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0144A -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0144A
KR20010070144A KR1020000061007A KR20000061007A KR20010070144A KR 20010070144 A KR20010070144 A KR 20010070144A KR 1020000061007 A KR1020000061007 A KR 1020000061007A KR 20000061007 A KR20000061007 A KR 20000061007A KR 20010070144 A KR20010070144 A KR 20010070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carboxylic acid
trans
tetra
phenyl
methylpropyl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5277B1 (ko
Inventor
하기야고지
Original Assignee
고사이 아끼오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사이 아끼오,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사이 아끼오
Publication of KR2001007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1/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61/16Unsaturated compounds
    • C07C61/35Unsaturated compounds having unsaturation outside the rings
    • C07C61/37Chrysanthemum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01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11/26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11/27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having amino groups linked to the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saturated carbon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51/43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of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51/487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treatment giving rise to chemical mo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9Geometrical is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염, 및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METHOD FOR PRODUCING (+)-TRANS-CHRYSANTHEMUM-MONOCARBOXYLIC ACID}
본 발명은 (+)-트랜스-크리산테뮴(chrysanthemum)-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염, 및 상기 염 및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 피레트로이드(pyrethroid) 살충제군에서, 상기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를 갖는 피레트로이드 에스테르가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다른 광학이성질체를 갖는 것보다 더욱 효과적임이 공지되어 있다.
이에 관련하여, 원하는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를 얻기 위한 몇몇 광학 분할제가 알려져 왔다. 그러나, 상기 분할제는 즉시 사용할 수 없거나, 수득된 산의 광학순도도가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또는 경제적이지 못하므로, 공업용 제품으로는 그다지 만족스럽지는 못하다 (J. Sci. FoodAgri., 3, 189, JP46-20382B, JP54-37130B, JP46-30832B, JP49-33197B, JP51-23497B, JP61-1722853A, JP03-74347A, JP03-148237A 및 JP05-201938A).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제조 또는 그의 분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를 제공한다:
1.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염.
2.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용매 중,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그의 입체이성질체 및 경우에 따라 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과 접촉시켜,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를 함유하는 디아스테레오머 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염을 산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용매 중,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그의 입체이성질체 및 경우에 따라 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과 접촉시켜,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를 함유하는 디아스테레오머 염을 제조하고, 및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상기 염을 산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먼저,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염의 제조방법을 기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예로서는,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그의 입체이성질체 및 경우에 따라 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을 포함한다:
상기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은 "(lR)-트랜스-2,2-디메틸-3-(2-메틸프로프-l-에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으로 언급될 수 있으며, 그의 입체이성질체는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이다.
상기 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은 (+)-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시스/트랜스 비 또는 (+)/(-) 비에 관한 아무런 제한은 없다. 예컨대, 통상 사용되는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에 포함된 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비율은 0/100 내지 40/60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0/100 내지 20/80 이다.
상기 (+)/(-) 비는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비를 나타내고, 이때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는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을 포함하고,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는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을 포함한다.
예컨대,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은 라세미화 되거나, 또는 상기 (+)-이성질체 및 (-)-이성질체 중 하나를 과량으로 포함하는 산일 수 있다. 바람직한 (+)/(-) 비는 30/70 또는 그 이상이다.
예컨대,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은 공지 방법에 의해 라세미체로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예컨대 트랜스 이성질체가 풍부한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는 톨루엔 용매 존재 하, (-)-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또는 (-)-트랜스 이성질체가 풍부한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을, t-부틸 히드로퍼옥시드 및 브롬화 알루미늄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예컨대, JP5-37137B/1993).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는 예컨대, WO 00/02843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사용되는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은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1몰에 대하여, 통상 0.2 내지 1.5 몰,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몰이다.
용매 중,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 및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를 접촉시켜, 디아스테레오머 염의 형성시킨다.
사용되는 용매의 예로서는 하기를 들 수 있다:
- 톨루엔, 크실렌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 헥산, 헵탄 등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클로로벤젠 등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
- 디에틸 에테르, t-부틸메틸 에테르 등과 같은 에테르 용매;
-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과 같은 알코올 용매;
- 에틸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에스테르 용매;
- 아세토니트릴 등과 같은 니트릴 용매;
- 물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이다.
사용되는 용매의 양은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1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5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중량부이다.
(S)-1-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은 그대로 또는 용액형태로, 통상 한번에 또는 연속적으로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용액에 첨가된다.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 및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접촉은 통상 0 ℃ 내지 사용용매의 환류 온도에서 이루어진다.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1-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염을 바람직하게는 반응 혼합액을 냉각 또는 농축하여 반응 혼합액에서 침전시킴으로써, 침전된 염을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침전된 결정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액에 열을 가하여 결정을 용해시킨 다음, 냉각 또는 농축하여 염을 침전시킬 수 있다.
상기 염은 산성 수용액과 접촉시킴으로써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로 유리된다.
상기 산성 수용액의 예로서는 염산 수용액, 황산 수용액, 포스폰산 수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의 양은 염 1 몰에 대해 통상 1 내지 5 몰이다. 산성 수용액의 농도는 통상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이다. 염과 산성 수용액의의 접촉은 통상 -10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유리된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은 오일층으로 분리 또는 수집되거나, 결정으로 침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오일층 또는 침전된 결정은 물과 혼합되지 않는 유기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며, 수득된 유기층은 냉각 또는 농축되어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으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물과 혼합되지 않는 유기용매의 예로서는 하기를 들 수 있다:
- 톨루엔, 크실렌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 헥산, 헵탄 등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클로로벤젠 등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
- 디에틸 에테르, t-부틸메틸 에테르 등과 같은 에테르 용매;
- 에틸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에스테르 용매;
- 아세토니트릴 등과 같은 니트릴 용매.
사용되는 용매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데, 부피 용량으로 환산된 반응물의 생산 효율을 고려하여, 염의 1 중량부에 대해 통상 0.5 내지 10 중량부이다.
상기 유기용매는 미리 첨가하여 산성 수용액과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염은 염기와 접촉시켜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으로 유리시키고,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으로 분리한 다음, 결과 수용액을 산성 수용액과 접촉시켜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으로 단리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상기 염기의 예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과 같은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염기의 양은 염 1 몰에 대해 1 내지 5 몰이다. 상기 염기는 통상 수용액 형태로 사용된다. 상기 수용액의 농도는 통상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 이다.
염과 염기의 접촉은 통상 -10 내지 100 ℃에서 수행된다.
상기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의 분리는 상 분리 또는 물과 혼합되지 않는 유기용매와의 추출에 의해 수행된다. 물과 혼합되지 않는 유기용매의 예로서는 상기에서 언급된 것으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염 1 중량부에 대해 통상 0.1 내지 10 중량부이다.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의 분리 후, 결과 수용액을 통상 -10 내지 100 ℃ 범위의 온도범위에서 용액의 pH 가 3 또는 그 이하가 되도록 산성 수용액과 접촉시킨다.
산성화된 수용액 내의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은 상기에서 언급된 방법과 유사하게 분리 또는 수집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물과 혼합되지 않는 유기용매는 상기와 같이 원하는 화합물의 추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염의 1 중량부에 대해 통상 0.1 내지 10 중량부이다.
본 방법에 사용되는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은 염과 산의 접촉 후, 회수될 수 있다. 예컨대, 원하는 산의 분리 후 결과되는 산성 수용액은 통상 염기와 접촉되고, 다음으로 상 분리 및/또는 물과 혼합되지 않는 유기용매에 의한 추출에 의해 분리되어지며, 또는 염과 염기의 접촉 후에 결과되는 수용액은 상기와 동일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것과 동일한 물과 혼합되지 않는 유기용매가 이 단계에서 사용된다.
추출된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은 농축되어 아민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본 방법에서 그대로 사용될 수 있고, 상 분리에 의해 얻어진 회수된 아민도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수득된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광학순도는 키랄 컬럼이 장치된 HPLC 에 의해 분석되었다.
실시예 1
시스/트랜스 비가 4.1/95.9 이고, (+)-이성질체 비율이 47.8 % 인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10 g를 톨루엔 40 g 에 용해시키고, 결과용액을 45 ℃ 까지 데웠다. 여기에, (S)-이성질체 비율이 99.4 % 인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 6.2 g 을 함유하는 톨루엔 용액 46.2 g 을 상기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30 분에 걸쳐 첨가하고, 결과용액을 65 ℃ 까지 데우고, 2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상기 온도를 유지시켰다. 그 후, 5 시간에 걸쳐 20 ℃ 까지 냉각시켰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톨루엔 30 g 으로 세정하여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디아스테레오머 염 5.7 g을 수득하였다. 염의 용융점: 125-130 ℃ (분해).
5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0 g을 상기 염에 첨가하여 40 ℃에서 30 분간 교반하고, 톨루엔 20 g 으로 두 번 추출하였다. 상 분리 후, 수상에 톨루엔 30 g, 및 수상의 pH 가 2 로 되도록 70 중량% 황산을 첨가한다.
분리된 톨루엔층을 물 30 g 으로 세정하여,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톨루엔 용액을 얻고, 감압농축하여 톨루엔을 제거하고,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백색 결정 3.0 g을 얻었다.
생성물의 광학순도: (+)-이성질체 비율은 96.9 % 이고, 시스/트랜스 비는 0.7/99.3 이었다.
상기 (+)-이성질체 비율은 실시예에서 수득된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이성질체들 중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비율은 의미한다.
실시예 2
(S)-이성질체 비율이 99.4 % 인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 6.2 g 을 함유하는 톨루엔 용액 46.2 g 대신에, (S)-이성질체 비율이 99.4 % 인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 4.4 g 을 함유하는 톨루엔 용액 14.4 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3.2 g을 얻었다.
생성물의 광학순도: (+)-이성질체 비율; 89.5 %, 시스/트랜스 비; 1.0/99.0.
실시예 3
시스/트랜스 비가 4.1/95.9 이고, (+)-이성질체 비율이 47.8 % 이고, 톨루엔 40 g 에 용해된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10 g 대신에, 시스/트랜스 비가 19.2/80.8 이고, (+)-이성질체 비율이 48.9 % 이고, 톨루엔 28 g 에 용해된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10 g을 사용하는 것; 및 (S)-이성질체 비율이 99.4 % 인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 6.2 g 을 함유하는 톨루엔 용액 46.2 g 대신에, (S)-이성질체 비율이 99.4 % 인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 4.4 g 을 함유하는 톨루엔 용액 14.4 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3.5 g을 얻었다.
생성물의 광학순도: (+)-이성질체 비율; 82.6 %, 시스/트랜스 비; 5.9/94.1.
실시예 4
시스/트랜스 비가 19.2/80.8 이고, (+)-이성질체 비율이 48.9 % 인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10 g 대신에, 시스/트랜스 비가 35.5/65.0 이고, (+)-이성질체 비율이 50.0 % 인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10 g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 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3.9 g을 얻었다.
생성물의 광학순도: (+)-이성질체 비율; 72.9 %, 시스/트랜스 비; 13.4/86.6.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염, 및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6)

  1.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염.
  2.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용매 중,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그의 입체이성질체 및 경우에 따라 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과 접촉시켜,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를 함유하는 디아스테레오머 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염을 산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용매 중,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그의 입체이성질체 및 경우에 따라 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과 접촉시켜,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를 함유하는 디아스테레오머 염을 제조하고, 및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상기 염을 산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를 함유하는 염을 염기와 접촉시키고, 상기 결과 혼합물로부터 상기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분리시킨 다음, 상기 혼합물을 산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용매 중,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그의 입체이성질체 및 경우에 따라 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과 접촉시켜,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를 함유하는 디아스테레오머 염을 제조하고, 및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 및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상기 염을 염기와 접촉시키고, 상기 결과 혼합물로부터 상기 (S)-l-페닐-2-메틸프로필아민을 분리시킨 다음, 상기 혼합물을 산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000061007A 1999-10-18 2000-10-17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KR100645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515499A JP4320870B2 (ja) 1999-10-18 1999-10-18 (+)−トランス第一菊酸の製造方法
JP99-295154 1999-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144A true KR20010070144A (ko) 2001-07-25
KR100645277B1 KR100645277B1 (ko) 2006-11-13

Family

ID=1781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007A KR100645277B1 (ko) 1999-10-18 2000-10-17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320870B2 (ko)
KR (1) KR100645277B1 (ko)
CN (1) CN1225452C (ko)
HU (1) HUP0004005A3 (ko)
IN (1) IN190898B (ko)
IT (1) IT1320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4780B2 (en) 2010-02-24 2015-03-10 Zymenex A/S Process for production and purification of recombinant lysosomal alpha-mannosida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50231A1 (it) * 2005-02-17 2006-08-18 Endura Spa Processo per l'ottenimento di enantiomeri dell'acido crisantemico
CN101613268B (zh) * 2009-07-28 2012-06-13 大连凯飞化学股份有限公司 一种富反式第一菊酸的制造方法
CN101628206B (zh) * 2009-08-14 2012-04-04 德州中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脱除棉籽中的棉酚的纳滤膜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1553B2 (ja) * 1989-08-11 1998-03-04 株式会社クラレ シス・トランス混合菊酸の光学分割法
US6268525B1 (en) * 1998-01-29 2001-07-3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ly active chrysanthemic acid
JP6067871B2 (ja) * 2014-05-19 2017-01-25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プラグ接続具、ゴム部材、および、リング部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4780B2 (en) 2010-02-24 2015-03-10 Zymenex A/S Process for production and purification of recombinant lysosomal alpha-mannosidase
US10159718B2 (en) 2010-02-24 2018-12-25 Chiesi Farmaceutici S.P.A Process for production and purification of recombinant lysosomal alpha-mannosid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0004005D0 (en) 2000-12-28
HUP0004005A2 (hu) 2001-11-28
IN190898B (ko) 2003-08-30
JP2001114728A (ja) 2001-04-24
ITTO20000965A1 (it) 2002-04-16
IT1320818B1 (it) 2003-12-10
CN1298862A (zh) 2001-06-13
CN1225452C (zh) 2005-11-02
JP4320870B2 (ja) 2009-08-26
ITTO20000965A0 (it) 2000-10-16
HUP0004005A3 (en) 2003-10-28
KR100645277B1 (ko) 2006-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5764A (en) Preparation of optically active aliphatic carboxylic acids
EP0623105B1 (en) Preparation of optically active aliphatic carboxylic acids
EP0623104B1 (en) Profen resolution
KR100568924B1 (ko) 광학활성 국화산 제조 방법
KR100645277B1 (ko) (+)-트랜스-크리산테뮴-모노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EP0010874B1 (en) Process for separating optical isomers of substituted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amine salts of substituted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a substituted cyclopropane carboxylic acid
KR100822532B1 (ko) 알플러스알파-리포산의 합성 방법
KR100838922B1 (ko) 알플러스알파-리포산의 제조 방법
US4229593A (en) Method to prepare (+)-cis-3-(2,2-dichloroethenyl)-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ic acid
EP0093511B1 (en) Method for producing and optically active 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ic acid
US4327038A (en) Method for preparing optically active 2,2-dimethyl-3-(2,2-dichlorovinyl)cyclopropanecarboxylic acid
EP1242353A1 (en) Process for the recovery and recycle of d-tartaric acid
IE911917A1 (en) Process for racemate resolution of 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ic acid
US5900492A (en) Method of producing optically active cyclopropane derivatives
HU205594B (en)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 isomeres of cyclopropane-carboxylic acids5
JPH04308550A (ja) ジオールのアルコールへの立体選択的変換方法
US4294765A (en) Cis-lactone pyrethroid intermediates
JP2687939B2 (ja) ジヒドロジャスモン酸の光学分割方法
JPH085840B2 (ja) ジャスモン酸の光学分割方法
JP2721553B2 (ja) シス・トランス混合菊酸の光学分割法
US4419524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ihalovinylcyclopropanecarboxylic acids
JP4048759B2 (ja) トランス−ビニル置換シクロプロパン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JPH0419215B2 (ko)
EP0179487A1 (en) 2-Phenylpropionic acid esters, method for optical resolution thereof and optically active substance thereof
JPH025342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