마련되어있는 카트리지 저장 케이싱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특허공보에 개시된 안전 시스템이 안전하다고 하더라도,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사이즈가 더욱 작아져서 광디스크 카트리지내의 이동가능 소자의 사이즈도 작아지면, 상기 공보에 개시된 외부 동작 부재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동가능 소자의 사이즈 감소에 대응해서 외부 동작부재의 사이즈도 작아지면, 부주의로 광학 디스크 카트리지가 충격을 받았을 때 외부 동작부재가 손상을 받게 되거나 외부 동작부재내에 충분한 물리적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카트리지 저장 케이싱을 광디스크 카트리지보다 약간 크게 조립하면 외부 동작부재의 사이즈가 과도하게 감소할 가능성은 없어진다. 그러나,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밀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번거로움이 더해가고 광디스크 카트리지를 더 작은 사이즈로 제조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므로, 카트리지 저장 케이싱의 사이즈 증가가 제한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소거가능한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상변화 가능한 광디스크 등의 리라이트가능한 광디스크를 구비한 컴팩트 광디스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리라이트가능한 디스크상에 기록 또는 기억된 정보가 부주의로 소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라이트가능한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부분 절단 상면도,
도 2는 도 1의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4모서리부 중 안전장치가 수납되어 있는 부분의 상부 패널을 제거해서 도시한 부분 확대 상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모서리부의 분해도,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2의 A-A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1의 화살표 Q방향에서 본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모서리부의 부분 정면도,
도 7은 도 2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한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모서리부의 분해도,
도 9는 도 4와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한 광디스크 카트리지에 사용된 안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3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광디스크 카트리지에 사용된 안전장치의 스위칭 부재의 정면도.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광디스크 카트리지에 사용된 바와 같은 슬라이딩 가능한 소자 대신에 안전장치로서 스위칭소자를 사용하고, 안전장치에 의해서 광디스크 카트리지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저감하여, 광디스크 카트리지를 전체적으로 더욱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조할 수 있는 광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디스크 카트리지내에서 이용가능한 제한된 모서리 공간중의 적어도 하나에 안전장치를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하여 최대 효율을실현하는 광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디스크 카트리지내에 위치되어 위치결정용 구멍중의 하나를 둘러싸고 위치결정용 구멍 주위의 주변 뚜껑 영역을 강화하는 관형상 보스가 라이트 허가위치와 라이트 금지위치 사이의 이동시에 스위칭소자의 지지를 위해 유효하게 이용되는 광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외부에서 스위칭소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광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라이트 허가위치와 라이트 금지위치중의 어느 하나에 스위칭소자를 록시키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광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거가능 디스크형상 기록매체가 수납되고 기록매체를 회전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해 규정된 디스크 챔버를 갖는 디스크 케이싱을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마련한다. 디스크 케이싱은 대응하는 벽부의 두께를 가로질러 완전하게 연장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케이싱의 제1 및 제2 벽부에 규정된 센서 구멍 및 슬롯을 갖는다. 또, 디스크 카트리지는 소거가능한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정보가 부주의로 소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크 케이싱내에 배치된 안전장치를 구비한다.
안전장치는 제1 벽부에서 제2 벽부를 향해서 돌출하도록 센서 구멍에서 떨어진 위치에 위치결정되고 디스크 케이싱내 형성된 베어링 부싱(bushing) 및 디스크케이싱내에 이동가능하게 수납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끝부를 갖는 스위칭소자를 구비한다. 스위칭소자의 제1 끝부는 제1 및 제2 동작위치 사이에서의 각운동을 위해 베어링 부싱과 회전가능하게 접속된다. 센서 구멍은 스위칭소자가 제1 동작위치로 각운동할 때 스위칭소자의 제2 끝부에 의해 폐쇄된다. 동작부재는 그곳에서 연장하여 제2 벽부내의 슬롯에서 한정되도록 스위칭소자상에 마련된다. 동작부재는 제1 및 제2 동작위치 사이의 스위칭소자의 각운동과 대응해서 슬롯내에서 이동가능하다.
스위칭소자의 제1 및 제2 동작위치는 각각 라이트 금지위치 및 라이트 허가위치이면 좋다. 따라서, 라이트 금지위치에 유지된 스위칭소자에 의해 케이싱내의 기록매체가 부주의로 소거되는 것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장치는 디스크 케이싱내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슬라이드 소자를 이용하는 종래의 안전장치에 비해서 안전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스위칭소자의 사이즈를 증가시킬 수 있다. 사이즈가 증가된 스위칭소자는 안전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하기에 충분할 만큼 강하다.
디스크 케이싱의 제1 벽부는 그 안에 규정된 위치결정용 구멍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갖고, 이 경우 베어링 부싱은 위치결정용 구멍과 동축 관계로 제1 벽부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에 사용된 스위칭소자는 베어링 부싱상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된 베어링 링, 베어링 링과 접속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트렁크 및 트렁크와 접속되어 각을 이루고 연장하며 센서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암을 구비하는 구조이다.
베어링 부싱은 베어링 부싱이 대략 C형상 구조를 나타내도록 그 안에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베어링 부싱이 대략 C형상 구조이면, 스위칭 소자는 베어링 부싱내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된 베어링 링, 베어링 링과 접속되어 절단부를 거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트렁크 및 트렁크와 접속되어 각을 이루고 연장하며 센서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암을 구비하면 좋다.
바람직하게는, 동작부재는 슬롯내에 위치된 자유단면을 갖고, 또 스위칭소자가 제1 및 제2 동작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장치의 상단을 수납하는 자유단면내에 규정된 동작용 오목부을 갖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볼펜 등의 장치에 의해 동작부재를 거쳐서 스위칭소자를 용이하게 다룰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슬롯의 양 끝부와 대향하는 제2 벽부의 각각의 부분의 에지에는 대략 둥근 침강(沈降:depression)을 규정하도록 홈이 파여져 있고, 그의 바닥부는 내측으로 구부러져서 제2 벽부의 외표면에서 슬롯을 향해서 경사지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제1 동작위치에서 제2 동작위치를 향해 또는 그 반대로 스위칭소자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동작부재로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사용한 디스크 카트리지에는 센서 구멍에 대한 스위칭소자의 위치의 시각적 표시를 마련하기 위한 표시수단도 마련되어 있다. 표시수단은 베어링 링상에 형성되어 스위칭소자의 제1 및 제2 동작위치에 대응하는 2개의 구별 상태 중의 하나를 추정할 수 있다. 표시수단의 위치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벽부 중의 어느 하나와 수직으로 배치된 케이싱의 제3 벽부에 시계창(視界窓)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수단은 이 표시수단의 2개의 다른 상태에 각각 대응하는 베어링 링의 2개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영역은 각각 다른 색으로 되어 있다. 또는, 표시수단은 베어링 링의 일부에 형성된 표시용 절단부 및 표시용 절단부와 이웃하는 베어링 링의 외표면 영역을 포함한다. 이 양 예에 있어서, 표시용 절단부는 스위칭소자가 제1 동작위치로 이동했을 때 베어링 부싱의 일부가 시계창을 거쳐서 디스크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고, 스위칭소자가 제2 동작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베어링 링의 외표면 영역은 시계창과 나란히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시계창을 둘러싸는 제3 벽부의 둘레 뚜껑 영역의 바깥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확대되도록 홈이 파여져 있어 디스크 케이싱의 외부로부터의 조망도(viewability)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을 사용한 디스크 카트리지에는 또 제1 및 제2 동작위치 중의 어느 한쪽으로 스위칭소자를 클릭하도록 하기 위해 스위칭소자와 제1 벽부 사이에 회전방지(detent)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회전방지수단은 스위칭소자와 일체화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회전방지부재, 변형가능한 회전방지부재와 일체화되어 제1 벽부를 향해서 돌출되어 있는 회전방지 돌기, 제1 벽부에 규정되고 스위칭소자의 제1 및 제2 동작위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2개의 분리된 회전방지용 오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칭소자는 제1 및 제2 동작위치 사이의 디스크 케이싱내의 대략 섹터형상 공간에서 각을 이루고 이동한다. 종래 기술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안전장치에 사용된 슬라이드부재가 이동하기 위해 필요했던 대략 장방형 공간에서는 장방형 공간에서 떨어진 각 위치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형태 또는 사양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크 플레이어로 전송하기 위한 여러개의 식별자 구멍을 디스크 케이싱의 벽에 규정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에 반해, 섹터형상의 공간은 이들 식별자 구멍이 스위칭 소자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디스크 케이싱의 벽내에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규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한 공간에 대해 디스크 케이싱내에서 이용가능한 한정 공간의 이용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고, 안전장치를 갖는 더욱 컴팩트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첨부도면에 따라 이루어진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에 의해서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며,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 실시예 -도 1∼도 6>
도 1∼도 6에 따르면, 리라이트가능한 광디스크 카트리지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패널(2a) 및 (2b)와 4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대략 사각 평면케이싱(2)를 구비하고 있고, 서로 조립된 (2c) 및 (2d) 2개에 의해서 디스크 챔버가 규정되어 있다. 외부 직경이 약 50㎜(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인 소거가능한 광디스크(1)은 디스크 챔버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그러나, 실제로, 케이싱(2)는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된 케이싱 상부(2a) 및 케이싱하부(2b)로 이루어지고, (2a)는 상부 패널(23)을 갖고 (2b)는 하부 패널(11)을 가지며, 케이싱을 이루도록 상부패널(23), 하부패널(11) 및 상부 패널(23)과 하부 패널(11) 사이에 끼워져 있는 4개의 측벽을 갖고 비분리방식으로 함께 접속되어 있다. 또는, 케이싱(2)는 상부 패널 또는 하부 패널 중의 어느 하나를 규정하는 대략 사각 뚜껑(lid)과 이 뚜껑이 닫혀 있을 때 폐쇄된 디스크 챔버를 규정하는 대응하는 형상의 컨테이너로 이루어져도 좋다.
어떠한 경우에도 케이싱 상부(2a) 및 하부(2b)는 여러개의 스페이서 보스에 의해 일체화되고, 그중 하나만이 (15)로 표시되고, 그의 한쪽끝이 예를 들어 하부 패널(11)과 일체화되고 그의 다른쪽 끝이 주지의 초음파 용융 본딩기술 또는 적절한 본딩제를 사용해서 상부 패널(23)에 본딩되어 있다.
케이싱(2)는 예를 들어 상부 패널(23)에 규정된 대략 장방형의 적어도 하나의 헤드 액세스 창(3)을 갖는다. 이 헤드 액세스 창(3)은 일반적으로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두께를 타고 넘는 대략 U자로 절단된 셔터부재(4)에 의해 폐쇄된다. 셔터부재(4)는 광디스크 카트리지가 광디스크 플레이어내에 장착되었을 때 주지의 광디스크 플레이어내의 리드/라이트용 광헤드가 광디스크(1)과의 상호작용 관계를 확립하도록, 액세스 창(3)이 개방되어 있는 개방 위치와 액세스 창(3)이 폐쇄된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셔터부재(4)가 폐쇄위치로 이동하면, 셔터부재(4)는 종래기술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캐치(catch)(6)에 의해 폐쇄위치에 유지된다.
본 발명을 사용한 광디스크 카트리지가 작동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설계에 있어서, 상부 패널(23) 및 하부 패널(11)내의 헤드 액세스 창을 서로 나란히 배열하여 공통의 셔터 부재(4)에 의해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상부 패널(23) 및 하부 패널(11)에 헤드 액세스 창(3)을 규정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셔터부재(4)는 일반적으로 케이싱(2)내에 배치되어 캐치(6)과 대향하는 액세스 창(3)의 한쪽에 위치결정된 비틀림 스프링(5)에 의해 바이어스되고, 항상 비틀림 스프링(5) 또는 다른 바이어싱 소자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광디스크 플레이어에는 광디스크 카트리지를 플레이어에 삽입하는 것에 대응해서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셔터 부재(4)를 이동시키는 것 뿐만 아니고 플레이어에서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인출에 따라 폐쇄위치에 있어서 캐치(6)이 셔터부재(4)를 이동불가능하게 유지할 때까지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셔터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2중 셔터 구동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지금까지 기술한 구조의 광디스크 카트리지는 종래의 기술에서 알 수 있다. 물론, 광디스크 카트리지는 광디스크 카트리지가 플레이어에 장착될 때 이용되는 "선단(leading extremity)"을 갖는다(도시하지 않음).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선단이 플레이어쪽을 향하도록 해서 플레이어에 장착해야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 카트리지는 대략 사각 구조이므로, 선단을 삽입방향의 표시에 상관없이 인쇄 또는 레이블 기호에 의해 식별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선단은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4개의 측면중의 하나를 다른 측면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 시각적으로 나타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의 상부에 도시된 케이싱(2)의 4개의 측벽중의하나 예를 들어 측벽(2c)와 대향하는 측벽은 다른 직선의 측벽에 비해 대략 아칭형 구조를 나타내도록 그의 양 끝부가 대략 둥굴게 성형되어 있다. 이하, 선단을 나타내는 아치형 측벽과 대향하는 측벽(2c)를 후방 측벽이라고 한다.
디스크 케이싱(2)는 광디스크(1)보다 약간 직경이 큰 원형상의 각 위치를 차지하는 4개의 분리된 둥근 내벽(10)을 갖는다. 분리된 둥근 내벽(10)은 디스크 케이싱(2)의 각을 이루고 인접하는 측벽과 공동으로 대략 삼각 모서리 공간을 남기도록, 디스크 케이싱(2)의 4개의 모서리에 인접하는 각각의 위치에 있어서 케이싱내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디스크 케이싱(2)의 4개의 삼각 모서리 공간중 둥근 내벽(10)으로 경계지워지는 삼각 모서리 공간S, 상부 패널(23)과 하부 패널(11) 및 각을 이루고 인접하는 측벽(2c), (2d)는 본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한 특징부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것은 소거가능한 광디스크(1)에 기록 또는 기억된 정보가 부주의로 소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장치가 삼각 모서리 공간S내에 동작가능하게 수납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특징부인 삼각 모서리 공간S는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방향에 따른 방향에서 본 바와 같이 후방 측벽(2c)에 인접하는 좌측부에 배치된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4개의 모서리중의 하나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도 3에 따르면, 디스크 케이싱(2)의 하부 패널(11)에는 디스크 플레이어(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대응하는 위치결정용 핀을 끼워넣을 수 있는 여러개의 위치결정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광디스크 카트리지가 디스크 플레이어에 장착되면, 위치결정용 핀이 각각의 위치결정용 구멍에 끼워넣어져, 광디스크(1)이 디스크 플레이어내의 리드/라이트용 광헤드와 상호작용 관계로 유지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정확한 위치에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 카트리지를 유지할 수 있다. 이들 위치결정용 구멍 중의 하나(12)는 삼각 모서리 공간S가 배치된 하부 패널(11)의 일부에 규정된다. 다른 위치결정용 구멍이 선단 측벽에 인접하는 각각의 좌측 및 우측 위치에 있어서 하부 패널(11)에 규정되어도 좋다.
삼각 모서리 공간S가 배치된 하부 패널(11)의 일부에는 여러개 예를 들어 2개의 식별자 구멍(13), (14) 및 센서 구멍(8)도 형성되어 있고, 이들은 모두 하부 패널(11)의 패널두께를 가로질러 연장해서 측벽(2d)를 따라 내측으로 인접해서 정렬되어 있다. 식별자 구멍(13), (14)는 디스크 플레이어내에 장착된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형태 또는 사양을 디스크 플레이어에 통지하도록 사용되고, 디스크 플레이어내에 설치된 기계 또는 전기 프로브와 통하게 해도 좋다. 한편, 센서 구멍(8)은 안전장치의 중의 일부를 형성하고, 이 구멍(8)에는 디스크 플레이어내에 장착된 광디스크 카트리지가 후에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 같이 라이트 가능인지 또는 라이트 금지인지를 검출하기 위해 디스크 플레이어내에 설치된 센서핀(도시하지 않음)이 끼워넣어진다.
상기한 안전장치는 적절한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또한 라이트 허가위치와 라이트 금지위치 사이에서의 각운동을 위해 삼각 모서리 공간S내에 수용된 대략 L자형상의 스위칭 부재(9)를 포함한다. 이 스위칭 부재(9)는 센서 구멍(8)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내부 직경이 동일한 베어링 링(19), 트렁크(20) 및 이 트렁크(20)을 거쳐서 베어링 링(19)에 접속된 암(18)을 포함하는 일체 성형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트렁크(20)은 그의 한쪽끝이 베어링 링(19)와 접속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암(18)은 트렁크(20)에 대해 예각을 이루고, 베어링 링(19)와 대향하는 트렁크(20)의 끝부에서 베어링 링(19)의 대략의 곡률 방향으로 연장한다. 암(18)은 스위칭 부재(9)의 위치에 따라 센서 구멍(8)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이용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구멍(8)은 스위칭 부재(9)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트 금지위치로 이동하면 암(18)에 의해 폐쇄되고, 스위칭 부재(9)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트 허가위치로 이동하면 개방상태로 된다. 그러나, 이것은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형태 또는 사양에 따라 스위칭 부재(9)의 라이트 허가위치 및 라이트 금지위치가 각각 센서 구멍(8)의 폐쇄 및 개방에 대응하고 있는 것이다.
베어링 부싱(16)은 위치결정용 구멍(12)와 동축관계로 하부패널(11)과 일체로 형성되고, 베어링 링(19)의 내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갖는다. 상기한 구조의 스위칭 부재(9)는 베어링 부싱(16)에 탑재된 베어링 링(19)에 의해 라이트 허가위치와 라이트 금지위치 사이에서의 각운동을 위해 지지된다.
도 3∼도 5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동작 부재(21)은 암(18)의 자유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삼각 모서리 공간S가 배치된 상부 패널(23)의 일부에 규정된 슬롯(24)내로 느슨하게 들어가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작 부재(21)이 암(18)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는 거리는 암(18)에서 먼 동작 부재(21)의 자유단이 상부 패널(23)의 외면과 동일 평면에 유지되거나 약간 안쪽에 설치될 수 있도록 선택한다. 슬롯(24)는 스위칭부재(9)가 베어링 부싱(16) 및 베어링링(19)와 공통인 축에 대해서 라이트 허가위치와 라이트 금지위치 사이에서 각운동하는 동안, 동작 부재(21)이 각을 이루며 이동하는 경로를 따르도록 굴곡되어 있다. 그러나, 동작 부재(21)의 각운동 경로는 상대적으로 큰 반경의 곡률을 나타내고 또한 센서 구멍(8)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슬롯(24)는 대략 장방형 형상을 나타내며 직선으로 연장해도 좋다.
스위칭부재(9)상에 동작 부재(21)이 형성되어 있으면, 슬롯(24)의 각각의 양 끝부에 의해 스위칭부재(9)의 라이트 허가위치 및 라이트 금지위치가 규정된다. 즉, 슬롯(24)는 센서 구멍(8)이 암(18)에 의해 폐쇄된 폐쇄위치와 암(18)이 센서 구멍(8)에서 떨어져서 센서 구멍(8)을 개방상태로 하는 개방위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각도(角)거리를 연장하도록 성형되어 있다.
동작부재(21)은 사용자가 라이트 허가위치와 라이트 금지위치 사이에서 스위칭 부재(9)를 수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디스크 케이싱(2)의 상부 패널(23)내의 슬롯(24)를 거쳐서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동작부재(21)의 사이즈가 비교적 작다고 고려하면, 동작부재(21)의 자유단면의 중앙부에는 도 4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볼펜 또는 연필 등의 기구P의 선단을 수용하는 동작 홈(2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홈(22)에 볼펜 P의 선단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스위칭 부재(9)을 각운동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끝 또는 손톱으로 동작부재(21)을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슬롯(24)의 양 끝부와 마주 대하는 상부 패널(23)의 각 부분의 상부 에지를 둥굴게 하거나 마모시켜 바닥부가 내측으로 구부러져 상부 패널(23)의 외표면에서 슬롯(24) 측으로 경사진 대략 둥근 침강(25)를 형성한다. 따라서, 동작 부재(21)이 슬롯(24)의 양 끝부 중의 어느 하나에 인접해서 위치하면, 동작부재(21)의 둘레면이 대응하는 침강(25)를 거쳐서 외부로 부분적으로 도출되어, 사용자가 그의 손가락 끝을 도 5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동작부재(21)로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외부에서 동작부재(21)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스위칭부재(9)를 라이트 허가위치와 라이트 금지위치 사이에서 각운동시킬 수 있다. 스위칭부재(9)의 각운동시에 베어링 링(19)는 베어링 부싱(16) 주위를 회전한다. 슬롯(24)의 양 끝부중의 하나에 동작부재가 위치결정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광디스크 카트리지가 라이트 가능한지 라이트 불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칭 부재(9)가 이동하는 각도거리가 매우 작은 경우에는 광디스크 카트리지가 라이트가능인지 라이트 금지인지를 즉시 확인할 수 없다. 이러한 불합리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을 사용하는 광디스크 카트리지에는 안전장치 및 스위칭부재의 위치의 시각적 표시를 나타내기 위해 스위칭부재(9)의 라이트 허가위치 및 라이트 금지위치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태중 하나를 시각적으로 구별하여 추정할 수 있는 표시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표시수단은 적절한 형태를 취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동작부재(21)의 색과 적어도 상부 패턴(23)의 색과는 다른 아름다운 색(예를 들어 적색 또는 노란색)을 동작부재(21)에 인접하는 암(18)의 표면에 도포하는 것에 의해, 암(18)이 센서 구멍(8)을 폐쇄하는 위치에 동작부재(21)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암(18)의 색이 슬롯(2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수단은 베어링 링(19)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표시소자(30)을 포함하므로, 후방 측벽(2c) 특히 하부 케이싱(2b)의 이면 직립 벽부재(27)에 형성된 시계창(31)을 거쳐서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외부에서 표시소자(30)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소자(30)은 베어링 링(19)의 벽면에 형성된 표시용 절단부(32) 및 이 표시용 절단부(32)와 이웃하는 베어링 링(19)의 외주면의 영역(33)(빗금친 영역)을 포함한다. 그래서, 시계창(31)과 표시용 절단부(32)이 중합하는지 또는 시계창(31)과 영역(33)이 중합하는지에 따라서, 사용자는 광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해 라이트가 가능한지 라이트가 불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칭 소자(9)가 라이트 금지위치에 있으면, 시계창(31)과 표시용 절단부(32)는 중합한다. 영역(33)에는 베어링 링(19)의 나머지 부분과는 다른 색을 칠해도 좋고, 또는 컬러 레이블을 부착해도 좋다. 베어링 링(19)와 베어링 부싱(16)이 각각 다른 색으로 되어 있으면, 영역(33)에 색을 칠하지 않아도 된다.
또는, 표시용 절단부(32) 대신에 베어링 링(19)의 영역(33) 이외의 나머지 외주면을 영역(33)과는 다른 색으로 하거나 또는 영역(33)만을 베어링 링(19)와는 다른 색으로 해도 좋다.
여하튼, 절단부(32)는 베어링 링(19)의 측벽의 일부를 하부 패널(11)과 인접한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단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시계창(31)은 직립 벽부재(27)의 측벽의 일부를 하부 패널(11)에서 떨어진 그의 자유단에서 하측으로 절단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표시소자(30)을 경사방향에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계창(31) 주위의 후방 측벽(2c)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34)를 바깥쪽으로 확대되도록 깎아내는 것에 의해, 후방 측벽(2c)의 외면의 시계창(31)의 표면영역을 후방 측벽(2c)의 내면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38)은 접착되는 타이틀 레이블을 수용하기 위해 후방 측벽(2c)의 외면에 규정된 대략 장방형의 홈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스위칭부재(9)의 위치는 슬롯(24)내의 동작부재(21)의 위치에 대한 슬롯(24)를 통해서 또한 베어링 링(19)내의 영역(33) 또는 절단부(32)의 위치에 대한 시계창(31)을 통해서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외측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 측벽(2c)에서 이용가능한 표시수단은 후방 측벽(2c)가 정면을 향하고 광디스크 카트리지가 다른 디스크 카트리지와 함께 직립 방식으로 선반에 배치되어 있을 때 특히 유효하다.
도 1∼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 부싱(16)은 위치결정용 구멍(12)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내부 직경을 갖고 있다. 이것은 특히 위치결정용 구멍(12)의 주변 뚜껑 영역이 위치결정용 핀과 반복적으로 접촉해서 마모되더라도, 광디스크 플레이어에 장착된 광디스크 카트리지를 리드/라이트용 광헤드의 대응하는 위치결정용 핀(도시하지 않음)과 공동으로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2 - 도 7∼도 9>
도 1∼도 6에 도시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베어링 링(19)가 베어링 부싱(16)상에 외부 부착되어 있었다. 그러나, 도 7∼도 9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 링(19)는 베어링 부싱(16) 내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7∼도 9에 도시한 베어링 부싱(16)은 위치결정용 구멍(12)의 직경보다 크고 베어링 링(19)의 외부 직경과 거의 동일한 내부 직경을 갖고, 도 7∼도 9에 도시한 베어링 링(19)는 위치결정용 구멍(12)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큰 내부 직경을 가져도 좋다. 베어링 부싱(16)은 그의 형상이 대략 C자 형상 구조를 나타내도록 (16a)에서 잘려진 벽부를 갖는다. 따라서, 스위칭부재(9)의 트렁크(20)은 라이트 허가위치와 라이트 금지위치 사이에서 스위칭 부재(9)가 각 운동하는 동안 베어링 부싱(16)의 잘려진 영역(16a)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 링(19)는 위치결정용 구멍(12)와 동축 관계로 베어링 부싱(16)의 벽과 위치결정용 구멍(12) 사이를 경계짓는 하부 패널(11)의 내표면의 고리형상부상에 지지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 카트리지가 광디스크 플레이어내에 장착되면, 대응하는 위치결정용 핀(도시하지 않음)은 위치결정용 구멍(12)를 거쳐서 베어링 링(19)의 내부 구멍으로 돌출된다.
<제3 실시예 - 도 10 및 도 1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방지수단은 스위치부재(9)를 라이트 허가위치와 라이트 금지위치중의 어느 한쪽으로 클릭하는데 사용된다. 이 회전방지수단에 의해, 라이트 허가위치와 라이트 금지위치 중 어느 한쪽으로 이동되는 스위칭베어링(9)를 각운동하는 위치로 클릭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회전방지수단은 스위칭부재(9)의 라이트 허가위치와 라이트 금지위치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있어서 하부 패널(11)의 내표면에 규정된 서로 떨어져 있는 회전방지용 오목부(37) 및 이 회전방지용 오목부(37)에 따로따로 선택적으로 끼워맞출 수 있고 또한 트렁크(20)과 암(18) 사이의 스위칭부재(9)의 각진 영역(angled area)의 하지면에 형성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회전방지용 돌기(36)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조의 회전방지수단은 안정하게 동작하지만, 트렁크(20)과 암(18) 사이의 스위칭부재(9)의 각진 영역에 내측으로 구멍을 뚫고 하부 패널(11)에 인접한 슬롯의 한쪽에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회전방지부재(3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방지돌기(36)이 스위칭부재(9)의 각운동에 따라 회전방지 오목부(47)중의 하나에서 이탈될 때마다 암(18)의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회전방지부재(35)를 그의 탄성력에 대해서 변형할 수 있으므로, 스위칭부재(9) 자체를 실질적으로 변동시킬 필요는 없다. 회전방지수단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스위칭부재(9)가 라이트 허가위치 또는 라이트 금지위치에서 우발적으로 이탈할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하부패널(11) 및 암(18)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회전방지 오목부(37) 및 회전방지 돌기(36)은 서로 위치관계를 반전시켜도 좋다. 또한, 회전방지수단은암(18)의 자유단부와 하부패널(11) 사이 또는 베어링 링(19)와 베어링 부싱(16) 사이 또는 하부패널(11)과 베어링 링(19)의 인접한 고링형상 단면 사이에 위치결정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 중의 어느것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해서 상기 실시예에 따라 기술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가능하다. 예를 들어, 암(18)상에 형성되어 있는 동작부재(21)을 베어링 링(19)상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안전장치가 후방 측벽(2c)에 인접한 좌측부에 위치되어 있는 삼각 모서리 공간S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안전장치는 예를 들어 바이어싱 스프링(5)가 선두 측벽에 인접한 좌측부에 위치되어 있으면 후방 측벽(2c)에 인접한 우측부에 위치되어 있는 다른 삼각 모서리공간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디스크가 광디스크인 것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카트리지내에 설치된 디스크는 항상 광디스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기 기록/재생 디스크이어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의 청구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다.
상술한 본 발명은 리라이트가능한 디스크상에 기록 또는 기억된 정보가 부주의로 소거되는 것을 카트리지의 크기를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고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이용가능한 한정된 공간을 효과적으로 최대화한다. 본 발명은 광디스크 카트리지가 소형 사이즈로 제조되고, 또 상술한 안전장치의 마련이 요구된다.

Claims (12)

  1. 소거가능한 디스크형상 기록매체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 챔버가 규정되어 있는 디스크 케이싱 및;
    소거가능한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정보가 부주의로 소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크 케이싱내에 배치된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소거가능한 기록매체는 상기 디스크 챔버내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 케이싱은 서로 대향하는 케이싱의 제1 및 제2 벽부에 규정되고 대응하는 벽부의 두께를 가로질러 완전하게 연장하는 센서 구멍 및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안전장치는
    제1 벽부에서 제2 벽부를 향해서 돌출하도록 센서 구멍에서 떨어진 위치에 위치결정되고 디스크 케이싱내에 형성된 베어링 부싱;
    상기 디스크 케이싱내에 이동가능하게 수납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끝부를 갖는 스위칭소자 및;
    상기 스위칭소자상에 마련되고, 그것에서 연장해서 제2 벽부내의 슬롯에서 한정되며, 제1 및 제2 동작위치 사이의 스위칭소자의 각운동과 대응해서 슬롯내에서 이동가능한 동작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소자의 제1 끝부는 제1 및 제2 동작위치 사이에서 각운동용 베어링 부싱과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센서 구멍은 스위칭소자가 제1 동작위치로 각운동할 때 스위칭소자의 제2 끝부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용 구멍이 규정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 부싱은 상기 위치결정용 구멍과 동축 관계로 상기 제1 벽부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소자는
    상기 베어링 부싱상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된 베어링 링,
    상기 베어링 링과 접속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트렁크 및
    상기 트렁크와 접속되어 각을 이루고 연장하며 상기 센서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암을 구비하고,
    상기 동작부재는 상기 암에 고정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싱내에는 상기 베어링 부싱이 대략 C형상 구조를 나타내도록절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베어링 부싱상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된 베어링 링,
    상기 베어링 링과 접속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트렁크 및
    상기 트렁크와 접속되어 각을 이루고 연장하며 상기 센서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암을 구비하고,
    상기 동작부재는 상기 암에 고정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재는 슬롯내에 위치된 자유단면 및 상기 스위칭소자가 제1 및 제2 동작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장치의 상단을 수용하는 자유단면내에 규정된 동작용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양 끝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2 벽부의 각각의 부분의 에지는 대략 둥근 침강을 규정하도록 홈이 파여져 있고,
    그의 바닥부는 내측으로 구부러져서 제2 벽부의 외표면에서 슬롯을 향해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구멍에 대한 상기 스위칭소자의 위치의 시각적 표시를 마련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베어링 링상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칭소자의 제1 및 제2 동작위치에 대응하는 2개의 구별 상태 중의 하나를 추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벽부 중의 어느 하나와 수직으로 배치된 케이싱의 제3 벽부에는 상기 표시수단을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시계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의 2개의 다른 상태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베어링 링의 2개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영역은 각각 다른 색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베어링 링의 일부에 형성된 표시용 절단부 및 이 표시용 절단부와 이웃하는 상기 베어링 링의 외표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용 절단부는 상기 스위칭소자가 상기 제1 동작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베어링 부싱의 일부가 상기 시계창을 거쳐서 상기 디스크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스위칭소자가 상기 제2 동작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상기 베어링 링의 외표면 영역이 상기 시계창과 나란히 배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창을 둘러싸는 상기 제3 벽부의 둘레 뚜껑 영역의 외부 에지에는 외측으로 확대되도록 홈이 파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동작위치 중의 어느 한쪽으로 상기 스위칭소자를 클릭하기 위해 상기 스위칭소자와 상기 제1 벽부 사이에 배치된 회전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스위칭소자와 일체화되어 있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회전방지부재;
    상기 변형가능한 회전방지부재와 일체화되어 상기 제1 벽부를 향해서 돌출되어 있는 회전방지 돌기 및;
    상기 제1 벽부에 규정되고 상기 스위칭소자의 상기 제1 및 제2 동작위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2개의 분리된 회전방지용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KR1020007012189A 1999-03-05 2000-03-03 소거방지용 디스크 카트리지 KR100676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47199 1999-03-05
JP1999-58471 1999-03-05
JP1999-161623 1999-06-08
JP16162399 1999-06-08
JP2000035513A JP2001057048A (ja) 1999-03-05 2000-02-14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0-35513 2000-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199A true KR20010071199A (ko) 2001-07-28
KR100676946B1 KR100676946B1 (ko) 2007-01-31

Family

ID=27296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189A KR100676946B1 (ko) 1999-03-05 2000-03-03 소거방지용 디스크 카트리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04679B1 (ko)
EP (1) EP1078362B1 (ko)
JP (1) JP2001057048A (ko)
KR (1) KR100676946B1 (ko)
CN (1) CN1174418C (ko)
AU (1) AU2827200A (ko)
CA (1) CA2331104A1 (ko)
DE (1) DE60020458T2 (ko)
WO (1) WO20000542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283B1 (ko) * 2001-05-16 200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카트리지
US7477484B2 (en) 2001-10-15 2009-01-13 Quantum Corporation Tape cartridge write protect mechanism
JP4085978B2 (ja) * 2003-12-26 2008-05-1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20070291413A1 (en) * 2004-09-28 2007-12-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5356Y2 (ko) * 1981-06-05 1987-12-03
JPS5989483U (ja) * 1982-12-08 1984-06-1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デイスクカ−トリツジ
JPS61258381A (ja) 1985-05-11 1986-11-15 Hitachi Maxell Ltd デイスクカ−トリツジ
US4685017A (en) 1985-06-11 1987-08-04 Shape Inc. Write/protect tab assembly for a floppy disc jacket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RE33961E (en) * 1985-06-11 1992-06-16 Shape Inc. Write/protect tab assembly for a floppy disc jacket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4908817A (en) * 1986-11-14 1990-03-13 Opticord, Inc. Cartridge for optical data discs
JP2961982B2 (ja) * 1990-08-24 1999-10-1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896552A (ja) * 1994-09-27 1996-04-12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CN1116679C (zh) * 1995-09-21 2003-07-3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圆盘可取出的盒子
JP3462318B2 (ja) * 1995-10-13 2003-11-05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置
JP3666111B2 (ja) * 1996-03-21 2005-06-29 ソニー株式会社 円盤状光記録媒体
US5995344A (en) * 1996-06-14 1999-11-30 Sony Corporation Disc cartridge having design parameters of a recording and/or reproduction medium housed therein
JPH11185423A (ja) * 1997-12-24 1999-07-09 Tdk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31104A1 (en) 2000-09-14
AU2827200A (en) 2000-09-28
WO2000054275A1 (en) 2000-09-14
EP1078362A1 (en) 2001-02-28
DE60020458D1 (de) 2005-07-07
CN1296621A (zh) 2001-05-23
JP2001057048A (ja) 2001-02-27
CN1174418C (zh) 2004-11-03
DE60020458T2 (de) 2006-04-27
EP1078362B1 (en) 2005-06-01
US6504679B1 (en) 2003-01-07
KR100676946B1 (ko)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112B1 (ko) 디스크카트리지
KR0181293B1 (ko) 디스크 카트리지
US5903542A (en) Protective cartridge for rewritable optical disk
JPS59101075A (ja) 書き込み保護装置
KR100676946B1 (ko) 소거방지용 디스크 카트리지
EP1001427A2 (en) Disk cartridge with drawer element
JP3353378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930011695B1 (ko) 디스크 카아트리지
US5886859A (en) Magnetic disc cartridge
JP4130408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書き込み防止機構
KR100768635B1 (ko) 디스크를 수납한 카트리지
JPH0514390Y2 (ko)
JP2002358757A (ja) 記録メディアカートリッジの識別構造
EP0939404B1 (en) Cartridge and storage case for cartridge
KR100575623B1 (ko) 디스크카트리지
KR100620996B1 (ko) 디스크 드라이버
RU2460158C2 (ru) Картридж носителя записи
JP3501150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1116318A (ja) 磁気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309456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292400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WO2000054276A1 (fr) Cartouche pour bande magnetique
JPH09543U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記録再生装置内での位置決め装置
JP2003085934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S62295287A (ja) デイスクカセツ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